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705B1 - 검사용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검사용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705B1
KR101448705B1 KR1020140101559A KR20140101559A KR101448705B1 KR 101448705 B1 KR101448705 B1 KR 101448705B1 KR 1020140101559 A KR1020140101559 A KR 1020140101559A KR 20140101559 A KR20140101559 A KR 20140101559A KR 101448705 B1 KR101448705 B1 KR 10144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 groove
crystal
region
maximum depth
groun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호
구황섭
김현제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4010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05B1/ko
Priority to CN201510400679.8A priority patent/CN10620767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부와의 체결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연결되며, 검사 대상물에 착탈되는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접촉하며, 양단이 축방향으로 연통되는 도전성 하우징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신호핀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신호핀을 둘러싸는 유전체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하우징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유전체에 의해 상기 신호핀과 절연되며, 해당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그라운드핀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그라운드핀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그라운드핀의 축방향 이동 후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사용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FOR INSPECTION}
본 발명은 검사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부와의 체결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은 케이블 중심에 놓인 내부도체, 이를 둘러싸는 절연물질, 외부도체 그리고 최 외각의 외부피복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의 내부도체를 동심원의 축으로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동심원구조에 의해서 일반적인 전선에 비하여 전기적인 간섭을 적게 받으면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각종 테스트 장치나 정밀 전자장치에 전기적인 신호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전달할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검사대상이 되는 장치의 접속부; 예를 들어 RF 스위치에 안정하게 접속시키면서도 손쉽게 탈착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가 요구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여러 방식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동축 커넥터의 구성 및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등록특허 10-0905888; 특허문헌 1)", "검사용 동축 커넥터 및 리셉터클(등록특허 10-1239309; 특허문헌 2)"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동축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연결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동축 커넥터을 검사 대상물의 접속부에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동축 커넥터의 연결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고, 좁은 공간에서 양손을 이용하여 동축 커넥터를 작동해야하기 때문에 검사 대상물의 접속부가 손상될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등록특허 10-0905888 (2009. 06. 25) 등록특허 10-1239309 (2013. 02. 26)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을 검사 대상물의 접속부에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연결되며, 검사 대상물에 착탈되는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접촉하며, 양단이 축방향으로 연통되는 도전성 하우징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신호핀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신호핀을 둘러싸는 유전체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하우징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유전체에 의해 상기 신호핀과 절연되며, 해당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그라운드핀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그라운드핀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그라운드핀의 축방향 이동 후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그라운드핀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결정 유닛은 축방향으로 상기 그라운드핀이 관통하되, 상기 그라운드핀이 관통되는 영역의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기가 배치되어 이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돌기가 단속되면서 상기 위치결정 유닛의 회전 및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다수의 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결정 유닛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정홈은 상기 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되되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면서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1 결정홈과;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에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1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2 결정홈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2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에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2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3 결정홈과;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3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에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3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4 결정홈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4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에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4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5 결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결정홈의 위치는 상기 제 1 결정홈 및 제 5 결정홈의 위치보다 상기 제 2 결정홈 및 제 4 결정홈의 위치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결정홈 내지 제 5 결정홈은 상기 위치결정 유닛의 내부공간에서 일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제 1 결정홈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결정홈군에 이어서 제 1 결정홈 내지 제 5 결정홈이 상기 위치결정 유닛의 내부공간에서 일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제 2 결정홈군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결정홈군의 제 5 결정홈은 제 2 결정홈군의 제 1 결정홈이 되고, 제 2 결정홈군의 제 5 결정홈은 제 1 결정홈군의 제 1 결정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유닛, 그라운드핀, 유전체 및 신호핀은 상기 신호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동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핀 및 그라운드핀은 각각 해당 후단부가 제 1 스프링 및 제 2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선단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접촉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그 내부공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부징의 내부에 상기 위치결정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전체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구획판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중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후단영역 내부에는 후단이 밀폐되고 선단으로 개구되는 원통형의 연결도체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도체의 후단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해당 내부에 상기 제 1 스프링이 배치되며, 해당 선단 개구영역으로 상기 신호핀의 후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 1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제 2 영역에는 상기 제 2 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그라운드핀의 후단영역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 대상물의 접속부에 그라운드핀을 접속시키고 하우징 유닛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그라운드핀 및 신호핀과 검사 대상물의 접속부를 손쉽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요부인 위치결정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연결되어서 검사 대상물의 접속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커넥터로서, 본 발명에서는 검사 대상물의 접속부로 RF 스위치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RF 스위치의 검사에 한정되지 않고,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접속부를 갖는 대상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요부인 위치결정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용 동축 커넥터(100)는 크게 하우징 유닛(110), 신호핀(120), 유전체(130), 그라운드핀(140) 및 위치결정 유닛(150)을 포함한다.
하우징 유닛(110)은 동축 케이블(10)에 연결되면서 그 내부에 상기 신호핀(120), 유전체(130), 그라운드핀(140) 및 위치결정 유닛(150)이 설치되는 수단으로서, 축방향으로 양단이 연통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유닛(110)은 제조 및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으로 구분하여 제작된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111)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10)이 연결되면서 외부도체(미도시)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112)은 상부 하우징(111)과 연통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하부에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개구된 상단은 커버(190)에 의해 밀폐되고, 하부 하우징(112)의 하단에는 상기 신호핀(120) 및 그라운드핀(140)이 관통되는 관통공(112a)이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하부 영역은 하단으로 향할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뒤집어진 원뿔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관통공(112a)의 직경은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원활한 축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직경보다는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그 내부공간을 축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판(111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내부영역 중 상기 구획판(111a)의 상부영역을 제 1 영역(111a1)이라 정의하고, 상기 구획판(111a)의 하부영역을 제 2 영역(111a2)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영역(111a1)의 내경과 제 2 영역(111a2)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유전체(130)의 고정을 위하여 제 1 영역(111a1)의 내경이 제 2 영역(111a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내부공간 내경은 상기 제 2 영역(111a2)의 내경보다 크게 하여 해당 내부공간에 상기 위치결정 유닛(150)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111) 및 하부 하우징(112)은 동축 케이블(10)의 외부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접지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하우징(111) 및 하부 하우징(112)을 황동으로 제조한다.
신호핀(120)은 동축 케이블(10)의 내부도체(1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RF 스위치(20)의 전극에 접촉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 유닛(110)의 삽입되어 해당 후단부가 동축 케이블(10)의 내부도체(11)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관통공(112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핀(120)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핀(pin)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구획판(111a)과 하부 하우징(112)의 관통공(112a)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신호핀(120)의 후단영역은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제 1 영역(111a1)에 배치되고, 선단영역은 하부 하우징(112)의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신호핀(120)은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항상 신호핀(120)의 선단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되도록 해당 후단부가 제 1 스프링(17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 1 스프링(170)은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신호핀(120)은 후단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항상 선단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핀(120)이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 1 스프링(170)을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제 1 영역(111a1)에 배치하기 위하여 연결도체(160)가 구비된다.
연결도체(160)는 후단이 밀폐되고 하단으로 개구되는 원통형의 도체로서, 그 내부에 상기 제 1 스프링(170)이 삽입되어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스프링(170)의 후단이 상기 연결도체(160)의 후단에 지지되고, 제 1 스프링(170)의 선단에 상기 신호핀(120)의 후단영역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호핀(120)의 후단영역 중 일부에 다른 영역보다 직경이 큰 스토핑부(121)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핑부(121)에 상기 제 1 스프링(170)의 선단을 연결한다. 상기 신호핀(120)의 스토핑부(121)는 상기 연결도체(160)의 내경보다 그 직경이 조금 작게 형성하여 상기 신호핀(120)이 연결도체(160)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도체(160)는 동축 케이블(10)의 내부도체(11)와 신호핀(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도체(160)의 후단으로 동축 케이블(10)의 내부도체(11)가 연결되고, 연결도체(160)의 선단이 제 1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신호핀(120)의 스토핑부(121)와 접촉된다.
상기 연결도체(160)와 신호핀(120)은 전도성 재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황동 또는 베릴륨동으로 제작된다.
유전체(130)는 상기 연결도체(160) 및 신호핀(120)을 상기 하우징 유닛(110) 및 그라운드핀(140)과 절연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연결도체(160) 및 신호핀(120)을 둘러싸면서 상기 하우징 유닛(11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유전체(130)는 상기 신호핀(120)과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구획판(111a)을 관통하여 하부 하우징(112)의 관통공(112a)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유전체(130)의 후단영역은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제 1 영역(111a1)에 배치되고, 선단영역은 하부 하우징(1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유전체(130)는 하우징 유닛(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후단영역의 외경이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제 1 영역(111a1)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다만, 유전체(130)의 선단영역 외경은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축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제 2 영역(111a2) 내경보다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두께만큼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유전체(130)의 외주면과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제 2 영역(111a2)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두께만큼의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핀(140)의 원할한 축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유전체(130)의 외주면과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제 2 영역(111a2)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그라운드핀(140)의 두께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 유전체(130)는 상기 연결도체(160) 및 신호핀(120)을 상기 하우징 유닛(110) 및 그라운드핀(140)과 절연시키기 위하여 절연재료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테프론으로 제작된다.
그라운드핀(14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00)는 RF 스위치(20)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10)의 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RF 스위치(20)의 접지부에 결합 또는 분리된다.
그라운드핀(14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제 2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유전체(130)의 선단영역을 둘러싸면서 해당 선단부가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관통공(112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그래서, 상기 그라운드핀(140)은 축방향으로 양단이 연통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선단영역에는 RF 스위치(20)의 접지부에 원할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42)가 소정 길이만큼의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42)는 그라운드핀(140)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선단은 후크부(143)가 형성되어 RF 스위치(20)에 형성된 접지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핀(140)의 후크부(143)가 RF 스위치(20)의 접지부에 형성된 후크홈(21)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핀(140)은 접지로서의 역할을 위하여 전도성 재료로 제작된다. 예들 들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라운드핀(140)은 베리륨동으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후단영역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돌기(1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핀(140)은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항상 그라운드핀(140)의 선단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되도록 해당 후단부가 제 2 스프링(18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제 2 스프링(180)은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 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해 그라운드핀(140)이 후단영역으로 이동되더라도 항상 선단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된다.
상기 제 2 스프링(18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제 2 영역(111a2)에 배치되되 그 후단이 상기 구획판(111a)에 지지되고, 그 선단에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후단영역이 고정된다.
한편, 위치결정 유닛(150)은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축방향 이동 후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내부영역에서 상기 그라운드핀(140)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 유닛(150)은 축방향으로 상기 그라운드핀(140)이 관통하되, 상기 그라운드핀(140)이 관통되는 영역의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기(141)가 배치되어 이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위치결정 유닛(150)의 내부공간에는 그 상단 및 하단에 상기 돌기(141)가 단속되면서 상기 위치결정 유닛(150)의 회전 및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다수의 결정홈(151~15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 유닛(150)은 제조 및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 회전체(150a)와 하부 회전체(150b)로 구분하여 제작된다.
이때, 상기 상부 회전체(150a) 및 하부 회전체(150b)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중앙으로는 상기 그라운드핀(140)이 관통하여 통과된다. 이때 상부 회전체(150a)와 하부 회전체(150b)는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회전체(150a)의 접합면에 결합돌기(156)를 형성하고, 하부 회전체(150b)의 접합면에 상기 결합돌기(156)가 삽입되는 결합홈(157)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156)와 결합홈(157)을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상부 회전체(150a)와 하부 회전체(150b)의 접합면에는 그라운드핀(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41)가 이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이 내부공간은 전술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핀(140)이 관통되는 영역의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되 그라운드핀(140)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만큼의 축방향 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부 회전체(150a)와 하부 회전체(15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다수의 결정홈(151~155)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결정홈(151~155)에 그라운드핀(140)의 돌기(141)가 접촉되면서 결정홈(151~155)의 형상 및 위치에 의해 상기 상부 회전체(150a) 및 하부 회전체(150b)를 일체로 회전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그라운드핀(140)의 위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결정 유닛(15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정홈(151~155)은 상기 내부공간의 하단 즉, 상기 하부 회전체(150b)의 상단에 형성되되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면서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1 결정홈(151)과;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 즉, 상기 상부 회전체(150a)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결정홈(151)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에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1 결정홈(151)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2 결정홈(152)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단 즉, 상기 하부 회전체(150b)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2 결정홈(152)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에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2 결정홈(152)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3 결정홈(153)과;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 즉, 상기 상부 회전체(150a)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3 결정홈(153)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에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3 결정홈(153)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4 결정홈(154)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단 즉, 상기 하부 회전체(150b)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4 결정홈(154)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에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4 결정홈(154)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5 결정홈(155)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결정홈(151)과 제 5 결정홈(155)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제 2 결정홈(152)과 제 4 결정홈(154)도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결정홈(153)은 상기 제 1 결정홈(151) 및 제 5 결정홈(155)의 위치보다 상기 제 2 결정홈(152) 및 제 제 4 결정홈(154)의 위치에 가깝게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그라운드핀(140)에 한 쌍의 돌기(141)를 형성하여 각각의 돌기(141)가 상기 다수의 결정홈(151~155) 중 동일한 결정홈(151~155)에 단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결정홈(151) 내지 제 5 결정홈(155)을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 형성한다. 부연하자면, 상기 제 1 결정홈(151) 내지 제 5 결정홈(155)은 상기 위치결정 유닛(150)의 내부공간에서 일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렇게 제 1 결정홈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결정홈(151) 내지 제 5 결정홈(155)과 각각 대향되도록 상기 제 1 결정홈군에 이어서 제 1 결정홈(151) 내지 제 5 결정홈(155)이 상기 위치결정 유닛(150)의 내부공간에서 일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제 2 결정홈군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제 1 결정홈군의 제 5 결정홈(155)은 제 2 결정홈군의 제 1 결정홈(151)이 되고, 제 2 결정홈군의 제 5 결정홈(155)은 제 1 결정홈군의 제 1 결정홈(151)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와 같이 동축 케이블(10)에 검사용 동축 커넥터(100)를 연결한 다음 동축 커넥터(100)의 직하방에 RF 스위치(20)를 위치시킨다. 이때 그라운드핀(140)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141)는 위치결정 유닛(150)의 제 1 결정홈(151)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동축 커넥터(100)와 RF 스위치(2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하우징 유닛(110)을 선단방향으로 가압하면, 도 5의 (b)와 같이 그라운드핀(140) 및 신호핀(120)이 RF 스위치(20)와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 유닛(110)을 하방으로 계속 가압하면 제 1 스프링(170)과 제 2 스프링(180)이 압축되면서 그라운드핀(140) 및 신호핀(120)이 후단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그라운드핀(140)의 이동에 의해 그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41)가 위치결정 유닛(150)의 제 2 결정홈(152)의 경사부분에 접촉되면서 제 2 결정홈(152)의 경사에 의해 위치결정 유닛(150)이 회전된다. 그래서 위치결정 유닛(150)의 회전이 이루어지다가 돌기(141)가 제 2 결정홈(152)의 최대 깊이영역에 도달하면 위치결정 유닛(15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하우징 유닛(110)에 가하고 있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도 5의 (c)와 같이 제 1 스프링(170) 및 제 2 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해 신호핀(120) 및 그라운드핀(140)이 선단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면서 신호핀(120) 및 그라운드핀(140)이 선단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신호핀(120)은 RF 스위치(20)의 전극에 접촉되고, 그라운드핀(140)은 RF 스위치(20)의 접지부에 결합된다. 특히 그라운드핀(140)이 선단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돌기(141)도 함께 선단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3 결정홈(153)의 경사부분에 접촉되면서 제 3 결정홈(153)의 경사에 의해 위치결정 유닛(150)이 회전된다. 그래서 위치결정 유닛(150)의 회전이 이루어지다가 돌기가 제 3 결정홈(153)의 최대 깊이영역에 도달하면 위치결정 유닛(15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때 제 3 결정홈(153)의 위치에 의해서 그라운드핀(140)의 절개부(142)가 형성된 부분이 소정 부분 하부 하우징(112)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되면서 그라운드핀(140)의 단부가 RF 스위치(20)의 접지부를 클램핑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RF 스위치(20)의 검사를 실시한다.
RF 스위치(20)의 검사가 종료되면, 작업자는 동축 커넥터(100)와 RF 스위치(20)의 분리를 위하여 다시 한번 하우징 유닛(110)을 선단방향으로 가압하면, 도 5의 (d)와 같이 제 1 스프링(170)과 제 2 스프링(180)이 압축되면서 그라운드핀(140) 및 신호핀(120)이 후단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그라운드핀(140)의 이동에 의해 그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41)가 위치결정 유닛(150)의 제 4 결정홈(154)의 경사부분에 접촉되면서 제 4 결정홈(154)의 경사에 의해 위치결정 유닛(150)이 회전된다. 그래서 위치결정 유닛(150)의 회전이 이루어지다가 돌기(141)가 제 4 결정홈(154)의 최대 깊이영역에 도달하면 위치결정 유닛(15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하우징 유닛(110)에 가하고 있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도 5의 (e)와 같이 제 1 스프링(170) 및 제 2 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해 신호핀(120) 및 그라운드핀(140)이 선단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면서 신호핀(120) 및 그라운드핀(140)이 선단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그라운드핀(140)이 선단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돌기(141)도 함께 선단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5 결정홈(155)의 경사부분에 접촉되면서 제 5 결정홈(155)의 경사에 의해 위치결정 유닛(150)이 회전된다. 그래서 위치결정 유닛(150)의 회전이 이루어지다가 돌기(141)가 제 5 결정홈(155)의 최대 깊이영역에 도달하면 위치결정 유닛(15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때 제 5 결정홈(155)의 위치에 의해서 그라운드핀(140)의 절개부(142)가 형성된 부분이 하부 하우징(112)의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가 되면서 그라운드핀(140)의 단부가 RF 스위치(20)의 접지부를 언클램핑하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작업자가 그라운드핀(140)을 RF 스위치(20)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결정홈군의 제 5 결정홈(155)은 제 2 결정홈군의 제 1 결정홈(151)이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동축 케이블 20: RF 스위치
100: 동축 커넥터 110: 하우징 유닛
111: 상부 하우징 112: 하부 하우징
120: 신호핀 130: 유전체
140: 그라운드핀 141: 돌기
142: 절개부 150: 위치결정 유닛
151 ~ 155: 결정홈 160: 연결도체
170: 제 1 스프링 180: 제 2 스프링

Claims (8)

  1.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연결되며, 검사 대상물에 착탈되는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접촉하며, 양단이 축방향으로 연통되는 도전성 하우징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신호핀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신호핀을 둘러싸는 유전체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하우징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유전체에 의해 상기 신호핀과 절연되며, 해당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그라운드핀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그라운드핀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그라운드핀의 축방향 이동 후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핀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결정 유닛은 축방향으로 상기 그라운드핀이 관통하되, 상기 그라운드핀이 관통되는 영역의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기가 배치되어 이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돌기가 단속되면서 상기 위치결정 유닛의 회전 및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다수의 결정홈이 형성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유닛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정홈은
    상기 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되되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면서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1 결정홈과;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에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1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2 결정홈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2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에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2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3 결정홈과;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3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에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3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상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4 결정홈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4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에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 4 결정홈 최대 깊이영역의 직하부 위치보다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최대 깊이영역이 형성되는 제 5 결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결정홈의 위치는 상기 제 1 결정홈 및 제 5 결정홈의 위치보다 상기 제 2 결정홈 및 제 4 결정홈의 위치에 가깝게 형성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정홈 내지 제 5 결정홈은 상기 위치결정 유닛의 내부공간에서 일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제 1 결정홈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결정홈군에 이어서 제 1 결정홈 내지 제 5 결정홈이 상기 위치결정 유닛의 내부공간에서 일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제 2 결정홈군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결정홈군의 제 5 결정홈은 제 2 결정홈군의 제 1 결정홈이 되고, 제 2 결정홈군의 제 5 결정홈은 제 1 결정홈군의 제 1 결정홈이 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 그라운드핀, 유전체 및 신호핀은 상기 신호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동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핀 및 그라운드핀은 각각 해당 후단부가 제 1 스프링 및 제 2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선단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접촉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그 내부공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부징의 내부에 상기 위치결정 유닛이 배치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구획판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중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후단영역 내부에는 후단이 밀폐되고 선단으로 개구되는 원통형의 연결도체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도체의 후단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해당 내부에 상기 제 1 스프링이 배치되며, 해당 선단 개구영역으로 상기 신호핀의 후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 1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제 2 영역에는 상기 제 2 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그라운드핀의 후단영역이 지지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KR1020140101559A 2014-08-07 2014-08-07 검사용 동축 커넥터 KR10144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559A KR101448705B1 (ko) 2014-08-07 2014-08-07 검사용 동축 커넥터
CN201510400679.8A CN106207677B (zh) 2014-08-07 2015-07-09 检查用同轴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559A KR101448705B1 (ko) 2014-08-07 2014-08-07 검사용 동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705B1 true KR101448705B1 (ko) 2014-10-10

Family

ID=5199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559A KR101448705B1 (ko) 2014-08-07 2014-08-07 검사용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8705B1 (ko)
CN (1) CN10620767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333B1 (ko) 2016-09-09 2018-04-06 (주)텔러스테크 신호 계측용 헤더
KR20190041860A (ko)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동축 커넥터
KR102061669B1 (ko) * 2018-07-25 2020-01-03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양방향 도전성 모듈
WO2021246748A1 (ko) *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2851B (zh) * 2021-11-30 2024-01-30 苏州毕毕西通讯***有限公司 一种高效精准的检测同轴连接器导体偏移的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910A (ja) 2001-10-12 2003-04-25 Murata Mfg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の測定装置
KR20080004499A (ko) * 2006-01-13 2008-01-09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
KR20100031626A (ko) * 2008-07-16 2010-03-2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JP2012099246A (ja) 2010-10-29 2012-05-24 Murata Mfg Co Ltd 検査用同軸コネクタ及びプロー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8887B1 (en) * 2006-05-30 2007-10-09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Integrated filter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910A (ja) 2001-10-12 2003-04-25 Murata Mfg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の測定装置
KR20080004499A (ko) * 2006-01-13 2008-01-09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
KR20100031626A (ko) * 2008-07-16 2010-03-2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JP2012099246A (ja) 2010-10-29 2012-05-24 Murata Mfg Co Ltd 検査用同軸コネクタ及びプローブ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333B1 (ko) 2016-09-09 2018-04-06 (주)텔러스테크 신호 계측용 헤더
KR20190041860A (ko)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동축 커넥터
KR102061669B1 (ko) * 2018-07-25 2020-01-03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양방향 도전성 모듈
WO2021246748A1 (ko) *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7677B (zh) 2017-06-30
CN106207677A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05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KR101504873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JP6818764B2 (ja) テストソケット組立体
KR101897996B1 (ko) 프로브
US8323054B2 (en) Coaxial connector
JP5133196B2 (ja) プローブコネクタ
US8043118B1 (en) Coaxial connector with a housing with a contact member and a conductor coaxial with the housing
KR101531747B1 (ko) 전자의료 디바이스용 소켓 장치
JP7226520B2 (ja) プローブ素子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
TW201833559A (zh) 探針結構
TWI700497B (zh) 測試裝置
JP5727003B2 (ja) 無線受信機のためのアンテナインタフェース
KR20120010200A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및 리셉터클
US11320461B2 (en) Probe unit
EP3048672A1 (en) Low passive intermodulation coaxial connector test interface
JP2009129690A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及び検査用プラグコネクタ、並びに回路検査スイッチ
CN102365790B (zh) 检查用同轴连接器
JP2020537161A (ja) 検査装置
JP2019002910A (ja) 試験プローブ・チップ
TWI778588B (zh) 檢查用連接器及檢查用單元
US20230216241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9158176A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及び検査用プラグコネクタ、並びに回路検査スイッチ
US20220146552A1 (en) Contact probe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JP7243860B2 (ja) 検査用プローブ装置及びコネクタ検査方法
JP7491337B2 (ja) 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