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918B1 -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918B1
KR101423918B1 KR1020080050451A KR20080050451A KR101423918B1 KR 101423918 B1 KR101423918 B1 KR 101423918B1 KR 1020080050451 A KR1020080050451 A KR 1020080050451A KR 20080050451 A KR20080050451 A KR 20080050451A KR 101423918 B1 KR101423918 B1 KR 101423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oundary
subject
panning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317A (ko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91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닝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들을 생성하는 촬상부, 상기 영상신호들을 사용하여 프리뷰 영상들을 생성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패닝 촬영에 필요한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패닝 촬영 제어부,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경계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상기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패닝 모드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피사체의 영상이 흔들리지 않고 선명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Figure R1020080050451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패닝 촬영, 경계 영상

Description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display a boundary image of an object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패닝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종류, 사용차가 촬영하는 촬영환경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촬영 모드를 변경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다양한 기능들 중 하나가 패닝 모드이다. 패닝 모드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함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잘 표현하여 영상에서 역동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패닝 촬영이라고 한다. 패닝 촬영을 위하여는 사용자가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상기 피사체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촬영을 수행해야한다. 상기 움직임에 의하여 피사체의 영상광은 촬상소자의 동일한 위치에 계속하여 인가됨에 비하여 배경의 영상광은 촬상소자에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가된다. 따라서 피사체는 선명한 영상이 나오는데 반하여 배경은 한쪽 방향으로 심하게 뭉게진 영상으로 되어 빠르게 움직이는 느낌의 영상이 생성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손에 들고 촬영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손떨림이 발생하기 마련이며, 이로 인하여 피사체도 같이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손떨림 보정 모듈을 작동시키면 피사체 이외의 배경도 선명하게 나와서 패닝 촬영의 의도가 무산되어 버린다.
한편, 패닝 촬영에서는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와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동일하여야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이동시키는 속도는 사용자의 느낌에 의존하여야 하므로 패닝 촬영의 성공률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패닝 모드에서 사용자가 패닝 촬영을 수행할 때 만족스러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패닝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패닝 촬영시 선명한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들을 생성하는 촬상부, 상기 영상신호들을 사용하여 프리뷰 영상들을 생성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패닝 촬영에 필요한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패닝 촬영 제어부,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경계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상기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경계 영상을 상기 프리뷰 영상에 OS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한 경계 영상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한 경계 영상들 중에서 일정 개수의 경계 영상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신호에 따라서 상기 생성 된 경계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계 영상 생성부가 상기 영상신호에 따라서 투명도를 조절하여 상기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의 조절은 현재 영상신호에서 먼 영상신호일수록 상기 생성한 경계 영상의 투명도를 투명하게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닝 촬영 제어부는 촬영조건으로 셔터 입력시 연속촬영을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a) 피사체의 영상광을 인가받아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프리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의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상기 경계 영상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패닝 촬영시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프리뷰 영상과 같이 제공하여 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패닝 촬영에 의하여 만족스러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확률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촬영조건을 연사 모드로 설정하여 복수의 영상을 촬영함으로 인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마음에 드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만족스러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배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로서, 렌즈부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가 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외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면, 렌즈부(111), 플래시(112), 보조광 발광 수단(113), 셔터-릴리즈 버튼(161) 및 전원 버튼(162) 등을 전면 및 상면에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배면에는 사용자 입력부로서의 여러가지 버튼들이 구비되며, 또한 디스플레이부(150)가 구비된다.
렌즈부(111)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통과시켜, 촬상소자(미도시)로 영상광을 결상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플래시(112)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 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112)를 사용하는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 플래시 모드, 강제 발광 모드, 발광 금지 모드, 적목 감소 모드, 슬로우 싱크로 모드 등이 있다.
보조광 발광 수단(113)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보조광을 공급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61)은 촬영자의 입력에 의해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촬영자는 셔터-릴리즈 버튼(161)을 반쯤 눌러 반셔터 신호를 입력시키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어,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촬영자는 비로소 셔터-릴리즈 버튼(161)을 완전히 눌러, 촬상되는 영상을 캡쳐시킬 수 있다.
전원 버튼(162)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된 키 입력 버튼이다.
사용자 입력부는 각종 키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필요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는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163W), 망원(telephoto)-줌 버튼(163T), 기능버튼(166), 재생버튼(167) 등의 버튼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0)로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져 있으며,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은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 어졌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에 의한 기능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내부 구성을 기능에 따라서 구분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는 촬상부(210), 영상신호 생성부(220), 경계 영상 생성부(230), 저장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사용자 입력부(260), 패닝 촬영 제어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도 2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이동에 있어서 설명하기에 편리하도록 도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하여 데이터 및 각종 제어신호가 이동할 수 있으며, 또는 다양한 형태로 도시하여 설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촬상부(21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 신호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상기 촬상부(210)에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통과시키는 렌즈 및 상기 통과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촬상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부(220)는 상기 촬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것으로 프리뷰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220)는 프리뷰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들은 후술할 RAM(241)에 인가한다. 상기 인가된 영상 데이터들은 상기 RAM(241)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프리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구동부(251)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252)에 제공된다.
한편, 피사체의 영상광은 실시간으로 계속하여 촬상소자에 인가되므로 촬상부(210)에서는 영상신호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생성될 것이며, 상기 영상신호들은 모두 프리뷰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로 변환될 것이다. 상기 프리뷰 영상은 일반적으로 초당 30 프레임의 속도로 생성된다.
이미지 파일 생성부(미도시)에서는 셔터 입력신호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 파일 규격인 Exif 파일 형식에 따라서 JPEG 형식으로 압축되어 생성된다.
경계 영상 생성부(230)는 상기 촬상부(210)로부터 영상신호들을 인가받아 상기 영상신호에서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경계 영상은 인가된 영상신호에서 피사체의 윤곽을 판단하고, 상기 윤곽선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경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피사체의 윤곽에서는 색상의 변화가 심하며 따라서 영상신호를 주파수 대역에서 분석하면 고주파수를 띄게 된다. 이러한 고주파수를 나타내는 부분을 따라서 윤곽선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방법은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피사체의 윤곽을 판단하여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영상신호가 초당 30프레임의 속도로 생성되며, 프리뷰 영상도 이와 동일한 속도로 생성되므로 경계 영상도 이와 동일한 속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영상신호마다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경계 영상들은 일정 시간동안 후술할 RAM(241)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일정 분량의 경계 영상이 생성되면 삭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성된 경계 영상을 일정 시간동안 저장함으로 인하여 복수의 경계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경계 영상은 각 영상신호가 나타내는 영상의 일부 영역에 대하여만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닝 촬영시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피사체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촬영에 임하므로, 상기 피사체가 위치하게 되는 영역 주위만 경계 영상을 생성한다. 즉, 전체 영상에서 상하좌우 각각 1/4, 1/5 또는 1/6 만큼을 제외한 영역에 대하여만 경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좌우로는 각각 1/4 만큼, 상하로는 각각 1/6 만큼을 제외하고 경계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을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저장부(240)는 각종 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알고리즘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240)는 RAM(241) 및 저장매체(242)를 포함할 수 있다.
RAM(241)은 임시 저장매체로서 후술할 제어부(280)로부터의 각종 제어신호,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220)로부터의 프리뷰 영상 등의 영상 데이터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임시 저장매체로서의 RAM(241)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매체(242)는 데이터 등을 장기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장기 저장매체로서, 상기 저장매체(242)에는 촬영 조건 등과 관련된 사용자의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에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242)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210)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들, 상기 이미지 파일들에 대한 속성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파일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는 메모리 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장형 또는 탈착이 가능한 외장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피사체, 사용자에 의한 버튼들의 조작에 따라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 프리뷰 모드에서의 프리뷰 영상 및 재생모드에서의 재생 영상 등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영상 데이터, 이미지 파일 등의 영상의 재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351) 및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3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351)는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프리뷰 영상에 플래시 설정여부, 배터리 잔량 등을 나타내는 표시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구동부(351)는 프리뷰 영상에 각종 영상을 OSD 방식으로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계 영상 생성부(230)에서 생성한 경계 영상을 OSD 방식으로 프리뷰 영상에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 인하여 피사체와 상기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셔터-릴리즈 버튼,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 망원(telephoto)-줌 버튼, 기능버튼, 재생버튼 등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닝 촬영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촬영 모드를 패닝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버튼을 누르면 패닝 촬영 모드에 적합한 촬영조건을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촬영조건으로는 셔터 스피드를 적절한 수치로 조절한다. 패닝 촬영에서는 느린 셔터 스피드에 의하여 피사체 이외의 배경이 흘러가는 듯한 이미지를 연출하여야 하므로 1/60 ~ 1/8 초의 셔터 스피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닝 촬영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피사체를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필수이므로 손떨림 방지 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피사체가 좌우로 수평이동을 하는 경우에 손떨림 방지 모듈의 좌우 방향에 대한 작동은 정지시키되 상하 방향의 작동만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촬영이 시작된 이후에는 초점이 변하지 않도록 AI 서보(Servo) 등이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언급한 조건 이외에도 플래시의 설정여부, 조리개 구멍의 크기, ISO 감도 등 여러가지 조건을 상황에 맞게 조절하여 설정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패닝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패닝 촬영 제어부(270)는 경계 영상 생성부(230)에서 경계 영상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경계 영상이 디스플레이 화면(25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패닝 촬영 제어부(270)는 셔터-릴리즈 버튼을 입력하면 연속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연사 모드로 촬영조건을 설정하여 놓을 수 있다. 디폴트 값으로 연사 모드를 설정함으로 인하여 마음에 드는 영상을 촬영할 확률이 낮은 패닝 촬영에서 그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패닝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움직임이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셔터-릴리즈 버튼의 입력 없이도 패닝 촬영을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패닝 촬영은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미처 셔터-릴리즈 버튼을 누를 시간이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28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60)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적용되는 부분에 인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패닝 촬영을 수행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하나의 경계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한다. 하나의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경계 영상을 계속하여 새로운 영상신호에 의하여 생성된 경계 영상으로 갱신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프리뷰 영상과 동일한 영상신호를 사용한 경계 영상을 상기 프리뷰 영상에 합성하는 경우 피사체의 위치와 경계 영상의 위치는 계속하여 일치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계 영상은 상기 프리뷰 영상에 사용된 영상신호보다 수 프레임 이전 또는 이후의 영상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프리뷰 영상이 제 n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생성된 경우, 경계 영상은 n-1, n-2,.... 또는 n+1, n+2... 등의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생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처럼 프리뷰 영상에 사용되는 영상신호와 경계 영상에 사용되는 영상신호가 다르면, 패닝 촬영을 위해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이동시킴에 있어서 그 속도가 피사체가 이동하는 속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의 피사체의 위치와 경계 영상의 위치가 어긋나 양 속도가 일치하지 않음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다. 즉, 상기 프리뷰 영상의 피사체의 위치와 경계 영상의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함으로 인하여 선명한 피사체가 촬영된 패닝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로, 하나의 경계 영상을 사용하지만 상기 경계 영상을 계속하여 갱신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 디스플레이된 경계 영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즉, 예를 들어, 셔터-릴리즈 버튼이 반셔터 상태인 경우, 상기 반셔터가 인가된 시점에 생성된 영상신호에 따른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경계 영상을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피사체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놓고는 반셔터를 누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피사체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여 반셔터를 누를 때의 경계 영상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경계 영상을 따라서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이동시키면 피사체의 이동 속도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이동 속도를 동기시킬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로, 복수의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다.
상기 경계 영상 생성부(230)에서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영상신호를 사용하 여 복수의 경계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복수의 경계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화면(252)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은 경계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설정에 의하여 일정 개수의 경계 영상이 겹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정 개수는 5개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경계 영상은 영상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하나씩 추가하고, 가장 먼저 생성된 경계 영상을 하나씩 제거하는 방법으로 경계 영상의 개수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인가된 영상신호가 제 n 영상신호인 경우, 제 n 부터 제 n-4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생성된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 n+1 영상신호가 생성되면 제 n+1 경계 영상을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되 제 n-4 경계 영상은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경계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때, 피사체의 이동 속도와 사용자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이동 속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경계 영상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복수의 경계 영상이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고 분산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경계 영상들이 완벽하게 일치하도록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이동시킴으로 인하여 피사체의 이동 속도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속도를 동기시킬 수 있어 성공적인 패닝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각 경계 영상의 투명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 즉, 가장 최근에 생성된 경계 영상은 투명도를 거의 없애고, 가장 먼저 생성된 경계 영상은 아주 희미하게 하여 사용자가 현재 영상신호에 의한 경계 영상에 더 중점을 두고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경계 영상 생성부(230)는 경계 영상의 생성시 경계선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투명도의 조절은 경계 영상의 생성에 사용되는 영상신호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경계 영상을 순서대로 생성하는 경우 최근에 생성된 경계 영상일수록 진하고, 먼저 생성된 경계 영상일수록 흐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경계 영상을 생성하면 이전에 생성했던 경계 영상들은 원래 투명도보다 조금 더 투명하게 변경한다. 즉, 가장 최근에 생성된 현재 영상신호 또는 제 n 경계 영상의 투명도를 '0'이라고 하고, 5개의 경계 영상이 사용되면, 제 n-1 경계 영상의 투명도는 '1',....제 n-4 경계 영상의 투명도는 '4'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n+1 경계 영상이 새롭게 생성되면 제 n 부터 제 n-3의 경계 영상의 투명도를 하나씩 높인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투명도를 달리하여 경계 영상을 생성하면, 디스플레이부(250)에서는 상기 복수의 경계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여 제4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경계 영상 생성부(230)에서는 경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투명도의 조절은 디스플레이부(250)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실시예로,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패닝 촬영시에는 피사체를 영상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영상 전체 중 중심 영역에 대하여만 경계 영상을 생성하여도 충분히 효과적으로 패닝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생성하여야 하는 경계 영상의 면적이 감소되므로 다른 실시예들에 비하여 짧은 시간으로 경계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패닝 촬영시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프리뷰 영상과 같이 제공하여 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패닝 촬영에 의하여 만족스러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확률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촬영조건을 연사 모드로 설정하여 복수의 영상을 촬영함으로 인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마음에 드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만족스러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경계 영상을 표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첫 번째 영상(300)은 촬상부로부터 인가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제공된 프리뷰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촬영 대상인 피사체는 도로에서 주행중인 자동차(310)가 사용되었다. 두 번째 영상(320)은 상기 자동차(310)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경계 영상(330)을 생성한 모습이다. 세 번째 영상(340)은 상기 프리뷰 영상 및 경계 영상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한 모습이다. 도 3에서는 경계 영상이 흑색으로 처리되었으나 사용자가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백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계 영상의 색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계 영상을 생성하되, 현재 인가되는 영상신호로부터 3 프레임 이전의 영상신호까지, 즉 4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생성된 경계 영상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였다. 또한 도 4에서 확인이 용이하지 않으나 가장 최근에 생성된 경계 영상을 두꺼운 선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두꺼운 선으로 표시된 것은 가장 진한 투명도를 가지는 경계 영상으로 할 수 있으며, 가는 선으로 표시된 경계 영상은 희미한 투명도를 가지는 경계 영상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50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패닝 모드를 시작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촬영 모드를 패닝 모드로 전환한다(S500). 상기 패닝 모드의 전환을 감지하면 패닝 촬영에 적합한 촬영조건을 설정한다(S501). 디폴트로 한번의 셔터 입력으로 복수의 영상이 촬영되는 연사모드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셔터 스피드, 노출 조건 등의 촬영조건을 설정한다.
또한 패닝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도 실시간으로 피사체의 영상광을 인가받아 영상신호를 생성한다(S502). 상기 생성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프리뷰 영상을 생성하고(S503), 또한 피사체의 윤곽선을 나타내는 경계 영상을 생성한다(S504).
프리뷰 모드에서는 상기 생성된 프리뷰 영상 및 경계 영상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05). 상기 합성되는 경계 영상은 하나일 수도 있으며 복수의 경계 영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합성은 OSD 방식으로 프리뷰 영상 위에 경계 영상이 겹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 영상의 생성단계 또는 영상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상의 투명도를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도는 상기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데 사용하는 영상신호에 따라서 달리 설정될 것이며, 최근에 생성된 경계 영상일수록 더 진하게 표현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셔터-릴리즈 버튼이 온(ON) 되면(S506) 상기 설정된 촬영조건에 따라서 피사체를 촬영한다(S507). 연사모드로 촬영조건이 디폴트 설정이 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연사모드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상기 촬영에 의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S508).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패닝 촬영시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프리뷰 영상과 같이 제공하여 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패닝 촬영에 의하여 만족스러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확률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촬영조건을 연사 모드로 설정하여 복수의 영상을 촬영함으로 인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마음에 드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만족스러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도로에서 주행중인 자동차를 촬영함에 있어서, 패닝 모드로 설정하여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패닝 촬영을 좀 더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경계 영상을 표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들을 생성하는 촬상부;
    상기 영상신호들을 사용하여 프리뷰 영상들을 생성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패닝 촬영에 필요한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패닝 촬영 제어부;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경계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상기 경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영상에 나타난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부분이, 상기 프리뷰 영상의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부분에 겹쳐져서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경계 영상을 상기 프리뷰 영상에 겹쳐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한 경계 영상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한 경계 영상들 중에서 일정 개수의 경계 영상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신호에 따라서 상기 생성된 경계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현재 영상신호에서 먼 영상신호일수록 상기 생성한 경계 영상의 투명도를 투명하게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신호에 따라서 투명도를 조절하여 상기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현재 영상신호에서 먼 영상신호일수록 더 투명한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닝 촬영 제어부는
    촬영조건으로 셔터 입력시 연속촬영을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0. (a) 움직이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인가받아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프리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의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상기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상기 경계 영상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영상에 나타난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부분이, 상기 프리뷰 영상의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부분에 겹쳐져서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050451A 2008-05-29 2008-05-29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1423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51A KR101423918B1 (ko) 2008-05-29 2008-05-29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51A KR101423918B1 (ko) 2008-05-29 2008-05-29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17A KR20090124317A (ko) 2009-12-03
KR101423918B1 true KR101423918B1 (ko) 2014-07-28

Family

ID=4168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451A KR101423918B1 (ko) 2008-05-29 2008-05-29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231B1 (ko) * 2015-10-05 2022-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705A (ja) * 1998-12-22 2000-07-04 Sharp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WO2007016318A2 (en) 2005-07-28 2007-02-08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preview for panoramic images
KR20070033541A (ko) * 2005-09-21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의 팬 및 틸트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705A (ja) * 1998-12-22 2000-07-04 Sharp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WO2007016318A2 (en) 2005-07-28 2007-02-08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preview for panoramic images
KR20070033541A (ko) * 2005-09-21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의 팬 및 틸트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17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US7668451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aking image
CN102348066B (zh) 摄像装置
US8723976B2 (en) Imag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7074031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TWI459126B (zh) 可產生廣角影像之影像處理裝置、影像處理方法及記錄媒體
JP2013013050A (ja) 撮像装置及びこの撮像装置を用いた表示方法
TW200808044A (en) Imag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9225072A (ja) 撮像装置
JP5228354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200802230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178164A (ja) 撮像装置
JP200412057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268019A (ja) 撮影装置
JP638934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758950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8263478A (ja) 撮像装置
JP2004032524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423918B1 (ko) 피사체의 경계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JP4368783B2 (ja) 撮影装置
JP2007028331A (ja) 画像生成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9139423A (ja) 撮像装置及び被写体距離算出方法
KR101467869B1 (ko) 영상의 흔들림 정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JP2006246014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画像処理方法
KR2013009221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