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774B1 -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774B1
KR101451774B1 KR1020130117289A KR20130117289A KR101451774B1 KR 101451774 B1 KR101451774 B1 KR 101451774B1 KR 1020130117289 A KR1020130117289 A KR 1020130117289A KR 20130117289 A KR20130117289 A KR 20130117289A KR 101451774 B1 KR101451774 B1 KR 10145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layer
porous body
mask substrate
irre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니텍
Priority to KR102013011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사되는 빛의 반사 및 간섭에 의해 색이 구현되는 구조색 발생체를 제조하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크 기판 형성단계와, 다공체 장착단계와,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와, 다공체 제거단계와, 투명 박막층 적층단계를 포함한다. 마스크 기판 형성단계는 커버부재에 형성될 구조색 발생체의 형상과 동일한 관통홀을 구비하는 마스크 기판을 형성한다. 다공체 장착단계는 커버부재와 마스크 기판이 합착된 상태에서 관통홀 부위에 메시(mesh) 구조의 다공체를 장착한다.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는 적층물질을 다공체 및 관통홀을 통과시켜, 커버부재에 함몰부와 돌출부의 폭 및 높이가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된 요철 박막층을 적층한다. 다공체 제거단계는 마스크 기판으로부터 다공체를 제거한다. 투명 박막층 적층단계는 적층물질을 관통홀을 통과시켜, 요철 박막층에 요철 박막층과 굴절률이 다른 투명 박막층을 적층한다.

Description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producing structural color}
본 발명은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부재에 형성되며, 입사되는 빛의 반사 및 간섭에 의해 색이 구현되는 구조색 발생체를 제조하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안료가 사용된다. 안료를 이용한 색의 구현은 곧 빛의 흡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빛의 흡수를 이용하는 색 구현 기술은 효율이 낮고, 색도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빛의 반사 및 간섭을 이용하여 색을 구현하는 기술, 일명 '구조색(structural color)'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 기술에서는 구조색 발생체의 반사율에 따라 효율이 결정되므로, 고효율의 색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반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색도가 결정되므로, 색도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빛의 반사 및 간섭을 이용하여 원하는 색을 구현하는 구조색 기술에서는, 구조색 발생체에 입사되는 빛의 각도 및 시야각에 따라 나타나는 색이 달라지고, 다중 색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회절된 빛의 보강 및 상쇄 간섭에 의해 특정 각도에서 색이 밝게 또는 어둡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조색 발생체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색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 기판과 다공체를 이용하여 구조색 발생체의 표면에 폭과 높이가 불규칙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시야각의 영향이 적은, 즉 가시성이 향상된 구조색 발생체를 제조할 수 있고,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은, 입사되는 빛의 반사 및 간섭에 의해 색이 구현되는 구조색 발생체를 제조하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커버부재에 형성될 구조색 발생체의 형상과 동일한 관통홀을 구비하는 마스크 기판을 형성하는 마스크 기판 형성단계;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마스크 기판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 부위에 메시(mesh) 구조의 다공체를 장착하는 다공체 장착단계; 적층물질을 상기 다공체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시켜, 상기 커버부재에 함몰부와 돌출부의 폭 및 높이가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된 요철 박막층을 적층하는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 상기 마스크 기판으로부터 상기 다공체를 제거하는 다공체 제거단계; 및 적층물질을 상기 관통홀을 통과시켜, 상기 요철 박막층에 상기 요철 박막층과 굴절률이 다른 투명 박막층을 적층하는 투명 박막층 적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요철 박막층 및 상기 투명 박막층은 다층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는, 상기 다공체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상기 요철 박막층을 적층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요철 박막층을 다층 구조로 적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에서, 상기 요철 박막층의 함몰부 및 돌출부의 폭은 50nm 이상 1500nm 이하이며, 상기 요철 박막층의 돌출부의 높이는 30nm 이상 1000nm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 박막층의 두께는 10nm 이상 1000nm 이하이다.
본 발명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시야각의 영향이 적은, 즉 가시성이 향상된 구조색 발생체를 제조할 수 있고,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요철 박막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불규칙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서 다공체를 회전시키며 요철 박막층을 적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조색 발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서 다공체를 회전시키며 요철 박막층을 적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조색 발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부재에 형성되며, 입사되는 빛의 반사 및 간섭에 의해 색이 구현되는 구조색 발생체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마스크 기판 형성단계(S110)와, 다공체 장착단계(S120)와,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S130)와, 다공체 제거단계(S140)와, 투명 박막층 적층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 기판 형성단계(S110)는 관통홀(121)을 구비하는 마스크 기판(120)을 형성한다. 이때, 관통홀(121)은 커버부재(110)에서 구조색 발생체(10)가 형성될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커버부재(110)에 형성될 구조색 발생체(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재(110)는 주로 휴대폰, 텔레비젼, 멀티미디어 기기와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등을 말하며, 광투과성이 우수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1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에 부착되는 광학 필름이 될 수도 있다.
마스크 기판(120)은 사출 공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마스크 기판(1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21)은 금속판에 소정의 형상을 펀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체 장착단계(S120)는 커버부재(110)와 마스크 기판(120)이 합착된 상태에서 관통홀(121) 부위에 메시(mesh) 구조의 다공체(130)를 장착한다. 커버부재(110)에서 구조체 발생체(10)가 형성될 위치와 마스크 기판(120)의 관통홀(121)의 위치를 일치시켜 커버부재(110)와 마스크 기판(120)을 합착한 후, 마스크 기판(120)의 일면에 관통홀(121)의 전체 면적을 덮을 수 있는 다공체(130)를 장착한다.
다공체(130)는 관통홀(121)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며, 격자 무늬, 다각형 무늬 또는 원형 무늬 등 다양한 무늬가 반복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공체(130)는 멤스(MEMS) 방식 등에 의해 미세한 구멍을 가질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S130)는 커버부재(110)에 함몰부(21)와 돌출부(22)의 폭 및 높이가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된 요철 박막층(20)을 적층한다. 이때, 요철 박막층(20)을 형성하는 적층물질(1)을 다공체(130) 상에 분사하여 적층물질(1)이 다공체(130) 및 관통홀(121)을 통과하여 커버부재(120)에 증착될 수 있도록 한다. 요철 박막층(2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는 증착 이외에도 스퍼터링, 프린팅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요철 박막층(20)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함몰부(21)와 돌출부(22)는 그 폭(w)과 높이(h)가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다공체(130)를 통과하는 적층물질(1)은 커버부재(110)상에 쌓이게 되는데, 다공체(130)의 패턴으로 인해 요철 박막층(20)의 표면은 평탄하지 않고 불규칙한 요철을 가지게 된다.
요철 박막층(20)을 구성하는 적층물질은 실리콘산화물, 티탄산화물, 아연산화물 등과 같은 무기 산화물, Cr, Ni, Co 등과 같은 금속 또는 고분자 물질 등 다양한 물질이 될 수 있으며, 광투과성이 우수한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S130)에서는 요철 박막층(20)을 하나의 층으로 적층할 수도 있고, 다층 구조로 적층할 수도 있다. 다층 구조의 요철 박막층(20)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다공체(13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증착 과정을 반복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층의 요철 박막층(20)을 적층한 후, 다공체(13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고 다시 다른 층의 요철 박막층(20)을 적층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다층 구조의 요철 박막층(20)을 적층할 수도 있다. 다공체(130)를 회전시키면서 요철 박막층(20)을 적층함으로써, 요철 박막층(20)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불규칙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요철 박막층(20)의 함몰부(21) 및 돌출부(22)의 폭은 50nm 이상 1500nm 이하이며, 요철 박막층(20)의 돌출부(22)의 높이는 30nm 이상 10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체 제거단계(S140)는 마스크 기판(120)으로부터 다공체(130)를 제거한다. 다공체(130)를 제거하면, 커버부재(110)와 마스크 기판(120)이 합착된 상태에서 커버부재(110)에서 구조색 발생체(10)가 형성될 영역이 관통홀(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투명 박막층 적층단계(S150)는 요철 박막층(20)에 요철 박막층(20)과 굴절률이 다른 투명 박막층(30)을 적층한다. 이때, 투명 박막층(30)을 형성할 적층물질(1)을 마스크 기판(120)상에 분사하여 적층물질(1)이 관통홀(121)을 통과하여 요철 박막층(20)에 증착될 수 있도록 한다. 투명 박막층(30)을 적층하는 방식으로는 증착 이외에도 스퍼터링, 프린팅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투명 박막층 적층단계(S150)에서는 투명 박막층(30)을 하나의 층으로 적층할 수도 있고, 다층 구조로 적층할 수도 있다.
다층 구조로 적층할 경우 투명 박막층(30)의 각 층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각 층의 굴절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계면에서 빛의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각 층의 물질과 두께를 조절하면,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층의 물질과 두께에 따라, 구조체 발생체(10)에서 구현되는 색이 달라질 수 있다.
투명 박막층(30) 중 하나의 층은 실리콘산화물, 티탄산화물, 아연산화물 등과 같은 무기 산화물층이고, 다른 층은 Cr, Ni, Co 등과 같은 금속층이 될 수 있다. 또한, 투명 박막층(30)의 모든 층이 서로 다른 무기 산화물층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박막층(30)은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된 요철 박막층(20)상에 형성되므로, 요철 박막층(20)의 요철 형상이 그대로 전사되어 투명 박막층(30)의 표면 역시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 박막층(20) 및 투명 박막층(30)의 표면이 폭과 높이가 불규칙한 요철을 가지기 때문에, 가시성이 향상된 전방향 반사가 가능할 수 있다. 만약, 투명 박막층(30)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모두 평탄하다면, 반사된 빛이 특정 각도에서 밝게 또는 어둡게 보이므로, 시야각에 따라 색이 달라지거나 다중 색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요철 박막층(20) 및 투명 박막층(30)의 표면이 폭과 높이가 불규칙한 요철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로 빛이 반사, 회절 및 산란될 수 있다.
커버부재(110)에 형성되는 투명 박막층(30)의 두께는 10nm 이상 10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은, 마스크 기판과 다공체를 이용하여 구조색 발생체에 형성되는 요철의 폭과 높이를 불규칙하게 형성함으로써, 시야각의 영향이 적은, 즉 가시성이 향상된 구조색 발생체를 제조할 수 있고,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은, 다공체를 회전시키면서 요철 박막층을 다층 구조로 적층함으로써, 요철 박막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불규칙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적층물질
10 : 구조색 발생체
20 : 요철 박막층
30 : 투명 박막층
110 : 커버부재
120 : 마스크 기판
130 : 다공체

Claims (5)

  1. 입사되는 빛의 반사 및 간섭에 의해 색이 구현되는 구조색 발생체를 제조하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커버부재에 형성될 구조색 발생체의 형상과 동일한 관통홀을 구비하는 마스크 기판을 형성하는 마스크 기판 형성단계;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마스크 기판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 부위에 메시(mesh) 구조의 다공체를 장착하는 다공체 장착단계;
    적층물질을 상기 다공체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시켜, 상기 커버부재에 함몰부와 돌출부의 폭 및 높이가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된 요철 박막층을 적층하는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
    상기 마스크 기판으로부터 상기 다공체를 제거하는 다공체 제거단계; 및
    적층물질을 상기 관통홀을 통과시켜, 상기 요철 박막층에 상기 요철 박막층과 굴절률이 다른 투명 박막층을 적층하는 투명 박막층 적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박막층 및 상기 투명 박막층은 다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는,
    상기 다공체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상기 요철 박막층을 적층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요철 박막층을 다층 구조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박막층 적층단계에서,
    상기 요철 박막층의 함몰부 및 돌출부의 폭은 50nm 이상 1500nm 이하이며,
    상기 요철 박막층의 돌출부의 높이는 30nm 이상 10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박막층의 두께는 10nm 이상 10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KR1020130117289A 2013-10-01 2013-10-01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KR10145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289A KR101451774B1 (ko) 2013-10-01 2013-10-01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289A KR101451774B1 (ko) 2013-10-01 2013-10-01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774B1 true KR101451774B1 (ko) 2014-10-16

Family

ID=5199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289A KR101451774B1 (ko) 2013-10-01 2013-10-01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7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2729A1 (ja) * 2017-10-27 2019-05-02 横浜ゴム株式会社 構造色発色部材およびタイヤ
JP2019078981A (ja) * 2017-10-27 2019-05-23 横浜ゴム株式会社 構造色発色部材およびタイヤ
JP2019078982A (ja) * 2017-10-27 2019-05-23 横浜ゴム株式会社 構造色発色部材およびタイ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252A (ja) * 1993-09-16 1995-03-3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1183618A (ja) *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反射型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応用機
JP2005308871A (ja) * 2004-04-19 2005-11-04 Aterio Design Kk 干渉カラーフィルター
JP2007071898A (ja) * 2005-09-02 2007-03-22 Canon Inc 液晶表示装置
JP2013011804A (ja) * 2011-06-30 2013-01-17 Hamamatsu Photonics Kk 構造発色体
JP2013083813A (ja) * 2011-10-11 2013-05-09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および物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252A (ja) * 1993-09-16 1995-03-3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1183618A (ja) *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反射型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応用機
JP2005308871A (ja) * 2004-04-19 2005-11-04 Aterio Design Kk 干渉カラーフィルター
JP2007071898A (ja) * 2005-09-02 2007-03-22 Canon Inc 液晶表示装置
JP2013011804A (ja) * 2011-06-30 2013-01-17 Hamamatsu Photonics Kk 構造発色体
JP2013083813A (ja) * 2011-10-11 2013-05-09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および物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2729A1 (ja) * 2017-10-27 2019-05-02 横浜ゴム株式会社 構造色発色部材およびタイヤ
JP2019078981A (ja) * 2017-10-27 2019-05-23 横浜ゴム株式会社 構造色発色部材およびタイヤ
JP2019078982A (ja) * 2017-10-27 2019-05-23 横浜ゴム株式会社 構造色発色部材およびタイヤ
CN110998378A (zh) * 2017-10-27 2020-04-10 横滨橡胶株式会社 结构色显色构件以及轮胎
US11491825B2 (en) 2017-10-27 2022-11-08 The Yokohama Rubber Co., Ltd. Structural color developing member and t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8948A1 (en) Housing and mobile terminal
WO2018070431A1 (ja) 光学デバイス、表示体、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光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451774B1 (ko) 구조색 발생체의 제조방법
KR101823680B1 (ko)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CN206308261U (zh) 盖板玻璃层叠结构
US8736960B2 (en) Structure with observation port
CN211106668U (zh) 一种膜片
JP2010173090A (ja) 金属光沢調窓枠柄を有する意匠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6308264U (zh) 盖板玻璃层叠结构
CN211457614U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108017286A (zh) 盖板玻璃层叠结构
CN206308263U (zh) 盖板玻璃层叠结构
US8164833B2 (en) Optical window member
JP2010085508A (ja) 装飾模様付き表示体、及び該表示体の製造方法
CN104464898A (zh) 纳米银导电薄膜及其应用之触控面板
JP6814054B2 (ja) 表示板
KR20170081327A (ko) 모바일 기기용 슬리밍 커버 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WO2018103142A1 (zh) 一种聚光变炫光装饰片及生产工艺
WO2015014073A1 (zh)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0799330B (zh) 微细凹凸层积体及其制造方法、以及照相机模块搭载装置
JP2018045155A (ja) 表示体、表示体付きデバイス、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US20100330339A1 (en) Decorative effect for glass bodies
KR101149962B1 (ko) 굴절패턴을 구비한 화상차폐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9469B1 (ko) 이중 구조를 이용한 복합기능 나노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