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119B1 - 친환경 납골묘 - Google Patents

친환경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119B1
KR101421119B1 KR1020130068429A KR20130068429A KR101421119B1 KR 101421119 B1 KR101421119 B1 KR 101421119B1 KR 1020130068429 A KR1020130068429 A KR 1020130068429A KR 20130068429 A KR20130068429 A KR 20130068429A KR 101421119 B1 KR101421119 B1 KR 10142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trusions
rainwater
ash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택
Original Assignee
일심석재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심석재건설(주) filed Critical 일심석재건설(주)
Priority to KR102013006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는, 지면(1) 하부에 절개된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바닥이 평평하도록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형성된 회기초(100)와; 상기 회기초(100)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01)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본체부(210) 상면에 본체부(21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본체부(210) 상부 둘레에 빗물배출홈(221)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빗물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굴착공간(2) 주변의 지면(1)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출부(220)와, 각 돌출부(22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본체부(210) 저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유골삽입홀(230)로 구성되어 있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각 돌출부(220)를 덮으며, 돌출부(220)와 동일한 평면 크기의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천판(300)과; 평면상에서 상기 본체(200)의 상면을 다수 개로 분할하는 다수 개로 이루어져 있되, 측면에서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가 다수 개의 천판(300)을 덮도록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덮개(400)와; 상기 유골삽입홀에 삽입되는 유골(510)을 덮는 토사층(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유골의 자연분해형 납골묘에 있어서 각각의 유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부분마다 본체의 상면을 돌출시켜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는 본체의 둘레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 인접한 돌출부끼리 상호 이격시켜 각각 빗물배출홈과 빗물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유골삽입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납골묘{Friendly envorionmental charnel tomb}
본 발명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유골삽입홀을 덮는 천판이 적재되는 부분의 본체를 상부로 돌출시키되, 서로 이격시켜 빗물가이드홈을 형성하는 한편, 돌출부를 본체보다 작게 형성하여 돌출부 둘레에 빗물배출홈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유골삽입홀로 최대한 유입되지 않도록 한, 친환경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좁은 국토에서 분묘가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증대되는 문제의 심각성을 국민 대다수가 제대로 인식함에 따라 선진국 형 화장 문화가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 결과, 주요 공원묘지 구역 내에는 별도의 납골당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납골당은 화장 후 유골을 일정 크기의 납골함에 넣고 밀봉한 다음 이를 별도 보관 시설 내에 모아두는 곳이다.
상기 납골함은 통상 항아리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내부에 벌레가 생겨 유족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곤 했다.
근래에는 상기 납골함 내부에 벌레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사후에 자연으로 돌아가야 할 유골들이 항아리 속에서 오랜 세월을 갇혀 지내야 하는 점은 근본적이고도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골이 흙 속에 매장된 상태로 된 납골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931호, 특허문헌 1)에는 지상 조형물 아래에 흙과 함께 유골이 보관된 지하 유골 보관실을 설치함으로써 유골이 자연스럽게 흙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구조를 취해 후손들로 하여금 그 도리를 다한다는 개념을 제공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 역시 "환경친화적 계단식 납골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148호, 특허문헌 2)에서 다수의 단을 갖춘 석회기초 위에 저면까지 관통된 유골구멍을 갖는 납골석과 비석을 갖춘 납골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부모의 유골을 자연으로 되돌아가게 한다는 측면 뿐만 아니라 풍수 지리설에 따른 묘자리의 위치 역시 중요시하는 바, 종종 조상의 묘를 이장하는 일이 있다.
그런데, 종래 유골을 자연 분해시키는 납골묘의 경우 덮개를 따라 유골이 유골설치홀로 유입되는 일이 잦아 유골이 위치한 곳의 흙과 유골의 혼합물 상태가 습하고 이에 따른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바 이장시키는 후손들로 하여금 조상의 묘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을 들게 하고, 이장을 위한 혼합물 상태가 나빠 이장 과정에서 부패한 냄새를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06931 (2006.01.17) KR 20-0420148 (2006.06.22)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골의 자연분해형 납골묘에 있어서 각각의 유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부분마다 본체의 상면을 돌출시켜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는 본체의 둘레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 인접한 돌출부끼리 상호 이격시켜 각각 빗물배출홈과 빗물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유골삽입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빗물가이드홈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빗물 유입을 가일층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천판의 크기를 돌출부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는 한편 돌출부 둘레로 돌출된 둘레돌출부의 저면은 중앙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함으로써 빗물이 천판을 따라 천판 저부로 흘러 유골삽입홀로 유입되지 않고 천판 끝단에서 하향 낙하하여 유골삽입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납골묘를 계단식으로 설치하되, 양측의 난간부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본체를 한번에 눌러 우천이나 홍수 등에 의해 납골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성을 가져 부분적인 침하에 따른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시공 과정에서 돌기나 홈을 이용한 끼워맞춤이나, 볼트, 콘크리트 타설 등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본체들을 하나씩 굴착공간에 설치한 후 마무리로 난간부재를 얹히는 과정만 거치면 되므로 종래의 계단식 납골묘에 비해 시공이 훨씬 용이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난간부재와 본체 사이의 공간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설치하여 난간부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나아가 미끄럼방지부재를 회반죽 모르타르로 채워 양생함으로써 난간부재와 유닛석재들이 일체로 연결되어 전체가 일체로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부분 침하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면(1) 하부에 절개된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바닥이 평평하도록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형성된 회기초(100)와; 상기 회기초(100)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01)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본체부(210) 상면에 본체부(21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본체부(210) 상부 둘레에 빗물배출홈(221)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빗물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굴착공간(2) 주변의 지면(1)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출부(220)와, 각 돌출부(22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본체부(210) 저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유골삽입홀(230)로 구성되어 있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각 돌출부(220)를 덮으며, 돌출부(220)와 동일한 평면 크기의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천판(300)과; 평면상에서 상기 본체(200)의 상면을 다수 개로 분할하는 다수 개로 이루어져 있되, 측면에서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가 다수 개의 천판(300)을 덮도록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덮개(400)와; 상기 유골삽입홀에 삽입되는 유골(510)을 덮는 토사층(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빗물가이드홈(222)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부(2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천판(300)은 상기 돌출부(220)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돌출부(310)의 저면은 끝단으로부터 상기 돌출부(220)와 접하는 부분까지 중앙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외곽경사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경사지(3)의 하부에 절개된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상면이 일정한 비율로 높아지고, 동일한 폭을 갖는 다수 개의 단(11)으로 이루어진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형성된 회기초(10)와; 상기 회기초(100)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 재질로 이루어져 있되, 0.5 ~ 1.5m 높이를 가지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01)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본체부(210) 상면에 본체부(21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본체부(210) 상부 둘레에 빗물배출홈(221)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빗물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굴착공간(2) 주변의 지면(1)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출부(220)와, 각 돌출부(22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본체부(210) 저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유골삽입홀(230)과, 상기 본체부(210)의 양측면에 본체부(210)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본체부(210)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되, 상단은 본체부(210) 높이보다 낮게 이루어져 있어 상부에 난간지지공간(241)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돌출부(240)로 이루어져 있고, 바닥면이 상기 회기초(10)의 각 단(11)에 안착되어 있으며, 각각 전면과 배면이 서로 맞닿아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각 돌출부(220)를 덮으며, 돌출부(220)와 동일한 평면 크기의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천판(300)과; 평면상에서 상기 본체(200)의 상면을 다수 개로 분할하는 다수 개로 이루어져 있되, 측면에서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가 다수 개의 천판(300)을 덮도록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덮개(400)와; 상기 유골삽입홀에 삽입되는 유골(510)을 덮는 토사층(500)과; 최전방의 본체(200)로부터 최후방의 본체(200) 길이에 대응되며, 양측의 난간지지공간(241)에 위치한 채 각 좌우돌출부(240)의 전방측 모서리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는 난간부재(30)와; 상기 난간부재(30)의 하부와 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 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상기 난간부재(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0)는 상기 난간부재(30)의 하부와 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 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면 사이의 공간에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상기 난간부재(30), 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 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유골의 자연분해형 납골묘에 있어서 각각의 유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부분마다 본체의 상면을 돌출시켜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는 본체의 둘레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 인접한 돌출부끼리 상호 이격시켜 각각 빗물배출홈과 빗물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유골삽입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빗물가이드홈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빗물 유입을 가일층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천판의 크기를 돌출부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는 한편 돌출부 둘레로 돌출된 둘레돌출부의 저면은 중앙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함으로써 빗물이 천판을 따라 천판 저부로 흘러 유골삽입홀로 유입되지 않고 천판 끝단에서 하향 낙하하여 유골삽입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납골묘를 계단식으로 설치하되, 양측의 난간부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본체를 한번에 눌러 우천이나 홍수 등에 의해 납골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성을 가져 부분적인 침하에 따른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시공 과정에서 돌기나 홈을 이용한 끼워맞춤이나, 볼트, 콘크리트 타설 등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본체들을 하나씩 굴착공간에 설치한 후 마무리로 난간부재를 얹히는 과정만 거치면 되므로 종래의 계단식 납골묘에 비해 시공이 훨씬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난간부재와 본체 사이의 공간에 미끄럼방지부재를 설치하여 난간부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나아가 미끄럼방지부재를 회반죽 모르타르로 채워 양생함으로써 난간부재와 유닛석재들이 일체로 연결되어 전체가 일체로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부분 침하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본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가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본체의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서 난간부재 저면에 요철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은 크게 회기초(100), 본체(200), 천판(300), 덮개(400), 토사층(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회기초(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면(1) 하부에 절개된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바닥이 평평하도록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기초(100)는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본체(200)는 본체부(210), 돌출부(220), 유골삽입홀(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210)는 상기 회기초(100)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돌출부(220)은 상기 본체부(201)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본체부(210) 상면에 본체부(21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210) 상부 둘레에는 돌출부(220)의 측면과 이격된 빗물배출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한 돌출부(220)는 도시된 것처럼 높이가 낮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부(210)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아울러, 각 돌출부(220)들은 서로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빗물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20)들은 시공 상태에서 도시된 것처럼 굴착공간(2) 주변의 지면(1) 상부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유골삽입홀(230)은 각 돌출부(22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본체부(210) 저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천판(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의 각 돌출부(220)를 덮으며, 돌출부(220)와 동일한 평면 크기의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천판(300)은 각각의 유골삽입홀(23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400)는 평면상에서 상기 본체(200)의 상면을 다수 개로 분할하는 다수 개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서로 인접한 덮개(400)는 측면에서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덮개(400)는 하나가 다수 개의 천판(300)을 덮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 역시 자연석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덮개(400)에는 상부에 미도시된 비석을 설치하여 비교적 무게가 작은 천판(300) 및 덮개(400)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인의 이름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골삽입홀(230)에는 하부에 유골(510)이 삽입되고, 그 상부에는 유골(510)의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토사층(500)이 적재된다.
이러한 구성은 돌출부(220)가 지면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220)의 둘레에는 빗물배출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한 돌출부(220) 사이에는 빗물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는 바, 빗물이 유골삽입홀(230)로 유입되지 않고 배수되는 것을 촉진시키게 된다.
이때, 배수의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가이드홈(222)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부(223)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천판(300)은 상기 돌출부(220)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돌출부(310)의 저면은 끝단으로부터 상기 돌출부(220)와 접하는 부분까지 중앙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외곽경사부(311)가 형성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둘레돌출부(310)의 끝단에서 하부의 빗물배출홈(221)이나 빗물가이드홈(222)으로 떨어져 원할히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친환경 납골묘는 도 1과 같은 1열의 장방형으로 본체(200)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 개의 행과 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5 내지 6에 나타난 것처럼 계단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본체(200)를 하나의 열로 구성하고, 동일한 크기의 본체(200) 여럿을 적층시키고, 난간부재(30)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본체(200)를 한번에 눌러 우천이나 홍수 등에 의해 납골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성을 가져 부분적인 침하에 따른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시공 과정에서 돌기나 홈을 이용한 끼워맞춤이나, 볼트, 콘크리트 타설 등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본체(200)들을 하나씩 굴착공간(2)에 설치한 후 마무리로 난간부재(30)를 얹히는 과정만 거치면 되므로 종래의 계단식 납골묘에 비해 시공이 훨씬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보다 구체적으로 회기초(10)가 도시된 것처럼 경사지(3)의 하부에 절개된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면이 일정한 비율로 높아지고, 동일한 폭을 갖는 다수 개의 단(11)으로 이루어진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역시 석회와 흙을 혼합한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형성된다.
이때, 경사지(3)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곳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지에 설치할 때에 인공적으로 조성될 수도 있다.
회기초(10)의 저면은 도시된 것처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면 역시 다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지형에 따라 저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면은 돌출된 각 단의 높이가 일정한 비율로 높아져 각 단의 높이 차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며, 각 단의 폭과 너비 역시 일정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각 단의 높이 차와 폭이 일정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후술하는 난간부재(30)는 각 본체(20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하중이 지지되게 된다.
이때, 회기초(10)는 바닥 다짐을 실시한 후에 설치되어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좋다.
아울러, 회기초(10)는 선택적으로 단순히 자갈 채움 뒤 다짐 등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체(200)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다만 그 높이가 0.5 ~ 1.5m가 되는 즉, 기초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본체부(210)의 양측면에 본체부(210)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본체부(210)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되, 상단은 본체부(210) 높이보다 낮게 이루어져 있어 상부에 난간지지공간(241)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돌출부(24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본체(200)들은 바닥면이 상기 회기초(10)의 각 단(11)에 안착되어 있으며, 각각 전면과 배면이 서로 맞닿아 설치되어 있다.
좌우돌출부(240)는 상기 본체부(210)의 양측면에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부(210)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200)는 본체부(210) 측면과 좌우돌출부(240) 상면 사이에 "┛", "┖" 형상의 난간지지공간(241)이 형성되어 있어 난간부재(30)를 설치 및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체(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이 상기 회기초(10)의 각 단(11)에 안착되어 있으며, 각각 전면과 배면이 서로 맞닿아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도 5,6에 도시된 것처럼 난간부재(30)는 최전방의 본체(200)로부터 최후방의 본체(200) 길이에 대응되며, 양측의 난간지지공간(241)에 위치한 채 각 좌우돌출부(240)의 전방측 모서리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난간부재(30)는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본체(200)들을 전체적으로 눌러주게 되므로 자중에 의해 균일하게 각 본체(200)들을 눌러주게 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도록 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본체(200)들은 서로 전후로 인접한 본체(200)가, 난간부재(30)의 저면이 각 단의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방 모서리에 의해 균일하게 지지되어 하중이 균일하게 본체(200)에 전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부재(30)의 하부와 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 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상기 난간부재(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미끄럼방지부재(40)의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0)는 상기 난간부재(30)의 하부와 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 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면 사이의 공간에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상기 난간부재(30), 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 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면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미끄럼방지부재(40)가 양생된 회반죽 모르타르로 구성됨과 더불어 이와 접촉하는 난간부재(30), 본체(200)가 자연석으로 이루어지는 바, 재질의 차이가 적어 세 구성요소가 모두 일체로 연결되어 잘 분리되지 않게 되어 난간부재(30)의 미끄러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각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의 모서리가 지지하는 하중을 미끄럼방지부재(40)가 부담을 덜해주어 자연석으로 이루어진 모서리가 하중에 의해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난간부재(30)의 미끄러짐을 보다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난간부재(30)의 저면에는 횡방향으로 다수 개의 요철(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0) 상면은 난간부재(30) 저면의 요철(50)에 치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쐐기 형상을 이루어 난간부재(30)의 미끄러짐을 가일층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납골묘는 경사지인 경우 경사지를 굴착하여 굴착공간(2)을 형성하고, 굴착공간에 높이 차가 일정하고, 그 폭과 너비가 일정한 다수의 단(11)이 이루어지도록 회반죽 모르타르를 시공한 후 양생하여 회기초(10)를 형성하는 한편, 자연석을 가공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다수 개의 본체(200)를 준비하여 각각의 회기초(10)의 각 단(11)마다 삽입한 후, 측면돌출부(240) 상면에 저면이 지지되도록 양측에 두 개의 난간부재(30)를 설치한 다음, 난간부재(30) 저면과 난간지지공간(241) 사이에 미끄럼방지부재(40)를 삽입하거나, 회반죽 모르타르로 시공 양생함으로써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공 방법은 종래의 납골묘에 비해 그 시공이 훨씬 간편하며, 조립을 위한 연결구의 사용이 배제되며, 습식 콘크리트 기초의 시공 역시 단순한 회기초 시공으로 대체됨에 따라 매우 간편해지는 것이다.
더불어,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두 개의 난간부재(30)가 각각의 본체(200)들을 누르고, 난간부재(30)는 미끄럼방지부재(40)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이게 되는 것이다.
1 : 지면 2 : 굴착공간
3 : 경사지
10 : 회기초 11 : 단
30 : 난간부재 40 : 미끄럼방지부재
50 : 요철
100 : 회기초 200 : 본체
210 : 본체부 220 : 돌출부
221 : 빗물배출홈 222 : 빗물가이드홈
223 : 경사부 230 : 유골삽입홀
240 : 좌우돌출부 241 : 난간지지공간
300 : 천판 310 : 둘레돌출부
311 : 외곽경사부 400 : 덮개
500 : 토사층 510 : 유골

Claims (5)

  1. 납골묘에 있어서,
    지면(1) 하부에 절개된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바닥이 평평하도록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형성된 회기초(100)와;
    상기 회기초(100)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01)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본체부(210) 상면에 본체부(21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본체부(210) 상부 둘레에 빗물배출홈(221)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빗물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굴착공간(2) 주변의 지면(1)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출부(220)와, 각 돌출부(22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본체부(210) 저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유골삽입홀(230)로 구성되어 있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각 돌출부(220)를 덮으며, 돌출부(220)와 동일한 평면 크기의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천판(300)과;
    평면상에서 상기 본체(200)의 상면을 다수 개로 분할하는 다수 개로 이루어져 있되, 측면에서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가 다수 개의 천판(300)을 덮도록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덮개(400)와;
    상기 유골삽입홀에 삽입되는 유골(510)을 덮는 토사층(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친환경 납골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가이드홈(222)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부(2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납골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300)은 상기 돌출부(220)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돌출부(310)의 저면은 끝단으로부터 상기 돌출부(220)와 접하는 부분까지 중앙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외곽경사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납골묘.
  4. 납골묘에 있어서,
    경사지(3)의 하부에 절개된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상면이 일정한 비율로 높아지고, 동일한 폭을 갖는 다수 개의 단(11)으로 이루어진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형성된 회기초(10)와;
    상기 회기초(100)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 재질로 이루어져 있되, 0.5 ~ 1.5m 높이를 가지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01)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본체부(210) 상면에 본체부(21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본체부(210) 상부 둘레에 빗물배출홈(221)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빗물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굴착공간(2) 주변의 지면(1)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출부(220)와, 각 돌출부(22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본체부(210) 저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유골삽입홀(230)과, 상기 본체부(210)의 양측면에 본체부(210)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본체부(210)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되, 상단은 본체부(210) 높이보다 낮게 이루어져 있어 상부에 난간지지공간(241)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돌출부(240)로 이루어져 있고, 바닥면이 상기 회기초(10)의 각 단(11)에 안착되어 있으며, 각각 전면과 배면이 서로 맞닿아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각 돌출부(220)를 덮으며, 돌출부(220)와 동일한 평면 크기의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천판(300)과;
    평면상에서 상기 본체(200)의 상면을 다수 개로 분할하는 다수 개로 이루어져 있되, 측면에서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가 다수 개의 천판(300)을 덮도록 이루어져 있는 자연석 재질의 덮개(400)와;
    상기 유골삽입홀에 삽입되는 유골(510)을 덮는 토사층(500)과;
    최전방의 본체(200)로부터 최후방의 본체(200) 길이에 대응되며, 양측의 난간지지공간(241)에 위치한 채 각 좌우돌출부(240)의 전방측 모서리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는 난간부재(30)와;
    상기 난간부재(30)의 하부와 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 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상기 난간부재(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친환경 납골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0)는 상기 난간부재(30)의 하부와 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 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면 사이의 공간에 회반죽 모르타르가 채워진 후 양생되어 상기 난간부재(30), 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상면, 후방 측 본체(200)의 좌우돌출부(240) 전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납골묘.
KR1020130068429A 2013-06-14 2013-06-14 친환경 납골묘 KR10142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429A KR101421119B1 (ko) 2013-06-14 2013-06-14 친환경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429A KR101421119B1 (ko) 2013-06-14 2013-06-14 친환경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119B1 true KR101421119B1 (ko) 2014-07-18

Family

ID=5174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429A KR101421119B1 (ko) 2013-06-14 2013-06-14 친환경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301B1 (ko) * 2019-10-16 2020-03-23 장수성 납골평장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191Y1 (ko) 2005-09-22 2005-12-19 강성택 환경친화적 시신 및 유골 안치시설
KR20090041469A (ko) * 2007-10-24 2009-04-29 강의형 납골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191Y1 (ko) 2005-09-22 2005-12-19 강성택 환경친화적 시신 및 유골 안치시설
KR20090041469A (ko) * 2007-10-24 2009-04-29 강의형 납골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301B1 (ko) * 2019-10-16 2020-03-23 장수성 납골평장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073B2 (en) Water-permeable ground grid for pavings
US10045490B2 (en)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JPH083443Y2 (ja) 排水・保水装置
US200800831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drainage away from buildings
CA2797478C (en) Structure for creating housings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and method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EP1618255B1 (en) Sports flo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sports floor
CN1247859C (zh) 整体式基座
KR101619285B1 (ko)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KR101421119B1 (ko) 친환경 납골묘
KR101865231B1 (ko)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KR200420148Y1 (ko) 환경친화적 계단식 납골묘
KR100917382B1 (ko) 공간 잔디 블럭
JP3668869B2 (ja) 地下貯水槽用積上げ部材
KR102051860B1 (ko) 보도용 배수 트렌치
KR101201570B1 (ko)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KR101122412B1 (ko) 잔디블럭
KR20200021348A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US2005028162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floating retaining wall
DE102007036965B4 (de) Bauwerk zur Aufbewahrung von Urnen
KR200383820Y1 (ko) 환경친화적 계단식 납골묘
KR101439256B1 (ko) 친환경 조경용 계단
CA2476003A1 (en) Landscaping block and system for use
KR200469461Y1 (ko)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KR20160149951A (ko) 환경친화적 봉안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