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618B1 - Reinforced sound absorption finish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inforced sound absorption finish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618B1
KR101446618B1 KR1020120123556A KR20120123556A KR101446618B1 KR 101446618 B1 KR101446618 B1 KR 101446618B1 KR 1020120123556 A KR1020120123556 A KR 1020120123556A KR 20120123556 A KR20120123556 A KR 20120123556A KR 101446618 B1 KR101446618 B1 KR 10144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scrim
polyolefin foam
nonwoven fabric
glass fib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8278A (en
Inventor
금병찬
Original Assignee
우진폼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폼테크(주) filed Critical 우진폼테크(주)
Publication of KR2014003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2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보강스크림을 별도의 공정으로 제작하여 생산성과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열가소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폼의 사용으로 딥드로잉(deep drawing)이 가능하도록 곡면성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부 천정과 같이 복잡한 표면을 갖는 마감재로의 가공을 가능하게 하여 설계자유도를 높이고, 강도가 우수한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보강스크림이 더욱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스크림이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적층되는 유리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스크림이 상기 부직포와 상기 유리섬유 사이에 열융착재를 개재시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productivity and the defective rate by separately forming the reinforcing scrim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and at the same time, the polyolefin foam having excellent thermoplastic properties can be used to form dee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sound-absorbing an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a high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a finishing material having a complicated surface such as an automobile interior ceil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herein the reinforcing scrim further comprises a nonwoven fabric and glass fiber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wherein the reinforcing scrim is disposed between the nonwoven fabric and the glass fiber, Bonded by fusion bonding.

Description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Reinforced sound absorption finish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reinforcement material,

본 발명은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보강스크림을 별도의 공정으로 제작하여 생산성과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열가소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폼의 사용으로 딥드로잉(deep drawing)이 가능하도록 곡면성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부 천정과 같이 복잡한 표면을 갖는 마감재로의 가공을 가능하게 하여 설계자유도를 높이고, 강도가 우수한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scrim attached to both sides of a sheet-like polyolefin foam by a separate process to minimize productivity and defective rate, This excellent polyolefin foam has excellent moldability for deep drawing to enable deep drawing, which makes it possible to process into a finishing material having complex surface such as automobile interior ceiling, to increase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흡음재나 마감재, 또는 내장재 등은 건축물의 실내ㆍ외에서부터 자동차의 실내 천정에까지 매우 다양한 곳에서 쓰여지고 있다.Generally, sound-absorbing materials, finishing materials, and interior materials are used in a wide variety of places, from indoor and outdoor of buildings to interior ceiling of automobiles.

이러한 종래의 마감재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장 마감재 제조에 필요한 길이 이상의 폴리우레탄폼(10)이 이송컨베이어(20)의 구동에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폴리우레탄폼(1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4개의 롤(1, 2, 3, 4)이 구비되어 있다. 이 롤(1, 2, 3, 4)들에는 내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각각 부직포(30)와 제 1 수지필름(31), 글래스매트(32)와 제 2수지필름(33)이 안내되어 해당 위치에서 이송되는 폴리우레탄폼(10)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되도록 이송된다.Such conventional processes for producing a finishing material are as follows. As shown in Fig. 1, the polyurethane foam 10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at required for producing the built-in finishing material is convey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conveying conveyor 20. Four rolls 1, 2, 3 and 4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lyurethane foam 10, respectively. The nonwoven fabric 30, the first resin film 31, the glass mat 32 and the second resin film 33 are guided sequentially from the inner side of the rolls 1, 2, 3 and 4, And is transport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lyurethane foam 10 to be transported.

즉, 1차적인 폴리우레탄폼(10)의 일면 접착 및 라미네이팅을 위하여 각 롤(1, 2, 3, 4)에 권취된 제 1수지필름(31)과 제 2수지필름(33), 글래스매트(32)와 부직포(30)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어 폴리우레탄폼(10)을 실어서 프레스(40)와 히트챔버(50) 사이에 위치된다. 히트챔버(50)와 프레스(40)는 그 사이에 폴리우레탄폼(10)이 위치되었을 때 승강 및 하강에 의하여 폴리우레탄폼(10)과 글래스매트(32) 및 부직포(30)를 열압착시킨다. 이때,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프레스(40) 또는 히트챔버(50)만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프레스(40)와 히트챔버(50) 둘 모두 승하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히트챔버(50)와 프레스(40)의 간격을 목적하는 소정 간격으로 설정해 놓고 상기 적층물을 그 틈으로 유도하는 식으로 열압착을 수행할 수도 있다.That is, the first resin film 31 and the second resin film 33 wound on each of the rolls 1, 2, 3 and 4 for the one-sided bonding and laminating of the primary polyurethane foam 10, The nonwoven fabric 32 and the nonwoven fabric 30 are transported in the same direction to place the polyurethane foam 10 between the press 40 and the heat chamber 50. The heat chamber 50 and the press 40 thermocompression the polyurethane foam 10, the glass mat 32 and the nonwoven fabric 30 by lifting and lowering when the polyurethane foam 10 is positioned therebetween . At this time, only the press 40 or the heat chamber 50 can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and both the press 40 and the heat chamber 50 can be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Or by setting the gap between the heat chamber 50 and the press 4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guiding the laminate to the gap.

다른 방법으로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롤(1, 2, 3, 4)을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폴리우레탄폼(10)의 상면과 하면에서 동시에 가열한 후 프레스(40)를 통해 동시에 가압을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rolls 1, 2, 3 and 4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lyurethane foam 10 may be heat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lyurethane foam 10, respectively, Pressure can be applied at the same time.

여기서, 열압착을 위한 히트챔버(50)는 도시되지 않은 전열장치가 내장된 것으로서 약 150℃ 내지 190℃ 정도로 가열된다. 이렇게 가열된 히트챔버로 압착됨은 폴리우레탄폼(10)과 글래스매트(32) 사이에 위치되는 제 1수지필름(31)과, 글래스매트(32)와 부직포(30)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제 2수지필름(33)은 재질 특유의 저융점 특성으로 열로 인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Here, the heat chamber 50 for thermocompression bonding has a built-in heat transfer device (not shown) and is heated to about 150 to 190 ° C. The first resin film 31 positioned between the polyurethane foam 10 and the glass mat 32 pressed by the heated heat chamber and the second resin film 31 positioned between the glass mat 32 and the non- The resin film (33) has a low melting point characteristic unique to a material and has an adhesive force due to heat.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마감재 제조공정은 폴리우레탄폼(10)이 이송컨테이너(20)를 따라 이송될 때, 폴리우레탄폼(10)의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부직포(30)와 제 1수지필름(31), 글래스매트(32), 그리고 제 2수지필름(33)이 위치되고 프레스(40)와 히트챔버(50)로 가압과 가열을 하여 하나의 공정에서 모든 작업을 수행한다. 때문에, 생산된 마감재의 불량률이 높고 시간이 지체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polyurethane foam 10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container 20, the conventional process for producing a finish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nonwoven fabric 30 and the first resin film 10 to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lyurethane foam 10, The first resin film 31, the glass mat 32 and the second resin film 33 are positioned and pressurized and heated to the press 40 and the heat chamber 50 to perform all operations in one proces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ed finish material is high, the time is delay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또한, 부직포(30)와 글래스매트(32), 제 1수지필름(31)을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여 설치비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동반되었다.In addition, the mounting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nonwoven fabric 30, the glass mat 32, and the first resin film 31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또한 폴리우레탄폼으로 제조되는 마감재는 곡면성형성이 저열하여 자동차 내부 천정과 같이 복잡한 표면을 따라 딥드로잉을 수행하는 경우, 층간 분리가 일어나 마감재가 파손되거나 곡면성형이 아예 불가능하여, 설계자유도에 제한이 있으며, 강도가 높지 않아 내장재의 설치가 용이치 않거나 불가능하다는 점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when a deep drawing is performed along a complex surface such as an automobile interior ceiling due to a low degree of curvature formability of a finish material made of a polyurethane foam, delamination occurs and the finish material is broken or curved surface formation is impossible. And the strength is not so high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is inconvenient or im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마감재의 제조공정을 분리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capable of reducing the defective ratio and reducing the cost by separa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nishing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e.

본 발명은 또한 열가소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폼의 사용으로 딥드로잉이 가능하도록 곡면성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부 천정과 같이 복잡한 표면을 갖는 마감재로의 가공을 가능하게 하여 설계자유도를 높이고, 강도가 우수한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finishing material having a complicated surface such as an automobile interior ceiling due to excellent curved surface formability so that deep drawing can be performed by using a polyolefin foam excellent in thermoplasticity,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는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보강스크림이 더욱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스크림이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적층되는 유리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스크림이 상기 부직포와 상기 유리섬유 사이에 열융착재를 개재시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inforced screed comprising a nonwoven fabric and a glass fib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wherein the reinforcing scrim is formed by laminating a reinforcing scrim on both sides of a sheet-like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is joined by heat fusion between the nonwoven fabric and the glass fiber with a heat seal material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폴리올레핀폼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The polyolefin constituting the polyolefin foam may preferabl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ethylene homopolymer, a polypropylene homopolymer, a polyethylene / polypropylene copolymer, and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단량체 10 내지 30중량%와 프로필렌 단량체 70 내지 90중량%를 공중합시켜서 수득되는 것이 될 수 있다.The polyethylene / polypropylene copolymer may preferably be obtained by copolymerizing 10 to 30% by weight of an ethylene monomer and 70 to 90% by weight of a propylene monomer.

상기 보강스크림이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열융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열융착은 열융착재가 개재되어 열융착재의 용융에 의한 열융착이나 또는 별도의 열융착재 없이 상기 폴리올레핀폼의 부분용융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scrim is thermally fused to both surfac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The heat-sealing is performed by heat-sealing the heat-sealable material, Or by heat fusion by heat.

상기 열융착재는 수지필름 또는 핫 멜트 파우더가 될 수 있다.The hot melt adhesive may be a resin film or a hot melt powder.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reinforced sound-

보강스크림을 제조하는 제 1공정과, 상기 보강스크림을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적층하여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를 제조하는 제 2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d a second step of laminating the reinforcing scrim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to produce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여기에서 상기 제 1공정이In this case,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부직포 상면에 열융착재와 유리섬유가 적층 또는 산포되는 단계와;A step of laminating or scattering a heat seal material and glass fi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conveyed along the conveyor;

제 1가열부를 통해 상기 열융착재를 융해시켜 상기 유리섬유를 상기 부직포에 융착시키는 단계와;Fusing the glass fiber to the nonwoven fabric by melting the thermally fusible material through a first heating part;

상기 부직포와 상기 유리섬유를 가압하여 일체화시켜 수득되는 보강스크림을 절단 또는 롤에 이송되는 단계;A step of cutting or transferring the reinforcing scrim obtained by pressing and integrating the nonwoven fabric and the glass fiber together;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 RTI > And

상기 제 2공정이 The second step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이 적층되는 단계와;Stacking the reinforcing scrim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 사이에 열융착재가 구비되어 가열부에 의해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이 가열융착되는 단계와;Wherein the plate-shaped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are heated and fused by a heating unit, wherein the plate-like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are provided with a heat-sealing material;

상기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이 일체화 되어 수득되는 마감재가 절단되는 단계;A step of cutting the finish material obtained by integrating the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보강스크림을 제조하는 제 1공정과, 상기 보강스크림을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적층하여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를 제조하는 제 2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d a second step of laminating the reinforcing scrim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to produce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여기에서 상기 제 1공정이In this case,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부직포 상면에 열융착재와 유리섬유가 적층 또는 산포되는 단계와;A step of laminating or scattering a heat seal material and glass fi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conveyed along the conveyor;

제 1가열부를 통해 상기 열융착재를 융해시켜 상기 유리섬유를 상기 부직포에 융착시키는 단계와;Fusing the glass fiber to the nonwoven fabric by melting the thermally fusible material through a first heating part;

상기 부직포와 상기 유리섬유를 가압하여 일체화시켜 수득되는 보강스크림을 절단 또는 롤에 이송되는 단계;A step of cutting or transferring the reinforcing scrim obtained by pressing and integrating the nonwoven fabric and the glass fiber together;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 RTI > And

상기 제 2공정이 The second step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이 적층되는 단계와;Stacking the reinforcing scrim on both sides of the polyolefin foam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가열부에 의해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이 가열융착되는 단계와;The step of heating and welding the plate-shaped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by a heating unit;

상기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이 일체화 되어 수득되는 마감재가 절단되는 단계;A step of cutting the finish material obtained by integrating the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상기 제 2공정은 상기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이 적층되기 이전에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 또는 상기 보강스크림의 유리섬유층 쪽의 표면 중의 어느 한 표면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폼의 양면과 상기 보강스크림의 유리섬유층 쪽의 표면 모두를 거칠게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tep may be carried out before the reinforcing scrim is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polyolefin foam, either on either the surface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o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fiber layer of the reinforcing scrim or both surfaces of the polyolefin foam, And roughening all of the surfaces of the glass fiber layer side of the glass fiber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재의 제조공정을 분리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제공된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reinforced sound-and-heat finishing material capable of sepa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finishing material to reduce defective rate and cos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폼의 사용으로 딥드로잉이 가능하도록 곡면성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부 천정과 같이 복잡한 표면을 갖는 마감재로의 가공을 가능하게 하여 설계자유도를 높이고, 모듈설계가 가능하도록 하고, 강도가 우수한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a polyolefin foam having excellent thermoplastic property is excellent in curved surface formability so that deep drawing can be perform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work into a finishing material having a complicated surface such as an automobile interior ceiling,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excellent in strength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마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를 제조하는 공정의 하나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를 제조하는 공정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 1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공정으로 제조된 보강스크림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 2공정의 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 2공정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1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finishing material,
2A is a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room-strengthened sound-absorbing finis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first step of the room-strengthened sound-absorbing finish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scrim manufactured in the firs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one specific example of the second step of the room-strengthened sound-absorbing finish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nother specific example of the second step of the room-strengthened sound-absorbing finish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6C.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300)는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에 보강스크림이 더욱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스크림이 부직포(130)와, 상기 부직포(130)의 일면에 적층되는 유리섬유(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스크림이 상기 부직포(130)와 상기 유리섬유(140) 사이에 열융착재(150a)를 개재시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경량이면서도 다공성이어서 단열, 차음 효과가 높은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을 부직포(130)와 유리섬유(140)로 이루어지는 보강스크림으로 적층, 보강하여 더욱 강화되면서도 외관이 미려하고, 부직포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에 기인하여 취급이 용이한 내장재(300)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장재(300)는, 기존의 내장재, 특히 폴리우레탄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내장재에 비하여, 열가소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딥드로잉(deep drawing)이 가능할 정도로 곡면성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부 천정과 같이 복잡한 표면을 갖는 마감재로의 가공을 가능하게 하여 설계자유도가 높고, 설계의 자유로움과 강도에 기초하여 모듈설계, 즉 단위체들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강도가 우수하여 성형 후 변형이 일어나지 않음은 물론 본래의 내장재로서의 높은 단열성과 차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열에 의한 소성가공이 가능한 열가소성의 폴리올레핀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 점이다.As shown in FIG. 6A, the room-strengthen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urther laminating reinforcing scrims on both sides of a sheet-like polyolefin foam 210, wherein the reinforcing scrim is formed by a non- Wherein the reinforcing scrim is thermally fused between the nonwoven fabric 130 and the glass fiber 140 through a thermal welding material 150a,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refore, both sides of the polyolefin foam 210 which is lightweight and porous and has a high effect of heat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are stacked and reinforced with a reinforcing scrim made of the nonwoven fabric 130 and the glass fiber 140 to be further strengthened, An inner material 300 that is easy to handle due to mechanical properties is provided. The interior material 3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excellent in curvature formability so that deep drawing can be performed by using a polyolefin foam having excellent thermoplastic properties as compared with an interior material made of a conventional interior material, particularly, a polyurethane foam It can be processed into a finishing material having a complicated surface such as an automobile interior ceiling,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is high,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module design, that is, a unit structure based on the freedom of design and strength,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as an original interior material as well as no post-deformation. This is made possible by using a thermoplastic polyolefin foam capable of plastic working by heat.

상기 폴리올레핀폼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올레핀수지로도 불리워지는 상기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등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단독 중합체 또는 이종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총칭한다. 폴리올레핀의 일반적 특징은 비중이 작고, 내약품성, 내수성이 우수하고, 전기적 성질이 좋은 점이다. 특히, 폴리올레핀은 대부분 열가소성을 가지며, 결정화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다른 합성수지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용융될 수 있어 성형성이 우수하고, 가열가압에 의하여 자가융착성을 갖는다. The polyolefin constituting the polyolefin foam may preferabl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ethylene homopolymer, a polypropylene homopolymer, a polyethylene / polypropylene copolymer, and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The polyolefin,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an olefin resin,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homo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monomer having a double bond such as ethylene, propylene or butene, or a copolymer thereof with a hetero olefin. Polyolefins generally have a small specific gravity,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and good electrical properties. Particularly, polyolefins are mostly thermoplastic and can be melt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other synthetic resins, though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crystallinity, so that they are excellent in moldability and self-fusible by heating and pressing.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나 열융착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순 가열가압에 의하여 다른 물체와 열융착되는 자가융착성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Theref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lf-adhesive property that is thermally fused with another object by simple heating and pressing without using an adhesive or a heat-sealing material.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단량체 10 내지 30중량%와 프로필렌 단량체 70 내지 90중량%를 공중합시켜서 수득되는 것이 될 수 있다.The polyethylene / polypropylene copolymer may preferably be obtained by copolymerizing 10 to 30% by weight of an ethylene monomer and 70 to 90% by weight of a propylene monomer.

상기 보강스크림과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은 서로 열융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열융착은 별도의 열융착재 없이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의 부분용융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스크림과 열융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은 폼을 구성하는 고분자 재료 자체가 열가소성이 우수한 고분자 재료이기 때문에 별도의 열융착재(150a)를 개재시키지 않고도 폴리올레핀폼(210) 자체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에 상기 보강스크림을 직접 가열가압에 의해 열융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융착제를 개재시키지 않고도 폴리올레핀폼(210) 자체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열융착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원가절감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reinforcing scrim and the polyolefin foam 210 are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and the heat fusion can be combined by heat fusion by partial melting of the polyolefin foam 210 without a separate thermal fusing material. The polyolefin foam 210 fixed to the reinforcing scrim by being thermally fused is a polymer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oplasticity because the polymer material itself constituting the foam is a polymeric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that the polyolefin foam 210 itself The reinforcing scrim can be thermally fused to both surfaces of the polyolefin foam 210 by direct heating and pressing using thermoplasticit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hermo-fusion of the polyolefin foam 210 itself can be utilized without interposing the heat sealant,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the cost can be obtained.

물론, 상기 보강스크림과 상기 폴리올레핀폼(210) 사이, 특히,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 모두에 열융착재(150b)를 개재시켜서 가열가압에 의해 열융착시킬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의 일측면에만 상기 열융착재(150b)를 개재시켜 상기 보강스크림과 열융착시켜 고정시키거나 또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들과 상기 보강스크림 사이 모두에 상기 열융착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상기 폴리올레핀폼(210) 자체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열융착시킬 수 있다.Of course, both the surfaces of the polyolefin foam 210 can be thermally fused with the heat sealant 150b between the reinforcing scrim and the polyolefin foam 210,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6A, by heating and pressing Of course, can be understood.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B, the polyolefin foam 210 is fixed to the one side of the polyolefin foam 210 by thermally fusing with the reinforcing scrim through the heat-sealing material 150b, It is possible to thermally melt both the surfaces of the polyolefin foam 210 and the reinforcing scrim using the thermoplasticity of the polyolefin foam 210 itself without interposing the heat sealant.

상기 열융착재(150a, 150b)는 수지필름 또는 핫 멜트 파우더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필름 또는 핫 멜트 파우더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The hot melt adhesive 150a or 150b may be a resin film or a hot melt powder. Such a resin film or hot melt powder may be understood to be readily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pplied by leading domestic and foreign manufacturers.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130)와 유리섬유(140)를 적층시켜 보강스크림(110)을 제조하는 제 1공정(100)과, 상기 보강스크림(110)을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에 적층하여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300)를 제조하는 제 2공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 1공정(100)이 컨베이어, 바람직하게는 제 1컨베이어(160)를 따라 이송되는 부직포(130) 상면에 열융착재(150a)와 유리섬유(140)가 적층 또는 산포되는 단계와; 제 1가열부(170)를 통해 상기 열융착재(150a)를 융해시켜 상기 유리섬유(140)를 상기 부직포(130)에 융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130)와 상기 유리섬유(140)를 가압하여 일체화시켜 수득되는 보강스크림(110)을 절단 또는 롤에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 2공정(200)이 컨베이어, 바람직하게는 제 2컨베이어(162)를 통해 이송되는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110)이 적층되는 단계와;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과 상기 보강스크림(110) 사이에 열융착재(150b)가 구비되어 가열부, 바람직하게는 제 2가열부(172a)에 의해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과 상기 보강스크림(110)이 가열융착되는 단계와; 상기 폴리올레핀폼(210)과 상기 보강스크림(110)이 일체화 되어 수득되는 마감재(300)가 절단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1) preparing a reinforcing scrim 110 by laminating a nonwoven fabric 130 and glass fibers 140 And a second step (200) of laminating the reinforcing scrim (110)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210) to produce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300); Herein, the first step 100 is a step of stacking or scattering the heat-sealing material 150a and the glass fiber 14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30 conveyed along the conveyor, preferably the first conveyor 160 ; Fusing the glass fiber (140) to the nonwoven fabric (130) by melting the heat sealant (150a) through the first heating part (170); Cutting the reinforcing scrim (110) obtained by pressing and integrating the nonwoven fabric (130) and the glass fiber (140) and transporting the same to a roll; And stacking the reinforcing scrim 110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210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preferably the second conveyor 162, in the second step 200; A thermally fusible material 150b is provided between the plate-like polyolefin foam 210 and the reinforcing scrim 110 and the plate-like polyolefin foam 210 and the plate- A step in which the reinforcing scrim 110 is heated and fused; And cutting the finishing material 300 obtained by integrating the polyolefin foam 210 and the reinforcing scrim 110.

즉, 첨부된 도 2a 내지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은, 보강스크림(110)을 제조하는 제 1공정과(100), 제 1공정(100)으로 얻어진 상기 보강스크림(110)을 폴리우레탄폼(2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열융착하는 제 2공정(200)으로 구분된다.2A to 6C, the reinforced sound-absorb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the reinforcing scrim 110,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the reinforcing scrim 110, And a second step (200) of thermally fusing the reinforcing scrim (110) obtained on the polyurethane foam (210)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lyurethane foam (210).

상기 보강스크림(110)은 부직포(130)와 유리섬유(140), 그리고 제 1열융착재(1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공정(100)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The reinforcing scrim 110 includes a nonwoven fabric 130, a glass fiber 140, and a first heat sealant 150. The progress of the first step (100) is as follows.

도시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컨베이어(160)와 제 1가열부(170)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횡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 1컨베이어(160)의 전방에는 롤(180a,180b)이 위치된다. 이 롤(180a,180b)은 상기 부직포(130)가 안내되어 상기 제 1컨베이어(160)의 상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컨베이어(160)의 상부에는 상기 유리섬유(140)와 상기 제 1열융착재(150)가 도포되거나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140)는 불규칙적으로 절단된 단섬유 형태의 유리섬유(140)가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열융착재(150)는 핫 멜트 파우더(Hot Melt Powder)(150c) 또는 열융착필름(Hot Melt Film)(150a)으로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conveyor 160 and the first heating unit 170 are position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have the same height, and rolls 180a and 180b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conveyor 160, . The rolls 180a and 180b guide the nonwoven fabric 130 to be convey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veyor 160. [ The glass fiber 140 and the first heat sealant 150 are applied or laminated on the first conveyor 160. Here, the glass fibers 140 are coated with glass fibers 140 in the form of short fibers which are irregularly cut. The first hot-melt adhesive material 150 is provided as a hot melt powder 150c or a hot melt film 150a.

상기 핫 멜트 파우더(150c)는 미세한 입자로써 상기 유리섬유(140)와 함께 도포되는 것이고, 상기 열융착필름(150a)은 가공처리된 얇은 수지재이다. 상기 열융착필름(150a)을 사용할 경우, 상기 부직포(130)와 상기 유리섬유(140) 사이에 적층되는 것이다.The hot melt powder 150c is coated with the glass fibers 140 as fine particles, and the heat-sealable film 150a is a thin resin material processed. When the heat-sealable film 150a is used, the nonwoven fabric 130 and the glass fiber 140 are laminated.

상기 부직포(130) 상면에 적층된 상기 유리섬유(140)와 상기 제 1열융착재(150)는 제 1가열부(170)를 통해 열이 전달되어 상기 제 1열융착재(150)가 융해된다. 이때, 상기 부직포(130)와 상기 유리섬유(140)가 상기 제 1열융착재(150)로 인해 접착되는 것이다. 이후 프레스(190)나 압연기를 통해 상기 유리섬유(140)가 상기 부직포(130)에 가압된다. 공정에 따라서는 가열 후 냉각기를 통해 급속으로 냉각할 수도 있다.The glass fiber 140 and the first heat sealant 150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30 are heated by the first heat 170 to melt the first heat sealant 150 do. At this time, the nonwoven fabric 130 and the glass fiber 140 are adhered to each other due to the first heat sealant 150. Thereafter, the glass fiber 140 is pressed onto the nonwoven fabric 130 through the press 190 or the rolling mill. Depending on the process, it may be rapidly cooled through a cooler after heating.

이렇게 제 1공정(100)으로 얻어진 보강스크림(110)은 도시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상기 보강스크림(110)은 절단기를 통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거나 롤에 감기게 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The reinforcing scrim 110 obtained in the first step 100 is as shown in FIG. 4, and the reinforcing scrim 110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a cutter or wound on a roll, and then transferred to the next process .

상기한 제 1공정(100)이 진행된 후, 또는 제 1공정(100)으로 얻어진 상기 보강스크림(110)은 후속공정에서 사용되는 바, 제 2공정(200)은 다음과 같다.After the first step 100 is performed or the reinforcing scrim 110 obtained in the first step 100 is used in a subsequent step, the second step 200 is as follows.

도시된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컨베이어(162)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횡방향으로 제 2가열부(172a)가 위치된다. 이 제 2가열부(172a)는 상측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또다른 제 2가열부(172b)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컨베이어(162)의 전방에는 제 2열융착재(150')가 안내될 수 있도록 롤(180a,180b)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5a, the second heating portion 172a is positioned laterally so as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conveyor 162. As shown in Fig. Another second heating portion 172b is positioned so that the second heating portion 172a faces upward. In addition, rolls 180a and 180b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conveyor 162 so that the second hot-melt adhesive 150 'can be guided.

상기 제 2컨베이어(162)를 통해 폴리우레탄폼(210)이 상기 제 2가열부(172a,172b)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폼(2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보강스크림(110)이 위치되어 상기 폴리우레탄폼(210)과 동일하게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스크림(110)과 상기 폴리우레탄폼(210) 사이에는 상기 제 2열융착재(150')가 위치된다. 여기서, 제 2열융착재(150')는 제 1공정(100)에서 사용된 열융착필름(150b)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에 위치한 상기 보강스크림(1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열융착재로서 폴리에스터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폴리우레탄폼(210)의 하부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polyurethane foam 21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heating portions 172a and 172b through the second conveyor 162. [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scrim 1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lyurethane foam 210, and the polyurethane foam 210 i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olyurethane foam 210. The second heat sealant 150 'is positioned between the reinforcing scrim 110 and the polyurethane foam 210.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sealable film 150b used in the first step 100 is used as the second heat-sealable material 150 '.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scrim 11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can be adjusted to use the polyester powder as the heat-sealing material, but it can not be used under the polyurethane foam 210.

상기 제 2가열부(172a,172b)를 통해 이송될 때 상기 폴리우레탄폼(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제 2열융착재(150')가 융해된다. 그러므로, 상기 폴리우레탄폼(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110)이 열융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마감재(300)는 도시된 도 6a 내지 6c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상기 마감재(300)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보관되어진다.The second heat-sealable material 150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lyurethane foam 210 is melted when it is conveyed through the second heating parts 172a and 172b. Therefore, the reinforcing scrim 110 is thermally fus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lyurethane foam 210, respectively. 6A to 6C, and the finishing material 300 is cut and stored in a predetermined size.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130)와 유리섬유(140)를 적층시켜 보강스크림(110)을 제조하는 제 1공정(100)과, 상기 보강스크림(110)을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에 적층하여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300)를 제조하는 제 2공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 1공정(100)이 컨베이어, 바람직하게는 제 1컨베이어(160)를 따라 이송되는 부직포(130) 상면에 열융착재(150a)와 유리섬유(140)가 적층 또는 산포되는 단계와; 제 1가열부(170)를 통해 상기 열융착재(150a)를 융해시켜 상기 유리섬유(140)를 상기 부직포(130)에 융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130)와 상기 유리섬유(140)를 가압하여 일체화시켜 수득되는 보강스크림(110)을 절단 또는 롤에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 2공정(200)이 컨베이어, 바람직하게는 제 2컨베이어(162)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110)이 적층되는 단계와; 제 2가열부(172a)에 의해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과 상기 보강스크림(110)이 가열융착되는 단계와; 상기 폴리올레핀폼(210)과 상기 보강스크림(110)이 일체화 되어 수득되는 마감재(300)가 절단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inforced screed 110 may include the steps of laminating the nonwoven fabric 130 and the glass fiber 140 to form the reinforcing scrim 110, And a second step (200) of laminating the reinforcing scrim (110)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210) to produce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300); Herein, the first step 100 is a step of stacking or scattering the heat-sealing material 150a and the glass fiber 14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30 conveyed along the conveyor, preferably the first conveyor 160 ; Fusing the glass fiber (140) to the nonwoven fabric (130) by melting the heat sealant (150a) through the first heating part (170); Cutting the reinforcing scrim (110) obtained by pressing and integrating the nonwoven fabric (130) and the glass fiber (140) and transporting the same to a roll; And stacking the reinforcing scrim (110) on both sides of the polyolefin foam (210) to which the second process (200) is conveyed through a conveyor, preferably a second conveyor (162); The second polyolefin foam 210 and the reinforcing scrim 110 are heated and fused by the second heating portion 172a; And cutting the finishing material 300 obtained by integrating the polyolefin foam 210 and the reinforcing scrim 110.

상기한 방법은 특히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 중 어느 한 면 상에 열융착되는 상기 보강스크림(110)과의 사이 또는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 모두의 상부에 열융착되는 상기 보강스크림(110)들과의 사이에 열융착재(150b)의 적용 없이 열가소성을 갖는 상기 폴리올레핀폼(210) 자체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스크림(110)과의 가열가압에 의한 열융착을 수행하여 고정시키는 데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ethod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reinforcing scrim 110 is thermally fused to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210 and the upper side of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210 The thermo-fusing of the reinforcing scrim 110 with the reinforcing scrim 110 is performed by using the thermoplasticity of the thermoplastic polyolefin foam 210 itself without application of the heat-sealing material 150b And can be applied to fix it.

상기 제 2공정(220)은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110)이 적층되기 이전에 판상의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 또는 상기 보강스크림(110)의 유리섬유(140)층 쪽의 표면 중의 어느 한 표면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의 양면과 상기 보강스크림(110)의 유리섬유(140)층 쪽의 표면 모두를 거칠게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의 어느 한 면에 고정되는 보강스크림(110)과의 사이에 열융착재(150b)를 사용하지 않고도 높은 열융착에 의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즉, 보강스크림(110)의 표면이나 유리섬유(140)층의 표면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거칠게 가공함으로써 접촉면적 및 접촉효율을 높여 상기 폴리올레핀폼(210)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폴리올레핀폼(210)의 표면을 부분용해시켜 열접착이 보다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는 단계는 쇠브러시(iron brush), 바람직하게는 롤과 같이 회전하는 원형의 쇠브러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 220 may be per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210 or the glass fibers 140 of the reinforcing scrim 110 before the reinforcing scrims 110 are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polyolefin foam 210. [ ) Surface of the polyolefin foam 210 or both surfaces of the polyolefin foam 210 and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scrim 110 on the glass fiber 140 side. By performing such a process, it is possible to fix by high heat fusion without using the heat-sealing material 150b between the reinforcing scrim 110 fixed to one side of the polyolefin foam 210 and the reinforcing scrim 110 . That is, either or both of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scrim 110 and the surface of the glass fiber 140 layer is roughen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and the contact efficiency, and the polyolefin foam 210 ) Is partially dissolved to make the thermal bonding more tightly. The step of roughing the surface as described above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way as using an iron brush, preferably a circular iron brush rotating like a rol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1 One

부직포와 유리섬유를 적층시켜 보강스크림을 제조하고, 상기 보강스크림을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적층하여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300)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상기 보강스크림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부직포 상면에 열융착재와 유리섬유를 산포시키고, 상기 열융착재를 융해시켜 상기 유리섬유를 상기 부직포에 융착시켜서 제조되고, 별도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을 적층시키고, 가열에 의하여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을 서로 열융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를 수득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올레핀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물성을 갖는 폴리올레핀폼(프로필렌 단량체 80중량% : 에틸렌 단량체 20중량%의 공중합체)을 사용하였다.A reinforcing scrim was produced by laminating a nonwoven fabric and a glass fiber, and the reinforcing scrim wa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to prepare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300, And the glass fiber is fused to the nonwoven fabric. The reinforcing scrim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which is conveyed through a separate conveyor, And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are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by heating to obtain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olefin foam used herein was a polyolefin foam having a physical property as shown in Table 1 (80 wt% of propylene monomer: 20 wt% of ethylene monomer).

세목Refinement 단위unit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value 겉보기 밀도Apparent density g/㎤g / cm3 -- 0.04240.0424 인장강도The tensile strength ㎏/㎠Kg / cm2 기계 종방향(M)Machine longitudinal direction (M) 10.710.7 기계 횡방향(CM)Machine lateral direction (CM) 8.78.7 신장율Elongation rate %% 기계 종방향(M)Machine longitudinal direction (M) 235235 기계 횡방향(CM)Machine lateral direction (CM) 105105 인열강도Phosphorus strength ㎏/㎝Kg / cm 기계 종방향(M)Machine longitudinal direction (M) 4.84.8 기계 횡방향(CM)Machine lateral direction (CM) 6.76.7 가열치수변화
(120℃, 1시간)
Heating dimension change
(120 占 폚, 1 hour)
%% 기계 종방향(M)Machine longitudinal direction (M) -1.8-1.8
기계 횡방향(CM)Machine lateral direction (CM) -1.3-1.3 압축경도Compressive hardness ㎏/㎠Kg / cm2 -- 0.450.45 * 시험법 ; KS M 3014-96
* + ; 팽창을 표시, - ; 수축을 표시
* M ; Machine Direction, CM ; Cross Machine Direction
* Test method; KS M 3014-96
* +; Displaying swelling; Display contraction
* M; Machine Direction, CM; Cross Machine Direc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상기 폴리올레핀폼 대신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고, 상기 보강스크림과 상기 폴리우레탄폼 사이에 열융착 필름을 개재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를 수득하였다.An acoustic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polyurethane foam was used in place of the polyolefin foam, and a heat-sealable film was interposed between the reinforcing scrim and the polyurethane foam.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굴곡강도, 굴곡탄성율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만능재료시험기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 모델명 - H5KT, 제조회사 - 하운스필드(HOUNSFIELD), 제조회사 국적 - 영국)을 사용하였으며, 측정에 사용된 시편의 규격은 150㎜*150㎜, 시험방법은 ASTM 규격 및 MS SPEC 257-13에 따라 측정하였다.The bending strength and flexural modulus of the room-strengthened sound-absorbing finish obtain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The specimens used for the measurement were 150 mm * 150 mm, and the test specimens used for the test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test specimens. The test specimens used were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name: H5KT, manufactured by HOUNSFIELD, The method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standard and MS SPEC 257-13.

구분division 굴곡강도
(N/50㎜)
Flexural strength
(N / 50 mm)
굴곡탄성율
(MPa)
Flexural modulus
(MPa)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기계 종방향Machine direction 2424 117.5117.5 기계 횡방향Machine transverse direction 1818 122.1122.1 실시예 1Example 1 기계 종방향Machine direction 3636 298298 기계 횡방향Machine transverse direction 3131 306306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볼 때, 굴곡강도의 면에서 58 내지 66%의 증가, 굴곡탄성율의 면에서 약 250%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특히 자동차의 헤드라이너(Head Liner)의 모듈화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특히, 최근 자동차에서 상용화되는 파노라마 선루프의 경우, 투피스(two pieces)로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헤드라이너 작업 시 보강철자재를 보충하는 것이 불가결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보강철자재의 사용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의 향상 및 원가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As shown in Table 2, the reinforced sound-absorbtion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a flexural strength of 58 to 66% in comparison with Comparative Example 1 using polyurethane, An increase of about 250% was confirmed. This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reely modularize the head liner of an automobil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panoramic sunroof which is commercialized in automobiles in recent years, it is made of two pieces, and therefore it is indispensable to supplement reinforcing springs when working a head liner. However, when the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omit the use of the reinforcing spelling material,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reducing the cost.

또한, 굴곡탄성률의 획기적인 증가로 기존에는 딥드로잉(Deep Drawing) 부분에서 터짐이 발생하였으나, 이러한 터짐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자유로운 성형에 따른 향상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a break in the deep drawing portion has occurred due to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flexural modulu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breakage and provide an improved appearance due to more free molding.

더욱이, 상기 실시예 1의 마감재의 중량이 655g/㎡ 임에 비하여 상기 비교예 1의 마감재의 중량은 853g/㎡로,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를 자동차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차체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어 연비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거기에 더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피스(two pieces)로 이루어지는 선루프 등의 적용에서도 헤드라이너 작업 시 보강철자재를 보강하지 않아도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여 차체의 중량감소에 의한 연비의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The weight of the finishing material of Comparative Example 1 is 853 g / m 2 compared to the weight of the finishing material of Example 1 of 655 g / m 2. In the case of using the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utomobiles,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application of a two-piece sunroof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ovide sufficient strength without reinforcing the reinforcement springs during the head liner work, And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fuel consumption by weight reduction.

또한, 비교예 1과 같은 폴리우레탄폼은 이소시아네이트의 질소기가 열분해 되는 경우에 시안화수소(청산개스)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마감재가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차량의 화재 시, 더욱 높은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폴리우레탄폼의 사용을 배제하고, 폴리올레핀폼을 사용하여 화재 시에도 유독가스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줄여 2차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olyurethane foam as in Comparative Example 1 has a problem of generating hydrogen cyanide (hydrogen gas) when the nitrogen group of the isocyanate is pyrolyzed. Therefore, when the finishing material is applied to automobil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polyurethane foam is eliminated, and the use of the polyolefin foam provides an effect of minimizing secondary damage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toxic gas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또는 자동차 내부 등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를 제조하는 산업 및 이를 이용하여 내장재 등을 가공 및 설치하는 산업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 industry for manufacturing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s such as indoor or automobile interior of buildings, and industries for processing and installing interior materials using the same.

100 : 제 1공정 110 : 보강스크림
130 : 부직포 140 : 유리섬유
150 : 제 1열융착재 150a,150b : 열융착필름
150c : 핫 멜트 파우더 160 : 제 1컨베이어
162 : 제 2컨베이어 170 : 제 1가열부
172a,172b : 제 2가열부 180a,180b : 롤
190 : 프레스 200 : 제 2공정
210 : 폴리올레핀폼 300 : 마감재
100: first step 110: reinforcing scrim
130: nonwoven fabric 140: glass fiber
150: first heat-sealing material 150a, 150b: heat-sealing film
150c: hot melt powder 160: first conveyor
162: second conveyor 170: first heating part
172a, 172b: second heating section 180a, 180b: roll
190: Press 200: Second step
210: polyolefin foam 300: finishing material

Claims (7)

에틸렌 단량체 10 내지 30중량%와 프로필렌 단량체 70 내지 90중량%를 공중합시켜서 수득되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재질인 판상의 폴리올레핀폼 양면에 보강스크림이 더욱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스크림이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적층되는 유리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스크림이 상기 부직포와 상기 유리섬유 사이에 열융착재를 개재시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A reinforcing scrim is further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sheet-like polyolefin foam, which is a polyethylene / polypropylene copolymer material obtained by copolymerizing 10 to 30% by weight of an ethylene monomer and 70 to 90% by weight of a propylene monomer, Wherein the reinforcing scrim is joined to the nonwoven fabric by heat fusion bonding the heat-sealable material between the nonwoven fabric and the glass fiber, wherein the reinforcing scrim is bonded to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by heat fus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스크림이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열융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열융착은 별도의 열융착재 없이 상기 폴리올레핀폼의 부분용융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scrim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by thermal fusion, and the heat-sealing is bonded by heat fusion by partial melting of the polyolefin foam without a separate heat-sealing material. .
삭제delete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보강스크림을 제조하는 제 1공정과, 상기 보강스크림을 에틸렌 단량체 10 내지 30중량%와 프로필렌 단량체 70 내지 90중량%를 공중합시켜서 수득되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재질인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적층하여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를 제조하는 제 2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 1공정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부직포 상면에 열융착재와 유리섬유가 적층 또는 산포되는 단계와;
제 1가열부를 통해 상기 열융착재를 융해시켜 상기 유리섬유를 상기 부직포에 융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와 상기 유리섬유를 가압하여 일체화시켜 수득되는 보강스크림을 절단 또는 롤에 이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 2공정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이 적층되는 단계와;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 사이에 열융착재가 구비되어 가열부에 의해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이 가열융착되는 단계와;
상기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이 일체화 되어 수득되는 마감재가 절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reinforced sound-
A first step of preparing a reinforcing scrim; and a step of laminating the reinforcing scrim on both sides of a sheet-like polyolefin foam which is a polyethylene / polypropylene copolymer material obtained by copolymerizing 10 to 30 wt% of an ethylene monomer and 70 to 90 wt% And a second step of producing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material;
In this case,
A step of laminating or scattering a heat seal material and glass fi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conveyed along the conveyor;
Fusing the glass fiber to the nonwoven fabric by melting the thermally fusible material through a first heating part;
A step of cutting or transferring the reinforcing scrim obtained by pressing and integrating the nonwoven fabric and the glass fiber together;
≪ / RTI > And
The second step
Stacking the reinforcing scrim on both sid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Wherein the plate-shaped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are heated and fused by a heating unit, wherein the plate-like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are provided with a heat-sealing material;
A step of cutting the finish material obtained by integrating the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Wherein the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comprises a reinforcing material.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보강스크림을 제조하는 제 1공정과, 상기 보강스크림을 에틸렌 단량체 10 내지 30중량%와 프로필렌 단량체 70 내지 90중량%를 공중합시켜서 수득되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재질인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적층하여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를 제조하는 제 2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 1공정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부직포 상면에 열융착재와 유리섬유가 적층 또는 산포되는 단계와;
제 1가열부를 통해 상기 열융착재를 융해시켜 상기 유리섬유를 상기 부직포에 융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와 상기 유리섬유를 가압하여 일체화시켜 수득되는 보강스크림을 절단 또는 롤에 이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 2공정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이 적층되는 단계와;
가열부에 의해 상기 판상의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이 가열융착되는 단계와;
상기 폴리올레핀폼과 상기 보강스크림이 일체화 되어 수득되는 마감재가 절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reinforced sound-
A first step of preparing a reinforcing scrim; and a step of laminating the reinforcing scrim on both sides of a sheet-like polyolefin foam which is a polyethylene / polypropylene copolymer material obtained by copolymerizing 10 to 30 wt% of an ethylene monomer and 70 to 90 wt% And a second step of producing an interior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 material;
In this case,
A step of laminating or scattering a heat seal material and glass fi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conveyed along the conveyor;
Fusing the glass fiber to the nonwoven fabric by melting the thermally fusible material through a first heating part;
A step of cutting or transferring the reinforcing scrim obtained by pressing and integrating the nonwoven fabric and the glass fiber together;
≪ / RTI > And
The second step
Stacking the reinforcing scrim on both sides of the polyolefin foam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The step of heating and welding the plate-shaped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by a heating unit;
A step of cutting the finish material obtained by integrating the polyolefin foam and the reinforcing scrim;
Wherein the reinforced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comprises a reinforcing material.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정이 상기 폴리올레핀폼의 양면에 각각 상기 보강스크림이 적층되기 이전에 판상의 폴리올레핀폼의 양면 또는 상기 보강스크림의 유리섬유층 쪽의 표면 중의 어느 한 표면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폼의 양면과 상기 보강스크림의 유리섬유층 쪽의 표면 모두를 거칠게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second step may be carried out before the reinforcing scrim is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polyolefin foam, either on both surfaces of the sheet-like polyolefin foam o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fiber layer of the reinforcing scrim or on both surfaces of the polyolefin foa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oughening all of the surfaces of the glass fiber layer side of the glass fiber layer.
KR1020120123556A 2012-09-20 2012-11-02 Reinforced sound absorption finish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466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4319 2012-09-20
KR1020120104319 2012-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278A KR20140038278A (en) 2014-03-28
KR101446618B1 true KR101446618B1 (en) 2014-10-07

Family

ID=5064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556A KR101446618B1 (en) 2012-09-20 2012-11-02 Reinforced sound absorption finish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6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596A1 (en) * 2016-02-04 2017-08-10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Board for interior building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interior building material using bo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060B1 (en) * 1979-02-01 1983-02-05 쯔노다요시오 Foamed thermoplastic resin and composition for same
KR200420567Y1 (en) * 2006-04-19 2006-07-04 채수찬 Waterproof layer protection sheet
KR100604445B1 (en) * 2004-06-17 2006-07-31 우진폼테크(주) Closing material having function strengthening and sound absorption in indoor
KR100883033B1 (en) * 2007-12-03 2009-02-09 한일이화주식회사 The base material for vehicle head l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060B1 (en) * 1979-02-01 1983-02-05 쯔노다요시오 Foamed thermoplastic resin and composition for same
KR100604445B1 (en) * 2004-06-17 2006-07-31 우진폼테크(주) Closing material having function strengthening and sound absorption in indoor
KR200420567Y1 (en) * 2006-04-19 2006-07-04 채수찬 Waterproof layer protection sheet
KR100883033B1 (en) * 2007-12-03 2009-02-09 한일이화주식회사 The base material for vehicle head l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596A1 (en) * 2016-02-04 2017-08-10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Board for interior building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interior building material using board
JP2019504946A (en) * 2016-02-04 2019-02-21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 Board for interior interior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nterior interior material using the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278A (en)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7287B (en)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composite board of polyurethane
JP5926947B2 (en)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body and vehicle interior material using the same
EP1867771B1 (en) Nonwoven fabrics and laminates made by using the same
JP6717321B2 (en) Laminated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thereof
EP1491327A1 (en) Hollow structure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and sound absorbing structure plate
US20090011210A1 (en) Lightweight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material
KR101233813B1 (en) Thermoplastic organic fib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fiber composite boar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board
KR101227628B1 (en) Automobile headliner material having sound-absorbing improv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15063018A (en) Polyolefin laminate sheet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CN101628498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urethane plate for automobile ceiling
KR101446618B1 (en) Reinforced sound absorption finish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122382A (en) A headliner for automobile having a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41114A (en) Panels for mats or mattresses and the functional mat
US20090053960A1 (en) Roof Liner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CN110802887A (en) Automobile fibrilia ceil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101931230B1 (en) Automobile Ceiling Using A Polyester-based Powder Adhesive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140189922A1 (en) Impact-absorbing member, protective cloth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impact-absorbing member
JP2013035246A (en) Fiber-reinforced resin molding and vehicle interior material using the same
JP2007131494A (en) Stretchable material for vacuum bag and vacuum bag
CN103072291A (en) Method for producing continuous glass fiber fabric reinforced thermoplastic sheet material laminated pressure plate
CN115666927A (en) Polymer foam laminate structure
KR10265519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molded objec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sandwich panel
KR100604445B1 (en) Closing material having function strengthening and sound absorption in indoor
KR101494405B1 (en) the interior of a roo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70040315A (en) Sandwi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