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577B1 - 공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577B1
KR101446577B1 KR1020130013895A KR20130013895A KR101446577B1 KR 101446577 B1 KR101446577 B1 KR 101446577B1 KR 1020130013895 A KR1020130013895 A KR 1020130013895A KR 20130013895 A KR20130013895 A KR 20130013895A KR 101446577 B1 KR101446577 B1 KR 101446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oilet
space
contaminated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760A (ko
Inventor
노지녕
노태식
Original Assignee
노지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지녕 filed Critical 노지녕
Priority to KR102013001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577B1/ko
Priority to CN201480007429.1A priority patent/CN104968867B/zh
Priority to US14/766,736 priority patent/US10760256B2/en
Priority to EP14749196.3A priority patent/EP2955289A4/en
Priority to PCT/KR2014/001037 priority patent/WO2014123377A1/ko
Priority to AU2014215853A priority patent/AU2014215853B2/en
Priority to JP2015555928A priority patent/JP6116708B2/ja
Publication of KR2014010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공기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는,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오염 공간과 연결되는 제1 공기 통로부,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제1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및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되는 격벽 및 격벽 내에 형성되고 제1 공기 통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오염 공기를 격벽 내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처리 장치{APPARATUS FOR HANDLING AIR}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 저수조를 이용한 공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는 화장실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환풍기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환풍기를 작동시킨다 하더라도 화장실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을 뿐,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의 변기홀 내부 공기까지 환기시킬 수는 없다. 그리고,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더라도 변기홀 내부 공간에는 악취 및 세균들이 그대로 남아 증식하게 된다. 이때, 변기홀 내부의 악취 및 세균들은 화장실 전체로 퍼져 화장실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변기홀 내부의 악취 및 세균들은 화장실뿐만 아니라 집안 전체로까지 퍼져 집안 전체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실내 환경이 비위생적이 되어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쉽게 병균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시설의 경우, 공동 주택 간에 각 환풍기들의 통로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환풍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환풍기를 통해 이웃 주택의 오염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정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167(2002.03.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기홀과 같은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처리할 수 있는 공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중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실내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는,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오염 공간과 연결되는 제1 공기 통로부;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1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및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오염 공기를 상기 격벽 내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변기 저수조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함에 따라 오염 공기가 녹아든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자연스럽게 변기 탱크로 배출되고, 변기 저수조 내에는 새로운 세정수가 교체되므로,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 처리 장치에서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외부 공간 또는 변기 탱크로 배출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오염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공기 중 분진이나 황사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물질이 제거된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부가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대 수위인 경우, 변기홀 내의 오염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저 수위인 경우, 변기홀 내의 오염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 처리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처리 장치(100)는 제1 공기 통로부(102), 제1 공기 흡입부(104), 공기 처리부(106), 제2 공기 통로부(108), 및 제2 공기 흡입부(110)를 포함한다.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측은 오염 공간과 연결되고,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측은 공기 처리부(106)와 연결된다. 제1 공기 통로부(102)는 예를 들어, 덕트, 파이프, 호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오염 공간은 악취 및 각종 세균 등으로 인해 공기가 오염된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오염 공간은 화장실 내의 변기(150)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측은 변기홀(151)과 연결될 수 있다. 변기홀(151)의 상부에는 변기 커버(15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변기 커버(153)가 열려 있는 경우,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는 화장실 전체로 퍼져 화장실 전체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때, 오염 공기는 화장실 밖으로 점차 퍼져나가 온 집안을 오염시키게 된다. 그리고, 변기 커버(153)가 닫혀 있는 경우, 변기홀(151) 내에서는 악취 및 각종 세균들이 점차로 번식하여 집안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이 되게 된다.
제1 공기 흡입부(104)는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기 통로부(102)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공기 흡입부(104)는 예를 들어,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 흡입부(104)는 제1 공기 통로부(102) 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공기 흡입부(104)는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보다 강하게 흡입하기 위해 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기 처리부(106)는 변기(150)의 변기 저수조(155) 내에 형성된다. 변기 저수조(155) 내에는 세정수가 저장된다. 변기 저수조(155)의 상단에는 변기 저수조 뚜껑(157)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변기 저수조(155)는 연결 통로(159)를 통해 변기홀(151)과 연통된다.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기홀(151)로 배출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부가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처리부(106)는 변기 저수조(155) 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처리부(106)의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처리부(106)는 격벽(121) 및 공기 배출부(124)를 포함한다. 격벽(121)은 변기 저수조(155)의 내벽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격벽(121)은 상부판(121-1) 및 측면판(121-2)을 포함한다. 상부판(121-1)은 변기 저수조(155)의 상단에서 변기 저수조(155)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판(121-2)은 상부판(121-1)의 종단에서 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판(121-2)의 종단은 변기 저수조(155)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121)의 하부는 개방되어 형성된다. 즉, 격벽(121)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공간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격벽(121) 내부에도 변기 저수조(155)의 세정수가 들어오게 된다.
이때, 측면판(121-2)의 종단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보다 낮게 형성된다. 즉, 측면판(121-2)의 종단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 시 세정수에 잠기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는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가 변기홀(151)로 배출되었을 때의 수위를 말한다. 이 경우, 격벽(121) 내의 공기는 항상 변기 저수조(155) 내의 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있게 된다.
격벽(121)을 통해 공기 처리부(106)는 변기 저수조(155) 내에서 독립된 공간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는, 격벽(121)이 사각 기둥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격벽(121)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121)은 변기 저수조(15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기 저수조(155)와 별개로 제조된 후, 변기 저수조(155) 내에 결합될 수도 있다.
공기 배출부(124)는 격벽(121) 내에 형성된다. 공기 배출부(124)는 고정부(127)를 통해 변기 저수조(15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24)의 일측은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측과 연결된다. 이때, 공기 배출부(124)의 일측은 연결부(129)를 통해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24)의 내부는 중공(中空)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공기 배출부(124)의 내부에도 세정수가 들어오게 된다. 공기 배출부(124)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31)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24)는 제1 공기 통로부(102)로부터 유입된 오염 공기를 변기 저수조(155) 내부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기 통로부(102)를 통해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에 녹아들거나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공기 통로부(108)의 일측은 공기 처리부(106)에 연결되고, 제2 공기 통로부(108)의 타측은 외부 공간에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공간은 실외(예를 들어, 옥상 등)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공간은 하수구와 같이 오물 등을 배출하는 도구의 내부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제2 공기 통로부(108)는 예를 들어, 덕트, 파이프, 호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공기 흡입부(110)는 공기 처리부(106)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제2 공기 통로부(108)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공기 흡입부(110)는 예를 들어,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기 흡입부(110)는 제2 공기 통로부(108) 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공기 흡입부(110)는 공기 처리부(106) 내의 오염 공기를 보다 강하게 흡입하기 위해 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공기 흡입부(104)와 제2 공기 흡입부(110)로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제1 공기 흡입부(104)와 제2 공기 흡입부(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대 수위인 경우, 변기홀 내의 오염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세정수의 최대 수위는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변기홀로 배출된 이후 변기 저수조 내로 세정수가 다시 공급되어 차오를 때의 최대 수위를 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공기 흡입부(104)를 통해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제1 공기 통로부(102)로 유입시킨다(①). 그러면, 제1 공기 통로부(102)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제1 공기 통로부(102)를 따라 이동하다가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다(②). 여기서,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가 최대 수위인 경우, 공기 배출부(124)의 대부분은 세정수에 잠긴 상태로 있게 된다. 제1 공기 흡입부(104)가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강하게 흡입하는 경우, 공기 배출부(124)의 일측에서 오염 공기가 뿜어져 나오면서 공기 배출부(124) 내의 세정수에 녹아들게 된다(③). 그리고, 오염 공기가 녹아든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결 통로(159)를 통해 변기홀(151)로 배출되게 된다(④). 다음으로, 변기홀(151) 내의 세정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기 탱크(미도시)로 빠져나가게 된다(⑤).
여기서,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는 오염 공기가 녹아들수록 점차 오염된다. 그러나,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는 사용자가 변기(150)를 사용함에 따라 하루에도 몇 번씩 변기홀(151)로 배출되고 새로운 세정수로 자연스럽게 교체가 되기 때문에,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를 인위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변기홀(151)의 오염 공기가 녹아든 세정수가 사용자의 변기(150) 사용에 따라 하루에도 몇 번씩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되기 때문에, 화장실 내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 배출부(124)의 관통홀(131)이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형성된 경우,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관통홀(131)을 통해 격벽(121) 내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는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저 수위인 경우, 변기홀 내의 오염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공기 흡입부(104)를 통해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제1 공기 통로부(102)로 유입시킨다(①'). 그러면, 제1 공기 통로부(102)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제1 공기 통로부(102)를 따라 이동하다가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다(②'). 여기서,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가 최저 수위인 경우, 공기 배출부(124)의 관통홀(131)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경우,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관통홀(131)을 통해 격벽(121) 내의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③'). 격벽(121)의 측면판(121-2)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격벽(121) 내의 공간으로 배출된 오염 공기는 격벽(121) 내의 공간에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 중 일부는 변기 저수조(155)의 세정수에 녹아들수 있다. 오염 공기가 녹아든 변기 저수조(155)의 세정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④ 및 ⑤ 과정을 통해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를 제2 공기 통로부(108)로 유입시킨다(④'). 그러면,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는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제2 공기 흡입부(110)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의 오염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외부 공간의 오염 공기는 격벽(121) 내의 공간에서 밀폐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외부 공간의 오염 공기가 화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격벽(121) 내에 존재하는 외부 공간의 오염 공기는 제2 공기 흡입부(110)가 동작하면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다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공간에서 실내로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측은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변기홀, 화장실, 부엌 등과 같은 오염 공간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변기홀, 화장실, 부엌 등과 같은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는 제1 공기 흡입부(104)를 통해 공기 처리부(106)로 유입되어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되거나 제2 공기 흡입부(104) 및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는 오염 공간으로 변기홀, 화장실, 부엌 등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공간(예를 들어, 거실, 베란다, 쓰레기 저장소, 흡연실, 휴게실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변기 저수조(155) 내에 두 개의 공기 처리부(106-1, 106-2)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 처리부(106-1)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공기 통로부(102) 및 제1 공기 흡입부(104)를 통해 유입된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하거나 제2 공기 통로부(108) 및 제2 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제1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게 된다.
제3 공기 통로부(162)의 일측은 제2 공기 처리부(106-2)에 연결(보다 자세하게는 제2 공기 처리부(106-2)의 공기 배출부에 연결)되고, 제3 공기 통로부(162)의 타측은 제2 외부 공간에 연결된다. 이때, 제2 외부 공간은 제1 외부 공간과는 별개의 공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외부 공간은 건물 외부의 공간일 수 있다. 제3 공기 흡입부(164)는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제3 공기 통로부(162)로 유입시킨다. 이때, 제2 외부 공간의 공기에는 황사, 송진 가루, 분진 가루 등의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제4 공기 통로부(168)의 일측은 제2 공기 처리부(106-2)에 연결(보다 자세하게는 제2 공기 처리부(106-2)의 격벽에 연결)되고, 제4 공기 통로부(168)의 타측은 실내 공간에 연결된다. 여기서, 실내 공간은 안방, 공부방, 거실, 부엌, 화장실, 휴게실 등이 될 수 있다. 제4 공기 흡입부(170)는 제2 공기 처리부(106-2) 내의 공기를 제4 공기 통로부(168)로 유입시킨다.
여기서, 제3 공기 통로부(162) 및 제3 공기 흡입부(164)를 통해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제2 공기 처리부(106-2)로 유입시키면, 제2 외부 공간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예를 들어, 황사, 송진 가루, 분진 가루 등)은 시간이 지날수록 제2 공기 처리부(106-2) 내에서 변기 저수조(155)의 세정수로 가라 앉아 세정수에 녹아들게 된다. 이때, 이물질이 녹아든 세정수는 변기홀(151)을 거쳐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면, 제2 공기 처리부(106-2) 내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가 남아 있게 된다. 이때, 제4 공기 흡입부(170)가 제2 공기 처리부(106-2) 내의 이물질이 제거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제4 공기 통로부(168)로 유입시켜 실내 공간으로 배출한다. 이 경우, 실내 공간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제2 공기 처리부(106-2)는 이물질이 포함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건물 외부(예를 들어, 시골과 같이 공기가 깨끗하다고 여겨지는 장소)의 공기라 하더라도 공기 중에는 황사, 송진 가루, 분진 가루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그대로 실내로 유입시키면 오히려 거주자의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공기 처리부(106-2)를 통해 이물질이 포함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한 후에 실내 공간으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거주자가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마시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공기 처리부(106-1)를 통해서는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변기 탱크(미도시) 또는 제1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여 오염 공기를 처리하도록 하고, 제2 공기 처리부(106-2)를 통해서는 제2 외부 공간의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한 후,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여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변기 저수조(155) 내에 제1 공기 처리부(106-1) 및 제2 공기 처리부(106-2)가 모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기 저수조(155) 내에는 제1 공기 처리부(106-1) 및 제2 공기 처리부(106-2)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공기 처리 장치 102 : 제1 공기 통로부
104 : 제1 공기 흡입부 106 : 공기 처리부
108 : 제2 공기 통로부 110 : 제2 공기 흡입부
121 : 격벽 121-1 : 상부판
121-2 : 측면판 124 : 공기 배출부
127 : 고정부 129 : 연결부
131 : 관통홀 150 : 변기
151 : 변기홀 153 : 변기 커버
155 : 변기 저수조 157 : 변기 저수조 뚜껑
159 : 연결 통로 162 : 제3 공기 통로부
164 : 제3 공기 흡입부 168 : 제4 공기 통로부
170 : 제4 공기 흡입부

Claims (10)

  1.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오염 공간과 연결되는 제1 공기 통로부;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1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변기 저수조 내에서 상기 변기 저수조의 하부면과 이격하여 형성되고, 종단이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 보다 낮게 마련되며, 상기 변기 저수조 내에 세정수가 채워지는 경우 내부의 공기가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다른 공간과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격벽;
    상기 격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격벽 내의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변기 저수조의 깊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 공기를 상기 격벽 내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
    일측이 상기 격벽 내의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제2 공기 통로부; 및
    상기 격벽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2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2 공기 흡입부를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종단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종단이 상기 변기 저수조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공간은,
    변기 내의 변기홀, 화장실, 부엌, 거실, 베란다, 흡연실, 휴게실, 쓰레기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인, 공기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장치는,
    상기 변기 저수조 내에서 상기 격벽 및 상기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처리부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공기 처리부;
    일측이 제2 외부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의 공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제3 공기 통로부;
    상기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3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3 공기 흡입부;
    일측이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의 격벽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제4 공기 통로부; 및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의 격벽 내의 공기를 상기 제4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4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의 수위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격벽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2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대 수위인 경우, 상기 제1 공기 흡입부가 동작하고,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저 수위인 경우, 상기 제1 공기 흡입부 및 상기 제2 공기 흡입부가 함께 동작하는, 공기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기 흡입부 및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는 함께 동작하는, 공기 처리 장치.



KR1020130013895A 2013-02-07 2013-02-07 공기 처리 장치 KR10144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895A KR101446577B1 (ko) 2013-02-07 2013-02-07 공기 처리 장치
CN201480007429.1A CN104968867B (zh) 2013-02-07 2014-02-06 空气处理装置
US14/766,736 US10760256B2 (en) 2013-02-07 2014-02-06 Air treatment device
EP14749196.3A EP2955289A4 (en) 2013-02-07 2014-02-06 AIR TREATMENT DEVICE
PCT/KR2014/001037 WO2014123377A1 (ko) 2013-02-07 2014-02-06 공기 처리 장치
AU2014215853A AU2014215853B2 (en) 2013-02-07 2014-02-06 Air treatment device
JP2015555928A JP6116708B2 (ja) 2013-02-07 2014-02-06 空気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895A KR101446577B1 (ko) 2013-02-07 2013-02-07 공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760A KR20140100760A (ko) 2014-08-18
KR101446577B1 true KR101446577B1 (ko) 2014-10-07

Family

ID=5129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895A KR101446577B1 (ko) 2013-02-07 2013-02-07 공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60256B2 (ko)
EP (1) EP2955289A4 (ko)
JP (1) JP6116708B2 (ko)
KR (1) KR101446577B1 (ko)
CN (1) CN104968867B (ko)
AU (1) AU2014215853B2 (ko)
WO (1) WO2014123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169B1 (ko) * 2018-05-14 2020-07-03 양병철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20200021888A (ko) * 2018-08-21 2020-03-02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KR102475264B1 (ko) * 2019-09-02 2022-12-08 노태식 공기 정화 처리 장치
WO2021045490A2 (ko) * 2019-09-02 2021-03-11 노태식 공기 정화 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666U (ja) * 1996-12-11 1997-06-24 明風 梁 便器除臭装置
KR20040020232A (ko) * 2002-08-30 2004-03-09 양회성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KR20100071633A (ko) * 2008-12-19 2010-06-29 김원길 냄새 배기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KR20130002392A (ko) * 2011-06-29 2013-01-08 김형선 탈취장치를 갖는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0970A (en) * 1971-11-15 1974-02-12 Pk Prod Inc Toilet stool ventilating means
US4166298A (en) * 1976-02-20 1979-09-04 Pearson Raymond H Deodorizer for toilets
US4251888A (en) * 1979-04-20 1981-02-24 Turner William F Ventilating toilet seat
US4232406A (en) * 1979-05-18 1980-11-11 Beeghly Lester R Water closet ventilating system with vacuum breaker valve
US4318192A (en) * 1979-10-31 1982-03-09 Williams Jack D Ventilated toilet
US4590629A (en) * 1984-07-27 1986-05-27 Lusk Leonard A Toilet ventilating device
US4864664A (en) * 1988-10-07 1989-09-12 Higgins Dale C Vent system
US5010600A (en) * 1990-02-16 1991-04-30 Anthony Prisco Toilet odor removal system
JPH0594375U (ja) * 1992-05-27 1993-12-2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脱臭装置
US5361422A (en) * 1993-05-21 1994-11-08 Ray T. Vincent Toilet ventilating system
US5321856A (en) * 1993-09-30 1994-06-21 Ignacio Gastesi Flush toilet exhaust system
US5369813A (en) * 1993-12-10 1994-12-06 Goddard; Lewis W. Self-contained toilet venting system
US5727262A (en) * 1994-07-29 1998-03-17 Littlejohn; George C. Bathroom ventilator
US5519899A (en) * 1994-09-26 1996-05-28 Taylor; Raymond J. Toilet odor venting apparatus with improved retrofit capability
US5718005A (en) * 1995-10-06 1998-02-17 Ng; Kamsik Foul air remover for toilet system
JPH1096253A (ja) 1996-09-24 1998-04-14 Denso Corp 便器用脱臭装置
US6202226B1 (en) * 2000-06-29 2001-03-20 Albert Glenn Shoptaugh Portable waste odor collection apparatus
US20020194670A1 (en) * 2000-12-20 2002-12-26 Hashemi Amin H. Ventilation system for malodorous air removal
KR200262167Y1 (ko) 2001-09-04 2002-03-18 권순영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CN2553019Y (zh) * 2002-07-03 2003-05-28 丁正吉 一种即时排出便臭气味的座便器
JP4994089B2 (ja) * 2007-04-04 2012-08-08 株式会社Lixil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US20080307570A1 (en) 2007-06-14 2008-12-18 Howard Marks Toilet odor elimination device
US20090056007A1 (en) * 2007-08-27 2009-03-05 Pham Hoang V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US20130086736A1 (en) * 2010-06-11 2013-04-11 Rene Larouche Toilet ventilation device
JP2012207488A (ja) 2011-03-30 2012-10-25 Lixil Corp 便器洗浄装置
CN202450599U (zh) * 2011-06-25 2012-09-26 胡怡 水箱盖式马桶抽臭气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666U (ja) * 1996-12-11 1997-06-24 明風 梁 便器除臭装置
KR20040020232A (ko) * 2002-08-30 2004-03-09 양회성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KR20100071633A (ko) * 2008-12-19 2010-06-29 김원길 냄새 배기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KR20130002392A (ko) * 2011-06-29 2013-01-08 김형선 탈취장치를 갖는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15853B2 (en) 2018-04-12
JP2016511020A (ja) 2016-04-14
WO2014123377A1 (ko) 2014-08-14
EP2955289A4 (en) 2016-10-05
AU2014215853A1 (en) 2015-08-20
CN104968867A (zh) 2015-10-07
US10760256B2 (en) 2020-09-01
EP2955289A1 (en) 2015-12-16
JP6116708B2 (ja) 2017-04-19
CN104968867B (zh) 2016-11-09
KR20140100760A (ko) 2014-08-18
US20150376885A1 (en)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577B1 (ko) 공기 처리 장치
KR101337439B1 (ko) 화장실 환풍 시스템
WO2019080636A1 (zh) 卫生间净化装置
US10151084B2 (en) Fluid treatment and disposal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06522333A (zh) 一种厕所除臭***
US20140090160A1 (en) Odor Removing Toilet
KR101345361B1 (ko) 산업단지 내의 하수관 악취 방지 시설
US20160265207A1 (en) Ventilated Toilet Assembly
JP3343216B2 (ja) 解剖台
ITTO20090021U1 (it) Dispositivo di eliminazione di odori per apparecchi sanitari a sciacquo.
CN210342785U (zh) 一种高效消毒移动厕所
CN206625312U (zh) 一种厕所除臭装置及具有该装置的厕所除臭***
US20170138033A1 (en) Ventilated Toilet Assembly
CN109381094A (zh) 一种旱厕防臭装置
KR101951603B1 (ko) 공중화장실 변기의 냄새배출시스템
KR200445976Y1 (ko)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치
KR20160115601A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내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2349389B1 (ko)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CN102720265A (zh) 一种高水封内芯式排水控制装置
KR101368088B1 (ko) 화장실 좌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160115600A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외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1744947B1 (ko) 건축물 바닥 배수시설
CN206752590U (zh) 一种防臭排水器
TWM481946U (zh) 蹲式排氣馬桶
TW201536994A (zh) 蹲式排氣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