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276B1 -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276B1
KR101422276B1 KR1020050065233A KR20050065233A KR101422276B1 KR 101422276 B1 KR101422276 B1 KR 101422276B1 KR 1020050065233 A KR1020050065233 A KR 1020050065233A KR 20050065233 A KR20050065233 A KR 20050065233A KR 101422276 B1 KR101422276 B1 KR 101422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oil
component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893A (ko
Inventor
교코 가와카미
조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A) 25℃ 에서 액체의 에스테르유,
(B) 일반식 (1) 로 표시되는 스핀고신류
Figure 112005039000258-pat00001
(R1 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화수소기; Y 는 메틸렌, 메틴 또는 O; X1, X2, X3 는 H, OH, 아세톡시기; X4 는 H, 아세틸기 등; R2, R3 는 H, OH 등; R 은 H, 아미디노기 등; a 는 2 또는 3),
(C) 무기산 및 탄소수 5 이하의 유기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성 화합물, 및
(D) 콜레스테롤 또는 피토스테롤
을 함유하고, 전체 유상 총량에 대하여 성분 (A) 를 함유하는 액체의 유성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5∼90 중량% 인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Description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OIL-IN-WATER EMULSIFIED COMPOSITION}
본 발명은 스핀고신류, 콜레스테롤류 및 액상 에스테르유를 함유하고, 보존 안정성 및 사용 촉감이 우수한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스테르유는 유화 조성물에 유상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제품의 기름기를 누그러뜨리며, 처방에 포함되는 성분 서로의 혼화제로서도 작용한다. 또한, 유효 성분, 색소나 향료 등의 용해 보조제나 보류제, 무기 분체의 분산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도 있다. 또한, 에스테르유를 배합한 피부외용제는, 일반적으로 피부에 대하여 부드럽고 잘 퍼지며, 침투성이 좋고, 보습능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피부외용제 등의 사용감촉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최근, 왁스나 탄화 수소유 대신에 에스테르유를 배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유화 조성물에 에스테르유가 들어가면, 계면 활성제가 에스테르유에 용해하여 계면으로부터 유상 중으로 이행하고, 계면이 흐트러져 불안정해지며, 유화 상태가 나빠진다. 그 결과, 조성물 표면의 윤기가 소실하는 등, 외관도 손상된다. 이로 인해, 다량의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에스테르유를 안정적으로 유화시키려고 하면, 끈적거임, 미끈거림 등의 사용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 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유를 안정적으로 배합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래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20315호에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수분산성이고 또한 비유분산성인 분말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극성유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이 안정적으로 구형상 형태로 분산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에는 에탄올 등의 저급알코올이 고농도 배합되어 있고, 비알코올 처방에는 응용할 수 없다. 또한, 분말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가루같은 사용감은 피할 수 없고, 방치시에 분말 성분이 침강하여, 사용시에 진탕해야하는 사용 상의 번거로움도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0731호에는, 친수성의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부틸렌폴리글리세린모노알킬(모노알케닐)에테르와 폴리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극성유를 안정적으로 유화할 수 있고, 알데히드를 발생시키지 않고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계면 활성제량을 저감시키기에는 불충분하였다.
이와 같이, 사용 감촉이나 보습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화 조성물 중에 에스테르유를 안정적으로 배합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B), (C) 및 (D):
(A) 25℃ 에서 액체의 에스테르유,
(B) 일반식 (1) 로 표시되는 스핀고신류
Figure 112005039000258-pat00002
(식중, R1 은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4∼30 의 직사슬, 분기사슬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Y 는 메틸렌기, 메틴기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X1, X2 및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고, X4 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글리세릴기를 나타내거나, 인접하는 산소원자와 하나가 되어 옥소기를 형성하고 (단, Y 가 메틴기일 때, X1 과 X2 의 어느 일방이 수소원자이고, 타방은 존재하지 않는다. X4 가 옥소기를 형성할 때, X3 은 존재하지 않는다.);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a 개의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아미디노기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총탄소수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 는 2 또는 3 의 수를 나타내며; 파선부는 불포화 결합이어도 되는 것을 나타낸다),
(C) 무기산 및 탄소수 5 이하의 유기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성 화합물,
(D) 콜레스테롤 또는 피토스테롤
을 함유하고, 전체 유상 총량에 대하여 성분 (A) 를 함유하는 액체의 유성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5∼90 중량% 인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에스테르유를 배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유화할 수 있고, 보존 안정성, 외관 및 사용감이 우수한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스핀고신류와 산성 화합물을 공존시킴으로써, 양자가 중화 반응하여 염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스핀고신류의 아미노기가 카티온화되어 계면 활성제적인 기능을 하는 면에서, 결정화하기 쉬운 세라미드류를 안정적으로 유화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여러 가지 피부외용제에 대한 검토를 실시해 왔다.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의 성분으로서 범용적인 에스테르유를 병용할 때, 카티온화된 스핀고신류와, 콜레스테롤 또는 피토스테롤을 조합하여, 유수 계면을 보다 강고히 안정화시켜, 또한, 25℃ 에서 액체의 에스테르유를 함유하는 액체의 유성 성분을 일정한 비율로 유상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액체의 에스테르유를 안정적으로 유화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은, 에스테르유를 안정적으로 유화할 수 있고,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더라도 유화 상태를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윤기가 있어 외관이 양호하고, 사용감도 우수한 것이 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는, 일반식 (1) 로 표시되는 스핀고신류와 무기산 및 탄소수 5 이하의 유기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성 화합물이 중화반응함으로써 염을 형성하고, 스핀고신류가 카티온화되어 계면 활성제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콜레스테롤류가 더해짐으로써, 에스테르유를 유상으로 함유하고 있더라도 카티온화된 스핀고신류가 유상 중에 용해ㆍ이행하지 않고 유수 계면에 편재할 수 있으며, 계면 활성제적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유화 조성물이 얻어진다. 유화 상태가 양호하고 균일하게 유화입자가 분산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료의 외관이 반들반들하고 깨끗하게 보이고, 또한 보존 안정성도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조성물은 카티온화된 스핀고신류 이외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이므로, 일반적인 유화 제제에 비해서 계면 활성제량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화성이 높고, 게다가 기름기나 끈적거림이 없는 사용감과 피부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 (A) 의 25℃ 에서 액체의 에스테르유는, 1 기압 25℃ 의 조건에서 유동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에스테르유란, 산으로서 지방산, 다염기산, 아미노산 등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과, 알코올로서 저급알코올, 고급알코올, 다가알코올, 콜레스테롤 등의 스테롤류 등 수산기를 갖는 것으로부터 탈수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에스테르유인지의 여부는, 비누화가 또는 에스테르가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또한, 동식물을 원료로 정제된 에스테르유나 특정한 자외선 흡수제 등도 포함된다.
성분 (A) 의 25℃ 에서 액체의 에스테르유로서는, 예를 들어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옥탄산이소세틸,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옥탄산세토스테아릴, 옥탄산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이소스테아르산에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옥틸도데실, 올레산에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옥틸, 이소팔미트산옥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카프르산세틸, 올레산데실,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라우르산헥실, 라우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디메틸옥탄산옥틸도데실, 히드록시스테아르산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옥틸도데실, 시트르산옥틸도데실, 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벤조산알킬,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등의 모노에스테르유;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피토스테릴ㆍ2-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콜레스테릴ㆍ옥틸도데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ㆍ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말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ㆍ미리스틴산)글리세릴, 숙신산디옥틸,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디옥틸, 세바스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옥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 소세틸 등의 디에스테르유; 트리옥탄산글리세릴, 트리옥탄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카프릴ㆍ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트리카프르산글리세릴,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트리옥틸,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옥틸도데실 등의 트리에스테르유; 테트라올레산디글리세릴,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테트라옥탄산펜타엘리트리톨,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의 테트라에스테르유; 모노에스테르유∼트리에스테르유의 혼재물인 천연유지로서 올리브유, 쌀겨유, 소맥배아유, 마카데미아넛유, 아보카드유, 아몬드유, 홍화씨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야자유, 밍크유, 호호바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모노에스테르유, 디에스테르유, 트리에스테르유 및 천연 유지가 본 발명의 유화 안정성의 향상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더욱이, 분자량이 350∼1000 인 범위의 것 또는 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 유지가, 사용감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ㆍ미리스틴산)글리세릴,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피토스테릴ㆍ2-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콜레스테릴ㆍ옥틸도데실), 마카데미아넛유, 올리브유, 호호바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A) 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0.05∼7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3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유상 중에는 성분 (A) 이외에 액체의 유성 성분,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유; 메틸폴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고급알코올변성실리콘유, 알킬변성실리콘유, 아미노변성실리콘 등의 실리콘유;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알킬에테르실리콘 등의 불소유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전체 유상 총량에 대하여 성분 (A) 를 포함하는 액체의 유성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5∼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65 중량% 이다. 이 범위 내이면, 양호한 외관 및 우수한 유화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유상에는 성분 (A), (B), (D) 및 (E) 이외에, 상기 탄화 수소유, 실리콘유, 불소유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 (B) 의 스핀고신류는, 상기 일반식 (1) 로 표시되는 것이다.
식중, R1 은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4∼30,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7∼22 의 직사슬, 분기사슬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이다. 이 중, 탄소수 10∼2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Y 측 말단에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탄소수 10∼2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로, 분기사슬 알킬기의 경우는 분기사슬이 메틸분기인 것 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데실기, 테트 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스테아릴기, 1-히드록시트리데실기, 1-히드록시펜타데실기, 이소헥사데실기, 이소스테아릴기가 바람직하다.
Y 는 메틸렌기(CH2), 메틴기(CH) 또는 산소원자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X1, X2 및 X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고, X4 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글리세릴기, 인접하는 산소원자와 하나로 되어 옥소기를 형성하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이들 중, X1, X2 및 X3 중 0∼1 개가 히드록실기이고, 나머지가 수소원자 및 X4 가 수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Y 가 메틴기일 때, X1 과 X2 중 어느 일방만이 수소원자이고, 타방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X4 가 옥소기를 형성할 때, X3 는 존재하지 않는다.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R3 는 수소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a 는 2 또는 3 인 수를 나타내고, a 가 2 일 때 R 은 R4 및 R5 를 나타내고, a 가 3 일 때 R 은 R4, R5 및 R6 을 나타낸다.
R4,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아미디노기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고 있 어도 되는 총탄소수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탄화수소기로 치환할 수 있는 히드록시알콕시기로서는, 탄소수 1∼7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히드록시알콕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기로서는 탄소수 1∼7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다. R4, R5 및 R6 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원자; 메틸, 에틸, 프로필, 2-에틸헥실, 이소프로필 등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 알킬기; 비닐, 알릴 등의 알케닐기; 아미디노기; 히드록시메틸, 2-히드록시에틸, 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2-히드록시프로필, 2,3-디히드록시프로필, 2-히드록시-3-메톡시프로필, 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1,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 2-메톡시에틸, 1-메틸-2-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프로필, 3-메톡시프로필, 1,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 등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및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1∼6 개가 치환된 총탄소수 1∼8 의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2-히드록시에틸, 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1,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 등의 히드록실기 및 히드록시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1∼3 개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1) 로 표시되는 스핀고신류로서는, 다음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천연 또는 천연형 스핀고신류, 및 그 유도체 (이하, 천연형 스핀고신이라고 기재한다.) 또는 일반식 (3) 으로 표시되는 스핀고신 구조를 가지는 유사형 (이하, 유사 형 스핀고신이라고 기재한다.) 인 것이 바람직하다.
(I)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천연형 스핀고신:
Figure 112005039000258-pat00003
(식중, R11 은 히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7∼19 의 직사슬, 분기사슬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Y1 은 메틸렌기 또는 메틴기를 나타낸다; X11, X12 및 X1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고, X14 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인접하는 산소원자와 하나가 되어 옥소기를 형성하고 (단, Y1 이 메틴기일 때, X11 과 X12 중 어느 일방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타방은 존재하지 않는다. X14 이 옥소기를 형성할 때, X13 는 존재하지 않는다.); R12 는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a 개의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아미디노기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총탄소수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포화 또는 불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 는 2 또는 3 의 수를 나타내고; 파선부는 불포화 결합이 있어도 되는 것 을 나타낸다.
여기서, R11 로서는 탄소수 7∼19 의 직사슬, 분기사슬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3∼15 의 직사슬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a 는 2 가 바람직하고,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천연형 스핀고신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천연의 스핀고신, 디히드로스핀고신, 피토스핀고신, 스핀가디에닌, 데히드로스핀고신, 데히드로피토스핀고신, 및 이들의 N-아세틸체, N-알킬체(예를 들어 N-메틸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스핀고신은 천연형 (D(+)체) 의 광학활성체를 사용해도 되고, 비천연형 (L(-)체) 의 광학활성체를 사용해도 되며, 더욱이 천연형과 비천연형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화합물의 상대 입체배치는, 천연형의 입체배치의 것이어도 되고, 그 이외의 비천연형의 입체배치의 것이어도 되며, 또한, 이들의 혼합물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특히, PHYTOSPHINGOSINE(INCI 명; 8th Edition) 및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039000258-pat00004
(식중, m은 5~17 을 나타내고, l은 1~13 을 나타낸다)
이들은, 천연으로부터의 추출물 및 합성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시판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형 스핀고신의 시판된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D-Sphingosine(4-Sphingenine) (SIGMA-ALDRICH 사), DS-phytosphingosine (DOOSAN 사), phytosphingosine (코스모팜 사) 를 들 수 있다.
(II) 일반식 (3) 으로 표시되는 유사형 스핀고신:
Figure 112005039000258-pat00005
(식중, R13 는 히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0∼22 의 직사슬, 분기사슬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15 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글리세릴기를 나타내고; a 개의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아미디노기를 나타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총탄소수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 는 2 또는 3 의 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R13 으로서는, 탄소수 14∼20 의 이소분기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이소스테아릴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스테아릴기는, 동식물유 유래의 지방산을 사용한 다이머산 제조시의 부생성물 유래의 이소스테아릴알콜을 원료유로 하여 얻어지는 이소스테아릴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a 가 2 일 때 R2 는 R14 및 R15 를 나타내고, a 가 3 일 때 R2 는 R14, R15 및 R16 이다.
R14, R15 및 R16 은, 예를 들어 수소원자; 메틸, 에틸, 프로필, 2-에틸헥실, 이소프로필 등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비닐, 알릴 등의 알케닐기; 아미디노기; 히드록시메틸, 2-히드록시에틸, 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2-히드록시프로필, 2,3-디히드록시프로필, 2-히드록시-3-메톡시프로필, 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1,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 2-메톡시에틸, 1-메틸-2-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프로필, 3-메톡시프로필, 1,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 등의 히드록시, 히드록시알콕시 및 알콕시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는 총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R14 및 R15 중 어느 하나가 수소원자이고, 타방이 2-히드록시에틸, 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1,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인 2 급 아민이 바람직하다.
유사형 스핀고신로서는, R13 이 이소스테아릴기, X15 는 수소원자이고, R14 이 수소원자, R15 이 2-히드록시에틸기, 1,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기, 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기, 또는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기 등의 히드록실기 및 히드록시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1∼3 개가 치환된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형 스핀고신의 구체예로서는, 다음의 유사형 스핀고신 (i)∼(iv) 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5039000258-pat00006
성분 (B) 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0.001∼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5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더욱이 0.01∼3 중량% 인 것이, 보다 우수한 사용감이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 (C) 의 무기산 및 탄소수 5 이하의 유기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성 화합물은, 성분 (B) 의 스핀고신류의 아미노기와 중화반응에 의해 염을 형성하고, 스핀고신류가 카티온화되어 계면 활성제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스핀고신류의 염은, 통상 화합물의 구조를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적외 흡수 분광법이나 프로톤 핵자기공명 분광법 등을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성분 (C) 는, 25℃ 에서의 0.1mol/L 수용액의 pH 가 1 이상 7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pH1∼6.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C) 중 무기산으로서는, 인산, 염산, 질산, 황산, 과염소산, 탄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으로서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발레르산등의 모노카르복시산; 숙신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말론산, 글루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글리콜산, 시트르산, 락트산, 피루브산, 말산, 타르타르산 등의 옥시카르복시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의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C) 로서는, 인산, 염산, 숙신산, 시트르산, 락트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락트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이 바람직하다.
성분 (C) 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0.001∼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3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C) 는 (B) 스핀고신류의 아민을 카티온화하기 위해서, 성분 (B) 1 몰에 대하여 0.3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5 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3 몰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성분 (B) 와 등몰 혼합한 수용액의 pH 가, 25℃ 에서 2∼6 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탈산염 표준액으로 보정 후, HORIBA pH METER F-22 로 측정).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A), (B) 및 (C) 의 질량 비율 (A)/((B)+(C))은 0.1∼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70 인 것이 보다 바람직 하고, 0.5∼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0 인 것이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D) 의 콜레스테롤 또는 피토스테롤은, 스핀고신류및 산성 화합물과 동시에 계면에 편재하여 유화 보조제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저온 및 고온 보존하에서도 유상과 수상의 계면을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여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킨다고 생각된다.
성분 (D) 로서,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성분 (D) 의 함유량은, 0.05∼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10 중량% 인 것이, 보다 우수한 안정성 및 감촉이 얻어지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유상 총량에 대하여 성분 (D) 가 차지하는 비율이 0.1∼8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6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 중량% 인 것이 유화 안정성의 향상을 볼 수 있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B), (C) 및 (D) 의 질량비율 ((B)+(C))/(D) 은, 0.001∼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30 인 것이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A) 및 (D) 의 질량 비율 (A)/(D) 은, 0.05∼7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3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20 인 것이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은, 상기 성분 (A)∼(D) 이외에 성분 (E) 로서 25℃ 에서 반고체 또는 고체 형상의 유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고, 유화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25℃ 에서 반고체 또는 고체 형상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등의 고급알코올;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미리스틴산 등의 고급지방산;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토스테릴, 스테아르산스테아릴, 미리스틴산미리스틸, 팔미트산세틸 등의 지방산에스테르; 바세린, 라놀린, 세레신, 밀랍,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수소첨가 호호바유 등의 왁스ㆍ납;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4666호에 기재된 다음 일반식 (4) 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5039000258-pat00007
(식중,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실기 및/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3 은 탄소수 1∼42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성분 (E) 로서는, 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토스테릴, 바세린, 칸데릴라 왁스, 상기 일반식 (4) 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이,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세트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아미드 화합물 (4) 을 함유함으로써, 보습 효과, 물의 증산을 막는 등의 배리어-기능이 향상되어, 보다 사용감이 우수한 것이 된다.
성분 (E) 는, 유상의 유동성을 억제함으로써, 유화의 안정성을 더욱 높인다고 생각된다.
성분 (E) 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0.01∼4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2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5 중량% 인 것이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수상의 양은, 전체 조성 중에 20∼99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99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상에는 물 이외의 성분으로서, 물에 용해되는 성분, 예를 들어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코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알코올; 소르피톨,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신베타인, 자일리톨, 트레할로스, 우레아, 아미노산 등의 보습제; 잔탄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구아검 등의 수용성 고분자; 유칼리나무엑기스, 푸커스(해초)엑기스, 아스날로엑기스, 도그패늘(개꽃)엑기스, 오이풀엑기스, 차엑기스 등의 식물 추출 엑기스;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염, 글리틸리틴산염, 비타민 등의 수용성 약효제;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 등의 금속염류; 시트르산, 숙신산, 시트르산3나트륨 등의 pH 완충제; 메틸파라벤, 데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의 화장료나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다공질셀룰로오스 파우더, 다공질나일론 파우더 등의 유기 분체; 가교형 실리콘 분말, 가교형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분체; 무수실리카,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철 등의 무기 분체; 멘톨, 캄퍼(장뇌) 등의 청량제; 자외선방어제, 산화방지제, 향료, 살균제, 색소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는, 유화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는 필요없지만, 유효 성분의 안정화, 분체 등의 분산 등의 목적을 위해, 필요에 따라 함유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은, 예를 들어, 성분 (A), (B), (D) 및 필요에 따라 성분 (E) 를 융점 이상으로 가열 용해하여 유상으로 한 것에, 온도를 유지하면서, 미리 성분 (C) 를 물에 용해한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은 25℃ 에서 직접 측정하였을 때의 pH 가 3∼7 인 것이 바람직하고, pH4∼6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은, 화장료, 의약품, 입욕제, 청식제, 두피 케어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수, 유액, 크림, 미용액 등의 기초 화장료; 기초 화장료, 파운데이션, 컨트롤컬러, 아이컬러, 마스카라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헤어크림, 헤어트리트먼트 등의 모발용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1∼7, 비교예 1∼4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얻어진 유화 조성물에 대해서, 외관, 보존 안정성 및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또한, 조성물의 pH 를, 각 성분을 혼합하여, 25℃ 에서 직접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함께 나타낸다.
(제조 방법)
성분 (1)∼(10) 을 80∼90℃ 로 가열 용해한 후, 이것에 교반 (300r/min) 하면서, 별도 80∼90℃ 에서 성분 (11)∼(14) 를 미리 균일하게 가열 용해한 것을 첨가하였다. 호모 믹서에 넣은 후,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여,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얻었다.
(평가방법)
(1) 외관
10 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관능 평가에 의해, 각 조성물이 반들반들하고 균일한 상태인지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외관의 윤기」가 매우 양호: 5점, 양호: 4점, 보통: 3점, 약간 불량: 2점, 불량: 1점으로 하고, 10명에 의한 평균점이 4.5점 이상을 ◎, 3.5점 이상 4.5점 미만을 ○, 2.5점 이상 3.5점 미만을 △, 2.5점 미만을 × 로 하여 나타내었다.
(2) 보존 안정성:
각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50㎖ 들이 유리병에 충전하고, 40℃, 25℃ 및 5℃ 로 각각 3 개월간 정치 보존한 후, 육안 및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조제 직후의 유화상태와 비교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변화없음.
○: 약간 변화가 보인다 (광학 현미경하에서 입자의 합일이 보인다).
△: 조금 변화가 보인다 (약간 오일 부상, 크리밍, 약한 겔화가 인정된다).
×: 확실한 변화가 확인된다 (오일 분리, 크리밍, 겔화가 인정된다).
(3) 사용감:
10 명의 전문 패널리스트가 각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의「도포시의 피부에 대한 화성」, 「도포시에 기름기 없음」, 「도포 후에 피부의 끈적거림 없음」에 대해서 관능 평가하여, 다음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 9명 이상이 양호 (좋다) 라고 평가하였다.
○: 7∼8명이 양호 (좋다) 라고 평가하였다.
△: 4∼6명이 양호 (좋다) 라고 평가하였다.
×: 3명 이하가 양호 (좋다) 라고 평가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3 4
A (1)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0.5 3 5 3 2 1 3 3 0.05 3
(2)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5 3
B
(3) 유사형 스핀고신*1 0.04 0.2 3 0.5 0.1 0.6 1 0.2
(4) 피토스핀고신 0.1 1 2
D
(5) 콜레스테롤 0.2 0.5 10 0.25 1.5 1 0.5 0.5 1
(6) 피토스테롤 0.5 2 0.5
E
(7) 바세린 5 2 5
(8) 스테아릴알코올 2 1 2

(9) 스쿠알란 5 2 1 1 1
(10) 메틸폴리실록산(20cs) 2 15 2 1 15
C
(11) L-글루타민산 0.1 0.02 1.3 0.2 0.05 0.3 0.4 0.1
(12) 락트산 0.1 0.5 1

(13)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14)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전체 유상 총량에 대한
액체유의 비율 (중량%)
63 74 54 74 50 44 11 80 87 3.2 94
A/(B+C) 의 비 2.5 50 33 2 0.4 2.9 6.7 - 3.3 3.6 10
D 가 전체 유상 총량에
차지하는 비율 (중량%)
25 25 45 0.8 14 17 11 20 0 32 5.2
외관 ×
pH 4 5 4 4 5 6 5 7 5 5 5
보존 안정성: 40℃, 3개월 - × ×
25℃, 3개월 - ×
5℃, 3개월 -
사용감
(도포시의 피부에 대한 화성)
- × × ×
(도포시에 기름기 없음) - × ×
(도포후에 피부의 끈적거림 없음) - ×
1; 일반식 (3) 에 있어서, R13 이 이소스테아릴기, X15 가 수소원자, a 가 2, R14 가 2-히드록시에틸기, R15 가 수소원자인 것.
표 1 의 결과로부터 분명하듯이, 실시예 1∼7 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은 어느 것이나, 외관, 40℃, 25℃ 및 5℃ 의 보존 안정성, 사용감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성분 (B) 와 (C) 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은 조제 직후의 시점에서 기름이 균일하게 유화되지 않았다. 성분 (D) 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는, 윤기가 없고 외관이 떨어지며, 유화 상태의 안정성이나 사용감도 나빴다. 전체 유상 총량에 대하여 성분 (A) 를 함유하는 액체의 유성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5% 미만인 비교예 3 은, 저온 보존하에서의 유화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감도 끈적거림이 있고 화성이 낮은 것이었다. 또한, 액체의 유성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90% 를 초과하는 비교예 4 는, 외관이나 유화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감도 기름기 많은 끈적거리는 것이엇다.
실시예 8 (화장수)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의 화장수를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얻어진 화장수는 pH4 이고, 외관, 안정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제조방법)
성분 (1)∼(3) 을 80∼90℃ 에서 가열 용해하고, 교반(300r/min)하면서, 80∼90℃ 에서 성분 (4)∼(12), (14) 를 미리 균일하게 가열 용해한 것을 첨가하였다.
호모 믹서에 넣은 후, 교반하면서 35℃ 까지 냉각하여 성분 (13) 을 첨가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성분) (중량%)
B (1) 피토스핀고신 (코스모팜사) 0.2
D (2) 피토스테롤 (타마 생화학사) 0.2
A (3)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0.5
(4) 글리세린 5
(5) 트레할로스 1
(6) 디프로필렌글리콜 3
(7) 히드록시프로필구아검 1
C (8) L-아스파라긴산 0.1
(9) 에틸파라벤 0.1
(10) 앨시어엑기스 0.1
(11) 유자 추출액 0.1
(12) 아스날로엑기스 0.5
(13) 에탄올 0.2
(14) 정제수 잔량
실시예 9 (유액)
표 3 에 나타내는 조성의 유액을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얻어진 유액은 pH6 이고, 외관, 안정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제조방법)
성분 (1)∼(9) 를 80∼90℃ 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것에 교반(300r/min)하면서, 80∼90℃ 에서 성분 (10)∼(18) 을 가열 용해한 것을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호모 믹서로 유화한 후,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여, 유액을 얻었다.
(성분) (중량%)
B (1) 피토스핀고신 (코스모팜사) 0.4
A (2) (이소스테아르산ㆍ미리스틴산)글리세릴 2
D (3) 피토스테롤 (리켄 비타민사) 1
(4) 메틸폴리실록산 (10cs) 10
E (5) 이소스테아르산피토스테릴 2
A (6)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디(피토스테릴ㆍ2-옥틸도데실)
3
E (7) 세틸알콜 1
(8)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2 1
E (9) 팔미트산 0.5
(10) 글리세린 10
(11) 글리신베타인 (아사히카세이사) 1
C (12) 락트산 0.1
(13) 하마멜리스엑기스 0.3
(14) 앨시어엑기스 0.2
(15) 유카리엑기스 0.2
(16) 황벽엑기스 0.1
(17) 메틸파라벤 0.2
(18) 정제수 잔량
*2; FOMBLIN HC (아우시몬트사)
실시예 10 (크림)
표 4 에 나타내는 조성의 크림을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은 pH6 이고, 외관, 안정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제조방법)
성분 (1)∼(11) 을 80∼90℃ 로 가열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이것에 교반 (300r/min) 하면서, 80∼90℃ 에서 성분 (12)∼(22) 를 가열용해한 것을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호모 믹서에 넣은 후,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고, 크림을 얻었다.
(성분) (중량%)
B (1) 유사형 스핀고신*1 0.2
B (2) 피토스핀고신 (코스모팜사) 0.3
A (3)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3
A (4) 올리브유 5
E (5) 디아미드화합물*3 2
E (6) 스테아릴알콜 2
D (7) 피토스테롤 (타마 생화학사) 1
D (8) 콜레스테롤 1
E (9)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2
E (10) 스테아르산 0.3
(11) 메틸폴리실록산 (50cs) 5
(12) 글리세린 15
C (13) L-글루타민산 0.2
(14) 폴리에틸렌글리콜 1540 (산요카세이사) 3
(15) 1,3-부틸렌글리콜 2
(16) 페녹시에탄올 2
(17) 메틸파라벤 0.1
(18) 로얄젤리엑기스 0.3
(19) 푸커스엑기스 0.1
(20) 아스날로엑기스 0.1
(21) 향료 미량
(22) 정제수 잔량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4666호에 기재된 화합물
Figure 112005039000258-pat00008
실시예 11 (미용액)
표 5 에 나타내는 조성의 미용액을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얻어진 미용액은 pH5 이고, 외관, 안정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제조방법)
성분 (1)∼(9) 를 80∼90℃ 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이것에 교반 (300 r/min) 하면서, 80∼90℃ 에서 성분 (10)∼(21) 을 가열 용해한 것을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호모 믹서에 넣고,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여, 미용액을 얻었다.
(성분) (중량%)
B (1) 유사형 스핀고신*1 0.8
A (2) 마카데미아넛유 4
A (3) 미리스틴산미리스틸 2
(4) 토코페롤 0.1
(5) 메틸폴리실록산 (2cs) 10
A (6) 호호바유 3
D (7) 유동 파라핀 1
(8) 피토스테롤 (타마 생화학사) 3
(9) β-카로틴 미량
(10) 디프로필렌글리콜 5
(11) 히알루론산나트륨 0.2
(12)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4 0.6
(13)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0.2
C (14) L-글루타민산 0.4
(15) 에데트산나트륨 0.05
(16) 메틸파라벤 0.2
(17) 차 추출물 0.1
(18) 버넷엑기스 0.2
(19) 아스날로엑기스 0.5
(20) 도그패늘엑기스 0.5
(21) 정제수 잔량
*4; 메트로즈 60SH-1000 (신에츠 화학사)
실시예 12 (선케어 크림)
표 6 에 나타내는 조성의 선케어 크림을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얻어진 선케어 크림은 pH5 이고, 외관, 안정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제조방법)
성분 (1)∼(10) 을 80∼90℃ 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이것에 교반 (300r/min) 하면서, 80∼90℃ 에서 성분 (11), (12), (14)∼(16) 을 가열 용해한 것을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호모 믹서에 넣은 후, 교반하면서 35℃ 까지 냉각하여 성분 (13) 을 첨가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선케어 크림을 얻었다.
(성분) (중량%)
B (1) 유사형 스핀고신*1 2
E (2)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2
(3)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5원환) 15
A (4)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5
A (5) 벤조산알킬 (C12∼C15) 2
D (6) 콜레스테롤 2
D (7) 피토스테롤 (타마 생화학사) 1
E (8) 황색밀랍 3
E (9) 베헤닐알코올 3
(10) 메틸폴리실록산 (10cs) 5
(11) 글리틸리틴산디칼륨 0.5
(12) 글리세린 5
(13) 에탄올 3
(14) 메틸파라벤 0.2
C (15) L-글루타민산 1
(16) 정제수 잔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은, 에스테르유를 안정적으로 유화할 수 있고,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더라도 유화 상태를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윤기가 있어 외관이 양호하고, 사용감도 우수한 것이다.

Claims (9)

  1. 하기 성분 (A), (B), (C) 및 (D):
    (A) 분자량 350∼1000의 모노에스테르유, 디에스테르유, 트리에스테르유 또는 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 유지,
    (B) 천연의 스핀고신, 디히드로스핀고신, 피토스핀고신, 스핀가디에닌, 데히드로스핀고신, 데히드로피토스핀고신 및 이들의 N-아세틸체, N-알킬체, 및 하기 유사형 스핀고신 (i)∼(iv)
    Figure 112013017179812-pat00011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스핀고신류,
    (C) 인산, 염산, 숙신산, 시트르산, 락트산, 글루타민산 및 아스파라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산성 화합물,
    (D) 콜레스테롤 또는 피토스테롤
    을 함유하고, 전체 유상 총량에 대하여 성분 (A) 를 함유하는 액체의 유성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5∼80 중량% 인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B) 및 (C) 의 질량 비율이 (A)/((B)+(C))=0.1∼50 인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유상 총량에 대하여 성분 (D) 가 차지하는 비율이 0.1∼80 중량% 인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 왁스ㆍ납 및 하기 일반식 (4) 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성분 (E) 를 함유하는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로서, 상기 고급알코올이 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및 미리스틸알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코올이고, 상기 고급지방산이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및 미리스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인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Figure 712014000857050-pat00012
    (식중,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2-히드록시에틸기, 메틸기, 도데실기 또는 2-메톡시에틸기를 나타내고,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기 또는 트리메틸렌기를 나타내고, R23 은 7,12-디메틸옥타데카메틸렌기, 7,12-디메틸-7,11-옥타데카디에닐렌기, 옥타데카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데카메틸렌기, 운데카메틸렌기 또는 트리데카메틸렌기를 나타낸다).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및 (D) 의 질량 비율 (A)/(D) 이 0.1~30 인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1) 성분 (A), (B) 및 (D)를 함유하는 유상을 융점 이상에서 가열 용해시키는 단계,
    (2) 성분 (C)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3) 가열된 성분 (C)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가열 용해된 성분 (A), (B) 및 (D)를 함유하는 유상에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5 항 기재된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1) 성분 (A), (B), (D) 및 (E)를 함유하는 유상을 융점 이상에서 가열 용해시키는 단계,
    (2) 성분 (C)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3) 가열된 성분 (C)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가열 용해된 성분 (A), (B), (D) 및 (E)를 함유하는 유상에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50065233A 2004-07-20 2005-07-19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KR101422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1024A JP2006028109A (ja) 2004-07-20 2004-07-20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JP-P-2004-00211024 2004-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893A KR20060053893A (ko) 2006-05-22
KR101422276B1 true KR101422276B1 (ko) 2014-07-22

Family

ID=3510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233A KR101422276B1 (ko) 2004-07-20 2005-07-19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18866A1 (ko)
EP (1) EP1627623B1 (ko)
JP (1) JP2006028109A (ko)
KR (1) KR101422276B1 (ko)
CN (1) CN1723872B (ko)
DE (1) DE602005001478T2 (ko)
TW (1) TWI3796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2470B2 (ja) * 2007-05-01 2014-03-05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セラミド溶液及び皮膚外用剤
US8029771B2 (en) * 2007-06-29 2011-10-04 Mary Kay Inc. Guar gum containing compounds
EP2070429A1 (de) * 2007-12-13 2009-06-17 Cognis IP Management GmbH Oxidative Stabilisierung von Sterolen und Sterolestern
KR101640857B1 (ko) * 2009-11-30 2016-08-0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개선용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5743479B2 (ja) * 2010-10-07 2015-07-01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US8920859B2 (en) 2011-03-21 2014-12-30 Diageo Great Britain Ltd. Stigmasterol-rich phytosterol composition and use
US20130017299A1 (en) * 2011-07-12 2013-0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ble dispersion of sterols in aqueous solutions comprising an oil
DE102012213940A1 (de) * 2012-08-07 2014-02-13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Kokosestern zur Hautbefeuchtung
US20160310380A1 (en) * 2015-04-24 2016-10-27 Michael David Bergsma Personal Lubricant Containing Volatile Fatty Acids
EP3369414A1 (en) * 2017-03-01 2018-09-05 The Boots Company PLC Cosmetic skincare compositions
KR102083350B1 (ko) * 2017-12-06 2020-03-02 (주)아모레퍼시픽 순간 유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20015677A (ja) * 2018-07-24 2020-01-30 ロート製薬株式会社 コレステロール及び/又はフィトステロールを含有する外用組成物
US20200345611A1 (en) * 2019-04-30 2020-11-05 Evonik Operations Gmbh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ceramide, at least one sphingoid base and triethyl citrate
CN111888276B (zh) * 2019-05-06 2021-05-04 太和康美(北京)中医研究院有限公司 含有植物甾醇添加剂的护唇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5536A (en) * 1994-12-07 1997-06-03 Pharmacia & Upjohn Aktiebolag Emulsion suitable for administering a sphingolipid
KR19990078610A (ko) * 1999-07-03 1999-11-05 김현준 피부보호용조성물
KR20020025309A (ko) * 2000-09-28 2002-04-04 김해관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JP2002114666A (ja) * 2000-10-05 2002-04-16 Kao Corp 皮膚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3056A (en) * 1971-03-05 1973-11-20 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hair with stable methylol compounds
KR100454757B1 (ko) * 1996-07-02 2004-12-30 포라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노화방지제및피부화장료
DE69732796T2 (de) * 1996-10-08 2006-05-04 Kao Corp. Antifaltenmittel
US6685953B1 (en) * 1999-04-08 2004-02-03 Kao Corporation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s
US20030095959A1 (en) * 2000-11-21 2003-05-2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Topical skin composition
TWI230073B (en) * 2001-12-10 2005-04-01 Kao Corp Ceramide emulsifier
JP4188150B2 (ja) * 2003-06-10 2008-11-26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4188149B2 (ja) * 2003-06-10 2008-11-26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2005002020A (ja) * 2003-06-10 2005-01-06 Kao Corp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1153576B1 (ko) * 2003-06-10 2012-06-11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5536A (en) * 1994-12-07 1997-06-03 Pharmacia & Upjohn Aktiebolag Emulsion suitable for administering a sphingolipid
KR19990078610A (ko) * 1999-07-03 1999-11-05 김현준 피부보호용조성물
KR20020025309A (ko) * 2000-09-28 2002-04-04 김해관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JP2002114666A (ja) * 2000-10-05 2002-04-16 Kao Corp 皮膚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7623A1 (en) 2006-02-22
TW200615005A (en) 2006-05-16
TWI379692B (en) 2012-12-21
CN1723872A (zh) 2006-01-25
DE602005001478D1 (de) 2007-08-09
KR20060053893A (ko) 2006-05-22
US20060018866A1 (en) 2006-01-26
EP1627623B1 (en) 2007-06-27
DE602005001478T2 (de) 2008-02-28
JP2006028109A (ja) 2006-02-02
CN1723872B (zh)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276B1 (ko)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JP3609834B2 (ja) 皮膚外用剤
US20020146375A1 (en) Cosmetic or pharmaceutical lecithin-containing gels or low viscosity lecithin-containing O/W microemulsions
JPH1053510A (ja) 外用組成物
US6328983B1 (en) Use of a silicone gum to stabilize ascorbic acid, and novel compositions comprising these components
JP2011195510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組成物
JP2005503347A (ja) 皮膚のバリヤー機能を増強するための電解質の使用
JPH0761907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3865300B2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EP1317238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a vitamin c component and pigment
JP6418626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油中水型乳化化粧料
WO2020066895A1 (ja) 皮膚化粧料用組成物
JP2014019645A (ja) 化粧料
JP3902174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4515109B2 (ja) 脂質分解促進効果を有する皮膚外用剤および繊維
WO2023068065A1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3220177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TW202308591A (zh) 化妝料
US8173112B2 (en) Emulsified composition for hair
JPH08183724A (ja) 皮膚化粧料
JP2004067626A (ja) 外用剤組成物
EP3960245A1 (en) Adenosine phosphate-containing o/w type emulsion composition having low viscosity
JP2010030933A (ja) 皮膚外用剤
CN113825485B (zh) 改善的快速破裂油包水乳液
JP3634139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