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377B1 -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377B1
KR101482377B1 KR20130012989A KR20130012989A KR101482377B1 KR 101482377 B1 KR101482377 B1 KR 101482377B1 KR 20130012989 A KR20130012989 A KR 20130012989A KR 20130012989 A KR20130012989 A KR 20130012989A KR 101482377 B1 KR101482377 B1 KR 101482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isposed
moving
wire
wir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128A (ko
Inventor
김기일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1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37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providing a thin slice, e.g. microtome
    • G01N2001/065Drive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01N2001/2873Cutting or clea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과, 선재코일의 일부를 채취토록, 상기 장치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채취수단 및 선재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토록, 상기 장치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방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채취수단은, 선재코일의 일부를 채취토록 제공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선재코일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상기 후크와 이동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인을 작동시키는 호이스트를 포함하는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편의 채취 과정에서 선재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자가 원하는 선재코일의 특정부위에 대한 시편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Apparatus for sampling test piece of wire-rod coil}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열의 선재코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며 선재코일의 특정부위에 대한 시편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선재의 압연은 단면이 160×160mm 인 빌렛 소재를 열간 압연이 가능하도록 도 1에서와 같이 가열로(2) 설비에서 950~1050℃로 가열하고, 다수의 공형 캐리버(caliber)를 구비하는 조압연(3a)과 사상압연(3b)을 거치면서, 빌렛 소재는 사각형 형태에서 원형 형태로 변경됨과 동시에 단면이 점점 감소되며 다양한 직경 치수를 가지는 선재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후 압연공정을 거친 선재 중 비교적 직경이 큰 선재는 원통형 릴러(6a;reeler)에 권취되어 코일 형태로 감겨진 뒤, 컨베이어 설비(6b)에 의해 검사 및 정정공정(6c)으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압연공정을 거친 선재 중 비교적 직경이 작은 선재는 추가 압연공정(7a)을 거쳐 직경을 더 축소시킨 다음, 수냉설비(7b)에서 적정온도로 수냉되고 권취기(미도시)에 의해 나선형 형태의 소재로 변환된 후에, 컨베이어 설비(7c)에 낙하되고 블로워(blower;미도시)에 의해 공냉되며 검사 및 정정공정(7d)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중 비교적 직경이 큰 선재가 컨베이어 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중에 작업자에 의한 선재의 표면 품질 검사 단계(A)를 진행하게 된다.
이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우선 도 2a에서처럼 작업자가 갈고리(8a)를 이용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선재코일의 끝단부 2~3링 정도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선재코일의 고열에 의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방열판(8b)을 선재코일의 일측에 거취시킨다.
이후 도 2b에서처럼 한 조를 이루는 다른 작업자가 산소절단기(8c)를 이용하여 돌출된 선재코일의 끝단부 일부를 절단한다. 다음 도 2c 및 도 2d에서처럼 절단된 선재코일의 일부를 다시 샘플링(일부 절단) 작업하여 표면 품질을 검사할 시편을 채취한다. 시편을 채취하고 남은 부분은 스크랩 박스(미도시;scrap box)로 제거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선재코일에 대한 시편 채취방식은 작업자가 고열의 선재코일에 근접하여 작업을 실시하므로, 방열판(8b)을 선재코일의 일측에 비스듬히 거취시킨다고 하더라도, 항상 화상 등의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선재코일은 직경에 따라 제각각의 높이로 권취되므로(일반적으로 직경이 크게 권취된 경우에는 적층된 높이가 높으며, 직경이 작게 권취된 경우에는 적층된 높이가 낮음), 선재코일의 높이가 작업자의 채취작업이 불편한 높이까지 이르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원활한 시편 채취작업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시편의 채취 과정에서 선재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자가 원하는 선재코일의 특정부위에 대한 시편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재코일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과, 선재코일의 일부를 채취토록, 상기 장치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채취수단 및 선재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토록, 상기 장치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방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채취수단은, 선재코일의 일부를 채취토록 제공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선재코일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상기 후크와 이동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인을 작동시키는 호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채취수단은, 상기 이동체인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장치프레임의 상단에서 선재코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리브 및 상기 호이스트에 의해 상기 이동체인이 후진될 때 상기 이동체인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상기 이동체인과 연결되며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는 텐션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수단은, 선재코일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방열판과 상기 고정방열판의 양측단에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어링유닛이 구비된 지지빔 및 상기 장치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빔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방열판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승강되도록 제공되는 이동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선재코일상의 선택된 채취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채취수단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접철식 리프트 및 상기 접철식 리프트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에 근접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승강가이드빔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빔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장치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토록 제공되는 승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프레임을 선재코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선재코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안착되는 바퀴부재를 구비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바퀴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철식 리프트 및 상기 승강가이드빔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방열판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인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의 일 실시예는 선재코일의 시편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선재코일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을 차단함으로써, 작업자가 화상 등의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직경에 따른 권취된 코일 높이가 상이한 것과 같은 다양한 높이의 선재코일에 대응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특정부위의 시편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따라서 선재코일의 표면 품질에 대한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불량감소 및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열간 선재의 생산에 대한 개략공정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A' 지점에서 종래 선재코일의 시편을 채취하는 과정이 도시된 작업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후크에 대한 호이스트 및 텐션릴의 작동방식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시편의 채취 과정에서 선재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자가 원하는 선재코일의 특정부위에 대한 시편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후크에 대한 호이스트 및 텐션릴의 작동방식이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의 일 실시예는 선재코일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10)과 선재코일의 일부를 채취토록, 상기 장치프레임(10)상에 배치되는 채취수단(20)과 선재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토록,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일면에 배치되는 방열수단(30)과 선재코일상의 선택된 채취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채취수단(20)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수단(40) 및 상기 장치프레임(10)을 선재코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장치프레임(10)은 선재코일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A'지점일 수 있다. 상기 장치프레임(10)은 상기 채취수단(2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채취수단(20)은 상기 장치프레임(10)상에 배치되며,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6b)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끝단부 일부를 잡아당겨 채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채취수단(20)은 후크(21), 이동체인(22), 호이스트(23), 가이드리브(24) 및 텐션릴(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이드리브(24)는 상기 후크(21) 및 상기 이동체인(22)의 선재코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상단에서 선재코일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리브(24)는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상단에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리브(24)의 중앙부에는 상기 후크(21) 및 상기 이동체인(22)이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후크(21)는 선재코일의 끝단부 일부를 채취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21)는 상기 이동체인(22)의 일단부와 서로 연결되어 상기 호이스트(23)의 작동에 의해 선재코일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이스트(23)는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상단 일측, 엄밀하게는 선재코일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C)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이동체인(22)을 선재코일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인(22)의 타단부는 상기 텐션릴(25)과 연결되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이스트(23)에 의해 상기 이동체인(22)이 후진될 때 상기 이동체인(22)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호이스트(23)에 의해 상기 이동체인(22)이 후진되면, 상기 이동체인(22)은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유선형으로 쳐지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체인(22)이 상기 텐션릴(25)과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텐셜릴(25)이 풀리면서 상기 이동체인(22)을 당겨주게 되어 상기 호이스트(23)에 의해 쳐지게 될 양만큼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호이스트(23)에 의해 상기 이동체인(22)이 선재코일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 경우에도, 상기 텐션릴(25)이 감기면서 상기 이동체인(22)의 전진 길이를 보상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체인(22)에 일정한 텐션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텐션릴(25)은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장치프레임(10)의 하단 타측, 엄밀하게는 선재코일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이스트(23)와 상기 텐션릴(25)간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27)이 배치되어 상기 이동체인(22)의 움직임을 정확히 가이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수단(40)은 작업자가 선택한 선재코일상의 시편 채취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채취수단(20)을 상하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데, 이러한 상기 승강수단(40)은 접철식 리프트(41), 유압실린더(42), 승강가이드빔(43) 및 승강블록(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접철식 리프트(41)는 상기 이동수단(50)과 상기 장치프레임(10)의 하단간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2 지지대(41a,41b), 하판(41c), 및 가이드홈(41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지지대(41a,41b)는 샤프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하판(41c)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장치프레임(10)의 하단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이대 상기 제1 지지대(41a)의 일측에는 이동바(41d)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41e)에 삽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2 지지대(41a,41b)가 승강할 때 상기 이동바(41d)가 상기 가이드홈(41e)을 따라 이동하며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유압실린더(42)의 몸체는 상기 하판의 일측에 일정 범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부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42)의 로드는 상기 제2 지지대(41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42)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2 지지대(41b)가 들어 올려지고, 이때 상기 제2 지지대(41b)와 샤프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 지지대(41a)가 함께 들어 올려지며, 상기 장치프레임(1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대(41a)에 구비된 이동바(41d)가 상기 가이드홈(41e)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지지대(41a)의 움직임을 잡아주며 승강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50)에는 상기 승강가이드빔(43)이 선재코일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장치프레임(10)에 근접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빔(43)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H 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블록(45)은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빔(43)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빔(43)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접철식 리프트(41) 및 상기 유압실린더(42)에 의한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승강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블록(45)은 블록몸체(45a), 연결부(45c) 및 구름바퀴(4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블록몸체(45a)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몸체(45a)의 양측에는 상기 연결부(45c)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45c)를 통해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일측 상단에 볼트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45a)의 일측에는 상하로 한 쌍의 구름바퀴(45b)가 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름바퀴(45b)는 상하방향으로 놓인 H 빔 형태의 상기 승강가이드빔(43)의 홈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42)에 의해 상기 접철식 리프트(41)가 승강될 때 상기 구름바퀴(45b)가 상기 승강가이드빔(43)에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승강을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장치프레임(10)을 선재코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이동수단(50)은 이동레일(52), 지지플레이트(51) 및 구동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동레일(52)은 선재코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레일(52)상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가 이동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확대도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51) 상단에는 상기 구동부(53)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53)의 동력축은 동력전달체인(55)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51)의 하단에 배치되는 바퀴부재(54)의 회전축(54a)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퀴부재(54)는 지지베어링(56)의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51)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레일(52)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의 하단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바퀴부재(54)는 상기 회전축(54a)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상기 구동부(53)가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작동되면, 상기 구동부(53)의 동력축에 연결된 상기 동력전달체인(55)에 의해 상기 바퀴부재(54)의 회전축(54a)에 회전력이 전달되며, 상기 바퀴부재(54)가 상기 이동레일(52)상을 주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철식 리프트(41) 및 상기 승강가이드빔(4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방열수단(30)은 작업자가 선재코일의 시편을 채취하는 작업간에 선재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화상 등의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재코일의 고열을 차단토록 제공되는데, 이러한 상기 방열수단(30)은 고정방열판(31), 이동방열판(32) 및 지지빔(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고정방열판(31)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의 전면측, 즉 선재코일을 바라보는 측에 용접접합될 수 있으며, 원형 등의 선재코일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방열판(31)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의 이동에 따라 선재코일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빔(33)은 상기 고정방열판(31)의 양측단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베어링유닛(3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방열판(32)은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일측에 용접접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방열판(31)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방열판(32)의 형상은 상기 고정방열판(31)에 대응되되, 상기 고정방열판(31)보다는 약간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방열판(32)의 양측단에는 결합돌기가 외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빔(33)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방열판(32)의 이동을 안내토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베어링유닛(34)과 접촉되며 상기 이동방열판(32)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케 한다.
이때 상기 이동방열판(32)은 상기 장치프레임(10)에 결합되므로, 상기 승강수단(40)에 의해 상기 장치프레임(10)이 승강함에 따라 함께 상기 이동방열판(32)도 함께 상기 고정방열판(31)으로부터 승강되게 된다.
즉 작업자가 권취되는 직경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선재코일의 선택된 특정부위의 시편을 채취하고자 할 때, 상기 이동방열판(32)을 승강시키며 선재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작업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방열판(32)상에는 개구부(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36)상에는 복수개의 장막체인(3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막체인(35)은 상측이 상기 개구부(36) 상단에 용접접합될 수 있으며, 하측은 특별히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장막체인(35)은 상기 개구부(36)를 막아 상기 개구부(36)를 통해 선재코일의 열이 작업자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복수개의 철근고리의 연결체이므로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후크(21)를 이용하여 선재코일의 일부를 잡아 당길 때, 선재코일이 상기 개구부(36)를 통해 나오게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방열수단(3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51)에 인가되는 부하를 완화토록 제공되는 밸런스블록(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6b)에 의해 선재코일이 이송될 때, 작업자는 선재코일의 표면 품질을 검사하기 위해 선재코일의 시편을 채취토록 상기 제어부(C)를 통해 상기 구동부(53)를 작동시킨다.
상기 구동부(53)가 작동되면 상기 이동레일(52)을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51)가 선재코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방열판(31) 및 상기 이동방열판(32)이 선재코일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53)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선재코일의 선택된 특정부위의 시편, 주로 선재코일의 상단 끝단부 2~3링 정도를 채취하기 위해, 선재코일의 높이 대응하여 상기 승강수단(40)을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42)를 구동하여 상기 접철식 리프트(41)를 승강시켜 상기 장치프레임(10)상에 배치된 상기 채취수단(20)의 높이 및 상기 장치프레임(10)에 연결된 상기 이동방열판(32)상의 개구부(36)의 높이를 맞추도록 한다.
다음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C)를 통해 상기 호이스트(23)를 작동시켜 상기 후크(21)를 상기 개구부(36)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상기 후크(21)는 상기 개구부(36)를 통과하여 선재코일의 끝단부 2~3링 정도를 걸게 된다.
다시 작업자는 상기 호이스트(23)를 작동시켜 상기 후크(21)를 상기 개구부(36) 방향에서 후진시킨다. 선재코일의 일부는 상기 후크(21)에 의해 상기 개구부(36)를 통해 상기 장치프레임(10)의 상단으로 끌려 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장막체인(35)은 유동성이 있으므로 선재코일의 이동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선재코일의 일부가 끌려나오면, 작업자는 산소절단기를 통해 시편을 절단함으로써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원리를 통해 시편의 채취 과정에서 선재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자가 원하는 선재코일의 특정부위에 대한 시편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장치프레임 20...채취수단
21...후크 22...이동체인
23...호이스트 24...가이드리브
25...텐션릴 30...방열수단
31...고정방열판 32...이동방열판
33...지지빔 34...베어링유닛
35...장막체인 36...개구부
40...승강수단 41...접철식 리프트
42...유압실린더 43...승강가이드빔
45...승강블록 50...이동수단
51...지지플레이트 52...이동레일
53...구동부 54...바퀴부재
54a...회전축 55...동력전달체인
56...지지베어링 70...밸런스블록

Claims (7)

  1. 선재코일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
    선재코일의 일부를 채취토록, 상기 장치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채취수단; 및
    선재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토록, 상기 장치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방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채취수단은,
    선재코일의 일부를 채취토록 제공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선재코일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상기 후크와 이동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인을 작동시키는 호이스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수단은,
    상기 이동체인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장치프레임의 상단에서 선재코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리브; 및
    상기 호이스트에 의해 상기 이동체인이 후진될 때 상기 이동체인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상기 이동체인과 연결되며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는 텐션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선재코일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방열판;
    상기 고정방열판의 양측단에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어링유닛이 구비된 지지빔; 및
    상기 장치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빔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방열판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승강되도록 제공되는 이동방열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재코일상의 선택된 채취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채취수단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접철식 리프트; 및
    상기 접철식 리프트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에 근접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승강가이드빔;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빔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장치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토록 제공되는 승강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레임을 선재코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선재코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안착되는 바퀴부재를 구비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바퀴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접철식 리프트 및 상기 승강가이드빔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방열판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KR20130012989A 2013-02-05 2013-02-05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KR101482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2989A KR101482377B1 (ko) 2013-02-05 2013-02-05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2989A KR101482377B1 (ko) 2013-02-05 2013-02-05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128A KR20140100128A (ko) 2014-08-14
KR101482377B1 true KR101482377B1 (ko) 2015-01-13

Family

ID=5174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2989A KR101482377B1 (ko) 2013-02-05 2013-02-05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3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47U (ko) * 1999-04-27 2000-11-25 이구택 스트립형 코일의 방열겸용 검사장치
KR20040046780A (ko) * 2002-11-28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자동 채취 장치
KR20040056317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선단부용 결함 검사장치
KR20100107107A (ko) * 2009-03-25 2010-10-05 이윤성 리프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47U (ko) * 1999-04-27 2000-11-25 이구택 스트립형 코일의 방열겸용 검사장치
KR20040046780A (ko) * 2002-11-28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자동 채취 장치
KR20040056317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선단부용 결함 검사장치
KR20100107107A (ko) * 2009-03-25 2010-10-05 이윤성 리프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128A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790B1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KR101728739B1 (ko) 탱크 용접용 이동식 작업대
CN113978867B (zh) 电解铜钢带自动拆捆***
JP2009149422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交換装置および交換方法
KR101917433B1 (ko)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KR101482377B1 (ko) 선재코일의 시편 채취장치
KR101879063B1 (ko)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KR101746981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JP4159795B2 (ja) ロール交換方法
KR20010114078A (ko)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KR101504427B1 (ko) 연연속 접합기용 나이프 교체장치 및 방법
JP7004605B2 (ja) 鋼帯の表裏面検査装置、鋼帯の圧延設備および鋼帯の表裏面検査方法
JP2007076771A (ja) 昇降装置
KR100685019B1 (ko) 열연정정코일라인에서 강판불량부 처리 및 샘플채취장치
CN101024932B (zh) 钢轨对正装置
KR100514799B1 (ko) 냉연공정용 롤의 교체장치
KR101220780B1 (ko) 커버체 투입장치
CN111634629A (zh) 一种用于工字轮的运输小车及钢筋收线机
KR101018212B1 (ko) 권취된 선재코일 커버장치
KR101031078B1 (ko) 미니밀 열연코일의 불량처리장치
CN107282655B (zh) 易维修升降挡钢装置
KR200308404Y1 (ko) 열연 코일 정정라인의 코일 불량부 처리 및 샘플링 장치
KR20130023887A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구조체
KR101239455B1 (ko) 소둔롤 교체 장치
KR20000020464U (ko) 대경선재 권취용 리프팅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