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435B1 -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435B1
KR101435435B1 KR20130087976A KR20130087976A KR101435435B1 KR 101435435 B1 KR101435435 B1 KR 101435435B1 KR 20130087976 A KR20130087976 A KR 20130087976A KR 20130087976 A KR20130087976 A KR 20130087976A KR 101435435 B1 KR101435435 B1 KR 101435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contact lens
sensing
ey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to KR2013008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435B1/ko
Priority to US14/907,519 priority patent/US10543124B2/en
Priority to PCT/KR2014/006590 priority patent/WO201501254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9Auxiliary devices making contact with the eyeball and coupling in laser light, e.g. gonio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63Ret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rostheses (AREA)
  • Eyeglass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눈에 대해 접안의 유무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됨과 더불어 컨택트 렌즈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는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치료용 빔이 입사되는 입사부 및 입사부로부터 입사된 치료용 빔을 안구로 안내하는 출사부가 형성된 하우징, 입사부와 출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반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제1감지부와 이격된 출사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안구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컨택트 렌즈 내부에 안구와의 접안을 감지할 수 있는 제2감지부와 치료용 빔의 조사에 따른 안구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1감지부를 배치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CONTACT LENS AND APPARATUS FOR TREATING OCUL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의 망막 등을 시인하거나 치료용 빔을 생성하여 안구로 안내하는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과에서 사용되는 컨택트 렌즈는 안구를 안과 의사가 검진하기 위해 환자의 눈 주위에 접안 될 때 사용된다. 특히, 컨택트 렌즈는 안구의 망막 검진을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컨택트 렌즈는 안구의 치료를 위해 치료용 빔을 안구에 조사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컨택트 렌즈는 치료용 빔을 생성하여 안구로 조사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와 함께 사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컨택트 렌즈는 안과용 치료장치로부터 조사된 치료용 빔의 경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컨택트 렌즈는 안구의 검진 또는 치료를 위해 안과 의사의 파지에 의해 환자의 눈에 접안된다.
한편, 종래의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는 "미국등록특허 제6,698,886호"인 "Iridotomy and trabeculoplasty goniolaser lens"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선행문헌인 "Iridotomy and trabeculoplasty goniolaer"에 개시된 컨택트 렌즈는 안구에 접안 되었는 지 여부를 의사의 느낌 또는 경험으로 판단한 후,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 또한, 종래의 선행문헌에 개시된 컨택트 렌즈는 의사가 수동적으로 검진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안구에 접안되도록 그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선행문헌에 개시된 컨택트 렌즈는 안구의 접안에 대해 의사의 경험 또는 느낌에 따른 판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확실한 접안 상태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치료용 빔의 조사 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의사가 직접적으로 컨택트 렌즈를 파지하여 환자의 안구에 접안시켜야 하기 때문에 의사의 피로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6,698,886호: Iridotomy and trabeculoplasty goniolaser lens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눈에 대해 접안의 유무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눈에 접안되는 컨택트 렌즈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치료용 빔을 안구로 안내하는 컨택트 렌즈에 있어서,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상기 치료용 빔이 입사되는 입사부 및 상기 입사부로부터 입사된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안내하는 출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반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와 이격된 상기 출사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안구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치료용 빔을 안구로 안내하는 컨택트 렌즈에 있어서,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상기 치료용 빔이 입사되는 입사부가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입사부와 대향된 개구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입사부로 입사된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출사하는 출사부가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반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출사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과 안구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제2감지부와 이격된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에 따른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버블량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빔 생성부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후크와,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와 맞물려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착탈 결합시키는 후크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은 나사 결합 및 핀 결합 중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는 각각 초음파 센서와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치료용 빔을 안구로 조사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빔 생성부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안구에 인접되어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된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안내하는 전술한 구성의 컨택트 렌즈와, 상기 컨택트 렌즈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택트 렌즈를 안구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홀더유닛과, 상기 본체와 상기 홀더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홀더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컨택트 렌즈가 지지되며 상기 컨택트 렌즈가 피벗팅 되는 X축, 틸팅 되는 Y축 및 스위블링 되는 Z축에 대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컨택트 렌즈를 회전운동 시키는 회전지지유닛과, 상기 회전지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지지유닛이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어느 하나로 회전 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컨택트 렌즈의 상기 제1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컨택트 렌즈의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핀 결합, 후크 결합 및 끼움결합 중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컨택트 렌즈가 틸팅 되는 Y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왕복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홀더유닛과 상기 제1연결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컨택트 렌즈가 스위블링 되는 Z축의 축선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안과용 치료장치는 상기 홀더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작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홀더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빔 생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갖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상기 컨택트 렌즈와 안구가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안구로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컨택트 렌즈 내부에 안구와의 접안을 감지할 수 있는 제2감지부와 치료용 빔의 조사에 따른 안구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1감지부를 배치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컨택트 렌즈를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가 수용된 별도의 하우징과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는 별도의 하우징으로 구성하여 하우징들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고장 시 별도의 하우징만을 교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셋째,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컨택트 렌즈를 자동으로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절함과 함께 컨택트 렌즈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환자의 안구에 대해 보다 정밀한 컨택트 렌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치료의 정밀성 향상 및 시술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환자의 눈에 컨택트 렌즈를 접안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택트 렌즈를 포함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와 회전지지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와 회전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지지유닛의 홀더지지부의 자기 극성 구성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지지유닛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의 컨택트 렌즈의 구성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더라도 실시 예들의 구분을 위해 상이한 도면 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환자의 눈에 컨택트 렌즈를 접안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의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1)는 하우징(10), 렌즈부(30), 제1감지부(50) 및 제2감지부(7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몸체(12), 입사부(14) 및 출사부(16)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의 몸체(12)는 렌즈부(30), 제1감지부(50) 및 제2감지부(70)를 수용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몸체(12)는 양측부로 치료용 빔이 입사 및 출사되는 입사부(14) 및 출사부(16)를 형성한다. 여기서, 출사부(16)는 환자의 안구에 접안된다.
렌즈부(30)는 하우징(10)의 몸체(12)에 수용되어 입사부(14)로 입사된 치료용 빔을 출사부(16)로 안내한다. 렌즈부(30)는 복수개의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로 구성되어 입사부(14)로 입사된 치료용 빔을 시준하거나 치료용 빔의 출사 경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제1감지부(50)는 하우징(10)의 몸체(12) 내부인 입사부(14)와 출사부(16) 사이에 배치된다. 제1감지부(50)는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안구의 치료영역에서 발생되는 반응을 감지한다. 즉, 제1감지부(50)는 안구에 치료용 빔이 조사될 때 발생되는 버블량을 감지한다. 제1감지부(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초음파 센서가 사용된다. 그러나, 제1감지부(50)는 본 발명과 달리 초음파 센서 이외에 치료용 빔의 조사에 의해 안구에서 발생되는 버블량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감지부(70)는 제1감지부(50)와 이격된 하우징(10)의 출사부(16) 영역에 배치된다. 제2감지부(70)는 안구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제2감지부(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근접센서가 사용된다. 제2감지부(7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의사는 컨택트 렌즈(1)와 안구의 접안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3000)는 제1하우징(3100), 제2하우징(3300), 렌즈부(3500), 제1감지부(3700) 및 제2감지부(3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30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1)와 달리 제1하우징(3100)과 제2하우징(3300)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1감지부(3700)는 제1하우징(3100)과 제2하우징(33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반응을 감지한다. 제1감지부(3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제2하우징(3300) 내부에 제2감지부(3900)와 함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감지부(3900)는 제2하우징(33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안구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다. 제2감지부(3900)는 근접센서를 사용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3000)는 제1하우징(3100)과 제2하우징(3300)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감지부(3700) 또는 제2감지부(3900)의 고장이 발생될 때 제1하우징(3100)과 제2하우징(3300)을 상호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택트 렌즈를 포함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와 회전지지유닛의 결합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와 회전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3000)를 포함한 안과용 치료장치(100)는 본체(1000), 빔 생성부(2000), 컨택트 렌즈(3000), 홀더유닛(4000), 연결유닛(5000), 입력부(6000), 측정부(7000) 및 제어유닛(8000)을 포함한다.
본체(1000)는 안과용 치료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환자의 눈을 검진할 수 있는 현미경과 같은 배율을 확대할 수 있는 검안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빔 생성부(2000)는 본체(1000) 내부에 마련되어 치료용 빔을 생성하여 컨택트 렌즈(3000)로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 빔 생성부(2000)는 치료용 빔으로 사용되는 레이저를 생성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빔 생성부(2000)는 Q-switched Nd:YAG 레이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컨택트 렌즈(30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3100), 제2하우징(3300), 렌즈부(3500), 제1감지부(3700) 및 제2감지부(3900)를 포함한다. 컨택트 렌즈(3000)의 제1하우징(3100)과 제2하우징(3300)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1하우징(3100)은 홀더유닛(4000)에 홀딩되는 구성이고, 제2하우징(3300)은 홀더유닛(4000)에 홀딩된 제1하우징(3100)에 착탈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1하우징(3100)은 제1하우징 몸체(3110), 입사부(3130), 후크(3150) 및 결합핀(317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 몸체(3110)는 제1하우징(3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으로는 빔 생성부(2000)로부터 생성된 치료용 빔이 입사되는 입사부(3130)를 형성한다.
후크(3150)는 제1하우징(3100)과 제2하우징(3300)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후크(3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1하우징(3100)에 마련되어 있으나, 후술할 제2하우징(3300)의 후크결합부(3350)와 치환되어 제2하우징(3300)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3150)는 제1하우징 몸체(3110)와 제2하우징 몸체(3310)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방식의 일 실시 예로서, 후크(3150) 대신 핀 또는 나사 결합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결합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결합핀(3170)은 제1하우징 몸체(3110)로부터 하향으로 배치된다. 결합핀(3170)은 홀더유닛(4000)과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핀(3170)은 후술할 홀더지지부(4110)의 핀 결합부(4113)에 결합되어 홀더유닛(4000)과 컨택트 렌즈(3000)의 제1하우징(3100)을 결합시킨다. 물론, 결합핀(3170)은 일 실시 예일 뿐 컨택트 렌즈(3000)의 제1하우징(3100)과 홀더유닛(4000)은 후크 방식 또는 나사 결합 방식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3300)은 제2하우징 몸체(3310), 출사부(3330) 및 후크결합부(3350)를 포함한다. 제2하우징 몸체(3310)는 제1하우징(3100)의 입사부(3130)를 통해 입사된 치료용 빔을 환자의 안구로 안내한다. 여기서, 출사부(3330)는 환자의 안구에 접안 되어야 한다. 후크결합부(33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2하우징 몸체(3310)에 마련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크결합부(3350)는 제1하우징 몸체(3110)와 제2하우징 몸체(3310)의 결합 영역에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결합부(3350)는 제2하우징 몸체(3310)에 한정되어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제1하우징(3100)의 후크(3150)와 치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3100)의 후크(3150)가 제2하우징(3300)에 배치되면 제2하우징(3300)의 후크결합부(3350)는 제1하우징(3100)에 마련되는 것이다.
렌즈부(3500)는 제1하우징 몸체(3110) 및 제2하우징 몸체(3310) 내부에 수용된다. 렌즈부(3500)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로 조합 구성되어 제1하우징(3100)의 입사부(3130)로 입사된 치료용 빔을 시준 또는 경로 조절을 수행하여 출사부(33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1감지부(3700) 및 제2감지부(39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2하우징 몸체(33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감지부(3700)와 제2감지부(3900)는 각각 초음파 센서와 근접 센서가 사용된다. 제1감지부(3700)는 제2감지부(3900)와 이격되어 제2하우징 몸체(3310) 내부에 수용된다. 제1감지부(3700)는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반응을 감지하여 제어유닛(8000)으로 감지 신호를 송신한다. 상세하게 제1감지부(3700)는 치료용 빔의 조사에 따른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버블량을 감지하여 제어유닛(8000)에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렇게 제1감지부(370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유닛(8000)은 빔 생성부(2000) 또는 본 발명에 도시되지 않은 빔 딜리버리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감지부(3900)는 제2하우징(3300)의 출사부(3330) 영역에 배치된다. 제2감지부(3900)는 컨택트 렌즈(3000)가 환자의 안구에 대한 접안 여부를 감지한다. 제2감지부(390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유닛(8000)에 송신된다. 제2감지부(390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빔 생성부(2000) 또는 빔 딜리버리부의 작동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후술할 제어유닛(8000)의 제2제어부(8300)는 제2감지부(3900)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컨택트 렌즈(3000)와 안구의 접안으로 감지하면, 안구의 치료 영역으로 치료용 빔을 조사할 수 있도록 빔 생성부(20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지지유닛의 홀더지지부의 자기 극성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지지유닛의 작동도이다.
홀더유닛(4000)은 컨택트 렌즈(30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컨택트 렌즈(3000)를 안구에 대해 회전 운동시킨다. 즉, 홀더유닛(4000)은 시술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컨택트 렌즈(30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홀더유닛(4000)은 회전지지유닛(4100), 구동유닛(4300) 및 구동감지부(4500)를 포함한다.
회전지지유닛(4100)은 홀더지지부(4110), 회전스테이지(4130) 및 회전결합부(4150)를 포함한다. 회전지지유닛(4100)은 컨택트 렌즈(3000)를 지지하며 컨택트 렌즈(3000)가 피벗팅 되는 X축, 틸팅 되는 Y축 및 스위블링 되는 Z축에 대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컨택트 렌즈(3000)를 회전 운동시킨다. 이러한 회전지지유닛(4100)의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은 구동유닛(43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홀더지지부(4110)는 지지몸체(4111) 및 핀 결합부(4113)를 포함한다. 홀더지지부(4110)는 컨택트 렌즈(300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홀더지지부(4110)는 회전스테이지(4130) 및 회전결합부(4150)의 작동에 대응되어 컨택트 렌즈(3000)를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회전 운동시킨다.
지지몸체(4111)는 자성체의 원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몸체(4111)는 후술할 제1구동부(4310)의 자력부(4311)와 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N극 및 S극을 갖는 자성체로 제작된다. 지지몸체(4111)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선의 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됨과 함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향된 영역이 상호 동일한 극을 갖는 자성체로 제작된다. 반면, 지지몸체(4111)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즉 X축선 방향으로 구획되어 각각 상이한 N극 및 S극을 갖는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지지몸체(4111)의 작동에 대해서는 제1구동부(4310)의 자력부(4311)와 함께 도 8의 (a)의 지지몸체(4111)를 기준으로 도 9에 도시된 작동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핀 결합부(4113)는 컨택트 렌즈(3000)가 지지되는 지지몸체(4111)의 판면에 관통 형성된다. 핀 결합부(4113)는 전술한 제1하우징(3100)의 결합핀(3170)과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핀 결합부(4113)는 제1하우징(3100)의 결합핀(3170)과 상호 결합되어 홀더지지부(4110)에 컨택트 렌즈(3000)의 제1하우징(310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제1하우징(3100)은 제2하우징(330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컨택트 렌즈(3000)가 홀더지지부(4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핀 결합부(41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뿐 제1하우징(3100)의 결합핀(3170)이 후크 등으로 설계 변경되면 이에 대응되어 핀 결합부(4113)도 설계 변경될 수 있다.
회전스테이지(4130)는 홀더지지부(4110)가 스위블링 되도록 마련된다. 회전스테이지(4130)는 구동유닛(4300)의 제2구동부(4330)와 연결되어 제2구동부(4330)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 운동된다. 이때, 홀더지지부(4110)와 회전스테이지(4130)는 회전결합부(415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회전스테이지(4130)의 회전 운동력은 회전결합부(4150)에 의해 홀더지지부(4110)로 제공된다.
회전결합부(4150)는 홀더지지부(4110)와 회전스테이지(4130)를 상호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회전결합부(4150)는 제1회전결합부(4151), 제2회전결합부(4153) 및 체결부재(4155)를 포함한다. 회전결합부(4150)는 회전스테이지(4130)로부터 회전 운동력을 제공 받아 홀더지지부(4110)가 스위블링 되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회전결합부(4150)는 홀더지지부(4110)의 지지몸체(4111)와 제1구동부(4310)의 자력부(4311) 사이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피벗팅 또는 틸팅됨으로써, 홀더지지부(4110)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킨다.
제1회전결합부(4151)는 홀더지지부(4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홀더지지부(4110)를 틸팅 시킨다. 실질적으로 제1회전결합부(4151)는 능동적으로 홀더지지부(4110)를 틸팅 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8의 (a)에 도시된 'B-B'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지지몸체(4111)의 S극과 도 9의 (b)에 도시된 자력의 S극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홀더지지부(4110)의 틸팅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제2회전결합부(4153)는 제1회전결합부(4151)와 회전스테이지(4130)를 상호 연결하고, 제2회전결합부(4153)는 제1회전결합부(4151)와 제1회전결합부(4151)의 회전축선에 대해 직교 방향의 회전축선(X축의 축선)을 갖도록 결합된다. 제2회전결합부(4153)는 제1구동부(4310)로부터의 구동력에 따라 홀더지지부(4110)를 피벗팅 시킨다. 실질적으로 제2회전결합부(4153)는 홀더지지부(4110)를 능동적인 방식에 의해 피벗팅 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8의 (a)에 도시된 'A-A'단면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지지몸체(4111)의 N극과 도 9의 (a)에 도시된 자력부(4311)의 N극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홀더지지부(4110)의 피벗팅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한편, 체결부재(4155)는 홀더지지부(4110)가 제1회전결합부(4151)에 대해 틸팅 가능하도록 홀더지지부(4110)와 제1회전결합부(4151)를 상호 체결한다. 그리고, 체결부재(4155)는 홀더지지부(4110)가 피벗팅 회전 운동되도록 제1회전결합부(4151)와 제2회전결합부(4153)를 상호 체결한다.
구동유닛(4300)은 제1구동부(4310) 및 제2구동부(4330)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4310)는 홀더지지부(4110)가 피벗팅 또는 틸팅 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한다. 제1구동부(43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자력부(4311) 및 전류공급부(4313)를 포함한다.
자력부(4311)는 X축의 축선 및 Y축의 축선을 따라 상호 대향되는 각 2개씩의 N극 및 S극의 극성을 가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자력부(4311)는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N극 및 S극을 갖는 홀더지지부(4110)에 대응되어 홀더지지부(4110)와 회전스테이지(4130) 사이에 배치된다.
자력부(4311)는 전류공급부(4313)로부터 제공된 전류방향 또는 전류량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홀더지지부(4110)의 N극 또는 S극과 척력의 자기력을 형성하여 홀더지지부(4110)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킨다. 물론, 전류공급부(4313)는 상호 대향된 자력부(4311)의 자기력의 세기가 조절되어 홀더지지부(4110)의 피벗팅 또는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자력부(4311)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해야 한다. 여기서, 홀더지지부(4110)와 자력부(4311)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제2구동부(4330)는 회전스테이지(413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2구동부(4330)는 홀더지지부(4110)가 일정 각도로 스위블링 될 수 있도록 스테핑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구동부(4330)는 홀더지지부(4110)의 스테핑 모터 이외에도 홀더지지부(4110)의 스위블링 회전 각도 및 각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된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감지부(4500)는 회전스테이지(4130)에 배치되어 홀더지지부(4110)의 작동에 따른 홀더지지부(4110)의 조절 위치를 감지한다. 즉, 구동감지부(4500)는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되는 홀더지지부(4110)의 변경 위치를 감지한다. 구동감지부(4500)는 예를 들어,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된 광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광원 및 수광부을 갖는 광 센서로 구현된 구동감지부(4500)는 수광부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에 따라 변경된 홀더지지부(4110)의 조절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유닛(5000)은 제1연결유닛(5000) 및 제2연결유닛(5000)을 포함한다. 연결유닛(5000)은 본체(1000)와 홀더유닛(4000)을 상호 연결한다. 또한, 연결유닛(5000)은 홀더유닛(4000)을 Y축의 축선 방향 및 Z축의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즉, 연결유닛(5000)의 제1연결부(5100)는 본체(1000)에 연결되고 홀더지지부(4110)가 틸팅되는 Y축의 축선 방향(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5300)는 제1연결부(5100)의 이동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제1연결부(5100)와 홀더유닛(4000)을 상호 연결하며 홀더지지부(4110)가 스위블링 되는 Z축의 축선 방향(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한편, 연결유닛(5000)은 연결유닛(50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연결유닛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000)는 홀더유닛(4000)과 연결유닛(500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마련된다. 실질적으로 입력부(6000)는 홀더유닛(4000)의 구동유닛(4300)이 작동되도록 작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또한 입력부(6000)는 연결유닛(5000)이 작동되도록 작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입력부(6000)는 시술자의 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부(7000)는 컨택트 렌즈(3000)의 제1감지부(3700)로부터 송신된 감지 신호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측정부(7000)는 제1감지부(3700)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신되는 감지신호, 즉 안구의 치료영역에서 발생되는 버블량에 대한 정보를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부(7000)는 실시간으로 제1감지부(3700)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유닛(8000)에 전달한다. 참고로, 측정부(7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서는 제1감지부(3700)로부터의 신호를 분석 및 측정하도록 마련되었지만, 측정부(7000)는 제1감지부(3700)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제어유닛(8000)에 의해 직접적으로 해석되는 알고리즘을 가질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유닛(8000)은 입력부(6000)로부터 인가된 작동 신호에 기초하여 홀더유닛(4000) 및 연결유닛(50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제1감지부(3700) 및 제2감지부(3900)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빔 생성부(2000) 또는 빔 딜리버리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어유닛(8000)은 제1제어부(8100) 및 제2제어부(8300)를 포함한다.
제1제어부(8100)는 입력부(6000)로부터 제공된 작동 신호에 기초하여 홀더유닛(4000)과 연결유닛(5000)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8300)는 제1감지부(3700)와 제2감지부(3900)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빔 생성부(20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제어부(8300)는 제1감지부(3700)의 감지 신호를 측정한 측정부(700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빔 생성부(2000)의 작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제2감지부(3900)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컨택트 렌즈(3000)가 접안될 경우 빔 생성부(2000)가 작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컨택트 렌즈(3000)가 접안되지 않을 경우 빔 생성부(2000)의 작동이 정지(또는 빔 생성부(2000)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0)의 작동 과정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3000)를 포함한 안과용 치료장치(100)의 작동 과정에 대해 명시했음을 미리 밝혀둔다.
우선, 컨택트 렌즈(3000)의 제1하우징(3100)과 제2하우징(3300)을 상호 결합시킨 후 제1하우징(3100)의 결합핀(3170)과 홀더지지부(4110)의 핀 결합부(4113)를 이용하여 컨택트 렌즈(3000)와 홀더지지부(4110)를 상호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과정과 달리 우선적으로 제1하우징(3100)이 홀더지지부(4110)에 결합된 후 제1하우징(3100)에 대해 컨택트 렌즈(3000)의 제2하우징(3300)이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컨택트 렌즈(3000)와 환자의 안구를 접안시키도록 입력부(600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이하의 첫째 내지 넷째의 작동 과정을 실행한다.
첫째, 환자의 안구에 컨택트 렌즈(3000)가 근접되도록 연결유닛(5000)을 작동시킨다.
둘째, 컨택트 렌즈(3000)의 피벗팅이 필요한 경우, 제1구동부(4310)의 전류공급부(4313)는 홀더지지부(4110)와 자력부(4311) 사이에 자기력이 발생되도록 자력부(4311)에 전류를 인가한다.
셋째, 컨택트 렌즈(3000)의 틸팅이 필요한 경우, 제1구동부(4310)의 전류공급부(4313)는 자력부(4311)에 전류를 인가한다.
넷째, 컨택트 렌즈(3000)의 스위블링이 필요한 경우, 제2구동부(4330)를 작동시켜 회전스테이지(4130)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홀더지지부(4110)를 스위블링 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첫째 내지 넷째의 작동 과정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술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유닛(4000)과 연결유닛(5000)의 작동에 의해 환자의 안구에 인접되게 되면 제2감지부(3900)는 컨택트 렌즈(3000)와 안구의 접촉 여부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유닛(8000)의 제2제어부(8300)는 제2감지부(390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컨택트 렌즈(3000)가 접안된 것으로 판단되면 빔 생성부(2000)가 작동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빔 생성부(2000)의 작동은 제2제어부(8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2제어부(8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빔 생성부(200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장치의 락 해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제2제어부(8300)는 제2감지부(3900)로부터 제공된 신호가 컨택트 렌즈(3000)와 안구가 접안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빔 생성부(2000)의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2제어부(8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안구의 치료영역으로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동안, 제1감지부(3700)는 치료용 빔의 조사영역에서의 버블량을 감지한다. 제2제어부(8300)는 제1감지부(3700)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버블량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빔 생성부(20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컨택트 렌즈 내부에 안구와의 접안을 감지할 수 있는 제2감지부와 치료용 빔의 조사에 따른 안구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1감지부를 배치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택트 렌즈를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가 수용된 별도의 하우징과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는 별도의 하우징으로 구성하여 하우징들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고장 시 별도의 하우징만을 교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더불어,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컨택트 렌즈를 자동으로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절함과 함께 컨택트 렌즈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환자의 안구에 대해 보다 정밀한 컨택트 렌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치료의 정밀성 향상 및 시술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컨택트 렌즈 10: 하우징
14: 입사부 16: 출사부
50: 제1감지부 70: 제2감지부
100: 안과용 치료장치 2000: 빔 생성부
3000: 컨택트 렌즈 3100: 제1하우징
3130: 입사부 3150: 후크
3300: 제2하우징 3330: 출사부
3350: 후크결합부 3700: 제1감지부
3900: 제2감지부 4000: 홀더유닛
4100: 회전지지유닛 4110: 홀더지지부
4130: 회전스테이지 4150: 회전결합부
4300: 구동유닛 4310: 제1구동부
4330: 제2구동부 5000: 연결유닛
5100: 제1연결부 5300: 제2연결부
6000: 입력부 8000: 제어유닛
8100: 제1제어부 8300: 제2제어부

Claims (15)

  1.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치료용 빔을 안구로 안내하는 컨택트 렌즈에 있어서,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상기 치료용 빔이 입사되는 입사부 및 상기 입사부로부터 입사된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안내하는 출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반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와 이격된 상기 출사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안구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2.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치료용 빔을 안구로 안내하는 컨택트 렌즈에 있어서,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상기 치료용 빔이 입사되는 입사부가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입사부와 대향된 개구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입사부로 입사된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출사하는 출사부가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반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출사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과 안구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제2감지부와 이격된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에 따른 안구의 치료 영역에서 발생되는 버블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빔 생성부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후크와,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와 맞물려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착탈 결합시키는 후크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은 나사 결합 및 핀 결합 중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는 각각 초음파 센서와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9.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되는 치료용 빔을 안구로 조사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빔 생성부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안구에 인접되어,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발진된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안내하는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택트 렌즈와;
    상기 컨택트 렌즈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택트 렌즈를 안구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홀더유닛과;
    상기 본체와 상기 홀더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홀더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컨택트 렌즈가 지지되며, 상기 컨택트 렌즈가 피벗팅 되는 X축, 틸팅 되는 Y축 및 스위블링 되는 Z축에 대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컨택트 렌즈를 회전운동 시키는 회전지지유닛과;
    상기 회전지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지지유닛이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어느 하나로 회전 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컨택트 렌즈의 상기 제1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렌즈의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핀 결합, 후크 결합 및 끼움결합 중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컨택트 렌즈가 틸팅 되는 Y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왕복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홀더유닛과 상기 제1연결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컨택트 렌즈가 스위블링 되는 Z축의 축선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치료장치는,
    상기 홀더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작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홀더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빔 생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갖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상기 컨택트 렌즈와 안구가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안구로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KR20130087976A 2013-07-25 2013-07-25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KR10143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976A KR101435435B1 (ko) 2013-07-25 2013-07-25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US14/907,519 US10543124B2 (en) 2013-07-25 2014-07-21 Contact lens and ophthalmic treatment device having same
PCT/KR2014/006590 WO2015012544A1 (ko) 2013-07-25 2014-07-21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976A KR101435435B1 (ko) 2013-07-25 2013-07-25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435B1 true KR101435435B1 (ko) 2014-09-01

Family

ID=5175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7976A KR101435435B1 (ko) 2013-07-25 2013-07-25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43124B2 (ko)
KR (1) KR101435435B1 (ko)
WO (1) WO20150125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331A1 (ja) * 2015-03-31 2016-10-0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用レーザ手術装置、眼科装置、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眼科手術制御プログラ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9844B1 (en) 2015-09-15 2021-01-20 i-Lumen Scientific, Inc. Apparatus for ocular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
WO2019033339A1 (en) * 2017-08-17 2019-02-21 Xinova, LLC DISPOSABLE CONTACT LENS FOR OPTICAL PROCESSING SYSTEMS
ES2961009T3 (es) 2018-12-20 2024-03-07 I Lumen Scient Inc Sistema para terapia de estimulación por microcorrien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1697A1 (en) 2003-07-11 2006-05-25 Medizinisches Laserzentrum Luebeck Gmbh Method for operation of laser
JP2008531103A (ja) 2005-02-25 2008-08-14 20/10 パーフェクト ビジョン オプティシュ ゲラエテ ゲーエムベーハー 眼と外科用レーザを位置合せ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KR20130034924A (ko)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루트로닉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KR20130062353A (ko) * 2010-09-02 2013-06-12 옵티메디카 코포레이션 안과 진단 및 중재시술을 위한 환자 인터페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9343A1 (en) * 1996-12-02 2006-07-06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Cooling system for a photocosmetic device
ES2336611T3 (es) * 2007-03-14 2010-04-14 Wavelight Ag Aparato para el acoplamiento de un elemento al ojo.
US20100324543A1 (en) * 2007-09-18 2010-12-23 Kurtz Ronald 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Cataract Surgery With Glaucoma Or Astigmatism Surg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1697A1 (en) 2003-07-11 2006-05-25 Medizinisches Laserzentrum Luebeck Gmbh Method for operation of laser
JP2008531103A (ja) 2005-02-25 2008-08-14 20/10 パーフェクト ビジョン オプティシュ ゲラエテ ゲーエムベーハー 眼と外科用レーザを位置合せ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KR20130062353A (ko) * 2010-09-02 2013-06-12 옵티메디카 코포레이션 안과 진단 및 중재시술을 위한 환자 인터페이스
KR20130034924A (ko)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루트로닉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331A1 (ja) * 2015-03-31 2016-10-0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用レーザ手術装置、眼科装置、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眼科手術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43124B2 (en) 2020-01-28
WO2015012544A1 (ko) 2015-01-29
US20160158058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972B2 (en) Ophthalmic laser surgery apparatus, and eyeball fixing portion movement unit and eyeball fixing unit used in the same
JP2017534355A (ja) 短パルス・レーザ眼科手術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322216B1 (en) Two camera off-axis eye tracker for laser eye surgery
KR101435435B1 (ko)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JP5019794B2 (ja) 眼組織を破壊するための眼科用装置
JP5242596B2 (ja) 眼組織を分解するための眼科用装置
ES2956044T3 (es) Sistemas para la alineación de dispositivos de imágenes oftálmicas
WO2018056377A1 (ja) 走査型レーザ検眼鏡
CN112957174A (zh) 眼科激光治疗***
US20080204657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patial Position of the Optical Axis of an Eye and for Centering a Reference System Relation to be Optical Axis
JP6053739B2 (ja) 細隙灯顕微鏡
JP2001029316A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2016077453A (ja) 眼底撮影装置
JP3977017B2 (ja) レーザ治療装置
EP2063305A2 (en) A surgical microscope apparatus
JP3889997B2 (ja) 検眼装置
KR101300124B1 (ko)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KR20150111589A (ko) 보조 조명 장치 일체형 세극등 현미경
JP4054538B2 (ja) レーザ治療装置
KR20100026431A (ko) 레이저 치료기용 캘리브레이션장치
WO2013081252A1 (ko) 광단층 모니터링 현미경
CN112294248A (zh) 眼科装置以及眼科***
JP3675852B2 (ja) 眼科手術装置
US7628488B2 (en) Method for reproducing a fixation mark for ophthalmological therapeutic equipment
CN105167739B (zh) 一种基于眼底成像***的视网膜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