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796B1 -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796B1
KR101468796B1 KR1020130024483A KR20130024483A KR101468796B1 KR 101468796 B1 KR101468796 B1 KR 101468796B1 KR 1020130024483 A KR1020130024483 A KR 1020130024483A KR 20130024483 A KR20130024483 A KR 20130024483A KR 101468796 B1 KR101468796 B1 KR 101468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
liposome
weight
polym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329A (ko
Inventor
김대덕
알렉스
송충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79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층 프로리포솜은 기존의 프로리포솜에 비해 지질층 중 생리활성성분의 함유량을 크게 증가시킬 뿐 아니라, 생리활성성분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주며, 장관내 흡수를 증진시키며, 사용된 고분자 특성에 따라 생리활성성분의 방출속도, 방출량 및 방출장소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프로리포솜의 제조에 사용되는 당류의 양을 줄여서 다층 코팅을 함으로써 난용성 약물의 방출속도와 방출량을 높이면서도 부형제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다층 프로리포솜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층 프로리포솜은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화장품 또는 식품첨가제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Multiple layer proliposom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로리포솜의 제조에 사용되는 당류의 양을 줄여서 다층 코팅을 함으로써 난용성 약물의 방출속도와 방출량을 높이면서도 부형제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포솜은 인지질로 구성된 이중막 구조를 지니는 소포체로써 친수성 및 소수성 물질을 모두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며 세포막의 이중층 지지막과 유사한 구조를 지니고 있어 세포 내 물질 전달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리포솜은 봉입된 물질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흡수를 증가시키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약물전달체, 화장품제제 그리고 식품 첨가물에서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리포솜이 수용액상에 존재할 때 응집현상, 융합현상에 의해 입자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또한 인지질의 가수분해와 반감기 감소 등의 영향으로 안정성이 떨어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처 방안으로 동결건조를 통하여 리포솜 수용액상의 물을 제거할 수 있지만 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상업적으로 스케일 업해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리포솜의 수용액상에서 지닐 수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프로리포솜이 대두되었다 [Proliposomes: a novel solution to an old problem,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1986, 75, 325-239]. 프로리포솜은 당류에 인지질 용액을 코팅하는 방법으로 회전증발 응축기 또는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프로리포솜은 사용 전에 즉시 수화하여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수용액 리포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집이나 융합과 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업이 쉬워 상업적으로 접근이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리포솜은 당류에 코팅할 수 있는 인지질의 양이 매우 제한적 예를들어, 5% 미만이므로, 인지질과 함께 당류에 코팅된 생리활성성분의 양도 매우 적었다. 따라서, 프로리포솜 제형은 생리활성성분 양의 10배 이상의 부형제 즉, 당류를 함께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생리활성성분의 함량을 높여서 부형제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2996호에 프로리포솜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을지라도, 단층 프로리포솜을 개시할 뿐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리활성성분에 비해 90% 이상의 당류를 부형제로서 포함하는 기존 프로리포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리포솜 내의 생리활성성분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프로리포솜의 인지질을 다층으로 코팅하는 제조방법을 개발하였으며, 다층 프로리포솜의 생리활성성분 함유량이 크게 증가하며 생리활성성분의 방출을 실제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 화장품이나 식품첨가제의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리활성성분, 지질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지질층 1 내지 35 중량%; 고분자, 가소제 및 부착방지제를 포함하는 고분자층 1 내지 30 중량%; 및 잔량의 당류를 포함하며, 상기 당류에 상기 지질층과 상기 고분자층이 순차적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은 상기 지질층과 상기 고분자층이 순차적으로 2층 내지 20층까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지질층은 생리활성성분 1 내지 50 중량%, 지질 25 내지 98 중량% 및 안정화제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지질층이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지질 코팅이 되지 않거나 수화시 리포솜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층은 고분자 50 내지 98 중량%, 가소제 1 내지 25 중량% 및 부착방지제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고분자층이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지질층 위에 고분자층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생리활성성분은 약물, 화장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구성하는 유효성분으로서, 친수성 성분 또는 소수성 성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 디라우릴 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레시틴 및 대두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폴록사머, 폴리올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로 이루어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pH 의존적 수용성 고분자 또는 pH 비의존적 수용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분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우스,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에틸셀룰로우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우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우스 프탈레이트, 메타크릴릭산 공중합체, 메틸셀룰로우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셀랙, 카나우바 왁스, 제인, 유드라짓 FS30D, 유드라짓 L30 D-55, 유드라짓 L100, 유드라짓 RS PO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카스터 오일, 디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부틸 세바케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글리세린, 모노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아세틴 및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부착방지제는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셀룰로우스,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소듐 페로시아나이드, 포타슘 페로시아나이드, 칼슘 페로시아나이드, 본 포스페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실리콘 디옥사이드, 칼슘 시리케이트,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활석가루, 소듐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스테아릭산 및 폴리디메틸실록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당류는 소르비톨, 만니톨, 글루코오스, 슈크로스, 락토스 및 푸코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은 여러 가지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정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활성성분, 안정화제 및 지질을 용해시킨 지질층을 구성하는 제 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당류 지지체를 유동층 코팅기에서 순환시킨 후 상기 제 1용액을 분사시켜 1차 코팅 프로리포솜을 제조하는 단계; 고분자, 가소제 및 부착방지제를 용해시킨 고분자층을 구성하는 제 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코팅 프로리포솜을 유동층 코팅기에서 순환시킨 후 상기 제 2용액을 분사시켜 제 2차 코팅 프로리포솜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차 코팅 프로리포솜을 유동층 코팅기에서 순환시킨 후 제 1용액 및 제 2용액을 순차적으로 코팅하여 다층 프로리포솜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프로리포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다층 프로리포솜 제조 후, 타정하여 정제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프로리포솜은 기존의 프로리포솜에 비해 지질층 중 생리활성성분의 함유량을 크게 증가시킬 뿐 아니라, 생리활성성분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주며, 장관내 흡수를 증진시키며, 특히 사용된 고분자 특성에 따라 생리활성성분의 방출속도 및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로리포솜의 제조에 사용되는 당류의 양을 줄여서 다층 코팅을 함으로써 난용성 약물의 방출속도와 방출량을 높이면서도 부형제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다층 프로리포솜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다층 프로리포솜은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화장품 또는 식품첨가제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층 프로리포솜의 형태를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수화된 다층 프로리포솜의 형태를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난용성 약물인 이트라코나졸이 봉입된 다층 프로리포솜 정제에서 이트라코나졸의 시간에 따른 방출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1차, 3차 그리고 5차 코팅된 프로리포솜 안에 봉인된 이트라코나졸의 봉입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리포솜을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하여 다층 코팅을 한 다층 프로리포솜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프로리포솜은 생리활성성분과 안정화제 그리고 지질이 용해된 용매를 당류 분말이 순환하고 있는 유동층 코팅기에 분사한다. 이 과정에서 유기용매와 물을 제거되며 당 분말 표면에 지질과 생리활성성분이 골고루 코팅된 프로리포솜 분말을 수득하게 된다. 상기 수득된 프로리포솜 분말을 유동층 코팅기에 순환시킨 후 고분자가 용해된 용매를 분사하여 고분자층이 표면에 코팅된 이중층의 프로리포솜 분말을 수득하고, 이러한 두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원하는 지질층을 가진 다층 프로리포솜을 얻을 수 있다.
다층 프로리포솜에 사용된 고분자층은 지질층 간의 장벽을 형성하게 되어 지질층이 연속적으로 코팅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프로리포솜 분말 간의 응집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프로리포솜 분말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질층간 고분자층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상기 프로리포솜의 지질층 사이에 존재하는 고분자층에 적용되는 고분자의 특성에 따라 생리활성물질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층 프로리포솜은 하나의 지질층에 생리활성성분 0.1 내지 5 중량%, 지질 1 내지 20 중량%, 안정화제 0.1 내지 10 중량%; 하나의 고분자층에 고분자 1 내지 20 중량%, 가소제 0.1 내지 5 중량%, 부착방지제 0.1 내지 5 중량%; 그리고 지지제인 잔량의 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프로리포솜은 과립의 지질층에 생리활성성분이 봉입되고 고분자층이 다시 코팅되고 다시 지질층에 생리활성성분이 봉입되는 형태로 기존의 프로리포솜이 가지고 있는 물에 의한 생리활성물질의 변성방지와 안정성 증가와 같은 장점을 역시 지니고 있으며 기존의 프로리포솜에서 단점으로 언급되어진 생리활성물질의 낮은 로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질로는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 디라우릴 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레시틴 및 대두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질이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포함되면 지지제인 당류에 균일하게 얇은 지질막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야기되거나 프로리포솜 분말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는 폴리올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그리고 폴록사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안정화제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포함되면 수화 후 리포솜 형성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층에 포함된 고분자는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출 목적에 따라 위산이나 장관 용액에 쉽게 분해될 수 있는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시 사용이 용이하기 위하여 알코올에 녹을 수 있는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로는 카복시메틸셀룰로우스,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에틸셀룰로우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우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우스 프탈레이트, 메타크릴릭산 공중합체, 메틸셀룰로우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셀랙, 카나우바 왁스, 제인, 유드라짓 FS30D, 유드라짓 L30 D-55, 유드라짓 L100, 유드라짓 RS PO, 폴리비닐알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고분자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포함되면 수화시 방출 및 리포솜 형성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는 카스터 오일, 디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부틸 세바케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글리세린, 모노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아세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부착방지제로는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셀룰로우스,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소듐 페로시아나이드, 포타슘 페로시아나이드, 칼슘 페로시아나이드, 본 포스페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실리콘 디옥사이드, 칼슘 시리케이트,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활석가루, 소듐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스테아릭산, 폴리디메틸실록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출 조절에 따라 특성에 맞는 고부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지질층 간의 분리를 정확히 할 수 없어 다층 프로리포솜 분말간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만니톨, 글루코오스, 소르비톨, 슈크로스, 락토스 및 푸코스(fucose)와 같은 당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생리활성성분의 함량이 줄어들어서 효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생리활성성분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 이외에 약제학적, 화장품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분말의 상태로 보관하다가 사용 직전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경고제, 로션제, 연고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프로리포솜은 부형제 없이 정제로 타정하여 충분한 경도를 갖는 정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정제는 현재 시판되는 이트라정과 유사하거나 뛰어난 방출속도와 방출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5층의 다층 코팅 프로리포솜은 총 방출량을 유지하면서 방출속도를 서방형으로 지연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층 프로리포솜 제조
2.5 g 이트라코나졸을 30% 에탄올 200 mL에 녹인 후, 5 g 대두 포스파티딜콜린과 0.5 g 폴록사머 407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녹였다(제 1용액). 100 g 소르비톨을 유동층 코팅기에서 순환시키고 상기 제 1용액을 분사하여 제 1차 코팅된 프로리포솜을 제조하였다. 10 g 유드라짓 E100과 1 g 트윈 80 그리고 0.5 g 모노 스테아린을 에탄올에 녹인 용액을 제조하였다(제 2용액). 상기 1차 코팅된 프로리포솜을 유동층 코팅기에 순환시키고 상기 제 2용액을 분사하여 제 2차 코팅된 프로리포솜을 제조하였다. 이 후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1용액을 순차적으로 코팅시켜 3차 코팅된 다층 프로리포솜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2> 5층 프로리포솜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3차 코팅된 프로리포솜을 유동층 코팅기에 순환시키고 상기 제 2용액을 분사하여 4차 코팅된 프로리포솜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1용액을 순차적으로 코팅시켜 5차 코팅된 다층 프로리포솜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1> 단층 프로리포솜 제조
2.5 g 이트라코나졸을 30% 에탄올 200 mL에 녹인 후, 5 g 대두 포스파티딜콜린과 0.5 g 폴록사머 407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녹였다(제 1용액). 100 g 소르비톨을 유동층 코팅기에서 순환시키고 상기 제 1용액을 분사하여 제 1차 코팅된 프로리포솜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소르비톨, 비교예 1, 실시예 1 그리고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프로리포솜을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입자 형태를 확인하였다. 도 1에서 지지제로 사용된 소르비톨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단층 프로리포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3층 프로리포솜 그리고 실시예 2에서 제조된 5층 프로리포솜을 주사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각각 100배와 500배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르비톨 지지제는 표면이 불규칙하지만 단층 프로리포솜이나 다층 프로리포솜 제조 후에는 소르비톨 지지제 표면이 균일해진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지질과 이트라코나졸이 지지제 표면에 잘 코팅되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층 프로리포솜을 물에 수화시킨 후 만들어진 리포솜을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나타낸 것으로, 프로리포솜의 모양은 구형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 의해 형성된 다층 프로리포솜을 물에 재분산한 리포솜 용액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단층 프로리포솜을 물에 재분산한 리포솜 용액의 입자 크기와 표면 전하를 전기영동 광산란 분광 광도기(ELS-Z, Otuska, Japan)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와 표면전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HPLC를 이용하여 이트라코나졸의 봉입률을 측정하였다.
표 1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의해 만들어진 리포솜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Zeta 전위 (mV) 입자 크기 (nm) polydispersity Encapsulation Efficiency (%)
비교예 1 -22.4 (±3.8) 1022 (±60.6) 0.35 (±0.02) 70.8
실시예 1 - 16.8 (±0.5) 1834 (±125.9) 0.65 (±0.03) 99.3
<실험예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프로리포솜 분말을 타정한 후 얻어진 정제에 대한 무게, 경도, 두께 및 길이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경도시험기(Hardness tester, ERWEK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정제 무게 (mg) 정제 경도(kg) 정제 두께 (mm) 정제 길이 (mm)
비교예 1 1021.20 (±19.76) 18.12 (±1.86) 6.41 (±0.05) 20.03 (±0.33)
실시예 1 1016.20 (±7.36) 21.86 (±1.20) 6.03 (±0.01) 20.01 (±0.42)
<실험예 4>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프로리포솜 분말을 타정한 후 얻어진 정제에 대하여 시판하는 이트라코나졸 장방형 필름코팅정제(이트라정, 한미약품)와의 용출차이를 비교하였다.
용출된 이트라코나졸의 양은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용출시험법 제 2법(패들법)에 따라 시험하고 12시간 동안 정해진 시간에 용출액을 취하여 0.45 μm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 다음 아래 분석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이트라정, 이트라코나졸 파우더(동구제약 제공)에서 방출된 이트라코나졸의 12시간까지의 축적 방출퍼센트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용출시험장치: Electrolab TDT-08L
용출액: 0.1 N 염산용액 900 mL
용출액의 온도: 37 ± 0.5 ℃
회전속도: 100 ± 4 rpm
분석법: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법
칼 럼: 쉬세이도(Shiseido) C18 (150 mm X 4.6 mm)
이동상: 아세토니트릴:증류수(70:30)
주입량: 10 μL
유 속: 1.0 mL/min
검출기: UV 255 nm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용성 약물인 이트라코나졸은 분말로서는 12시간 동안 방출이 전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단층 프로리포솜은 신속하고 완전히 이트라코나졸이 방출됨을 확인하였고, 실시예 1과 같이 3층의 다층 코팅을 하여도 방출의 속도와 양이 변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판 중인 이트라정과 비교하여도 방출 속도와 방출량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실시예 2와 같이 5층의 다층 코팅 프로리포솜은 총 방출량은 변화가 없으면서 방출속도는 서방형으로 지연됨을 관찰하였다.
<실험예 5>
비교예 1, 실시예 1 그리고 실시예 2의 프로리포솜 분말에 봉입된 이트라코나졸의 양을 측정하였다. 즉, 동량의 50 mg 프로리포솜을 500 mL 0.1N 염산용액에 녹인 후 100 ㎕ 샘플을 취한 후, 이트라코나졸을 완전히 녹이기 위해 900 ㎕ 메탄올을 첨가하여 충분히 녹였다. 이트라코나졸의 총량은 실험예 4에 사용된 분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 코팅 다층 프로리포솜에서 총 분말 중량에 대한 이트라코나졸의 중량(약 8 중량%)이 비교예 1(약 4 중량%)보다 두 배 이상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프로리포솜의 양을 절반 이하로 줄이더라고 동일한 유효성분(이트라코나졸)을 함유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코딩의 횟수를 5차로 반복할수록 총 프로리포솜에 대한 이트라코나졸의 함량을 12 중량%까지 올릴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프로리포솜의 제조에 사용되는 당류의 양을 줄여서 다층 코팅을 하는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의 방출속도와 방출량을 높이면서도 부형제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프로리포솜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생리활성성분 1 내지 50 중량%, 지질 25 내지 98 중량% 및 안정화제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지질층 1 내지 35 중량%; 고분자 50 내지 98 중량%, 가소제 1 내지 25 중량% 및 부착방지제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층 1 내지 30 중량%; 및 잔량의 당류를 포함하며, 상기 당류에 상기 지질층과 상기 고분자층을 순차적으로 5층 내지 20층까지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성분은 약물, 화장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구성하는 유효성분으로서, 친수성 성분 또는 소수성 성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 디라우릴 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레시틴 및 대두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로 이루어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pH 의존적 수용성 고분자 또는 pH 비의존적 수용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우스,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에틸셀룰로우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우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우스 프탈레이트, 메타크릴릭산 공중합체, 메틸셀룰로우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셀랙, 카나우바 왁스, 제인, 유드라짓 FS30D, 유드라짓 L30 D-55, 유드라짓 L100, 유드라짓 RS PO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카스터 오일, 디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부틸 세바케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글리세린, 모노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아세틴 및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제는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셀룰로우스,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소듐 페로시아나이드, 포타슘 페로시아나이드, 칼슘 페로시아나이드, 본 포스페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실리콘 디옥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활석가루, 소듐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스테아릭산 및 폴리디메틸실록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소르비톨, 만니톨, 글루코오스, 슈크로스, 락토스 및 푸코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은 정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 조성물.
  14. 생리활성성분, 안정화제 및 지질을 용해시킨 지질층을 구성하는 제 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당류 지지체를 유동층 코팅기에서 순환시킨 후 상기 제 1용액을 분사시켜 1차 코팅 프로리포솜을 제조하는 단계;
    고분자, 가소제 및 부착방지제를 용해시킨 고분자층을 구성하는 제 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코팅 프로리포솜을 유동층 코팅기에서 순환시킨 후 상기 제 2용액을 분사시켜 제 2차 코팅 프로리포솜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차 코팅 프로리포솜을 유동층 코팅기에서 순환시킨 후 제 1용액 및 제 2용액을 순차적으로 코팅하여 다층 프로리포솜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층 프로리포솜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다층 프로리포솜 제조 후, 타정하여 정제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로리포솜의 제조방법.
KR1020130024483A 2013-03-07 2013-03-07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8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83A KR101468796B1 (ko) 2013-03-07 2013-03-07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83A KR101468796B1 (ko) 2013-03-07 2013-03-07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29A KR20140110329A (ko) 2014-09-17
KR101468796B1 true KR101468796B1 (ko) 2014-12-08

Family

ID=5175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483A KR101468796B1 (ko) 2013-03-07 2013-03-07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752B1 (ko) * 2015-01-28 2016-02-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적 및/또는 다공성이 조절된 당알콜을 담체로 이용한 리포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2821B1 (ko) * 2015-07-21 2016-1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프로리포솜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5383A (ja) * 2001-04-25 2004-11-25 ウエスタン センター フォー ドラッグ ディベロプメント,カレッジ オブ ファーマシー,ウエスタン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ヘルス サイエンシーズ プロリポソーム薬物送達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5383A (ja) * 2001-04-25 2004-11-25 ウエスタン センター フォー ドラッグ ディベロプメント,カレッジ オブ ファーマシー,ウエスタン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ヘルス サイエンシーズ プロリポソーム薬物送達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29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9516B (zh) 托法替尼(tofacitinib)口服持續釋放劑型
EP0502556B1 (en) Use of specific core material and layers to obta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stable to discolouration of acid labile compounds
EP0496437B1 (en) Use of specific core material and layers to obta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stable to discolouration of omeprazole
TWI475993B (zh) 醫藥組合物
JP5636364B2 (ja) 徐放性骨格筋弛緩薬剤形の調製
US6673373B2 (en) Antifungal formulation and the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MXPA06009991A (es)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estable que comprende un farmaco labil acido.
JP2009527554A (ja) コハク酸メトプロロールe.r.の錠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CN105307640A (zh) 包含依维莫司(everolimus)的药物组合物
ES2756711T3 (es) Formulaciones estabilizadas de compuestos del SNC
AU2008288106A1 (en) Extended release compositions comprising mycophenolate sodium and processes thereof
AU2020233746B2 (en) Modified release formulations of viloxazine
CN100475197C (zh) 口服的可持续释放的药用组合物
KR20070000439A (ko) 벤라팍신 히드로클로라이드의 방출연장형 코팅 미니정제
KR101468796B1 (ko) 다층 프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8211B1 (ko) 트리메타지딘의 장기간 방출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US20210128471A1 (en) Liposom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3181292A1 (en) Nitisinone formulations
EP4213812A1 (en) Multiparticulate dosage forms comprising deutetrabenazine
KR102589344B1 (ko) 산 민감성 성분을 포함하는 삼투성 제제 조성물
AU2018362263B2 (en) Alcohol-resistant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lorazepam
EP2674153B1 (en) Oral dosage form for the immediate release of bendroflumethiazide and controlled release of a second active agent
KR20230148924A (ko)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서방성코팅 연질캡슐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IE62640B1 (en) Novel dosage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