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330B1 -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 Google Patents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330B1
KR101477330B1 KR1020110050381A KR20110050381A KR101477330B1 KR 101477330 B1 KR101477330 B1 KR 101477330B1 KR 1020110050381 A KR1020110050381 A KR 1020110050381A KR 20110050381 A KR20110050381 A KR 20110050381A KR 101477330 B1 KR101477330 B1 KR 10147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fixed
frame
bracke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896A (ko
Inventor
연 태 최
Original Assignee
(주) 대 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 홍 filed Critical (주) 대 홍
Priority to KR102011005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33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05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balanced jib, e.g. pantograph arrangement, the jib being moved manu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Jib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제목]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구성] 차량의 차대(1)에 설치되며 조작장치(2a)를 가지는 유압발생장치(2)와;
상기 유압발생장치(2)의 상면에 조립되며 유압발생장치(2)의 작동에 의해 선회를 할 수 있는 직립형의 지지대(3)와;
상기 지지대(3)의 상측에 조립되는 제3 고정핀(8)에 의해 가장 큰 직경의 붐의 하단부가 고정되며, 가장 작은 직경의 붐에는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를 삽입시키기 위한 구멍(a1)이 형성되어 있는 다단식의 제1 붐대(A)와;
상기 제1 붐대(A)의 가장 큰 직경의 붐의 저면에 고정된 제4 브라키트(7)와 유압발생장치(2)의 제3 브라키트(4) 사이에 조립되어 제1 붐대(A)를 수직으로 직립시키거나 차대 위로 안착시키는 제1 붐대 직립용 유압실린더(B)와;
상기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의 붐에 조립되는 제5 고정핀(14)을 지지기 위한 제1 브라키트(10)와,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브라키트(11)가 판체(9)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 1연결대(D)와;
상기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의 붐 내부에 제4 고정핀(16)을 통해 소형 유압실린더(12)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피스톤로드(13)는 상기 제1 연결대(D)의 제2 브라키트(11)와 제6 고정핀(15)을 통해 고정되는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와;
상기 제1 연결대(D)의 상면에 장치되며 제2 연결대(G)를 선회시키기 위한 선 회장치(F)와;
상기 선회장치(F)의 상면에 조립되며 제2 붐대(C)를 장착시키기 위한 제2 연결대(G)와;
상기 제2 연결대(G)에 장착시켜 제1 너트(29)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1 볼트(28)가 가장 큰 직경의 붐의 좌우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된 다단식의 제2 붐대(C)와;
상기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의 붐의 끝에 장치되는 통상의 작업용 버킷(6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110050381
이동식 크레인

Description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Vertical and horizontal type Hydro-crane}
도 1은 본 발명의 차대에 제1 붐대만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대에 제1 붐대와 제2 붐대, 제2 작업용 버킷 등 전체 구성품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붐대에 제1 연결대, 제2 연결대, 선회장치,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좌측면 대칭형임).
도 4는 도 3에서 우측 끝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제1 붐대가 직립된 상태에서 제2 붐대가 수평으로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도 5를 기준한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붐대에 제2 작업용 버킷과 작업용 버킷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좌측면 대칭형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와이어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도 8에서 제2 와이어 지지장치를 위로 접어 올린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작업용 버킷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을 기준한 우측면도(좌측면 대칭형임).
도 12는 본 발명의 붐에 덧댐판이 고정된 상태를 일부분만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덧댐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 도 16, 도 17은 본 발명의 사용 요령을 일예로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은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전신주에 전기선 설치 및 각종 보수작업, 터널 천장부 보수작업, 터널 천장부 램프 교체 작업, 빌딩의 외벽이나 유리창 세척작업, 고소(高所) 간판설치 및 제거작업, 기타 고소(高所)작업을 할 때 기존의 크레인을 겸한 고소작업차 또는 일반 크레인을 통해 작업을 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능률이 탁월하게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며 사용성이 뛰어나고 안전하며 작업자가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따른 제1 붐대(A)가 수직 또는 경사가 지도록 할 수 있고, 제1 붐대(A)에 조립되는 제1 연결대(D)와 선회장치(F) 그리고 제2 연결대(G)에서 제2 연결대(G)에 조립되는 제2 붐대(C)를 수평상에서 또는 경사가 진 상태에서 선회도 시킬 수 있으며, 제2 붐대(C)는 수평이나 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하로 위치이동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제2 붐대(C)가 수평 또는 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제2 붐대(C)만이 수평 또는 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선회장치(F)를 통해 선회를 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제2 작업용 버킷(600) 외에 별도로 제1 작업용 버킷(500)을 제2 붐대(C)에 조립하여 많은 작업자가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서 유압식 지지다리(700)를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즉,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폭 넓은 작업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붐대(A)만을 사용하면 낮은 높이에서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으며 제2 붐대(C)를 제1 붐대(A)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제1 붐대(A)와 함께 제2 붐대(C)를 이용하여 높은 높이에서 경량물을 인양하여 내리거나 지상의 경량물을 높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용도로도 훌륭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신주에 전기선 설치 및 각종 보수작업, 터널 천장부 보수작업, 터널 천장부 램프 교체작업, 빌딩의 외벽이나 유리창 세척작업, 고소(高所) 간판설치 및 제거작업, 기타 고소(高所)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공중에 머무는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사용되는 현존의 수단은 이동이 가능한 차량에 탑재된 크레인인 바, 이를 고소작업차 또는 고소작업용 크레인이라 칭하고 있다.
상기의 고소작업차 또는 고소작업용 크레인은, 1단 굴절 또는 2단 내지 3단 굴절이 되는 붐대를 가지며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1단 붐은 선회를 할 수 있고 가장 끝에 위치하는 붐에는 본 발명과 유사하거나 기타 공지의 구조로 된 작업용 버킷(본 발명의 제2 작업용 버킷에 해당)이 장치되어 있다.
이를 살피면, 공고번호 실1997-0002906호는, 크레인을 겸한 절연 고소작업차에 대한 것으로, 차대에 회전 가능한 붐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붐 지지대에 1개 의 삽입·인출식 붐대를 장치하였으며, 상기 붐대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에는 작업용 버킷이 장치되고 동시에 본 발명의 제1 와이어 지지장치(200)와 같은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물건을 인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물건을 인양할 수 있으면서 붐대 끝에 장치된 작업용 버킷에 작업자가 타고 고소작업을 할 수는 있으나 작업용 버킷을 높이 올리기 위해서는 붐을 최대한으로 연장시켜야 하고 이때, 붐대는 경사가 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그리고 통상적인 작업용 버킷에는 작업자가 2인 정도는 탑승할 수는 있으나 2인이 탑승하였을 경우 서로 부딪히게 되고 공구를 사용하기가 거추장스럽고 불편하여 보통 작업용 버킷에는 1인의 작업자만이 탑승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저조하게 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의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추가되어야 할 경우에는 2대의 고소작업차를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3대의 고소작업차를 동원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이고 비합리적인 폐단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함께 작업용 버킷을 상승시켜서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에는 붐을 더욱 세워서 작업용 버킷이 작업장소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격시킨 다음 붐을 더욱 연장시켜서 작업용 버킷이 위치하여야 할 장소로 접근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 작업용 버킷에 타고 있는 작업자와 지상에서 유압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자 사이에 의사소통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만 작업용 버킷을 상승시켜서 정확한 위치에 머물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인데, 이러한 작업이 결코 한 번 만에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압장치를 여러 번 조작하여야 하는 예가 속출하게 되어 작업시간이 더욱 길어지고 작업자들은 스트레스를 더 받게 되며 작업효율도 더욱 저조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2대 또는 3대의 고소작업차를 동원하여 작업을 할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화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그리고 작업용 버킷을 하강시켜서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에도 붐대의 길이를 단축시킨 후 붐대의 각도를 더욱 낮추고 다시 붐을 연장하여 작업용 버킷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불편하고 비합리적인 유압장치 조작의 수순을 따라야 하고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와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용 버킷의 상승위치변화 또는 하강위치변화 또는 작업용 버킷을 수평으로 위치변화를 시켜야 할 경우에는 붐을 선회시켜서 작업용 버킷을 작업장소로부터 이격시킨 후 붐을 더욱 연장시키거나 단축을 시켜야 하는데, 붐은 무한정 연장을 할 수가 없으므로 일단 붐을 최대한으로 단축시킨 다음 차량 자체를 이동시키고 이어서 다시 붐을 연장시켜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고, 이러한 과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붐을 단축시키지 않고 본 발명과 유사한 유압식 지지다리(700)의 받침쇠만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킨 후 차량을 이동시키는 위험을 감수하기도 한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작업효율이 저조해지고 붐을 단축시키지 않고 차량을 이동시킬 때 작업용 버킷은 흔들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작업용 버킷에 탑승하고 있는 작업자는 스트레스를 더 받게 되고 차량 운전자가 자칫 실수라도 하면 작업용 버킷에 타고 있던 작업자가 추락하는 중대한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한 다.
다음, 실용신안등록 제20-0212537호는, 고소작업차에 대한 것으로 차대에 회전 가능한 붐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붐 지지대에 3단 굴절식 붐대를 장치하였으며, 가장 끝 쪽의 붐 끝에는 작업용 버킷이 장치되어 있는 고소작업 전용 크레인인데, 이는 앞서 제시한 선행기술에 비하여 3단 굴절식 붐을 채택하고 있어 보다 높은 위치로 작업용 버킷을 상승시킬 수는 있으나 작업용 버킷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때 그리고 작업용 버킷을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시킬 때 앞서 제시한 선행기술에 비하여 작업용 버킷이 더욱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더욱 크고, 3단 굴절식 붐은 상술한 1개의 붐 타입에 비하여 유압장치를 조작하기가 더욱 어렵고 까다로우며 시간 또한 더욱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용 버킷의 수평이동을 위하여 차량을 이동시켜야 할 경우에는 작업용 버킷의 위치가 높기 때문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하므로 반드시 3단 굴절식 붐을 충분히 단축시킴과 동시에 안전하게 접어서 작업용 버킷을 최대한 지면에 가깝게 하강시킨 다음 차량을 이동시킨 후 차량을 정지시키고 붐대를 연장시키면서 펼쳐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더욱 연장되고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대두된다. 따라서 2번째의 선행기술은 1번째의 선행기술에 비하여 작업용 버킷이 더욱 높이 올라 갈 수 있는 장점을 제외하고는 이렇다 할 특징이 없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3번째 붐은 본 발명의 제2 붐대(C)와 같이 수평이 되도 록 할 수는 있겠으나 이러할 경우 작업용 버킷의 위치는 크게 낮아지게 되는 구조적인 단점으로 인하여 3번째의 붐을 수평으로 유지할 이유가 없는 것이고, 설사 3번째의 붐을 수평으로 유지시킨다고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장치를 어렵게 조작하여 붐의 각도변화와 위치변화를 모색하지 않고서는 작업용 버킷이 수직으로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진보된 기술과는 거리가 멀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시한 2종류의 선행기술 이외에도 현존하는 고소작업차 또는 고소작업용 크레인은 상술한 2가지의 선행기술과 구조가 거의 동일하고 작용과 효과도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의 선행기술은 제시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고소작업차는, 붐대가 하나인 경우는 물론 다단식 붐대의 구조라 할지라도 구조적으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본 발명과 대비하자면 제1 붐대(A)에 해당] 붐이 수직으로 직립되지 못하고 경사를 이루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이 수평을 이루는 제2 붐대(C)의 구조를 채택하지 못하고 있고, 본 발명과 같이 수평을 이루는 제2 붐대(C)에 다수의 작업자가 탑승하여 다양한 작업을 여유롭게 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관계로 본 발명에 비하여 작업속도 및 작업성, 작업효율적인 면에서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낙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에도 큰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고소작업차 또는 고소작업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작 업을 함에 따른 다수의 문제와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의 고소작업차 등에서는 구사할 수 없었던 작업을 할 수 있는 진보되고 신규한 기술이 적용된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부품을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것은 극히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으며, 볼트 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품을 조립하는 것 또한 공지의 수단이므로 도면에서 생략한 부분이 있음을 밝힌다.
이와 함께 제2 작업용 버킷(600)의 구조 및 기술, 제2 작업용 버킷(600)의 각도 조절 및 회전 기술도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으며, 유압발생장치(2)와 조작장치(2a), 붐대의 구조 및 작동 기술도 공지의 구조 및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하고, 지지대(3)의 선회 기술 및 구조도 공지의 것이며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 유압실린더도 공지의 것이고, 모터(20)에 전기를 공급하는 수단도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차대(1)에 설치되며 조작장치(2a)를 가지는 유압발생장치(2)와;
상기 유압발생장치(2)의 상면에 조립되며 유압발생장치(2)의 작동에 의해 선회를 할 수 있는 직립 지지대(3)와;
상기 직립 지지대(3)의 상측에 조립되는 제3 고정핀(8)에 의해 가장 큰 직경의 붐의 하단부가 고정되며, 가장 작은 직경의 붐에는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를 삽입시키기 위한 구멍(a1)이 형성되어 있는 다단식의 제1 붐대(A)와;
상기 제1 붐대(A)의 가장 큰 직경의 붐의 저면에 고정된 제4 브라키트(7)와 유압발생장치(2)의 제3 브라키트(4) 사이에 조립되어 제1 붐대(A)를 수직으로 직립시키거나 차대 위로 안착시키는 제1 붐대 직립용 유압실린더(B)와;
상기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의 붐에 조립되는 제5 고정핀(14)을 지지기 위한 제1 브라키트(10)와,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브라키트(11)가 판체(9)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 1연결대(D)와;
상기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의 붐 내부에 제4 고정핀(16)을 통해 소형 유압실린더(12)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피스톤로드(13)는 상기 제1 연결대(D)의 제2 브라키트(11)와 제6 고정핀(15)을 통해 고정되는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와;
상기 제1 연결대(D)의 상면에 장치되며 제1 연결대(D)의 판체(9) 위에 볼트로 고정되는 베어링(17)과, 상기 베어링(17)과 조립되어 회전하며 외면의 가장자리로 워엄기어(19)가 고정된 관체(18)와, 상기 워엄기어(19)와 맞물리는 워엄(21)이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판체(9) 위에 볼트로 고정되는 모터(20)로 되어, 제2 연결대(G)를 선회시키기 위한 선회장치(F)와;
상기 선회장치(F)의 상면에 조립되며 제2 붐대(C)를 장착시키기 위한 제2 연결대(G)와;
상기 제2 연결대(G)에 장착시켜 제1 너트(29)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1 볼트(28)가 가장 큰 직경의 붐의 좌우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끝에는 제2 작업용 버킷(600)이 장치된 다단식의 제2 붐대(C)와;
직사각형의 골조(505)와, 상기 골조(505)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하고 사방으로 고정되는 메시(506)와, 상기 골조(505)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밑판(501)과, 상기 밑판(501)의 길이방향 저면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며 제2 붐대(C)의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붐의 좌우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된 제2 볼트(30)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 홈(503)이 형성된 버팀대(502)와, 상기 밑판(501)과 버팀대(502)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보강대(504)로 된 제1 작업용 버킷(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제2 연결대(G)는,
상기 선회장치(F)의 관체(18) 상면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윗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보강쇠(25)와,
상기 보강쇠(25)와 용접으로 고정되며 좌우의 세로 면에는 제2 붐대(C)의 제1 볼트(28)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 홈(24)이 형성된 "U" 자 형태의 지지대(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제2 붐대(C)의 끝에는,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 부분에 고정된 힌지(304)와 힌지 핀(305)에 의해 조립되며,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 부분 하단부에 형성된 제1 구멍(306)과 같은 크기를 가지는 제2 구멍(308)이 형성된 제2 돌출쇠(301)와,
제2 돌출쇠(301)에 제3 지지축(303)을 통해 조립되는 제3 시이브(302)와,
제2 돌출쇠(301)의 제2 구멍(308)과 상술한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에 형성된 제1 구멍(306)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제2 돌출쇠(301)가 힌지 핀(305)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치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지지핀(307)으로 구성된 제2 와이어 지지장치(300)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제1 붐대(A)와 제2 붐대(C)의 각 붐의 끝 부분 안쪽 상하에는, 붐들이 연장되고 원위치를 반복할 때 붐의 표면과 안쪽 면이 직접 접촉이 되어 마모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덧댐판(100)이 추가로 용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사용요령을 살핀다.
먼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붐대(A)가 수직으로 직립될 수 있고, 제2 붐대(C)는 제1 붐대(A)와 직각을 유지한 채 수평상태를 유지하거나 경사가 진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으며, 제1 붐대(A)와 제2 붐대(C)는 제 2 연결대(G)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될 수 있고, 제1 붐대(A)와 제2 붐대(C)는 모두가 수평상으로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선회를 할 수도 있고, 제1 붐대(A)는 고정이 된 채 제2 붐대(C)만 수평상으로 회전을 할 수도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차량의 차대(1)에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만이 장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차대(1)에 조작장치(2a)를 가지는 유압발생장치(2)가 조립되고 상기 유압발생장치(2)의 위에는 지지대(3)가 조립되어 선회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3)에는 제3 고정핀(8)을 통해 제1 붐대(A)의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붐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붐대(A)는 제1 붐대 직립용 유압실린더(B)에 의해 직립되거나 또는 경사가 지게 상승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붐대 직립용 유압실린더(B)는 다단식의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에는 도면과 같이 제5 고정핀(14)에 의해 제1 연결대(D)의 제1 브라키트(10)가 조립이 되고, 역시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위쪽에는(도 4, 도 5를 기준) 구멍(a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a1) 안으로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의 소형 유압실린더(26)가 삽입되고 제4 고정핀(16)에 의해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대에 고정이 된다.
여기서 소형 유압실린더(26)는 다단식의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이때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의 피스톤로드(13)는 제1 연결대(D)의 제2 브 라키트(11)에 연결되고 제6 고정핀(15)에 의해 고정이 된다.
그리고 제1 연결대(D)의 상면에는 선회장치(F)가 조립되는데, 상기 선회장치(F)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20)의 작동에 의해 워엄(21)이 회전하면 워엄(21)과 맞물려 있는 워엄기어(19)가 회전하며, 워엄기어(19)는 관체(18)에 고정이 되어 있고, 관체(18)는 베어링(17)과 조립이 되어 있다.
따라서 선회장치(F)의 관체(18)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2 연결대(G)는 예로써,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제2 붐대(C)를 고정시킨 채 제1 붐대(A)와는 무관하게 제2 붐대(C) 만을 수평상으로 회전을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은 상태는 고소작업을 하기 위한 상황이 아니고 중량물의 인양용으로 준비된 상태에 해당이 된다.
다음, 도 2를 살펴보면, 도 1의 상태에서 제2 연결대(G)에 제2 붐대(C)가 조립되어 있으며 제2 붐대(C)의 위에는 제1 작업용 버킷(500)이 조립되어 있고,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에는 통상의 제2 제2 작업용 버킷(600)이 조립되어 있으며, 제2 붐대(C)의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붐의 좌우 측면에는 도 2와 도 5, 도 7 등과 같이 제1 볼트(28)와 제2 볼트(30)가 각각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볼트(28)는 제2 연결대(G)의 지지대(23)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 홈(24) 안으로 삽입이 되고 이때 제1 너트(29)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제2 볼트(30)는 제1 작업용 버킷(500)의 버팀대(502)에 형성된 절개 홈(503) 안으로 삽입이 되고 이때 제2 너트(31)를 이용하여 고정을 시킬 수 있는 것인 바,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는 도 2와 같으며 이러한 상태는 도 15, 도 16, 도 17과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중량물을 인양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면 도 15, 도 16, 도 17과 같은 고소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본 발명의 안출목적은 종래의 수단에 비하여 동시에 많은 인원의 작업자가(예: 4인 내지 5인)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며 효율적으로 신속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이후 고소작업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붐대(A)를 직립시키고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를 작동시켜 제1 연결대(D)와 제2 연결대(G)를 수평이 되도록 함에 따라 제2 연결대(G)에 조립되어 있는 제2 붐대(C)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인데, 제2 붐대(C)의 붐은 연장시키지 않고 붐이 모두 삽입이 된 기본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제2 붐대(C)의 위에는 제1 작업용 버킷(500)과 제2 작업용 버킷(600)이 구비되기 때문에 4인 내지 5인 정도의 작업자가 동시에 다양한 작업(예: 터널 등 보수 및 교체, 터널 천장 청소 등) 또는 동일한 작업을 폭 넓게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제1 붐대(A)의 붐들을 연장시키면 제2 붐대(C)는 물론 제2 붐대(C)에 조립되어 있는 제2 작업용 버킷(600)과 제1 작업용 버킷(500)도 수직으로 상승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는 종래의 고소작업차 등에서는 구사할 수 없는 독특한 것인데, 제1 붐대(A)가 수직을 유지한 채 안정되게 직립이 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가장 안전하게 작업자의 수직 위치를 간단히 변경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5의 상태에서 제2 붐대(C)의 붐을 연장시키면 도 16과 같이 제1 작업용 버킷(500)의 위치는 고정된 채 제2 작업용 버킷(600)만이 제1 작업용 버킷(5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을 이동시키거나 제1 붐대(A)를 조작하지 않고도 제2 작업용 버킷(600)은 수평상에서 위치이동이 얼마든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 바, 이 역시 종래의 고소작업차 등에서는 구사할 수 없는 기술에 해당된다.
물론 도 17과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붐대(A)를 경사지게 하고 제2 붐대(C)를 수평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며,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를 조작하면 도 16의 상태에서 제2 붐대(C)가 경사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 부분 아래쪽에는 도 4 와 같이 제1 와이어 지지장치(200)를 구비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돌출쇠(205)의 안쪽으로 제1 시이브(201)와 제2 시이브(203)가 각각 제1 지지축(202)과 제2 지지축(204)에 의해 지지된 채 회전토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 16과 같은 상태에서는 고소작업을 함과 아울러 제1 붐대(A)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인양할 수도 있고, 또한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 부분 아래쪽에도 도 8, 도 9 와 같이 제2 와이어 지지장치(300)를 구비시켜서 제2 붐대(C)를 통해 고소작업과 아울러 중량물의 물건을 인양할 수 있는 것인 바, 상기 제2 와이어 지지장치(300)는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 부분 하방에 힌지(304)를 고정시키고 힌지 핀(305)을 이용하여 제2 돌출쇠(301)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2 돌출쇠(301)에는 제3 지지축(303)으로 제3 시이브(302)를 조립시키고,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 부분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구멍(306)과 제2 돌출쇠(301)에 형성된 제2 구멍(308)의 중심을 맞추고 지지핀(307)을 삽입시키면 도 8과 같이 물건을 인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1 붐대(A)의 붐이 연장될 경우 제2 와이어 지지장치(200)가 방해가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때에는, 지지핀(307)을 뽑은 다음 제2 돌출쇠(301)를 위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9와 같이 힌지 핀(305)의 중심을 기준하여 제2 돌출쇠(301)와 제3 시이브(302), 제3 지지축(303)의 무게중심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 경사면에 얹히기 때문에 스스로는 도 8과 같이 복귀될 수는 없다.
따라서 제2 와이어 지지장치(300)는 필요에 따라 도 8과 도 9와 같은 상태로 위치변화를 시켜서 가장 효율적인 작업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도 12,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붐대(A)와 제2 붐대(C)의 각 붐들의 끝 부분 안쪽이면서 상하에는 도 14와 같은 덧댐판(100)을 용접으로 고정을 시켜서, 붐들이 연장되고 원위치를 반복하는 작업을 할 때 붐들의 표면과 안쪽 면이 직접 접촉이 되어 마모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와이어 지지장치(200)에는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한 후크(400)가 구비되는데, 제2 와이어 지지장치(300)에도 와이어를 걸고 경량물을 인양할 때 후크가 구비되어야 함은 당연한 이치이고, 제2 와이어 지지장치(300)에는 물건 인양용 와이어를 필요에 따라 걸거나 제거를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고소작업차 또는 고소작업용 크레인에 비하여 신규하고 진보된 구조를 가지는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소작업차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비합리적이고 비경제적인 작업 방법, 불편한 작업성, 저조한 작업능률, 저급한 안전성, 매우 좁은 작업범위 등의 문제와 단점, 폐단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차량의 차대(1)에 설치되며 조작장치(2a)를 가지는 유압발생장치(2)와;
    상기 유압발생장치(2)의 상면에 조립되며 유압발생장치(2)의 작동에 의해 선회를 할 수 있는 직립 지지대(3)와;
    상기 직립 지지대(3)의 상측에 조립되는 제3 고정핀(8)에 의해 가장 큰 직경의 붐의 하단부가 고정되며, 가장 작은 직경의 붐에는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를 삽입시키기 위한 구멍(a1)이 형성되어 있는 다단식의 제1 붐대(A)와;
    상기 제1 붐대(A)의 가장 큰 직경의 붐의 저면에 고정된 제4 브라키트(7)와 유압발생장치(2)의 제3 브라키트(4) 사이에 조립되어 제1 붐대(A)를 수직으로 직립시키거나 차대 위로 안착시키는 제1 붐대 직립용 유압실린더(B)와;
    상기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의 붐에 조립되는 제5 고정핀(14)을 지지기 위한 제1 브라키트(10)와,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브라키트(11)가 판체(9)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 1연결대(D)와;
    상기 제1 붐대(A)의 가장 작은 직경의 붐 내부에 제4 고정핀(16)을 통해 소형 유압실린더(12)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피스톤로드(13)는 상기 제1 연결대(D)의 제2 브라키트(11)와 제6 고정핀(15)을 통해 고정되는 제2 붐대 각도조절장치(E)와;
    상기 제1 연결대(D)의 상면에 장치되며 제1 연결대(D)의 판체(9) 위에 볼트로 고정되는 베어링(17)과, 상기 베어링(17)과 조립되어 회전하며 외면의 가장자리로 워엄기어(19)가 고정된 관체(18)와, 상기 워엄기어(19)와 맞물리는 워엄(21)이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판체(9) 위에 볼트로 고정되는 모터(20)로 되어, 제2 연결대(G)를 선회시키기 위한 선회장치(F)와;
    상기 선회장치(F)의 상면에 조립되며 제2 붐대(C)를 장착시키기 위한 제2 연결대(G)와;
    상기 제2 연결대(G)에 장착시켜 제1 너트(29)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1 볼트(28)가 가장 큰 직경의 붐의 좌우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끝에는 제2 작업용 버킷(600)이 장치된 다단식의 제2 붐대(C)와;
    직사각형의 골조(505)와, 상기 골조(505)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하고 사방으로 고정되는 메시(506)와, 상기 골조(505)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밑판(501)과, 상기 밑판(501)의 길이방향 저면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며 제2 붐대(C)의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붐의 좌우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된 제2 볼트(30)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 홈(503)이 형성된 버팀대(502)와, 상기 밑판(501)과 버팀대(502)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보강대(504)로 된 제1 작업용 버킷(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제2 연결대(G)는,
    상기 선회장치(F)의 관체(18) 상면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윗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보강쇠(25)와,
    상기 보강쇠(25)와 용접으로 고정되며 좌우의 세로 면에는 제2 붐대(C)의 제1 볼트(28)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 홈(24)이 형성된 "U" 자 형태의 지지대(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제2 붐대(C)의 끝에는,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 부분에 고정된 힌지(304)와 힌지 핀(305)에 의해 조립되며,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의 끝 부분 하단부에 형성된 제1 구멍(306)과 같은 크기를 가지는 제2 구멍(308)이 형성된 제2 돌출쇠(301)와,
    제2 돌출쇠(301)에 제3 지지축(303)을 통해 조립되는 제3 시이브(302)와,
    제2 돌출쇠(301)의 제2 구멍(308)과 상술한 제2 붐대(C)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붐에 형성된 제1 구멍(306)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제2 돌출쇠(301)가 힌지 핀(305)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치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지지핀(307)으로 구성된 제2 와이어 지지장치(300)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붐대(A)와 제2 붐대(C)의 각 붐의 끝 부분 안쪽 상하에는, 붐들이 연장되고 원위치를 반복할 때 붐의 표면과 안쪽 면이 직접 접촉이 되어 마모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덧댐판(100)이 추가로 용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KR1020110050381A 2011-05-25 2011-05-25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KR10147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81A KR101477330B1 (ko) 2011-05-25 2011-05-25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81A KR101477330B1 (ko) 2011-05-25 2011-05-25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896A KR20120131896A (ko) 2012-12-05
KR101477330B1 true KR101477330B1 (ko) 2014-12-30

Family

ID=4751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381A KR101477330B1 (ko) 2011-05-25 2011-05-25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0193A (zh) * 2015-09-15 2015-11-18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货架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264B1 (ko) * 2013-01-23 2014-09-02 손세정 이동식 건물 외벽 청소기
KR101305297B1 (ko) * 2013-05-29 2013-09-06 주식회사 현대유압 선박 하역 지시를 위한 캐빈 리프트
KR102087969B1 (ko) * 2019-06-17 2020-03-11 주식회사 인스코엔지니어링 직선 및 곡선구간에 대한 강관압입과 방수철판의 설치가 용이한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공법.
KR102079903B1 (ko) * 2019-09-26 2020-04-07 주식회사 합동종합건설 개선된 수중교각 청소장치
KR102426475B1 (ko) * 2022-01-27 2022-07-28 고관석 고압을 다루는 절연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7800A (en) * 1987-07-10 1989-01-20 Tokyu Car Corp Bench for height service car
JPH0554488U (ja) * 1992-01-07 1993-07-20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装柱補助装置
JPH1160177A (ja) * 1997-08-26 1999-03-02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高所作業車
JP2003128392A (ja) * 2001-10-30 2003-05-08 Aichi Corp 高所作業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7800A (en) * 1987-07-10 1989-01-20 Tokyu Car Corp Bench for height service car
JPH0554488U (ja) * 1992-01-07 1993-07-20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装柱補助装置
JPH1160177A (ja) * 1997-08-26 1999-03-02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高所作業車
JP2003128392A (ja) * 2001-10-30 2003-05-08 Aichi Corp 高所作業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0193A (zh) * 2015-09-15 2015-11-18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货架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896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330B1 (ko)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CN107215827B (zh) 隧道检查作业装置
CN106629481A (zh) 液压修井井口升降台及其使用方法
CN109441361A (zh) 一种桩架及其立桅方法
CN116085022A (zh) 牵引装置以及牵引***
KR101922047B1 (ko) 크레인 브레싱 해체 장치
CN206693595U (zh) 一种建筑用脚手架车
CN205500643U (zh) 便携式管道设备安装吊机
CN107487723B (zh) 一种变电检修用起重装置
CN105600686A (zh) 便携式移动起重架
CN109083425A (zh) 一种装配式墙体安装设备
CN210858221U (zh) 一种自动安全栏杆装置
CN104417499B (zh) 用于拆装非贯通断开式车桥的支承装置
CN107724700A (zh) 一种变电站用升降式遮拦
JP2002097819A (ja) 送電鉄塔の組立て方法および送電鉄塔組立て装置
KR20120021341A (ko) 수직?수평 붐대 구성의 이동식 유압크레인
CN106761872B (zh) 一种可升降、折叠、伸展的机载超前支护装置
KR101006401B1 (ko) 갱폼 인양장치
CN217051420U (zh) 一种消防通风管道施工用提升装置
CN214666424U (zh) 一种便于移动的隧道***装药平台
CN113998633B (zh) 基于举升车的型材举升方法
CN218324961U (zh) 一种用于溜井井壁垮塌修复的钢筒吊挂支架
CN108316631A (zh) 临时爬架***
CN216613815U (zh) 一种tyd安装用扒杆装置
CN220118080U (zh) 一种游车大钩及吊环偏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325

Effective date: 2014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