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383B1 -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383B1
KR101432383B1 KR1020120141581A KR20120141581A KR101432383B1 KR 101432383 B1 KR101432383 B1 KR 101432383B1 KR 1020120141581 A KR1020120141581 A KR 1020120141581A KR 20120141581 A KR20120141581 A KR 20120141581A KR 101432383 B1 KR101432383 B1 KR 10143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iogenesis
compou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bicycl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706A (ko
Inventor
정병선
김정애
강유라
남태규
구진모
포터 네드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4/362,91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031890A1/en
Priority to PCT/KR2012/010630 priority patent/WO2013085340A1/ko
Publication of KR2013006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383B1/ko
Priority to US14/801,842 priority patent/US950575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8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745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 system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henantro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는 융모요막 모델에서의 신생혈관형성 억제 효과가 탁월하여,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bicyclic pyridinol derivatives having anti-angiogenic activity}
본 발명은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관신생(angiogenesis)이란 기존의 미세혈관으로부터 새로운 모세혈관이 형성되는 과정이다. 혈관신생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경우는 배아 발생(embryonic development), 조직재생 및 상처치료, 주기적인 여성의 생식기 계통의 변화인 황체가 발달될 때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엄격히 조절되어 진행된다(Folkman J et al., Int. Rev. Exp. Pathol., 16, pp207-248, 1976).
성인의 경우 혈관내피세포는 매우 느리게 자라며, 다른 종류의 세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잘 분열하지 않는다. 혈관신생이 일어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혈관신생 촉진인자의 자극에 의하여 프로테아제로 인한 혈관 기저막의 분해, 혈관 내피세포의 이동, 증식 및 혈관 내피세포 분화에 의한 관강의 형성으로 혈관이 재구성되어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혈관신생이 자율적으로 조절되지 못하고 병적으로 성장함으로써 야기되는 질환들이 있다. 병리학적 상태에서 나타나는 혈관신생에 관련된 질환으로는 혈관종, 혈관섬유종, 혈관기형 및 심혈관 질환인 동맥경화, 혈관유착, 부종성 경화증이 있고, 혈관신생에 의한 안과 질환으로는 각막이식성 혈관신생, 혈관신생성 녹내장, 당뇨병성 망막증,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 질환, 반점의 변성, 익상편, 망막 변성, 후수정체 섬유 증식증, 과립성 결막염 등이 있다. 관절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질환, 건선, 모세관 확장증, 화농성 육아종,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과 같은 피부과 질환, 알츠하이머 및 비만도 혈관신생과 관련이 있으며, 암의 성장과 전이는 반드시 혈관신생에 의존한다(D'Amato RJ et al., Ophthalmology, 102(9), pp1261-1262, 1995; Arbiser JL, J. Am. Acad. Dermatol., 34(3), pp486-497, 1996; O'Brien KD et al. Circulation, 93(4), pp672-682, 1996; Hanahan D et al., Cell, 86, pp353-364, 1996).
특히 암의 경우 혈관신생은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양은 신생혈관을 통하여 성장과 증식에 필요한 영양과 산소를 공급받으며, 또한 종양까지 침투한 신생 혈관들은 전이하는 암세포가 혈액순환계로 들어가는 기회를 줌으로써 암세포가 전이(metastasis) 되도록 한다(Folkman and Tyler, Cancer Invasion and metastasis, Biologic mechanisms and Therapy(S.B. Day ed.) Raven press, New York, pp94-103, 1977; Polverini PJ, Crit. Rev. Oral. Biol. Med., 6(3), pp230-247, 1995). 암 환자가 사망하는 주원인은 전이이며,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화학요법이나 면역요법들이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바로 암의 전이 때문이다.
염증성 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인 관절염은 자가면역 이상이 원인이지만, 병이 진행되면서 관절 사이의 활액강에 생긴 만성 염증이 혈관신생을 유도하여 연골이 파괴된다. 즉, 염증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의 도움으로 활액세포와 혈관내피세포가 활액강에서 증식을 하여 혈관신생이 진행되면서 연골부에 발생하는 결합조직층인 관절 판누스를 형성하여 쿠션 역할을 하는 연골이 파괴된다(Koch AE et al., Arthritis. Rheum., 29, pp471-479, 1986; Stupack DG et al., Braz J. Med. Biol. Rcs., 32(5), pp578-581, 1999; Koch AE, Atrhritis. Rheum., 41(6), pp951-962, 1998).
해마다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이 실명하게 되는 많은 안과질환도 혈관신생이 원인이 되고 있다(Jeffrey MI et al., J. Clin. Invest., 103, pp1231-1236, 1999). 그 대표적인 예로 노인에게 일어나는 퇴화반 (macular degeneration), 당뇨병성 망막증 (diabetic retinopathy), 조숙아의 망막증, 신생혈관성 녹내장과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 질환과 같은 질병은 혈관신생이 원인이 되는 질병들이다(Adamis AP et al., Angiogenesis, 3, pp9-14, 1999). 그 중 당뇨병성 망막증은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망막에 있는 모세혈관이 초자체를 침습하여 결국 눈이 멀게 되는 질병이다.
붉은 반점과 인설의 피부가 특징인 건선도 피부에 생기는 만성의 증식성 질환인데 치유되지 않으며 고통과 기형을 수반한다. 정상인 경우 각질세포가 한달에 한번 증식하는데 비해 건선 환자는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 증식한다. 이런 빠른 증식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혈액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혈관신생이 활발히 일어날 수밖에 없다 (Folkman J, J. Invest. Dermatol., 59, pp40-48, 1972).
혈관 신생 억제제를 이러한 각종 혈관신생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 혈관신생을 억제시켜서 상기 질환들을 치료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혈관신생 억제제는 보통 환자에게 장기적으로 투여하여야 하기 때문에 독성이 적고 경구투여가 가능한 것이어야 가장 이상적인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혈관신생 억제제로서 독성이 미비한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특정 구조의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가 우수한 혈관신생억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1645082-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 C1 내지 C16의 알킬, 아실옥시메틸 또는 트리메틸트리데실 중 어느 하나이며, n은 1 내지 2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는 R1이 수소, 메틸, 에틸 또는 n-C16H33 중 어느 하나이고, R2가 수소 또는 메틸 중 어느 하나이고, R3가 수소, 메틸, n-부틸, t-부틸, 아실옥시메틸 또는 트리메틸트리데실(
Figure 112012101645082-pat00002
) 중 어느 하나이며, n이 1 내지 2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2101645082-pat00003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의 정수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2101645082-pat00004
상기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패혈증성 관절염, 건선, 각막궤양, 노화와 관련된 황반 변성, 당뇨성 망막병증,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안과 염증, 원추 각막, 쇼그렌 증후군, 근시 안과종양, 각막이식 거부, 이상 창상 유합, 골질환, 단백뇨증, 복대동맥류 질환, 외상성 관절 손상에 따른 퇴행성 연골손실, 신경계의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신사구체 질환,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 염증성 장질환, 치근막 질환, 동맥경화증, 재협착증, 중추신경계의 염증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피부노화 및 암의 침윤과 전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는 닭의 융모요막 모델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와 같은 신생혈관형성 유도물질의 처리에 따른 신생혈관형성 증가를 억제하므로,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적용량 및 적용방법은 제형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001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는 50% 치사량(LC50)이 2 g/kg 이상으로 안정성이 확보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는 닭의 융모요막 모델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와 같은 신생혈관형성 유도물질의 처리에 따른 신생혈관형성 증가를 억제하므로,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들의 화학식을 개시한 것이다.
도 2는 화합물 12를 농도별로 CAM에 처리하여 IC50을 구한 값이다.
도 3은 화합물 12의 HUVEC 세포에서 VEGF-유도성 증식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화합물 12의 HUVEC세포의 침윤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의 하면을 200배율로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화합물 12의 ROS 소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를 400배율로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황반변성 위험인자인 angiotensin II를 adult retinal pigment epithelium(ARPE)-19 세포주에 처리하여 화합물 12의 ROS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7은 황반변성 위험인자인 4-hydroxynonenal(4-HNE)를 adult retinal pigment epithelium(ARPE)-19 세포주에 처리하여 화합물 12의 ROS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8은 CAM에 A549 폐암세포를 접종하여 종양 형성에 의한 혈관신생 및 종양 성장의 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 합성
하기 표 1 및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개시한 것으로서 각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들은 각각의 참조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1645082-pat00005
화합물 n R1 R2 R3 참조문헌
1 2 H H H Chem. Eur. J., 2010, 16, 14106-14114
2 2 Me H H Chem. Eur. J., 2010, 16, 14106-14114
3 2 n-C16H33 H H Chem. Eur. J., 2010, 16, 14106-14114
4 2 H Me Me Synthesis, 2005, 1397-1404
5 2 Me Me Me Synthesis, 2005, 1397-1404, J. Am. Chem. Soc., 2007, 129, 10211-10219
6 2 Me Me n-Bu J. Am. Chem. Soc., 2007, 129, 10211-10219
7 2 Me H Me J. Am. Chem. Soc., 2007, 129, 10211-10219
8 2 Me H n-Bu J. Am. Chem. Soc., 2007, 129, 10211-10219
9 2 Me H t-Bu J. Am. Chem. Soc., 2007, 129, 10211-10219
10 1 Et H H Org. Biomol. Chem., 2011, in press. DOI: 10.1039/c1ob05144j
11 1 Et Me CH2OCOMe Org. Biomol. Chem., 2011, in press. DOI: 10.1039/c1ob05144j
12 1 Me Me C16* Org. Biomol. Chem., 2011, 9, 1749-1755
Me는 메틸, Et는 에틸, Bu는 부틸, C16*
Figure 112012101645082-pat00006
을 의미함.
<실험예 1> CAM 분석을 통한 혈관신생 억제효과 검토
생체내 시험상(in vivo)에서의 혈관신생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융모요막(chorioallantoic membrane, CAM) 분석을 실시하였다(Nguyen M et al., Microvascular Res., 47, pp31-40, 1994).
닭의 유정란을 온도 37℃, 상대습도 55%를 유지해주면서 배양시켜 10일째에 기낭(air sac) 부위에 피하주사침(hypodermic needle, 녹십자의료공업, 한국)을 이용하여 첫 번째 작은 구멍을 뚫고, 창(window)을 낼 유정란의 평평한 부위에 두 번째 구멍을 뚫었다.
첫 번째 구멍인 기낭 부위의 구멍을 통해 공기를 빼냄으로써, 융모요막 (CAM)이 유정란의 껍질로부터 분리가 되게 하여 이 부위를 회전연마기(grinding wheel, Multipro 395JA, Dremel, Mexico)로 절단하여 창을 만들었다.
다음으로, 와트만 필터 디스크(whatman filter disk #1, whatman사, USA)에 코티존 아세테이트(cortisone acetate) 3 ㎎/㎖을 처리하여 건조시킨 후 혈관내피성장인자(VEGF)는 20 ng/CAM의 농도로 적셔두었다.
만들어 둔 창을 통해 필터 디스크를 혈관 위에 얹고, 실시예의 화합물 12를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로 녹여 인산완충용액(PBS)으로 희석하여 각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약물처리 3일 뒤, 필터 디스크가 얹힌 CAM 부분을 떼어내어 인산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씻어준 후, 입체현미경(Stemi SV6 stereomicroscope, Carl Zeiss, Germany)과 Image-Pro Plus software(Media Cybernetics; Silver Spring, MD, USA)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여 혈관 가지의 개수를 측정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VEGF로 유도된 신생혈관형성 증가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2의 처리로 인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화합물 12의 혈관신생 억제효과를 SU4312, 바티매스타트(batimastat) 및 α-토코페롤과 비교한 결과, 화합물 12는 이러한 화합물들보다 저농도에서 혈관신생을 억제할 수 있는 뛰어난 혈관신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군 혈관가지 개수
/ 주 혈관
억제율 (%)
PBS 14.4±2.7 -
VEGF (20 ng/CAM) 52.2±2.7 -
VEGF (20 ng/CAM)
+
SU4312
(1 μg/CAM, 378 μM)
24±4.6# 74.6±12.1
Batimastat
(1 μg/CAM, 209 μM)
19.9±2.87# 78.4±7.4
α-토코페롤
(3 ng/CAM, 0.7 μM)
32.3±3.5 45.1±9.3
α-토코페롤
(100 ng/CAM, 23 μM)
24.3±2.7# 64.4±14.2
화합물 12
(0.004 ng/CAM, 1 nM)
28±4.7# 64.0±12.5
화합물 12
(0.04 ng/CAM, 10 nM)
25.2±2.4# 71.4±6.4
또한, 화합물 12를 농도별로 CAM에 처리하여 IC50을 구한 결과, IC50은 0.7nM 였다(도 2).
< 실험예 2> HUVEC 세포에서 VEGF -유도성 증식 억제 효과 검토
HUVEC 세포는 0.2%의 젤라틴(gelatin)이 코팅된 플라스크에서 배양되었다. 상기 HUVEC 세포는 EBM-2(Endothelial Cell Basal Medium-2, Clonetics, San Diego, C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러한 EBM-2 배지는 우태아혈청(FBS), 하이드로코르티손 (hydrocortisone), hFGF-B(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3-IGF-1(human recombinant insulin-like growth factor),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hEGF(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GA-1000 및 헤파린(heparin)을 포함하였다. HUVEC 세포를 4 내지 5일 배양하여 24웰 플레이트에 5×104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였고, 각 웰의 배지 용량은 1 ㎖로 맞추었다. VEGF가 유도한 내피세포에서 화합물 12의 효과를 검사하기 위해 HUVEC 세포에 VEGF와 화합물 12의 혼합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100㎕의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5g MTT/ℓin H2O)를 첨가한 후 4시간 더 세포를 배양하였다. 그 후, 각각의 세포가 포함된 웰에 디메틸 술폭사이드(DMSO) 200 ㎕를 첨가하고 환원된 MTT 결정을 용해하기 위하여 피펫으로 혼합하였다. 상대적인 세포 생존률을 540 nm 필터를 가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Menlo Park, CA)로 스캐닝하여 측정하였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2는 VEGF-유도성 세포 증식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 실험예 3> HUVEC 세포에서의 주화성 이동 억제효과 검토
본 발명의 화합물의 주화성 이동(chemostatic migration)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에서 HUVEC 세포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Mi-Sung Kim et al., Cancer Research, 63, 5454-5461, 2003 Sang-Oh Yoon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6, 20085-20092, 2001; Sonia Zorzet et al., The journal of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95, 927-933, 2000). 여기서 사용된 배양 플레이트는 다수의 8 mm 크기의 구멍(pore)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필터를 포함하는 24웰 플레이트(Corning Costar, Cambridge, MA)를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의 하면을 0.5㎎/㎖ 농도의 제1형 콜라겐(type Ⅰ collagen) 20ℓ로 코팅하였으며, 그 상면은 1.5㎎/㎖ 농도의 Matrigel(BD biosciences, Bedford, MA) 20ℓ로 코팅하였다. 여기서,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의 하부 영역은 2% FBS를 함유한 배지로 채웠으며, HUVEC 세포는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의 상부에 접종하였다. 이때, 화합물 12를 디메틸 술폭사이드(DMSO)로 녹여 인산완충용액(PBS)으로 희석하여 각각 농도별(1, 3, 10μM)로 처리하였다. 이렇게 접종된 HUVEC 세포를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의 하면에 침투된 세포를 메탄올(methanol)로 고정(fix)하고, 헤마톡시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합물 12의 HUVEC세포의 침윤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의 하면을 200배율로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화합물 12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의 하면에 침투한 암세포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 12가 HUVEC 세포의 침윤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HUVEC 세포에서의 활성산소종 ( reactive oxygen species , ROS ) 소거능 측정
VEGF로 유도된 HUVEC 세포 내 ROS의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해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DCF-DA)를 이용하였다. DCF-DA는 세포 내 ROS의 존재 시 형광의 DCF로 산화하여 녹색의 형광을 나타낸다. 0.2% 젤라틴 코팅된 8-well plates에 1×105의 농도로 HUVEC을 분주한 다음 24 시간 배양한다. 화합물 12를 3시간 전처리 하고 VEGF로 15분간 유도한 후 PBS (pH 7.4)로 3회 세척한 다음 10 μM의 DCF-DA를 EBM-2 배지에 넣어 암소에서 30 분간 처리한다. 다시 PBS로 3회 세척하고 세포 내 형광의 정도를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합물 12의 ROS 소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를 400배율로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화합물 12를 처리한 경우 VEGF에 비해 세포내 형광의 정도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황반변성 위험인자인 4-hydroxynonenal(4-HNE) 또는 angiotensin II를 adult retinal pigment epithelium(ARPE)-19 세포주에 처리하여 화합물 12의 ROS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이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대조군에 비해 세포내 형광의 정도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황반변성 위험인자인 4-hydroxynonenal(4-HNE) 혹은 angiotensin II는 ARPE세포에서 ROS 발생을 통해 세포 손상을 야기하여 궁극적으로 브루크막 손상 및 혈관신생을 야기하여 황반변성 및 실명을 초래하게 되는데, 상기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화합물 12가 4-HNE 및 angiotensin II의 ROS발생을 강력하게 억제함으로서 황반변성의 치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 가능하다.
< 실험예 5> 종양 형성에 의한 혈관신생 및 종양 성장의 억제 효과
도 8은 CAM에 A549 폐암세포를 접종하여 종양 형성에 의한 혈관신생 및 종양 성장의 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유정란을 배양시킨 9일째에 동일하게 창을 만들고 disc 대신 암세포를 matrigel과 1:1로 혼합하고 화합물 12를 처리하여 1.5×106 세포/CAM의 밀도로 접종시킨다. 접종 5일 뒤 종양이 형성된 CAM 부분을 떼어내어 인산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씻어준 후, 입체현미경(Stemi SV6 stereomicroscope, Carl Zeiss, Germany)과 Image-Pro Plus software(Media Cybernetics; Silver Spring, MD, USA)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여 혈관 가지의 개수를 측정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인 α-tocopherol에 비해 현저히 낮은 농도에서도 종양 형성에 의한 혈관신생을 억제하고 종양의 성장 또한 억제하였다.
< 실험예 6> 독성실험
웅성 Balb/c 마우스에 화합물 12를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각각 현탁하여 0.5g/kg, 1g/kg 및 2g/kg의 용량으로 1회 단회 경구투여하고 7일간 마우스의 생존율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마우스에서 2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따라서, 경구 투여 중간치사량(LD50)은 2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2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화합물 12 20 mg, 유당 100 mg 및 탈크 10 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화합물 12 2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화합물 12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화합물 12 1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및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연고제의 제조
화합물 12 10mg, PEG-4000 250mg, PEG-400 650mg, 백색바셀린 10m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1.44m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8mg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통상의 연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며, 황반병성 또는 암의 침윤과 전이에서 선택된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4018778044-pat00009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의 정수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14018778044-pat00010

  5. 삭제
KR1020120141581A 2011-12-08 2012-12-07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43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62,917 US20150031890A1 (en) 2011-12-08 2012-12-07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bicyclic pyridinol derivative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angiogenesis
PCT/KR2012/010630 WO2013085340A1 (ko) 2011-12-08 2012-12-07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US14/801,842 US9505757B2 (en) 2011-12-08 2015-07-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bicyclic pyridinol derivative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angiogene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1290 2011-12-08
KR1020110131290 2011-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706A KR20130064706A (ko) 2013-06-18
KR101432383B1 true KR101432383B1 (ko) 2014-08-20

Family

ID=4886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581A KR101432383B1 (ko) 2011-12-08 2012-12-07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50031890A1 (ko)
EP (1) EP2789337B1 (ko)
KR (1) KR101432383B1 (ko)
ES (1) ES2683314T3 (ko)
WO (1) WO2013085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742B1 (ko) * 2011-12-21 2014-07-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6―아미노피리딘―3―올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US9889139B2 (en) 2011-12-21 2018-02-13 Research Cooperation Foundation Of Yeungnam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6-aminopyridin-3-ol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subject
MY183406A (en) * 2015-09-02 2021-02-18 Basf Se Lubrican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7669B2 (en) * 2005-06-15 2013-02-05 Vanderbilt University Inhibitors of hemeprotein-catalyzed lipid peroxidatio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diovascular Research, Vol.71, pp.226-235 (2006) *
Cardiovascular Research, Vol.71, pp.226-235 (2006)*
Organic & Biomolecular Chemistry, Vol.9, pp.1749-1755 (2010.12.03.) *
Organic & Biomolecular Chemistry, Vol.9, pp.1749-1755 (2010.12.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9337A1 (en) 2014-10-15
EP2789337A4 (en) 2015-07-22
US9505757B2 (en) 2016-11-29
EP2789337B1 (en) 2018-07-18
ES2683314T3 (es) 2018-09-26
WO2013085340A1 (ko) 2013-06-13
KR20130064706A (ko) 2013-06-18
US20150320729A1 (en) 2015-11-12
US20150031890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069B1 (ko) 피르페니돈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캡슐 제제
KR101415742B1 (ko) 6―아미노피리딘―3―올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939401B1 (ko) 단핵식세포계 세포의 age-알부민 합성 또는 분비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9028B1 (ko) 항혈관형성제 및 사용방법
KR102166665B1 (ko) 벤질리덴구아니딘 유도체들 및 단백질 미스폴딩 질환들의 치료를 위한 치료적 용도
CN102743382B (zh) 刺激神经形成和抑制神经元变性的方法和组合物
JP6502919B2 (ja) アミドピリジンオール誘導体またはその薬剤学的に許容可能な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薬学組成物
KR101432383B1 (ko) 바이사이클릭 피리디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271593B1 (ko) 마크로락틴 에이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관신생효과를 갖는 조성물
CN109172584A (zh) 2-apb在制备抗脑血管疾病药物中的应用
KR102034310B1 (ko) 인테그린 억제제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78262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1,2-naphthoquinone derivative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acute myeloid or lymphoblastic leukemia
JP2015520226A (ja) イマチニブまたはこ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血管透過性疾患の治療若しくは予防用組成物
KR100825120B1 (ko) 잎새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 및암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0703259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1-furan-2-yl-3-pyridin-2-yl-pr0pen0ne having anti-angiogenic activity and cancer growth inhibitory activity
DE69916571T2 (de) Hemmer der angiogenese und der urokinase produktion und seine medizinische anwendung
KR101048584B1 (ko)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EP2801361A1 (en) Collateral blood circulation development promoter
KR101604373B1 (ko) 케토티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육종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79610B1 (ko) 1-퓨란-2-일-3-피리딘-2-일-프로페논을 함유하는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 및 암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1844816B1 (ko) 구아나벤즈를 포함하는 식욕부진증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048594B1 (ko) 혈관신생 및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CN116113412A (zh) 血液脑脊髓屏障保护剂
KR20170122770A (ko)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040041418A (ko) 설폰아미드계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