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883B1 -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883B1
KR101427883B1 KR1020130014390A KR20130014390A KR101427883B1 KR 101427883 B1 KR101427883 B1 KR 101427883B1 KR 1020130014390 A KR1020130014390 A KR 1020130014390A KR 20130014390 A KR20130014390 A KR 20130014390A KR 101427883 B1 KR101427883 B1 KR 101427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lurry composition
soluble polymer
water
coup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호
황진숙
박한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to KR102013001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2Poli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abrasives or grin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36Composite particles, e.g. coate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54Abrasive powders, suspensions and pastes for polishing
    • C09K3/1463Aqueous liquid susp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25With simultaneous mechanical treatment, e.g. mechanico-chemical poli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01L21/31053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involving a dielectric removal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콜로이달 연마입자 상태에서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연마입자의 표면 전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소프트한 연마입자로 개질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구리막, 구리 배리어 및 연질의 유전막 CMP에 사용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산성 영역에서도 구리막에 대한 우수한 연마율을 나타내면서도, 다른 박막들과의 연마 선택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연마 과정에서 연마 대상막에 디싱, 부식 또는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해 상기 연마 대상막의 표면 상태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SURFACE-MODIFIED ABRASIVE PARTICL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SLURRY COMPOSI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집적회로(large scale integration; LSI)의 고집적화, 고성능화에 따라 새로운 미세 가공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화학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방법도 그 중 하나이고, LSI 제조 공정, 특히 다층 배선 형성 공정에 있어서 층간 절연막의 평탄화, 금속 플러그 형성 및 매립 배선 형성 등에 있어서 빈번하게 이용되는 기술이다.  또한, 최근에는 LSI를 고성능화하기 위해서 배선 재료로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은 종래의 알루미늄 합금 배선의 형성에 빈번하게 사용된 드라이 에칭 방법에 의한 미세가공이 곤란하다. 따라서, 미리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 상에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박막을 퇴적하여 매립하고, 홈 부분 이외의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박막을 CMP에 의해 제거하여 매립 배선을 형성하는, 다마신(Damascene)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배선 형성이나 텅스텐 등의 플러그 배선의 형성과 같은 금속 매립 형성에 있어서, 금속 막질에 대해 높은 연마량을 갖는 1차 연마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금속 막질을 제거하고, 금속 매립 부분과 유전막에 대해서 동등한 연마속도를 갖는 2차 연마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디싱(dishing)과 부식(erosion) 등의 표면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스크래치(scratch) 및 결함(defect)을 절감하기 위하여 실리카의의 경우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미국특허 제3,963,627호). 실리카 표면에 실라놀기(Si-OH)를 가지고 있어 이들 실라놀기가 시간이 경과할수록 슬러리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물성 저하의 대표적인 예는 입자가 평균 크기보다 큰 입자가 자체적으로 생성되어 연마후에 마이크로 스크래치와 같은 표면 결함을 일으키며, 분산성이 저하되어 입자가 급속도로 침강하는 현상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실리카의 물성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분말 상태에서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실리카 표면의 OH기를 적절하게 커플링(보호 또는 개질시키는 개념 포함)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의 일례로 실라놀기와 반응성이 있는 실리콘계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방법 (미국특허 제 3,963,627호) 또는 R0H 등을 사용하여 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 (미국특허 제4,664,679호)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분산전의 실리카를 컬럼제를 사용하여 전처리하는 방법으로 기상에서 고온 반응을 통해 전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마입자 표면을 개질시킴으로써 소프트한 연마입자를 제조하여 구리막, 구리 배리어막, 연질 유전막 등 다양한 CMP 공정에 사용할 수 있고, 스크래치 또는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성 영역에서 구리막에 대한 우수한 연마율 및 연마 속도를 가지며, 다른 박막과의 연마 선택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연마 후 구리막의 표면 상태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은, 분산액에 연마입자를 분산시켜 콜로이달 입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콜로이달 입자를,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1 표면개질제로 1차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코팅된 콜로이달 입자를, 제2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표면개질제로 2차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입자는, 실리카, 세리아,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티타니아, 바륨티타니아, 게르마니아, 망가니아 및 마그네시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콜로이달 입자 용액 중 상기 연마입자는 1 내지 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는, 각각,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olymethylacrylate), 폴리알리아민 하이드로 클로라이드(polyallyaminehydrochloride; PAH), 폴리-L-알지닌(poly-L-arginine; PARG), 폴리-L-리신(poly-L-lysine; PLL), 아크릴 아마이드(acrylamide) 유도 중합체, 4차 폴리아민(quaternary polyamine), 폴리디메틸아민(polydimethylamine), 폴리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 ammonium chloride), 디시안디아마이드(dicyandiamide), 디시안디아민드(Dicyandiaminde),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 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아마이드-아민(polyamide-amine), D-글루코사민(D-glucosamine) 유도체, 양성 폴리머(amphoteric polymer), 폴리아민계 폴리머(polyamine based polymer), 설폰화 화합물 폴리머(sulphonated compound polymer), 소듐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sodium polystyrene sulphonate), 소듐 폴리비닐 설포네이트(sodium polyvinyl sulphonate), 아크릴계 공중합체(copolymer of acrylic), 2-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판설포닉산(2-acrylamide-2methylpropanesulphonic acid), 양이온성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음이온성기를 가지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콘계 커플링제, 비닐계 커플링제 및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개질제 중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는 0.05 내지 5 중량%이고, 상기 제1 표면개질제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0.05 내지 5 중량%이고, 상기 제2 표면개질제 중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는 0.01 내지 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개질제는, 3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표면개질제는,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표면개질제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0.001 내지 3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2차 코팅 상에 상기 1차 코팅 또는 상기 2차 코팅과 동일한 3차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는, 연마입자; 상기 연마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1 표면개질제를 포함하는 1차 코팅; 및 상기 1차 코팅 상에 형성된 제2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표면개질제를 포함하는 2차 코팅;을 포함한다.
상기 2차 코팅 상에 상기 1차 코팅 또는 상기 2차 코팅과 같은 3차 코팅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은,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거하는 것이다.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카르복실-아미노 그룹을 포함하는 구리 착화제, 연마조절제, 부식방지제 및 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리 착화제는, 지방족 아미노산,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비방향족 아미노산, 황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산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이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리 착화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0.01 중량% 내지 2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제는, 벤조트리아졸(BTA), 1,2,4-트리아졸, 5-아미노테트라졸(ATA), 5-메틸-1H-벤조트리아졸, 3-아미노1,2,4 트리아졸, 톨리 트리아졸, 5-페닐-1H-테트라졸, 3-아미노-5-메틸-4H-1,2,4 트리아졸, K-소베이트, 2-아미노피리미다인(2-aminopyrimidine), 하이드록시 큐이노라인(hydroxy quinoline), N-페닐-1,4-페닐렌아민(N-phenyl-1,4-phenleneaine), 헥실 벤조트리아졸(Hexyl-benzotriazole), 및 폴리파이롤(Polypyrr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0.01 중량% 내지 0.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황산암모늄, 벤조일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바륨 퍼옥사이드 및 소듐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0.01 중량% 내지 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콜로이달 연마입자 상태에서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연마입자의 표면 전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소프트한 연마입자로 개질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구리막, 구리 배리어막 및 연질의 유전막 CMP에 사용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산성 영역에서도 구리막에 대한 우수한 연마율을 나타내면서도, 다른 박막들과의 연마 선택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연마 과정에서 연마 대상막에 디싱, 부식 또는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해 연마 대상막의 표면 상태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통해, 신뢰성 및 특성이 우수한 반도체 디바이스의 구리 배선층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성능의 반도체 디바이스를 얻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연마입자의 표면개질 전과 후의 연마입자 평균 크기를 나타낸 PSD(Particle size distribution)을 나타낸다.
도 4는 연마입자의 표면개질 전(a)과 후(b)의 연마입자 형상을 촬영한 TEM 사진이다.
도 5는 표면 개질하지 않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a) 및 본 발명에 따라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b)을 이용하여 CMP 후 AIT-XP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함 맵(defect map)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은, 분산액에 연마입자를 분산시켜 콜로이달 입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콜로이달 입자를,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1 표면개질제로 1차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코팅된 콜로이달 입자를, 제2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표면개질제로 2차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콜로이달 실리카의 경도가 연질의 막질, 특히 구리막과 같은 경우 표면 접촉에 의해서 스크래치 발생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콜로이달 입자를 표면 개질하여 부드러운 표면상태를 갖게 해줌으로써 결합(스크래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은, 먼저, 분산액에 연마입자를 분산시켜 콜로이달 입자 용액을 준비한다 (S11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분산액은, 물, 알코올,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상기 연마입자가 분산될 수 있는 용매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마입자는, 실리카, 세리아,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티타니아, 바륨티타니아, 게르마니아, 망가니아 및 마그네시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요구되는 특성 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콜로이달 입자 용액 중 상기 연마입자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마입자가 약 1 중량% 미만인 경우, 연마율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연마입자가 약 20 중량% 초과인 경우, 과연마에 의한 디싱(dishing) 또는 결합(scratch)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콜로이달 입자를,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1 표면개질제로 1차 코팅한다 (S12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olymethyacrylate) 폴리알리아민 하이드로 클로라이드(polyallyaminehydrochloride; PAH), 폴리-L-알지닌(poly-L-arginine; PARG), 폴리-L-리신(poly-L-lysine; PLL), 아크릴 아마이드(acrylamide) 유도 중합체, 4차 폴리아민(quaternary polyamine), 폴리디메틸아민(polydimethylamine), 폴리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 ammonium chloride), 디시안디아마이드(dicyandiamide), 디시안디아민드(dicyandiaminde),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 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아마이드-아민(polyamide-amine), D-글루코사민(D-glucosamine) 유도체, 양성 폴리머(amphoteric polymer), 폴리아민계 폴리머(polyamine based polymer), 설폰화 화합물 폴리머(sulphonated compound polymer), 소듐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sodium polystyrene sulphonate), 소듐 폴리비닐 설포네이트(sodium polyvinyl sulphonate), 아크릴계 공중합체(copolymer of acrylic), 2-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판설포닉산(2-acrylamide-2methylpropanesulphonic acid), 양이온성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음이온성기를 가지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이온성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알릴아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비닐이미다졸, 및 이들의 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이온성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표면개질제 중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는 약 0.05 내지 약 5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가 약 0.05 중량% 미만인 경우, 표면개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가 약 5 중량% 초과인 경우, 응집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콘계 커플링제, 비닐계 커플링제 및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3-아미노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아미노 에틸아미노메틸트리메톡시실란, 트리메톡시 페닐실란, 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1,2-디클로로에틸트리클로로실란, 1-클로로에틸트리클로로실란, 2-클로로에틸트리클로로실란, 에틸트리클로로실란, 3,3,3-트리플루오르 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2-시아노에틸트리클로로실란, 아릴트리클로로실란, 3-브로모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n-프로필 트리클로로실란, 3-시아노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n-부틸트리클로로실란, 이소부틸트리클로로실란, 펜틸트리클로로실란, 헥실트리클로로실란, 벤질트리클로로실란, p-트릴트리클로로실란, 6-트리클로로시릴-2-노르볼넨, 2-트리클로로시릴노르볼넨, 헵틸트리클로로실란, 2-(4-시크로헥세닐에틸)트리클로로실란, 옥틸트리클로로실란, 클로로페닐에틸트리클로로실란, 테트라데실트리클로로실란,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에이코실트리클로로실란, 독실트리클로로실란, 클로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르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 트리메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시아노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3-트리플오로아세톡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 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릴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3-모르폴리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피페라지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피페리지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O, O'-디에틸S-(2-트리에톡시시릴에틸)디티오포스페이트, 3-벤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2-아미노 에틸티오에틸)트리에톡시실란, 펜틸트리에톡시실란, 4-클로로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벤질트리에톡시실란, 6-트리에톡시시릴-2-노르볼넨, 옥틸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시릴프로필)-p-니트로벤즈아미드, 도데실트리에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아릴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및 3-(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표면개질제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약 0.05 내지 약 5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가 약 0.05 중량% 미만인 경우, 표면개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실란 커플링제가 약 5 중량% 초과인 경우, 응집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표면개질제는, 약 3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80℃의 온도에서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순차적인 과정으로 표면개질을 진행할 수 있거나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온도가 30℃ 보다 낮은 경우에는 용해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0℃보다 높은 경우에는 응집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표면개질제로 1차 코팅된 콜로이달 입자는 표면이 양전하로 개질된다.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농도, 가열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1차 코팅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1차 코팅되는 두께는 5 내지 2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1차 코팅된 콜로이달 입자에 제2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표면개질제로 2차 코팅한다 (S13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는,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의 예들과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와 같은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표면개질제 중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는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가 약 0.01 중량% 미만인 경우, 스웰링(swelling)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가 약 5 중량% 초과인 경우, 입자 불균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표면개질제는,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제1 표면개질제에 포함되는 실란 커플링제의 예들과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표면개질제에 포함되는 실란 커플링제와 같은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표면개질제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약 0.001 내지 약 3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가 약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스웰링(swelling)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실란 커플링제가 약 3 중량% 초과인 경우, 응집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농도, 가열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2차 코팅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2차 코팅되는 두께는 5 내지 5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코팅 및 2차 코팅 결과 전체적으로 10 내지 70 nm의 두께로 표면개질제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안정적인 연마입자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연마율 조절과 디싱 및 부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표면 개질의 두께와 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차 코팅 및 2차 코팅 각각은 드래프트법 및 레이어 바이 레이어(Layer by layer)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마 입자와 상기 1차 코팅간, 상기 1차 코팅과 상기 2차 코팅 간의 결합은 공유 결합일 수도 있고, 단순한 물리적 결합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2차 코팅 상에 상기 1차 코팅 또는 상기 2차 코팅과 동일한 3차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 기형성된 코팅 상에 동일한 공정을 적용하여 추가 코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방법은 경우에 따라,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산액에 연마입자를 분산시켜 콜로이달 입자 용액 준비하고, 콜로이달 입자에 실란 커플링제를 코팅하는 단계; 실란 커플링제가 코팅된 콜로이달 입자에 고분자 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 및 1차 코팅된 콜로이달 입자에 2차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는, 연마입자; 상기 연마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1 표면개질제를 포함하는 1차 코팅; 및 상기 1차 코팅 상에 형성된 제2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표면개질제를 포함하는 2차 코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는, 콜로이달 연마입자 상태에서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연마입자의 표면 전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소프트한 연마입자로 개질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구리막, 구리 배리어막 및 연질의 유전막 CMP에 사용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슬러리 조성물은, 제2 측면에 따라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전하는 약 5 mV에서 약 50 mV 이상의 포지티브 전하를 갖고 소프트하게 개질되어 디싱이나 스크래치의 발생 우려가 적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카르복실-아미노 그룹을 포함하는 구리 착화제, 연마조절제, 부식방지제 및 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리 착화제는, 지방족 아미노산,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비방향족 아미노산, 황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산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및 이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리 착화제는, 예를 들어, 글라이신, 세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리 착화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리 착화제가 이러한 함량으로 포함됨에 따라, 상기 연마 대상막의 연마 속도를 최적화하면서도, 연마된 후의 연마 대상막 표면에 디싱 또는 부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구리 착화제가 지나치게 큰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연마 대상막의 표면에 부식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연마 대상막의 균일도, 즉, WIWNU(Within Wafer Non-Uniformity)가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마조절제는,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 시스테인, 글루타릭산 및 피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마조절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마조절제가 약 0.01 중량% 미만인 경우, 배리어막의 연마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연마조절제가 약 5 중량% 초과인 경우, 구리막과 배리어막의 연마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제는 연마 대상막의 움푹 패인 부분에서 이러한 연마 대상막이 구리 착화제 등에 의한 지나친 화학적 공격을 받는 것을 억제하여 디싱 등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부식방지제는, 벤조트리아졸(BTA), 1,2,4-트리아졸, 5-아미노테트라졸(ATA), 5-메틸-1H-벤조트리아졸, 3-아미노1,2,4 트리아졸, 톨리 트리아졸, 5-페닐-1H-테트라졸, 3-아미노-5-메틸-4H-1,2,4 트리아졸, K-소베이트, 2-아미노피리미다인(2-aminopyrimidine), 하이드록시 큐이노라인(hydroxy quinoline), N-페닐-1,4-페닐렌아민(N-phenyl-1,4-phenleneamine), 헥실 벤조트리아졸(Hexyl-benzotriazole) 및 폴리파이롤(Polypyrr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식방지제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암모니움 도데실 설페이트, 도데실 벤젠니 설퍼네이트, 도데실 벤젠니설퍼닉 엑시드 및 소듐 도데실 설퍼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부식방지제는, 부식 억제 효과, 연마 속도 및 슬러리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측면에서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약 0.01 중량% 내지 약 0.5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식방지제가 약 0.01 중량% 미만인 경우, 구리막의 연마제어가 불가능하여 디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부식방지제가 약 0.5 중량% 초과인 경우, 구리막의 연마가 낮아지고 유기물 잔유물(residue)이 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는, 실리카, 세리아,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티타니아, 바륨티타니아, 게르마니아, 망가니아 및 마그네시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는, 1차 입자의 크기가 약 1 nm 내지 약 100 nm 이고, 2차 입자의 크기가 약 30 nm 내지 약 300 n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마 슬러리 중 1차 입자의 평균 크기에 있어서, 액상에서 합성하기 때문에 입자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100 nm 이하이어야 하며, 1 nm 미만일 경우에는 연마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는, 연마율 조절과 디싱 및 부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표면 개질의 두께와 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마입자가 약 0.1 중량% 미만인 경우 산화막 연마 속도가 감소되며, 약 2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연마입자에 의한 결함 발생이 우려된다.
상기 산화제는 연마 대상막, 예를 들어, 구리막을 산화시켜 산화막을 형성하는 작용을 하며, 이러한 산화막을 슬러리 조성물의 물리적, 화학적 연마 작용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상기 연마 대상막에 대한 CMP 연마가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황산암모늄, 벤조일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바륨 퍼옥사이드 및 소듐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산화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제의 함량이 약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연마 대상막에 대한 연마 속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산화제의 함량이 약 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연마 대상막 표면의 산화막이 하드(hard)해져서 연마가 이루어지지 않고 산화막이 성장하여 구리막의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슬러리 조성물의 분산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pH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pH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성으로 적정하는 경우는 질산(HNO3), 염산(HCl) 및 황산(H2SO4), 아세트산(CH3COOH)으로 이루어진 강산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알칼리로 적정하는 경우는 암모니아, TMAH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pH 조절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약 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성 pH 조절제에 의하여,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pH가 약 2 내지 약 5의 산성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마 대상막은 구리막, 구리 배리어막 및 연질의 유전막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구리 함유막과 같은 연마 대상막에 대해 상술한 높은 연마율을 유지하면서도 다른 박막, 예를 들어, 배리어막으로 사용되는 티타늄(Ti), 탄탈륨(Ta), 루테늄(Ru), 몰리브덴(Mo), 코발트(Co) 및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박막 또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산화막에 대해 낮은 연마율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연마 대상막과 다른 박막 간의 우수한 연마 선택비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표면개질 전과 후의 연마입자 평가]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연마입자의 표면개질 전과 후의 연마입자 평균 크기를 나타낸 PSD(Particle size distribution)을 나타낸다. 연마입자의 표면개질 후의 크기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표면 개질 전 연마입자 평균 크기는 57 nm이고, 2차 표면 개질 후 연마입자의 평균 크기는 75 nm이다.
도 4는 연마입자의 표면개질 전과 후의 연마입자 형상을 촬영한 TEM 사진이다. 표면개질 후의 표면 형상이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마 조건 1]
1. 연마 장비: 1 인치용 Mini Polisher - MetPrep 3 (APPLIED High tech products 社)
2. 연마 패드: Politex 8 (Dow 社)
3. 플레이튼 스피드 (Platen speed): 150 rpm
4. 유량 (Flow rate): 100 cc/min
5. 압력: 7 Lpf(2 psi)
[연마 조건 2]
1. 연마 장비: 8 인치용(200 mm) CMP 장비 - Uniplar 231 (Doosan Mechatech 社)
2. 연마 패드: H800 (Fujibo社)
3. 플레이튼 스피드 (Platen speed): 24 rpm (스핀들 스피드 (spindle speed): 60 rpm)
4. 유량 (Flow rate): 200 cc/min
5. 압력: 3 psi
8 인치용(200 mm) CMP 장비를 이용하여 연마한 경우, Cu, Ta의 연마율은 4-포인트 프로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OXIDE인 PTEOS는 나노메트릭스 社의 Atlas 장비를 이용하여 CMP 전후 두께 변화를 측정하여 연마율을 계산하였다.
결함 측정은 KLA Tencor의 AIT-XP를 이용하여 CMP후의 구리막과 산화막의 DEFECT를 측정하였다.
1. 표면 개질된 실리카 입자의 연마율 평가
표면 개질하지 않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CMP 슬러리 조성물은 산화제 0.15 중량%에 구리 착화제 1 중량%, 부식방지제 0.5 중량%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라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CMP 슬러리 조성물은 구리 착화제 및 부식방지제는 포함하지 않고, 산화제만 0.15 중량%가 포함하도록 하였다.
막질 연마율
표면 개질하지 않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A/min)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A/min)
1차 개질 2차 개질
구리막 1 313 322.6 338.1
구리막 2 317 324.8 337.1
산화막 1 197 196.2 178.8
산화막 2 304 205.4 185.8
표면 개질하지 않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한 연마의 경우와 본 발명에 따라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연마한 경우를 비교해보면 구리막의 연마율은 유의차가 없으나 산화막의 연마율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은 구리 착화제와 부식방지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고려할 때 더욱 의미 있는 성능 향상이라고 할 것이다.
2. 표면 개질된 입자의 결함 평가
표 2는 AIT-XP를 이용한 결함 수를 나타내고, 도 5는 표면 개질하지 않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a) 및 본 발명에 따라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b)을 이용하여 CMP 후 AIT-XP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함 맵(defect map)을 나타낸 것이다.
막질 결함수
표면 개질하지 않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개)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개)
1차 개질 2차 개질
구리막 1 8191 81 251
구리막 2 8036 85 216
산화막 1 229 107 274
산화막 2 370 73 340
연마입자의 표면 개질 전에는 CMP 후의 구리막에서의 결함 수가 높아 측정이 불가능한 상태였으나 개질 후에는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산화막의 결함 수는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표면 개질에 의해서 실리카 입자가 소프트해져서 구리막에서의 결함(damage)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1)

  1. 분산액에 연마입자를 분산시켜 콜로이달 입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콜로이달 입자를,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실란을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1 표면개질제로 1차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코팅된 콜로이달 입자를, 제2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표면개질제로 2차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액은, 물, 알코올,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는, 각각,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olymethylacrylate), 폴리알리아민 하이드로 클로라이드(polyallyaminehydrochloride; PAH), 폴리-L-알지닌(poly-L-arginine; PARG), 폴리-L-리신(poly-L-lysine; PLL), 아크릴 아마이드(acrylamide) 유도 중합체, 4차 폴리아민(quaternary polyamine), 폴리디메틸아민(polydimethylamine), 폴리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 ammonium chloride), 디시안디아마이드(dicyandiamide), 디시안디아민드(Dicyandiaminde),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 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아마이드-아민(polyamide-amine), D-glucosamine 유도체, 양성 폴리머(amphoteric polymer), 폴리아민계 폴리머(polyamine based polymer), 설폰화 화합물 폴리머(sulphonated compound polymer), 소듐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sodium polystyrene sulphonate), 소듐 폴리비닐 설포네이트(sodium polyvinyl sulphonate), 아크릴계 공중합체(copolymer of acrylic), 2-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판설포닉산(2-acrylamide-2methylpropanesulphonic acid), 양이온성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음이온성기를 가지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입자는, 실리카, 세리아,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티타니아, 바륨티타니아, 게르마니아, 망가니아 및 마그네시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달 입자 용액 중 상기 연마입자는 1 내지 20 중량%인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콘계 커플링제, 비닐계 커플링제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개질제 중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는 0.05 내지 5 중량%이고, 상기 제1 표면개질제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0.05 내지 5 중량%이고,
    상기 제2 표면개질제 중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는 0.01 내지 5 중량%인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개질제는, 3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혼합한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개질제는, 실란을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개질제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0.001 내지 3 중량%인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팅 상에 상기 1차 코팅 또는 상기 2차 코팅과 동일한 3차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의 제조방법.
  11. 연마입자;
    상기 연마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실란을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1 표면개질제를 포함하는 1차 코팅; 및
    상기 1차 코팅 상에 형성된 제2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표면개질제를 포함하는 2차 코팅;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제2 수용성 고분자는, 각각,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olymethylacrylate), 폴리알리아민 하이드로 클로라이드(polyallyaminehydrochloride; PAH), 폴리-L-알지닌(poly-L-arginine; PARG), 폴리-L-리신(poly-L-lysine; PLL), 아크릴 아마이드(acrylamide) 유도 중합체, 4차 폴리아민(quaternary polyamine), 폴리디메틸아민(polydimethylamine), 폴리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 ammonium chloride), 디시안디아마이드(dicyandiamide), 디시안디아민드(Dicyandiaminde),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 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아마이드-아민(polyamide-amine), D-glucosamine 유도체, 양성 폴리머(amphoteric polymer), 폴리아민계 폴리머(polyamine based polymer), 설폰화 화합물 폴리머(sulphonated compound polymer), 소듐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sodium polystyrene sulphonate), 소듐 폴리비닐 설포네이트(sodium polyvinyl sulphonate), 아크릴계 공중합체(copolymer of acrylic), 2-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판설포닉산(2-acrylamide-2methylpropanesulphonic acid), 양이온성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음이온성기를 가지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팅 상에 상기 1차 코팅 또는 상기 2차 코팅과 같은 3차 코팅을 더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13. 제11항의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카르복실-아미노 그룹을 포함하는 구리 착화제, 연마조절제, 부식방지제 및 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마조절제는,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 시스테인, 글루타릭산 및 피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부식방지제는, 벤조트리아졸(BTA), 1,2,4-트리아졸, 5-아미노테트라졸(ATA), 5-메틸-1H-벤조트리아졸, 3-아미노1,2,4 트리아졸, 톨리 트리아졸, 5-페닐-1H-테트라졸, 3-아미노-5-메틸-4H-1,2,4 트리아졸, K-소베이트, 2-아미노피리미다인(2-aminopyrimidine), 하이드록시 큐이노라인(hydroxy quinoline), N-페닐-1,4-페닐렌아민(N-phenyl-1,4-phenleneamine), 헥실 벤조트리아졸(Hexyl-benzotriazole) 및 폴리파이롤(Polypyrr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황산암모늄, 벤조일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바륨 퍼옥사이드 및 소듐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슬러리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착화제는, 지방족 아미노산,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비방향족 아미노산, 황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산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이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슬러리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착화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0.01 중량% 내지 2 중량%인 것인, 슬러리 조성물.
  17. 삭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0.01 중량% 내지 0.5 중량%인 것인, 슬러리 조성물.
  19. 삭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상기 슬러리 조성물 중 0.01 중량% 내지 5 중량%인 것인, 슬러리 조성물.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슬러리 조성물.
KR1020130014390A 2013-02-08 2013-02-08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KR101427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390A KR101427883B1 (ko) 2013-02-08 2013-02-08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390A KR101427883B1 (ko) 2013-02-08 2013-02-08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883B1 true KR101427883B1 (ko) 2014-08-07

Family

ID=5174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390A KR101427883B1 (ko) 2013-02-08 2013-02-08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8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6432A (zh) * 2015-09-09 2018-05-11 嘉柏微电子材料股份公司 具有改善的稳定性和改善的抛光特性的选择性氮化物淤浆
US10047248B2 (en) 2015-10-15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urry composition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p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28236A (ko) 2018-09-06 2020-03-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Cmp용 실리카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1033A (ko) * 2019-02-19 2020-08-27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사용자 입력신호를 고려한 햅틱 모터 구동 방법
KR20210111643A (ko) * 2020-03-03 2021-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구리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리 막 연마 방법
CN113999654A (zh) * 2021-11-25 2022-02-01 河南崇锋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超硬磨料簇及其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2841A (ja) * 1996-11-01 1998-07-07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体、その製法、及び複合体を含有する成形品
JP2007088499A (ja) 1999-07-07 2007-04-05 Cabot Microelectronics Corp シラン改質砥粒を含有するcmp組成物
JP2008288398A (ja) 2007-05-18 2008-11-27 Nippon Chem Ind Co Ltd 半導体ウェハーの研磨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研磨加工方法
KR20100137537A (ko) * 2008-03-24 2010-12-30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표면 개질 콜로이달 실리카 및 이것을 함유하는 cmp용 연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2841A (ja) * 1996-11-01 1998-07-07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体、その製法、及び複合体を含有する成形品
JP2007088499A (ja) 1999-07-07 2007-04-05 Cabot Microelectronics Corp シラン改質砥粒を含有するcmp組成物
JP2008288398A (ja) 2007-05-18 2008-11-27 Nippon Chem Ind Co Ltd 半導体ウェハーの研磨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研磨加工方法
KR20100137537A (ko) * 2008-03-24 2010-12-30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표면 개질 콜로이달 실리카 및 이것을 함유하는 cmp용 연마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6432A (zh) * 2015-09-09 2018-05-11 嘉柏微电子材料股份公司 具有改善的稳定性和改善的抛光特性的选择性氮化物淤浆
CN108026432B (zh) * 2015-09-09 2022-06-14 Cmc材料股份有限公司 具有改善的稳定性和改善的抛光特性的选择性氮化物淤浆
US10047248B2 (en) 2015-10-15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urry composition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p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28236A (ko) 2018-09-06 2020-03-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Cmp용 실리카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1033A (ko) * 2019-02-19 2020-08-27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사용자 입력신호를 고려한 햅틱 모터 구동 방법
KR102273804B1 (ko) 2019-02-19 2021-07-06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사용자 입력신호를 고려한 햅틱 모터 구동 방법
KR20210111643A (ko) * 2020-03-03 2021-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구리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리 막 연마 방법
KR102589505B1 (ko) 2020-03-03 2023-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구리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리 막 연마 방법
CN113999654A (zh) * 2021-11-25 2022-02-01 河南崇锋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超硬磨料簇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883B1 (ko)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TWI615450B (zh) 使用二氧化鈰塗佈的二氧化矽硏磨料之阻絕物化學機械平坦化漿料
TWI760589B (zh) 可得到經改善之表面形狀的鎢緩衝拋光組合物
JP4814784B2 (ja) モジュラーバリヤ除去研磨スラリー
JP4853287B2 (ja) Cmp研磨剤及び基板の研磨方法
US8157877B2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queous dispersio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and kit for prepar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queous dispersion
JP4285480B2 (ja) 研磨剤及び研磨方法
CN102585765B (zh) Cmp研磨剂以及衬底的研磨方法
CN101767295B (zh) 化学机械抛光组合物及其相关方法
JP2019199613A (ja) 化学機械平坦化組成物用の複合研磨粒子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828752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6352060B2 (ja) 酸化珪素膜研磨用研磨液組成物
US20070037892A1 (en) Aqueous slurry containing metallate-modified silica particles
EP1930938A1 (en) Polishing agent, method for polishing surface to be polish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EP1616927B1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queous dispersion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US20100035433A1 (en) Polishing ag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20080171441A1 (en) Polishing compound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20100065304A (ko) 금속용 연마액 및 연마 방법
TW201840802A (zh) 研磨液及研磨方法
KR101465604B1 (ko) 구리 배리어층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KR101470980B1 (ko) 표면 개질된 연마입자 및 그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JP2009272418A (ja) 研磨剤組成物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00770571B1 (ko) 텅스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슬러리 조성물
JP2006352043A (ja) 半導体研磨用組成物
JP2013165088A (ja) 研磨剤および研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