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874B1 -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874B1
KR101458874B1 KR1020130023962A KR20130023962A KR101458874B1 KR 101458874 B1 KR101458874 B1 KR 101458874B1 KR 1020130023962 A KR1020130023962 A KR 1020130023962A KR 20130023962 A KR20130023962 A KR 20130023962A KR 101458874 B1 KR101458874 B1 KR 10145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acket
crane
support body
shap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684A (ko
Inventor
채일수
Original Assignee
채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일수 filed Critical 채일수
Priority to KR102013002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87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의 약축 방향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백거더 및 백거더와 크레인 주행보를 연결해주는 부재를 생략할 수 있는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주행보는, 대향하는 두 개의 측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U형 지지몸체와, 상기 두 개의 측판 상단에 접합되어 공간을 폐쇄시키고 그 상면으로 주행레일이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U형 지지몸체의 일단에 부착되고 수평핀공이 형성된 수직판과 수직핀공이 형성된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L형의 제1단부 플레이트 및 U형 지지몸체의 타단에 부착되고 수평핀공이 형성된 수직판과 장공이 형성된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L형의 제2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행보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둥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의 상면에 2개가 길이방향으로 연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주행보 사이의 연결은, 한 주행보의 제1단부 플레이트 수직판과 타 주행보의 제2단부 플레이트 수직판 사이에 제1탄성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각 수평핀공을 통해 핀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과 주행보의 연결은, 한 주행보의 제1단부 플레이트 수평판과 브라켓 사이에 제2탄성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수직핀공을 통해 핀결합하고, 타 주행보의 제2단부 플레이트 수평판과 브라켓 사이에 제2탄성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장공을 통해 핀결합함으로써 이루어져, 한 주행보의 단부는 브라켓의 상면에서 회전단의 구조를 가지고, 타 주행보의 단부는 브라켓의 상면에서 이동단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Crane runway girder able to leave out back girder and form setting it up}
본 발명은 공장·창고 등에서 사용되는 천정크레인의 레일이 설치되는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의 약축 방향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백거더 및 백거더와 크레인 주행보를 연결해주는 부재를 생략할 수 있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 공장, 창고 등 중량이 큰 물체를 취급하는 곳에서는 중량물의 운반을 위하여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크레인은 그 구조, 형상에 따라 천정크레인, 교량형 크레인, 지브크레인, 케이블 크레인 등 종류가 다양한데, 크레인이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천정크레인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천정크레인의 지지구조를 보면, 건물의 각 기둥(1)에 짧은 I강 토막의 브라켓(2)이 용접되고 이 브라켓의 상부 플랜지에 브라켓과 수직한 방향으로 I형강 주행보(3)가 위치하게 되며, 주행보의 상부 플랜지에 설치된 레일(4)을 따라 크레인거더(5)가 주행을 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천정크레인은 그 자체의 중량 및 운반되는 물체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주행보 및 브라켓을 통하여 건물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량물이 이동할 때에는 그 중량물의 질량에 의한 힘 외에 움직임에 의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크레인의 작업 안전수칙에서는 크레인의 급격한 기동이나 정지를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크레인의 작동을 시작하거나 작동을 멈출 때에는 불가피하게 속도 변화가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움직이는 물체의 질량에 가속도를 곱한 만큼의 힘이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천정크레인은 크레인거더가 레일을 따라 주행을 하기도 하지만 크레인거더에 의해 지지되는 호이스트 등의 권상기 및 권상기에 매달린 물체가 크레인거더를 따라 횡행을 하기도 하므로 권상기의 횡행 시작 및 종료시에는 주행보에 주행보의 웨브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주행보로 사용되는 I형강은 플랜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강성이 크지만, 웨브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강성이 크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둥과 주행보 사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거나 인접한 기둥 사이에 형성된 백거더(6)와 주행보 사이를 연결부재(7)로 연결함으로써 주행보를 보강해주게 된다.
그러나 막대상의 상기 연결부재를 하나하나 시공하는 것은 공기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을 증가시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번호 10-1032366의 '다목적 점검로 일체형 크레인의 수평하중 지지구조'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막대상의 연결용 구조부재(50)와 상기 연결용 구조부재(50) 사이의 구조용 강판(40)이 일체로 형성된 강판유니트(U)로 하여금 연결부재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공장에서 제작된 강판유니트(U)를 현장에서는 설치만 하면 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고, 강판유니트(U)가 설치된 이후에는 강판(40) 상부를 점검로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역시 고소작업이 많고 별도의 연결부재를 시공해주어야 함에 따라 공기 및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며 공장 등의 규모가 매우 큰 경우를 제외하고는 점검로가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어 실용성이 의문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레인용 주행보의 약축방향 강성을 증가시켜 주행보에 작용하는 횡하중에 대한 보강구조나 백거더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공기 및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크레인의 이동경로가 되는 주행레일이 설치되고 크레인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주행보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는, 대향하는 두 개의 측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U형 지지몸체와, 상기 두 개의 측판 상단에 접합되어 공간을 폐쇄시키고 그 상면으로 주행레일이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U형 지지몸체의 일단에 부착되고 수평핀공이 형성된 수직판과 수직핀공이 형성된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L형의 제1단부 플레이트 및 U형 지지몸체의 타단에 부착되고 수평핀공이 형성된 수직판과 장공이 형성된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L형의 제2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판의 두께는 U형 지지몸체를 구성하는 하판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상판의 폭은 U형 지지몸체를 구성하는 두 개의 측판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평핀공은 수직판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U형 지지몸체에는, 그 내부의 공간에 내다이어프램이 더 형성되거나, 그 외부에 외다이어프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가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U형 지지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가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크레인의 이동경로가 되는 주행레일이 설치되고 크레인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주행보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둥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의 상면에 상기의 주행보 2개가 길이방향으로 연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주행보 사이의 연결은, 한 주행보의 제1단부 플레이트 수직판과 타 주행보의 제2단부 플레이트 수직판 사이에 제1탄성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각 수평핀공을 통해 핀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과 주행보의 연결은, 한 주행보의 제1단부 플레이트 수평판과 브라켓 사이에 제2탄성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수직핀공을 통해 핀결합하고, 타 주행보의 제2단부 플레이트 수평판과 브라켓 사이에 제2탄성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장공을 통해 핀결합함으로써 이루어져, 한 주행보의 단부는 브라켓의 상면에서 회전단의 구조를 가지고, 타 주행보의 단부는 브라켓의 상면에서 이동단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참고로 여기에서 회전단이라 함은 수평과 수직하중에 대한 반력은 발생하나 회전이 가능하여 휨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 지지구조를 말하고, 이동단이라 함은 수직하중에 대해서만 저항할 수 있고 수평운동과 회전운동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지지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크레인 주행보의 단면을 폐쇄적인 ㅁ자 형상으로 형성시켜 수직하중 뿐만 아니라 수평하중에 대해서도 우수한 강성을 갖게 되므로 수평하중에 대한 별도의 보강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작업수가 감소하고 재료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단면의 내부 공간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 및 단면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수평하중에 대한 강성을 더 크게 한다.
또한, 주행보 단면 중 상판을 다른 부분과 별개로 형성시키므로, 상판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구조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의 주행보가 변형되는 것을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도록 주행보를 설치함으로써 크레인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천정크레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로서 '다목적 점검로 일체형 크레인의 수평하중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행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주행보를 구성하는 U형 지지몸체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행보에 내다이어프램 및 외다이어프램이 더 설치되어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주행보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주행보 위를 크레인이 주행할 때, 주행보의 변형모습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주행보(100)는, 보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져 보의 길이를 결정하는 U형 지지몸체(110) 및 상판(120)과, 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위치한 제1단부 플레이트(130) 및 제2단부 플레이트(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U형 지지몸체(110)는, 폭 방향으로 세워지고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판(111)과 이 두 측판(111)의 하단에 두 측판(111)이 떨어진 간격과 같은 폭을 갖는 하판(112)으로 이루어져, 그 단면이 U형이 되며, 상판(120)은 두 측판(111)의 상단에 부착되어 U형 지지몸체(1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폐쇄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주행보(100)는 그 단면이 폐쇄적인 ㅁ자 형상이 되게 된다.
종래에 크레인 주행보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형강의 경우, 그 단면형상을 보고 짐작할 수 있듯이, 플랜지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강성이 크지만 웨브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강성이 크지 못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주행보(100)의 경우 ㅁ자 형의 단면을 갖기 때문에 따로 약축이 존재하지 않고 상판(120)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측판(111)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도 강성이 우수하다. 이에 따라, 수평하중(측판면과 수직한 방향의 힘)을 지지해주기 위한 백거더 및 백거더와 크레인 주행보를 연결해주는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공기 및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U형 지지몸체(110) 단면의 여러 가지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와 같은 직사각형 단면형태를 갖는 U형 지지몸체(110)는 제작이 용이하고, 도 4의 (b)와 같은 사다리꼴 단면형태를 갖는 U형 지지몸체(110)는 수평방향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는 측판(111)에 의해 힘이 분해되어 수평성분의 힘이 줄어들게 되고 주행보(100)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주행보(100)가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의 (c)와 같은 단면형태를 갖는 U형 지지몸체(110)는 (b)에서와 같은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측판(111)의 상단부가 상판(120)의 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상판(120)과의 용접이 용이하다는 효과 또한 갖는다.
U형 지지몸체(110)는 도 4의 (a) 내지 (c)처럼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 4의 (d)처럼 측판(111)과 하판(112)을 각각의 강판으로 제작한 후 용접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도 4의 (e)처럼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측판(111) 하나와 하판(112) 절반을 이루는 L형상의 부재를 형성시킨 후, 상기 부재 한 쌍을 용접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부재의 하판(112)의 단부에는 도면과 같이 립을 두어 U형 지지몸체(1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판(120)의 두께는 U형 지지몸체(110) 하판(11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판(120)의 폭은 두 측판(111)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부재인 보는 자중 및 그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하부에는 인장력이, 상부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강재의 경우, 압축강도와 인장강도가 비슷하기는 하지만, 보는 길게 형성되는 부재로서 압축측에서는 항복값에 도달하기 전에 좌굴현성이 발생하여 부재가 파괴될 수 있으므로, 강재를 허용응력설계법에 의해 설계할 때에는 인장측보다 압축측에 더 낮은 안전율을 적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장측(하부플랜지)과 압축측(상부플랜지)의 두께가 같은 일반적인 철골을 사용할 경우, 압축측의 허용응력에 맞춘 규격의 철골을 선택하게 되면 인장측에서는 소요 응력에 비해 더 큰 허용응력을 갖게 되므로 구조적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주행보(100)의 경우, 상판(120)과 하판(112)을 따로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그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여 각 부분에서 필요한 강도를 만족시키면서도 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판(120)의 폭이 두 측판(111)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박판으로 소요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이고, 상판(120)과 측판(111)의 용접작업이 용이해지게 된다.
U형 지지몸체(110)에는, 그 내부의 공간에 내다이어프램(150)이 더 형성되거나, 그 외부에 외다이어프램(160)에 더 형성될 수 있다.
U형 지지몸체(110)와 상판(120)에 의해 형성되는 주행보(100)의 단면은 내부가 빈 사각관 형태로 수평하중에 의해 단면이 찌그러질 수 있다. 내다이어프램(15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보(100)의 단면형태와 일치하는 형태의 판상부재로서 주행보(100)의 내부 공간에 다수 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단면이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고, 외다이어프램(16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보(100)의 측판(111) 외부면 및 상판(120) 하면과 수직하게 접하여 형성된 판상부재로서 내다이어프램(150)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주행보(100)의 단면이 도 4의 (b)처럼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판(120)을 지지해주는 측판(111) 상단의 간격이 크므로 상판(12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하여 내다이어프램(1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행보(100)의 단면이 도 4의 (a)처럼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판(120)을 지지해주는 측판(111)의 외면으로 상판(120)이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기 때문에 외다이어프램(1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형 지지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는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다. 콘크리트는 내다이어프램(150) 및 외다이어프램(160)과 마찬가지로 주행보(100)의 단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를 충전함으로 인하여 주행보(100)의 내부가 밀실한 구조를 가지게 되면 크레인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경우, 주행보(100)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지만 콘크리트에 의해 주행보(100)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단부 플레이트(130)와 제2단부 플레이트(140)는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주행보(10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기둥(200)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300)의 상부플랜지에 주행보(100)를 접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1단부 플레이트(130)는, U형 지지몸체(110)의 일단에 부착되며, 수평핀공(131a)이 형성된 수직판(131)과 수직핀공(132a)이 형성된 수평판(132)으로 이루어져 L자 형상을 가지며, 제2단부 플레이트(140)는, U형 지지몸체(110)의 타단, 즉 제1단부 플레이트(130)의 반대편에 부착되며, 수평핀공(141a)이 형성된 수직판(141)과 장공(142a)이 형성된 수평판(142)으로 이루어져 L자 형상을 갖는다.
제1단부 플레이트(130)와 제2단부 플레이트(140)는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고, 수직판(131, 141)과 수평판(132, 142)을 각각 재단한 후 용접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제1단부 플레이트(130)와 제2단부 플레이트(140)의 자세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의 크레인 주행보(100)의 설치구조와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주행보(100)의 설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주행보(100) 2개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크레인이 횡행하는 경로의 길이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주행보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크레인 주행보는, 기둥(200)에서 돌출형성된 브라켓(300)의 상부플랜지에 브라켓(3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부플랜지 폭의 절반만큼 걸쳐진다.
각 주행보 사이의 연결은, 한 주행보(100)의 제1단부 플레이트(130) 수직판(131)과 타 주행보(100')의 제2단부 플레이트(140) 수직판(141) 사이에 제1탄성부재(E1)를 삽입한 상태에서 각 수평핀공(131a, 141a)을 통해 핀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크레인 주행보는, 그 상부의 주행하는 크레인에 의해 하중점이 이동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이 발생했다가 원상태로 되돌아가기를 반복하게 된다. 연결되는 두 주행보 각각의 수직판(131, 14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탄성부재(E1)는, 고무처럼 신축성이 있고 유연한 소재로 된 판재로서, 인접한 주행보의 단부가 직접 면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해주어 주행보에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주행보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해주면서도 한 주행보(100)에서 발생한 변형에 의해 타 주행보(100')와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크레인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도 한다.
주행보에 하중이 작용하면 주행보의 상부가 압축되어 두 수직판(131, 141)의 간격은 하부에서 좁아지고 상부에서 넓어지도록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두 수직판(131, 141)의 핀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핀공(131a, 141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131, 14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탄성부재(E1)도 두 수직판(131, 14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하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수적으로 제1단부 플레이트(130) 및 제2단 부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131, 141)은, 내다이어프램(150) 및 외다이어프램(160)처럼 주행보의 단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브라켓(300)과 주행보의 연결은, 한 주행보(100)의 제1단부 플레이트(130) 수평판(132)과 브라켓(300) 사이에 제2탄성부재(E2)를 삽입한 상태에서 수직핀공(132a)을 통해 핀결합하고, 타 주행보(100')의 제2단부 플레이트(140) 수평판(142)과 브라켓(300) 사이에 제2탄성부재(E2)를 삽입한 상태에서 장공(142a)을 통해 핀결합함으로써 이루어져, 한 주행보의 단부는 브라켓(300)의 상면에서 회전단의 구조를 가지고, 타 주행보의 단부는 브라켓(300)의 상면에서 이동단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주행보는, 일 단부는 핀지지되고 타 단부는 롤러지지되는 단순보가 되도록 설치되는데, 단순보 구조는 보가 어느 정도 움직이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진동 및 충격을 상쇄시킨다.
한 주행보(100)의 제1단부 플레이트(130) 수평판(132)과 브라켓(300) 사이, 타 주행보(100')의 제2단부 플레이트(140) 수평판(142)과 브라켓(300) 사이에 삽입되는 제2탄성부재(E2)는, 제1탄성부재(E1)와 비슷하게, 고무처럼 신축성이 있고 유연한 소재로 된 판재로서, 각 주행보의 하판(112)과 브라켓(300)의 상부플랜지 상면이 직접 면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해주어 주행보에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주행보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해주면서도 주행보에서 발생한 변형에 의해 브라켓(300)과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해준다.
장공(142a)을 통해 결합된 주행보의 단부는 그 길이방향으로도 움직임이 허용되어 단순보의 이동단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주행보의 단순보 구조, 제1탄성부재(E1) 및 제2탄성부재(E2)는 크레인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상쇄·흡수함으로써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각 구조부재들 사이 또는 구조부재와 외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된 볼트접합이 느슨해 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건축물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진동 및 충격음에 의한 불쾌감을 덜어주어 건축물 사용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주행보 110 : U형 지지몸체
111 : 측판 112 : 하판
120 : 상판 130 : 제1단부 플레이트
131 : 수직판 131a : 수평핀공
132 : 수평판 132a : 수직핀공
140 : 제2단부 플레이트 141 : 수직판
141a : 수평핀공 142 : 수평판
142a : 장공 150 : 내다이어프램
160 : 외다이어프램 200 : 기둥
300 : 브라켓
E1 : 제1탄성부재 E2 : 제2탄성부재

Claims (6)

  1. 크레인의 이동경로가 되는 주행레일이 설치되고 크레인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주행보(100)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100)는, 대향하는 두 개의 측판(111)과 하판(112)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U형 지지몸체(110)와, 상기 두 개의 측판(111) 상단에 접합되어 공간을 폐쇄시키고 그 상면으로 주행레일이 설치되는 상판(120)과, 상기 U형 지지몸체(110)의 일단에 부착되고 수평핀공(131a)이 형성된 수직판(131)과 수직핀공(132a)이 형성된 수평판(132)으로 이루어지는 L형의 제1단부 플레이트(130) 및 U형 지지몸체(110)의 타단에 부착되고 수평핀공(141a)이 형성된 수직판(141)과 장공(142a)이 형성된 수평판(142)으로 이루어지는 L형의 제2단부 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20)의 두께는 U형 지지몸체(110)를 구성하는 하판(112)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상판(120)의 폭은 U형 지지몸체(1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측판(111) 사이의 간격보다 크며, 상기 수평핀공(131a,141a)은 수직판(131,141)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형 지지몸체(110)에는, 그 내부의 공간에 내다이어프램(150)이 더 형성되거나, 그 외부에 외다이어프램(16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형 지지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6. 크레인의 이동경로가 되는 주행레일이 설치되고 크레인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주행보(100)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둥(200)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300)의 상면에 청구항 1항, 제4항 또는 5항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주행보 2개가 길이방향으로 연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주행보(100) 사이의 연결은, 한 주행보의 제1단부 플레이트(130) 수직판(131)과 타 주행보의 제2단부 플레이트(140) 수직판(141) 사이에 제1탄성부재(E1)를 삽입한 상태에서 각 수평핀공(131a, 141a)을 통해 핀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300)과 주행보의 연결은, 한 주행보(100)의 제1단부 플레이트(130) 수평판(132)과 브라켓(300) 사이에 제2탄성부재(E2)를 삽입한 상태에서 수직핀공(132a)을 통해 핀결합하고, 타 주행보(100')의 제2단부 플레이트(140) 수평판(142)과 브라켓(300) 사이에 제2탄성부재(E2)를 삽입한 상태에서 장공(142a)을 통해 핀결합함으로써 이루어져,
    한 주행보(100)의 단부는 브라켓(300)의 상면에서 회전단의 구조를 가지고, 타 주행보(100')의 단부는 브라켓(300)의 상면에서 이동단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의 설치구조.
KR1020130023962A 2013-03-06 2013-03-06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458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962A KR101458874B1 (ko) 2013-03-06 2013-03-06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962A KR101458874B1 (ko) 2013-03-06 2013-03-06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684A KR20140109684A (ko) 2014-09-16
KR101458874B1 true KR101458874B1 (ko) 2014-11-12

Family

ID=5175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962A KR101458874B1 (ko) 2013-03-06 2013-03-06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8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1797B2 (ja) * 2004-04-19 2006-11-0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道路橋の連続化工法
JP2007276994A (ja) * 2006-04-11 2007-10-25 Nippon Steel Corp クレーンランウェイガーダーの補強構造
KR20090123140A (ko) * 2008-05-27 2009-12-02 (주)동아 에이치아이 충진에 의한 보강구조를 갖는 거더
KR101066838B1 (ko) * 2011-04-11 2011-09-26 고문혜 이중합성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1797B2 (ja) * 2004-04-19 2006-11-0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道路橋の連続化工法
JP2007276994A (ja) * 2006-04-11 2007-10-25 Nippon Steel Corp クレーンランウェイガーダーの補強構造
KR20090123140A (ko) * 2008-05-27 2009-12-02 (주)동아 에이치아이 충진에 의한 보강구조를 갖는 거더
KR101066838B1 (ko) * 2011-04-11 2011-09-26 고문혜 이중합성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684A (ko)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JP6486460B2 (ja) クレーンのためのクレーンキャリア
JP2012127105A (ja) 圧縮ブレースによる耐震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CN105178164A (zh) 预制吊装鱼腹波形钢腹板体内预应力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KR20150076068A (ko) 도어형(門型) 크레인의 배치 구조
JP5483666B2 (ja) 建物
KR101458874B1 (ko) 백거더 생략이 가능한 크레인 주행보 및 이의 설치구조
JP6680005B2 (ja) 鉄骨梁および柱梁接合構造
JP2016216905A (ja) 柱梁架構
JP4033871B2 (ja) 橋桁の構築方法
JP2021011736A (ja) 桁の補強構造
KR101351806B1 (ko) 종·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487885B1 (ko) 천정 크레인의 주행레일겸용 크레인 거더
KR101464349B1 (ko) 주차장 건물의 상부플랜지 노출형 철골보
JP7055986B2 (ja) 建物
JP2008045326A (ja) 制振ダンパー構造
CN210194352U (zh) 一种单轨梁及单轨交通运输***
JP6268998B2 (ja) 鋼製部材の端部構造
KR101545329B1 (ko)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
JP3159643B2 (ja) 免震落橋防止装置
JP3638142B2 (ja) 柱と梁の接合装置
JP7115324B2 (ja) 鋼部材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2015190130A (ja) 建物補強構造
JP2018084103A (ja) 座屈拘束ブレース及び耐震フレーム
JP6144964B2 (ja) 仮設構造物、固定方法、仮設構造物の受桁、及び仮設構造物の敷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