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371B1 - 즉석 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즉석 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371B1
KR101430371B1 KR1020130114667A KR20130114667A KR101430371B1 KR 101430371 B1 KR101430371 B1 KR 101430371B1 KR 1020130114667 A KR1020130114667 A KR 1020130114667A KR 20130114667 A KR20130114667 A KR 20130114667A KR 101430371 B1 KR101430371 B1 KR 10143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nit
water
supply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811A (ko
Inventor
함용승
Original Assignee
함용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용승 filed Critical 함용승
Priority to KR102013011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3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또는 육수 등 조리 용수와 세척된 곡물류나 반가공 상태의 조리 재료를 함께 가열하여 취식이 가능한 음식으로 조리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즉석 조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분체 또는 입자 형태의 조리 재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하부에 연통 배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리 재료를 이송 공급하는 재료 공급부와; 조리 용수가 수용되는 수통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리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부와;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 하부에 조리 영역을 마련하고, 상기 저장부와 수통이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가 설치되는 본체와; 커버를 갖는 용기 형상으로 상기 조리 영역에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장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고, 동시에 상기 용기 내에 내부케이스를 장착하여야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를 통한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를 수용하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 및 상기 조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즉석 조리 시스템{INLINE COOKING SYSTEM}
본 발명은 즉석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 또는 육수 등 조리 용수와 세척된 곡물류나 반가공 상태의 각종 즉석 재료를 함께 가열하여 취식이 가능한 음식으로 조리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즉석에서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즉석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나라의 주식인 밥은 쌀, 보리 등의 일 종 이상의 곡물을 깨끗이 씻어 일정량의 물과 함께 솥에 넣고, 다시 일정 시간의 가열하여 익히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밥 이외에도 스프, 죽, 반가공 상태의 재료를 이용한 음식은,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를 일정량과 비율로 섞는 과정과 또 해당 재료의 조건에 대응하는 시간의 가열과정을 필요로 한다.
즉, 위의 각 음식을 조리함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각각의 음식에 대응하는 물 조절과 조리 시간 등 조리 재료의 준비에서부터, 음식으로 조리하기까지 많은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리 조건을 숙지할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위의 음식을 조리하는 장치 중에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6-0038646호의 개시된 것을 비롯한 각종 전기밥솥이 그 대표적이며, 이러한 전기밥솥의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있어서 최소한 물조절 능력을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3864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깨끗이 씻은 쌀 또는 보리 등을 포함한 곡물류나 이들 곡물류를 포함하여 고기 또는 야채 등을 함께 반가공한 분체 또는 입상의 조리 재료와 더불어 그에 대응하는 적정량의 조리 용수를 공급토록 하여 사용자 누구나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즉석 조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의 사용에 있어서, 대기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즉석 조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조리 시스템은, 분체 또는 입자 형태의 조리 재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하부에 연통 배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리 재료를 이송 공급하는 재료 공급부와; 조리 용수가 수용되는 수통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리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부와;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 하부에 조리 영역을 마련하고, 상기 저장부와 수통이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가 설치되는 본체와; 커버를 갖는 용기 형상으로 상기 조리 영역에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장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고, 그 장착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를 통한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를 수용하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 및 상기 조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즉석 조리 시스템에 따르면,
첫째,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맛있는 밥, 수프, 죽 등 반가공 상태의 조리 재료에 대응하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고,
둘째, 급식량에 따른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숙련된 조리 재료 공급량 조절 또는 조리 용수의 조절이 필요치 않으며,
셋째, 조리부가 본체부 상에 완벽하게 설치되어야만 본체와 가열부 등의 각 구성부에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며,
넷째, 1~4인 정도의 핵가족이 증가하고, 경제활동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빠르고 간편한 조리준비가 가능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섯째, 별도의 쌀을 포함한 곡물류나 반가공 상태의 조리 재료를 대량으로 보관할 필요가 없을뿐더러 설치규모가 작아 데드 스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 조리시스템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즉석 조리시스템의 각부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와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Ⅲ 부위에 해당하는 조리부 구성과 그 설치가 이루어지는 조리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리부 각 구성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 조리시스템의 구동관계를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 조리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조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조리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2)의 상부에 분체 또는 입자 형태의 조리 재료(M)를 상부의 덮개(C)의 개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저장부(14)가 구비되고, 이 저장부(14)는 내부의 하측이 호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되는 조리 재료(M)로 하여금 자중에 의해 하부 일 방향으로 유동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14) 하부의 본체(12) 내부에는, 재료 공급부(16)가 연통 배치되고, 이 재료 공급부(16)는, 후술하는 제어부(46)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저장부(14) 하부를 통해 유입되는 조리 재료(M)를 설정한 위치로 이송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재료 공급부(16)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형상으로 저장부(14)의 하부에 대하여 측부 일부 구간이 연통하여 조리 재료(M)의 유입이 있도록 하고, 일단은 본체(12)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조리 재료(M)의 배출구를 이루는 공급관체(18)와, 공급관체(18)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20) 및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급관체(18)의 타단을 통해 연결된 스크류(20)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2)에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물 또는 육수 등의 조리 용수를 재료 공급부(16)의 조리 재료와 같이 공급하도록 하는 용수 공급부(24)가 구비된다.
상술한 용수 공급부(24)는, 조리 용수를 수용하며, 본체(12)의 일측에 장착되는 수통(26)과, 일단은 상술한 재료 공급부(16)의 일단에 근접하여 놓이고, 타단은 수통(26)의 장착으로부터 조리 용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 연결되는 호스(28) 및 상술한 호스(28)에 연통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호스(28)를 통한 조리 용수의 유동압을 제공하는 펌프(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2)의 전방 하부 즉, 상술한 재료 공급부(16)와 용수 공급부(24)의 일단에 수직 대응하는 하부에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ㄷ'자 형상으로 오목한 일정 공간의 조리 영역(A)이 마련되고, 이 조리 영역(A)에는 재료 공급부(16)와 용수 공급부(24)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를 수용하는 조리부(32)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리부(3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4)를 갖는 용기 형상으로 상술한 조리 영역(A)에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장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고, 조리 영역(A) 내에 장착됨으로써 본체(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버(34)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 상부의 재료 공급부(16)와 용수 공급부(24)로부터 이송되어 낙하하는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를 수용하며, 커버(34)가 닫힌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술한 조리부(32)와 이 조리부(32)가 장착되는 조리 영역(A) 사이의 연결관계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술한 조리 영역(A)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부(32)의 밑면이 놓이는 본체(12)의 바닥면에 제 1 단자부(48)가 마련된다.
또한, 조리부(32)는, 밑면에 제 1 단자부(48)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단자부(36)를 마련하고, 내부에 제 2 단자부(36)와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가열부(38)를 구비한 외부 케이스(40)와, 외부 케이스(40)에 삽입되고, 이와 더불어 커버(34)가 개방된 상태로 조리 영역(A)에 장착됨으로써 재료 공급부(16)와 용수 공급부(24)를 통한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내부 케이스(42) 및 외부 케이스(40)에 대한 내부 케이스(42)의 삽입 여부에 따라 제 2 단자부(36)와 가열부(38) 및 제어부(46)를 본체(12)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4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위치(44)는, 외부 케이스(40) 내에 내부 케이스(42)가 삽입됨에 의해 제 2 단자부(36)를 통한 가열부(38) 사이의 전원을 연결하고, 그 반대의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스위치(44), 본체(12) 내의 제어부(46)와 제 1 단자부(48)를 포함한 각부 구성 및 제 2 단자부(36)와 가열부(38)는 모두 직렬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스위치(44)가 온(on) 상태인 경우, 상술한 각 구성부는 전기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고, 스위치(44)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술한 각 구성부는 전원이 차단되어 그에 따른 대기전력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조리 영역(A)의 본체(12) 바닥면에는, 외부 케이스(40)의 밑면에 대응하여 돌출 또는 함몰된 형상 부위를 갖는 제 1 정렬부(5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외부 케이스(40)의 밑면에는 제 1 정렬부(50)와 부합하는 형상의 제 2 정렬부(52)가 형성되어, 이들 제 1, 2 정렬부(50, 52) 상호 간의 정렬에 의해 조리 영역(A)에 대하여 외부 케이스(40)가 일정한 형태로 정렬되어 놓이게 된다.
또한, 외부 케이스(40)의 상부 중 내외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돌기 또는 홈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3 정렬부(54)가 형성되고, 외부 케이스(40) 내에 놓이는 내부 케이스(42)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제 3 정렬부(54)와 부합하는 홈 또는 돌기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4 정렬부(55)가 형성된다. 또한 그 위에 놓이는 커버(34)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제 4 정렬부(55)와 부합하는 형상의 홈 또는 돌기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5 정렬부(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34)의 상부 일측에는, 제 1 내지 제 5 정렬부(50, 52, 54, 55, 56)가 정렬된 상태에서 내부 케이스(42) 내부에서 발생한 스팀이 본체(12)의 외측 방향으로 향하여 배출되도록 그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팀 배출구(58)가 형성된다.
더불어, 제 3, 4, 5 정렬부(54, 55, 56) 또는 정렬되어 놓인 커버(34)에 대향하는 본체(12)의 측부에는, 커버(34)의 정렬 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46)에 인가하는 정렬 센서(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센서(60)를 통한 커버(34)의 정렬 여부의 감지는, 내부 케이스(42)를 포함한 외부 케이스(40)의 상부로 더 돌출되어 놓이는 커버(34)에 의해 가려짐 여부를 감지하는 통상의 포토커플러 또는 정렬되어 놓이는 커버(34)의 근접한 부위에 대한 자성체, 빛, 음파에 대한 전자기적반응 또는 반사 여부의 판독을 통해 커버(34)의 정렬 여부를 감지하는 통상의 근접위치 감지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정렬 센서(60)는, 후술하는 작동 과정에서 다시 살펴보겠으나, 상술한 제어부(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6)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구동하는 관계에 있다.
즉, 정렬 센서(60)는 상술한 스위치(44)의 온(on) 상태에서 제어부(46)의 전원 인가와 더불어 구동하여 상술한 커버(34)의 정렬 여부를 감지하고, 스위치(44)의 오프(off) 상태에서는 제어부(46)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구동하지 않는 관계에 있다.
한편, 본체(12)의 측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62)와 조리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64) 및 조리 대상인 조리 재료에 대한 조리 조건을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한 외부 저장매체(68)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입출력포트(66)가 마련된다.
또한, 이들 조작부(62)와 디스플레이부(64) 및 입출력포트(66)는 상술한 제어부(46)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46)는 저장매체(68)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상술한 재료 공급부(16)와 용수 공급부(24)의 구동을 제어하고, 더불어 가열부(38)의 가열 온도와 그 가열 시간 등을 제어하며, 이와 관련한 전 과정과 조리가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 등을 상술한 디스플레이부(64)를 통해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조리시스템(10)의 작동 과정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즉석 조리시스템(10)은 저장부(14) 덮개(C)의 개방으로부터 깨끗하게 씻은 쌀을 포함한 곡물류 또는 반가공 상태의 조리 재료 중 사용자가 희망하는 조리 재료(M)가 투입되고, 조리 용수를 수용한 수통(26)이 장착되어 놓이는 준비단계를 거친다(ST100).
이로부터 사용자는 커버(34)가 개방되고, 외부 케이스(40) 내에 내부 케이스(42)를 삽입한 상태의 조리부(32)를 조리 영역(A) 내에 투입되어 장착된다(ST110).
이때, 상술한 제 1, 2 정렬부(50, 52) 상호 간의 정렬이 이루어짐으로써 제 1, 2 단자부(48, 36)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고, 외부 케이스(40) 내의 스위치(44)는 내부 케이스(42)의 탑재로 인해 전원 온(on) 상태로 있으므로, 제어부(46)를 포함한 본체(12) 내의 각 구성부들은 전기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대기 상태를 이룬다.
이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64)를 통해 표시되는 조리 재료(M)의 설정 정보와 저장부(14)에 투입된 조리 재료(M)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62)를 조작하여 조리 재료(M)와 조리 조건이 일치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T120).
이상의 조리 준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조작부(62)를 통해 인원수에 해당하는 조리 조건을 입력한다(ST130).
이러한 입력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6)는 내부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해당 조리 재료(M)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재료 공급부(16)와 용수 공급부(24)의 구동을 제어하여 조리 재료(M)와 그에 상응하는 조리 용수를 내부 케이스(42) 내로 공급되게 한다(ST140).
이렇게 조리 재료(M)와 조리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조리부(32) 상부에 커버(34)를 덮는다(ST150).
이때 외부 케이스(40)와 커버(34) 사이의 제 3, 4, 5 정렬부(54, 55, 56)의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정렬 센서(60)는 이를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46)에 인가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부(46)는 그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4)를 통해 표시하거나 별도의 음향 수단 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46)는 조리 재료(M)와 조리 용수의 공급 이후부터 커버(34)가 정렬되어 놓이기까지 사용자에게 이를 확인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정렬 센서(60)의 정렬이 확인되면, 제어부(46)는 비로소 상술한 가열부(38)를 설정된 시간 동안 가열시켜 조리를 실시토록 하고, 이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64)를 통해 조리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토록 할 수 있고, 조리가 완료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그 상황을 확인토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ST160)(ST170).
이후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조리부(32)를 본체(12)로부터 분리하여 식탁 등으로 옮기고 시식을 하게 된다(ST180).
이러한 조리 과정에서 상술한 커버(34)에 형성된 스팀 배출구(58)는 제 3, 4, 5 정렬부(54, 55, 56)의 정렬에 따라 본체(12)의 외측으로 향해 있고, 이러한 정렬관계와 그에 따른 스팀 배출구(58)의 형성 방향은, 스팀에 의한 본체(12)의 표면이 지저분해 지거나 본체(12) 내의 각 구성부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정렬 센서(60)는 외부 케이스(40) 상부에 커버(34)가 덮힌 상태에서는 제어부(46)를 통한 재료 공급부(16)와 용수 공급부(24)의 구동을 방지토록 하고, 또 커버(34)의 개방을 통해 내부 케이스(42) 내의 청결 상태와 이전에 조리한 음식이 남아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외부 저장매체(68)의 장착이 이루어지는 입출력포트(66)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조리시스템(10)을 대상으로 새로운 음식의 조리 재료(M)가 개발된 경우, 이를 사용자 컴퓨터(도시 안됨)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되는 데이터를 다운받은 후 입출력포트(66)를 통해 제어부(46)에 제공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조리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면의 미설명 부호 'H'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H)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술한 외부 케이스(40)를 포함한 조리부(32)는 손잡이(H)를 파지한 사용자에 의해 무선 커피포트와 같은 형식으로 조리 영역(A)으로부터 들어 올려져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10: 인라인 조리시스템 12: 본체
14: 저장부 16: 재료 공급부
18: 공급관체 20: 스크류
22: 구동모터 24: 용수 공급부
26: 수통 28: 호스
30: 펌프 32: 조리부
34: 커버 36: 제 2 단자부
38: 가열부 40: 외부 케이스
42: 내부 케이스 44: 스위치
46: 제어부 48: 제 1 단자부
50: 제 1 정렬부 52: 제 2 정렬부
54: 제 3 정렬부 55: 제 4 정렬부
56: 제 5 정렬부 58: 스팀 배출구
60: 정렬센서 62: 조작부
64: 디스플레이부 66: 입출력포트
68: 외부 저장매체

Claims (5)

  1. 내부에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가 설치되고,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 하부에 조리 영역을 마련한 본체와; 상기 조리 영역에 장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를 통한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를 수용하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 및 상기 조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즉석 조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리 영역은,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가 수직 낙하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를 개방한 상기 조리부가 놓이도록 상기 본체의 측부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조리부의 밑면이 놓이는 상기 본체의 하부는 제 1 단자부가 마련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부는, 밑면에 상기 제 1 단자부와 접속하는 제 2 단자부를 마련하고, 내부에 상기 제 2 단자부와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조리 영역에 장착됨으로부터 상기 재료 공급부와 용수 공급부로부터 조리 재료와 조리 용수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에 대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단자부와 가열부 사이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 1, 2 단자부 및 상기 가열부와 함께 직렬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영역의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밑면에 대응하여 돌출 또는 함몰된 형상을 갖는 제 1 정렬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밑면에는 상기 제 1 정렬부와 부합하는 형상의 제 2 정렬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부 가장자리 일부에는 제 3 정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제 3 정렬부에 부합하는 형상의 제 4 정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 4 정렬부에 부합하는 형상의 제 5 정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5 정렬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향하는 스팀 배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4, 5 정렬부 또는 정렬되어 놓인 상기 커버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 측부에는 상기 커버의 정렬 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정렬 센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리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토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조리 대상인 조리 재료에 대한 조리 조건을 포함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가 장착되는 입출력포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저장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조작신호와 정렬 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열부, 상기 재료 공급부, 상기 용수 공급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시스템.
KR1020130114667A 2013-09-26 2013-09-26 즉석 조리 시스템 KR10143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667A KR101430371B1 (ko) 2013-09-26 2013-09-26 즉석 조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667A KR101430371B1 (ko) 2013-09-26 2013-09-26 즉석 조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564 Division 2012-12-10 2012-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811A KR20140074811A (ko) 2014-06-18
KR101430371B1 true KR101430371B1 (ko) 2014-09-23

Family

ID=5112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667A KR101430371B1 (ko) 2013-09-26 2013-09-26 즉석 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11B1 (ko) * 2015-06-10 2017-02-23 함용승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KR101624582B1 (ko) * 2015-06-26 2016-05-26 이재현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KR102286966B1 (ko) * 2020-03-04 2021-08-09 (주)쿠첸 조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426A (ja) * 2001-06-25 2003-01-07 Tiger Vacuum Bottle Co Ltd 全自動電気炊飯器
KR20030065116A (ko) * 2002-01-31 2003-08-06 김인석 음식물 자동조리기계
JP2006280789A (ja) * 2005-04-04 2006-10-19 Tiger Vacuum Bottle Co Ltd 表示部カスタマイズ機能を有する加熱調理機器
KR20120034367A (ko) * 2010-10-01 2012-04-12 (주) 해송드림텍 즉석 라면 조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426A (ja) * 2001-06-25 2003-01-07 Tiger Vacuum Bottle Co Ltd 全自動電気炊飯器
KR20030065116A (ko) * 2002-01-31 2003-08-06 김인석 음식물 자동조리기계
JP2006280789A (ja) * 2005-04-04 2006-10-19 Tiger Vacuum Bottle Co Ltd 表示部カスタマイズ機能を有する加熱調理機器
KR20120034367A (ko) * 2010-10-01 2012-04-12 (주) 해송드림텍 즉석 라면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811A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2135B (zh) 加热的液体用的容器和电器装置
US10258188B2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drinking water
US10986954B2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US9072405B2 (en) Fully automatic electric coffee maker
JP4922655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US8925445B2 (en) Cooking appliance
RU26572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CN103442624A (zh) 自动饮料机
WO2014092309A1 (ko) 즉석 조리 시스템
KR101430371B1 (ko) 즉석 조리 시스템
KR20120122141A (ko) 스팀조리기기
KR101566856B1 (ko) 즉석식품 조리기
KR101709311B1 (ko)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KR20090052707A (ko) 라면 조리기
JP6238050B2 (ja) 炊飯装置
KR102003508B1 (ko) 국수 자동 조리 장치
CN105286481A (zh) 结合饮用水供应的自动研磨煮食设备
EP1444931A1 (en) Coffee machine
CN211609171U (zh) 一种蒸汽烹饪设备
CN212307587U (zh) 具有多功能泡茶装置的饮料机
KR101019413B1 (ko)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AU2015202129B2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N105496205A (zh) 新型茶具
KR20160082766A (ko) 식품 가열장치
JPS5971929A (ja) 焙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