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860B1 - 타일 부착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타일 부착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860B1
KR101472860B1 KR1020140071931A KR20140071931A KR101472860B1 KR 101472860 B1 KR101472860 B1 KR 101472860B1 KR 1020140071931 A KR1020140071931 A KR 1020140071931A KR 20140071931 A KR20140071931 A KR 20140071931A KR 101472860 B1 KR101472860 B1 KR 10147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wall
protruding
protru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케이
Priority to KR102014007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 부착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일을 건축물 외벽에 빠르고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는 건축물의 벽체에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타일 부착용 고정구로서,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홀을 구비하는 판상의 타일 접합부; 및 일단에 장홀에 삽입 체결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벽체에 지지되는 판상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타일 접합부에 삽입 체결후 돌출되는 돌출 영역을 형성하고, 돌출 영역에 판상의 타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는 타일의 파손을 방지하고 손쉽고 단단하게 고정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일 부착용 고정구{Fixing apparatus for tile}
본 발명은 타일 부착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일을 건축물 외벽에 빠르고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천연대리석 타일이나 천연대리석 슬래브, 인조대리석 타일, 소성 또는 성형 등의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건축물의 내외부 마감재로 사용되는 각종 타일 등의 마감판재는 특유의 질감과 광택, 미감에 대한 선호에 의해 오랜 역사를 가지고 건축물의 장식, 예술품 등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일을 건축물의 마감재로 벽 등에 부착하는 방법은 건식방법과 습식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습식방법은 모르타르나 에폭시 등을 사용하여 벽체 또는 바닥에 직접 부착하는 시공법으로 얇게 가공한 천연석판재 또는 인조 대리석, 소성 및 성형 타일 등 마감재의 두께가 얇은 판재를 사용하는 실내 마감인 경우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습식시공은 시멘트 모르타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벽체나 바닥에 시공하기 때문에 마감거리(벽체와 마감재 외 표면까지 거리)가 짧아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지진 등의 발생시 안전성이 약하고, 에폭시 등의 접착제는 포름알데히드 등 새집증후군 원인물질을 발생하여 거주 환경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모르타르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 중 얼룩 등 백화 현상이 발생하여 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시공하면 해체가 어렵고, 파손을 전제로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건식방법은 앵글, 패스너(fastner) 등을 이용하여 마감재를 벽체에 간접 고정하는 방법으로 세라믹 타일 등과 같이 어느 정도 두께가 있는 경우나 외벽 마감과 같이 마감거리의 제한을 덜 받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건식 부착 공법은 한국 등록실용신안(제20-0378283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일의 테두리 면이나 타일의 후면에 타공을 해야 한다. 따라서 타공 위치가 잘못되면 타일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며, 타일은 충격이나 진동에 민감하므로 타공시 타일의 타공 부위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실용공보 제20-037828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타일의 파손을 방지하고 손쉽고 단단하게 고정하며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는 건축물의 벽체에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타일 부착용 고정구로서,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홀을 구비하는 판상의 타일 접합부; 및 일단에 장홀에 삽입 체결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벽체에 지지되는 판상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타일 접합부에 삽입 체결후 돌출되는 돌출 영역을 형성하고, 돌출 영역에 판상의 타일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돌출 영역은 타일 두께의 0.7 ~ 0.85 비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는 돌출부를 장홀에 삽입시, 타일 접합부의 일면과 접하는 지지부의 옆면은 지지부의 하방향 처짐을 방지하도록 타일 접합부 일면에 끼움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는 돌출부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지지부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각각 타일 접합부의 일측면과 지지부의 일측면이 연결되어 타일 접합부와 지지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한쌍의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지지부는 벽체에서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롯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일의 파손을 방지하고 손쉽고, 타일을 단단하게 고정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연결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가 건축물 외벽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타일 두께에 대한 돌출부의 길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는 벽체에 타일을 부착하기 위해 벽체에 고정되며(도 4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접합부(100) 및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일 접합부(100)는 타일의 일면을 고정시켜 타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판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벽체(W)와 평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타일 접합부(100)는 일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홀(110)을 구비한다. 장홀(110)은 후술하는 돌출부(2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돌출부(2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돌출부(210)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일 접합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접합부(100) 사각형의 판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었으나, 타일 접합부(100)의 판면은 타일을 지지할 수 있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일 접합부(100)의 모서리부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타일 접합부(100)의 모서리부는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
타일 접합부(100)는 부식에 저항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타일 접합부(100)가 부식이 우려가 있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경우 방식 재료를 이용하여 타일 접합부(100)의 표면을 방식 처리하여 부식 저항성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지지부(200)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벽체에 고정되어 하중을 벽체에 전달시키기 위해 일단에 타일 접합부(100)의 장홀(110)에 삽입하기 위한 돌출부(210)와 벽체와 연결되는 슬롯 홀(230)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0)는 판면에서 지지부(200)의 길이(y축 방향)보다 좁고, 지지부(210)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장홀(110)의 삽입 방향(x축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돌출부(210)의 길이(y축 방향)는 장홀(110)의 길이(y축 방향)와 대응되며, 돌출부(210)의 폭(z축 방향)은 장홀(110)의 폭(z축 방향)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00)의 길이(y축 방향)는 타일 접합부(100)의 길이(y축 방향)와 동일하게 형성되었으나, 지지부(200)의 길이(y축 방향)과 타일 접합부(100)의 길이(y축 방향)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210)는 장홀(110)에 삽입 체결되며, 돌출부(210)의 모서리부는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부가 둥글게 형성되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돌출부(210)의 모서리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200)의 재질은 타일 접합부(100)의 재질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접합부(100)의 일면에 지지부(200)가 수직으로 교차하여 결합되어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는 서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타일 접합부(100)의 장홀(110)에 지지부(200) 판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삽입 체결되어 돌출 영역(220)이 형성되어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를 서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돌출 영역(220)은 타일 접합부(100)의 두께만큼 감소된 크기로 형성되며, 타일을 고정 지지하여 타일이 하방향(z축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접합부(100) 판면과 지지부(200)가 수직으로 교차하여 결합되므로 지지부(200)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돌출부(210)는 타일 접합부(100)의 장홀(110)에 지지부(200) 판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삽입 체결되어 돌출 영역(220)을 형성한다. 돌출 영역(220)은 타일 접합부(100)의 두께만큼 감소된 크기로 형성되며, 돌출 영역(220)에 타일이 고정 지지되어 하방향(z축 방향)으로 타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00)의 판면에는 돌출부(210)의 삽입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롯홀(230)을 구비할 수 있다. 슬롯 홀(230)은 벽체(W) 면에 연결된 앵글(50)로부터 간격을 조정하여 벽체(W)의 외면으로부터 설치되는 세라믹 타일(1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슬롯 홀(230)은 돌출부(210)의 삽입방향과 직각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슬롯 홀(230)이 돌출부(210)의 삽입방향과 직각방향(y축 방향)으로 형성되면, 벽체(W)에 설치된 앵커볼트(40)의 위치에 따라서 지지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앵커볼트(40)를 벽체(W)에 재천공하지 않고 지지부(200)를 앵커볼트(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연결부 상세도이다.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만나면서 타일이 지지되지 않는 내측면은 용접 접합에 의해서 접합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접합부(130)는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의 재질 특성에 따라 알곤 용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접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타일 접합부(100)와 돌출부(210)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면서 타일이 지지되는 외측면은 접합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면에 접합부가 형성되지 않으면, 타일 접합부(100)와 돌출부(210)가 직교하여 형성된 영역에 타일을 완전히 밀착하여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를 장홀에 삽입 시에 타일 접합부(100)의 일면과 접하는 지지부(200)의 옆면은 타일 접합부(100)의 일면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200)가 접촉하는 타일 접합부(100)에는 오목부(140)가 형성되고, 타일 접합부(100)와 접촉하는 지지부(200)의 일단은 볼록부(240)가 형성되어, 오목부(140)에 볼록부(240)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삽입되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의 전단 저항 성능이 증대되어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가 수직으로 만나는 상, 하면 중 일면에만 접합부를 형성하여도 전단 저항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어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부(200)의 하방향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가 건축물 외벽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를 이용하여 타일 부착용 고정구를 벽체(W)에 고정 설치하고 타일(10)을 부착하여 벽체(W)의 외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 및 타일의 설치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부(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앵커(40)를 이용하여 연결부(30)를 벽체(W)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0)는 ㄱ 형 앵글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지지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지지부(200)에 형성된 슬롯 홀(230)과 연결부(30)에 형성된 구멍을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때, 지지부(200)의 슬롯 홀(230)은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벽체(W)의 외면으로부터 타일(10)의 설치 위치(x축 방향)를 조정하여, 전기시설 등의 공간이 필요한 경우 간격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타일 접합부(100)의 타일 접합면과 돌출부(210)의 상면 및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타일(10)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에폭시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였으나 타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의 접착제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일(10)이 고정 부착되면, 돌출부(210)를 중심으로 돌출 영역(220)의 상 하면에 설치된 타일로 인해 형성된 일정 크기의 공간을 채움재를 이용하여 마감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채움재는 좁은 공간을 메우기에 용이하고, 표면 마감이 미려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채움재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타일 두께에 대한 돌출부의 길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돌출 영역(220)의 상면에는 판상의 타일이 배치된다(도 4 참조). 돌출부(210)의 말단은 타일의 외면으로부터 벽체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돌출부(210)의 무게중심은 타일(10)의 무게 중심(W)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타일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축물 외벽용 장식재료의 타일 두께(t)는 10mm ~ 20mm가 사용될 수 있다. 타일의 두께가 10mm인 경우, 타일 두께(t)의 무게중심은 t/2에 해당하는 5mm가 된다. 이때, 돌출부(210)의 돌출 영역(220)이 5mm로 형성되며, 타일의 무게중심과 일치하기 때문에 타일이 전도되어 타일이 하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어 보행자나 하방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10)의 말단은 타일(10)의 무게중심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 영역(220)이 타일(10)의 두께와 일치하게 되면 안정성은 증가할 수 있지만, 돌출부(210)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불량해진다. 노출된 돌출부(210)의 말단은 방수제 등을 이용하여 돌출부(210)의 두께보다 두껍게 도포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돌출 영역(220)의 최적길이를 도출하기 위하여 타일 두께에 대한 돌출 영역(220)의 길이를 변화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타일 두께 10mm, 15mm 및 20mm에 대한 돌출 영역(220)의 변화에 따른 침투량의 변화를 검토하였으나 타일 두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x축은 타일 외면으로부터 돌출부의 말단까지의 거리(단위; mm)를 나타내며, y축은 외벽에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침투량(단위: mg)으로서, 타일 외벽에서 타일과 타일 사이를 메우는 마감부의 틈을 따라 침투되는 수분의 침투량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영역(220)이 타일(10) 외면으로부터 3mm 이격되어 형성되었을 때에 침투되는 양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돌출 영역(220)이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타일의 끝단과 돌출 영역(220)의 끝단이 거의 같아지게 되어 마감부(20)의 채움 영역이 작아지게 되어 침투 저항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돌출 영역(220)이 짧아지게 되면, 타일과 돌출 영역(220)에 형성된 마감부(20)의 공극을 완전히 채우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침투 저항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10)는 타일 두께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타일(t)두께가 10mm 일 때는 돌출 영역(220)의 돌출길이가 7mm로서, 타일(t) 두께 대비 0.7 비로 돌출될 수 있다. 타일(t)두께가 15mm 일 때는 돌출 영역(220)의 돌출길이가 12mm로서, 타일(t) 두께 대비 0.8 비로 돌출될 수 있다. 타일(t)두께가 20mm 일 때는 돌출 영역(210)의 돌출길이가 17mm로서, 타일(t) 두께 대비 0.85 비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험은 10mm ~ 20mm의 타일 두께 중 선택적으로 실험한 결과로서, 10mm ~ 20mm의 타일 두께 범위 내에서 선형 보간하여 돌출 영역(220)의 크기 조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돌출 영역이(220)이 타일 두께에 따라 0.7 ~ 0.85 비로 돌출 형성되면, 돌출 영역이(220)의 말단이 타일(10)이 무게중심보다 앞에 있어 타일이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벽체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콘크리트 등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 부착용 고정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접합부(100), 지지부(200) 및 보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타일 접합부(100) 및 지지부(200)는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보강부(300)는 돌출부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지지부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보강부(300)는 타일 접합부(100)의 일측면과 지지부(200)의 일측면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300)는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여 타일 접합부(100)와 지지부(20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300)는 지지부(200)가 타일 접합부(200)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상측에만 결합되었으나 보강재(300)의 보강위치와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타일 접합부 110: 장홀
200: 지지부 210: 돌출부
220: 돌출영역 230: 슬롯 홀
300: 보강부

Claims (5)

  1. 건축물의 벽체에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타일 부착용 고정구로서,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홀을 구비하는 판상의 타일 접합부; 및
    일단에 상기 장홀에 삽입 체결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벽체에 지지되는 판상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타일 접합부에 삽입 체결후 돌출되는 돌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 영역에 판상의 타일이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를 상기 장홀에 삽입시,
    상기 타일 접합부의 일면과 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옆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
    방향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일 접합부 일면에 끼움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타일 두께의 0.7 ~ 0.85 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각각 상기 타일 접합부의 일측면과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이 연결되어 상기 타일 접합부와 지지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한쌍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벽체에서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롯 홀을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타일 부착용 고정구.
KR1020140071931A 2014-06-13 2014-06-13 타일 부착용 고정구 KR101472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931A KR101472860B1 (ko) 2014-06-13 2014-06-13 타일 부착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931A KR101472860B1 (ko) 2014-06-13 2014-06-13 타일 부착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860B1 true KR101472860B1 (ko) 2014-12-16

Family

ID=5267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931A KR101472860B1 (ko) 2014-06-13 2014-06-13 타일 부착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438A (ko) 2020-02-17 2021-08-25 국토건설(주)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60Y1 (ko) 2000-01-26 2000-06-15 조쌍길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KR100805215B1 (ko) 2007-09-07 2008-02-20 대보하우징 주식회사 건물외벽용 패널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87700B1 (ko) 2010-03-17 2010-10-13 광스틸 주식회사 건물의 외장재와 외단열재 동시 시공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60Y1 (ko) 2000-01-26 2000-06-15 조쌍길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KR100805215B1 (ko) 2007-09-07 2008-02-20 대보하우징 주식회사 건물외벽용 패널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87700B1 (ko) 2010-03-17 2010-10-13 광스틸 주식회사 건물의 외장재와 외단열재 동시 시공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438A (ko) 2020-02-17 2021-08-25 국토건설(주)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CA2844459C (en) Laser configured column anchors and ancho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
KR101664354B1 (ko) 외장용 패널 고정장치
KR101472860B1 (ko) 타일 부착용 고정구
KR100901005B1 (ko)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JPH0452367A (ja) タイル、壁材の張付け工法
WO2007069826A1 (en) Coupling device for anchoring construction material onto the ceiling
JP5635749B2 (ja) Alc部材及びalc部材への取付構造
KR20140141072A (ko) 외장단열패널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외벽체 시공구조물
KR2020002563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20160129694A (ko) 경량기포콘크리트패널(에이엘씨(alc)패널) 외벽체 및 이 외벽체의 시공방법
US10196824B2 (en) Lining board, lining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ning board
KR101768683B1 (ko) 건축용 외장재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시공방법
KR102011301B1 (ko) 날개빔 트러스를 이용한 친환경 벽체와 앵글
KR20200088728A (ko) 벽돌 판넬 조립체
KR100584513B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200225504Y1 (ko) 몰탈미장을 위한 건물벽체용 판넬
CN113323195B (zh) 连接件、alc安装节点结构及施工方法
KR102373376B1 (ko) 건축물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JP2010275694A (ja) コンクリート系パネルの取付構造
JP6043072B2 (ja) 耐震断熱改修構造
KR100562172B1 (ko) 건축물의 내벽 마감방법 및 그 구조
JP5312259B2 (ja) 建物のコーナー部構造
KR20240016061A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