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725B1 -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 Google Patents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725B1
KR101426725B1 KR1020120137542A KR20120137542A KR101426725B1 KR 101426725 B1 KR101426725 B1 KR 101426725B1 KR 1020120137542 A KR1020120137542 A KR 1020120137542A KR 20120137542 A KR20120137542 A KR 20120137542A KR 101426725 B1 KR101426725 B1 KR 101426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coat layer
layer
resin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1641A (en
Inventor
타다시 아카마츠
다이시 엔도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61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6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7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과제] 우수한 경도를 갖고, 또한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드 코트 필름 및 이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투명한 기재층과, 기재층의 일방의 면측에 차례로 형성되는 제 1 하드 코트층 및 제 2 하드 코트층과,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3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고,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보다도 낮고,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3H 이상이고,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4배∼20배이고,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1㎛∼10㎛이며, 제 3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50nm∼10㎛이다.
[PROBLEMS] To provide a hard coat film having an excellent hardness and effectivel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curl,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having the hard coat film and a touch panel.
[MEANS FOR SOLVING PROBLEMS] Th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parent substrate layer, a first hard coat layer and a second hard coat layer which are sequentially form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and a third hard coat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Wherein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lower than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3H,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is 1 占 퐉 to 10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is 50 nm to 10 占 퐉.

Description

하드 코트 필름,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A hard coat film,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a touch panel (a hard film film,

본 발명은 하드 코트 필름, 이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coat film,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having the hard coat film, and a touch panel includ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액정 표시 모듈(LCD)은 초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다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는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PDA), pc, 텔레비전 등의 정보용 표시 디바이스로서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최근, 액정 표시 모듈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지만, 밝은(고휘도화), 보기 쉬운(광시야각화), 저소비전력화, 초경량화, 대화면화 등을 들 수 있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LCD) is widely used as a flat panel display by taking advantage of its features such as ultra-thin, light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Its application is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 PDA, It is expanding. In recent years,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var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but include bright (high luminance), easy viewing (wide viewing angle), low power consumption, light weight, and large screen.

이러한 액정 표시 모듈로서는 시인자의 조작용이성, 신속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터치패널이 탑재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패널이 탑재된 액정 표시 모듈은, 일반적으로는, 터치패널, 액정 표시 소자, 각종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가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이 순으로 중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As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there is a touch panel mounted thereon in order to improve ease of operation and promptness of the viewer.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equipped with a touch panel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touch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various optical sheets, and a backlight are superimposed in this order from the front side to the back side.

이러한 터치패널로서는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이 존재하고 있다.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극을 연장시켜, 손가락 등이 접촉했을 때에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검지하여 입력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나, 투명 도전막의 양단에 동 상, 동 전위의 교류를 인가하고, 손가락이 접촉 또는 근접하여 캐패시터가 형성될 때에 흐르는 미약 전류를 검지하여 입력위치를 검출하는 것 등이 존재하고 있다. As such a touch panel, there are a capacitive type, a resistive type, an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As the electrostatic capacity type, electrodes are extended in direction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to detect the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s when a finger or the like makes contact, thereby detecting the input position, or alternatively, And detecting an input position by detecting a weak current flowing when a capacitor is formed in contact with or near a finger.

이러한 액정 표시 모듈에 있어서는, 투명 도전막이나 그 밖의 광학 부재의 내충격성이나 취급 용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광학 부재의 표면에 하드 코트 필름을 배열 설치하는 케이스도 많다. 이러한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는 기재층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는 것이 공지이다. 이러한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는 (1) 기재층의 표면에 제 1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고, 이 제 1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제 2 하드 코트층을 설치한 2층 구조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 2000-71392호 공보 참조). 이 공보 소재의 하드 코트 필름은 제 1 하드 코트층으로서 라디칼 중합형 수지와 양이온 중합형 수지와의 블렌드로 이루어지는 경화 수지층을 기재층의 표면에 설치하고, 이 제 1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제 1 하드 코트층과 대략 동일 두께의 제 2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여, 내찰상성을 유지하면서 컬의 발생 방지 및 크랙의 발생 방지를 달성하려고 한 것이다. In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 many cases, a hard coat film is arranged on the surface of such optical member in order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and ease of handling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other optical members. As such a hard coat film, it is known that a hard coat lay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layer. As such a hard coat film, it is proposed that (1) a first hard coat lay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a base layer and a second hard coat lay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71392). The hard coat film of this publication is produced by providing a cured resin layer comprising a blend of a radically polymerizable resin and a cationic polymerizable resin as a first hard coat layer on the surface of a base layer, A second hard coat layer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provided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urling and the prevention of cracks while maintaining the scratch resistance.

또한 2층 구조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는 (2) 내층인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외층인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보다도 낮고,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 2007-219013호 공보 참조). 이 공보 소재의 하드 코트 필름은 저수축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하드 코트층과 고경도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하드 코트층이 동일한 도공 방법에 의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대략 절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hard coat film having the hard coat layer having the two-layer structure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2)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as the inner layer is lower than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as the outer layer, 2 thick hard coat layer (see JP-A-2007-219013). Since the hard coat film of this publication is formed by laminating the first hard coat layer made of low shrinkage urethane acrylate or the like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made of urethane acrylate or the like having high hardness by the same coating method,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half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그렇지만, 상기 (1)의 하드 코트 필름은 제 1 하드 코트층과 제 2 하드 코트층이 대략 동일 두께이기 때문에, 제 1 하드 코트층이 얇아, 하드 코트 필름의 표면이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이 하드 코트 필름은, 충분한 경도를 얻기 위하여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제 2 하드 코트층이 너무 두꺼워져, 컬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However, since the first hard coat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thin, and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film can not have sufficient hardness. Further, in the hard coat film, i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increased to obtain sufficient hardness, the second hard coat layer becomes too thick, and curl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2)의 하드 코트 필름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보다도 얇지만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대략 절반 이상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하드 코트 필름의 표면이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컬의 발생을 적확하게 방지할 수 없다. In addition, the hard coat film of (2) has a thickness of at least about hal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Consequently, The surface of the film can not obtain sufficient hardness, and the occurrence of curl can not be precisely prevented.

일본 특개 2000-7139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71392 일본 특개 2007-21901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19013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경도를 가짐과 아울러,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드 코트 필름 및 이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d coat film which has an excellent hardness and can effectively prevent the generation of curl,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comprising the hard coat film, And a touch panel.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투명한 기재층과, A transparent substrate layer,

이 기재층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1 하드 코트층과, A first hard coat layer form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이 제 1 하드 코트층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2 하드 코트층과, A second hard coat layer form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상기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3 하드 코트층A third hard coat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을 구비하고,And,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보다도 낮고,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lower than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3H 이상이고, Wherein the second hard coat layer has a pencil hardness of 3H or more,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4배 이상 20배 이하이고,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4 times or more and 20 times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1㎛ 이상 10㎛ 이하이며,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is 1 탆 or more and 10 탆 or less,

상기 제 3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50nm 이상 10㎛ 이하인 하드 코트 필름이다.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is 50 nm or more and 10 占 퐉 or less.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3 하드 코트층에 의해, 타방의 면측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제 3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50nm 이상 10㎛ 이하가 되도록 얇게 형성함으로써,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의 경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기재층과 제 3 하드 코트층과의 경도차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층과 제 2 하드 코트층 사이에, 제 2 하드 코트층보다도 연필경도가 낮은 제 1 하드 코트층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층과 제 2 하드 코트층과의 경도차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 1 하드 코트층과 제 2 하드 코트층에 의해,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특히,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고,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에 대한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4배 이상 20배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비교적 높은 것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제 1 하드 코트층, 제 2 하드 코트층 및 제 3 하드 코트층이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양면측의 경도를 향상시켜 취급 용이성 등을 높임과 아울러, 초박형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can improve the hardness of the other surface side by the third hard coat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Particularly, the hard coat film is formed by thinning the third hard coat layer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not less than 50 nm and not more than 10 탆, thereby improving the hardness of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rl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difference in hardness between the curved portions. Further, in the hard coat film, a first hard coat layer having a pencil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is arrang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Therefore, the hard coat film is formed by the first hard coat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while preventing the curl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difference in hardness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crease the hardness of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icularly, in the hard coat film,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is set within the above range,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relative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is maintained at 4 times or more and 20 times or less,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prevent the curl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relatively high pencil hardness of the two hard coat layers. In addition, since the first hard coat layer, the second hard coat layer and the third hard coat layer hav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hard coat film improves the ease of handling and the like by improving the hardness on both sides, It can meet the demand.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F 이상 H 이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하드 코트 필름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In the hard coat film,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may be F or more and H or less.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increase the hardness of one surface side of the hard coat film.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20㎛ 이상 100㎛이 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컬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of 20 占 퐉 or more and 100 占 퐉. Thus, occurrence of curl can be more suitably prevented.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연필경도가 8B 이상 F 이하이어도 된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층의 연필경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에도 컬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적합하게 경도를 높일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may have the pencil hardness of the base layer of 8B or more and F or less. The hard coat film can suitably increase the hardness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curl even when the pencil hardness of the base layer is in the above range.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이면 좋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 비교적 경도가 낮고, 컬을 발생하기 쉬운 수지를 기재층의 주성분으로서 사용한 경우이어도, 컬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효과적으로 경도를 높일 수 있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층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면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을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직사 일광이나 디스플레이의 발열 등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광학적 균일성이 우수하여, 세밀한 영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경도를 높일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may be a polycarbon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the substrate layer. The hard coat film can prevent generation of curl even when a resin having relatively low hardness and susceptible to curling such as a polycarbon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base layer In addition, the hardness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o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th can be easily reduced by using a polycarbonate-based resin, a cycloolefin-based resin,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the substrate layer . The hard coat film can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by making the base layer the main component of the polycarbonate resin. Further, the hard coat film can effectively suppress a change in retardation caused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direct sunlight or heat generated by a display by using the cycloolefin resin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layer, and is excellent in optical uniformity, Video display can be performed. The hard coat film can more effectively increase the hardness by making the base layer the main componen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면내 리타데이션값(Ro)이 100nm 이하이며, 또한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200nm 이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다른 광학 부재에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을 중첩하여 사용했을 때에, 이 밖의 광학 부재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may have an in-plane retardation value (Ro) of 100 nm or less and a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200 nm or less. Thus, when the hard coat film is superimposed on another optical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tical function of the other optical member from being hindered.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제조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층에 열이 가해짐으로써 생기는 열팽창이나 열수축을 방지할 수 있어,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hard coat film,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may be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resin. As a result, the ease of manufactur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hard coat film can prevent thermal expansion and heat shrinkage caused by heat applied to the substrate layer, thereby improving dimensional stability.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포함되는 경우, 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양이온 중합성 수지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기재층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접착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으로서 양이온 중합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컬의 발생을 방지하여, 치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hard coat film contains an ultraviolet ray-curable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the ultraviolet ray-curable resin may be a cationic polymerizable resi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to the substrate layer and to suppress the change of the adhesive force with time. Further, the hard coat film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curl by using a cationic polymerizable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and can further improve the dimensional stability.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이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함과 아울러,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면 좋다. 일반적으로,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며, 또한 이 제 1 하드 코트층이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의 경화속도가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그렇지만,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방지제의 농도를 작게 억제해도 충분한 양의 자외선 방지제를 제 1 하드 코트층에 함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제 1 하드 코트층에 충분한 양의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시킨 경우에도, 제 1 하드 코트층의 경화속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may contain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resin as the main component and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In general, when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resin and the first hard coat layer contains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the hardening speed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lower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Howe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of the hard coat film is set relatively thick, a sufficient amount of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can be contained in the first hard coat layer even if the concent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is suppressed to a small value. Therefore, even when a sufficient amount of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is contained in the first hard coat layer, the hard coat film can suppress the lowering of the hardening speed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and prevent the productivity from being lowered.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제 3 하드 코트층이 고굴절률 미립자를 분산 함유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제 3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may contain the high hardness fine particles dispersedly contained in the third hard coat layer. There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can be improved.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 제 3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이 1.6 이상 2.3 이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의 제 3 하드 코트층측을 터치패널 등의 투명 도전층에 적층한 경우에, 제 3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 예를 들면, ITO의 굴절률 2.1∼2.2(λ: 520nm)에 근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may be 1.6 or more and 2.3 or less. As a result, when the third hard coat layer side of the hard coat film is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such as a touch panel,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ITO To about 2.2 (?: 520 nm). As a result, the hard coat film can lower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제 3 하드 코트층이 고굴절률 미립자를 분산 함유하는 상기 하드 코트 필름과, The third hard coat layer containing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dispersed therein,

이 하드 코트 필름의 제 3 하드 코트층의 타방의 면에 적층되는 투명 도전층을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이다.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of the hard coat film.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하드 코트 필름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양면측의 경도를 향상시켜 취급 용이성 등을 높임과 아울러, 초박형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제 3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을 근접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경우,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Since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includes the hard coat film, it is possible to suitably prevent curling from occurring in the hard coat film. Further, since the above-mentioned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includes the above-mentioned hard coat film,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ardness on both sides to improve ease of handling and to meet the requirement of ultra-thinness. Furth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can reduce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or example, when used in a touch panel, by bring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lose to each other .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 제 3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과, 상기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과의 차가 0.6 이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I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0.6 or less. As a result,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터치패널은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이다. A touch panel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a touch panel includ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당해 터치패널은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하드 코트 필름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은,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양면측의 경도를 향상시켜 취급 용이성 등을 높임과 아울러, 초박형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은, 제 3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을 근접시킴으로써,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Since the touch panel includes the hard coat film, it is possible to suitably prevent the hard coat film from being curled. Further, since the touch panel is provided with the hard coat film,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ardness of the both sides and to improve ease of handling, and to meet the demand for ultra-thinness. In addition, the touch panel can reduce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by bring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lose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필경도」란 JIS K5600-5-4에 규정하는 시험방법 에 기재된 연필긋기값에 기초하는 값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 및 제 3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는 모두 기재층의 연필경도보다도 높은 것으로 한다. 「두께」란 JIS K7130에 준하여 측정한 평균 두께를 말한다. 「면내 리타데이션값(Ro)」은 Ro=(Ny-Nx)×d에서 구해지는 값으로,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은 Rth=((Nx+Ny)/2-Nz)×d에서 구해지는 값이다. 여기에서, Nx는 필름의 진상(進廂)축(면방향과 평행한 축)의 굴절률이며, Ny는 필름의 지상(遲相)축(면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진상축과 수직한 축)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방향(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필름의 굴절률이며, d는 필름의 두께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 pencil hardness " is a value based on the pencil drawing value described in the test method prescribed in JIS K5600-5-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and the pencil hardness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are all higher than the pencil hardness of the base layer. &Quot; Thickness " refers to an average thicknes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30.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o is a value obtained from Ro = (Ny-Nx) xd, and the retardation value in the thickness direction Rth is expressed by Rth = ((Nx + d. Here, Nx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vance axis of the film (axis parallel to the plane direction), Ny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of the film (parallel to the plane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phase axis) Nz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direction),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film.

「자외선 방지제」란 자외선에 의한 광열화 방지 기능을 갖는 첨가제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term " ultraviolet ray inhibitor " is an additive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photo-induced deterioration due to ultraviolet rays, and includes an ultraviolet ray absorbent, a UV stabilizer, and the lik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 및 이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은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including the hard coat film, and the touch panel includ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can improve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film, The occurrence of curl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필름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하드 코트 필름과는 다른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필름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을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터치패널과는 상이한 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을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1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 hard coat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rd coat film according to a different form from the hard coat film of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different form from the touch panel of FIG. 4;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ppropriately.

도 1의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과, 표면측 하드 코트층(3)과, 이면측 하드 코트층(4)(제 3 하드 코트층에 상당)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다른 부재와 접착되는 경우,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이 접착면측에 배열 설치되고, 표면측 하드 코트층(3)이 그 반대측에 배열 설치된다. The hard coat film 1 shown in Fig. 1 has a base layer 2, a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and a back side hard coat layer 4 (corresponding to a third hard coat layer). When the hard coat film 1 is adhered to another member, the back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4 is arranged on the adhesion surface side and the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is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기재층(2))(Base layer 2)

기재층(2)은, 광선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 특히 무색 투명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재층(2)을 구성하는 주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책된다. 이들 합성 수지는 우수한 광학적 투명성을 가지고 있어, 광선을 양호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 그중에서도, 기재층(2)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Since the base layer 2 needs to transmit a light ray, it is formed in a transparent state, in particular, colorless and transparent. The ma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substrate lay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typical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carbon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an acrylic resin, a polypropylene resin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These synthetic resins have excellent optical transparency and can transmit light rays well. Among them, a polycarbon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is preferable as a ma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substrate layer 2. [

기재층(2)은 투명성 및 원하는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은 다른 임의 성분을 포함해도 되지만, 상기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임의 성분의 예로서는 자외선 방지제, 윤활제, 가공 조제, 가소제, 내충격 조제, 위상차 저감제, 광택제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The base layer 2 may contain other arbitrary components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transparency and the desired strength, but it preferably contains 90 mass% or more of the main component composed of the synthetic resin, more preferably 98 mass% or more . Examples of the optional components include an ultraviolet ray inhibitor, a lubricant, a processing aid, a plasticizer, an impact resistance auxiliary, a retardation reducing agent, a gloss removing agent, an antimicrobial agent and an antifungal agent.

기재층(2)을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분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어느 하나뿐이어도 되지만,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분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면 좋다. The polycarbonate resin forming the substrate lay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ither a linear polycarbonate resin or a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However,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any of a linear polycarbonate resin and a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It may be a polycarbonate-based resin.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공지의 포스겐법 또는 용융법에 의해 제조된 직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카보네이트 성분과 디페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카보네이트 성분을 도입하기 위한 전구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페놀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5-디메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데칸,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도데칸,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티오디페놀,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98967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으로 제조되고, 그 굴절률은 1.57 이상 1.59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near polycarbonate resin is a straight chai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prepared by a known phosgene method or a melting method and is composed of a carbonate component and a diphenol component. As a precursor for introducing a carbonate component, for example, phosgene, diphenyl carbonate and the like can be given. Examples of the diphenol include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2,2-bis (3,5-dimethyl- (4-hydroxyphenyl) cyclohexane, 1,1-bis (3,5-dimesyl-4-hydroxyphenyl) cyclohexane, 1,1- 4-hydroxyphenyl) propane, 1,1-bis (4-hydroxyphenyl) cyclodecane, 1,1-bis Dihydroxydiphenyl ether, 4,4'-thiodiphenol, 4,4'-dihydroxy-3,3-dichlorodiphenyl ether,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h a linear polycarbonate resin is produced, for example, by the method described in U.S. Patent No. 3989672. The refractive index is preferably 1.57 or more and 1.59 or less.

분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분지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분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로글루신, 트리멜리트산,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 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The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is a polycarbonate resin produced by using a branching agent. Examples of the branching agent include fluoroglucin, trimellitic acid, 1,1,1-tris (4-hydroxyphenyl) Ethane, 1,1,2-tris (4-hydroxyphenyl) ethane, 1,1,2-tris (4-hydroxyphenyl) propane, 1,1,1- 1,1,1-tris (4-hydroxyphenyl) propane, 1,1,1-tris (2-methyl-4-hydroxyphenyl) methane, 1,1,1-tris (3-methyl-4-hydroxyphenyl) ethane, 1,1,1-tris Tris (3,5-dimethyl-4-hydroxyphenyl) methane, 1,1,1-tris (3,5- Chloro-4-hydroxyphenyl) methane, 1,1,1-tris (3-chloro-4-hydroxyphenyl) ethane, 1,1,1-tris (3,5- Methane, 1,1,1-tris (3,5-dichloro-4-hydroxyphenyl) ethane , 1,1,1-tris (3-bromo-4-hydroxyphenyl) methane, 1,1,1-tris (3,5-dibromo-4-hydroxyphenyl) methane, 1,1,1-tris (3,5-dibromo-4-hydroxyphenyl) ethane, 2,5-dihydroxydiphenyl ether, and the like.

이러한 분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평03-1825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향족 디페놀류, 상기 분지제 및 포스겐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방향족 디페놀류 및 말단 정지제를, 이것들을 포함하는 반응혼합액이 난류가 되도록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반응혼합액의 점도가 상승한 시점에서, 알카리 수용액을 가함과 아울러 반응혼합액을 층류로서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분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에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고,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이것은, 분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10질량% 미만에서는, 신장 점도가 저하되어 압출 성형에서의 성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며, 80질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용단 점도가 높아져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Such a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a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Hei 03-182524, in which an aromatic diphenol, a polycarbonate oligomer derived from the branching agent and phosgene, an aromatic diphenol and a terminal stopper With stirring so that the reaction mixture liquid containing them becomes turbulent and allowing the reaction mixture to react as a laminar flow while adding an aqueous alkaline solution and increasing the viscosity of the reaction mixture. The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of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ained in the polycarbonate resin in the range of 5% by mass or more and 80% by mass or less,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and 60% by mass or less. This is because, if the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is less than 10% by mass, the elongation viscosity is decreased to make molding in extrusion molding difficult, and if it exceeds 80% by mass, the melt viscosity of the resin increases and molding processability decreases.

기재층(2)을 형성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환상 올레핀(시클로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을 갖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층(2)에 사용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또는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의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cycloolefin-based resin forming the substrate lay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resin having a unit of a monomer comprising a cyclic olefin (cycloolefin). As the cycloolefin-based resin to be used for the base layer 2, a cycloolefin polymer (COP) or a cycloolefin copolymer (COC) may be used, and a cycloolefin copolymer is more preferable.

상기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는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등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인 비결정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말한다.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다환식의 환상 올레핀과 단환식의 환상 올레핀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다환식의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노르보르넨, 메틸노르보르넨, 디메틸노르보르넨, 에틸노르보르넨,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부틸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 디시클로펜타디엔, 메틸 디시클로펜타디엔, 디메틸 디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메틸테트라시클로도데센, 디메틸시클로테트라도데센, 트리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시클로펜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환식의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시클로옥타디엔, 시클로옥타트리엔, 시클로도데카트리엔 등을 들 수 있다. The cycloolefin copolymer refers to an amorphous cycloolefin resin that is a copolymer of a cyclic olefin and an olefin such as ethylene. As the cyclic olefin, polycyclic cyclic olefin and monocyclic cyclic olefin exist. Examples of such polycyclic cyclic olefins include norbornene, methyl norbornene, dimethyl norbornene, ethyl norbornene, ethylidene norbornene, butyl norbornene, dicyclopentadiene, dihydrodicyclopentadiene, methyl Dicyclopentadiene, dimethyldicyclopentadiene, tetracyclododecene, methyltetracyclododecene, dimethylcyclotetradodecene, tricyclopentadiene, tetracyclopentadie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monocyclic cyclic olefin include cyclobutene, cyclopentene, cyclooctene, cyclooctadiene, cyclooctatriene, and cyclododecatriene.

기재층(2)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골격을 갖는 수지이다. 아크릴계 수지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C1-6알킬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acrylic resin forming the substrate layer (2) is a resin having a skeleton derived from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Examples of the acrylic resin includ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poly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ic acid copolymer, methacrylic acid methyl- (meth) (Meth) acrylate, a methyl (meth) acrylate-styrene copolymer, a polymer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e.g., methyl methacrylate-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acrylic acid Methyl (meth) acrylate norbornyl copolymer). Among these acrylic resins, poly (meth) acrylate C1-6 alkyl such as poly (meth) acrylate is preferable, and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more preferable.

기재층(2)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골격을 갖는 수지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ypropylene resin forming the substrate layer (2) is a resin having a skeleton derived from propylene. Examples of the polypropylene resin includ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homopolymers of propylene or copolymers of propylene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lpha -olefins of 4 to 12 carbon atoms .

기재층(2)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다른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반복단위가 8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글리콜을 반응기에 장입하고, 내부온도를 서서히 올리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한 후, 반응생성물을 중합반응기에 옮기고, 고온 진공상태에서 중합반응을 행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forming the substrate layer (2) is a polymer obtained by the reaction of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contain other comonomer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peating uni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80 mol% or mo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charging dimethyl terephthalate and ethylene glycol into a reactor, transesterifying the mixture while slowly rai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transferring the reaction product to a polymerization reactor, and carrying out a polymerization reaction in a high- .

기재층(2)의 면내 리타데이션값(Ro)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nm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면내 리타데이션값의 상한값은 5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15nm가 더욱 바람직하고, 5nm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층(2)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Rth)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Onm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의 상한값은 10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30nm가 더욱 바람직하고, 10nm가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이와 같이 면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을 작게함으로써, 투과광선의 변환작용을 억제하여, 다른 광학 부재에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을 중첩하여 사용했을 때에, 이 밖의 광학 부재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o of the substrate lay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0 nm or less. The upper limit of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of the base layer 2 is more preferably 50 nm, further preferably 15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nm. Th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lay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nm or les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retardation valu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layer 2 is more preferably 100 nm, further preferably 3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 nm. The hard coat film 1 suppresses the conversion action of the transmitted light ray by decreasing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o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th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tical function of the other optical member from being hindered.

기재층(2)의 연필경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하드 코트를 부여한 후의 경도를 보다 높게 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8B 이상 F 이하이어도 상관없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의 연필경도가 상기 범위 정도이어도, 컬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일방의 면측의 연필경도를 2H 이상 6H 이하 정도까지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The pencil hardness of the base lay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preferably higher in order to increase the hardness after the hard coat is applied, but it may be 8B or more and F or less. The hard coat film 1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pencil hardness of one side of the surface to 2H to 6H or less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curl even if the pencil hardness of the base layer 2 is in the above range.

기재층(2)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두께의 상한값은 150㎛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기재층(2)의 두께의 하한값은 30㎛가 보다 바람직하고, 50㎛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시의 라인 속도나 생산성이 저감되과,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이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강도, 강성이 작아져, 휨 방지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lay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m or more and 200 m or less, for example.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2 is more preferably 150 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0 m.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2 is more preferably 30 占 퐉,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0 占 퐉. Wh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layer 2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 line speed and productivity at the time of production are reduced, and when the hard coat film 1 is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 is a fear that it may be against the demand of.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2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 strength and rigidity become small, and the bending prevention property and the like may be lowered.

기재층(2)으로서는, 통상, 산술평균 표면거칠기(Ra)가 0.02 이상 0.06 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2)에는, 필요에 따라 매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매트 처리를 시행한 기재층(2)의 산술평균 표면거칠기(Ra)는 바람직하게는 0.07 이상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1 이하로 할 수 있다. 기재층(2)의 표면거칠기를 이러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필름 원재료 시트 제조 후의 처리에 있어서의 상처발생이 방지되어,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조된 필름 원재료 시트의 권취를 행할 때는, 필름의 폭방향의 양단을 엠보싱 가공(널링 처리)하여 블로킹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필름에 널링 처리를 행한 경우, 필름의 양단의 처리 개소는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그 부분은 재단·폐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필름의 권취 작업에 있어서는, 상처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막에 의해 마스킹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기재층(2)의 산술평균 표면거칠기를 상기와 같은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널링 처리를 행하지 않고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간략하게 되어, 필름 폭방향의 양단 부분도 사용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필름의 고장을 일으키지 않아, 긴 길이를 권취할 수 있다. 또, 기재층(2)이 적당한 표면거칠기를 가짐으로써, 권취시의 상처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상기와 같은 마스킹도 불필요하게 된다. As the substrate layer 2, those having an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of 0.02 or more and 0.06 or less can be used. The base layer 2 may be subjected to a mat treatment if necessary.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of the substrate layer 2 subjected to the matting treatment is preferably 0.07 or more and 2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1 or more and 1 or less. By controll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ase layer 2 to such a range, occurrence of scratches in the treatment after the production of the raw material film sheet is prevented, and handling is improved. Generally, when the produced sheet of film material is wou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must be embossed (knurled) to prevent blocking. When the film is subjected to the knurling treatment, since the treated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film can not be used, the portion must be cut and discarded. Further, in the winding work of the film, masking may be performed by a protective film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cratch. However, by setting the arithmetic average surface roughness of the substrate layer 2 to the predetermined range 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can be prevented without performing the knurling treatment,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and both end portions in the film width direction can be used In addition, the film is not broken, and the long length can be wound. In addition, since the base layer 2 has an appropriate surface roughness, the occurrence of scars at the time of winding is effectively suppressed, and the above-mentioned masking becomes unnecessary.

기재층(2)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합성 수지의 플레이크 원료 및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종래 공지의 혼합방법으로 혼합하고, 미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고 나서, 기재층(2)을 제조할 수 있다. 이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예를 들면, 옴니 믹서 등의 혼합기로 프리 블렌딩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 혼련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 압출 혼련에 사용하는 혼련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나 가압 니더 등의 종래 공지의 혼련기를 사용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base lay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flake raw material of a synthetic resin and an additive such as a plasticizer are mixed by a conventionally known mixing method to prepare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 advance, 2) can be produced.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obtained by preblending with, for example, a mixer such as an omni mixer, and extruding and kneading the resulting mixture. In this case, the kneader used for the extrusion knead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conventionally known kneaders such as an extruder such as a single screw extruder, a twin screw extruder, or a pressurized kneader can be used.

기재층(2)의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 용융압출법, 캘린더법, 압축성형법 등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 용융압출법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리 압출 혼련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도 되고, 합성 수지와, 가소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각각 용매에 용해하여 균일한 혼합액으로 한 후,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이나 용융압출법의 필름 성형 공정에 제공해도 된다. 또한 기재층(2)의 리타데이션값 및 하드 코트 필름(1)의 리타데이션값을 일정하게 억제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용융 수지를, 폭방향으로 균일한 온도로 유지된 냉각 롤과 엔드리스 벨트로 원호 형상으로 끼워 넣고 냉각해도 된다. Examples of the method of forming the base layer 2 include known methods such as a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casting method), a melt extrusion method, a calendering method, and a compression molding method. Of these, the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casting method) and melt extrusion method are preferable. In this case,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eviously kneaded by extrusion may be used. Alternatively, a synthetic resin and other additives such as a plasticizer may be dissolved in a solvent to prepare a homogeneous mixed solution, followed by solution casting (solution casting) Or may be provided in a film forming process. In order to suppress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base layer 2 and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hard coat film 1 uniformly, for example, the molten resin may be cooled by a cooling roll maintained at a unifor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n endless belt It may be inserted into an arc shape and cooled.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염소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벤젠, 및 이들 혼합용매 등의 방향족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트산에틸, 디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드럼식 캐스팅 머신, 밴드식 캐스팅 머신, 스핀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solvent used in the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casting method) include chlorinated solvents such as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Aromatic solvents such as toluene, xylene, benzene, and mixed solvents thereof; But are not limited to,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n-butanol and 2-butanol; aliphatic solvents such as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dimethyl formamide, dimethyl sulfoxide, dioxane, cyclohexanone, Hydrofuran,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K), ethyl acetate, diethyl ether; And the like.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Examples of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casting method) include a drum casting machine, a band casting machine, and a spin coater.

용융압출법으로서는 T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융 압출시의 필름의 성형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3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300℃ 이하이다. T다이법으로 필름 성형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단축 압출기나 2축 압출기의 선단부에 T다이를 부착하고, 필름상으로 압출한 필름을 권취하여, 롤 형상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권취 롤의 온도를 적당히 조정하여, 압출방향으로 연신을 가함으로써, 1축 연신 공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압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필름을 연신하는 공정을 가함으로써, 축차 2축 연신, 동시 2축 연신 등의 공정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Examples of the melt extrusion method include a T-die method and an inflation method. The molding temperature of the film upon melt extrusion is preferably 150 占 폚 or higher and 350 占 폚 or lower, more preferably 200 占 폚 or higher and 300 占 폚 or lower. When the film is formed by the T die method, a T die is attached to the tip of a known single-screw extruder or a twin-screw extruder, and a film extruded into a film is wound to obtain a roll-shaped film. At this time,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can be also carried ou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inding roll and stretching in the extrusion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step such as a biaxial stretching and a biaxial stretching in succession by applying a step of stretching the fil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표면측 하드 코트층(3))(The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표면측 하드 코트층(3)은 제 1 하드 코트층(5)과 제 2 하드 코트층(6)을 가지고 있다. 표면측 하드 코트층(3)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1㎛ 이상 105㎛ 이하가 바람직하다. 표면측 하드 코트층(3)의 두께의 상한값은 82㎛가 보다 바람직하고, 63㎛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표면측 하드 코트층(3)의 두께의 하한값은 32㎛가 보다 바람직하고, 43㎛가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측 하드 코트층(3)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 발생 방지 작용이 그다지 촉진되지 않고, 또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표면측 하드 코트층(3)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The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has a first hard coat layer 5 and a second hard coat layer 6.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3 on the surface s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1 占 퐉 or more and 105 占 퐉 or les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is more preferably 82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63 占 퐉.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is more preferably 32 탆, and further preferably 43 탆. If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 curl preventing action is not promoted so much,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ard coat film 1 may be in need of ultra thinness.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 occurrence of curl may not be effectively prevented.

(제 1 하드 코트층(5))(The first hard coat layer 5)

제 1 하드 코트층(5)은 기재층(2)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다. 제 1 하드 코트층(5)은 수지만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자외선 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하드 코트층(5)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나 반응성 규소 화합물로 형성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로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 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응성 규소 화합물로서는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으로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것에 의해, 제조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것에 의해, 제조시 등에 기재층(2)에 열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열팽창이나 열수축을 방지할 수 있어,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수지, 양이온 중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2. [ The first hard coat layer 5 may be formed only of resin, or may contain an additive such as an ultraviolet ray inhibitor. The ma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resin formed by an active energy ray curing resin or a reactive silicon compound.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include an ultraviolet ray curable resin, an electron beam curable resin, and a radiation curable resin. As the reactive silicon compound, tetraethoxysilane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Among them,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resin is preferable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The hard coat film (1) can improve the ease of manufacture because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Further, the hard coat film 1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ade of an ultraviolet ray-curable resin, thereby preventing thermal expansion and heat shrinkage caused by heat applied to the base layer 2, And the dimensional stability can be improved. Examples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include a radical polymerizable resin and a cationic polymerizable resin.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자외선으로 중합, 가교 등의 반응에 의해 경화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가 사용된다. As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compound for forming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a monomer or an oligomer which is cured by ultraviolet polymerization, crosslinking, or the like is used.

상기 모노머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나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머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올리고머나 양이온 중합성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onomer include a radical polymerizable monomer and a cationic polymerizable monomer. Examples of the oligomer include a radical polymerizable oligomer and a cationic polymerizable oligomer.

상기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작용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작용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등의 각종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radically polymerizable monomer include monomers such as meth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such as dicyclopentenyl (meth) 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s such as hexamethyl (meth) acrylate and hexa (meth) acrylate.

상기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3,4-에폭시시클로헥세닐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센카르복실레이트 등의 지환식 에폭시드류,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 등 글리시딜에테르류,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등 비닐에테르류,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등 옥세탄류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izable monomer include alicyclic epoxides such as 3,4-epoxycyclohexenylmethyl-3 ', 4'-epoxycyclohexene carboxylate and the like,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Vinyl ethers such as dibutyl ether, 4-hydroxybutyl vinyl ether, and oxetanes such as 3-ethyl-3-hydroxymethyl oxetane.

상기 라디칼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각종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티오글리콜레이트 등의 폴리티올계 올리고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radically polymerizable oligomer include various kinds of urethane (meth) acrylate, epoxy (meth) acrylate, polyester (meth) acrylate, triazine (Meth) acrylate oligomer, trimethylol propane trithioglyco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thioglycolate, unsaturated polyester oligomers, and the like.

상기 양이온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노볼락계형 에폭시 수지 올리고머, 방향족 비닐에테르계 수지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izable oligomer include novolak-type epoxy resin oligomers and aromatic vinyl ether-based resin oligomers.

그중에서도, 제 1 하드 코트층(5)에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 또는 양이온 중합성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Among them, a cationic polymerizable monomer or a cationic polymerizable oligomer is preferable as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compound forming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used for the first hard coat layer (5).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사용되고, 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로서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 또는 양이온 중합성 올리고머가 사용됨으로써, 기재층(2)과 제 1 하드 코트층(5)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접착력의 경시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하드 코트층(5)의 경화 수축을 방지하여, 치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1) uses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and a cationic polymerizable monomer or a cationic polymerizable oligomer is used as an ultraviolet polymerizable compound forming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layer 2 and the first hard coat layer 5 can be improved and the change in the adhesive strength with time can be suppressed. The hard coat film 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can prevent hardening and shrinkag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and further improve the dimensional stability.

또한 상기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지환식 에폭시드류 또는 옥세탄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환식 에폭시드류 및 옥세탄류는 비교적 극성이 높고, 이들 중합성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양이온 중합성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는 일반적으로 높아 진다. 그 때문에,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에 사용되는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로서 지환식 에폭시드류 또는 옥세탄류를 사용함으로써,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the cationic polymerizable monomer, alicyclic epoxides or oxetanes are preferable. These alicyclic epoxides and oxetanes have relatively high polarity,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ationically polymerizable resin obtained from these polymerizable compounds generally becomes high. Therefore, the hard coat film (1) can improve the heat resistance by using alicyclic epoxides or oxetanes as the cationic polymerizable monomer used in the first hard coat layer (5).

상기 양이온 중합성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80℃ 이상이 바람직하고, 2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22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양이온 중합성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내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ationic polymerizabl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80 占 폚 or higher, more preferably 200 占 폚 or higher,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20 占 폚 or higher. In the hard coat film (1),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ationic polymerizable resin falls within the above range, whereby the heat resista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모노머 및 올리고머는 요구되는 성능 등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 monomers and oligomers may be used in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depending on required performance and the like.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에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경화수축이 낮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분자량 10O0∼3000의 폴리메타크릴록시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8-120845호 공보에 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 수지도 사용된다. As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compound for forming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used for the first hard coat layer 5,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having a low hardening shrinkage is also suitably used. Examples of such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include polymethacryloxypropylsilsesquioxa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3,000. As the ultraviolet ray curable resin having such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for example, a radical polymerizable resi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20845 is also used.

제 1 하드 코트층(5)에 함유되는 중합개시제로서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이 라디칼 중합성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인 경우에는, 벤조페논계, 티옥산톤계, 벤조인계, 아세토페논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에 함유되는 중합개시제로서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이 양이온 중합성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인 경우에는, 메탈로센계, 방향족 술포늄계, 방향족 요오도늄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contained in the first hard coat layer 5, when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compound is a radically polymerizable monomer or oligomer, compounds such as benzophenone, thioxanthone, benzoin, and acetophenone can be used have. When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compound is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monomer or oligome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contained in the first hard coat layer 5 may be a metallocene compound, an aromatic sulfonium compound, or an aromatic iodonium compound .

상기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대하여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 6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중합도가 저하되어, 원하는 경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충분히 경화반응이 진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by mass or more and 10%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 by mass or more and 6% by mass or less based on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If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exceeds the above upper limit value,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ultraviolet-curable resin may be lowered and the desired hardness may not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re is a fear that the curing reaction does not sufficiently proceed.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은 도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화 글리콜에테르류 등의 유기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몇 종류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용제는, 제 1 하드 코트층(5)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증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이러한 용제의 비점은 60∼16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제의 20℃에 있어서의 포화 증기압은 0.1∼20kPa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의 종류 및 함유량에 대해서는, 기재층(2)의 주성분이나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 두께 등에 따라 적당히 조정된다. In addition, the first hard coat layer 5 may contain a solvent for improving the coatability. Examples of such a solvent includ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hexane and octan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xylene; Alcohols such as ethanol, 1-propanol, isopropanol and 1-butanol; Keton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and isobutyl acetate; Glycol ethers such as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nd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nd organic solvents such as esterified glycol ethers such as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These organic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several kinds as required.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solvent is evaporated and dri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rst hard coat layer 5. Therefore, the boiling point of such a solv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 to 160 캜. The saturated vapor pressure of the solvent at 20 캜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20 kPa. The kind and content of the solvent are appropriat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layer 2,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the thickness, and the like.

제 1 하드 코트층(5)은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면 좋다. 제 1 하드 코트층(5)에 함유되는 자외선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The first hard coat layer 5 may contain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Examples of the ultraviolet ray inhibitor contained in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nclude an ultraviolet ray absorber and a UV stabilizer.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옥사디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분산성의 점에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옥사디논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의 블리드 아웃 등에 의한 자외선 흡수 기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자외선 흡수기로서는 벤조트리아졸기, 벤조페논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기, 트리아진기, 살리실레이트기, 벤질리덴말로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벤조트리아졸기, 벤조페논기, 트리아진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a salicylic acid-based ultraviolet absorber, a benzophenone-based ultraviolet absorber, a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 a cyanoacrylate-based ultraviolet absorber, a 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 ,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se groups can be used. Among them, 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and benzooxydino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are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dispersibility. As the ultraviolet absorber, a polymer having an ultraviolet absorber on its molecular chain is also suitably used. By using a polymer having an ultraviolet absorber in the molecular chain, deterioration of the ultraviolet absorbing function due to bleeding ou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can be prevented.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a benzotriazole group, a benzophenone group, a cyanoacrylate group, a triazine group, a salicylate group, and a benzylidene malonate group. Among them, benzotriazole group, benzophenone group and triazine group are particularly preferable.

상기 자외선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안정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제 1 하드 코트층(5)이 자외선 안정제를 함유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라디칼, 활성 산소 등이 불활성화되어, 자외선 안정성, 내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은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안정제를 병용하는 것에 의하면, 자외선에 대한 광열화 방지성 및 내후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As the ultraviolet light stabilizer, for example, a hindered amine ultraviolet light stabilizer having high stability against ultraviolet light is suitably used. When the first hard coat layer 5 contains an ultraviolet stabilizer, the radicals, active oxygen, and the like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rays are inactivated, so that the ultraviolet stability and weather resistance can be improved. Further, by using the ultraviolet absorber and the ultraviolet stabilizer in combination, the first hard coat layer 5 can remarkably improve the prevention of the photo-thermal degradation and the weather resistance against ultraviolet rays.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질량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의 하한은 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5)의 내구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5)이 자외선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The content (mass ratio) of the ultraviolet inhibitor to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1% by mass or more and 10% by mass or less.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inhibitor to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8% by mass, and still more preferably 5% by mas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inhibitor to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1% by mass, and still more preferably 3% by mass. In the hard coat film 1, when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inhibitor in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exceeds the upper limit, the durability and the lik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may decrease . On the other hand, the hard coat film 1 can prevent the first hard coat layer 5 from effectively exhibiting the ultraviolet ray-shielding function when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ray-inhibitor to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re is a concern.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이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제 1 하드 코트층(5)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며,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이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5)의 경화속도가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그렇지만,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방지제의 농도를 작게 억제해도 충분한 양의 자외선 방지제를 제 1 하드 코트층(5)에 함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에 충분한 양의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시킨 경우에도, 제 1 하드 코트층(5)의 경화속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생산성이 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5)이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기재층(2)의 황변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hard coat film (1) contains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and further contains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Generally, when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resin and the first hard coat layer 5 contains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the hardening speed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slow And productivity is deteriorated. Howe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of the hard coat film 1 is set to be comparatively large, eve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is suppressed to a small level, a sufficient amount of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is applied to the first hard coat layer 5 ). Therefore, even when the first hard coat layer 5 contains a sufficient amount of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the hard coat film 1 suppresses the lowering of the hardening speed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Can be prevented. When the polycarbonate resin is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substrate layer 2, the hard coat film 1 contains the ultraviolet inhibitor, so that the first hard coat layer 5 contains the ultraviolet ray-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제 1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는 제 2 하드 코트층(6)의 연필경도보다도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로서는, 제 2 하드 코트층(6)의 연필경도보다도 낮은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F 이상 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기재층(2)과 제 1 하드 코트층(5)과의 경도차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lower than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but is preferably F or more and H or less. The hard coat film 1 is a film having a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se layer 2 and the first hard coat layer 5 when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Is increased. Conversely, when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 hard coat film 1 may not have a desired hardness.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는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의 4배 이상 20배 이하로 되어 있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의 상한은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의 18배가 보다 바람직하고, 16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의 하한은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의 6배가 보다 바람직하고, 8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컬 발생 방지 작용이 그다지 촉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less than four times and not more than twenty time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18 times, and more preferably 16 time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Further,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6 time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and even more preferably 8 times.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fear that the curl preventing action is not promoted so much.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re is a fear that the generation of curl can not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의 상한값은 80㎛가 보다 바람직하고, 6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의 하한값은 30㎛가 보다 바람직하고, 40㎛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 발생 방지 작용이 그다지 촉진되지 않고, 또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5)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탆 or more and 100 탆 or les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80 탆, and further preferably 60 탆.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30 占 퐉, and further preferably 40 占 퐉.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 curl preventing action is not promoted so much,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ard coat film 1 may be in need of ultra thinness.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 generation of curl may not be effectively prevented.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GPa 이상 4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의 상한값으로서는 3.5GPa이 보다 바람직하고, 3GPa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의 하한값으로서는 1.5GPa이 보다 바람직하고, 2GPa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을 원하는 경도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란 JIS K7113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GPa or more and 4 GPa or less. Further, the upper limit o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3.5 GPa, and further preferably 3 GPa.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1.5 GPa, and further preferably 2 GPa. I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 generation of curl may not be effective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hard coat film 1 at a desired hardness. The "tensile modulu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lu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13.

또, 제 1 하드 코트층(5)은 인장 탄성률에 두께의 3승을 곱한 값이 20kPa·mm2 이상 500kPa·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kPa·mm2 이상 400kPa·m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kPa·mm2 이상 300kPa·mm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에 두께의 3승을 곱한 값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5)의 강직성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을 롤 모양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에 두께의 3승을 곱한 값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5)이 변형되기 쉬워져, 기재층(2)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질 우려가 있다. Further,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hird power of the thickness of the tensile modulus 20kPa · mm 2 or more 500kPa · mm 2 or less is preferable and, 40kPa · mm 2 or more 400kPa · mm 2 more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More preferably from 60 kPa · mm 2 to 300 kPa · mm 2 . When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by the third power of the thickness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 rigidity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becomes excessively lar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become difficult to keep it in a shape. Conversely, when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by the third power of the thickness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easily deformed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base layer 2 There is a fear that this may increase.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이상 8㎛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의 상한값은 7㎛가 보다 바람직하고, 6㎛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의 하한값은 1㎛가 보다 바람직하고, 2㎛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가 두꺼워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적이 충분히 증대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하드 코트층(6)과의 접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를 적합하게 유지하면서,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과 제 2 하드 코트층(6)과의 접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n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5 탆 or more and 8 탆 or less. The upper limit of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n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7 탆, and further preferably 6 탆.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of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1 탆,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 탆. When the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a second hard coat layer (not shown) form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6 may become thick. On the other hand, when the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 surface area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sufficiently increased, 2 adhesion with the hard coat layer 6 may be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within the above range, while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appropriately, The adhesion between the coat layer 5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can be effectively improved.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의 상한값은 9㎛가 보다 바람직하고, 8㎛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의 하한값은 1㎛가 보다 바람직하고, 2㎛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가 두꺼워질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적이 충분하게 증대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하드 코트층(6)과의 접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산술평균 거칠기(Ra)」 및 「10점 평균 거칠기(Rz)」는 JIS B0601-2001에 준한 값이다. The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the surface on on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5 탆 or more and 10 탆 or les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ten-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the surface on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9 탆, and further preferably 8 탆.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ten-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the surface on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1 占 퐉, and further preferably 2 占 퐉. When the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the surface of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becomes thick.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n-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the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surface area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does not increase sufficiently The adhesion to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may be deteriorated. The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Ra)" and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are values in accordance with JIS B0601-2001.

제 1 하드 코트층(5)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재층(2)의 일방의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고, 건조시키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기재층(2)의 일방의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핀코팅법, 스프레이법, 슬라이드 코팅법, 디핑법, 바 코팅법, 롤 코터법, 스크린 인쇄법 등, 여러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5)의 제조시에는, 필요에 따라, 전처리로서 아르곤 가스나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 있어서의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개질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기재층(2)의 표면에 언더코트층을 적층하고, 이 언더코트층을 통하여 제 1 하드 코트층(5)을 적층해도 된다. The method of producing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can be produced by applying an active energy ray hardening resin to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drying it, and irradiating it with an active energy ray. The method of applying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uniformly coat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spin coating method, a spray method, Coating method, dipping method, bar coating method, roll coater method, screen printing method and the like. In the production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a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such as a plasma treatment under an inert gas atmosphere such as argon gas or nitrogen gas may be performed as a pretreatment, if necessary. Alternatively, the undercoat layer may be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2, and the first hard coat layer 5 may be laminated through the undercoat layer.

(제 2 하드 코트층(6))(The second hard coat layer 6)

제 2 하드 코트층(6)은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다.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하드 코트층(6)은 수지만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그 속에 실리카 미립자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도 된다. A second hard coat layer 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may be formed solely of resin, or an additive such as fine silica particles may be contained therein.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resin for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nclude thermosetting resin, active energy ray-curing resin and the like.

제 2 하드 코트층(6)은,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의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도포 조성물을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일방의 면 위에 도포하고,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를 가교 반응 및/또는 중합반응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formed by, for example, applying a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izable monomer of an active energy ray hardening resin or a polymerizable oligomer onto one surfac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Or may be formed by cross-linking and / or polymerizing a monomer or a polymerizable oligomer.

이러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의 작용기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또는 방사선 중합성의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중합성 작용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 중합성 작용기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작용기 등을 들 수 있다. The functional group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olymerizable monomer or the polymerizable oligomer is preferably an ultraviolet ray, an electron beam or a radiation-polymerizable group, and a UV-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s particularly preferable. Examples of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nclude ethylenically unsaturated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s such as (meth) acryloyl group, vinyl group, styryl group and allyl group.

상기 도포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모노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6)은, 이들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으로써, 경도를 높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제 2 하드 코트층(6)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와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The coating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n acrylic monomer or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as a main component.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formed from a composition containing these monomers or oligomers as a main component, whereby the hardness can be increased. In particular,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formed of a composition containing both urethane acrylate and (meth) acrylate.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으로서는 45질량% 이상 99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광중합의 개시가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유연성,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생산성을 높이면서, 유연성,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e total content of urethane acrylate and (meth)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preferably 45 mass% or more and 99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50 mass% or more and 95 mass%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not less than 90% by mass. If the total content of urethane acrylate and (meth)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exceeds the upper limit, the initiation of photopolymerization may be delayed and the productivity may be lowered. If the total content of urethane acrylate and (meth)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flexibility, abrasio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the like may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tal content of urethane acrylate and (meth)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within the above range, flexibility, abrasio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the like can be suitably maintained while increasing productivity.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 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작용이어도 다작용이어도 되지만, 2작용 이상 6작용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작용 이상 3작용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6)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 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경도와 연신률과의 밸런스를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The urethane acry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ither a monomer or an oligomer.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the urethane acry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ither a single action or a multifunctional action, but is preferably two or more and preferably six or less, and more preferably two or more and three or less.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can suitably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hardness and the elongation percentage by setting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the urethane acrylate within the above range. The urethane acrylate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상 8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되는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상온하에서의 제 2 하드 코트층(6)의 경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sin formed from urethane acry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40 占 폚 or higher and 100 占 폚 or lower, more preferably 40 占 폚 or higher and 80 占 폚 or lower.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sin formed from urethane acrylate falls within the above range, the hardness and durability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at room temperature can be improved.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8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갈라짐을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면서, 적당한 유연성을 유지하여, 갈라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and 90%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5% by mass or more and 85% by mass or less, % Or more and 80 mass% or less. If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exceeds the upper limit, the wear resistance and the film hardness may be lowered. If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flexibility is lowered and the possibility of cracking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ppropriate flexibility while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cracks while appropriately maintaining the abrasion resistance and the film hardness.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 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작용이어도 다작용이어도 된다.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6)은 3작용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극성기를 갖는 분자구조이어도 되고 저극성의 분자구조이어도 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The (meth) acry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ither a monomer or an oligomer.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such (meth) acry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single action or a multi-action. In addition,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can improve the durability by using (meth) acrylate having three or more actions. The (meth) acrylate may be a molecular structure having a polar group or a molecular structure having a low polarity. (Meth) acrylat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극성기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 기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ar group of the (meth) acrylate include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mino group and an amide group.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글리세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실기 함유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containing a hydroxyl group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2- Hydroxypropyl (meth) acrylate, 3-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Meth) acrylic acid hydroxyl group-containing esters such as 3-hydroxybutyl (meth) acrylate and 4-hydroxybutyl (meth) acrylate.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이외에,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 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rotonic acid,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citraconic acid, (Meth) acryloyloxyethylphthalic acid, 2- (meth) acryloyloxyethylhexahydrophthalic acid, and the like.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등의 (메타)아크릴산모노알킬아미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containing an amino group include mono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mono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monomethylaminopropyl (meth) acrylate, monoethylaminopropyl And (meth) acrylic acid monoalkylamino esters such as di (meth) acrylate.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containing an amide group include acrylamides such as (meth) acrylamide, N-methyl (meth) acrylamide and N-methylol (meth) acrylamide.

또한 저극성의 분자구조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지환식 에스테르 또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meth) acrylates having a molecular structure with a low polarity include (meta) acrylic acid alicyclic ester or (meth) acrylic acid alkyl ester.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지환식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such (meth) acrylic acid alicyclic ester include cyclohex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dicyclopentenyloxyethyl (meth) acrylate, dicyclopentadienyl (Meth) acrylate, tricyclodecanyl (meth) acrylate, norborn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lkyl (meth) acrylate esters include laur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isodecyl (meth) acrylate, benzyl )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and 1,6-hexanediol acrylate.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질량% 이상 8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75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시에 갈라짐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6)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면서, 적당한 유연성을 유지하여, 갈라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meth)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 mass% or more and 85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0 mass% or more and 80 mass%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5% by mass or more and 75% by mass or less. If the content of the (meth)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racking occurs during molding. If the content of (meth)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re is a fear that the abrasion resistance and the hardness of the coating film are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meth) acrylate form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ppropriate flexibility while suppressing occurrence of cracking while appropriately maintaining abrasion resistance and film hardness .

상기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벤질, 미힐러 케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2,2-디메톡시-1,2-디페닐 에탄-1-온 ,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1,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필-1-일)티타늄,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phenone, benzyl, Michler's ketone, 2-chlorothioxanthone, 2,4-diethylthioxanthone,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isobutyl Ether, 2,2-diethoxyacetophenone, benzyldimethyl ketal, 2,2-dimethoxy-1,2-diphenylethan-1-one, 2-hydroxy-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one-1,1- [4- (2-hydroxyethoxy) 2-methyl-1-propan-1-one, bis (cyclopentadienyl) -bis (2,6-difluoro- Benzyl-2-dimethylamino-1- (4-morpholinophenyl) -butanone-1,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They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제 2 하드 코트층(6)의 연필경도로서는 3H 이상으로 되어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6)의 연필경도는 4H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H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6)의 연필경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을 원하는 경도로 형성하기가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3H or more.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more preferably 4H or more, and more preferably 5H or more. When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hard coat film 1 at a desired hardness.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로서는 1㎛ 이상 10㎛ 이하로 되어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의 상한값은 8㎛가 보다 바람직하고, 6㎛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의 하한값은 2㎛가 보다 바람직하고, 3㎛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고, 또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2 하드 코트층(6)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을 원하는 경도로 형성하기가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not less than 1 占 퐉 and not more than 10 占 퐉.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more preferably 8 占 퐉, and further preferably 6 占 퐉.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more preferably 2 m, and further preferably 3 m.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exceeds the upper limit, the generation of curl can not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hard coat film 1 may be in need of ultra-thinn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hard coat film 1 with a desired hardness.

제 2 하드 코트층(6)의 인장 탄성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GPa 이상 6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하드 코트층(6)의 인장 탄성률의 상한값은 5.5GPa이 보다 바람직하고, 5GPa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6)의 인장 탄성률의 하한값은 2GPa이 보다 바람직하고, 2.5GPa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6)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2 하드 코트층(6)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을 원하는 경도로 형성하기가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5 GPa or more and 6 GPa or less. The upper limit o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more preferably 5.5 GPa, and further preferably 5 GPa.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more preferably 2 GPa and more preferably 2.5 GPa. I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exceeds the upper limit, it may be difficult to effectively prevent the generation of curl.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hard coat film 1 at a desired hardness.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6)의 인장 탄성률(X2)의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X1)에 대한 비(X2/X1)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 이상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6)의 인장 탄성률의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에 대한 비의 상한은 3.5가 보다 바람직하고, 3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6)의 인장 탄성률의 제 1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에 대한 비의 하한은 1.7이 보다 바람직하고, 2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탄성률의 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인장 탄성률의 비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The ratio (X2 / X1) of the tensile modulus (X2)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to the tensile modulus (X1)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desirable.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of the tensile elastic modulu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to the tensil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3.5,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of the ratio of the tensile modulu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to the tensile modulu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more preferably 1.7, and still more preferably 2. [ When the ratio of the tensile elastic modulus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fear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event the generation of curl.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of the tensile modulus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film 1 can not be effectively increased.

제 2 하드 코트층(6)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 1 하드 코트층(5)과 동일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ducing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can be used.

(이면측 하드 코트층(4))(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은 기재층(2)의 타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는 제 1 하드 코트층(5)과 동일하다. 또, 이면측 하드 코트층(4)에 함유되는 첨가제에 대해서도, 제 1 하드 코트층(5)과 동일하다.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layer 2. The ma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the same as the first hard coat layer 5.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also the same as the first hard coat layer 5.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의 연필경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의 두께로서는 50nm 이상 10㎛ 이하로 되어 있다.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의 두께의 상한값은 7㎛가 보다 바람직하고, 5㎛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의 두께의 하한값은 10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짐과 아울러,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경도를 적합하게 향상시키고, 또한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초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The pencil hardness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thickness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50 nm or more and 10 m or les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more preferably 7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5 占 퐉.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more preferably 100 nm, further preferably 200 nm. If the thickness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urling will occur,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demand for thinning of the hard coat film 1 is compromi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sired hardness can not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suitably improve the hardness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url, an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film 1 .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 1 하드 코트층(5)과 동일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ducing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5 can be used.

<하드 코트 필름(1)>&Lt; Hard coat film (1) >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헤이즈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헤이즈값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haze value of the hard coat film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 or less, more preferably 1%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0.5% or less. When the haze value of the hard coat film 1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 visibility of the image is lowered and the sharpness of the displayed image may be lowered.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가시광선 투과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7%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시광선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없어, 시인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the hard coat film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87% or more, more preferably 90% or more. When the visible ray transmittance of the hard coat film 1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visible rays can not be sufficiently transmitted, which may lower the visibility.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의 타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이면측 하드 코트층(4)에 의해, 타방의 면측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의 두께를 상기 범위가 되도록 얇게 형성함으로써, 타방의 면측의 경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기재층(2)과 이면측 하드 코트층(4)과의 경도차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과 제 2 하드 코트층(6) 사이에, 제 2 하드 코트층(6)보다도 연필경도가 낮은 제 1 하드 코트층(5)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과 제 2 하드 코트층(6)과의 경도차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 1 하드 코트층(5)과 제 2 하드 코트층(6)에 의하여,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특히,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에 의해, 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기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적합하게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2 하드 코트층(6)을 비교적 얇게 형성해도, 제 1 하드 코트층(5)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과 연동하여, 원하는 경도를 연주할 수 있다. 아울러,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제 1 하드 코트층(5), 제 2 하드 코트층(6) 및 이면측 하드 코트층(4)이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양면측의 경도를 향상시켜 취급 용이성 등을 높임과 아울러, 초박형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1 can improve the hardness of the other surface side by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2. [ Particularly, the hard coat film 1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4 is thinner in the above range, thereby improving the hardness of the other surface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rl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hardness difference with the coat layer (4). The hard coat film 1 also has a first hard coat layer 5 arranged between the base layer 2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and having a lower pencil hardness than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installed. Therefore, the hard coat film 1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curl due to the difference in hardness between the base layer 2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The hardness of one surface side of the hard coat film 1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by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Particularly, the hard coat film 1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hard coat layer 5 is relatively thick. Therefore, the hard coat film 1 can effectively achieve a buffering function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curl by the first hard coat layer 5, The hardness of the surface side can be suitably increased. As a result, even if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is formed relatively thin, the hard coat film 1 can work in a desired hardness in cooperation with the relatively thick first hard coat layer 5 have. In addition, the hard coat film 1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which the hardness of the both sides is improved by the first hard coat layer 5, the second hard coat layer 6 and the back surface hard coat layer 4 The ease of handling and the like can be enhanced and the requirement for ultra-thinness can be satisfied.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 비교적 경도가 낮아, 컬을 발생하기 쉬운 수지를 기재층(2)의 주성분으로서 사용한 경우이어도, 컬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효과적으로 경도를 높일 수 있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면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을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직사 광선이나 디스플레이의 발열 등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광학적 균일성이 우수하여, 세밀한 영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1)은 기재층(2)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경도를 높일 수 있다. The hard coat film 1 is a hard coat film having a relatively low hardness such as a polycarbon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even when a resin that easily generates curling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base layer 2, The occurrence of curl can be prevented, and the hardness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The hard coat film 1 is obtained by using a polycarbon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the base layer 2 to obtain an in-plane retardation value Ro and a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th Can be easily reduced. The hard coat film (1) can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by making the base layer (2) the main component of the polycarbonate resin. In addition, the hard coat film 1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change in retardation caused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direct sunlight or heat generated by a display by using the cycloolefin resin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layer 2, So that a fine image display can be performed. The hard coat film 1 can more effectively increase the hardness by making the base layer 2 the main componen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제 2 실시형태] [Second Embodiment]

<하드 코트 필름(11)>&Lt; Hard coat film (11) >

도 2의 하드 코트 필름(11)은 기재층(2)과, 표면측 하드 코트층(3)과,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제 3 하드 코트층에 상당)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층(2) 및 표면측 하드 코트층(3)은, 도 1의 하드 코트 필름(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The hard coat film 11 shown in Fig. 2 has a base layer 2, a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and a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corresponding to a third hard coat layer). Since the base layer 2 and the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3 in this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hard coat film 1 in Fig. 1, they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면측 하드 코트층(12))(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은 기재층(2)의 타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을 구성하는 주성분(바인더),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에 함유되는 첨가제,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연필경도 및 두께에 대해서는, 이면측 하드 코트층(4)과 동일하다.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layer 2. The pencil hardness and thickness of the main component (binder) constituting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and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4).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은 고굴절률 미립자를 분산 함유하고 있다.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이 분산 함유하는 고굴절률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ZnO, TiO2, CeO2, SnO2, ITO, Cs0 .33WO3, Al2O3, La2O3, ZrO2, Y2O3 등의 무기 재료를 들 수 있다.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contains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dispersedly. Examples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dispersed in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include ZnO, TiO 2 , CeO 2 , SnO 2 , ITO, Cs 0 .33 WO 3 , Al 2 O 3 , La 2 O 3 , ZrO 2 , Y 2 O 3, and the like.

상기 고굴절률 미립자의 평균 입경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nm 이상 100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굴절률 미립자의 평균 입경의 상한값은 8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6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굴절률 미립자의 평균 입경의 하한값은 5nm가 보다 바람직하고, 1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굴절률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고굴절률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고굴절률 미립자의 분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is more preferably 80 nm, and still more preferably 60 nm.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is more preferably 5 nm, and further preferably 10 nm.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 transparency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may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re is a fear that the dispersibility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is lowered.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고굴절 미립자를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하여 용제에 희석한 뒤,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바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잉크젯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 공지의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include a method in which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binder resin and are diluted with a solvent and then coated by a roll coating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 dip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It can be formed by a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a spray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n ink jet method, or a gravure coating method.

상기 고굴절률 미립자의 바인더에 대한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in the bin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0 mass% or more and 60 mass% or less.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6 이상 2.3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의 상한값은 2.25가 보다 바람직하고, 2.2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의 하한값은 1.7이 보다 바람직하고, 1.75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가 아닌 경우, 당해 하드 코트 필름(11)의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을 터치패널 등의 투명 도전층에 적층한 경우에,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과의 차가 커져,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이 향상될 우려가 높아진다.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6 or more and 2.3 or les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is more preferably 2.25, and still more preferably 2.2.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is more preferably 1.7, more preferably 1.75. When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of the hard coat film 11 is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such as a touch panel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is not in the above ran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at layer 12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becomes large and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becomes high.

당해 하드 코트 필름(11)은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이 고굴절률 미립자를 분산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11)의 헤이즈값 및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해서는, 하드 코트 필름(1)과 동일하다. Since the hard coat film 11 contains the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dispersedly in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can be improved. The haze value and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the hard coat film 1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hard coat film 1.

[제 3 실시형태] [Third embodiment]

<투명 도전성 적층체(21)>&Lt;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1 >

도 3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하드 코트 필름(11)과, 투명 도전층(22)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 필름(11)은, 도 2의 하드 코트 필름(1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1 of FIG. 3 has a hard coat film 11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Since the hard coat film 11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hard coat film 11 in Fig. 2,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hereto and the description is omitted.

(투명 도전층(22))(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투명 도전층(22)은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타방의 면에 적층된다.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재료로서는, 투명성과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무기계 금속이나 유기 도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무기계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 은, 구리, 백금, 니켈, 산화주석, 산화인듐주석(ITO)을 들 수 있다. 유기 도전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릴피롤, 폴리퀴녹살린 등을 사용한 유기 도전성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광학특성, 외관 및 도전성이 양호한 ITO 또는 폴리티오펜계 재료가 바람직하다.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is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transparency and conductivit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n inorganic metal and an organic conductive polymer. Examples of the inorganic metal include gold, silver, copper, platinum, nickel, tin oxide, and indium tin oxide (ITO). Examples of the organic conductive polymer include organic conductive compositions using polyaniline, polythiophene, polypyrrole, polyquinoxaline, and the like. Among them, ITO or polythiophene-based materials having good optical properties, appearance and conductivity are preferable.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재료를 이면측 하드 코트층(12) 위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바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잉크젯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 공지의 도포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재료를 도포할 때는, 이면측 하드 코트층(12)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리 이면측 하드 코트층(12) 위에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의 전처리를 시행해도 된다. The method of applying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on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roll coating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 dip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n ink jet method, and a gravure coating method. When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is applied,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even if the pre-treatment such as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do.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재료의 경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질소 레이저, 전자선 가속 장치, 방사성 원소 등의 활성 에너지선원 등에 의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으로서는 자외선의 파장 365nm에서의 적산 광량으로서 50mJ/cm2 이상 5000mJ/c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가 착색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조사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경화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As a method of curing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for example,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 halogen lamp, a xenon lamp, a nitrogen laser, an electron beam accelerator, or an active energy source such as a radioactive element can be used. It is also preferred that a cumulative dose 50mJ / cm 2 or more 5000mJ / cm 2 or less in the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 rays as the wavelength 365nm. When the irradiation amount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may be colored. On the contrary, when the irradiation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re is a fear that the curing becomes insufficient.

또한 투명 도전층(22)은 스퍼터링법 등의 드라이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이면측 하드 코트층(12)과의 밀착성이나 초박형화의 관점에서 스퍼터링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may be formed by a dry process such as a sputtering process.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is preferably formed by a sputtering method from the viewpoint of adhesion with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or from the viewpoint of ultra-thinness.

상기 스퍼터링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투명 도전층(22)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Å 이상 2000Å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퍼터링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투명 도전층(22)의 두께의 상한값은 1000Å이 바람직하고, 500Å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퍼터링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투명 도전층(22)의 두께의 하한값은 70Å이 보다 바람직하고, 90Å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층(2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전성 및 투명성의 쌍방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하드 코트 필름(11)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진 경우에도, 투명 도전층(22)의 두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초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when formed by the sputter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50 angstroms or more and 2000 angstroms or less.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when formed by the sputtering method is preferably 1000 angstroms, more preferably 500 angstrom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when formed by the sputtering method is more preferably 70 angstroms, and further preferably 90 angstroms. Whe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is within the above range, both conductivity and transparency can be suitably maintained. In addition, even when the hard coat film 11 has a relatively large thickness,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1 can promote thinning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fall within the above range.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하드 코트 필름(1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드 코트 필름(11)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하드 코트 필름(1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드 코트 필름(11)의 양면측의 경도를 향상시켜 취급 용이성 등을 높임과 아울러, 초박형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을 근접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경우, 투명 도전층(22)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Since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1 has the hard coat film 11, curling of the hard coat film 11 can be suitably prevented. Since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1 is provided with the hard coat film 11, it is possible to improve hardness on both sides of the hard coat film 11 to improve ease of handling and the like, and to meet the demand for ultra-thinness .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ed product 21 can be obtained by bring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can be reduced.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과의 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6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과의 차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투명 도전층(22)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6 or less, more preferably 0.5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0.3 or l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is within the above range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Can be further reduced.

[제 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터치패널(31)> &Lt; Touch panel (31) >

도 4의 터치패널(31)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서 형성되어 있다. 터치패널(31)은 투명 도전성 적층체(21)와, 유리 기판(32)과, 점착층(33)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도 3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2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The touch panel 31 of Fig. 4 is formed as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touch panel 31 has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1, a glass substrate 32, and an adhesive layer 33. Since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1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1 in Fig.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and the explanation is omitted.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점착층(33)을 통하여 유리 기판(32)에 적층되어 있다. 점착층(33)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공지의 점착성 수지를 사용한 점착층을 들 수 있다. 터치패널(31)은 하드 코트 필름(11)이 투명 도전층(22)의 표면측(시인자측)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The transparent electroconductive laminate 21 is laminated on the glass substrate 32 through the adhesive layer 33. As the adhesive layer 33,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but an adhesive layer using a known adhesive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or a urethane resin can be mentioned. The touch panel 31 is arranged so that the hard coat film 11 is on the surface side (viewer sid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당해 터치패널(31)은 하드 코트 필름(1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드 코트 필름(11)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31)은, 하드 코트 필름(1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드 코트 필름(11)의 양면측의 경도를 향상시켜 취급 용이성 등을 높임과 아울러, 초박형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31)은,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을 근접시킴으로써, 투명 도전층(22)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Since the touch panel 31 is provided with the hard coat film 11, curling of the hard coat film 11 can be suitably prevented. Further, since the touch panel 31 is provided with the hard coat film 11, it is possible to improve hardness on both sides of the hard coat film 11 to improve ease of handling and the like, have. The touch panel 31 can reduce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by bring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close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have.

[제 5 실시형태] [Fifth Embodiment]

<터치패널(41)>&Lt; Touch panel (41) >

도 5의 터치패널(41)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로서 형성되어 있다. 터치패널(41)은 투명 도전성 적층체(21)와, 복수의 도트 스페이서(42)와, 주상 스페이서(43)와, 투명 도전층(44)과, 고굴절률층(45)과, 유리 기판(46)을 가지고 있다. 터치패널(41)은 하드 코트 필름(11)이 투명 도전층(22)의 표면측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The touch panel 41 shown in Fig. 5 is formed as a resistive touch panel. The touch panel 41 includes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1, a plurality of dot spacers 42, a columnar spacer 43,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4,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45, 46). The touch panel 41 is arranged so that the hard coat film 11 is on the surface sid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

복수의 도트 스페이서(42)는 투명 도전층(4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트 스페이서(42)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나 실리콘 등의 절연 수지를 들 수 있다. 주상 스페이서(43)는 투명 도전층(22) 및 투명 도전층(44) 사이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주상 스페이서(43)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 등의 절연 수지를 들 수 있다. 주상 스페이서(43)는 투명 도전층(22)의 이면측 주변부에 고정되고, 또한 투명 도전층(44)의 표면측 주변부에 고정되어 있다. 주상 스페이서(43)는 투명 도전층(22) 및 투명 도전층(44)을 서로 이간시키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투명 도전층(44)은 투명 도전층(22)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고굴절률층(45) 표면에 적층된다. 투명 도전층(44)의 형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 도전층(22)과 동일한 형성 재료를 들 수 있다. 고굴절률층(45)은 유리 기판(46)의 표면에 적층되어 있다. 고굴절률층(45)의 형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굴절률층(12)과 동일한 형성 재료를 들 수 있다. 고굴절률층(45)의 적층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점착층(도시 생략)을 통하여 유리 기판(46)의 표면에 적층된다. The plurality of dot spacers 42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4. As a material for forming the dot spacer 42, for example, an insulating resin such as epoxy resin or silicon may be used. The columnar spacers 43 are arranged betwee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and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4.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columnar spacer 43, for example, an insula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a polyester, and an acrylic resin may be used. The columnar spacers 43 are fixed to the peripheral portion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and fixed to the peripheral portion on the surface sid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4. The columnar spacers 43 are arranged so as to separate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and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4 from each oth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4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45 in the same manner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the same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45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46.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4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the same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2. [ The method of laminating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4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46 through, 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not shown).

당해 터치패널(41)은 하드 코트 필름(1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드 코트 필름(11)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41)은, 하드 코트 필름(1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드 코트 필름(11)의 양면측의 경도를 향상시켜 취급 용이성 등을 높임과 아울러, 초박형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41)은, 이면측 하드 코트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을 근접시킴으로써, 투명 도전층(22)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Since the touch panel 41 is provided with the hard coat film 11, curling of the hard coat film 11 can be suitably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touch panel 41 is provided with the hard coat film 11, it is possible to improve hardness on both sides of the hard coat film 11 to improve ease of handling and the like, have. The touch panel 41 can reduce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de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by bring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 side hard coat layer 12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2 close to each other have.

[그 밖의 실시형태] [Other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 이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은 상기 태양 이외에, 여러 변경, 개량을 시행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타방의 면측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점착층으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공지의 점착성 수지를 사용한 점착층을 들 수 있다. 점착층은 점착제 용액을 기재층 또는 고굴절률층의 타방의 면측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은 점착제 용액을 미리 세퍼레이터의 편면에 도포하여 건조시켜 둔 뒤, 제 3 하드 코트층과 첩합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having the hard coat film, and the touch panel hav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can be carried out by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 For example, the hard coat film may have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Examples of such an adhesive layer include an adhesive layer using a known adhesive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or a urethane res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lution onto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or high refractive index layer and dr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lution.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olution to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in advance and drying it, followed by bonding with the third hard coat layer.

또한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제 3 하드 코트층이 고굴절률 미립자를 분산 함유하는 대신에 또는 고굴절률 미립자를 분산 함유함과 아울러, 비교적 굴절률이 높은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제 2 하드 코트층 위에 다른 층(예를 들면, UV 흡수층, 대전방지층 및 반사방지층 등)이 적층되어도 된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층과 제 1 하드 코트층 사이, 또는 제 1 하드 코트층과 제 2 하드 코트층 사이, 또는 기재층과 제 3 하드 코트층 사이에 중간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 가지가지인 터치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터치패널 외에, 입체영상 표시 장치 등, 여러 액정 표시 모듈에 사용할 수 있다.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투명 도전층에 적층되는 이외에도, 여러 광학 부재나 렌즈, 디스크, 건재, 잡화 등의 부재 표면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rd coat film may contain, as a main component, a synthetic resi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stead of dispersing or containing high-refractive-index fine particles in the third hard coat layer or containing high-refractive-index fine particles dispersed therein. Examples of such a synthetic resin include phenol resin, melamine resin, polyurethane resin, urea resin, diallyl phthalate resin, guanamine res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minoalkyd resin, melamine-urea co- Polysiloxane resin, and the like. The hard coat film may be laminated with another layer (for example, a UV absorbing layer, an antistatic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or the like) on the second hard coat layer. The hard coat film may have an intermediate layer between the substrate layer and the first hard coat layer, or between the first hard coat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or between the substrate layer and the third hard coat layer. The hard coat film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touch panels such as electrostatic capacity type, resistance film type,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he hard coat film can be used for various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such as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o a touch panel. In addition to being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hard coat film can be used for reinforcing the surface of members such as various optical members, lenses, disks, building materials, miscellaneous good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 및 이 하드 코트 필름을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은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터치패널 외의 여러 액정 표시 모듈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including the hard coat film, and the touch panel includ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can improve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film, It can be suitably used for various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other than the touch panel.

1 하드 코트 필름 2 기재층
3 표면측 하드 코트층
4 이면측 하드 코트층(제 3 하드 코트층)
5 제 1 하드 코트층 6 제 2 하드 코트층
11 하드 코트 필름
12 이면측 하드 코트층(제 3 하드 코트층)
21 투명 도전성 적층체 22 투명 도전층
31 터치패널 32 유리 기판
33 점착층 41 터치패널
42 도트 스페이서 43 주상 스페이서
44 투명 도전층 45 고굴절률층
46 유리 기판
1 hard coat film 2 substrate layer
3 surface side hard coat layer
4 back side hard coat layer (third hard coat layer)
5 First Hard Coat Layer 6 Second Hard Coat Layer
11 hard coat film
12 back side hard coat layer (third hard coat layer)
21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22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1 touch panel 32 glass substrate
33 Adhesive layer 41 Touch panel
42 dot spacer 43 Columnar spacer
44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5 High refractive index layer
46 glass substrate

Claims (14)

투명한 기재층과,
이 기재층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1 하드 코트층과,
이 제 1 하드 코트층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2 하드 코트층과,
상기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3 하드 코트층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보다도 낮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3H 이상이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4배 이상 20배 이하이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1㎛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 3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5Onm 이상 10㎛ 이하이고,
상기 제 3 하드 코트층이 고굴절율 미립자를 분산함유하고,
상기 제 3 하드 코트층의 굴절율이 1.6 이상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A transparent substrate layer,
A first hard coat layer form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A second hard coat layer form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A third hard coat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And,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lower than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Wherein the second hard coat layer has a pencil hardness of 3H or mor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4 times or more and 20 times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ard coat layer is 1 탆 or more and 10 탆 or less,
The third hard coat layer has a thickness of 50 nm or more and 10 占 퐉 or less,
Wherein the third hard coat layer disperses and contains high refractive index fine particles,
Wherein the third hard coat layer has a refractive index of 1.6 or more and 2.3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F 이상 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ard coat layer has a pencil hardness of F or more and H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20㎛ 이상 10O㎛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20 占 퐉 or more and 100 占 퐉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연필경도가 8B 이상 F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has a pencil hardness of 8B or more and F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layer is a polycarbon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면내 리타데이션값(Ro)이 100nm 이하이고, 또한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2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o) of the base layer is 100 nm or less and th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200 n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hard coat layer is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resi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양이온 중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ltraviolet-curable resin is a cationic polymerizable resi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이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hard coat layer contains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agent.
제 1 항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과,
상기 제 3 하드 코트층의 타방의 면에 적층되는 투명 도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A hard coat film comprising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claim 1,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과, 상기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과의 차가 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a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hard coat layer and a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0.6 or less.
제 11 항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A touch panel compris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37542A 2011-12-01 2012-11-30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KR1014267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4071 2011-12-01
JP2011264071A JP2013117584A (en) 2011-12-01 2011-12-01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641A KR20130061641A (en) 2013-06-11
KR101426725B1 true KR101426725B1 (en) 2014-08-06

Family

ID=4848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542A KR101426725B1 (en) 2011-12-01 2012-11-30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117584A (en)
KR (1) KR101426725B1 (en)
CN (1) CN103129064B (en)
TW (1) TWI49822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7956B2 (en) * 2013-12-13 2017-05-17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Protective film for touch panel
JP6476865B2 (en) * 2013-12-19 2019-03-0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Resin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6030479B (en) 2014-02-21 2019-04-19 株式会社Lg化学 Electron plate
JP6256154B2 (en) * 2014-03-28 2018-01-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Laminated body, touch panel using the laminated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aminated body
JP6507511B2 (en) * 2014-07-25 2019-05-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ultilayer substrate and touch panel image display device
JP6270217B2 (en) * 2014-12-22 2018-01-31 グンゼ株式会社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JP2016121206A (en) * 2014-12-24 2016-07-07 Dic株式会社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coating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its coating film, and laminated film having the coating film
WO2016136871A1 (en) * 2015-02-26 2016-09-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ouch panel, display device, optical sheet, optical sheet selection method, and optical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6500495B2 (en) * 2015-02-26 2019-04-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ouch panel, display device, optical sheet, method of sorting optica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sheet
JP6497126B2 (en) * 2015-02-26 2019-04-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ouch panel, display device, optical sheet, optical sheet sorting method, and optical sheet manufacturing method
KR101854524B1 (en) 2015-08-06 2018-05-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Hard Coating Film and Flexible Display Having the Same
WO2017188186A1 (en) * 2016-04-25 2017-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ouch panel, display device, optical sheet, and optical sheet sorting method
TWI772319B (en) * 2016-08-18 2022-08-01 日商三菱瓦斯化學股份有限公司 2-stage hardened laminate
CN113009602B (en) * 2016-08-23 2023-05-23 琳得科株式会社 Hard coating film
JP2018185458A (en) * 2017-04-27 2018-11-22 東ソー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ntireflection film and particle array film
JP6556812B2 (en) * 2017-11-28 2019-08-07 Nissha株式会社 Film type touch sensor with hard coat and flexible device using the same
JP6462941B1 (en) * 2018-05-28 2019-01-30 グンゼ株式会社 Cover film
JP6991929B2 (en) * 2018-05-31 2022-01-13 ダイニック株式会社 Transparent conductive sheet
JP7395244B2 (en) * 2018-06-12 2023-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Hard coat film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JP6733071B1 (en) * 2018-09-27 2020-07-29 グンゼ株式会社 Cover fil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2670A (en) * 1998-02-18 1999-09-27 기타지마 요시토시 Hard Coat Film
JP2007219013A (en) * 2006-02-14 2007-08-30 Toppan Printing Co Ltd Hard coat film
KR20100129512A (en) * 2009-06-01 2010-12-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Double side hard coating film for protecting display
JP2011039978A (en) * 2009-08-18 2011-02-24 Toppan Printing Co Ltd Hard coat film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5651B2 (en) * 1998-02-18 2008-09-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Hard coat film
JP3560532B2 (en) * 2000-05-02 2004-09-02 株式会社巴川製紙所 Antistatic film for display
TWI290328B (en) * 2002-05-23 2007-11-21 Nof Corp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film and touch panel
KR101143281B1 (en) * 2004-08-20 2012-05-0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Transparent conductive multilayer body and transparent touch panel
JP2008129130A (en) * 2006-11-17 2008-06-05 Toppan Printing Co Ltd Hard coat film
TWM368846U (en) * 2009-06-26 2009-11-11 Young Fast Optoelectronics Co Improved structure of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2670A (en) * 1998-02-18 1999-09-27 기타지마 요시토시 Hard Coat Film
JP2007219013A (en) * 2006-02-14 2007-08-30 Toppan Printing Co Ltd Hard coat film
KR20100129512A (en) * 2009-06-01 2010-12-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Double side hard coating film for protecting display
JP2011039978A (en) * 2009-08-18 2011-02-24 Toppan Printing Co Ltd Hard coat film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641A (en) 2013-06-11
CN103129064B (en) 2015-12-23
JP2013117584A (en) 2013-06-13
TW201323220A (en) 2013-06-16
CN103129064A (en) 2013-06-05
TWI498221B (en)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725B1 (en)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KR101406805B1 (en)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KR101495138B1 (en) Optical sheet,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TWI494223B (en) A hard coat film,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a touch panel
JP5604899B2 (en) Laminated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sheet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KR101686644B1 (en) Plastic film laminate
JP5556436B2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sheet, and touch panel
CN109021478B (en) (meth) 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meth) acrylic resin film using same
TW201307072A (en) Hard-coating film and touch panel
JP4096268B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CN114527527A (en) Light diffusion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display device
CN111433640A (en) Anti-glar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thereof
KR101425114B1 (en) Optical film,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4605010B2 (en) Evaluation method of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JP7092828B2 (en) Optical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
JP6337600B2 (en) Color tone correction film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JP4815742B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ouch pane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174665A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