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882B1 -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882B1
KR101424882B1 KR1020120105827A KR20120105827A KR101424882B1 KR 101424882 B1 KR101424882 B1 KR 101424882B1 KR 1020120105827 A KR1020120105827 A KR 1020120105827A KR 20120105827 A KR20120105827 A KR 20120105827A KR 101424882 B1 KR101424882 B1 KR 10142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carbonate resin
group
methacrylic copoly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546A (ko
Inventor
장병옥
임병훈
박영관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8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고경도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에 특정 물성을 갖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2차적 가공 없이 표면 경도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한 고경도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90중량%;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0~5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 3,000 미만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SCRATCH RESISTANCE AND TRANSPARENCY}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를 기본 수지로 하고, 고굴절률 메타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충격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높은 투명성, 우수한 치수 안정성, 폭넓은 착색성 등을 나타내어, 최근 전기, 전자 제품의 원가 절감, 대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한 플라스틱 제품이 기존의 유리나 금속 소재 영역을 빠르게 대체하여, 전기, 전자 제품 뿐 아니라 자동차 부품 등에까지 그 사용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소재 대비 외장재로서의 기능 및 외관 성능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스크래치에 대한 성능 개선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종 성형된 수지 표면상에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를 표면에 도포하여, UV 경화나 열경화 과정을 거치는 화학적 처리를 거치거나, 플라즈마 도움 증착과 같은 물리적 처리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2차 공정을 거치게 되는 경우 추가 공정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공정 시간이 소요되며, 2차 처리에 의한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드코팅 없이 내스크래치성을 발현할 수 있는 무도장 수지로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플라스틱의 내스크래치성이 높은 고분자를 블렌딩하여 사용하는 경우, 굴절률 차이, 낮은 분산력으로 인해 폴리카보네이트 고유의 고투명성을 잃기 쉽고 표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메타크릴계 수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물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경우 내스크래치 성능이 연필경도 2B 정도로 좋지 않기 때문에 내스크래치 특성이 연필경도 3H~4H로 우수한 메타크릴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미국공개특허 제2012-0121845호는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에 실리콘 디옥사이드 나노입자를 도포하여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나, 코팅을 위한 2차 가공으로 인해 공정 비용 발생 및 공정 시간 소요가 크고 헤이즈 증가율이 높은 문제가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8,088,849호는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에 표면 경도, 난연성 증가,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에테르 인산 화합물과 할로겐 화합물을 사용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할로겐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연소 시 발생하는 인체 유해가스가 문제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39612호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나, 흐림도가 높고 투명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고경도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에 특정 물성을 갖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2차적 가공 없이 표면 경도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한 고경도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90중량%;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0~5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 3,000 미만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굴절률이 1.52~1.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메타크릴레이트 10~100중량% 및 단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0~90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7345395-pat00001
(화학식 1에서, m은 0~10의 정수, X는 메틸기, 페닐기, 시클로헥실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시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또는 벤질페닐기)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를 7:3 중량비로 혼합하여 3.0㎜ 두께로 압출한 시편에 대한 ASTM 평가법 D1003에 따른 헤이즈(Haze)가 0.8% 이하이고, ASTM 평가법 D1003에 따른 투과율(TT)이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상대적으로 낮은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최적 범위에서 혼합된 조성물을 용융압출시킴으로써 메타크릴계 공중합체에 의해 유동성 개선으로 우수한 성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폴리카보네이트 고유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굴절률의 메타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상분리를 최소화하여 투명성 저하를 더욱 방지하고 우수한 외관을 유지할 뿐 아니라, 폴리카보네이트 성형과 동일한 공정설비 내에서 운전이 가능하여 공정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내스크래치성 향상을 위해 혼합되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로 인해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오히려 감소되는 문제에 직시하고, 특정 중량평균분자량 및 굴절률을 갖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혼합 용융압출하여 제조할 경우 내스크래치성 향상과 함께 종래 수지 조성물에 비해 투명성이 극적으로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90중량%;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0~5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 3,000 미만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는 비정질 고분자로 투명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충격성, 자기 소화성,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며, 내후성이 뛰어나 장기간 높은 물성을 유지하고, 내열성 및 내한성이 뛰어나 심한 온도 변화에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는 통상적인 제조방법을 따를 수 있으며, 예들 들어, 분자량 조절제 및 촉매의 존재하에 디히드록시페놀(dihydroxy phenol)계 화합물과 포스겐(phosgen)을 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디히드록시페놀계 화합물과 디페닐카보네이트(diphenyl carbonate)에 의해 얻어지는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 교환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히드록시페놀계 화합물로는 비스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bisphenol A)(2,2-bis(4-hydroxyphenyl)propane)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스페놀 A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다른 종류의 디히드록시페놀계 화합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컨대, 히드로퀴논,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디히드록시페놀계 화합물의 단일 중합체이거나, 2종 이상의 디히드록시페놀계 화합물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특정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트리멜리틱 무수물 또는 트리멜리틱산 등의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히드록시페놀계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예를 들어,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히드록시페놀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최종 제조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서 50~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함량이 5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발현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9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스크래치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200,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00~80,000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50,000일 수 있다.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 3,000 미만이며, 상기 중량평균분자량 범위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블렌딩 시 상용성이 우수하고, 시편 성형 시 표면 상태가 균일한 시편이 얻어지며, 특히, 흐림성 및 투과성 면에서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1.52~1.58의 고굴절률을 갖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블렌딩 성형품 내의 헤이즈가 폴리카보네이트와 동등 수준인 0.8% 이하의 고투명성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고굴절률을 갖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로 변성된 수지로서, 통상적인 괴상, 유화, 현탁 중합법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 10~100중량% 및 단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0~90중량%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가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중합된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평균 굴절률이 1.52 미만일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구성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7345395-pat00002
(화학식 1에서, m은 0~10의 정수, X는 메틸기, 페닐기, 시클로헥실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시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또는 벤질페닐기)
상기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페녹시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티오페닐메타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벨질메타크릴레이트, 2-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3-페닐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4-페닐부틸메타크릴레이트, 2,2-메틸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3-메틸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메틸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프로필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1-메틸에틸)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메톡시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시클로헥실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2-클로로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3-클로로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클로로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브로모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3-페닐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벤질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관능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말레산 등과 같은 산 무수물,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모노글리세롤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기 함유 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최종 제조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서 10~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50중량%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내스크래치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성형 시 플로우 마크(flow mark)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그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각의 용도에 따라 또 다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첨가제로는 난연제,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격보강제, 열안정제, 이형제, 무기 첨가제, 자외선 안정제, 염료, 안료, 상용화제, 착색제, 윤활제, 정전방지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위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상기 펠렛을 이용하여 각종 플라스틱 사출 및 압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융압출은 구체적으로 스크류 회전속도 50~1000rpm의 조건 하에서 체류시간 5~90초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크류 회전속도 200~800rpm의 조건하에서 체류시간 10~60초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체류시간의 경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열화 방지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90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를 7:3 중량비로 혼합하여 3.0㎜ 두께로 압출한 시편에 대한 ASTM 평가법 D1003에 따른 헤이즈(Haze)가 0.8% 이하이고, ASTM 평가법 D1003에 따른 투과율(TT)이 90% 이상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비스페놀 A형, 중량평균분자량 25,000) 90중량% 및 굴절률 1.54~1.56, 중량평균분자량 2,500인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H-880, 미쯔비시레이온) 10중량% 함량비로 혼합하고, 2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 스크류 직경 26㎜, L/D=40)를 이용하여 압출온도 270~300℃, 스크류 회전속도 200rpm의 압출조건으로 펠렛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80℃에서 5시간 건조 후 시편 제작용 몰드를 이용하여 시편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80중량%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20중량% 함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중량%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30중량% 함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중량%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40중량% 함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중량%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50중량% 함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혼합하지 않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중량평균분자량 3,500인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2에서 중량평균분자량 5,500인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2에서 중량평균분자량 8,500인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수지 조성물의 성분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77345395-pat00003
시험예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물성, 광학 특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 방법]
(1) 유리전이온도
ASTM 평가법 D3418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용융지수
ASTM 평가법 D1238에 따라 측정하였다.
(3) 흐림도
ASTM 평가법 D1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4) 투과율
ASTM 평가법 D1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5) 내스크래치성
ASTM 평가법 D3363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2077345395-pat0000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조성 범위 및 중량평균분자량 범위를 갖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시편의 경우 흐림도의 변화가 0.2% 이내이며, 투과율을 변화가 거의 없는 고투명 상태에서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순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만으로 제조된 시편(비교예 1)의 경우에는 내스크래치성이 좋지 않으며, 내스크래치성 향상을 위해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더라도, 중량평균분자량이 일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비교예 2 내지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흐림도 및 투과율이 유의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90중량%; 및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0~5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 3,000 미만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를 7:3 중량비로 혼합하여 3.0㎜ 두께로 압출한 시편에 대한 ASTM 평가법 D1003에 따른 헤이즈(Haze)가 0.8% 이하이고, ASTM 평가법 D1003에 따른 투과율(TT)이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굴절률이 1.52~1.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메타크릴레이트 10~100중량% 및 단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0~90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2077345395-pat00005

    (화학식 1에서, m은 0~10의 정수, X는 메틸기, 페닐기, 시클로헥실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시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또는 벤질페닐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
KR1020120105827A 2012-09-24 2012-09-24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42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827A KR101424882B1 (ko) 2012-09-24 2012-09-24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827A KR101424882B1 (ko) 2012-09-24 2012-09-24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46A KR20140039546A (ko) 2014-04-02
KR101424882B1 true KR101424882B1 (ko) 2014-07-31

Family

ID=5065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827A KR101424882B1 (ko) 2012-09-24 2012-09-24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551B1 (ko) * 2014-11-24 2016-10-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상용성이 향상된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805A (ja) * 2002-12-10 2004-07-08 Toagosei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090039612A (ko) * 2007-10-18 2009-04-22 제일모직주식회사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메타크릴계 수지 조성물
KR100902352B1 (ko) 2008-03-13 2009-06-12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69889A (ko) * 2008-12-17 2010-06-25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805A (ja) * 2002-12-10 2004-07-08 Toagosei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090039612A (ko) * 2007-10-18 2009-04-22 제일모직주식회사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메타크릴계 수지 조성물
KR100902352B1 (ko) 2008-03-13 2009-06-12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69889A (ko) * 2008-12-17 2010-06-25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46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872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compatibility
KR101170383B1 (ko)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188349B1 (ko) 투명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US8642693B2 (en) Scratch-resistant flamepro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compatibility
JP5688068B2 (ja) 相溶性が向上し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1137158A (ja) 優れた耐スクラッチ性及び衝撃強度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WO2009128601A1 (en) Flame-retardant scratch-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compatibility
KR101374360B1 (ko)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20130158161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Mar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TWI388626B (zh) 熱塑性樹脂組成物
KR101654721B1 (ko)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1014865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24882B1 (ko)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66548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670551B1 (ko) 상용성이 향상된 내스크래치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2019007288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6206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13399B1 (ko) 투명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