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293B1 -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293B1
KR101414293B1 KR1020120144797A KR20120144797A KR101414293B1 KR 101414293 B1 KR101414293 B1 KR 101414293B1 KR 1020120144797 A KR1020120144797 A KR 1020120144797A KR 20120144797 A KR20120144797 A KR 20120144797A KR 101414293 B1 KR101414293 B1 KR 10141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rotary switch
detenting
contactor
b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350A (ko
Inventor
박규종
조미선
추영신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2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 스위치 하우징; 상기 레버 스위치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샤프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 사이로 상기 레버 샤프트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미들 픽싱 노브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들 픽싱 노브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동시에 디텐팅 시킬 수 있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외측에 배치되는 레버 스위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성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로터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된다.
근래 자동차의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한편, 레버 스위치의 경우 레버 스위치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회전을 이루는 로터리 스위치 등이 개재된다. 로터리 스위치의 경우 복합적인 집약 구조로 인하여 복수 개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로터리 스위치의 로터리 동작을 디텐팅(절도)시키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디텐팅 요소들이 구비되는데, 복합적인 구조의 복수 개의 로터리 스위치의 경우 개별적인 디텐팅 요소들이 조립 결합됨으로써 레버 스위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증대시켜 컴팩트한 구성에 물리적 한계가 수반되었다.
또한, 개별적인 디텐팅 요소들이 조립 결합됨으로써 제조시 공정 상 난점이 수반되고 부품 수의 증대에 따른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되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결한 동작을 이루도록 복합적인 디텐팅 동작을 단일의 디텐팅 탄성 지지 구조를 통하여 부품수를 감소시켜 조립성 개선하고 오작동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버 스위치 하우징; 상기 레버 스위치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샤프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 사이로 상기 레버 샤프트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미들 픽싱 노브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들 픽싱 노브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동시에 디텐팅 시킬 수 있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는: 상기 미들 픽싱 노브의 상기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디텐팅 수용구 및 상기 미들 픽싱 노브의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디텐팅 수용구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를 마주하는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를 마주하는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디텐트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1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제 1 디텐팅 컨택터 및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2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제 2 디텐팅 컨택터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와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가 형성하는 연통 구조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일단에서는 상기 제 1 디텐팅 컨택터와, 그리고 타단에서는 상기 제 2 디텐팅 컨택터와 접촉하여 양단에서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각각 디텐팅 동작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핀 구조의 컨택터 핀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이고, 상기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각각 상기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트와 접촉하는 핀 헤드와, 상기 핀 헤드로부터 연결되되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에 수용 가능한 핀 바디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캡 구조의 컨택터 캡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이고, 상기 컨택터 캡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각각 상기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트와 접촉하는 캡 헤드와, 상기 캡 헤드로부터 연결되되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캡 바디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나사산 구조의 캡 바디 스레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의 외주에는 내측으로 펀칭 굽힘되어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와 접촉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캡 바디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는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로터리 회동 동작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의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로터리 회동 동작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를 단절 개방시키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한 회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로터리 스위치 노브의 리턴 구조 등을 배제시킴으로써 조립성을 개선하고 오작동 가능성을 차단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교번 배치되는 접속 단자 구조를 통하여 로터리 스위치의 회전 방향을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하여 소정의 설정된 스위치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다른 유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다른 유형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 가이드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또 다른 유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또 다른 유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또 다른 유형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1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측부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조등 내지 와이퍼 등의 동작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로서,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10)는 레버 스위치 하우징(101)과, 레버 샤프트(100)를 포함한다. 레버 스위치 하우징(101)은 스티어링 휠(미도시) 측에 배치되고, 레버 샤프트(100)의 일단은 레버 스위치 하우징(101)에 수용되어 소정의 힌지 동작을 통한 레버 틸팅 등의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
레버 샤프트(100)는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데, 레버 샤프트(100)의 길이를 따라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와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가 배치되는데, 제 1 로터리 스위치(200)와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는 레버 샤프트(100)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을 이루는 로터리 동작을 통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와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과 제 1 로터리 스위치 캠(230)과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과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250)을 포함한다.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는 레버 샤프트(10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는 레버 샤프트(100)의 관통을 허용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캠(230)과 연결되고 제 1 로터리 스위치 캠(230)은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을 관통하여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운전자가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를 회동시키는 경우,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는 레버 샤프트(100)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회동력은 제 1 로터리 스위치 캠(230)을 거쳐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으로 전달되어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은 소정의 회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은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과 마주하여 배치되는데,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은 외부 전기 장치와 배선 등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00)의 일면으로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을 향한 일면에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가 배치된다.
제 1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의 대응되는 위치로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의 일면에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250)이 배치된다.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250)은 스파이럴 스프링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과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의 사이에서 소정의 탄성 가압 상태를 형성하여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은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의 회동 상태에 따라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250)과의 전기적 접점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형성되고 다른 위치에서는 배제되는 접점 형성 구조를 이룬다.
또한,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는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와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과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330)을 포함한다.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는 레버 샤프트(100)의 관통을 허용하며 레버 샤프트(100)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은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340)과 마주하여 하기되는 미들 픽싱 노브(400)와의 사이에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를 두고 대향 배치되는데,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은 외부 전기 장치와 배선 등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00)의 일면으로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340)을 향한 일면에는 제 2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가 배치된다.
제 2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의 대응되는 위치로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의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을 향한 일면에는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330)이 배치된다.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330)은 스파이럴 스프링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과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 사이에서 소정의 탄성 가압 상태를 형성하여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은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의 회동 상태에 따라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330)과의 전기적 접점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형성되고 다른 위치에서는 배제되는 접점 형성 구조를 이룬다.
미들 픽싱 노브(400)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들 픽싱 노브(400)는 레버 샤프트(100)의 외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데, 미들 픽싱 노브(400)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의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과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의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 사이에 배치된다.
미들 픽싱 노브(400)의 중앙에는 미들 픽싱 노브 관통구(401)가 형성되는데, 레버 샤프트(100)가 미들 픽싱 노브 관통구(401)를 관통함으로써 미들 픽싱 노브(400)가 레버 샤프트(100)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픽싱 노브 관통구(401)의 내측에는 미들 픽싱 노브 관통 스톱퍼(403)가 배치되고, 레버 샤프트(100)의 외주에는 레버 샤프트 미들 픽싱 노브 스톱퍼(101)가 형성되는데, 미들 픽싱 노브 관통 스톱퍼(403)와 레버 샤프트 미들 픽싱 노브 스톱퍼(101)가 맞물림으로써 미들 픽싱 노브(400)는 레버 샤프트(100)에 대하여 상대 회동 내지 축방향으로의 병진 운동 없이 레버 샤프트(100) 상에서 위치 고정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미들 픽싱 노브(400)를 중심으로 레버 샤프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의 회동 상태를 절도시키기 위한 디텐팅 구성요소로서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500)가 구비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500)는 적어도 일부가 미들 픽싱 노브(400)에 관통 배치되어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를 동시에 디텐팅시킬 수 있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500)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510)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를 포함한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는 미들 픽싱 노브(400)에 형성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는 관통 형성된다. 즉, 레버 샤프트(100)의 축을 따라 외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미들 픽싱 노브(400)에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는 레버 샤프트(100)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미들 픽싱 노브(400)의 일면에서의 관통구와 미들 픽싱 노브(400)의 타면에서의 관통구는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취한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는 미들 픽싱 노브(400)를 관통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일측에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를 향한 개구로서 제 1 디텐팅 수용구(411)가 형성되고,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타측에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를 향한 개구로서 제 2 디텐팅 수용구(413)가 형성된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510)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에 대한 미들 픽싱 노브(400)의 각각의 일면과 마주하는 일면 상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510)는 제 1 디텐트(511)와 제 2 디텐트(513)를 포함하는데, 제 1 디텐트(511)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를 마주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제 2 디텐트(513)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를 마주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200)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즉, 제 1 디텐트(511)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의 일면 상으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제 1 디텐팅 수용구(411)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디텐트(513)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의 일면 상으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제 2 디텐팅 수용구(413)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520-1,520-2)는 제 1 디텐팅 컨택터(521,525)와 제 2 디텐팅 컨텍터(523,527)를 포함하는데, 제 1 디텐팅 컨택터(521,525)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 1 디텐팅 수용구(411)를 통하여 노출되어 제 1 디텐트(511)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제 2 디텐팅 컨택터(523,527)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 2 디텐팅 수용구(413)를 통하여 노출되어 제 2 디텐트(513)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즉,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은 제 1 디텐팅 수용구(411)와 제 2 디텐팅 수용구(413)가 형성하는 연통 구조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일단에서는 제 1 디텐팅 컨택터(521,525)와, 그리고 제 2 디텐팅 수용구(413) 측의 타단에서는 제 2 디텐팅 컨택터(523,527)와 접촉하여 양단에서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를 각각 디텐팅 동작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는데, 길이 상의 양방향으로의 탄성 지지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는 핀 구조인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1)로 구현된다. 즉,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1)는 제 1 디텐팅 컨택터(521)와 제 2 디텐팅 컨택터(523)에 동일하게 구현된다.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1)의 제 1 디텐팅 컨택터(521)와 제 2 디텐팅 컨택터(523)는 핀 헤드(521a,523a)와 핀 바디(521b,523b)를 포함하는데, 핀 헤드(521a,523a)는 각각 제 1 디텐트(511)와 제 2 디텐트(513)에 각각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핀 바디(521b,523b)는 핀 헤드(521a,523a)로부터 연결되되 바디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에 수용 가능한 반경을 구비하고 핀 헤드(521a,523a)와 함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동일 평면 상에 투영시 핀 헤드(521a,523a)보다 작은 유효 면적을 갖는다.
핀 바디(521b,523b)가 단일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에 의하여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의 양단에서 탄성 수용 지지되는 구조를 단일의 구조를 통한 양방향에서의 로터리 스위칭 회전 동작에 대한 디텐팅 작동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는 캡 구조인 컨택터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2)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컨택터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2)는 제 1 디텐팅 컨택터(525)와 제 2 디텐팅 컨택터(527)에 동일하게 구현되는데, 컨택터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2)의 제 1 디텐팅 컨택터(525)와 제 2 디텐팅 컨택터(527)는 캡 헤드(525a,527a)와 캡 바디(525b,527b)를 포함하는데, 캡 헤드(525a,527a)는 각각 제 1 디텐트(511)와 제 2 디텐트(513)에 각각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캡 바디(525b,527b)는 캡 헤드(525a,527a)로부터 연결되되 바디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의 일단을 수용 가능한 반경을 구비하여 바디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캡 바디(525b,527b)가 단일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의 양단을 수용하여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에 의하여 탄성 수용 지지되는 구조를통한 양방향에서의 로터리 스위칭 회전 동작에 대한 디텐팅 작동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컨택터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다른 변형예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는 코일 스프링이고,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3)는 캡 헤드(525a,527a)와 캡 바디(525b,527b)를 포함하는데, 캡 바디(525b,527b)의 내측에는 캡 바디 스레드(528)가 형성된다. 캡 바디 스레드(528)는 캡 바디(525b,527b)의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 구조로서, 캡 바디 스레드(528)에 코일 스프링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3)의 단부가 삽입 안내되는 구조를 취하여 양자 간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캡 바디(525b,527b)에 캡 바디 리브(529)가 형성되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캡 바디 리브(529)는 캡 바디(525b,527b)의 외주에 내측을 향하여 펀칭 굽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캡 바디 리브(529)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와 접촉하여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를 위치 고정시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4)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 간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들 픽싱 노브(400)에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들 픽싱 노브(400)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제 1 디텐팅 수용구(411)와 제 2 디텐팅 수용구(413)를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가 형성된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520-1;520-2)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디텐팅 수용구(411)와 제 2 디텐팅 수용구(413)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는 미들 픽싱 노브(400)의 회동 중심으로부터의 원주 방향으로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416)이 형성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416)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의 연속 구조를 단속 개방시켜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디텐팅 동작을 이루도록 하고, 동시에 반경 방향으로의 스톱핑 기능을 통하여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원치 않는 이탈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가 반경 방향으로의 불필요한 위치 이탈 등을 방지하고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416)이 소정의 유격을 허용하여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레버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회동을 이루는 경우 원주 방향으로의 로터리 회동 작동시 안정적인 디텐팅 동작을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100...레버 샤프트 200...제 1 로터리 스위치부
300...제 2 로터리 스위치부 400...미들 픽싱 노브
500...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 510...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
520...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

Claims (8)

  1. 레버 스위치 하우징; 상기 레버 스위치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샤프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 사이로 상기 레버 샤프트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미들 픽싱 노브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들 픽싱 노브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동시에 디텐팅 시킬 수 있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는: 상기 미들 픽싱 노브의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디텐팅 수용구 및 상기 미들 픽싱 노브의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디텐팅 수용구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를 마주하는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를 마주하는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디텐트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1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제 1 디텐팅 컨택터 및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2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제 2 디텐팅 컨택터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와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가 형성하는 연통 구조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일단에서는 상기 제 1 디텐팅 컨택터와, 그리고 타단에서는 상기 제 2 디텐팅 컨택터와 접촉하여 양단에서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각각 디텐팅 동작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핀 구조의 컨택터 핀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이고,
    상기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각각 상기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트와 접촉하는 핀 헤드와,
    상기 핀 헤드로부터 연결되되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에 수용 가능한 핀 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캡 구조의 컨택터 캡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이고,
    상기 컨택터 캡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각각 상기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트와 접촉하는 캡 헤드와,
    상기 캡 헤드로부터 연결되되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캡 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나사산 구조의 캡 바디 스레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의 외주에는 내측으로 펀칭 굽힘되어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와 접촉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캡 바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는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로터리 회동 동작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의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로터리 회동 동작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를 단절 개방시키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KR1020120144797A 2012-12-12 2012-12-12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KR10141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97A KR101414293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97A KR101414293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50A KR20140076350A (ko) 2014-06-20
KR101414293B1 true KR101414293B1 (ko) 2014-08-06

Family

ID=5112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97A KR101414293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621B1 (ko) 2014-06-23 2020-12-09 주식회사 만도 인버터 하우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9150A (ja) 2002-02-22 2003-09-05 Tokai Rika Co Ltd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0797607B1 (ko) 2006-12-27 2008-01-2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버 스위치
JP2009026664A (ja) 2007-07-20 2009-02-05 Niles Co Ltd レバー・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9150A (ja) 2002-02-22 2003-09-05 Tokai Rika Co Ltd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0797607B1 (ko) 2006-12-27 2008-01-2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버 스위치
JP2009026664A (ja) 2007-07-20 2009-02-05 Niles Co Ltd レバー・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50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9679717B2 (en) Switch device
JP6674540B2 (ja) 車両用マルチオペレーティングスイッチユニット
EP3062325B1 (en) Switch device
US7488907B2 (en) Lever switch device
KR101414293B1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KR101373972B1 (ko)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US4321437A (en) Operating lev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switch
KR101521430B1 (ko) 차량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US7482545B2 (en) In-vehicle knob switch
KR20180042517A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43528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2004014457A (ja) スイッチ装置
KR101271313B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0862001B1 (ko) 와이퍼 스위치
KR101555378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KR102675895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20035474A (ko) 스위치 유니트
JP4481784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0929323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101497308B1 (ko)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KR100776615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