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397B1 - Filt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Filtr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397B1
KR101479397B1 KR20130032057A KR20130032057A KR101479397B1 KR 101479397 B1 KR101479397 B1 KR 101479397B1 KR 20130032057 A KR20130032057 A KR 20130032057A KR 20130032057 A KR20130032057 A KR 20130032057A KR 101479397 B1 KR101479397 B1 KR 101479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shaft
filtration
auxiliary cylind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2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7100A (en
Inventor
김홍노
신희종
최순용
김용환
Original Assignee
김홍노
신희종
최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노, 신희종, 최순용 filed Critical 김홍노
Priority to KR2013003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397B1/en
Publication of KR2014011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1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3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로부터 이물질이 여과된 처리수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스트레이너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과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여과조(100); 상기 여과조(100)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측벽에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다수의 타공(201)이 형성된 스트레이너(200); 상기 여과조(1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실린더(310)의 로드(320)와 연결된 샤프트(340)를 직선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한 샤프트(34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0);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이격되어 그 사이로 유체의 흐름통로가 마련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통(500); 상기 다수의 타공(201)이 형성된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보조통(500)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소제하는 세척부재(600); 및 상기 샤프트(340)와 함께 승하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보조통(500) 사이의 일측 통로를 개폐하는 승하강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ration device capable of enhanc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treated water filtered from raw water and effectively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strainer.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comprises a filtration tank (100) for discharging treated water to which raw water flows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A strainer 200 spaced inwardly from an inner wall of the filtration tank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201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re formed on side walls into which raw water flows; A driving unit 300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shaft 340 connected to the rod 320 of the cylinder 310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A power transmission part 400 that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340 by driving the driving part 3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 auxiliary cylinder 500 spaced apart from the strainer 200 so as to provide a fluid flow path therebetween and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400; A cleaning member 600 attached to the slave cylinder 500 so as to contact the sidewalls of the strainer 200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pores 201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trainer 200; And an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700 which ascends and descends together with the shaft 340 to open and close one passag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Description

여과 장치{FILTRATION APPARATUS}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의 여과시에는 스트레이너를 통과하며 여과 처리되는 처리수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스트레이너의 세척시에는 스트레이너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filtration water to be passed through a strainer when filtration of foreign matter, and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strainer To a filtration device.

일반적으로 여과 장치의 운전은 여과공정과 세척공정으로 구분된다. 여과공정이란 부유물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원수(原水)를 여과 장치에 유입시켜 여과 장치의 여과층 내의 공극에 이물질을 억류·포획시키고,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여과공정을 계속하게 되면, 여과층 내의 공극은 점점 이물질로 채워지고 여과저항이 증가하여 더 이상 여과공정을 계속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때 깨끗한 세척수와 공기 등을 주입하여 공극에 포획된 이물질을 탈리시켜 배출하기 위한 세척공정이 필요하다.In general,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is divided into a filtration process and a cleaning process. The filtration process is a process for introducing raw water containing foreign matters such as floating matters into a filtration device, capturing foreign substances into the voids in the filtration layer of the filtration device, and discharging clean treated wate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When the filtration process is continued, the voids in the filtration layer are gradually filled with foreign substances and the filtration resistance is increased, so that the filtration process can no longer be continued. In this case, a cleaning process is required to remove cleaned water and air an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rapped in the pores.

한편, 배관에 장착되어 그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로부터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장치로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 이러한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는 배관의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형성된 케이싱 내에 타공 망을 원통형으로 형성한 스트레이너를 내장하고, 상기 배관의 유입구와 배출구 및 케이싱의 연결부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배관 내에서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면서 스트레이너에 의해 여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strainer device for piping is known as a device mounted on a pipe for filtering impurities from a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A conventional strainer device for piping has a strainer in which a perforated ne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a casing formed between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of a pipeline, and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of the pipeline is fastened by fastening means, Is filtered by the strainer without being leak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이너 장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스트레이너의 공극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어 유체의 흐름을 막게 되는데, 스트레이너의 청소를 위해서는 배관의 유입구와 배출구 및 케이싱의 연결부에 체결된 체결수단을 일일이 해체하고 세척작업 후에는 재조립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clean the strainer,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fastening means fastened to the inlet of the pipe, the outlet of the pipe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asing. And since it needs to be reassembled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스트레이너(스크린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 세척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87062호에는 도 1에 도시된 역세압 변동식 여과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As a prior art for eliminating such a problem and automatically cleaning foreign matter adhered to a strainer (screen filte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087062 discloses a backwash pressure filtration filtration system shown in Fig.

상기 역세압 변동식 여과시스템은, 오염수가 공급되는 유입경로(A), 유입경로(A)에 유입된 오염수가 스크린필터(S.F)에 여과되어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경로(B), 오염수의 여과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경로(C), 드레인경로(C)를 개폐하는 드레인밸브(11) 및 드레인밸브(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위치(12)를 가지는 스트레이너(10)와, 배출경로(B)에 배치되어 여과수를 배출하기 위한 여과펌프(20)와, 드레인경로(C)에 배치되어 드레인밸브(11)가 개방되면 오염물질을 드레인경로(C)를 통해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펌프(30), 및 드레인펌프(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드레인경로(C)의 흡입력을 높여 스크린필터(S.F)에 끼어있는 오염물질을 빼내기 위해서, 드레인밸브(11)가 개방된 후 드레인펌프(30)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드레인경로(C)를 차단하여 드레인경로(C)에 진공을 형성하였다가, 다시 드레인경로(C)를 개방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스위치(12)에 의해 작동하는 역세유로개폐밸브(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3은 압력계, 60은 체크밸브, 71은 챔버를 나타낸다.The backwash pressure variable filtration system includes an inflow path (A) through which polluted water is supplied, a discharge path (B) through which the pollu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path (A) is filtered by the screen filter (SF) to discharge the filtered water, A drain valve 11 for opening and closing a drain path C and a switch 12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ain valve 11, (10), a filtration pump (20) disposed in the discharge path (B)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and a drain pump (20) disposed in the drain path (C) And the drain valve 1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rain pump 30 in order to increase the suction force of the drain path C and to remove contaminants trapped in the screen filter SF. And the drain pump 30 is operated after the drain path C is opened, Closing valve (70) operated by the switch (12) so as to repeatedly perform the evacuating operation to open the drain path (C) again after forming a vacuum in the drain path (C) .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 pressure gauge, 60 denotes a check valve, and 71 denotes a chamber.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드레인경로(C)의 흡입 압력 및 압력 주기를 제어하여 스트레이너의 내부에 맥동을 줌으로써 스크린필터에 끼어있는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스트레이너의 공극에 이물질이 강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종래기술과 같이 드레인경로에 압력을 변동시키는 정도로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워 여과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uction pressure and the pressure cycle of the drain path (C) are controlled to provide pulsation to the inside of the strainer, so that contaminants trapped in the screen filter can be discharged. However, in the case where foreign substances are strongly adhered to the porosity of the strainer,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foreign matter as to change the pressure in the drain path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filtration efficiency.

따라서, 스트레이너에 부착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시켜 스트레이너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레이너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쓸어내어 탈리시킬 수 있는 브러쉬 소재의 세척장치를 스트레이너에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 경우 브러쉬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와 함께 장시간 사용시에는 브러쉬가 마모되어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장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mpletely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strainer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str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ainer is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of a brush material capable of sweeping away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strai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driving the brush becomes complicated and the brush is worn out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수로부터 이물질이 여과된 처리수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스트레이너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과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filtration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treated water filtered from raw water and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strainer, thereby improving filtration efficiency. It has its purpos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과 장치는, 원수가 유입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여과조(100); 상기 여과조(100)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측벽에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다수의 타공(201)이 형성된 스트레이너(200); 상기 여과조(1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실린더(310)의 로드(320)와 연결된 샤프트(340)를 직선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한 샤프트(34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0);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이격되어 그 사이로 유체의 흐름통로가 마련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통(500); 상기 다수의 타공(201)이 형성된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보조통(500)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소제하는 세척부재(600); 및 상기 샤프트(340)와 함께 승하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보조통(500) 사이의 일측 통로를 개폐하는 승하강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comprises: a filtration tank (100) for discharging treated water into which raw water flows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A strainer 200 spaced inwardly from an inner wall of the filtration tank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201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re formed on side walls into which raw water flows; A driving unit 300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shaft 340 connected to the rod 320 of the cylinder 310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A power transmission part 400 that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340 by driving the driving part 3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 auxiliary cylinder 500 spaced apart from the strainer 200 so as to provide a fluid flow path therebetween and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400; A cleaning member 600 attached to the slave cylinder 500 so as to contact the sidewalls of the strainer 200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pores 201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trainer 200; And an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700 which ascends and descends together with the shaft 340 to open and close one passag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이 경우 상기 샤프트(340) 외주면에는 나선홈(342)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나선홈(342)에 삽입되어 미끄럼운동하는 돌출부(412)가 몸체부(411)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4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하는 회전가이드부재(410)와, 상기 샤프트(340)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411)와 보조통(50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슬리브관(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spiral groove 34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340, and the protrusion 412 inserted into the helical groove 342 for sliding move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40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11 A rotation guide member 410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haft 340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340 and a rotation guide member 410 which is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340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dy portion 411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a sleeve pipe 420 to which both ends are fix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나선홈(342)은 상기 샤프트(340) 외주면의 대향된 위치에 대칭된 형상의 2중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부재(410)는 상기 2중의 나선홈(342)에 대응되도록 상기 샤프트(340) 양측의 대향된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helical groove 342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symmetrical to the opposite posi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340. The helical groove 342 corresponds to the double helical groove 342, And may be provided at opposite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shaft 34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여과조(100)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340)가 중앙부를 관통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타공(14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40)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샤프트(340)를 둘러싸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40)와, 상기 고정부재(440)와 슬리브관(420) 사이에 개재된 윤활수단(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upport plate 140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41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ltration tank 10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A fixing member 440 surrounding the shaft 340 and fixed to the support plate 140 and a lubricating means 450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member 440 and the sleeve pipe 420 have.

또한 상기 세척부재(600)는, 상기 보조통(50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브러쉬 장착부재(610)와, 상기 브러쉬 장착부재(6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을 소제하는 브러쉬(6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600 includes a brush mounting member 610 spaced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brush 620 mounted on the strainer 200 to clean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200.

또한 상기 보조통(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브러쉬 장착부재(610)의 반경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520)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520)의 둘레에는 상기 브러쉬 장착부재(610)를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0)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 guide pin 520 for guiding the radial movement of the brush mounting member 610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ylinder 500. The brush mounting member 610 is provided around the guide pin 520, And an elastic member 530 that urges the strainer 200 in a direction toward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200.

또한 상기 여과조(100)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340)가 중앙부를 관통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타공(14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40)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부재(7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340)에 고정되는 상판(710)과, 상기 상판(710)의 하면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를 상하로 관통하는 연결축(720)과, 상기 연결축(720)의 하단에 상면이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슬리브관(420)이 상하로 관통하는 하판(730), 및 상기 하판(730)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강 이동시에는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일단에 밀착되는 기밀부재(7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ration tank 1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140 through which the shaft 340 penetrates the center portion and has a plurality of pores 141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 top plate 7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40 and fixed to the shaft 340 and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710, A lower plate 73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haft 720 and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720 and having a sleeve pipe 420 vertically penetrating the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730, And may include a hermetic member 74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trainer 200 when it is moved.

또한 상기 원수의 여과시에는, 상기 승하강부재(700)가 하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보조통(600) 사이의 일측 통로를 차단하고,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세척시에는, 상기 승하강부재(700)가 승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보조통(600) 사이의 일측 통로를 개방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raw water is filtered,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700 is lowered to block one passag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600. When the strainer 200 is cleaned, The member 700 may be elevated to open one passag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600.

또한 상기 실린더(310)의 로드(320)에는 다수의 연결링크(321)가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연결링크(321)에는 다수의 여과조(100;100-1,100-2,100-3,100-4)로 각각 연장되는 다수의 샤프트(340)가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다수의 여과조(100;100-1,100-2,100-3,100-4)에서 여과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nection links 321 are radially coupled to the rod 320 of the cylinder 310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vessels 100-1, 100-2, 100-3, and 100-4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links 321, A plurality of shafts 340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filtration vessels 100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the filtration opera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by the plurality of filtration vessels 100-1, 100-2, 100-3, and 100-4 by a single driving unit 300 have.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 의하면, 여과조의 내부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다공관 구조의 스트레이너를 장착하고, 스트레이너의 내측에는 구동부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스트레이너의 측벽에 부착된 이물질을 소제하는 세척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처리수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iner having a multi-tubular structure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is installed inside the filtration tank, and a cleaning member, which is rotated inside the strainer in association with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The capacity of the treated water can be increased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된 샤프트의 상하 구동에 연동하여, 승하강부재가 상하로 구동되어 여과과정과 세척과정에서 유체의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세척부재가 장착되는 보조통이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체의 유로 형성 및 세척부재의 구동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Further, in conjunction with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shaft coupled to the rod of the cylinder,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is driven up and down to form a fluid passage in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cleaning process, and the sub- , The flow path of the fluid and the driving structure of the cleaning member can be simplified.

또한 브러쉬가 장착되는 브러쉬 장착부재가 스트레이너의 측벽을 향하여 탄성지지되도록 구성하여 브러쉬의 마모량을 자동으로 보상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 따른 브러쉬의 마모시에도 스트레이너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브러쉬의 마모량이 증가하여 교체를 요할 때까지 별도의 유지보수를 요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brush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brush is mounted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to automatically compensate the wear amount of the brush, the strainer can be smoothly cleaned even when the brush is worn for a long time, And maintenance is not required until replacement is required. Therefore, management of the apparatus becomes easy.

도 1은 종래 여과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샤프트의 확대도,
도 5는 샤프트와 승하강부재 및 지지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보조통과 세척부재 및 스트레이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원수의 여과시 동작 상태도,
도 8은 스트레이너의 세척시 동작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a) 평면도와 (b)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a) 평면도와 (b) 측면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iltration apparatus,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2,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haf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haft,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auxiliary passage cleaning member and the strainer,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raw water filtration,
Fig. 8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strainer during cleaning,
FIG. 9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of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샤프트의 확대도, 도 5는 샤프트와 승하강부재 및 지지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보조통과 세척부재 및 스트레이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auxiliary passage cleaning member and the strainer.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는, 원수가 유입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여과조(100); 상기 여과조(100)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측벽에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다수의 타공(201)이 형성된 스트레이너(200); 상기 여과조(1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실린더(310)의 로드(320)와 연결된 샤프트(340)를 직선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한 샤프트(34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0);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이격되어 그 사이로 유체의 흐름통로가 마련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통(500); 상기 다수의 타공(201)이 형성된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보조통(500)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소제하는 세척부재(600); 및 상기 샤프트(340)와 함께 승하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보조통(500) 사이의 일측 통로를 개폐하는 승하강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ration tank 100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A strainer 200 spaced inwardly from an inner wall of the filtration tank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201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re formed on side walls into which raw water flows; A driving unit 300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shaft 340 connected to the rod 320 of the cylinder 310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A power transmission part 400 that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340 by driving the driving part 3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 auxiliary cylinder 500 spaced apart from the strainer 200 so as to provide a fluid flow path therebetween and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400; A cleaning member 600 attached to the slave cylinder 500 so as to contact the sidewalls of the strainer 200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pores 201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trainer 200; And an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700 which ascends and descends together with the shaft 340 to open and close one passag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상기 여과조(100)는, 원통형의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부 덮개(120)와 하부 덮개(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는 이물질이 함유된 원수가 유입되거나, 스트레이너(200)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배관(101)이 연결되고, 상부 덮개(120)의 일측에는 원수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2배관(102)이 연결되며, 상부 덮개(120)의 타측에는 스트레이너(200)에서 탈리된 이물질과 함께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3배관(130)이 연결된다. 상기 제1배관(101)과 제2배관(102) 및 제3배관(103)에 연결되는 관로에는 각각 원수와 처리수 및 세척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미도시됨)와 유체를 압송하는 펌프(미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The filtration tank 100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110 and an upper cover 120 and a lower cover 130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110. A first pipe 10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10 to receive raw wate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r wash water for washing the strainer 200. The first pipe 10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lid 120, And the third pipe 130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lid 120 along with the foreign matters separated from the strainer 200. The third pipe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102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is removed. (Not shown) for controlling flow of raw water, process water and washing water, and a pump (not shown) for feeding the fluid by pressure, respectively, are connected to the first piping 101, the second piping 102 and the third piping 103, (Not shown) may be installed.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트레이너(200)는, 측벽에 다수의 타공(201)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하로 개통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트레이너(200)의 상단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트레이너 고정대(210)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스트레이너(200)의 하단은 스트레이너 고정판(220)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상단과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는 스트레이너 고정대(2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하로 유체의 소통이 가능하고,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하단과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는 상기 스트레이너 고정판(220)에 의해 막혀 상하로 유체의 소통이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2 and 6, the strainer 200 ha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201 formed on a side wall thereof,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 cylindrical shape vertically opened, and an upper end of the strainer 200 The lower end of the strainer 20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by a plurality of strainer fixing rods 210 radially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200 and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1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trainer fixing rods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strainer 200 and the housing 110, Is blocked by the strainer fixing plate (220) so that the communication of the fluid is blocked up and down.

또한,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과,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보조통(500) 사이의 공간은,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에 형성된 타공(201)에 의해 유체 소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물질을 함유한 원수는 상기 스트레이너(200)에 형성된 타공(201)을 통과하여 스트레이너(200)와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에 상측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A spac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 spac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are formed in the perforation 201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200 So that fluid communication is possible. Thus, the raw 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flows through the perforations 201 formed in the strainer 200,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housing 110, and flows to the upper side after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상기 구동부(300)와, 동력전달부(400), 보조통(500) 및 세척부재(600)는,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다. The driving unit 30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the cleaning member 600 are component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200.

상기 구동부(30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310)와, 상기 실린더(310)의 구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로드(320)가 상부 덮개(120)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310)의 로드(320)에 커플링(330)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여과조(100) 내부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샤프트(340)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300 includes a cylinder 310 driven by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and a rod 320 whose length is vari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driving the cylinder 310 to be fixed to the upper lid 120 And a shaft 340 coupled to the rod 320 of the cylinder 310 through a coupling 330 and vertical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terior of the filtration tank 100.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340)는, 원통형의 샤프트 몸체(341)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나선 방향을 따르는 나선홈(3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나선홈(342)은 샤프트 몸체(341) 외주면의 180°로 대향된 위치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1나선홈(342a)과 제2나선홈(342b)의 2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홈(342)은 샤프트(340)의 상하 운동에 연동하여 후술되는 동력전달부(400)의 회전가이드부재(410)가 회전 운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3 and 4, the shaft 3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helical groove 342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ylindrical shaft body 341 along a helical direction. The helical groove 342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of a first helical groove 342a and a second helical groove 342b in a shape symmetrical to a position oppos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body 341 at 180 °. The helical groove 342 serves to transmit power to rotate 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haft 340.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샤프트(340)의 상하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그 회전력을 보조통(500)과 이에 결합된 세척부재(6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나선홈(342)에 삽입되어 미끄럼운동하는 돌출부(412)가 몸체부(411)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4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하는 회전가이드부재(410)와, 상기 샤프트(340)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부재(410)의 몸체부(411)와 보조통(50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슬리브관(4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converts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haft 340 into rotational motion,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the cleaning member 600 coupled thereto A protrusion 412 which is inserted into the helical groove 342 and slidably moves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411 and rotatably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340. [ And a sleeve pipe 420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340 and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body portion 411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상기 회전가이드부재(410)는 상기 2중 구조로 형성된 나선홈(342;342a,342b)에 대응되도록 샤프트(340) 양측의 대향된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is provided at the opposite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shaft 340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lical grooves 342 (342a, 342b) formed in the double structure.

상기 슬리브관(420)은 체결수단(413)에 의해 회전가이드부재(410)의 몸체부(411)에 체결되고, 상기 슬리브관(420)의 하단부는 연결플레이트(430)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430)는 체결수단(431)에 의해 보조통(500)의 상단에 체결된다. 따라서, 샤프트(340)가 상하로 구동되면, 샤프트(340)의 나선홈(342)과 이에 삽입된 회전가이드부재(410)의 돌출부(412) 간의 상대운동에 의해 회전가이드부재(410)는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부재(410)의 회전운동시 이에 결합된 슬리브관(420)과 연결플레이트(430) 및 보조통(500)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The sleeve tube 420 is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411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by fastening means 413 and the lower end of the sleeve tube 420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plate 430, The plate 430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cylinder 500 by the fastening means 431. When the shaft 340 is driven up and down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elical groove 342 of the shaft 340 and the protrusion 412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inserted therein, And the sleeve tube 420 coupled to 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and the connection plate 430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are integrally rotated.

한편, 상기 여과조(10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부재(4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140)가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에는 상하방향으로의 유체 소통을 위한 다수의 타공(141)이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a support plate 140 for supporting 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is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upport plate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41 for fluid communication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의 중앙부에는 샤프트(340)가 상하로 관통되는 홀(142, 도 5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의 중앙부에는 회전가이드부재(410)와 슬리브관(4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슬리브관(420)과 윤활수단(450)을 매개로 연결되는 고정부재(44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440)는 체결수단(441)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40)에 체결되고, 상기 윤활수단(450)은 체결수단(451)에 의해 고정부재(440)와 슬리브관(420)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윤활수단(450)은 베어링 또는 부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샤프트(340)의 상하운동시, 회전가이드부재(410)와 슬리브관(420)은 윤활수단(450)의 윤활작용에 의해 회전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5)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40 so that the shaft 340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support plate 140. A rotation guide member 410 and a sleeve pipe 420 A fixing member 440 connected to the sleeve pipe 420 through the lubricating means 450 is coupled to the sleeve pipe 420. [ The fixing member 440 is fastened to the support plate 140 by fastening means 441 and the lubricating means 450 is fastene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440 and the sleeve pipe 420 by fastening means 451. [ . The lubricating means 450 may be a bearing or a bush. 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and the sleeve pipe 420 can be smoothly rotated without being subjected to rotational interference due to the lubricating action of the lubricating means 450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haft 340 .

상기 보조통(500)은, 스트레이너(2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스트레이너(200)와의 사이에 유체의 흐름통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세척부재(60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위한 구성으로, 원통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중앙부에는 샤프트(34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샤프트 이동홈(510)이 형성되어 있다. The auxiliary cylinder 500 is located inside the strainer 200 and forms a fluid flow path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strainer 200. The auxiliary cylinder 50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cleaning member 600, And a shaft moving groove 510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so that the shaft 340 can be moved up and dow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부재(600)는, 보조통(50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브러쉬 장착부재(610)와, 상기 브러쉬 장착부재(6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을 쓸어내어 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620)로 구성된다.6, the cleaning member 600 includes a brush mounting member 610 spaced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brush 620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trainer 200 to sweep sidewalls of the strainer 200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hereto.

상기 보조통(500)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장착부재(610)의 반경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핀(520)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520)의 둘레에는 브러쉬 장착부재(610)를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520)은 브러쉬 장착부재(610)에 형성된 관통홀(611)을 관통하고, 그 관통된 단부에는 핀 체결부재(521)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쉬 장착부재(610)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브러쉬 장착부재(610)의 외측면에 결합된 브러쉬(620)는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장시간 사용에 의해 브러쉬(620)가 마모되더라도 그 마모된 길이만큼 브러쉬 장착부재(610)가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브러쉬(620)가 교체를 요할 정도로 마모될 때까지는 별도로 관리하지 않더라도 브러쉬(620)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A guide pin 520 for guiding the radial movement of the brush mounting member 610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ylinder 500. A brush mounting member 610 is disposed around the guide pin 520, And an elastic member 530 for pressing the elastic member 530 in a direction toward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200. The guide pin 52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611 formed in the brush mounting member 610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through hole 611 by a pin fastening member 521. As the brush mounting member 610 is pressed toward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30, the brush 620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rush mounting member 610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200 And the brush mounting member 610 is pushed outward by the worn length even if the brush 620 is worn by the use for a long time. Therefore, until the brush 620 is worn enough to be replaced The brush 620 can exhibit its function even if it is not separately managed.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승하강부재(700)는, 샤프트(340) 상하 이동시 이와 함께 승하강되어 스트레이너(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함으로써 원수의 여과과정과 스트레이너(200)의 세척과정 시에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340)에 고정되는 상판(710)과, 상기 상판(710)의 하면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에 형성된 관통홀(143)을 상하로 관통하는 연결축(720)과, 상기 연결축(720)의 하단에 상면이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슬리브관(420)이 상하로 관통하는 하판(730), 및 상기 하판(730)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강 이동시에는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상단에 밀착되는 기밀부재(740)로 구성된다. 2 and 5,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700 is moved up and down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haft 34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ainer 200, An upper plate 7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40 and fixed to the shaft 340 and a lower plate 710 fixed to the upper plate 710, And a connecting shaft 720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3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40 and has an upper surfac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720. The sleeve pipe 420 And a hermetic member 740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30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200 when the lower plate 730 is moved downward.

원수의 여과시에는, 상기 승하강부재(700)가 하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상단과 보조통(600)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고,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세척시에는, 상기 승하강부재(700)가 승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상단과 보조통(600) 사이의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기밀부재(740)는 스트레이너(200)의 상단에 밀착시 그 틈 사이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그 재질은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raw water is filtered,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700 is lowered to block the passag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vat 600. When the strainer 200 is cleaned, So that the passag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600 is opened. The hermetic member 740 is configured to prevent leakage of fluid between the gaps when the hermetic member 7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200. The hermetic member 740 may be made of rubber or soft synthetic resin.

이하, 도 7과와 도 8을 참조하여 원수의 여과과정 및 스트레이너(200)의 세척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원수의 여과시 동작 상태도, 도 8은 스트레이너의 세척시 동작 상태도이다. 도 7과 도 8에서 화살표는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raw water and the washing process of the strain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raw water filtration, and Fig.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washing the strainer. In FIGS. 7 and 8, the arrows indicate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도 7을 참조하면, 원수의 여과시에는, 제1배관(101)에 연결된 원수 유입유로에 설치된 밸브와 제2배관(102)에 연결된 처리수 배출유로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하고, 제1배관(101)에 연결된 세척수 유입유로에 설치된 밸브와 제3배관(103)에 연결된 세척수 배출유로에 설치된 밸브를 차단한다. 7, when the raw water is filtered, the valve provided in the raw water in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101 and the valve provided in the process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102 are opened, and the first pipe 101 connected to the third pipe 103 and the valve provided in the wash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third pipe 103 are closed.

그리고, 구동부(300)를 구동시켜 샤프트(340)를 하향 이동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동력전달부(400)에 의해 샤프트(340)의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면서 보조통(500)과 세척부재(600)가 회전되어 스트레이너(200)의 내측면을 브러쉬(620)가 쓸고 지나가면서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에 형성된 타공(20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승하강부재(700)가 하향이동되어 스트레이너(200)의 상단에 승하강부재(700)의 기밀부재(740)가 밀착된다. When the driving unit 300 is driven to move the shaft 340 downward, the linear motion of the shaft 340 is converted into rotational motion by the power transmitting unit 400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300, The member 600 is rotated so that the brush 620 sweeps the inner surface of the strainer 200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perforation 201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200. At the same time, 700 are moved downward and the hermetic member 740 of the lifting member 7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200. [

제1배관(101)을 통하여 여과조(100)의 하부 내측으로 유입된 원수는, 보조통(500)의 외주면과 스트레이너(20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기밀부재(740)에 의해 차단된 공간으로는 흐르지 못하고, 상기 타공(201)을 통과하여 스트레이너(200)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며, 이 과정에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은 상기 타공(201)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때, 보조통(500)과 스트레이너(200) 및 기밀부재(740)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원수가 유입되면, 그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타공(201)을 통하여 스트레이너(200)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유체가 빠른 유속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유체의 여과 처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ration tank 100 through the first pipe 101 moves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rainer 200, And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iner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puncture hole 201. In this process, And is filtered by the perforation 201. At this time, when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auxiliary cylinder 500, the strainer 200 and the hermetic member 740, the pressure in the space rises, The fluid can flow at a high flow rate towar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ereby increasing the filtration capacity of the fluid.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지지플레이트(140)에 형성된 관통홀(141)을 통과한 후에 제2배관(102)을 통하여 이에 연결된 처리수 배출유로로 배출된다. 여과과정의 수행으로 스트레이너(200)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그 측벽에 형성된 타공(201)이 막히게 되면, 여과과정을 중단하고 스트레이너(200)의 세척과정이 수행된다.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iner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is moved upward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1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40, And is discharged 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channel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pipe. If the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strainer 200 by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perforation 201 formed on the side wall is clogged, the filtration process is stopped and the washing process of the strainer 200 is performed.

도 8을 참조하면, 스트레이너(200)의 세척시에는, 제1배관(101)에 연결된 원수 유입유로에 설치된 밸브와 제2배관(102)에 연결된 처리수 배출유로에 설치된 밸브를 차단하고, 제1배관(101)에 연결된 세척수 유입유로에 설치된 밸브와 제3배관(103)에 연결된 세척수 배출유로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하부 측면에 연결된 에어 주입구(111)를 통하여 여과조(10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8, when the strainer 200 is cleaned, the valves provided in the raw water in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101 and the valves provided in the process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102 are blocked, The valve provided in the washing water in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101 and the valve provided in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third pipe 103 are opened. In addition, air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ltration tank 100 through the air inlet 111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10.

그리고, 구동부(300)를 구동시켜 샤프트(340)를 상향 이동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동력전달부(400)에 의해 샤프트(340)의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면서 보조통(500)과 세척부재(600)가 회전되어 스트레이너(200)의 내측면을 브러쉬(620)가 쓸고 지나가면서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에 형성된 타공(20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승하강부재(700)가 상향이동되어 스트레이너(200)의 상단과 승하강부재(700)의 기밀부재(740)는 상하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When the driving unit 300 is driven to move the shaft 340 upwardly, the linear motion of the shaft 340 is converted into rotational motion by the power transmitting unit 400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300, The member 600 is rotated so that the brush 620 sweeps the inner surface of the strainer 200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perforation 201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200. At the same time, 700 are moved upwar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200 and the hermetic member 740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700 are spaced up and down to provide a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pass.

제1배관(101)을 통하여 여과조(100)의 하부 내측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보조통(500)의 외주면과 스트레이너(20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에, 그 중 일부의 세척수는 승하강부재(700)의 승강에 의해 개방된 스트레이너(200)의 상단과 보조통(5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향 이동되고, 나머지 세척수는 스트레이너(200)의 타공(201)을 통과하여 스트레이너(200)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로 유입된 후에 상향 이동되며, 지지플레이트(140)에 형성된 타공(141)을 통과한 후에 제3배관(102)을 통하여 이에 연결된 세척수 배출유로로 배출된다.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ration tank 100 through the first pipe 101 is moved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rainer 200, The remaining washing water is moved upwar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200 open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member 7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the remaining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perforation 201 of the strainer 200,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n flows upward through the perforations 141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40 and then through the third pipe 102 to the wash water discharge channel .

상기 세척과정의 수행시, 구동부(300)를 상반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스트레이너(200)의 내측면을 브러쉬(620)가 상반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쓸고 지나가게 되므로 이물질의 탈리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When the driving unit 300 is repeatedly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during the cleaning process, the inner surface of the strainer 200 is swept repeated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ushes 620 are opposite to each other, .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a) 평면도와 (b)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a) 평면도와 (b) 측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여과 장치가 하나의 여과조(100)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300)를 이용하여 다수의 여과조(100)에서 여과과정과 세척과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FIG. 9 is a plan view and (b) side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of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ltration apparatus is performed in one filtration tank 10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cleaning proces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plurality of filtration vessels 100 using one drive unit 300 . ≪ / RTI >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린더(310)의 로드(320)에는 다수의 연결링크(321)가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연결링크(321)에는 다수의 여과조(100;100-1,100-2,100-3,100-4)로 각각 연장되는 다수의 샤프트(340)가 연결되어, 하나의 실린더(310)에 의해 상기 다수의 여과조(100)에서 동시에 여과 및 세척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배관(101)과 제2배관(102)은 공용으로 사용되고, 각각의 여과조(100;100-1,100-2,100-3,100-4) 내부에 구비되는 기타의 구성은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nection links 321 are radially coupled to the rod 320 of the cylinder 310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vessels 100-1, 100-2, and 100- A plurality of shafts 340 extending to the plurality of filtration tanks 100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so that filtration and cleaning operation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plurality of filtration tanks 100 by one cylinder 310. In this case, the first piping 101 and the second piping 102 are used in common, and the other structures provided in the respective filtration tanks 100 (100-1, 100-2, 100-3, and 100-4)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principle can be applied.

도 9는 하나의 구동부(300)에 의해 4개의 여과조(100)가 구동되는 여과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여과 장치가 복수로 연결설치된 여과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9 shows an embodiment of a filtration apparatus in which four filtration vessels 100 are driven by one driving unit 300, and FIG. 10 shows an embodiment of a filtration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apparatuses shown in FIG.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부재(600)를 구비하여 처리수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척부재(60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300) 및 동력전달부(400)의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부재(600)의 브러쉬(620)가 전량 마모되어 교체할 때까지 별도의 유지보수를 요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member 600 for automatically cleaning the sidewalls of the strainer 200 is provided to increase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improve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the driving of the cleaning member 600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unit 300 and the power transmitting unit 400 for the cleaning member 600 and to prevent the brushes 620 of the cleaning member 600 from being worn ou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manage.

100 : 여과조 101 : 제1배관
102 : 제2배관 103 : 제3배관
110 : 하우징 111 : 에어 주입구
120 : 상부 덮개 130 : 하부 덮개
140 : 지지플레이트 141 : 타공
200 : 스트레이너 201 : 타공
210 : 스트레이너 고정대 220 : 스트레이너 고정판
230 : 상부 플레이트 240 : 하부 플레이트
300 : 구동부 310 : 실린더
320 : 로드 321 : 연결링크
330 : 커플링 340 : 샤프트
341 : 몸체 342 : 나선홈
400 : 동력전달부 410 : 회전가이드부재
411 : 몸체부 412 : 돌출부
420 : 슬리브관 430 : 연결플레이트
440 : 고정부재 450 : 윤활수단
500 : 보조통 510 : 샤프트 이동홈
520 : 가이드핀 530 : 탄성부재
600 : 세척부재 610 : 브러쉬
620 : 브러쉬 장착부재 700 : 승하강부재
710 : 상판 720 : 연결축
730 : 하판 740 : 기밀부재
100: Filtration tank 101: First piping
102: second piping 103: third piping
110: housing 111: air inlet
120: upper cover 130: lower cover
140: support plate 141: perforation
200: Strainer 201: Pore hole
210: strainer fixing table 220: strainer fixing plate
230: upper plate 240: lower plate
300: driving part 310: cylinder
320: Load 321: Link to Link
330: Coupling 340: Shaft
341: body 342: spiral groove
400: Power transmission unit 410: Rotation guide member
411: Body part 412:
420: Sleeve tube 430: Connecting plate
440: Fixing member 450: Lubricating means
500: auxiliary cylinder 510: shaft moving groove
520: guide pin 530: elastic member
600: cleaning member 610: brush
620: brush mounting member 700: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710: top plate 720: connecting shaft
730: lower plate 740: airtight member

Claims (9)

원수가 유입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여과조(100);
상기 여과조(100) 내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측벽에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다수의 타공(201)이 형성된 스트레이너(200);
상기 여과조(1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실린더(310)의 로드(320)와 연결된 샤프트(340)를 직선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한 샤프트(34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0);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이격되어 그 사이로 유체의 흐름통로가 마련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통(500);
상기 다수의 타공(201)이 형성된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보조통(500)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소제하는 세척부재(600); 및
상기 샤프트(340)와 함께 승하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보조통(500) 사이의 일측 통로를 개폐하는 승하강부재(700)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340) 외주면에는 나선홈(342)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나선홈(342)에 삽입되어 미끄럼운동하는 돌출부(412)가 몸체부(411)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4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하는 회전가이드부재(410)와, 상기 샤프트(340)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411)와 보조통(50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슬리브관(420)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
A filtration tank (100)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and the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A strainer 200 spaced inwardly from an inner wall of the filtration tank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201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 driving unit 300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shaft 340 connected to the rod 320 of the cylinder 310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A power transmission part 400 that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340 by driving the driving part 3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 auxiliary cylinder 500 spaced apart from the strainer 200 so as to provide a fluid flow path therebetween and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400;
A cleaning member 600 attached to the slave cylinder 500 so as to contact the sidewalls of the strainer 200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pores 201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trainer 200; And
And an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700) which ascends and descends together with the shaft (340) to open and close one passag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A spiral groove 34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34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includes a protrusion 412 which is inserted into the helical groove 342 and slidably moves to one side of the body 411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tion of the shaft 340 And a sleeve tube 420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340 and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body portion 411 and the auxiliary cylinder 5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홈(342)은 상기 샤프트(340) 외주면의 대향된 위치에 대칭된 형상의 2중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부재(410)는 상기 2중의 나선홈(342)에 대응되도록 상기 샤프트(340) 양측의 대향된 위치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lical groove 342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symmetrical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340 and the rotation guide member 410 is formed to have a double- (340) are provided at opposite positions on both sid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100)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340)가 중앙부를 관통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타공(14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40)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샤프트(340)를 둘러싸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40)와, 상기 고정부재(440)와 슬리브관(420) 사이에 개재된 윤활수단(4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ration tank 1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140 through which the shaft 340 penetrates and has a plurality of pores 141 through which fluids pas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includes a fixing member 440 surrounding the shaft 340 and fixed to the support plate 140, a lubrication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member 440 and the sleeve pipe 420, Further comprising means (4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600)는, 상기 보조통(50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브러쉬 장착부재(610)와, 상기 브러쉬 장착부재(6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을 소제하는 브러쉬(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member 600 includes a brush mounting member 610 spaced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brush (620) for cleaning the side wall of the strainer (20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통(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브러쉬 장착부재(610)의 반경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520)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520)의 둘레에는 상기 브러쉬 장착부재(610)를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guide pin 520 for guiding the radial movement of the brush mounting member 610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ylinder 500 and the brush mounting member 610 is provided around the guide pin 520 And an elastic member (530) for pressing the strainer (200) in a direction toward a side wall of the strainer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100)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340)가 중앙부를 관통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타공(14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40)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부재(7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340)에 고정되는 상판(710)과, 상기 상판(710)의 하면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를 상하로 관통하는 연결축(720)과, 상기 연결축(720)의 하단에 상면이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슬리브관(420)이 상하로 관통하는 하판(730), 및 상기 하판(730)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강 이동시에는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일단에 밀착되는 기밀부재(740)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ration tank 1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140 through which the shaft 340 penetrates and has a plurality of pores 141 through which fluids pas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700 includes an upper plate 710 spaced upward from the support plate 140 and fixed to the shaft 340 and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710, A lower plate 730 having an upper surfac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shaft 720 and a sleeve pipe 420 vertically penetrat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plate 73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hermetic member (740)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trainer (730) and closely attached to one end of the strainer (200) when the hull is move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여과시에는, 상기 승하강부재(700)가 하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보조통(600) 사이의 일측 통로를 차단하고,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세척시에는, 상기 승하강부재(700)가 승강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보조통(600) 사이의 일측 통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raw water is filtered,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700 is lowered to block one passag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600,
Wherein the lifting member (700) is lifted and lowered to open one side passage between the strainer (200) and the auxiliary cylinder (600) when the strainer (200) is clea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10)의 로드(320)에는 다수의 연결링크(321)가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연결링크(321)에는 다수의 여과조(100;100-1,100-2,100-3,100-4)로 각각 연장되는 다수의 샤프트(340)가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다수의 여과조(100;100-1,100-2,100-3,100-4)에서 여과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onnection links 321 are radially coupled to the rod 320 of the cylinder 310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vessels 100-1, 100-2, 100-3, and 100-4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links 321 And a plurality of shafts (340) extending respectively from the plurality of shafts (340) ar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100-1, 100-2, 100-3, 100-4) Device.


KR20130032057A 2013-03-26 2013-03-26 Filtration apparatus KR101479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2057A KR101479397B1 (en) 2013-03-26 2013-03-26 Filtr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2057A KR101479397B1 (en) 2013-03-26 2013-03-26 Filtr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00A KR20140117100A (en) 2014-10-07
KR101479397B1 true KR101479397B1 (en) 2015-01-05

Family

ID=5199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2057A KR101479397B1 (en) 2013-03-26 2013-03-26 Filtr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3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6099A (en) * 2018-01-09 2018-06-19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ater quality detects solid and liquid impurities sepa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75B1 (en) * 2014-12-30 2015-07-14 윤미자 Filtration tube cleaning device
CN106178670A (en) * 2016-07-30 2016-12-07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A kind of terrier wash machine sewage by suspended dirt automatic separation system
CN106110747B (en) * 2016-07-30 2018-12-04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A kind of terrier wash machine sewage by suspended dirt automatic separation system
CN106178625B (en) * 2016-07-30 2018-03-30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A kind of terrier wash machine sewage by suspended dirt automatic separation system
CN109205979A (en) * 2018-10-31 2019-01-15 徐荣霞 A kind of anti-blocking three-level formula septic tank of stirred type
CN110980924A (en) * 2019-12-16 2020-04-10 张修赞 Electrode cleaning device for treating chemical sewage by electrolysis method
CN111282331A (en) * 2020-03-06 2020-06-16 盐城苏科智能科技有限公司 A sewage filters auxiliary devic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188B1 (en) 2001-03-22 2003-07-10 동양수처리공업주식회사 fluid passage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filtering apparatus
KR100841773B1 (en) * 2007-05-16 2008-06-27 주식회사 포스코 Filtering apparatus capable of discharging sludge
KR20090031231A (en)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피에조닉스 Scrubber using mesh filter and apparatus for exhaust gas treatment in semiconductor fabr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120114791A (en) * 2011-04-08 2012-10-17 (주)신일에이스 Self cleaning str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188B1 (en) 2001-03-22 2003-07-10 동양수처리공업주식회사 fluid passage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filtering apparatus
KR100841773B1 (en) * 2007-05-16 2008-06-27 주식회사 포스코 Filtering apparatus capable of discharging sludge
KR20090031231A (en)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피에조닉스 Scrubber using mesh filter and apparatus for exhaust gas treatment in semiconductor fabr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120114791A (en) * 2011-04-08 2012-10-17 (주)신일에이스 Self cleaning str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6099A (en) * 2018-01-09 2018-06-19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ater quality detects solid and liquid impurities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00A (en)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397B1 (en) Filtration apparatus
KR101447815B1 (en) Filtration apparatus
KR900005520B1 (en) Self - cleaning fluid filter
KR102156817B1 (en) Filter element and filtration device
CN109589670B (en) Automatic net cleaning device for sewage filtration
WO2010098790A1 (en) Double standing valve sucker rod pump
CN105126414B (en) Centrifugal automatically cleaning filter
KR101509234B1 (en) Strainer filter assembly
KR101211369B1 (en) Floating type fiber filter apparatus
US20240133111A1 (en) Microplastic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KR20120114791A (en) Self cleaning strainer
KR101513346B1 (en) Filtration apparatus
JP4606116B2 (en) Filtration device
JP2017006876A (en) Filter device and filter cleaning method of filter device
FI108000B (en) filter equipment
KR20120101987A (en) Filtration device for compressive fiber
KR101619727B1 (en) A Pressure Pre-Coat Filter Apparatus
KR101681070B1 (en) Drain device for washstand
JP2018149485A (en) Spring type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KR100503029B1 (en) A filtering apparatus for liquid
CN220910570U (en) Novel integrated pressure reducing valve assembly structure
KR20170035474A (en) Filtering device
JP6928635B2 (en) Filtration device and filter cleaning method for filtration device
CN206063904U (en) Drawing fabric filter
EP3406325A1 (en) Filter assembly with filler 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