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865B1 - 기판 합착 방법 - Google Patents

기판 합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865B1
KR101440865B1 KR1020120105958A KR20120105958A KR101440865B1 KR 101440865 B1 KR101440865 B1 KR 101440865B1 KR 1020120105958 A KR1020120105958 A KR 1020120105958A KR 20120105958 A KR20120105958 A KR 20120105958A KR 101440865 B1 KR101440865 B1 KR 10144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dhesive liquid
upper stage
adhesive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610A (ko
Inventor
권영종
Original Assignee
제타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타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타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8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edges of essentially flat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은 제1 기판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착액이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접착액의 표면 장력으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전체 및 제2 기판의 표면 전체에 상기 접착액을 분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액을 경화시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제1 접착액을 1차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접착액 쪽의 아래 방향으로 상기 제1 접착액 상에 돌출된 제2 접착액을 2차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판 합착 방법{Method of bonding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 합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과 기판을 합착하는 기판 합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 산업용 모니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의 표시 장치의 경우 화면 터치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및 처리가 보편화되고 있다. 화면을 손 또는 터치용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터치 화면의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패널(기판) 상에 접착액을 이용하여 보호 기판을 합착한다.
그런데, 표시 장치의 패널 표면에 보호 기판을 합착할 경우, 패널과 보호 기판이 균일하게 합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패널과 보호 기판 사이에 기포가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패널 크기가 증가할수록 기포 유입 문제는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포 유입 없이 표시 장치의 패널 상에 접착액을 이용하여 기판(보호 기판)을 합착하는 기판 합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은 제1 기판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와, 제1 기판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단계와, 접착액이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액의 표면 장력으로 제1 기판의 일면 전체 및 제2 기판의 표면 전체에 접착액을 분포시키는 단계와, 접착액을 경화시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는, 제1 기판의 일면에 제1 접착액을 1차 도포하는 단계와, 제1 기판의 일면에서 제1 접착액 쪽의 아래 방향으로 제1 접착액 상에 돌출된 제2 접착액을 2차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은 하부 스테이지 상에 제2 기판을 장착하는 단계와, 하부 스테이지와 떨어져 있고 하부 스테이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스테이지에 제1 기판을 장착하는 단계와, 상부 스테이지에 장착된 제1 기판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와, 하부 스테이지나 상부 스테이지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제2 기판 표면에 접착액을 접촉시키는 단계와, 접착액이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부 스테이지나 상부 스테이지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액의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제1 기판의 일면 전체 및 제2 기판의 표면 전체에 접착액을 분포시키는 단계와, 접착액을 경화시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액은 제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접착액과, 제1 기판의 일면에서 제1 접착액 쪽의 아래 방향으로 제1 접착액 상에 돌출된 제2 접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판 합착 방법은 제1 기판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단계와, 접착액이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액의 표면 장력으로 제1 기판의 일면 전체 및 제2 기판의 표면 전체에 접착액을 분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균일하게 합착됨과 아울러 기포 유입 없이 제2 기판 상에 제1 기판을 합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에 이용되는 기판 합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접착액 도포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슬릿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슬릿 노즐과 상부 스테이지간의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의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제1 기판에 도포된 접착액의 분포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는 패널(11, panel), 보호 기판(12), 브라켓(13), 광학시트(15), 백라이트 유닛(17), 백커버(19)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패널(11)은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일 수 있다. 패널(11)의 표면은 유리일 수 있다. 패널(11)의 전면에는 보호 기판(12)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보호 기판(12)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보호 기판(12)은 패널(11)의 전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될 수 있다.
보호 기판(12)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패널(11)이 스크래치 등과 같은 기계적 흠결로부터 패널(12)을 보호할 수 있다. 브라켓(13)은 패널(11)을 지지하면서, 그 내부에 광학 시트(15) 및 백라이트 유닛(17)등을 수납할 수 있다. 브라켓(13)은 패널(11)의 형상에 맞춰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13)을 사이에 두고, 패널(11)의 배후에 광학 필름(15)과 백라이트유닛(17)이 순차적으로 밀착 적층될 수 있다. 광학시트(15)는 프리즘시트(15a)와 확산판(15b) 등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17)에서 전달된 빛을 패널(11)로 전달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광학 시트(15)는 일단부가 브라켓(13)에 고정된 채 지지될 수 있다. 백커버(19)는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철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광학시트(15) 및 백라이트 유닛(17)을 사이에 두고 브라켓(13)과 결합해서 표시 장치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표시 장치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11)과 보호 기판(12)간의 합착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에 이용되는 기판 합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기판 합착 장치(1000)는 슬릿 노즐을 갖는 접착액 도포 장치(400), 상부 스테이지(upper stage, 500), 및 하부 스테이지(600, lower sta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에는 제1 기판(502)이 장착될 수 있다. 하부 스테이지(600) 상에는 제2 기판(602)이 장착될 수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는 하부 스테이지(600)와 떨어져 있고 하부 스테이지(6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 및 하부 스테이지(600)에는 기판(502, 602)이 장착되는 것으로 다른 명칭, 예컨대 상부 지지부나 하부 지지부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 및 하부 스테이지(600)에는 각각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을 지지하는 상부 패드(501) 및 하부 패드(601)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 및 하부 스테이지(600)에는 각각 상부 스테이지(500) 및 하부 스테이지(600)를 X축(수평 방향), Y축(앞뒤 방향), Z축(수직 방향) 및 회전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구동부(506) 및 제2 구동부(606)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 및 하부 스테이지(600)의 이동에 따라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도 이동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부 스테이지(500)의 이동을 화살표로 도시한다. 하부 스테이지(600)에는 하부 스테이지(608)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608, 61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에도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편의상 생략하여 도시한다.
상부 스테이지(500)에 장착된 제1 기판(502)의 하부에는 제1 기판(502)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할 수 있게 슬릿 노즐을 갖는 접착액 도포 장치(4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502)의 일면에 접착액 도포 장치(400)를 이용하여 접착액(102)이 도포될 수 있다. 접착액(102)은 자외선 경화제일 수 있다. 접착액(102)은 제1 접착액(102a) 및 제2 접착액(10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액 도포 장치(400)에 대하여는 후에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부 스테이지(600)에 장착되는 제2 기판(602)은 표시 장치의 패널이고, 상부 스테이지(500)에 장착하는 제1 기판(502)은 패널을 보호하는 보호 기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판(602)의 표면, 즉 표시 장치의 패널 표면은 위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하부 스테이지(600)에 장착되는 제2 기판(602)은 표시 장치의 패널을 보호하는 보호 기판이고, 상부 스테이지(500)에 장착하는 제1 기판(502)은 표시 장치의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502)의 배면, 즉 표시 장치의 패널은 아래로 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한 슬릿 노즐(300)을 갖는 접착액 도포 장치(400) 및 이를 이용한 접착액 도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접착액 도포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슬릿 노즐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접착액 도포 장치(400)는 접착액 배출 펌프(200)를 포함한다. 접착액 배출 펌프(200)는 접착액(102)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 실린더(212)를 포함한다. 배출 실린더(212)는 일단부에 통합 배출 배관(120)과 연결되어 접착액(102)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206)가 연결되어 있다. 배출 실린더(212)의 타단부에는 슬릿 노즐(300)과 연결되어 접착액(102)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208)가 연결되어 있다.
흡입부(206)의 내부에는 배출 실린더(212)와 연결되어 접착액(102)이 흡입될 수 있는 제2 흡입 배관(207)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부(208)의 내부에는 배출 실린더(212)와 연결되어 접착액(102)을 배출할 수 있는 제2 배출 배관(211)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 실린더(212)를 구성하는 실린더 블록(209) 내에는 다이아프램(210)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 실린더(212)에서, 펌프 피스톤(216)의 구동에 따라 작동 유체, 즉 오일(214)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다이아프램(210)은 좌우로 이동하여 접착액(102)을 제2 배출 배관(211)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접착액 배출 펌프(200)를 구성하는 배출 실린더(212)는 오일에 의하여 작동되는 오일 실린더이다. 이렇게 오일 실린더로 구성하면 오일에 의해 다이아프램(210)을 작동시켜 접착액(102)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배출할 수 있다. 참조번호 222는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이고, 참조번호 218은 펌프 피스톤(216)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이고, 참조번호 220은 펌프 피스톤(216)과 연결되는 연결부재이다.
배출 실린더(212)에는 제2 흡입 배관(207)으로부터 흡입되는 접착액(102)의 흐름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제1 온오프 밸브(2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 실린더(212)에는 제2 배출 배관(211)으로 공급되는 접착액(102)의 흐름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제2 온오프 밸브(20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온오프 밸브(202, 204)는 에어밸브일 수 있다.
접착액 배출 펌프(200)에는 접착액(102)을 공급받는 슬릿 노즐(300)이 연결되어 있다. 접착액 배출 펌프(200)와 슬릿 노즐(30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접착액 배출 펌프(200)와 슬릿 노즐(300)을 일체형으로 구성할 경우, 보다더 정밀하게 접착액(102)을 제1 기판(502) 상에 도포할 수 있다. 슬릿 노즐(300)은 접착액 배출 펌프(200)에 연결된 지지 블록(301)과, 지지블록(301)에 연결되고 접착액 배출구(304)를 갖는 노즐 블록(308)과, 지지블록(301)과 노즐 블록(308) 내에 접착액(102)을 공급할 수 있게 설치된 접착액 공급 배관(302)을 포함한다. 노즐 블록(308) 내에는 접착액 공급 배관(302)과 연결되어 접착액(102)을 잠시 보관할 수 있는 버퍼 배관(306)이 설치되어 있다. 버퍼 배관(306)을 통하여 슬릿 노즐(300)의 팁, 즉 접착액 배출구에서 접착액(102)이 배출된다.
슬릿 노즐(300)의 상부에는 상부 스테이지(500)가 설치된다. 상부 스테이지(500)의 하부 표면에는 제1 기판(502), 예컨대 표시 장치의 패널이나 패널을 보호하는 보호 기판이 탑재(장착)되어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는 제1 구동부(506)를 이용하여 슬릿 노즐(300)에 대해 평행하게 일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릿 노즐(300)에 설치된 접착액 배출구(304)는 일방향과 수직인 타방향, 예컨대 Y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슬릿 노즐(300)과 상부 스테이지(500)간의 Z축 방향의 레벨 정렬은 측정 센서(309), 예컨대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슬릿 노즐(300)의 노즐 블록(308)과 상부 스테이지(500) 상에 탑재된 제1 기판(502)간의 Z축 방향의 레벨, 즉 레벨은 노즐 블록(308) 상에 부착된 측정 센서(309)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슬릿 노즐(300)의 노즐 블록(308)과 상부 스테이지(500) 상에 탑재된 제1 기판(502)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스테이지(500)에 탑재된 제1 기판(502)은 이동하면서 슬릿 노즐(300)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기판(502)의 하부 방향에서 접착액(102)을 도포한다. 슬릿 노즐(300)과 상부 스테이지(500)간의 이동 관계는 후에 보다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슬릿 노즐과 상부 스테이지간의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상부 도면 및 하부 도면은 각각 슬릿 노즐(300)과 상부 스테이지(500)간의 이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슬릿 노즐(300)은 하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502)이 탑재된 상부 스테이지(5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1 기판(502)은 일방향, 즉 -X축 방향 또는 +X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릿 노즐(300)에 설치된 접착액 배출구(304)는 일방향과 수직인 타방향, 즉 Y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슬릿 노즐(300)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기판(502)의 하부 방향에서 접착액(102)을 도포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기판(502)의 한 단면과 동일한 길이의 접착액 배출구(304)를 갖는 슬릿 노즐(300)을 이용하여 제1 기판(502) 상에 접착액(102)을 도포하여 빠른 시간 내에 접착액 도포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502)이 이동하는 중에 슬릿 노즐(3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기판(502)의 하부 방향에서 얇은 두께, 예컨대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 밀리미터의 두께의 접착액(102)을 도포하기 때문에 제1 기판(502) 상에 도포되는 접착액(102)이 표면 저항이나 중력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판(502) 상에 균일한 높이로 접착액(102)을 도포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의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제1 기판에 도포된 접착액의 분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앞서의 슬릿 노즐(300)을 이용하여 제1 기판(502) 상에 접착액(102)을 도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기판(502) 상에 도포되는 접착액(102)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502)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도포할 수 있다. 접착액(102)이 도포되는 모서리 인접 영역의 면적은 접착액(102)의 두께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제1 기판(502) 상에 도포되는 접착액(102-2)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502)의 전 표면 영역에 도포할 수 있다. 전 표면 영역에 도포되는 접착액(102-2)의 두께는 제2 기판(602)과의 합착에 필요에 두께로써 합착 실험에 의한 실험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접착액(102, 102-1, 102-2)의 두께 내지 접착액 도포 면적은 제2 기판(602)의 합착에 필요한 것으로, 합착 실험에 의한 실험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부 스테이지(500)를 이동시켜 슬릿 노즐(300)과 제1 기판(502)을 근접시킨다. 다시 말해, 상부 스테이지(500)의 이동에 따라 제1 기판(502)도 이동하여 슬릿 노즐(300)과 제1 기판(502)을 근접시킨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 노즐(300)을 이용하여 제1 기판(502)의 일면에 제1 접착액(102a)을 1차 도포할 수 있다. 제1 접착액(102a)의 분포도는 도 7a 내지 도 7c의 접착액(102)의 분포도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접착액(102a)의 분포를 도 7a와 같이 도시한다. 따라서, 1차 접착액(102)은 제1 기판(502)의 일면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502)의 일면에서 제1 접착액(102a) 쪽의 아래 방향, 즉 중력 방향으로 제1 접착액(102a) 상에 돌출된 제2 접착액(102b)을 2차 도포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접착액(102a) 상에 돌출된 제2 접착액(102b)을 도포할 경우, 돌출된 제2 접착액(102b)으로 인하여 후속 공정, 즉 제1 기판(501)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액(102)을 제2 기판(602)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공정과 접착액(102)의 표면 장력으로 제1 기판(502)의 일면 전체 및 제2 기판(602)의 표면 전체에 접착액(102)을 분포시키는 공정을 보다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접착액(102b)의 분포도는 도 7a 내지 도 7c의 접착액(102)의 분포도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2차 접착액(102a)의 분포를 도 7a와 같이 도시한다. 따라서, 2차 접착액(102)은 제1 기판(502)의 일면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에서는 제1 접착액(102a) 및 제2 접착액(102b)을 포함한 접착액(102) 도포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접착액(102a) 및 제2 접착액(102b)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1 기판(502)의 일면에 형성할 수 있다.
도 8d 내지 도 8f를 참조하면,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스테이지(500)이나 하부 스테이지(6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X축(수평 방향), Y축(앞뒤 방향), Z축(수직 방향) 및 회전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부 스테이지(500), 하부 스테이지(600)중의 하나 또는 상부 스테이지(500)와 하부 스테이지(600) 모두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기판(501)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액(102)을 제2 기판(602)의 표면에 접촉시킨다.
필요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는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602)의 표면에 접착액(103)을 도포할 수 도 있다. 접착액(103)은 자외선 경화제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기판(501)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액(102)과 제2 기판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103)이 접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8d 및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액(102)이 제2 기판(602)의 표면, 예컨대 모서리 인접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부 스테이지(500)이나 하부 스테이지(6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X축(수평 방향) 및 Z축(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접착액(102)이 제2 기판(602)의 표면, 예컨대 모서리 인접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X축(수평 방향) 및 Z축(수직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접착액(102)이 제2 기판(602)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X축 (수평 방향) 및 Z축(수직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 사이에 기포 유입 없이 접착액(102)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할 때, 필요에 따라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602)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도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액(102)의 표면 장력으로 제1 기판(502)의 일면 전체 및 제2 기판(602)의 표면 전체에 접착액(102)을 분포시킬 수 있다. 접착액(102)이 제2 기판(602)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602)이 균일하게 합착됨과 아울러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 사이에 기포가 유입되지 않는다.
이어서, 접착액(102)을 경화시켜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602)을 합착시킬 수 있다. 접착액(102)이 자외선 경화제일 경우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502) 사이의 접착액(102)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액을 경화시킴으로써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602)을 합착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판 합착 방법은 도 2의 기판 합착 장치(1000)를 이용할 수 있다. 하부 스테이지(600) 상에 제2 기판(602)을 장착할 수 있다(S700). 하부 스테이지(600)에 장착되는 제2 기판(602)은 표시 장치의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판(602)의 표면, 즉 표시 장치의 패널 표면은 위로 장착될 수 있다. 하부 스테이지(600)에 장착되는 제2 기판(602)은 표시 장치의 패널을 보호하는 보호 기판일 수 있다.
하부 스테이지(600)와 떨어져 있고 하부 스테이지(600)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스테이지(500)에 제1 기판(510)을 장착할 수 있다(S710). 상부 스테이지(500)에 장착하는 제1 기판(502)은 패널을 보호하는 보호 기판일 수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에 장착하는 제1 기판(502)은 표시 장치의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502)의 배면, 즉 표시 장치의 패널은 아래로 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부 스테이지(500)에 장착된 제1 기판의 일면에 접착액(앞 도면들의 102)을 도포할 수 있다(S720). 접착액(102)은 자외선 경화제일 수 있다. 접착액(102) 도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릿 노즐(300)을 갖는 접착액 도포 장치(400)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액(102)의 도포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하부 스테이지(600)나 상부 스테이지(5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함으로써 제2 기판(602) 표면에 접착액(102)을 접촉시킨다(S730)한다. 다시 말해, 하부 스테이지(600)나 상부 스테이지(5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기판이나 제2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함으로써 제2 기판(602) 표면에 접착액(102)을 접촉시킨다(S730). 필요에 따라, 앞서 도 8e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기판(602)의 표면에 접착액(103)을 도포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하부 스테이지(600)나 상부 스테이지(5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X축(수평 방향) 및 Z축(수직 방향), 즉 사선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액(102)의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제1 기판(502)의 일면 전체 및 제2 기판(602)의 표면 전체에 접착액(102)을 분포시킨다(S740).
다시 말해, 접착액(102)이 제2 기판(602)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하부 스테이지(600)나 상부 스테이지(5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X축(수평 방향) 및 Z축(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접착액(102)의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제1 기판(502)의 일면 전체 및 제2 기판(602)의 표면 전체에 접착액(102)을 분포시킨다. 접착액(102)이 제2 기판(602)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X축(수평 방향) 및 Z축(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602)이 균일하게 합착됨과 아울러 제1 기판(502) 및 제2 기판(602) 사이에 기포가 유입되지 않는다.
이어서, 접착액(102)을 경화시켜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602)을 합착한다(S750). 접착액(102)이 자외선 경화제일 경우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502) 사이의 접착액(102)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602)을 합착시킬 수 있다.
1000: 기판 합착 장치, 102, 102a, 102b, 102-1, 102-2: 접착액, 200: 접착액 배출 펌프, 300: 슬릿 노즐, 500: 상부 스테이지, 502: 제1 기판, 600: 하부 스테이지, 602: 제2 기판,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기판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착액이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접착액의 표면 장력으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전체 및 제2 기판의 표면 전체에 상기 접착액을 분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액을 경화시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제1 접착액을 1차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접착액 쪽의 아래 방향으로 상기 제1 접착액 상에 돌출된 제2 접착액을 2차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기판 합착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하부 스테이지 상에 제2 기판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하부 스테이지와 떨어져 있고 상기 하부 스테이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스테이지에 제1 기판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상부 스테이지에 장착된 제1 기판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하부 스테이지나 상부 스테이지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상기 제2 기판 표면에 상기 접착액을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착액이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스테이지나 상부 스테이지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접착액의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전체 및 상기 제2 기판의 표면 전체에 상기 접착액을 분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액을 경화시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액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접착액과,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접착액 쪽의 아래 방향으로 상기 제1 접착액 상에 돌출된 제2 접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합착 방법.
KR1020120105958A 2012-09-24 2012-09-24 기판 합착 방법 KR10144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58A KR101440865B1 (ko) 2012-09-24 2012-09-24 기판 합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58A KR101440865B1 (ko) 2012-09-24 2012-09-24 기판 합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10A KR20140039610A (ko) 2014-04-02
KR101440865B1 true KR101440865B1 (ko) 2014-09-17

Family

ID=5065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958A KR101440865B1 (ko) 2012-09-24 2012-09-24 기판 합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8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131A (ja) * 1992-12-28 1994-07-22 Sharp Corp 接続装置
KR20000035483A (ko) * 1998-11-16 2000-06-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JP2002090757A (ja) 2000-09-12 2002-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製造装置及び方法
JP2008241888A (ja) * 2007-03-26 2008-10-09 Citizen Holdings Co Ltd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131A (ja) * 1992-12-28 1994-07-22 Sharp Corp 接続装置
KR20000035483A (ko) * 1998-11-16 2000-06-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JP2002090757A (ja) 2000-09-12 2002-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製造装置及び方法
JP2008241888A (ja) * 2007-03-26 2008-10-09 Citizen Holdings Co Ltd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10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2229B2 (ja) 表示装置
JP6375564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WO2021017070A1 (zh) 显示装置
TW200949775A (en) Curve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278158A (zh) 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20210125582A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설비 및 그 조립 방법
KR10137778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92993A (ja) 貼り合わせ装置
CN103852928A (zh) 具有温控层压滚轧机的层压***
CN105377557A (zh) 用于层压***的压力感测台
US916573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display
CN107340643A (zh) 一种背光模组与显示器
JP2008176206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積層体
KR20160004456A (ko) 곡면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3407276A (zh) 一种触控显示模组全贴合工艺
TW201316091A (zh) 背光單元用之多層片及其製造方法
US9835883B2 (en) Automatic bond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utomatic bon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440865B1 (ko) 기판 합착 방법
TWI764162B (zh) 接合構件的製造裝置及製造方法
JP2008203444A (ja) 液晶表示装置
KR101552397B1 (ko) 패널 접착 방법 및 패널 접착 장치
TW201035933A (en) Display module and related display apparatus
WO2016082314A1 (zh) 显示模块及具有该显示模块的显示装置
US20120075707A1 (en) Adhesive Dots Attached Onto A Film
TW202040243A (zh) 顯示裝置及其顯示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