KR101484029B1 -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029B1
KR101484029B1 KR20130046348A KR20130046348A KR101484029B1 KR 101484029 B1 KR101484029 B1 KR 101484029B1 KR 20130046348 A KR20130046348 A KR 20130046348A KR 20130046348 A KR20130046348 A KR 20130046348A KR 101484029 B1 KR101484029 B1 KR 10148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aggregate
filler
inorganic fill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501A (ko
Inventor
이학래
윤혜정
임완희
서동일
박시한
Original Assignee
무림피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림피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무림피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02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4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ionic groups
    • D21H17/4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ionic groups anio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물 응집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충전물 응집체에 관한 것으로, 종이의 평활성, 인장강도 등 최종 종이제품의 품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요소인 입도분포가 균일한 충전물 응집체를 제공하여 종이의 물성을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The method for preparing filler agglomerate having uniform particle distribution}
본 발명은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충전물 응집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는 섬유와 섬유 사이에 수소결합이 발생하여 강도가 발현되는 특성이 있다. 충전물의 함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종이의 외양과 물성이 크게 변화한다. 종이 내에 충전물 함량이 증가하게 될 경우, 종이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이 미립의 충전물 입자로 메워져 평활해지므로, 인쇄적성 및 광학적 성질이 우수한 종이가 제조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인장강도나 파열강도 등의 기타 물성은 감소하게 되며, 탈수성 및 보류도 저하와 같은 각종 습부 화학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이 내 회분함량은 증가시키고 종이 강도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자량이 높은 ‘고분자’를 이용하여 충전물을 응집시킨 후 종이 제조 시 투입하는 기술이 소개된바 있다.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충전물 응집체로 종이를 제조할 경우, 충전 시 문제가 되던 섬유 간 결합면적 감소현상을 줄여 종이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고분자를 이용하여 응집체를 제조하는 기존 기술의 경우, 고분자의 투입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응집체의 크기는 증가되나, 균일한 응집체를 형성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응집체는 미응집된 충전물부터 과도한 응집크기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까지 충전물 응집체의 입도 분포폭이 고르지 않았기 때문에, 지필의 평활성(표면의 매끄러운 상태의 정도)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미응집된 충전물에 의해 여전히 강도의 저하 현상이 발생할 여지가 있었다. 또한, 종래 고분자를 이용하여 형성된 응집체의 경우 전단(shear)에 노출되어 본래의 크기를 유지하지 못하고 응집체가 깨지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이의 평활성, 인장강도 등 최종 종이제품의 품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응집체의 입도분포가 균일하고 전단력에 대하여 안정하여 종이 물성을 향상시키는 충전물 응집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충전물 응집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은 무기 충전물을 희석하여 무기 충전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무기 충전물 슬러리 및 제1고분자를 반응시켜 제1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제1응집체를 교반하여 전단하는 단계(S3); 및 상기 전단하는 단계를 통과한 제1응집체에 제1고분자와 반대의 이온성을 갖는 제2고분자를 투입 및 교반하여 제2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 충전물은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클레이, 탈크,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물 슬러리와 제1고분자는 각각 반대의 이온성을 띌 수 있다.
상기 제1고분자는 양이온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양이온성 팜일 수 있다.
상기 제2고분자는 구조화된 음이온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구조화된 음이온성 고분자는 구조화된 음이온성 팜일 수 있다.
상기 전단하는 단계(S3)는 제1응집체를 500 내지 2000rpm으로 교반하여 전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S4)는 제2고분자가 투입된 후 500 내지 2000rpm으로 교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분자는 전건 무기충전물 대비 0.01 내지 0.1 중량부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고분자는 전건 무기충전물 대비 0.01 내지 0.1 중량부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충전물 응집체는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충전물 응집체를 제공하여, 종이에 충전될 경우 일반 충전물 대비 섬유 간 결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종이의 강도의 저하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밀도가 높고 단단하여 전단력에 대하여 안정성 있는 충전물 응집체를 제공함으로써, 종이 제작 시 종이 강도의 저하현상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강도의 손실 없이 종이 내 충전물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펄프 원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미처리된 충전물에 비하여 보류율을 향상시켜 보류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응집체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응집체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가 적용된 종이의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의 광 산란지수 및 프랙탈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은 무기 충전물을 희석하여 무기 충전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무기 충전물 슬러리 및 제1고분자를 반응시켜 제1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제1응집체를 교반하여 전단하는 단계(S3); 및 상기 제1응집체에 구조화된 제2고분자를 투입, 교반하여 제2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무기 충전물 슬러리 제조단계(S1)는 무기 충전물을 희석하여 무기 충전물 슬러리를 제조한다. 상기 무기 충전물은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클레이, 탈크, 이산화티탄, 실리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물은 증류수에 의해 희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물은 20 내지 60중량부로 희석되어 슬러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무기 충전물 슬러리는 반응조에서 제1고분자와 반응할 수 있다(단계 S2). 무기 충전물 슬러리와 제1고분자는 반응하여 가교결합하여 제1응집체를 형성한다. 상기 제1고분자는 매질 표면에 루프(loop)와 테일(tail)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고분자는 무기 충전물 슬러리와 반대의 이온성을 띌 수 있다. 상기 제1고분자는 양이온성 팜(cationic polyacrylamide; C-PAM)일 수 있다. 양이온성 팜은 선형의 합성고분자이다. 상기 제1고분자는 상기 완전히 전부 건조된(전건) 무기 충전물 대비 0.01 내지 1중량부 투입될 수 있다.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무기 충전물에 흡착시키면 음의 제타전위를 가지는 무기 충전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제타전위가 증가한다. 응집은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작아질수록 잘 일어나므로, 상기 제1고분자의 투입량은 제타전위 값(절대값)을 낮추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1고분자가 0.01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경우 응집의 효과가 저하되며, 양이온성 팜의 농도가 1중량부를 넘어가면 과도한 양이온성 고분자전해질에 의해 섬유와 과도한 응집을 일으켜 종이 물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다만 약품투입에 의한 원가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4중량부 투입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1고분자는 제타전위 값의 감소목적, 약품투입에 의한 원가를 고려할 때 전건 무기충전물 대비 0.03 내지 0.07중량부로 희석되어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응집체는 전단 단계(S3)에서 고속으로 교반될 수 있다. 전단(shear)이란 물체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였을 때 물체 내에 가상한 두 선분 간의 각도가 변화하는 비틀림을 의미한다. 교반에 의하여 응집체를 파괴하기 위하여 제1응집체는 500 내지 2000rpm으로 교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0rpm 보다 낮은 속도에서 교반될 경우 응집체가 충분히 전단력을 받을 수 없고, 2000rpm보다 높은 속도는 일반 설비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기가 어렵다. 교반 시간은 0.5 내지 2분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분일 수 있다. 상기 전단 단계에서 높은 전단력에 의하여 제1응집체의 가교결합이 파괴된다.
제2응집체 제조단계(S4)에서, 가교결합이 파괴된 제1응집체에 제1고분자와 반대의 이온성을 갖는 제2고분자가 투입되어 교반될 수 있다. 전단에 의해 파괴된 제1응집체의 충전물 입자들은 강이온성을 띠는 제2고분자에 의하여 재응집된다. 즉, 제2고분자는 제1응집체 제조 단계(S2)에서 제1고분자에 의해 형성된 루프와 테일에 정전기적으로 흡착되어, 전단 단계(S3)에서 파괴된 충전물의 재응집을 유도함으로써 응집강도를 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재응집을 유도하기 위하여 교반속도를 전단 단계(S3)보다 낮추어 교반할 수 있다. 500 내지 2000rpm으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500rpm일 수 있다. 제2고분자는 강한 이온성을 띄므로 파괴된 제1고분자는 제2고분자에 의해 응집될 수 있으나, 500rpm 보다 낮은 속도에서 교반될 경우 응집되기 어렵다. 나아가 2000rpm보다 높은 속도는 일반 설비에서 유지가 어렵다.
상기 제2고분자는 구조화된 음이온성 고분자일 수 있으며, 상기 구조화된 음이온성 고분자는 구조화된 음이온성 팜(PAM)일 수 있다. 상기 제2고분자는 마이크로 폴리머(micropolymer; MP)일 수 있다. 구조화란 중합된 고분자를 한번 더 결합시켜 보다 큰 고분자를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구조화는 응집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상기 제2고분자는 상기 완전히 건조된(전건) 무기 충전물 대비 0.01 내지 1중량부 투입될 수 있다. 0.01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경우 응집의 효과가 저하되며, 1중량부를 넘어가면 과도한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에 의해 섬유와 과도한 응집을 일으켜 종이 물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약품투입에 의한 원가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8 중량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고분자는 제타전위 값의 감소목적, 약품투입에 의한 원가를 고려할 때 전건 무기충전물 대비 0.03 내지 0.07 중량부로 희석되어 투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응집체의 입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응집체의 입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과 같이 제1고분자만으로 응집된 충전물 응집체에 비해, 도 2에서 제1고분자(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이온성 팜(C-PAM)) 및 제2고분자(마이크로 폴리머; MP)를 함께 응집제로 사용하였을 때 입자분포가 균일해진다. 또한 일정한 제1고분자의 농도 하, 제2고분자의 농도가 0.01에서 0.08중량부로 높아질수록 입자분포가 균일해진다.
<실시예 1>
다음의 무기충전물, 제1고분자, 및 제2고분자를 사용하였다.
- 무기충전물: 음이온성 전하를 띄는 중질 탄산칼슘(Ground calcium carbonate, Hydrocarb 75F, 오미아 코리아 社, 이하 GCC라고 한다)
평균 입도(㎛) ISO 백색도(%) 제타 전위(mV)
1.89 96.3 -23.6
- 제1고분자: 양이온성 팜
- 제2고분자: 구조화된 음이온성 팜
54%의 GCC를 증류수를 이용하여 30중량부로 희석시켜 슬러리로 제조하였다. GCC 슬러리에 0.05중량부로 희석된 양이온성 팜을 전건(건조) GCC 대비 0.03중량부 투입하였다. 1분간 1500rpm에서 교반하였다. 교반 후 1300rpm으로 교반속도를 낮춘 후 0.05중량부로 희석된 구조화된 음이온성 팜을 전건 GCC 대비 0.08중량부를 투입하여 1분간 교반하여 충전물 응집체 A를 생성하였다.
<비교예1>
54%의 GCC를 증류수를 이용하여 30중량부로 희석시켜 슬러리로 제조하였다. GCC 슬러리에 0.05중량부로 희석된 양이온성 팜을 전건 GCC 대비 0.08중량부 투입하였다. 필러 믹싱 셀(filler mixing cell)에서 1분간 교반하여 충전물 응집체 B를 생성하였다.
<비교예2>
54%의 GCC를 증류수를 이용하여 30중량부로 희석시켜 슬러리로 제조하였다. GCC 슬러리에 0.05중량부로 희석된 양이온성 고분자 폴리디알킬디메칠암모늄염(Poly-di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p-DADMAC)을 전건 GCC 대비 0.08중량부 투입하여 1500rpm에서 1분간 교반하였다. 0.05중량부로 희석된 양이온성 팜을 0.05중량부 투입하여 충전물 응집체 C을 생성하였다.
<실험예 1> 충전물 응집체를 적용한 수초지의 인장강도 측정 (강도 평가1)
활엽수 BKP(Bleached Kraft Pulp)를 실험실용 벨리 비터(Valley beater)를 이용하여 TAPPI 테스트 방법 T 200 sp-96에 의하여 여수도 450ml CSF가 되도록 고해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충전물 응집체 A, B, 및 C의 평균 입도가 동일하게 70㎛가 되도록 응집체를 제작하였다.
상기 응집체 각각에 0.05중량부로 희석된 양이온성 팜을 보류제로 하여 전건 섬유 및 전건 GCC 대비 0.03중량부 투입하였다. 400rpm으로 30초간 교반시킨 후 수초지를 제작하였다.
수초지는 3.5kg/cm2에서 5분간 압착, 탈수한 후 120℃ 실린더 드라이어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종이는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3℃, 50% RH 항온 항습상태에서 30시간 조습처리한 후 회분 함량 및 물성을 평가하였다.
도 3은 실험예 1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가 적용된 수초지의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즉, (1) 처리안한 GCC (Untreated GCC), (2) 비교예 1의 충전물 응집체 B (Single polymer), (3) 비교예 2의 충전물 응집체 C (Dual cationic polymer), (4)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충전물 응집체 A (micropolymer)가 적용된 수초지의 인장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란 재료의 기계적 강도를 표시하는 값이다.
처리안한 일반 충전물 입자 GCC (1) 가 적용된 수초지에 비하여, 처리된 충전물 응집체(A 내지 C)가 적용된 수초지의 인장 강도가 상승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충전물 응집체 A가 적용된 수초지는 다른 처리된 충전물 응집체 B, C에 비하여 회분 함량 대비 인장강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여 종이 강도의 저하현상 방지에 효과적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의 섬유간의 결합면적을 방해하는 요소가 가장 적기 때문이다.
<실험예 2> 충전물 응집체의 프랙탈 계수 측정 (강도 평가 2)
광 산란 측정 장비인 말번(Malvern) 사의 마스터사이저 2000 (mastersizer 2000)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충전물 응집체 A 내지 C의 산란광의 강도 I(Q) 및 파수 q의 정보를 얻는다. I(Q) 대비 q를 로그 스케일 그래프로 표시했을 때 얻어지는 선형의 기울기를 통하여 각 충전물 응집체의 프랙탈 계수를 얻는다.
도 4는 실험예 2에 따라 측정된 충전물 응집체의 (광)산란지수 및 프랙탈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즉, (1) 비교예 1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 B (C-PAM 0.08%), (2) 비교예 2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 C (P-DADMAC 0.08%, C-PAM 005%), (3) 실시예 1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 A (C-PAM 0.03%, MP 0.08%)의 광 산란지수 및 프랙탈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프랙탈 계수는 충전물 응집체의 밀도를 대변해주는 값으로, 밀도가 높은 응집체는 내부 결합력이 증가하여 단단한 응집체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2에 따른 측정에서 각 응집체 A 내지 C의 프랙탈 계수는, 단일 고분자인 양이온성 팜(C-PAM)에 의한 충전물 응집체 B의 경우 1.839, 이중 양이온성 고분자(P-DADMAC 및 C-PAM)에 의한 충전물 응집체 C의 경우 2.140, 실시예 1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 A의 경우 2.433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 A의 프랙탈 계수가 가장 높으므로 밀도가 가장 높고, 따라서 가장 단단한 응집체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는 응집체 크기를 동일하게 하였을 때, 비교예 1, 2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에 비하여 높은 프랙탈 계수를 나타내어 가장 단단한 응집체를 형성함으로써, 수초지 제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단력에 대하여 안정성을 지녀 종이의 강도 저하 방지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충전물 응집체는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므로 섬유 간 결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나아가 높은 프랙탈 계수를 나타내어 밀도가 높은 단단한 응집체를 제공하여 종이 제작 시 종이 강도의 저하현상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강도의 손실 없이 종이 내 충전물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펄프 원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응집체는 최종 제품인 종이에 잔류되어 제품화되는 비율인 보류율이 높으므로, 보류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대안들, 수정들, 및 변형들, 및 변경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Claims (12)

  1. 무기 충전물을 희석하여 무기 충전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무기 충전물 슬러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반응시켜 제1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제1응집체를 교반하여 전단하는 단계(S3); 및
    상기 전단하는 단계를 통과한 제1응집체에 양이온성 고분자와 반대의 이온성을 갖는 음이온성 고분자를 투입 및 교반하여 음이온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물은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클레이, 탈크,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물 슬러리와 양이온성 고분자는 각각 반대의 이온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양이온성 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구조화된 음이온성 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단하는 단계(S3)는 제1응집체를 500 내지 2000rpm으로 교반하여 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S4)는 음이온성 고분자가 투입된 후 500 내지 2000rpm으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전건 무기충전물 대비 0.01 내지 1 중량부 투입되어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전건 무기충전물 대비 0.01 내지 1 중량부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12. 청구항 1 내지 3, 청구항 5, 및 청구항 7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응집체.
KR20130046348A 2013-04-25 2013-04-25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KR101484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348A KR101484029B1 (ko) 2013-04-25 2013-04-25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348A KR101484029B1 (ko) 2013-04-25 2013-04-25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501A KR20140128501A (ko) 2014-11-06
KR101484029B1 true KR101484029B1 (ko) 2015-01-29

Family

ID=5245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6348A KR101484029B1 (ko) 2013-04-25 2013-04-25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0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256A (ko) * 1991-09-27 1993-04-21 피터 대브링하우젠 제지 방법
KR100460683B1 (ko) 1996-02-13 2005-04-06 미네랄즈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충전된종이의제조방법및이에사용하기위한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256A (ko) * 1991-09-27 1993-04-21 피터 대브링하우젠 제지 방법
KR100460683B1 (ko) 1996-02-13 2005-04-06 미네랄즈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충전된종이의제조방법및이에사용하기위한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501A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g et al. Pickering emulsions stabilized by hydrophobically modified nanocellulose containing various structural characteristics
Li et al. Rheological aspects of cellulose nanomaterials: Governing factors and emerging applications
Yan et al. Improvement of paper strength with starch modified clay
Sim et al. Flocculation behavior of cellulose nanofibrils under different salt conditions and its impact on network strength and dewatering ability
KR102546074B1 (ko) 입자 형태의 중합체 생성물 및 그의 용도
JP6499663B2 (ja) 前処理済みのフィラー組成物を提供する方法並びに紙およびボードの製造におけるその使用
Herzele et al. Reinforcement of polycaprolactone with microfibrillated lignocellulose
US8333871B2 (en) Paper manufacturing using agglomerated hollow particle latex
EP3400333B1 (en) Method for forming a composite comprising mfc and a composite produced by the method
CN108026696A (zh) 制造包含微原纤化纤维素和两性聚合物的膜的方法
Farahbakhsh et al. Mechanical and thermal investigation of thermoplastic nanocomposite films fabricated using micro-and nano-sized fillers from recycled cotton T-shirts
Abdel‐Hakim et al. Effect of fiber coating on the mechanical performance, water absorption and biodegradability of sisal fiber/natural rubber composite
BR112015027014B1 (pt) Processo para tratamento de fibras de celulose a fim de produzir uma composição compreendendo celulose microfibrilada e uma composição produzida de acordo com o processo
CN104863010A (zh) 一种提高改性填料表面复合物的抗剪切能力的改性方法
KR101910649B1 (ko) 미세 셀룰로오스 및 칼슘화합물을 이용한 충전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제지용 충전제를 포함하는 종이
Varanasi et al. Superior non-woven sheet forming characteristics of low-density cationic polymer-cellulose nanofibre colloids
KR101535522B1 (ko) 나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제지용 충전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제지용 충전제를 포함하는 종이
KR101742962B1 (ko) 표면이 코팅된 제지용 충전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종이
KR101484029B1 (ko)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충전물 응집체 제조방법
CN104059389B (zh) 一种增加韧性的改性碳酸钙及其制备方法
BR112020012325A2 (pt) um método para produzir um produto fibroso compreendendo celulose microfibrilada
Maria Santos Chiromito et al. Water-based processing of fiberboard of acrylic resin composites reinforced with cellulose wood pulp and cellulose nanofibrils
KR101556322B1 (ko) 섬유 및 바인더를 이용한 아스콘용 섬유첨가재 혼합물의 제조방법
Bochek et al. Properties of carboxymethyl cellulose aqueous solutions with nanoparticle additives and the related composite films
BR112020017828A2 (pt)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compreendendo celulose microfibril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