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210B1 -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210B1
KR101450210B1 KR1020130119671A KR20130119671A KR101450210B1 KR 101450210 B1 KR101450210 B1 KR 101450210B1 KR 1020130119671 A KR1020130119671 A KR 1020130119671A KR 20130119671 A KR20130119671 A KR 20130119671A KR 101450210 B1 KR101450210 B1 KR 10145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wire
push
frame
conduc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3011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 H01B13/32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jelly-like or viscous substance
    • H01B13/328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jelly-like or viscous substance using a filling or coating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3Alloys based on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이 프레임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턴테이블, 이 턴테이블 상에 일정간격 유격되게 구비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도체를 노출한 알루미늄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부, 및 이 거치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턴테이블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체에 플럭스 디핑 작업을 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턴테이블을 통해 자동적으로 순서대로 도체에 플럭스 디핑 작업을 할 수 있어 디핑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APPARATUS FOR FLUX-DIPPING}
본 발명은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턴테이블을 통해 자동적으로 순서대로 도체에 플럭스 디핑 작업을 할 수 있어 디핑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는 안전성 및 편의성 등을 증대하기 위하여 빠른 속도로 전자 제품화되어가고 있다.
이에 차량의 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장치를 증설 및 탑재하는 등 전자부품을 이용한 고기능화에 따른 회로 증가로 인하여 자동차의 와이어하네스 중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환경 규제가 점점 강화됨에 따라 에너지 절약 및 배기가스 감소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와이어하네스 제조업체들은 기존의 동 전선에 비해 가벼운 알루미늄 전선을 자동차에 적용하여 차량을 경량화함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고 배기가스를 감소시키고자 하고 있다. 알루미늄은 구리에 비해 약 1/3의 비중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전선과 동 단자를 접속시킬 경우, 이종금속 간의 접속으로 인해 갈바닉 부식 및 알루미늄산화 피막에 의한 접속 불량의 우려가 있다.
갈바닉 부식 혹은 이종금속 부식은 알루미늄과 동의 접속에 있어 수분이 유입될 경우 각각의 금속 전위차에 의해 알루미늄, 동 및 수분에 의한 전지를 형성하게 되어 전위가 낮은 알루미늄이 이온화되면서 발생하는 부식을 말한다.
알루미늄 산화 피막은 절연 피복이 벗겨진 알루미늄 전선의 도체 표면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쉽게 산화됨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루미늄 전선의 도체 표면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 형성된 산화 피막은 약 100Å(100*10m) 이하로 지극히 얇게 생성되지만 치밀하고 경질이며 절연성을 갖기 때문에 통상 알루미늄 전선을 단자에 접속하기 직전에 와이어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산화 피막을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갈바닉 부식 및 알루미늄 산화 피막에 의한 접속 불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알루미늄 전선과 동단자를 접속시킬 때, 피복을 벗긴 알루미늄 전선의 도체를 일반 프레스 단자에 삽입하여 압착시킨 후 이 프레스 단자 전체를 납(Solder) 용액에 침수시키거나, 피복을 벗긴 알루미늄 전선의 도체 외측을 단자의 바렐(barrel)을 이용하여 원형으로 감싸서 압착한 후 단자 상단의 알루미늄 도체 노출 부위를 솔더링(Soldering)하여 수분 유입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2631호(등록일 : 2013.07.01.)인 "전선의 단자 접속방법"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알루미늄 전선 플럭스 디핑 장치는 작업자가 알루미늄 전선을 들고 일일이 플럭스 디핑을 위해 들고 옮겨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턴테이블을 통해 자동적으로 순서대로 도체에 플럭스 디핑 작업을 할 수 있어 디핑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 상에 일정간격 유격되게 구비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도체를 노출한 알루미늄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도체에 플럭스 디핑 작업을 하는 작업부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알루미늄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양측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클램핑하기 위해 한 쌍씩 구비되는 클램핑블록,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가장자리를 잡도록 한 쌍의 상기 클램핑블록이 접하도록 탄성적으로 미는 푸시부, 및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가장자리를 삽입하도록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상기 클램핑블록을 유격시키는 유격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푸시브라켓, 상기 푸시브라켓 내측에 구비되는 푸시가이드샤프트, 상기 푸시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클램핑블록을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하는 푸시노브, 및 상기 푸시브라켓 내측에 대해 대응되는 상기 푸시노브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상기 클램핑블록이 상기 알루미늄 전선을 가압하도록 하는 푸시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유격안내부는, 한 쌍의 상기 푸시노브에 대응되게 상기 턴테이블에 구비되는 유격실린더부재, 상기 유격실린더부재 작동으로 전후진되는 유격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유격안내플레이트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전진되며 한 쌍의 상기 푸시노브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마주하는 푸시노브의 간격을 벌리는 유격안내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부는,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양측에 노출되는 도체를 트위스팅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트위스팅유닛,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양측 단부 높이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인디게이팅유닛, 상기 도체를 플럭스 디핑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플럭스디핑유닛, 및 상기 알루미늄 전선을 이송부재측으로 배출하는 언로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트위스팅유닛은,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어퍼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플레이트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체를 가압하는 죠(jaw)를 포함한다.
상기 플럭스디핑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액상의 도체물질을 저장하며 상측을 개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측을 막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도체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하기 위해 개방되는 개방홀을 통공한 커버, 상기 프레임 또는 바닥에 지지된 채 전후진되는 전후진작동부재, 상기 전후진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도체로부터 낙하하는 도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플레이트, 및 상기 저장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낙하하는 도체물질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언로딩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장착대, 및 상기 장착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알루미늄 전선을 설정 위치로 언로딩하는 로봇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는 턴테이블을 통해 자동적으로 순서대로 도체에 플럭스 디핑 작업을 할 수 있어 디핑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거치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거치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트위스팅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트위스팅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인디게이팅유닛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인디게이팅유닛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플럭스디핑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플럭스디핑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언로딩유닛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에 의해 도체물질을 플럭스 디핑 처리한 알루미늄 전선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거치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거치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트위스팅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트위스팅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인디게이팅유닛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인디게이팅유닛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플럭스디핑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플럭스디핑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의 언로딩유닛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에 의해 도체물질을 플럭스 디핑 처리한 알루미늄 전선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선(10)의 플럭스 디핑 장치(100)는 프레임(200), 턴테이블(300), 거치부(400) 및 작업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디핑 장치(100)는 알루미늄 전선(10)의 도체(12)를 도체물질(20)로 자동 디핑(dipping)하는 설비이다. 물론, 알루미늄 전선(10)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체물질(20)은 납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00)은 턴테이블(300), 거치부(400) 및 작업부(500)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프레임(20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턴테이블(300)은 프레임(20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턴테이블(300)은 프레임(200)에 지지된 채 구동모터(310)에 의해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이때, 턴테이블(300)은 일정 회전각도만큼 회전 후 설정시간만큼 회전 정지하도록 구동모터(310)에 의해 회전 제어된다.
턴테이블(30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거치부(400)는 턴테이블(300)의 상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거리 유격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거치부(400)는 양측 가장자리에 도체(12)를 노출한 알루미늄 전선(10)을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5 및 도 6에서처럼, 거치부(400)는 거치대(410), 클램핑블록(420), 푸시부(430) 및 유격안내부(440)를 포함한다.
거치대(410)는 턴테이블(300) 상에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가 호 궤적을 따라 일정간격 유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거치대(410)는 감긴 알루미늄 전선(10)을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거치대(410)는 턴테이블(30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클램핑블록(420)은 거치대(410)에 거치된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클램핑(clamping)하기 위해 한 쌍씩 구비된다. 즉, 어느 한 쌍의 클램핑블록(420)은 알루미늄 전선(10)의 일측 가장자리를 클램핑하여 지지하고, 다른 한 쌍의 클램핑블록(420)은 동일한 알루미늄 전선(10)의 타측 가장자리를 클램핑하여 지지한다.
이때, 클램핑블록(4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푸시부(430)는 한 쌍씩의 클램핑블록(420)이 대응되는 알루미늄 전선(10)의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감싸거나, 알루미늄 전선(10)의 가장자리를 감싼 채 서로 접하도록 한 쌍의 클램핑블록(42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푸시부(430)는 푸시브라켓(432), 푸시가이드샤프트(434), 푸시노브(436) 및 푸시탄성부재(438)를 포함한다.
푸시브라켓(432)은 턴테이블(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호 궤적으로 일정간격 유격되게 구비된다. 이때, 푸시브라켓(43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턴테이블(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푸시가이드샤프트(434)는 푸시브라켓(432) 각각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푸시가이드샤프트(434)는 하나 이상 구비되는데, 편의상, 2개가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푸시노브(436)는 푸시브라켓(432) 각각의 내측에 구비된 푸시가이드샤프트(434)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그래서, 한 쌍의 푸시노브(436)는 푸시가이드샤프트(434)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푸시노브(436)는 클램핑블록(420)을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한다. 즉, 한 쌍의 푸시노브(436) 중 어느 하나의 푸시노브(436)는 어느 하나의 클램핑블록(420)을 고정되게 구비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푸시노브(436)는 다른 하나의 클램핑블록(420)을 고정되게 구비한다.
이에 따라, 클램핑블록(420) 각각은 대응되는 푸시노브(436)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푸시탄성부재(438)는 푸시브라켓(432) 내측에 대해 대응되는 푸시노브(436)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즉, 푸시탄성부재(438)는 푸시가이드샤프트(434)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그래서, 푸시가이드샤프트(434)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푸시탄성부재(438)는 푸시브라켓(432) 일측 내부에 지지된 채 어느 하나의 푸시노브(436)를 다른 하나의 푸시노브(436)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푸시가이드샤프트(434)의 타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푸시탄성부재(438)는 푸시브라켓(432) 타측 내부에 지지된 채 다른 하나의 푸시노브(436)를 어느 하나의 푸시노브(436)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푸시노브(436)는 푸시탄성부재(438)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한 쌍의 클램핑블록(420)이 알루미늄 전선(10)을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푸시탄성부재(438)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격안내부(440)는 알루미늄 전선(10)의 가장자리를 삽입하도록 서로 접하는 한 쌍의 클램핑블록(420)을 유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유격안내부(440)는 유격실린더부재(442), 유격안내플레이트(444) 및 유격안내돌부(446)를 포함한다.
유격실린더부재(442)는 한 쌍의 푸시노브(436)에 대응되게 턴테이블(300)에 구비된다. 그래서, 유격실린더부재(442)는 턴테이블(300)의 방사상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유격안내플레이트(444)는 유격실린더부재(442) 작동으로 전후되도록, 유격실린더부재(442)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유격안내돌부(446)는 유격안내플레이트(444)의 전측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특히, 유격안내돌부(446)는 한 쌍씩의 푸시노브(436)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즉, 유격안내돌부(446)는 하나의 유격안내플레이트(444)에 2개 구비된다.
그래서, 유격실린더부재(442)가 전진 작동하게 되면, 유격안내돌부(446)는 대응되는 한 쌍의 푸시노브(436) 사이로 삽입된다. 그래서, 한 쌍의 푸시노브(436)는 유격안내돌부(446)의 너비만큼 벌어지게 된다. 물론, 유격안내돌부(446)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한 쌍씩의 푸시노브(436)는 유격안내돌부(44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측 단부에 구름롤러(437)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작업부(500)는 거치부(400) 특히, 두 쌍의 클램핑블록(420) 각각에 대응되도록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턴테이블(30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체(12)에 플럭스 디핑(flux dipping) 작업을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작업부(500)는 자동적으로 도체(12)에 플럭스 디핑 등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다.
작업부(500)는 트위스팅유닛(510), 인디게이팅유닛(520), 플럭스디핑유닛(530), 클리닝유닛(540) 및 언로딩유닛(550)을 포함한다. 그리고, 거치대(410)에 거치된 알루미늄 전선(10)은 트위스팅유닛(510), 인디게이팅유닛(520), 플럭스디핑유닛(530), 클리닝유닛(540) 및 언로딩유닛(550)에 순서대로 이동되어 해당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트위스팅유닛(510), 인디게이팅유닛(520), 플럭스디핑유닛(530), 클리닝유닛(540) 및 언로딩유닛(550)은 턴테이블(3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프레임(200)에 배치된다. 이때, 트위스팅유닛(510), 인디게이팅유닛(520), 플럭스디핑유닛(530), 클리닝유닛(540) 및 언로딩유닛(550)은 턴테이블(300)의 거치부(400)끼리의 유격거리만큼 프레임(200)에 원주 방향으로 유격되게 배치된다.
물론, 트위스팅유닛(510), 인디게이팅유닛(520), 플럭스디핑유닛(530), 클리닝유닛(540) 및 언로딩유닛(550)은 순서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거치부(400)는 트위스팅유닛(510), 인디게이팅유닛(520), 플럭스디핑유닛(530), 클리닝유닛(540) 및 언로딩유닛(550)에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일대일 대응되지 않는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트위스팅유닛(510)은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에 노출되는 도체(12)를 트위스팅(twisting)하도록 프레임(200)에 구비된다. 이때, 트위스팅유닛(510)은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노출되는 도체(12)를 직접적으로 트위스팅할 수도 있고, 양측 가장자리에 절개된 피복을 트위스팅시킴으로써 도체(12)를 간접적으로 트위스팅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서처럼, 트위스팅유닛(510)은 로어플레이트(551), 어퍼플레이트(552) 및 죠(jaw,553)를 포함한다.
로어플레이트(551)는 프레임(200)의 하측 또는 프레임(200)에 지지된 채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더욱 상세히, 로어플레이트(551)는 프레임(200)이나 바닥에 지지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승하강실린더(554)에 연결된다. 그래서, 로어플레이트(551)는 승하강실린더(554)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그리고, 어퍼플레이트(552)는 로어플레이트(551)의 상측에 구비된다. 이때, 로어플레이트(551)와 어퍼플레이트(5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어퍼플레이트(552)는 로어플레이트(551)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로서, 로어플레이트(551)는 상측면에 제 1기어(555)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특히, 제 1기어(555)는 가동모터(556)에 의해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그리고, 어퍼플레이트(552)는 하측면 중앙에 제 2기어(557)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그리고, 제 2기어(557)는 제 1기어(555)와 외접 기어 결합된다.
따라서, 제 2기어(557)가 제 1기어(555)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이동됨으로써, 어퍼플레이트(552)는 로어플레이트(551)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죠(553)는 어퍼플레이트(552)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죠(553) 각각은 어퍼플레이트(552)에 설치된 작동실린더(558)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된다.
그래서, 죠(553) 각각은 대응되게 연결되는 작동실린더(558)의 전진 작동으로 어퍼플레이트(552)의 중심 방향으로 모이게 된다. 반대로, 죠(553) 각각은 대응되게 연결되는 작동실린더(558)의 후진 작동으로 어퍼플레이트(552)의 중심 방향에 반대되는 방사상으로 이동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죠(553)는 도체(12)의 트위스팅을 위해 도체(12) 또는 절단된 피복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게 된다.
이때, 죠(553)는 어퍼플레이트(552)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죠(553)는 대응되는 작동실린더(558)의 후진 작동으로 서로 벌어지게 된다. 즉, 죠(553)는 큰 원형 궤적을 그리게 된다. 이 후, 승하강실린더(554)가 작동함에 따라, 로어플레이트(551)와 어퍼플레이트(552) 및 죠(553)는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위치 고정된 알루미늄 전선(10)의 도체(12)가 벌어진 죠(553) 사이로 삽입된다.
연이어, 작동실린더(558) 각각의 전진 작동으로 인해, 죠(553)들은 모여지게 된다. 즉, 죠(553)는 작은 원형 궤적을 그리게 된다. 그래서, 대응되는 도체(12)는 죠(553)들에 가압된다.
이 후, 가동모터(556)가 작동됨에 따라, 죠(553)를 연결하고 있는 어퍼플레이트(552)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연이어, 승하강실린더(554)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도체(12)는 트위스팅된다.
한편, 인디게이팅유닛(520)은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트위스팅 처리된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단부 높이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9 및 도 10에서처럼, 인디게이팅유닛(520)은 설치대(521), 높이설정부재(522) 및 높이설정지지부(523)를 포함한다.
설치대(521)는 프레임(200) 또는 바닥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특히, 설치대(521)는 프레임(200) 또는 바닥에 지지되어 승하강되는 설치실린더(521a)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높이설정부재(522)는 거치부(400) 특히, 한 쌍씩의 클램핑블록(420)에 클램핑된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도체(12)에 대응되도록 설치대(521)에 구비된다.
그리고, 높이설정부재(522)는 설치대(521)에 동일 높이만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높이설정부재(522)는 실린더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설치대(521)에는 하나의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단부에 일대일 대응되는 높이설정부재(522)가 구비된다.
높이설정부재(522)는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단부 높이를 동일하게 한다. 즉,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있는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중 어느 일측은 해당되는 높이설정부재(522)의 미는 힘에 의해 상승된다.
이때, 알루미늄 전선(10)은 양측이 한 쌍씩 이루어진 클램핑블록(420)에 가압되기 때문에 억지 상승하게 된다.
특히, 높이설정부재(522)가 강제로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을 밀어올리기 때문에,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은 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래서, 높이설정지지부(523)가 구비된다. 높이설정지지부(523)는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알루미늄 전선(10)의 각 가장자리 둘레면에 접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높이설정지지부(523)는 힌지바(524), 지지롤러(525) 및 지지작동부재(526)를 포함한다.
힌지바(524)는 프레임(200)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힌지바(524)는 서로 인접되도록 프레임(200)에 배치된 채 프레임(200)에 각각 피벗팅되어 회동 가능하게 된다. 특히, 한 쌍의 힌지바(52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전측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롤러(525)는 힌지바(524) 각각의 전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래서, 알루미늄 전선(1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감싸서 측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롤러(525)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지지작동부재(526)는 힌지바(524)의 전측 간격 특히, 지지롤러(525) 간의 간격을 벌리도록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지작동부재(526)는 푸셔(527) 및 스페이서(528)를 포함한다.
푸셔(527)는 프레임(200)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푸셔(527)는 한 쌍씩의 힌지바(524)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때, 푸셔(527)는 실린더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페이서(528)는 푸셔(527)의 전측에 구비된다. 그래서, 푸셔(527)가 전진하게 되면, 스페이서(528)는 대응되는 한 쌍의 힌지바(524) 후측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러면, 힌지바(524)의 전측은 피벗팅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아울러, 한 쌍의 힌지바(524)는 인장탄성부재(529)에 의해 연결된다. 인장탄성부재(529)는 벌어진 한 쌍의 힌지바(524) 전측을 탄성적으로 원위치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하강한 초기 상태인 설치실린더(521a)가 상승하게 되면, 한 쌍씩의 지지롤러(525)는 사이가 벌어진 채 상승하며 알루미늄 전선(1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수용하게 된다. 이때, 푸셔(527) 각각이 전진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페이서(528) 각각은 대응되는 한 쌍씩의 힌지바(524) 후측 내부로 삽입된다. 그래서,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은 한 쌍씩의 지지롤러(525) 사이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 후, 푸셔(527)가 후진하게 되면, 인장탄성부재(52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힌지바(524) 각각에 구비된 지지롤러(525)는 대응되는 알루미늄 전선(10)의 가장자리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나서, 높이설정부재(522)가 상승함에 따라, 알루미늄 전선(10) 양측의 높이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한편, 양측의 높이가 동일하게 설정된 알루미늄 전선(10)은 양측의 도체(12)를 액체 상태의 납에 플럭스 디핑한다.
이에 따라, 플럭스디핑유닛(530)이 구비된다. 플럭스디핑유닛(530)은 도체(12)를 플럭스 디핑하도록 프레임(200)에 구비된다.
예로서, 도 11, 도 12 및 도 14에서처럼, 플럭스디핑유닛(530)은 하우징(531), 커버(532), 전후진작동부재(534), 저장플레이트(535) 및 흡수부재(536)를 포함한다.
하우징(531)은 프레임(20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액상의 도체물질(20)을 저장하며, 상측을 개방된다. 도체물질(20)은 납덩어리가 녹아 액상으로 변환된 상태이다.
도체물질(20)은 전압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도체(12)에 디핑 처리된다.
물론, 하우징(531)은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커버(532)는 하우징(531)의 개방된 상측을 막고, 거치부(400)의 클램핑블록(420)에 거치되어 고정된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도체(12)를 하우징(531)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홀(533)을 통공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531)이 상승하게 되면, 위치 고정된 도체(12)는 대응되는 개방홀(533)을 통해 하우징(531) 내부의 액상인 도체물질(20)에 자연적으로 잠기게 된다.
아울러, 전후진작동부재(534)는 프레임(200) 또는 바닥에 지지된 채 전후진되는 실린더로 한다.
또한, 저장플레이트(535)는 전후진작동부재(534)에 연결되어 도체(12)에 도포되어 낙하하는 도체물질(20)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체(12)가 도체물질(20)에 잠긴 후, 하우징(531)이 하강하게 되면, 도체물질(20)은 액상임에 따라 일부 낙하하게 된다.
도체물질(20)은 중금속이기 때문에 인체에 해롭다.
그래서, 저장플레이트(535)가 도체물질(20)을 받아 저장하게 된다.
특히, 도체물질(20)은 저장플레이트(535)에 낙하 후 되튀어 작업장을 오염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흡수부재(536)가 저장플레이트(535)에 구비되어 낙하하는 도체물질(20)을 흡수하게 된다. 흡수부재(536)는 스폰지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플럭스 디핑 처리된 도체(12)는 클리닝유닛(540)에 의해 표면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때, 도체물질(20)은 도체(12)에 묻은 상태로 자연 건조된 상태이다. 클리닝유닛(540)은 에어블로워나 초음파 세척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클리닝 처리된 도체(12)를 포함한 알루미늄 전선(10)은 이송부재(555)측으로 배출되기 위해 언로딩유닛(5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이송부재(555)는 컨베이어벨트 등으로 한다.
특히, 도 13에서처럼, 언로딩유닛(550)은 장착대(552) 및 로봇암(554)을 포함한다.
장착대(552)는 프레임(200)에 설치된다. 물론, 장착대(5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로봇암(554)은 장착대(552)에 구비되어 거치부(400)의 거치대(410)에 거치된 알루미늄 전선(10)을 설정 위치인 이송부재(555) 상으로 언로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알루미늄 전선(10)의 양측 가장자리를 클램핑하고 있는 클램핑블록(420)은 클램핑 해제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플럭스 디핑 장치 200: 프레임
300: 턴테이블 400: 거치부
410: 거치대 420: 클램핑블록
430: 푸시부 440: 유격안내부
500: 작업부 510: 트위스팅유닛
520: 인디게이팅유닛 530: 플럭스디핑유닛
540: 클리닝유닛 550: 언로딩유닛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 상에 일정간격 유격되게 구비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도체를 노출한 알루미늄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도체에 플럭스 디핑 작업을 하는 작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알루미늄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양측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클램핑하기 위해 한 쌍씩 구비되는 클램핑블록;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가장자리를 잡도록 한 쌍의 상기 클램핑블록이 접하도록 탄성적으로 미는 푸시부; 및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가장자리를 삽입하도록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상기 클램핑블록을 유격시키는 유격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푸시브라켓;
    상기 푸시브라켓 내측에 구비되는 푸시가이드샤프트;
    상기 푸시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클램핑블록을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하는 푸시노브; 및
    상기 푸시브라켓 내측에 대해 대응되는 상기 푸시노브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상기 클램핑블록이 상기 알루미늄 전선을 가압하도록 하는 푸시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안내부는,
    한 쌍의 상기 푸시노브에 대응되게 상기 턴테이블에 구비되는 유격실린더부재;
    상기 유격실린더부재 작동으로 전후진되는 유격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유격안내플레이트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전진되며 한 쌍의 상기 푸시노브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마주하는 푸시노브의 간격을 벌리는 유격안내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양측에 노출되는 도체를 트위스팅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트위스팅유닛;
    상기 알루미늄 전선의 양측 단부 높이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인디게이팅유닛;
    상기 도체를 플럭스 디핑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플럭스디핑유닛; 및
    상기 알루미늄 전선을 이송부재측으로 배출하는 언로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팅유닛은,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어퍼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플레이트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체를 가압하는 죠(ja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디핑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액상의 도체물질을 저장하며, 상측을 개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측을 막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도체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하기 위해 개방되는 개방홀을 통공한 커버;
    상기 프레임 또는 바닥에 지지된 채 전후진되는 전후진작동부재;
    상기 전후진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도체로부터 낙하하는 도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플레이트; 및
    상기 저장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낙하하는 도체물질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장착대; 및
    상기 장착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알루미늄 전선을 설정 위치로 언로딩하는 로봇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KR1020130119671A 2013-10-08 2013-10-08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KR101450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671A KR101450210B1 (ko) 2013-10-08 2013-10-08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671A KR101450210B1 (ko) 2013-10-08 2013-10-08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210B1 true KR101450210B1 (ko) 2014-10-13

Family

ID=5199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671A KR101450210B1 (ko) 2013-10-08 2013-10-08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2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9728A (zh) * 2015-04-07 2015-07-08 合肥日上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微特电机端子自动浸锡设备
CN117340464A (zh) * 2023-10-26 2024-01-05 肇庆理士电源技术有限公司 一种干法电池极耳自动焊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151A (ko) * 2001-01-16 2002-07-23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처리장치, 플럭스 도포장치 및 땜납 부착장치
KR20100019871A (ko) * 2008-08-11 2010-02-19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형광램프의 디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151A (ko) * 2001-01-16 2002-07-23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처리장치, 플럭스 도포장치 및 땜납 부착장치
KR20100019871A (ko) * 2008-08-11 2010-02-19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형광램프의 디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9728A (zh) * 2015-04-07 2015-07-08 合肥日上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微特电机端子自动浸锡设备
CN117340464A (zh) * 2023-10-26 2024-01-05 肇庆理士电源技术有限公司 一种干法电池极耳自动焊接装置
CN117340464B (zh) * 2023-10-26 2024-05-24 肇庆理士电源技术有限公司 一种干法电池极耳自动焊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33739B (zh) 包胶装置
CN107958774B (zh) 全自动电子变压器生产设备
JP6147267B2 (ja) ワイヤ配置装置
KR101450210B1 (ko)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CN204565606U (zh) 用于空气滤清器装配设备的供料装置
CN111446602B (zh) 电动汽车电源线自动化装配***
CN113783063A (zh) 一种线缆自动沾锡装置、方法及线缆自动处理工艺
CN112186461A (zh) 一种线缆及其剥线打端子设备和方法
CN108215928A (zh) 电动车充电时用的自动化机构
CN111162427A (zh) 一种电线端子自动铆压机
CN111786232A (zh) 一种实现先布线再压端子的机构
US2783525A (en) Wire twisting and tinning machine
CN211413969U (zh) 耳机头焊接设备
CN112038861A (zh) 一种卷绕形线缆打端子设备的沾锡下料装置和沾锡下料方法
CN209297906U (zh) 一种vcm线圈绕线机用线架自动上料机构
KR101463168B1 (ko)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용 인디게이팅 장치
CN112186460A (zh) 一种卷绕形线缆打端子设备的夹紧移动装置
CN210708049U (zh) 一种汽车线束生产的固定架
US6438818B1 (en) Electrical terminal implementation device
CN211465102U (zh) 具有吸废气机构的焊锡机和自动上料绕线焊锡检测生产线
CN111584409A (zh) 一种芯片自动涂硅脂的装置
CN218415592U (zh) ***切削装置及线圈剥皮机
CN110527938B (zh) 一种同轴电缆的端部涂锡装置和涂锡方法
CN216983328U (zh) 线束收纳机构及具有其的烙饼机
CN115890256B (zh) 复合铜排导电层的自动焊接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