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554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554B1
KR101428554B1 KR1020120099917A KR20120099917A KR101428554B1 KR 101428554 B1 KR101428554 B1 KR 101428554B1 KR 1020120099917 A KR1020120099917 A KR 1020120099917A KR 20120099917 A KR20120099917 A KR 20120099917A KR 101428554 B1 KR101428554 B1 KR 101428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axis
cylinder
conveying
cylin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180A (ko
Inventor
키요시 이이즈미
미치오 이시카와
마사미 오사키
나오후미 아키야마
마나부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49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748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904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1386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15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24029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81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36634A/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기체 전후 방향의 축심 둘레에서 기복 회동하는 반송통을 구비한 곡립 저류 장치를 반송통에 간섭하는 일없이 기체 외측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해서 메인터넌스의 능률을 높인다.
[해결 수단] 곡립 저류 장치(1)의 전방벽(1f)과 후방벽(28) 사이에는 반송 나선(8)을 구비하고, 곡립 저류 장치(1)의 후방벽(28)의 하부에 제 1 통 부재(2)의 전측부를 고정하고, 제 1 통 부재(2)의 후측부와 기체 프레임(3)측에 고정한 제 2 통 부재(4)의 전측부를 제 2 축심(Z)과 동축심의 제 1 종축(5)에서 접합 및 분리 가능하게 피봇하고, 제 2 통 부재(4)의 후측부와, 반송통(6)의 기부에 구비한 제 3 통 부재(7)의 전측부를 제 1 축심(Y)과 동축심인 반송 나선(8)의 축심 둘레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합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콤바인에는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 선별된 후의 곡립을 저류하기 위해 곡립 저류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 탈곡 작업 중에 곡립 저류 장치에 저류된 곡립을 트럭의 짐받이 등으로 배출하기 위해 곡립 저류 장치의 후측의 부위에 나선 컨베이어식 곡립 배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곡립 배출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는 기체 프레임 상에 탑재된 곡립 저류 장치의 후측에 세워서 설치한 반송통을 곡립 저류 장치의 저부에 구비한 반송 나선의 축심과 동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기체 외측방으로 기복(起伏)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340654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곡립 저류 장치를 기체 외측방으로 회동시킬 수 없어, 이 곡립 저류 장치에 의해 가려져 있는 탈곡 장치의 기체 내측 부위 등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가령 이 곡립 저류 장치를 기체 외측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었다고 하여도 곡립 저류 장치를 지지하는 상하 방향의 축심이 반송통을 지지하는 기체 전후 방향의 축심보다 기체 내측 부위에 배치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곡립 저류 장치를 기체 외측방으로 회동시킬 때에 이 곡립 저류 장치의 후방이 후측의 반송통에 간섭하기 쉬워 기체 외측방으로의 회동량이 제한되어 작업 공간이 좁아져서 메인터넌스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체 전후 방향의 축심 둘레에서 기복 회동하는 반송통을 구비한 곡립 저류 장치를 반송통에 간섭하는 일없이 기체 외측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해서 메인터넌스의 능률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논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주행 장치(20)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3)의 좌우 일측의 부위에 탈곡 장치(18)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3)의 좌우 타측의 부위에는 곡립 저류 장치(1)와 곡립 배출용 반송통(6)을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반송통(6)을 기체 전후 방향의 제 1 축심(Y) 둘레에서 기복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1)를 제 1 축심(Y)을 기준으로 해서 기체 외측방으로 치우치게 한 상하 방향의 제 2 축심(Z)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1)를 기체 프레임(3) 상의 수확 작업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장치(1g)를 설치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1)의 상방벽(1c)에 점검구(1d)를 개구시킴과 아울러 상기 곡립 저류 장치(1)의 전방벽(1f)과 후방벽(28) 사이에는 반송 나선(8)을 구비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1)의 후방벽(28)의 하부에 제 1 통 부재(2)의 전측부(前側部)를 고정하고, 상기 제 1 통 부재(2)의 후측부(後側部)와 기체 프레임(3)측에 고정한 제 2 통 부재(4)의 전측부를 상기 제 2 축심(Z)과 동축심의 제 1 종축(5)에서 접합 및 분리 가능하게 피봇하고, 제 2 통 부재(4)의 후측부와 상기 반송통(6)의 기부에 구비한 제 3 통 부재(7)의 전측부를 상기 제 1 축심(Y)과 동축심인 반송 나선(8)의 축심 둘레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탈곡 장치(18)로부터 곡립 저류 장치(1)로 곡립을 반송하는 1번 양곡통(揚穀筒)(18a)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장치(1g)를 1번 양곡통(18a)에 연결된 록킹봉(1i)에 맞물리게 하는 탈곡 장치(18)측의 훅(1h)과, 상기 기체 프레임(3)의 상면에 형성된 록킹구멍에 감합되는 곡립 저류 장치(1)측의 록킹핀(1j)으로 구성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제 3 통 부재(7)보다 기체 내측의 부위에 상하 방향의 제 1 지지 프레임(16)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16)의 상부에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 2 지지 프레임(17)의 중간부를 고정하고,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17)의 기체 내측 단부를 탈곡 장치(18)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17)의 기체 외측 단부에는 상기 제 1 종축(5)과 동축심에서 곡립 저류 장치(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종축(19)을 구비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반송 나선(8)측으로 곡립을 유하 안내하는 곡립 유하 안내판(56)을 상기 반송 나선(8)의 상측 부위에 구비하고, 상기 곡립 유하 안내판(56)을 출납하는 제 1 개구부(54)를 상기 전방벽(1f)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고,
곡립 저류 장치(1)를 상기 제 2 축심(Z) 둘레에서 기체 외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개구부(54)로부터의 곡립 유하 안내판(56)의 출납이 가능해지는 구성으로 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곡립 저류 장치(1)의 저벽(1u)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의 하측 부위에 제 2 개구부(57)를 형성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곡립 저류 장치(1) 상방벽(1c)에 점검구(1d)를 개구시키고 있으므로 이 곡립 저류 장치(1) 내부의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반송통(6)을 기체 전후 방향의 제 1 축심(Y) 둘레에서 기복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곡립 저류 장치(1)를 제 1 축심(Y)을 기준으로 해서 기체 외측방으로 치우치게 한 상항 방향의 제 2 축심(Z)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곡립 저류 장치(1)를 반송통(6)과 간섭하지 않고 기체의 외측방을 향해서 회동시킬 수 있어 작업 공간을 확대해서 곡립 저류 장치(1) 및 그 주변의 메인터넌스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곡립 저류 장치(1)를 기체 프레임(3) 상의 수확 작업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장치(1g)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곡립 저류 장치(1)를 수확 작업 위치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곡립 저류 장치(1)의 후방벽(28)의 하부에 제 1 통 부재(2)의 전측부를 고정하고, 제 1 통 부재(2)의 후측부와 기체 프레임(3)측에 고정한 제 2 통 부재(4)의 전측부를 제 2 축심(Z)과 동축심의 제 1 종축(5)에서 접합 및 분리 가능하게 피봇하고 있으므로, 곡립 저류 장치(1)를 제 1 종축(5) 둘레에서 회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곡립 저류 장치(1)를 기체 상에 격납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통 부재(2)와 제 2 통 부재(4)의 쌍방의 단부가 접합되어서 반송통(6)측으로 곡립을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제 2 통 부재(4)의 후측부와, 반송통(6)에 구비한 제 3 통 부재(7)의 전측부를 제 1 축심(Y)과 동축심인 곡립 저류 장치(1)의 저부에 구비한 반송 나선(8)의 축심 둘레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합시키고 있으므로 반송통(6)의 회동 구조를 간소화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 1번 양곡통(18a)에 연결된 록킹봉(1i)에 맞물리는 훅(1h)과, 기체 프레임(3)의 상면에 형성된 록킹구멍에 감합되는 록킹핀(1j)에 의해 곡립 저류 장치(1)를 기체 프레임(3) 상의 수확 작업 위치에서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탈곡 장치(18)에 연결된 제 2 지지 프레임(17)의 기체 외측 단부에는 제 1 종축(5)과 동축심에서 곡립 저류 장치(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종축(19)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 1 종축(5)과 제 2 종축(19)으로 곡립 저류 장치(1)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곡립 저류 장치(1)를 종축(5, 19) 둘레에서 기체 프레임(3)의 외측을 향해서 회동시킨 상태에서 제 1 개구부(54)로부터의 곡립 유하 안내판(56)의 출납이 가능해져 곡립 유하 안내판(56)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곡립 저류 장치(1)의 저벽(1u)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의 하측 부위에 형성한 제 2 개구부(57)로부터 곡립 저류 장치(1)의 하부에 잔류한 곡립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그레인 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그레인 탱크의 배면도이다.
도 6은 그레인 탱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그레인 탱크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그레인 탱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그레인 탱크의 우측 하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그레인 탱크의 우측 하부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그레인 탱크의 하부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반송 나선부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반송통의 하부 주변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반송통의 하부 주변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작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반송통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기체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기체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콤바인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통형 콤바인을 예시해서 설명한다.
(기체 구성)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3)의 하방에 주행 장치(20)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3)의 상부 좌측 부위에는 탈곡 장치(18)를 탑재하고, 기체 프레임(3)의 상부 우측 부위에는 곡립 저류 장치(1)와 곡립 배출용 반송통(6)을 탑재하고, 기체 프레임(3) 상에 있어서의 곡립 저류 장치(1)의 전방측 부위에는 전자 거버너식 또는 커먼레일 연료 분사식 엔진(E)을 탑재하고, 주행 장치(20)의 전방 위치에는 승강 조절 가능한 예취 장치(21)를 설치해서 구성한다.
(원동부, 주행 장치, 조종부의 구성)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E)은 상면에 좌석(25c)을 구비한 개폐 가능한 엔진 커버(E1)에 의해 덮는다. 이 엔진 커버(E1)의 외측면은 메쉬 철판으로 형성되고, 엔진 냉각용 외기를 여과하면서 흡입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주행 장치(20)는 기체 프레임(3)의 전방부에 엔진(E)으로부터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도시 생략)를 통하여 구동되는 미션 케이스(M)를 장착하고, 이 미션 케이스(M)로부터 구동되는 좌우의 구동륜(22)과, 전륜(轉輪) 지지 프레임(23a)에 축지지된 다수의 전륜(23) 및 최후부의 텐션휠(23b)에 걸쳐서 크롤러(24)를 감아서 구성한다. 또한, 최전방에 위치하는 전륜(23)의 하측으로부터 텐션휠(23b)의 하측에 걸쳐서 크롤러(2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크롤러 가이드(23c)를 배치한다. 이 크롤러 가이드(23c)는 그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3개소에서 전륜 지지 프레임(23a)에 볼트 체결해서 장착한다.
상기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는 조종부(25)의 일측에 구비한 변속 레버(25a)의 전후 경동 조작에 의해 변속된다. 이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의 트러니언축과 변속 레버(25a)는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에는 유압 모터측의 경사판 각도를 2위치로 스위칭하여 출력을 2단계로 변속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M)에는 이 미션 케이스(M) 내의 전동축을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조종부(25)의 스텝 상에 배치한 주차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 조작에 의해 이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 작동하도록 연계되어 있다. 또한, 조종부(25)의 전방부에는 좌우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기체를 선회시켜 전후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예취 장치(21)를 승강시키는 레버(25b)를 설치한다.
(예취 장치의 구성)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장치(21)는 분초 로드(grass dividing rod)(26b), 레이킹 릴(26), 레이킹 오거(26a), 예취날(27), 탈곡 장치(18)의 급실에 연통되는 반송 컨베이어(26c)를 구비하고, 탈곡 장치(18) 및 조종부(25) 전방측[기체 프레임(3)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유압실린더(도시 생략)의 신축 작동에 의해 승강한다.
(탈곡 장치의 구성)
상기 탈곡 장치(18)는 급동을 내장하는 상부의 급실과, 요동 선별 선반, 풍구, 1번 이송 나선, 2번 이송 나선(모두 도시 생략)을 내장하는 하부의 선별실로 구성한다.
1번 이송 나선에는 1번 양곡 나선을 구비한 1번 양곡통(18a)의 기부를 접속시킨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18)의 후단부에는 탈곡 후의 폐짚을 잘게 절단해서 배출하는 폐짚 절단 장치(18b)를 장착하고, 이 폐짚 절단 장치(18b)의 후방부에는 절단된 폐짚을 예취가 완료된 지상측(기체 우측)으로 배출 안내하는 배진 커버(18c)를 장착한다.
(곡립 저류 장치의 구성 및 곡립 저류 장치의 위치 유지 구성)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곡립 저류 장치(1)는 상자형 저류 용기로 형성하고, 저부의 저벽(1u)에는 서로 좌우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좌우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이 좌우의 경사면 사이의 골짜기부에 기체 전후 방향의 반송 나선(8)을 배치하고, 이 반송 나선(8)을 엔진(E)의 구동력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저류 장치(1)의 내벽(1a)의 상부에는 상기 1번 양곡통(18a)의 상단부를 접속시키는 곡립 투입구(1b)를 개구시킨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저류 장치(1)의 상방벽(1c)에는 메인터넌스용 점검구(1d)를 개구시키고, 이 점검구(1d)를 덮는 개폐 가능한 점검 덮개(1e)를 설치한다.
곡립 저류 장치(1)의 하부에 있어서의 전방벽(1f)으로부터 후방벽(28) 사이에 도 12에 나타내는 반송 나선(8)을 설치한다. 즉, 도 7,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나선(8)의 전단부를 베어링(8a)을 통하여 전방벽(1f)측으로 베어링하고, 이 전방벽(1f)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반송 나선(8)의 축 끝에는 입력 풀리(8b)를 구비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8a)을 전방벽(1f)에 유지하는 보스 부재(8c)를 설치하고, 이 보스 부재(8c)의 외주에 텐션 암(8d)의 기부를 회동 가능하게 감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반송 나선(8)과 베어링(8a)과 보스 부재(8c)와 텐션 암(8d)이 어셈블리로 교환 가능해진다. 즉, 반송 나선(8) 등을 곡립 저류 장치(1)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후술하는 종축(5, 19) 둘레에서 곡립 저류 장치(1)를 기체의 외측을 향해서 회동시켜 전방벽(1f)이 기체의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입력 풀리(8b)에 감겨진 전동 벨트(8f)를 분리하고, 보스 부재(8c)를 전방벽(1f)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풀고, 반송 나선(8)을 전방벽(1f)측으로 인출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 풀리(8b)와, 엔진(E)으로부터 배출 클러치(도시 생략)를 통하여 구동되는 출력 풀리(8e)에 걸쳐서 전동 벨트(8f)를 감고, 텐션 암(8d)의 선단부에 축지지된 텐션 롤러(8g)를 이 전동 벨트(8f)에 하측으로부터 접촉시킨다. 이 텐션 암(8d)의 선단부에는 텐션 스프링(8h)의 하단부를 록킹하고, 이 텐션 스프링(8h)의 상단부를 전방벽(1f)에 고정한 스테이(8i)에 록킹한다. 이 구성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벽(1f)과 전동 벨트(8f) 사이에 텐션 암(8d)과 텐션 스프링(8h)이 배치되고, 이것들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이 콤팩트해진다. 이것에 의해, 곡립 저류 장치(1)의 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
상기 텐션 암(8d)의 기부에는 이 텐션 암(8d)을 텐션 스프링(8h)의 장력에 저항해서 회동 조작하는 핸들(8j)을 장착하고 있다. 이 핸들(8j)의 조작에 의해 전동 벨트(8f)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여 전동 벨트(8f)를 입력 풀리(8b)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저류 장치(1)의 전방부에 이 곡립 저류 장치(1)의 전방부를 탈곡 장치(18)측에 접근한 위치로 유지하는 유지 장치(1g)를 설치한다.
이 유지 장치(1g)는 곡립 저류 장치(1)의 내벽(1a)의 상부 전단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한 훅(1h)을 1번 양곡통(18a)의 상단부에 연결한 록킹봉(1i)에 거는 기구와, 곡립 저류 장치(1) 전방벽(1f)의 하단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한 록킹핀(1j)을 기체 프레임(3)의 외단부 상면에 형성한 록킹구멍(도시 생략)에 감합시키는 기구로 구성한다.
상기 훅(1h)과, 곡립 저류 장치(1)의 전방벽(1f)의 하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 축지지된 조작 핸들(1k)을 연계 플레이트 1m로 연계시키고, 조작 핸들(1k)을 기체 외측방으로 당김 조작함으로써 훅(1h)이 상방 회동해서 록킹봉(1i)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록킹핀(1j)은 역L자 형상으로 굴절되어 있고, 곡립 저류 장치(1) 전방벽(1f)의 하단부에 고정한 단면 C자 형상의 홀더(1n)에 관통 지지되고, 이 록킹핀(1j)을 하강측으로 항상 바이어싱하는 스프링(1p)을 구비한다. 이 스프링(1p)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록킹핀(1j)을 인상시키고, 이 록킹핀(1j)의 하단부가 기체 프레임(3)의 상면에 형성된 록킹구멍으로부터 빠진 위치에서 이 록킹핀(1j)의 하강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1q)를 전방벽(1f)에 있어서의 홀더(1n)의 상측 부위에 고정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벽(1f)의 하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절곡된 부위를 갖고, 이 부위에 상하 위치 규제 부재(1r)를 고정한다. 한편, 기체 프레임(3)의 상면에는 상하 위치 규제 부재(1r)의 두께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유지 부재(1s)를 고정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곡립 저류 장치(1)를 기체 프레임(3) 상의 수확 작업 위치에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상하 위치 규제 부재(1r)가 유지 부재(1s) 하측의 간극에 끼워져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록킹핀(1j)의 하단부가 기체 프레임(3)의 상면의 록킹구멍에 삽입되어서 곡립 저류 장치(1) 하부의 횡방향 이동이 규제되며, 훅(1h)이 록킹봉(1i)에 걸려서 곡립 저류 장치(1)의 상부의 횡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곡립 저류 장치(1)를 기체 프레임(3) 상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이동시켜서 메인터넌스를 행할 경우에는 록킹핀(1j)을 인상 조작해서 규제 부재(1q)에 록킹하고, 조작 핸들(1k)을 외측방으로 당김 조작해서 훅(1h)을 록킹봉(1i)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것에 의해 곡립 저류 장치(1)의 위치 유지가 해제되고, 기체 외측방의 메인터넌스 위치로 인출시킬 수 있다.
(반송통의 구성 및 반송통을 기립 자세로 고정하는 락 장치의 구성)
반송통(6)은 그 내부에 양곡 나선축(35)을 내장하고, 이 양곡 나선축(35)이 회전함으로써 곡립 저류 장치(1) 내의 곡립을 기기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통(6)의 반송 종단부에는 반송된 곡립을 효율적으로 벼자루나 운반 차량의 짐받이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구(6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6a)는 반송통(6)으로부터 양곡 나선축(35)의 축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선단부에 곡립이 방출되는 방출구를 갖는다. 반송통(6)을 기체 상에 격납하면 반송통(6)은 기단부보다 선단부가 탈곡 장치(18)측으로 치우친 경사 자세가 되지만, 이 상태에 있어서 배출구(6a)의 외측 단부는 곡립 저류 장치(1)의 외측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배출구(6a)의 길이[양곡 나선축(35)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반송 나선(8)의 축심 위치로부터 곡립 저류 장치(1)의 외측 단부까지의 좌우 방향의 거리보다 길다.
따라서, 배출구(6a)를 길게 형성한 반송통(6)이면서 기체 상에 컴팩트하게 격납할 수 있다.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곡립 저류 장치(1)의 후방벽(28)의 하부에는 상기 반송 나선(8)의 후단부를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구멍을 개구시키고, 이 구멍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제 1 통 부재(2)가 후방벽(28)의 후측면에 고정된다.
이 제 1 통 부재(2)의 타측부와 기체 프레임(3) 상에 고정한 원통 형상의 제 2 통 부재(4)의 일측부를 접합 및 분리 가능하게 제 1 종축(종축)(5)으로 피봇하고, 이 제 2 통 부재(4)의 타측부와 반송통(6)을 구비한 제 3 통 부재(7)의 일측부를 반송 나선(8)의 축심[기체 전후 방향의 제 1 축심(Y)]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합한다. 이 제 2 통 부재(4)와 제 3 통 부재(7)의 접합은 제 2 통 부재(4)의 외주부에 볼트(29)로 고정한 복수의 L자형 유지구(30)에 의해 제 3 통 부재(7)의 외주부를 끼움으로써 행하여진다.
상기 제 3 통 부재(7) 내의 곡립 통로는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반송 나선(8)의 후단부로부터 이음매(31)를 통하여 연동되는 중간 나선축(32)과, 이 중간 나선축(32)으로부터 제 3 통 부재(7) 내에 일체 형성한 베벨 기어 케이스(33) 내의 베벨 기어 연동 기구(연동 기구)(34)를 통하여 연동되는 양곡 나선축(35)의 하단부를 내장한다. 상기 이음매(31)는 반송 나선(8) 후단부에 고정한 횡 방향의 핀과, 중간 나선축(32)의 전단부에 고정한 클로 형상부가 맞물리는 구성이고, 제 2 통 부재(4)에 내장된다.
상기 제 3 통 부재(7)의 상단부에는 반송통(6)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이 반송통(6)의 내부에 상기 양곡 나선축(35)이 내장된다.
상기 제 3 통 부재(7)의 기체 외측의 부위에는 점검창(36)을 개구시키고, 덮개(37)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제 3 통 부재(7)의 후측벽으로부터 상기 베벨 기어 케이스(33)를 후방으로 돌출시켜서 일체 형성하고, 이 돌출 단부를 원통 형상으로 해서 축부(통 형상부)(10)로 하고, 기체 프레임(3)에 고정한 판 형상의 지지 부재(11)에 의해 이 축부(10)를 베어링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11)는 후술의 원호부(11a)보다 좌측[탈곡 장치(18)측]의 부위에 전방을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굴곡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부(11b)는 기체 프레임(3)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설치된 제 1 지지 프레임(지지 프레임)(16)에 연결 부재(8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80)는 기체 프레임(3)의 상방으로 솟아오른 종방향 판부(80a)와, 기체 프레임(3)의 상면을 따른 횡방향 판부(80b)로 이루어지고, 종방향 판부(80a)는 그 후단부가 지지 부재(11)의 굴곡부(11b)와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고, 전단부가 제 2 통 부재(4)의 좌단부와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며, 전방 부근의 중간부가 용접 등에 의해 제 1 지지 프레임과 접합되어 있다. 또한, 횡방향 판부(80b)는 종방향 판부(80a)의 하단부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기체 프레임(3)의 상면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이 종방향 판부(80a)의 후단부는 지지 부재(11)의 굴곡부(11b)와 체결되어 있지만, 체결하는 2개의 볼트는 지지 부재(11)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상의 높이에서 체결한다. 또한, 2개의 볼트 중 상측의 볼트는 지지 부재(11)에 의해 반송통(6)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하측의 볼트와 반송 나선(8)의 거리보다 반송 나선(8)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체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볼트의 개수를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 1 락 장치(9a)의 구성)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의 둘레가장자리의 일부에는 배면으로 볼 때[반송 나선(8)의 축심 방향으로 봄]에 있어서 원호상의 원호부(11a)를 형성한다. 이 원호부(11a)는 지지 부재(11)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의 축심보다 좌측의 상부로부터 반송 나선(8)의 축심보다 우측으로, 또한 하방의 부위까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11)에는 반송 나선(8)의 축심과 동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 원호부(11a)를 따라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다. 즉, 지지 부재(11)에는 기체 상에 격납 자세로 반송통(6)을 유지하는 1개의 구멍과, 반송통(6)의 선단측을 기체 외측방을 향해서 도복시킨 작업 자세로 유지하는 4개의 구멍(14)을 형성한다. 또한, 이 구멍(14)의 수는 4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축부(10)의 후단에는 락 플레이트(12)의 하단부를 고정하고, 이 락 플레이트(12)의 상단부를 반송통(6)의 하부 후측면에 고정한다.
이 락 플레이트(12)에는 스프링 수용 부재(38)를 고정하고, 이 스프링 수용 부재(38)의 후방 돌출 단부와 락 플레이트(12) 사이에 스프링(39)을 넣고, 이 스프링(39)과 스프링 수용 부재(38)의 후방 돌출 단부와 락 플레이트(12)에 형성한 구멍에 락핀(1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다.
락핀(13)의 전단부가 지지 부재(11)에 형성한 구멍(14)에 삽입됨으로써 제 3 통 부재(7) 및 반송통(6)의 회동이 고정된다.
이 락핀(13)의 후단부에 대하여 굴절 회동시키기 위해 조작 핸들(40)을 락핀(13)의 후단부에 피봇한다. 이 조작 핸들(40)의 기부에는 스프링 수용 부재(38)의 후방 돌출 단부에 접촉하는 캠(40a)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 핸들(40)을 회동 조작하면 캠(40a)의 회전에 의해 락핀(13)이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이 락핀(13)의 선단부가 지지 부재(11)에 형성한 구멍(14)으로부터 빠져서 고정이 해제된다. 이 고정 해제 상태는 캠(40a)의 지점 넘기에 의해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캠(40a)은 조작 핸들(40)의 회동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회동축에 가까운 고정측 변부(40b)가 스프링 수용 부재(38)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락핀(13)은 구멍(14)에 진입해서 반송통(6)의 각도가 고정되고, 조작 핸들(40)을 회동시켜서 고정측 변부(40b)보다 회동축으로부터 떨어진 고정 해제측 변부(40c)가 스프링 수용 부재(38)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락핀(13)이 구멍(14)으로부터 빠져서 반송통(6)의 고정이 해제된다. 또한, 고정측 변부(40b)와 고정 해제측 변부(40c)가 교차하는 모서리부는 소정 반경으로 둥글게 되어 있어 캠(40a)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또한, 락핀(13)의 전단부가 지지 부재(11)에 형성한 구멍(14)을 관통하여 제 3 통 부재(7)의 후측부에 형성된 오목부(15)에 맞물리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록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제 1 락 장치(9a)가 구성된다.
(곡립 저류 장치의 상측 회동 지지부의 구성)
도 6,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 통 부재(7)보다 기체 내측 부위에 종방향의 제 1 지지 프레임(16)을 세워서 설치하고, 이 제 1 지지 프레임(16)의 상부에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 2 지지 프레임(17)의 중간부를 고정하고, 이 제 2 지지 프레임(17)의 기체 내측 단부를 탈곡 장치(18)에 연결함과 아울러 제 2 지지 프레임(17)의 기체 외측 단부에는 제 1 종축(5)과 동축심에서 곡립 저류 장치(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종축(종축)(19)을 설치한다. 즉, 곡립 저류 장치(1)는 그 후측 하부를 제 1 종축(5)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후측 상부를 제 2 종축(19)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제 1 종축(5) 및 제 2 종축(19)은 상하 방향의 제 2 축심(Z)과 동일 축심 상에 배치되고, 곡립 저류 장치(1)는 이 제 2 축심(Z)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 2 통 부재(4)는 제 1 지지 프레임(16)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 2 락 장치(9b)의 구성)
제 2 락 장치(락 장치)(9b)는 상기 제 1 락 장치(9a)와 마찬가지의 구성이지만 도 15, 도 18에서는 조작 핸들(46) 및 캠(40a)의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도 8, 도 15, 도 16,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16)의 상부에는 홀더(41)를 고정하고, 이 홀더(41)에는 스프링(42)과 이 스프링(42) 내에 삽입되는 락핀(43)을 구비한다.
상기 반송통(6)의 중간부에 고정한 스테이(44)가 반송통(6)의 기립 회동에 의해 홀더(41) 내에 진입한 상태에서 이 스테이(44)측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멍과, 홀더(41)측에 형성된 구멍에 걸쳐서 락핀(43)을 삽통시킴으로써 반송통(6)을 격납 위치에 유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홀더(41)의 외측 단부를 기체 외측을 향해서 넓어지는 형상으로 굴절시키고, 반송통(6)측의 스테이(44)의 내측 단부를 기체 내측을 향해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굴절시킨다. 이것에 의해, 스테이(44)를 홀더(41) 내에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락핀(43)의 후단부에서 굴절 회동하는 조작 핸들(46)을 피봇하고, 이 조작 핸들(46)을 돌림으로써 캠(40a)의 작용에 의해 락핀(43)이 스테이(44)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빠진 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이다.
이상에 의해 제 2 락 장치(9b)가 구성된다.
반송통(6)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락 장치(9b) 근방의 부위에는 조작용 파지부(45)를 설치한다.
(연료 탱크의 구성 및 배치)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3)의 후단부에 있어서 탈곡 장치(18)의 후방부 내측면과, 기립 자세의 반송통(6) 사이의 부위에 지지대(50)를 고정한다. 이 지지대(50)에 엔진(E)으로의 연료 공급용 연료 탱크(51)를 적재하고, 고정용 밴드(51a)로 고정한다.
이 연료 탱크(51)는 기체 배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세로로 길게 형성된 상자체이고, 상부에는 작업자의 손이 들어가는 정도의 내경을 갖는 급유구(51b)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탈곡 장치(18)와 반송통(6) 사이의 공간을 이용해서 대용량의 연료 탱크(51)를 배치할 수 있어, 급유 빈도를 적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급유구(51b)는 기립 자세로 한 반송통(6)보다 후측의 위치에 배치하여, 급유 작업을 기체 후방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기체 외측방으로부터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연료 탱크(51)를 지지대(50)에 적재함으로써 이 연료 탱크(51)의 저부가 엔진(E)의 저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연료 탱크(51)로부터 엔진(E)측으로의 연료의 흐름이 양호하게 되어서 엔진 성능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곡립 저류 장치의 기타 구성)
도 4, 도 9,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저류 장치(1)의 하부 외측면을 덮는 커버(제 1 커버)(52)를 설치한다.
이 커버(52)는 후방벽(28)보다 후측의 부위에서부터 전방벽(1f)보다 전방측의 부위까지를 일체로 덮는 전후폭을 갖는 측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의 판체이다. 이 커버(52)의 하부 내측면에는 기체 프레임(3)측의 록킹봉(도시 생략)에 록킹되는 훅부(52a)를 고정하고, 커버(52)의 상부 내측면에는 곡립 저류 장치(1)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한 록킹봉(52b)에 감합되는 위치 규제 부재(52c)와, 이 록킹봉(52b)에 걸리는 훅을 갖는 록핸들(52d)을 고정한다.
이 커버(52)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이 커버(52)의 전방부에 의해 상술한 입력 풀리(8b), 전동 벨트(8f), 록킹핀(1j) 등이 노출되고, 이것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곡립 저류 장치(1)의 우측의 내면을 형성하는 외벽(제 2 커버)(1t)의 전단부를 전방벽(1f)보다 전방측까지 연장시키고, 후단부는 후방벽(28)보다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용기의 벽면과, 곡립 저류 장치(1) 전후의 기체 상의 부위에 진애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겸용하고 있다.
도 4,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저류 장치(1)의 저부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의 상측의 위치에 이 곡립 저류 장치(1) 전방벽(1f)과 후방벽(28) 사이를 연결하는 봉 형상 부재(53)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봉 형상 부재(53)의 상측에 산 형상의 곡립 유하 안내판(56)을 설치한다. 곡립 유하 안내판(56)은 앵글 플레이트(56a)와, 이 앵글 플레이트(56a)에 장착되는 좌우의 슬라이드 플레이트(56b)를 구비하고 있고, 이 양자는 전후 방향에서 전방벽(1f)으로부터 후방벽(28)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다.
앵글 플레이트(56a)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판 형상의 부재이고, 그 꼭대기부가 반송 나선(8)의 축심 위치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 앵글 플레이트(56a)의 전후의 단부에는 전방벽(1f)과 후방벽(28)에 앵글 플레이트(56a)를 연결하는 장착 부재(56c)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 부재(56a)에는 너트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전방벽(1f)과 후방벽(28)의 외측으로부터 삽통되는 볼트와 체결된다. 또한, 장착 부재(56c)는 앵글 플레이트(56a)에 꼭대기부를 걸쳐서 연결함으로써 앵글 플레이트(56a)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56b)는 장방형의 판재이고, 앵글 플레이트(56a)의 경사면 방향[슬라이드 플레이트(56b)의 단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긴 구멍이 반송 나선(8)의 축심 방향[슬라이드 플레이트(56b)의 장변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56b)에 앵글 플레이트(56a)를 고정할 때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슬라이드 플레이트(56b)의 긴 구멍을 통하여 앵글 플레이트(56a)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너트와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곡립 저류 장치(1)는 좌우의 경사면과 곡립 유하 안내판(56) 사이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수확 대상 작물의 종류 등에 따라서 반송 나선(8)으로의 곡립 유하량을 변경함으로써 곡립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저류 장치(1)의 전방벽(1f)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보다 높은 위치에 메인터넌스용 개구부(제 1 개구부)(54)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54)를 착탈 가능한 덮개체(55)로 폐쇄한다. 이것에 의해, 덮개체(55)를 분리하고, 반송 나선(8)의 상측에 배치하는 곡립 유하 안내판(56)을 개구부(54)로부터 넣고, 봉 형상 부재(53)에 적재하면서 후방으로 삽입함으로써 이 곡립 유하 안내판(56)의 장착 및 이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저류 장치(1)의 저부의 저벽(1u)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의 바로 아래 부위에 개구부(제 2 개구부)(57)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57)를 폐쇄하는 저부판(58)을 설치한다. 이 저부판(58)은 곡립 저류 장치(1)의 저부 하면에 고정한 지지 부재(59)에 기체 외측방으로부터 삽입해서 장착하는 구성이다. 즉, 지지 부재(59)의 기체 내측의 단부에는 저부판(58)의 내측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부(59a)가 굴절 형성되고, 저부판(58)의 내측 단부에는 유지부(59a)에 감합되는 굴절부가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저부판(58)의 외측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고, 지지 부재(59)의 외측 단부의 종면에 중첩되어 볼트(60)로 체결해서 고정한다.
(연료 배관의 구성)
도 19,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3)의 후단부에 고정한 지지대(50)의 상부 전방면에 봉 형상의 지지 부재(61)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이 지지 부재(61)의 전단부를 기체 프레임(3)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고정한 필터 지지 스테이(지지 스테이)(62)에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 부재(61)는 앞이 내려가게 경사진 자세가 된다. 상기 필터 지지 스테이(62)에는 연료 필터(63)를 장착하고, 이 연료 필터(63)와 연료 탱크(51)를 접속시키는 연료 호스(64)를 지지 부재(61)를 따르게 해서 클램프(65)로 장착한다. 지지 부재(61)와 연료 호스(64)와 연료 필터(63)는 곡립 저류 장치(1)의 저부 경사면의 하방의 공간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연료 탱크(51)로부터 연료 필터(63)에의 연료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엔진(E)에의 연료 공급이 안정된다. 또한, 연료 호스(64)나 연료 필터(63)에의 폐짚의 퇴적이 적어진다.
도 19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3)의 전방부에는 상기 출력 풀리(8e)를 구비한 베벨 기어 케이스(71)가 장착되고, 이 베벨 기어 케이스(71)에 구비한 입력 풀리(72)와, 엔진(E)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풀리(73) 사이에 전동 벨트(74)가 감겨져 있다. 이 전동 벨트(74)를 긴장 및 이완시킴으로써 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텐션 롤러(75)가 구비되고, 이 텐션 롤러(75)를 지지하는 텐션 암(76)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 텐션 암(76)은 와이어(77)를 통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조종부(25)에 구비한 배출 클러치 레버(78)에 연계되어 있다.
(머플러의 배치)
도 20,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E)에 있어서의 기체 내측 부위의 후방에 이 엔진(E)의 소음기(66)를 뒤가 내려가게 45도 경사지게 해서 배치한다. 엔진(E)의 배기 헤드와 소음기(66)의 접속부에 커버(67)의 전단부를 장착하고, 소음기(66)의 출구에 접속된 배기관(68)의 전단부까지를 이 커버(67)로 덮는다.
이것에 의해, 소음기(66)에 방해되는 일없이 곡립 저류 장치(1)의 좌우폭을 확대해서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67)는 소음기(66)의 상측을 따라 뒤가 내려가게 경사져 있으므로 소음기(66)를 향해서 낙하하는 폐짚이 후방 하방으로 흘러내려가 소음기(66)에의 폐짚의 퇴적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콤바인은 상술한 콤바인과 일부의 구성이 다르고, 엔진(E)의 흡기 경로에 에어클리너(69)와 프리클리너(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에어클리너(69)는 탈곡 장치(18)와 곡립 저류 장치(1) 사이에서 엔진 커버(E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에어클리너(69)의 상부에 프리클리너(70)를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이 에어클리너(69)와 플리클리너(70)는 일체로 착탈할 수 있다.
1 : 곡립 저류 장치 1c : 상방벽
1d : 점검구 1f : 전방벽
1g : 유지 장치 1h : 훅
1i : 록킹봉 1j : 록킹핀
1u : 저부벽 2 : 제 1 통 부재
3 : 기체 프레임 4 : 제 2 통 부재
5 : 제 1 종축 6 : 반송통
7 : 제 3 통 부재 8 : 반송 나선
16 : 지지 프레임(제 1 지지 프레임)
17 : 지지 프레임(제 2 지지 프레임)
18 : 탈곡 장치 18a : 1번 양곡통
19 : 제 2 종축 20 : 주행 장치
28 : 후방벽 54 : 개구부(제 1 개구부)
56 : 곡립 유하 안내판 57 : 개구부(제 2 개구부)
Y : 제 1 축심 Z : 제 2 축심

Claims (5)

  1. 주행 장치(20)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3)의 좌우 일측의 부위에 탈곡 장치(18)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3)의 좌우 타측의 부위에는 곡립 저류 장치(1)와 곡립 배출용 반송통(6)을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반송통(6)을 기체 전후 방향의 제 1 축심(Y) 둘레에서 기복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1)를 제 1 축심(Y)을 기준으로 해서 기체 외측방으로 치우치게 한 상하 방향의 제 2 축심(Z)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1)를 기체 프레임(3) 상의 수확 작업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장치(1g)를 설치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1)의 상방벽(1c)에 점검구(1d)를 개구시킴과 아울러 상기 곡립 저류 장치(1)의 전방벽(1f)과 후방벽(28) 사이에는 반송 나선(8)을 구비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1)의 후방벽(28)의 하부에 제 1 통 부재(2) 전측부를 고정하고, 상기 제 1 통 부재(2)의 후측부와 기체 프레임(3)측에 고정한 제 2 통 부재(4)의 전측부를 상기 제 2 축심(Z)과 동축심의 제 1 종축(5)에서 접합 및 분리 가능하게 피봇하고,
    제 2 통 부재(4)의 후측부와 상기 반송통(6)의 기부에 구비한 제 3 통 부재(7)의 전측부를 상기 제 1 축심(Y)과 동축심인 반송 나선(8)의 축심 둘레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18)로부터 곡립 저류 장치(1)로 곡립을 반송하는 1번 양곡통(18a)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장치(1g)를 1번 양곡통(18a)에 연결된 록킹봉(1i)에 맞물리게 하는 탈곡 장치(18)측의 훅(1h)과, 상기 기체 프레임(3)의 상면에 형성된 록킹구멍에 감합되는 곡립 저류 장치(1)측의 록킹핀(1j)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 부재(7)보다 기체 내측 부위에 상하 방향의 제 1 지지 프레임(16)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16)의 상부에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 2 지지 프레임(17)의 중간부를 고정하고,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17)의 기체 내측 단부를 탈곡 장치(18)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17)의 기체 외측 단부에는 상기 제 1 종축(5)과 동축심에서 곡립 저류 장치(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종축(1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나선(8)측으로 곡립을 유하 안내하는 곡립 유하 안내판(56)을 상기 반송 나선(8)의 상측의 부위에 구비하고, 상기 곡립 유하 안내판(56)을 출납하는 제 1 개구부(54)를 상기 전방벽(1f)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고,
    곡립 저류 장치(1)를 상기 제 2 축심(Z) 둘레에서 기체 외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개구부(54)로부터의 곡립 유하 안내판(56)의 출납이 가능해지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류 장치(1)의 저벽(1u)에 있어서의 반송 나선(8)의 하측 부위에 제 2 개구부(5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20099917A 2011-09-29 2012-09-10 콤바인 KR101428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4976A JP2013074801A (ja) 2011-09-29 2011-09-29 コンバイン
JPJP-P-2011-214976 2011-09-29
JPJP-P-2011-290492 2011-12-31
JP2011290492A JP2013138652A (ja) 2011-12-31 2011-12-31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2012115094A JP2013240291A (ja) 2012-05-18 2012-05-18 コンバイン
JPJP-P-2012-115094 2012-05-18
JPJP-P-2012-181747 2012-08-20
JP2012181747A JP2014036634A (ja) 2012-08-20 2012-08-20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180A KR20130035180A (ko) 2013-04-08
KR101428554B1 true KR101428554B1 (ko) 2014-08-08

Family

ID=4785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917A KR101428554B1 (ko) 2011-09-29 2012-09-10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28554B1 (ko)
CN (6) CN202889954U (ko)
TW (1) TWI4849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1541B (zh) * 2013-08-07 2019-01-01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和收割机
CN103814678B (zh) * 2014-03-06 2016-01-20 星光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联合收割机的集粮卸粮装置及具有该装置的联合收割机
JP6523865B2 (ja) * 2015-08-21 2019-06-0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12469267A (zh) 2018-07-24 2021-03-09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以及收割机
CN110754205B (zh) * 2018-07-26 2023-03-24 井关农机株式会社 谷杆搬送装置
CN110199656A (zh) * 2019-07-15 2019-09-06 郑州中联收获机械有限公司 一种收获机用集草箱及花生收获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3813A (en) * 1980-11-29 1982-06-1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Transmission device of grain lifter
JPH04187024A (ja) * 1990-11-20 1992-07-0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KR100868916B1 (ko) * 2007-02-28 2008-11-1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KR20110076898A (ko) * 2008-10-02 2011-07-06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5081A (en) * 1982-08-17 1984-08-14 Sperry Corporation Fan for rotary cleaning mechanism in combine harvesters
DE19802199A1 (de) * 1998-01-22 1999-07-29 Ernst Dipl Ing Schumacher Entleervorrichtung für einen Behälter
JP3989370B2 (ja) * 2002-12-26 2007-10-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粒貯溜取り出し装置
CN1321555C (zh) * 2003-10-24 2007-06-20 井关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CN1321557C (zh) * 2004-03-31 2007-06-20 井关农机株式会社 谷物排出装置
JP4957213B2 (ja) * 2006-11-29 2012-06-20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3813A (en) * 1980-11-29 1982-06-1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Transmission device of grain lifter
JPH04187024A (ja) * 1990-11-20 1992-07-0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KR100868916B1 (ko) * 2007-02-28 2008-11-1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KR20110076898A (ko) * 2008-10-02 2011-07-06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180A (ko) 2013-04-08
CN103026860A (zh) 2013-04-10
CN202799663U (zh) 2013-03-20
CN103026860B (zh) 2015-09-23
TW201313116A (zh) 2013-04-01
TWI484902B (zh) 2015-05-21
CN202889954U (zh) 2013-04-24
CN202799659U (zh) 2013-03-20
CN103026853A (zh) 2013-04-10
CN103026853B (zh) 2015-09-23
CN202931791U (zh)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554B1 (ko) 콤바인
JP3959101B2 (ja) コンバイン
CN1859839B (zh) 联合收割机
JP5975633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2015208267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CN203057892U (zh) 联合收割机的谷粒排出结构
CN202354116U (zh) 联合收割机
KR20170053651A (ko)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탈곡 장치 및 콤바인
JP2014108075A (ja) コンバイン
JP2014045666A (ja) コンバイン
JP2014036634A (ja) コンバイン
CN203057894U (zh) 联合收割机的谷粒排出结构
JP3841745B2 (ja) コンバイン
JP7423503B2 (ja) コンバイン
JP2013240291A (ja) コンバイン
JP7473590B2 (ja) コンバイン
JP7197454B2 (ja) コンバイン
JP2003125636A5 (ko)
JP2018068183A (ja) コンバイン
JP4670982B2 (ja) コンバイン
JP4670988B2 (ja) コンバイン
JP4670945B2 (ja) コンバイン
JP2010172266A (ja) コンバイン
JP2015057043A (ja) コンバイン
JP4816804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