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578B1 -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578B1
KR101415578B1 KR1020130009190A KR20130009190A KR101415578B1 KR 101415578 B1 KR101415578 B1 KR 101415578B1 KR 1020130009190 A KR1020130009190 A KR 1020130009190A KR 20130009190 A KR20130009190 A KR 20130009190A KR 101415578 B1 KR101415578 B1 KR 10141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unit
inflow
discharge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철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578B1/ko
Priority to PCT/KR2013/011738 priority patent/WO20141159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2Two or more distinct overlappin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6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more than one stent being applied sequ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8Mean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stents allowing flexibility of the whole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망으로 이루어진 통 형상이며 양측이 개방되고, 일 측의 유입부 및 타 측의 배출부가 서로 연통하고, 유입부의 직경보다 배출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단위 스텐트가 복수개 구비되고, 각 단위 스텐트가 상호결합되어 연통된다. 또한, 단위 스텐트의 경우,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의 일 구간에는, 일 측이 배출부와 접하고, 타 측은 유입부와 접하며, 유입부에서 배출부 방향으로 단차부를 형성한다. 또한, 단차부는 배출부 방향으로 경사지며, 단위 스텐트의 일 측에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PPARATUS FOR STENT WITH REFLUX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요관 등에 사용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스텐트 입구와 유체가 유출되는 스텐트 출구의 직경 차로 인해 유출된 유체가 다시 스텐트 입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복수의 스텐트를 결합하여 역류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Stent)는 신체의 장기나 혈관의 협착이나 동맥류, 식도 및 위장관의 협착, 담도의 협착, 요관의 협착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임상에서 널리 사용된다. 스텐트는 혈관, 담도, 요관 등에서 혈액과 같은 유체와 각종 효소 등의 흐름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부위에 삽입한다. 혈관, 담도, 요관 등에 삽입된 스텐트는 삽입된 부위를 강제적으로 확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유체, 효소 등이 원활한 흐름을 가지게 된다.
주로 사용되는 스텐트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스텐트는 삽입되는 혈관, 담도, 요관 등의 형상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텐트를 연결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해당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3327호의 “요관용 금속스텐트”가 있다.
해당 종래기술은 요관용 금속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폴리테트나 플루오르에틸렌 재질로 직조한 섬유재로 감싼 금속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은 직관 형태로 이루어져, 요관의 협착을 방지하여 요관 내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스텐트를 통과한 유체가 다시 역류하여 요관과 연결된 신체조직에 소변과 같은 유체가 다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텐트를 연결시켜 사용할 경우, 스텐트가 미끄러져 효과적인 연결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혈관, 담도, 요관 등에 삽입된 스텐트를 통과한 유체 및 이물질이 스텐트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복수의 스텐트를 연결할 경우 스텐트 간의 이탈을 방지하여 복수의 스텐트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스텐트의 연결 시, 연결된 부위가 미끄러짐 현상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요관에 주로 삽입되는 스텐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사항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는 망으로 이루어진 통 형상이며 양측이 개방되고, 일 측의 유입부 및 타 측의 배출부가 서로 연통하고, 유입부의 직경보다 배출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단위 스텐트가 복수개 구비되고, 각 단위 스텐트가 상호결합되어 연통된다.
또한, 단위 스텐트의 경우,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의 일 구간에는, 일 측이 배출부와 접하고, 타 측은 유입부와 접하며, 유입부에서 배출부 방향으로 단차부를 형성한다.
또한, 단차부는 배출부 방향으로 경사지며, 단위 스텐트의 일 측에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된다.
또한, 돌출부는 일 단위 스텐트와 타 단위 스텐트가 결합될 때,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내면과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외면 사이에 배치되고, 형상 변형된다.
또한, 돌출부는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외면에 형성되어, 일 단위 스텐트와 타 단위 스텐트가 결합될 때,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내면과 묶음 결합된다.
또한,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배출부의 외면에 결합되고, 일 단위 스텐트와 타 단위 스텐트가 결합될 때, 타 단위 스텐트의 배출부 외면과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내면의 사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대는 형상 변경되고 일 단위 스텐트에 타 단위 스텐트가 삽입 시, 변형된 형상이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내부에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배출부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대의 형상 변형율은 배출부의 변형율과 같거나 더 작으며, 배출부는 하나 이상의 역류방지돌기를 외면에 형성한다. 또한, 유입부 및 배출부는 내부 표면에 제1코팅층을 형성하고, 외부 표면에 제2코팅층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단위 스텐트를 결합하기 위해, 일 단위 스텐트의 배출부가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에 삽입될 때, 서로 접하게 되는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의 내면과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외면에 제3코팅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유입부의 직경보다 배출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스텐트가 복수개 구비되고, 일 단위 스텐트와 타 단위 스텐트가 상호결합되어 연통됨으로써, 주로 요관에 삽입되는 스텐트를 통과한 이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스텐트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스텐트의 경우,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의 일 구간에는, 일 측이 배출부와 접하고, 타 측은 유입부와 접하며, 유입부에서 배출부 방향으로 단차부를 형성하고, 돌출부가 각 스텐트의 결합 시 각각 묶음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스텐트 연결 시에 각 스텐트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복수의 스텐트를 결합하기 위해, 일 단위 스텐트의 배출부가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에 삽입될 경우, 타 단위 스텐트 유입부의 내부에 접촉하는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외면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각 스텐트 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를 설명하는 또 다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의 지지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혈관, 담도 등에 삽입가능하며, 특히 요관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요관의 역류방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요관(Ureter)에 삽입되는 스텐트(Stent)이다. 본 발명에서 유입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을 가리키기 위해 정의된 것이다. 또한, 배출부(120)는 유체가 배출되는 부분을 가리키기 위해 정의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유입부(110) 및 배출부(120)를 모두 포함하며, 단차부(130)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하나 이상의 단위 스텐트를 결합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위 스텐트(100)와 타 단위 스텐트(100')가 결합된 상태를 말하며, 단위 스텐트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유입부(110), 배출부(120) 및 단차부(13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유입부(110), 배출부(120) 및 단차부(130)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유입부(110), 배출부(120) 및 단차부(130)의 결합은 와이어나 실로 서로 열결하거나 용접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순방향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의미하며, 역방향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방향을 의미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망으로 이루어진 통 형상이며 양측이 개방되고, 일 측의 유입부(110) 및 타 측의 배출부(120)가 서로 연통하고, 유입부(110)의 직경보다 배출부(120)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스텐트(A)가 복수개 구비되고, 일 단위 스텐트(100)와 타 단위 스텐트(100')가 상호결합되어 연통된다.
또한, 유입부(110)와 배출부(120) 사이의 일 구간에는, 일 측이 배출부(120)와 접하고, 타 측은 유입부(110)와 접하며, 유입부(110)에서 배출부(120) 방향으로 단차부(130)를 형성한다. 단차부(130)는 배출부(120) 방향으로 경사진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의 일 측에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1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유입부(110)와 배출부(12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통하며, 유입부(110)와 배출부(120) 사이의 일 구간이에 배출부(120)를 향하도록 경사진 단차부(13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단차부(130)는 경사진 상태에서 배출부(120)와 접하므로, 단차부(130)와 접하는 배출부(120)의 직경은 유입부(110)의 직경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와이어로 엮거나 감아서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현된다. 표면은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망으로 면 처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면’이란 망과 같이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면’ 즉, 망과 같이 표면처리된 ‘면’을 의미한다.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단차부(130)가 배출부(120)를 향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입부(110)와 배출부(120) 간에 단차가 형성된다. 배출부(120)의 단면 형상은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채택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역류 방지에 유리한 형상이 채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단차부(130)의 일 측이 배출부(120)와 접하고 타 측은 유입부(110)와 접하며 외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돌출부(150)를 형성한다.
돌출부(150)는 단차부(130)가 연장형성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단차부(130)와 별도로 구비되어 와이어, 실 등에 의해 단차부(130)와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0)는 복수로 구비되어 유입부(110)의 외부에 결합 될 수도 있다. 돌출부(150)는 유입부(110), 배출부(120) 및 단차부(1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치되는 위치는 배출부(120) 외면이 되며, 배출부(120) 외면의 여러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위 스텐트(100)와 타 단위 스텐트(100')가 결합될 때,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110) 내면과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110) 외면 사이에 배치되고, 형상 변형된다.
돌출부(1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의 눌려지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 후 다시 제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를 여러 개 연결하여 요관에 삽입 시,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 간의 부착력을 높여 주게 된다. 돌출부(150)는 타 단위 스텐트(100')의 배출부(120)가 일 단위 스텐트(100)의 유입부(110)에 끼워질때, 형상이 변형되어 일 단위 스텐트(100)의 유입부(110) 내부에 삽입되고, 끝부가 일 단위 스텐트(100)의 유입부(110) 내부와 결속된다.
돌출부(150)는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110) 외면에 형성되어, 일 단위 스텐트(100)와 타 단위 스텐트(100')가 결합될 때, 일 단위 스텐트(100)의 유입부(110) 내면과 묶음 결합된다. 묶음 결합은 와이어(Wire), 실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돌출부(150)은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입부(110)의 끝단에 외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일 단위 스텐트(100)는 단차부(130)와 유입부(110)에 모두 돌출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150)의 길이 및 개수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의 배출부(120)는 하나 이상의 역류방지돌기(160)를 외부면에 형성할 수 있다. 배출부(120)는 이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며, 요철(凹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ㅇ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단차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차부(130)와 배출부(120) 및 유입부(110)의 직경 차, 배출부(120)는 역류방지돌기(160)으로 인해, 순방향으로 유입된 유체가 역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차부(130)의 경사 각이나 면적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배출부(120)에 형성되는 역류방지돌기(160)의 형상도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를 설명하는 또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가 복수일 경우에 서로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고, 이때 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결합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가 복수일 경우, <결합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단위 스텐트(100')의 배출부(120)는 일 단위 스텐트(100)의 유입부(110)에 삽입되고, 돌출부(150)가 일 스텐트(100)의 유입부(110) 내부 면에 끼워진다. 따라서, 복수의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가 서로 끼움 결합하게 되고, 돌출부(150)에 의해 결합 후에 서로 지지하게 되어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와 단수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요관 내에서 배출부(120)가 항상 개방되어 있다. 도 3의 <유체역류방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120)가 개방되어 있어 유체 순방향 유입 시 원활한 유입과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배출부(120)와 유입부(110)가 단차를 형성하고, 배출부(120)의 직경이 유입부(110)의 직경보다 작으며, 배출부(120)를 향하도록 단차부(130)를 포함하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역류되는 유체는 타 단위 스텐트(100')의 단차부(130)와 일 단위 스텐트(100)의 유입부(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모이게 된다. 도 3의 <유체역류방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30)로 인해 외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모이는 역류된 유체는 직경이 작은 배출부(120)에 역류되어 유입되지 못하고 순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다시 순방향으로 배출부(12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아울러, 복수의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들은 배출부(120)의 직경이 유입부(110)의 직경 보다 작기 때문에 유체의 순방향 유입 시, 유입된 유체는 유입되는 순간보다 빠른 속도로 배출이 되게 된다. 따라서, 단차부(130)의 외부 공간에 모인 역류된 유체는 배출되는 유체와 함께 용이하게 순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역류되는 유체의 압력 또는 순방향으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배출부(120)의 개방상태가 변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부(120)에 지지대(1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의 지지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배출부(120)의 외부에 복수의 지지대(140)를 구비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지지대(140)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배출부(120)의 외면에 결합되고, 일 단위 스텐트(100)와 타 단위 스텐트(100')가 결합될 때, 타 단위 스텐트(100')의 배출부(120) 외면과 일 스텐트(100)의 유입부(110) 내면의 사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지지대(140)는 형상 변경되고 일 단위 스텐트에 타 단위 스텐트가 삽입 시, 변형된 형상이 상기 내부에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배출부(120)를 지지한다. 지지대(140)의 형상 변형율은 배출부(120)의 변형율과 같거나 더 작다.
지지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A)가 요관의 내부에 삽입될 경우, 삽입 시 변형된 형상이 내부에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배출부(120)를 지지한다. 지지대(140)는 배출부(120), 유입부(110), 단차부(130), 돌출부(15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와이어로 엮어져서 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지지대(140)의 변형 정도는 유입부(110) 및 배출부(120)의 변형 정도와 같거나 더 적다.
지지대(140)는 환형 띠의 형상으로 배출부(120)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며, 복수의 바(Bar)형태로 배출부(120)의 끝단에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지대(140)는 배출부(120)와 개별적으로 구현되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대(140)는 배출부(120)의 테두리부가 외부로 연장형성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지대(140)의 크기는 특정하게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를 요관에 삽입할 경우, 지지대(140)는 접혀지거나 오므라져 요관에 삽입될 수 있다. 스텐트(A)가 요관에 삽입된 후에는 요관의 내부에서 지지대(140)의 형상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배출부(120)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
이는 스텐트(A)가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스텐트(A)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 스텐트(100)와 타 단위 스텐트(100')를 연결하여 요관에 삽입 시, 타 단위 스텐트(100')의 지지대(140)는 일 단위 스텐트(100)의 유입부(110) 내부에서 형상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된다.
아울러, 돌출부(150)도 요관 삽입 또는 복수의 스텐트(A)에 서로 연결 시, 삽입 또는 연결되는 최초에 접혀지거나 오므라질 수 있으며, 요관 또는 복수의 스텐트(A) 내부에서 원상태로 형상이 복귀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복수의 단위 스텐트(100, 100')를 연결하여 요관에 삽입할 경우, 연결부위의 미끄러짐 현상으로 일 단위 스텐트(100)와 타 단위 스텐트(100')간에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층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입부(110) 및 배출부(120)는 내부 표면에 제1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외부 표면에 제2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텐트를 결합하기 위해, 일 단위 스텐트의 배출부(120)가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110)에 삽입될 때, 서로 접하게 되는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110)의 내면과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110) 외면에 제3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제3코팅층을 형성하여 결합 시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텐트의 결합 시, 접하게 되는 일 단위 스텐트(100)의 유입부(110) 내부에 형성된 제1코팅층과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110) 외부의 제2코팅층은 서로 맞당하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제1코팅층은 유입부(110) 및 배출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코팅층은 유입부(110) 및 배출부(120)의 외부에 형성될 것이다.
제1코팅층, 제2코팅층 및 제3코팅층은 e-PTFE(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e-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Silicone(실리콘), Polyurethane(폴리우레탄) 등의 코팅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코팅층, 제2코팅층 및 제3코팅층은 동일한 코팅물질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이 상이한 코팅물질로 코팅된다. 제1코팅층, 제2코팅층 및 제3코팅층은 서로 다른 코팅물질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코팅층과 제2코팅층은 e-PTFE 코팅물질로 형성하고, 제3코팅층은 PTFE 코팅물질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코팅층의 조합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A)는 유입부(110)의 직경보다 배출부(120)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스텐트(A)가 복수개 구비되고, 일 단위 스텐트와 타 단위 스텐트가 상호결합되어 연통됨으로써, 스텐트(A)를 통과한 이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스텐트(A)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텐트(A)의 경우, 유입부(110)와 배출부(120) 사이의 일 구간에는, 일 측이 배출부(120)와 접하고, 타 측은 유입부(110)와 접하며, 유입부(110)에서 배출부(120) 방향으로 단차부(130)를 형성하고, 돌출부(150)가 각 단위 스텐트의 결합 시 각각 묶음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스텐트(A) 연결 시에 각 단위 스텐트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텐트(A)를 결합하기 위해, 일 단위 스텐트(100)의 배출부가(120)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110)에 삽입될 경우, 타 단위 스텐트(100') 유입부(110)의 내부에 접촉하는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100) 외면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스텐트 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A: 스텐트
100: 일 단위 스텐트
100': 타 단위 스텐트
110: 유입부
120: 배출부
130: 단차부
140: 지지대
150: 돌출부
160: 역류방지돌기

Claims (13)

  1.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에 있어서,
    망으로 이루어진 통 형상이며 양측이 개방되고, 일 측의 유입부 및 타 측의 배출부가 서로 연통하고, 유입부의 직경보다 배출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단위 스텐트가 복수개 구비되고,
    각 단위 스텐트가 상호결합되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단위 스텐트의 경우,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의 일 구간에는, 일 측이 배출부와 접하고, 타 측은 유입부와 접하며, 유입부에서 배출부 방향으로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단차부는 배출부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단위 스텐트의 일 측에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일 단위 스텐트와 타 단위 스텐트가 결합될 때,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내면과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외면 사이에 배치되고, 형상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외면에 형성되어, 일 단위 스텐트와 타 단위 스텐트가 결합될 때,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내면과 묶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배출부의 외면에 결합되고,
    일 단위 스텐트와 타 단위 스텐트가 결합될 때, 타 단위 스텐트의 배출부 외면과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내면의 사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8. 제7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형상 변경되고 일 단위 스텐트에 타 단위 스텐트가 삽입 시, 변형된 형상이 상기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내부에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배출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지지대의 형상 변형율은 배출부의 변형율과 같거나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10. 제9항에 있어서,
    배출부는 하나 이상의 역류방지돌기를 외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유입부 및 배출부는 내부 표면에 제1코팅층을 형성하고, 외부 표면에 제2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스텐트를 결합하기 위해, 일 단위 스텐트의 배출부가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에 삽입될 때, 서로 접하게 되는 타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의 내면과 일 단위 스텐트의 유입부 외면에 제3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코팅층, 제2코팅층 및 제3코팅층은 동일한 코팅물질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이 상이한 코팅물질로 코팅되며,
    상기 코팅물질은 e-PTFE(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Silicone 또는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KR1020130009190A 2013-01-28 2013-01-28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KR10141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190A KR101415578B1 (ko) 2013-01-28 2013-01-28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PCT/KR2013/011738 WO2014115966A1 (ko) 2013-01-28 2013-12-17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190A KR101415578B1 (ko) 2013-01-28 2013-01-28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578B1 true KR101415578B1 (ko) 2014-07-09

Family

ID=5122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190A KR101415578B1 (ko) 2013-01-28 2013-01-28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5578B1 (ko)
WO (1) WO20141159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413A (ko) * 2020-12-15 2022-06-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역류 요관 스텐트
KR20220150044A (ko) * 2021-05-03 2022-11-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그래프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721A (ko) * 2008-05-26 2009-12-01 (주) 태웅메디칼 스텐트
KR20100042479A (ko) * 2008-10-16 2010-04-26 (주) 태웅메디칼 역류방지용 스텐트
JP2011523582A (ja) 2009-07-10 2011-08-18 テウー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ィッド ステント
KR20110125360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한 내강 확장용 담도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548B1 (ko) * 2001-06-05 2003-08-02 주식회사 엠아이텍 의료용 스텐트
US8715337B2 (en) * 2007-11-09 2014-05-0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ortic valve stent gra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721A (ko) * 2008-05-26 2009-12-01 (주) 태웅메디칼 스텐트
KR20100042479A (ko) * 2008-10-16 2010-04-26 (주) 태웅메디칼 역류방지용 스텐트
JP2011523582A (ja) 2009-07-10 2011-08-18 テウー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ィッド ステント
KR20110125360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한 내강 확장용 담도스텐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413A (ko) * 2020-12-15 2022-06-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역류 요관 스텐트
KR102520440B1 (ko) 2020-12-15 2023-04-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역류 요관 스텐트
KR20220150044A (ko) * 2021-05-03 2022-11-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그래프트
KR102505421B1 (ko) 2021-05-03 2023-03-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그래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5966A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724B2 (en) Medical stent
EP2810622B1 (en) Biliary stent
EP0757904B1 (fr) Prothèse implantable dans un conduit humain ou animal, telle qu&#39;un élargisseur de paroi, ou une prothèse pour anévrisme
JP5186042B2 (ja) ステント
WO2001066038A3 (en) Endovascular device having a stent
JP2016508836A (ja) 補強弁
US20130218255A1 (en) Medical device and system having such a device
KR101415578B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JP6353933B2 (ja) ステント
WO2006131930A2 (en) Implant device particularly useful for implantation in the intravascular system for diverting emboli
KR20100042478A (ko) 굴곡 변형성을 갖는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EP2464308B1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EP1563894A4 (en) MULTITUBE SEPARATION MEMBRANE MODULE
WO2010015291A1 (en) Stent graft
JP2010521217A (ja) 内腔拡張用ステント
US20230010962A1 (en) Multiple stent with membrane
US20100249901A1 (en) Cylindrical stent
JP7002770B2 (ja) ダブルステント
KR100852502B1 (ko) 스텐트
FR2765097A1 (fr) Implant a resistance radiale a l&#39;ecrasement variable, implantable dans un conduit anatomique
KR101604990B1 (ko) 스텐트
AU2017323542A1 (en) Total arch concept
KR101734365B1 (ko) 이중 구조 스텐트
CN109803590B (zh) 具支架的血液导管
JP4832509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ライニング用プラスチック板及びその配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