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656B1 - 레일 이동대차 - Google Patents

레일 이동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656B1
KR101412656B1 KR1020120107140A KR20120107140A KR101412656B1 KR 101412656 B1 KR101412656 B1 KR 101412656B1 KR 1020120107140 A KR1020120107140 A KR 1020120107140A KR 20120107140 A KR20120107140 A KR 20120107140A KR 101412656 B1 KR101412656 B1 KR 101412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roller
driving
side suppor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886A (ko
Inventor
전철우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6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61B13/127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the propulsion device consisting of stationary dri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61C3/02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with electric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B61F5/44Adjustment controlled by movements of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레일의 직선 및 곡선 이동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일 이동대차가 소개된다.
이 레일 이동대차는 구동본체와, 구동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가동시 레일의 상면에서 이동되는 구동롤러와, 구동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레일의 돌출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부 지지롤러가 구비된 밸런싱 아암과, 레일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레일 이동대차{MOVING CART OF RAIL}
본 발명은 레일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의 직선 및 곡선 이동시, 균형있고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대차는 레일 위를 이동하면서 물품을 운반하는 차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대차는 차체프레임, 구동바퀴, 종동바퀴, 동력발생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종래 이동대차의 구동바퀴 및 종동바퀴는 차체프레임에 고정되고, 동력발생수단은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대차를 움직이기 위한 구동력을 구동바퀴에 전달하여 구동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물품을 임의의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 직선레일에서는 이송대차의 차체프레임과 레일의 방향이 일치하므로, 이송대차의 바퀴의 방향을 차체프레임의 방향과 일치시키면 이송대차는 레일의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곡선레일에서는 이송대차의 차체프레임과 레일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구동바퀴 및 종동바퀴의 바퀴축이 이동대차의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됨에 따라, 이동대차는 곡선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대차가 곡선레일을 이동하더라도 균형 유지가 어려워, 이동대차가 안정적으로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특허등록공보 10-0940538 (2010. 1. 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레일의 직선 및 곡선 이동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레일 이동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는, 구동본체와, 구동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시 상기 레일의 상면에서 이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부 지지롤러가 구비된 밸런싱 아암과, 상기 레일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레일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점 트리거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본체의 전,후방측에 마련되는 접점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런싱 아암은 상기 구동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본체의 양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 회동바와,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동바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회동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롤링되는 측부 지지롤러와, 상기 측부 지지롤러를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측부 지지롤러에 텐션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바는 상기 구동본체의 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동바와, 상기 구동본체의 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지지롤러는 상기 제 1 회동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전방 측부에 밀착되는 제 1 측부 지지롤러와, 상기 제 2 회동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후방 측부에 밀착되는 제 2 측부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바는 상기 구동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측부 지지롤러가 결합되는 서브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은 메인 로드와 서브 로드 사이에 개재되어 측부 지지롤러를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 밀착시키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의 하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본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에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 1 및 제 2 전원 브러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롤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가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의 돌출벽에는 상기 측부 지지롤러가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벽과, 상기 측부 지지롤러의 상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벽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레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일의 직선 및 곡선 이동을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런싱 아암이 레일의 곡률에 맞추어 회동할 수 있으므로, 레일 이동 대차는 직선레일에서 뿐만 아니라 곡선레일에서 부드럽고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수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수직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수직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수직레일에서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가 선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수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100)는, 구동본체(110), 구동모터(120), 구동롤러(130), 밸런싱 아암(140) 및 하부 지지롤러(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직선레일 뿐 아니라 곡선레일에서도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본체(110)는 메인 플레이트(110a), 메인 플레이트(110a)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지지편(110b), 수직 지지편(110b)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 지지편(110c) 및 이들 구성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메인 플레이트(110a), 수직 지지편(110b) 및 수평 지지편(110c)은 레일(30)을 일측에서 감싸는 "ㄷ" 형태의 블록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본체(110)는 "ㄷ" 형태의 블록 형태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레일(3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이동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구동본체(110)의 수직 지지편(110b)에는 구동모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구동모터(120)는 구동축(111)을 매개로 구동롤러(130)와 연결되고, 전원 인가시 구동롤러(130)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레일 이동대차(100)를 레일(3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120)는 전력선 통신망(PLC:Power Line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30)의 하부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41)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4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고, 구동본체(110)의 메인 플레이트(110a)에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41)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4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제 1 전원 브러쉬(171) 및 제 2 전원 브러쉬(172)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구동모터(120)는 전력선 통신망을 통한 전원 공급 이외에도, 소모형 전지 또는 재충전이 가능한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20)는 전원 인가시 구동축(11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구동축(111)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동롤러(130)는 레일(30)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롤러(130)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11)에 결합되고, 해당 외주면이 레일(30)의 상면에 롤링 가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동모터(120)의 가동시 레일(30)의 상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 구동롤러(130)의 외주면에는 가드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가드홈(131)에는 레일(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레일가드(33)가 인입되므로, 레일 이동대차(100)의 이동시 구동롤러(130)가 레일(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동본체(110)의 상부에는 레일 이동대차(10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하는 밸런싱 아암(1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밸런싱 아암(140)은 해당 일단이 구동본체(110)의 수평 지지편(110b)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해당 타단이 구동본체(110)의 전,후방측에 위치한 레일(30)에 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런싱 아암(140)은 레일(30)의 직선 및 곡선 이동시, 레일 이동대차(100)가 전,후방향으로 틸팅되거나 레일(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30)은 해당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벽(31)과, 돌출벽(3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레일턱(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싱 아암(140)은 회동바(141), 측부 지지롤러(142) 및 탄성스프링(14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회동바(141)는 구동본체(110)의 전,후방향에 위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바(141)의 일단은 구동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회동바(141)의 타단에는 돌출벽(31)에 롤링될 수 있도록 측부 지지롤러(14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측부 지지롤러(142)는 상방향으로 레일턱(32)에 의해 지지되므로, 구동본체(110)의 이동중 상방향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바(141)는 구동본체(110)의 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동바(141a)와, 구동본체(110)의 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동바(14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 지지롤러(142)는 제 1 회동바(141a)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레일(30)의 전방 돌출벽(31)에 밀착되는 제 1 측부 지지롤러(142a)와, 제 2 회동바(141b)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레일(30)의 후방 돌출벽(31)에 밀착되는 제 2 측부 지지롤러(142b)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탄성스프링(143)은 회동바(141)의 타단에 연결되어 텐션을 제공함으로써, 측부 지지롤러(142)를 돌출벽(31)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스프링(143)은 회동바(141)의 타단과 웨이트(160) 사이를 연결하여 회동바(141)의 타단에 텐션이 제공되도록 하였으나, 측부 지지롤러(142)를 돌출벽(31)에 밀착시키기 위한 텐션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탄성스프링(143)은 다양한 형태로 회동바(141)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회동바(141)의 일단과 구동본체(110) 사이를 연결하는 회동축에 탄성스프링(143)을 설치하여, 회동바(141)의 타단을 돌출벽(31)에 밀착시키는 텐션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수직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수직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수직레일에서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곡선레일 이동시, 밸런싱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130)가 직선레일을 이동하게 되면, 제 1 회동바(141a) 및 제 2 회동바(141b)의 사이 각도는 구동롤러(13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돌출벽(31)을 따라 롤링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130)가 수직레일에서 곡선레일로 이동하게 되면, 곡선레일의 곡률 변화에 따라 제 2 회동바(141b)의 각도가 커지면서, 레일 이동대차(100)의 수평방향 이동이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이동대차(100)가 곡선레일을 이동하게 되면, 곡선레일의 곡률 변화에 따라 제 1 회동바(141a) 및 제 2 회동바(141b)의 사이 각도가 변경되면서, 레일 이동대차의 수평방향 이동이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130)가 곡선레일을 이동하게 되면, 곡선레일의 곡률 변화에 따라 제 1 회동바(141a) 및 제 2 회동바(141b)의 사이 각도가 변경되면서, 레일 이동대차(100)의 수평방향 이동이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본체(110)의 상부, 보다 상세하게, 구동본체(110)의 수평 지지편(110c) 단부에는 웨이트(160)가 설치될 수 있다. 웨이트(160)는 레일 이동대차(100)의 좌,우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중량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웨이트(160)는 수평 지지편(110c)의 상,하부에 2개가 사용되었지만, 레일 이동대차(100)의 좌,우측 균형을 맞추기 위해, 3개 이상의 웨이트(160)가 사용되거나 2개 이하의 웨이트(160)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웨이트(160)는 상기의 구성품이 설치되지 아니한 레일 이동대차(100)의 반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120), 밸런싱 아암(140) 등의 구성이 레일 이동대차(100)의 일측에 편중되어 설치되는 경우, 웨이트(160)를 레일 이동대차(100)의 타측에 설치함으로써, 레일 이동대차(100)의 전체적인 좌,우측 무게가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구동본체(110)의 하부에는 하부 지지롤러(150)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지지롤러(150)는 구동본체(110)의 메인 플레이트(110a)에 장착되어 레일(3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하부 지지롤러(150)는 레일(30)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한 쌍의 하부 지지롤러(150)는 메인 플레이트(110a)에서 레일(30)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레일(30) 이동시 구동롤러(130)는 레일(3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본체(110)의 전,후방측에는 접점 센서(190)가 설치될 수 있고, 레일(30)에는 접점 트리거(18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점 센서(190)는 구동본체(110)의 전,후방측에서 레일(30)을 향해 돌출되는 프로브(probe) 형태로 구성되며, 레일(30)에 위치한 접점 트리거(180)를 접촉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점 트리거(180)는 레일(30)의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 구간에서 레일 이동대차(100)의 이동이 왕복되는 왕복 구간 마크를 제공하거나, 레일(30)의 최 양끝단에서 이동의 시작 마크와 종료 마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밸런싱 아암(140')의 회동바(141')는 길이 가변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회동바(141')는 메인 로드(145)와 이 메인 로드(145)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로드(146)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로드(145)는 구동본체(11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브 로드(146)는 메인 로드(145)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고 해당 단부에 측부 지지롤러(142)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롤러(130)의 곡선레일 이동시, 회동바(141')의 길이는 곡선레일의 곡률 변화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인 레일 이동대차(100)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의 밸런싱 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 회동바(141')는 메인 로드(145)와 이 메인 로드(145)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로드(146)로 구성될 수 있고, 이 메인 로드(145)와 서브 로드(146)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43')이 마련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143')은 메인 로드(145)와 서브 로드(146) 사이에 개재되어 측부 지지롤러(142)를 레일(30)의 측부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구동롤러(130)의 곡선레일 이동시, 압축스프링(143')은 메인 로드(145)와 서브 로드(146)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됨으로써, 회동바(141')의 길이가 곡선레일의 곡률 변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가 선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대차(100)는, 선반의 내 보관된 물품(20)을 스캔하는 스캐너(200)를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선반의 지정된 선반셀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20)이 수납될 수 있고, 선반의 상부에는 레일 이동대차(100)가 이동 가능한 레일(30)이 선반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 이동대차(100)가 전력선 통신망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게 되면, 리더의 부팅과 함께 구동모터(120)가 작동되고, 레일 이동대차(100)의 구동롤러(130)는 선반의 레일(30)을 따라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레일 이동대차(100)에 장착된 스캐너(200)는 레일(30)의 이동 중에 선반셀 내 보관된 물품(20)을 스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의 직선 및 곡선 이동을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밸런싱 아암이 레일의 곡률에 맞추어 회동할 수 있으므로, 레일 이동 대차는 직선레일에서 뿐만 아니라 곡선레일에서 부드럽고 안정적인 이동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구동본체 111 :구동축
120 :구동모터 130 :구동롤러
140 :밸런싱 아암 141 :회동바
141a :제 1 회동바 141b :제 2 회동바
142 :측부 지지롤러 142a :제 1 측부 지지롤러
142b :제 2 측부 지지롤러 143 :탄성스프링
150 :하부 지지롤러 150a :제 1 하부 지지롤러
150b :제 1 하부 지지롤러 160 :웨이트
171 :제 1 전원 브러쉬 172 :제 2 전원 브러쉬
180 :접점 트리거 190 :접점 센서

Claims (10)

  1. 구동본체(110);
    상기 구동본체(110)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120);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11)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120)의 가동시 레일(30)의 상면에서 이동되는 구동롤러(130);
    상기 구동본체(11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레일(30)의 돌출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부 지지롤러(142)가 구비된 밸런싱 아암(140); 및
    상기 레일(30)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롤러(150)를 포함하는 레일 이동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본체(110)에 장착되는 웨이트(160)를 더 포함하는 레일 이동대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점 트리거(180)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본체(110)의 전,후방측에 마련되는 접점 센서(190)를 더 포함하는 레일 이동대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아암(140)은
    상기 구동본체(11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본체(110)의 양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 회동바(141);
    상기 레일(30)의 돌출벽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동바(141)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회동바(141)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30)을 따라 롤링되는 측부 지지롤러(142); 및
    상기 측부 지지롤러(142)를 상기 레일(30)의 돌출벽에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측부 지지롤러(142)에 텐션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43)을 포함하는 레일 이동대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141)는 상기 구동본체(110)의 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동바(141a)와, 상기 구동본체(110)의 후방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동바(141b)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지지롤러(142)는 상기 제 1 회동바(141a)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일(30)의 전방 측부에 밀착되는 제 1 측부 지지롤러(142a)와, 상기 제 2 회동바(141b)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일(30)의 후방 측부에 밀착되는 제 2 측부 지지롤러(142b)를 포함하는 레일 이동대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141)는 상기 구동본체(11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측부 지지롤러(142)가 결합되는 서브 로드를 포함하는 레일 이동대차.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143)은 메인 로드와 서브 로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부 지지롤러(142)를 상기 레일(30)의 돌출벽에 밀착시키는 압축스프링인 레일 이동대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0)의 하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본체(110)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에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 1 및 제 2 전원 브러쉬가 마련되는 레일 이동대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0)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롤러(13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가드(33)가 돌출 형성되는 레일 이동대차.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0)에는 상기 측부 지지롤러(142)가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벽(31)과, 상기 측부 지지롤러(142)의 상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벽(3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레일턱(32)이 형성되는 레일 이동대차.
KR1020120107140A 2012-09-26 2012-09-26 레일 이동대차 KR101412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140A KR101412656B1 (ko) 2012-09-26 2012-09-26 레일 이동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140A KR101412656B1 (ko) 2012-09-26 2012-09-26 레일 이동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86A KR20140040886A (ko) 2014-04-04
KR101412656B1 true KR101412656B1 (ko) 2014-06-30

Family

ID=5065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140A KR101412656B1 (ko) 2012-09-26 2012-09-26 레일 이동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797A1 (ko) *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브이텍 이송용 대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345B1 (ko) * 2016-03-09 2022-11-23 세메스주식회사 집적회로 소자 제조용 이송 장치
CN111016960B (zh) * 2019-12-20 2024-06-25 合肥超科电子有限公司 基于显示触发装置的电动钢轨探伤车、显示触发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794A (ja) * 1993-11-30 1995-06-20 Kito Corp 搬送装置
JP2000355275A (ja) * 1999-06-11 2000-12-26 Murata Mach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2001171512A (ja) * 1999-12-16 2001-06-26 Murata Mach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794A (ja) * 1993-11-30 1995-06-20 Kito Corp 搬送装置
JP2000355275A (ja) * 1999-06-11 2000-12-26 Murata Mach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2001171512A (ja) * 1999-12-16 2001-06-26 Murata Mach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797A1 (ko) *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브이텍 이송용 대차 시스템
KR20160097644A (ko)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브이텍 이송용 대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86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656B1 (ko) 레일 이동대차
KR101292462B1 (ko) 조명 효과를 가지는 바디 마사지기
CN104369555B (zh) 打印机机座及带该机座的打印机以及飞机用数据打印机
ES2409111T3 (es) Dispositivo para la orientación de documentos de valor
CN107398888A (zh) 轨道巡检机器人行走机构
CN205734888U (zh) 轨道巡检机器人行走机构
US20160200467A1 (en) Portable stretch wrapping machine
US20110088994A1 (en) Vertical chain-driven conveyor apparatus for a merchandise displaying device
JP2009184544A (ja) 吊り下げ搬送装置
PE20010847A1 (es) Aparato para monitorear el espesor de la superficie de rodadura durante el pulido de llantas
ITMI950114A1 (it) Sistema di trasporto con carrelli trasportatori elettrici
CN103402898B (zh) 辊清扫装置
CN210048098U (zh) 基于多向分拣轮的分合流***
CN205555239U (zh) 一种改进型智能卡滚轮输送机构
CN212471481U (zh) 单轨导向齿轮巡检***
JP5962518B2 (ja) コーマにおけるボビン排出及びラップ受入装置
CN217497606U (zh) 一种扫描落包交叉带小车
CN212049278U (zh) 一种低高度的地辊重载运输线
NL8900974A (nl) Transportinrichting.
KR101349760B1 (ko) 레일 이동식 스캐닝 장치
KR200428741Y1 (ko) 요동식 다이어트장치
ES2719457T3 (es) Balanza con una bandeja de pesaje abatible
CN219073681U (zh) 一种电商包裹除尘装置
JP2014125307A (ja) ラップ搬送台車
JPH06219528A (ja) 搬送コンベアの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