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510B1 -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체모 성장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체모 성장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510B1
KR101426510B1 KR1020130003025A KR20130003025A KR101426510B1 KR 101426510 B1 KR101426510 B1 KR 101426510B1 KR 1020130003025 A KR1020130003025 A KR 1020130003025A KR 20130003025 A KR20130003025 A KR 20130003025A KR 101426510 B1 KR101426510 B1 KR 10142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nthraquinone
present
dihydroxy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865A (ko
Inventor
조호성
백종민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03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5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체모 성장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TGF-β의 생성을 촉진하며 외모근초(Outer root sheath, ORS)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모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체모 성장 억제 방법{Composition for inhibiting hair growth and Method for inhibiting hair growt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발이나 체모는 신체의 기관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신체의 중요한 방어 수단의 하나로서 기능하여 오고 있었으나, 지금은 두발을 제외한 체모는 방어수단으로서의 기능이나 역할이 점차 무의미해지고 있다.
특히, 심미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때 여성의 경우 체모는 반대로 없는 편이 바람직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체모를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체모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전기면도기, 제모기, 초음파, 레이저 등을 이용한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체모를 뽑거나 잘라내어 제거하거나, 접착테이프 등의 물리적 수단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제모크림, 왁스, 젤 등의 화학적인 수단을 이용한 제모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특정의 단백 분해 효소를 함유하는 제재가 영구 탈모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2008-0063768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체모를 제거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공개공보 2011-0068779에서는 체모를 칼날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체모 절단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기계적 수단이나 물리적 수단을 이용하여 체모를 잡아 뽑는 탈모 방법은 통증을 수반하는 폐해가 있으며, 기존의 제모 크림이나 왁스에 의한 화학적인 수단은 통증을 수반하면서도 화학 성분에 의한 피부 손상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들은 발모의 억제라는 점에서 아직 불충분하거나, 단기간으로 효능을 가져, 체모의 성장에 따라 일정 기간 경과 후에는 다시 체모 제거 처리를 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체모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종래의 물리적 방법 또는 화학적 방법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종래의 물리적 방법 또는 화학적 방법을 통한 체모의 제거가 아닌,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체모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체모 성장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3002749639-pat00001
상기 R1 및 R4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기(-H) 또는 하이드록실기(-OH), R2는 수소기(-H), 하이드록실기(-OH), 메틸기 또는 하이드록시메틸기(-OCH3)이며, R3는 수소기(-H) 또는 메틸기(-CH3)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9.10-안트라퀴논(9,10-anthraquinone), 1,3,8-트리하이드록시-6-메틸-9,10-안트라퀴논(1,3,8-trihydroxy-6-methyl-9,10-anthraquinone), 1,8- 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9,10-anthraquinone), 1,8-다이하이드록시-3-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yl-9,10-anthraquinone) 및 1,8-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6-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6-methyl-9,10-anthraqui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1,8- 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9,10-anthraquinone) 또는 1,8-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6-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6-methyl-9,10-anthraquino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5 내지 5중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체모가 있는 피부에 도포하여 체모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2749639-pat00002
상기 R1 및 R4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기(-H) 또는 하이드록실기(-OH), R2는 수소기(-H), 하이드록실기(-OH), 메틸기 또는 하이드록시메틸기(-OCH3)이며, R3는 수소기(-H) 또는 메틸기(-CH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5 내지 5중량%인 체모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TGF-β의 생성을 촉진하며 외모근초(Outer root sheath, ORS)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모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인간 TGF-β프로모터 영역을 pGL3 벡터에 클로닝하여 재조합된 벡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벡터를 인간유래 모유두세포에 형질전환시키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을 각각 처리 후 인간 TGF-β프로모터의 활성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인간유래 모유두세포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을 각각 처리하고 인간 TGF-β단백질의 발현을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모유두세포-외모근초 동시배양방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외모근초 증식 억제정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2749639-pat00003
상기 R1 및 R4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기(-H) 또는 하이드록실기(-OH), R2는 수소기(-H), 하이드록실기(-OH), 메틸기 또는 하이드록시메틸기(-OCH3)이며, R3는 수소기(-H) 또는 메틸기(-CH3)이다.
사람의 모발은 약 10만-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성장주기를 가진다. 모발성장주기는 3단계로 구성되는데, 모발이 가장 활발하게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stage), 모발의 퇴화가 시작되는 퇴화기(catagen stage) 및 모발의 성장이 멈추거나 휴식에 접어드는 휴지기(telogen stage)로 분류된다.
모낭의 성장과 탈락에는 남성호르몬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데 남성호르몬에 의해 모낭에서 조절되는 인자들 중, 형질전환성장인자-β(Transforming growth factor; 이하 TGF-β)는 모낭성장 억제와 모발주기 중 퇴행기의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Tsuji Y, Denda S, Soma T, Raftery L, Momoi T, Hibino T, A potential suppressor of TGF-beta delays catagen progression in hair follicles,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2003:8(1):65-68). 즉, TGF-β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모낭의 모유두세포에서 발현되어 모낭의 기질세포와 외모근초 각질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일으키고 성장기의 모낭을 퇴행기로 유발함으로써, 휴지기 모낭이 증가하며 성장기 모낭이 퇴행기 모낭으로 바뀌게 되어 쉽게 빠지며 가늘고 짧은 모발이 생성된다(이영주, 이주영, 남성의 안드로겐성 탈모자의 임상적 진단과 관리, 한국미용학회지, 2007:13(2): 799-810).
이와 같이 TGF-β의 생성 증가는 모낭 발생을 억제하고 모발 주기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형질전환성장인자-β(Transforming growth factor; 이하 TGF-β)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 및 외모근초(Outer root sheath, ORS)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견하여, 상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체모 성장 억제할 수 있음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눈썹, 윗입술, 및 귀밑 털을 포함한 얼굴, 다리, 귀, 등을 포함한 몸, 그리고 원치 않는 체모 성장이 일어날 수 있는 신체의 그 밖의 다른 부위에서 체모의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안트라퀴논 골격을 갖는 퀴논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2749639-pat00004
상기 R1 및 R4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기(-H) 또는 하이드록실기(-OH), R2는 수소기(-H), 하이드록실기(-OH), 메틸기 또는 하이드록시메틸기(-OCH3)이며, R3는 수소기(-H) 또는 메틸기(-CH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9.10-안트라퀴논(9,10-anthraquinone), 1,3,8-트리하이드록시-6-메틸-9,10-안트라퀴논(1,3,8-trihydroxy-6-methyl-9,10-anthraquinone), 1,8- 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9,10-anthraquinone), 1,8-다이하이드록시-3-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yl-9,10-anthraquinone) 및 1,8-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6-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6-methyl-9,10-anthraqui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1,8- 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9,10-anthraquinone) 또는 1,8-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6-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6-methyl-9,10-anthraquino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상기 화합물이 1,8- 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9,10-안트라퀴논 또는 1,8-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6-메틸-9,10-안트라퀴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경우에 TGF-β의 생성 효능이 더욱 증가되며, 또한 외모근초세포의 증식 억제효능이 더욱 증가되어 체모 성장 억제에 더욱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1,8- 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9,10-안트라퀴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된다.
Figure 112013002749639-pat00005
또한, 상기 1,8-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6-메틸-9,10-안트라퀴논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13002749639-pat00006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성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5 내지 5중량%, 또는 0.01 내지 1중량%일 수 있다. 0.00005중량% 미만인 경우에 체모 성장 억제 효과가 너무 미약하고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합물의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발명에 따른 체모 성장을 억제시키는 화합물의 염을 나타낸다. 이러한 염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및 하이드로요오다이드와 같은 무기산,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술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비설페이트, 설파메이트, 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설포네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2-히드록시에탄설페이트, 락테이트, 말리에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옥살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운데카노에이트와 같은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용매화물, 전구 약물(pro-drug)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용매화물은 바람직하게 수화물 및 에탄올화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다. 또한, 상기 전구 약물은 상기 전구 약물을 포유동물 검체에 투여할 때 생체 내에서 화학식 1의 활성 약물을 방출하는 임의의 공유 결합된 담체를 의미한다. 즉, 화학식 1의 전구 약물은 작용기의 통상의 조작이나 또는 생체 내에서의 변형을 통하여 화학식 1의 활성 약물로 변형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이드록시 작용기의 에스테르 결합 혹은 아미드 결합을 한 유도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상기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하며, 상기 조성물은 담체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은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피 투여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투여 경로 등에 따른 요인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바랍직하게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1일당 0.001~1000mg/kg(체중)이다. 또한, 일정 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고형 제제, 반 고형 제제, 또는 액체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고형 제제로는 크림제, 로션제, 유화제, 리니멘트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액상 제제로는 물,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담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담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로션, 젤,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연고, 스틱, 패취,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깁스, 붕대, 드레싱 거즈 패드 및 유사한 풍목에 혼입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되는 빈도 및 양은 개개인의 체모 성장 속도에 따라 폭넓게 달라질 수 있으며, 레이저 등의 외과적 방법과 병행하여 처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체모가 있는 피부에 경피 도포하여 도포한 부분의 체모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2749639-pat00007
상기 R1 및 R4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기(-H) 또는 하이드록실기(-OH), R2는 수소기(-H), 하이드록실기(-OH), 메틸기 또는 하이드록시메틸기(-OCH3)이며, R3는 수소기(-H) 또는 메틸기(-CH3)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트라퀴논 골격을 갖는 퀴논화합물은 하기와 같으며 이때
R1 내지 R4는 표 1과 같다. 각각 시그마 알드리치(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2749639-pat00008
화합물 R1 R2 R3 R4
1 H H H H
2 OH OH CH3 OH
3 OH OCH3 H OH
4 OH CH3 H OH
5 OH OCH3 CH3 OH
<실험예 1> 인체 유래 모유두세포에서의 인간 TGF-β의 프로모터 활성 평가
인간 TGF-β의 프로모터 활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리포터 벡터를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인간 게놈 DNA로부터 인간 TGF-β의 프로모터 영역(-1,132 ~ +271)을 PCR을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이 때 사용한 프라이머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서열
정방향 5' -GGGAAGCTTTGGAAGGATCCTTAGCAGGGG-3'(서열번호 1)
역방향 5- -GGGTCGACCGCGGAGGGAGGTGGGA-3' (서열번호 2)
증폭된 DNA를 HindШ과 SalI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자르고 루시퍼레이즈를 발현하는 pGL3 벡터에 클로닝 하였다(도 1). 인체 유래의 모유두세포(Promocell, 독일)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에 인간 TGF-β의 프로모터와 루시퍼레이즈를 결합한 상기 벡터를 리포펙타민(lipofectamine)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transfection)을 통해 세포 내로 주입하였다.
5시간 배양 후, 우혈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DMEM 배지에 각 화합물의 농도가 0.5ppm, 5ppm가 되도록 처리하여 18시간 배양하였다. 18시간 처리 후 세포를 회수하여 냉각된 인산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세포 용해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만 추출하여 루시퍼레이즈 어세이를 실시한 후 퍼킨엘머 빅터3 (Perkin Elmer Victor3)로 형광정도(luminescence)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음성대조군은 무 처리군이며, 양성대조군은 DHT 100nM만 처리한 군이다. 증가율을 아래와 같이 분석, 그 결과를 도 2 및 표 3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증가율(%) = (화합물 처리군)/(음성대조군) X 100
시료명 증가율(%) 시료명 증가율(%)
화합물 1
0.5ppm
125.1 화합물 4
0.5ppm
178.4
화합물 1
5ppm
175.6 화합물 4
5ppm
236.3
화합물 2
0.5ppm
175.1 화합물 5
0.5ppm
178.1
화합물 2
5ppm
250.4 화합물 5
5ppm
236.7
화합물 3
0.5ppm
135.0 음성대조군 100.0
화합물 3
5ppm
169.3 양성대조군 170.0
상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안트라퀴논 골격을 갖는 퀴논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인간 TGF-β의 프로모터를 활성화시켰으며 특히, 화합물 2, 화합물 3 및 화합물 5의 활성효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험예 2>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이용한 인간 TGF-β생성 증가 평가
인체 유래의 모유두세포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우혈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우혈청을 포함하지 않은 DMEM 배지에 각 시료의 농도가 0.5ppm, 5ppm가 되도록 첨가한 배양액으로 교체하고 18시간 처리하였다. 18시간 후 배양액만 분리하고, 배양액에 존재하는 인간 TGF-β단백질의 생성량을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를 실시한 후 UV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음성대조군은 무 처리군이며, 양성대조군은 DHT 100nM만 처리한 군이다. 증가율을 아래와 같이 분석, 그 결과를 도 3 및 표 4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증가율(%) = (화합물 처리군)/(음성대조군) X 100
시료명 증가율(%) 시료명 증가율(%)
화합물 1
0.5ppm
119.0 화합물 4
0.5ppm
169.4
화합물 1
5ppm
156.6 화합물 4
5ppm
236.1
화합물 2
0.5ppm
193.0 화합물 5
0.5ppm
178.0
화합물 2
5ppm
467.0 화합물 5
5ppm
436.9
화합물 3
0.5ppm
156.6 음성대조군 100.0
화합물 3
5ppm
204.4 양성대조군 453.0
상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안트라퀴논(anthraquinone)골격을 갖는 퀴논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인간 TGF-β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화합물 2와 화합물 5의 생성효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험예 3> 인간 모유두세포와 외모근초세포 동시배양을 통한 외모근초 증식 억제 평가
인체 유래의 모유두세포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5X104/웰 의 정도로 트랜스웰 플레이트(Costar, 미국)의 아랫쪽 면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같은 수의 외모근초세포(Celprogen, 미국)를 트랜스웰 플레이트 윗부분에 접종하여, 화합물농도 0.5ppm, 5ppm이 포함된 MCDB 153 배지에서(Sigma, 미국) 4일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한 다음, 트립신-EDTA로 윗부분의 외모근초세포를 떨어뜨린 후 세포 부유액을 원심 분리한 후, 트립판-블루(시그마, 미국)로 세포를 염색한 다음,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DHT 100nM을 처리하여 배양한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평가하였으며, 외모근초세포의 증가 억제율을 아래와 같이 분석, 그 결과를 도 4 및 표 5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억제율(%) = 1-(화합물 처리군)/(음성대조군) X 100
시료명 억제율(%) 시료명 억제율(%)
화합물 1
0.5ppm
12.6 화합물 4
0.5ppm
33.5
화합물 1
5ppm
26.1 화합물 4
5ppm
64.1
화합물 2
0.5ppm
42.5 화합물 5
0.5ppm
46.9
화합물 2
5ppm
78.6 화합물 5
5ppm
72.6
화합물 3
0.5ppm
25.1 음성대조군 100
화합물 3
5ppm
54.3 양성대조군 63.5
상기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트라퀴논(anthraquinone)골격을 갖는 퀴논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인간 외모근초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특히, 화합물 2와 화합물 5의 억제효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Claims (6)

  1. 9,10-안트라퀴논(9,10-anthraquinone), 1,3,8-트리하이드록시-6-메틸-9,10-안트라퀴논(1,3,8-trihydroxy-6-methyl-9,10-anthraquinone), 1,8- 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9,10-anthraquinone), 1,8-다이하이드록시-3-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yl-9,10 anthraquinone) 및 1,8-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6-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6-methyl-9,10-anthraqui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1,8- 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9,10-anthraquinone) 또는 1,8-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6-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6-methyl-9,10-anthraquino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5 내지 5중량%인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5. 9,10-안트라퀴논(9,10-anthraquinone), 1,3,8-트리하이드록시-6-메틸-9,10-안트라퀴논(1,3,8-trihydroxy-6-methyl-9,10-anthraquinone), 1,8- 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9,10-anthraquinone), 1,8-다이하이드록시-3-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yl-9,10 anthraquinone) 및 1,8-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6-메틸-9,10-안트라퀴논(1,8-dihydroxy-3-methoxy-6-methyl-9,10-anthraqui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대상체의 체모가 있는 피부에 도포하여 인간을 제외한 대상체의 체모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5 내지 5중량%인 인간을 제외한 대상체의 체모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
KR1020130003025A 2013-01-10 2013-01-10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체모 성장 억제 방법 KR10142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25A KR101426510B1 (ko) 2013-01-10 2013-01-10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체모 성장 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25A KR101426510B1 (ko) 2013-01-10 2013-01-10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체모 성장 억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65A KR20140090865A (ko) 2014-07-18
KR101426510B1 true KR101426510B1 (ko) 2014-08-13

Family

ID=5173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025A KR101426510B1 (ko) 2013-01-10 2013-01-10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체모 성장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5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2913A (en) 1981-02-27 1986-07-29 L'oreal Use of hydroxyanthraquinones for the coloration of human keratin fibres
US5275626A (en) 1991-02-04 1994-01-04 L'oreal Method for dyeing keratinous fibres using a monohydroxyindole or dihydroxyindole and a non-oxidizing aromatic carbonyl derivative and dyeing agent
US6660284B2 (en) 2001-04-11 2003-12-09 L'oreal Anthraquinone compounds, manufacturing process, use as pigments and cosmetic composition
US20050086746A1 (en) 1999-10-12 2005-04-28 David Rose Direct hair dyes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2913A (en) 1981-02-27 1986-07-29 L'oreal Use of hydroxyanthraquinones for the coloration of human keratin fibres
US5275626A (en) 1991-02-04 1994-01-04 L'oreal Method for dyeing keratinous fibres using a monohydroxyindole or dihydroxyindole and a non-oxidizing aromatic carbonyl derivative and dyeing agent
US20050086746A1 (en) 1999-10-12 2005-04-28 David Rose Direct hair dyes and use thereof
US6660284B2 (en) 2001-04-11 2003-12-09 L'oreal Anthraquinone compounds, manufacturing process, use as pigments and cosmetic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65A (ko)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3943B2 (ja) N−アシルアミノ−アミドファミリーの新規な化合物、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用途
JP5642353B2 (ja) ブラソカトレア・マーセラ・コス(Brassocattleya marcella Koss)のラン抽出物および皮膚脱色素剤としてのその使用
US2021026800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Regrowth
KR20190075192A (ko)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608490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hair growth-inducing ability of adipose stem cells comprising udenafil as active ingredient
JP2008523159A (ja) スルビビン阻害物質による発毛の低減
KR101426510B1 (ko)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체모 성장 억제 방법
KR101943203B1 (ko) 지방유래줄기세포로부터 모유두 세포로의 분화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50117609A (ko)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제
KR101393813B1 (ko)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1202006B1 (ko)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1812B1 (ko) 리퀴리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1671813B1 (ko) 홀시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159411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1586027B1 (ko) 포도필로톡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20150087662A (ko) 나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2074314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586030B1 (ko) 캄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1612070B1 (ko) 알로에-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1587608B1 (ko) 피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2280994B1 (ko) 트롬보포이에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6185743B2 (ja) 毛成長抑制剤
JP2024069595A (ja) 脱毛防止または毛髪成長促進用の組成物
CN116115547A (zh) 一种含有牛胎盘组织来源外泌体的祛斑组合物及其应用
JP6180170B2 (ja) 毛成長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