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845B1 - Coating method of plastics substrate and coated plastics body obtained thereby - Google Patents

Coating method of plastics substrate and coated plastics body obtained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845B1
KR101406845B1 KR1020120087990A KR20120087990A KR101406845B1 KR 101406845 B1 KR101406845 B1 KR 101406845B1 KR 1020120087990 A KR1020120087990 A KR 1020120087990A KR 20120087990 A KR20120087990 A KR 20120087990A KR 101406845 B1 KR101406845 B1 KR 10140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light transmittanc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1794A (en
Inventor
김상헌
윤홍준
이충길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120087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845B1/en
Publication of KR2014002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7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05D5/083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involving the use of fluor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05D1/38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with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1/00Polymeric substrate or laminate
    • B05D2201/02Polymeric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18/00Other type of polymers
    • B05D2518/10Silicon-containing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플라스틱 기재 위에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연성 하도층 위에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위에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폴리실라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챔버 내에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하에서의 연속적인 증착 공정에 의하여 실시되는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고품질 플라스틱 코팅체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의 케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코팅체를 대량생산하는 데 있어서 획기적으로 공정을 단축하여 제품 품질 및 생산 수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Forming a flexible undercoat layer on the plastic substrate; Form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Forming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forming a friction reducing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a polysilazane resin on the protective layer, wherei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reflectance control layer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tep of forming the friction reducing layer are performed by a continuous deposition process under a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n the same chamber and a high quality plastic A coating is provided. According to this, the mass production of the plastic coating material which can be used as a case of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can drastically shorten the process and greatly improve the product quality and the production yield.

Description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플라스틱 코팅체{Coating method of plastics substrate and coated plastics body obtained thereby}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ating a plastic substrate and a plastic coating obtain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플라스틱 코팅체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피처폰, 스마트폰 및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PC 등의 각종 소형 전자 기기들의 케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코팅체를 대량생산하는 데 있어서 획기적으로 공정을 단축하여 제품 품질 및 생산 수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고품질 플라스틱 코팅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ting method of a plastic substrate and a plastic coating obtained by the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large-scale production of a plastic coating material which can be used as a case of various small electronic apparatuses such as a feature phone, a smart phone and a tablet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PC, To a method of coating a plastic substrate and a high-quality plastic coating body obtained by the method.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기술분야에서 터치스크린이 본격적으로 이용되면서 휴대폰의 외관에 대한 표현이 휴대폰 케이스쪽으로 집중됨에 따라 진일보한 휴대폰 케이스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각자의 기능을 발휘하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코팅을 형성함으로써 도료 코팅만으로 구현할 수 없는 색상 등의 미감을 구현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다수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공정을 거쳐야 하지만, 공정수가 증가할수록 공정수의 증가에 수반하는 생산비 증가 이외에도 불량 제품 증가 즉 생산 수율 저하에 따른 생산비 증가 문제도 심각해진다. 이처럼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는 다층 코팅에 의한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경제적으로 고품질의 휴대폰 케이스를 대량생산하여 시장의 요구에 적시에 대처하기 곤란하다.In the field of mobile phone technologies such as smart phones, the use of touch screens has made full use of the expression of the appearance of mobile phones toward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ly, a multi-layered coat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exhibi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is formed on a plastic cellular phone case, thereby realizing a sense of beauty such as color that can not be achieved by coating only the paint. However, in order to form multiple layers on a plastic cellular phone case, a number of processes must be performed. However, as the number of processes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defective products, that is, a decrease in production yield. Thus, it is difficult to economically produce a high-quality cell phone case in large quantities and cope with the demands of the market in a timely manner by us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cell phone case by multilayer coating widely adopted in the technical field.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코팅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 multi-layer coat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n a plastic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사출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S1')한다. 이를 위하여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프라이머층 조성물을 통상적으로 스프레이 도포하고 건조 및/또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 프라이머층 위에 하도층을 형성(S2')한다. 이를 위하여 제1 프라이머층 위에 하도층 조성물을 통상적으로 스프레이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하도층 조성물을 경화하여 하도층을 형성한다. 제1 프라이머층은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와의 친화성이 좋은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하도층은 후속 단계에서 형성될 무기물로 이루어진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과 친화성이 좋은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어서 하도층 위에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S3')한다. 이를 위하여 진공 챔버내에서 하도층 위에 실리콘 산화물 및/또는 티타늄 산화물 등을 진공증착하여 실리콘 산화물층 및/또는 티타늄 산화물층 등을 형성한다. 이어서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S4')한다. 제2 프라이머층은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과의 친화성이 좋은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 단계는 제1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프라이머층 조성물을 통상적으로 스프레이 도포하고 건조 및/또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2 프라이머층 위에 중도층을 형성(S5')한다. 이를 위하여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중도층 조성물을 통상적으로 스프레이 도포하고 건조 및/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중도층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중도층 위에 상도층을 형성(S6')한다. 이를 위하여 중도층 위에 상도층 조성물을 통상적으로 스프레이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도층 조성물을 경화하여 상도층을 형성한다. 중도층은 프라이머층과 함께 상도층이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에 강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도층은 슬립제를 포함하며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이 좋은 화학 구조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primer layer is formed on a plastic cellular phone case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process (S1 '). To this end, a primer layer composition is usually applied onto a plastic case by spraying and dried and / or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form a first primer layer. Subsequently, a primer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primer layer (S2 '). To this end, a primer layer composition is usually applied onto the first primer layer by spraying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to cure the primer layer composition to form a primer layer. The first primer layer is formed using a coating material having good affinity with the plastic cellular phone case, and the primer layer is formed using an ultraviolet curable coating material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compatibility with the reflectance control layer, which is composed of an inorganic material to be formed in a subsequent step . Subsequently, a light transmittance and a reflectance control layer are formed on the undercoating layer (S3 '). For this purpose, a silicon oxide layer and / or a titanium oxide layer or the like is formed by vacuum depositing silicon oxide and / or titanium oxide on the underlayer in a vacuum chamber. Subsequently, a second primer layer is formed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S4 '). The second primer layer is formed by using a paint having good affinity with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made of metal oxide. This step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first primer layer forming step. That is, the primer layer composition is usually applied onto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by spraying and dried and / or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form the second primer layer. Subsequently, a middle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primer layer (S5 '). For this purpose, the intermediate layer composition is usually applied by spraying onto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dried and / or irradiated with infrared rays to form the intermediate layer. Finally, a top layer is formed on the intermediate layer (S6 '). To this end, the top layer composition is typically spray applied onto the middle layer and the top layer composition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to form the top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plays a role in bonding the top layer together with the primer layer to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reflectance control layer. The upper layer is formed using a (meth) acrylate-based ultraviolet ray curing type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slipping agent and having a chemical structure with good scratch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코팅을 형성하는 종래의 공정에 따르면,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가 각 단위 공정이 실시되는 구역으로 5회 이상 이동하여야 하고 적어도 다수의 자외선 조사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노출한다.According to a conventional process for forming a multi-layer coating consisting of multiple layers on a plastic cell phone case as described above, the plastic cell phone case must move at least five times to the area where each unit process is performed and at least a plurality of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es It exposes a number of problems as follows.

우선, 상기한 종래의 코팅 공정은 5개 이상의 많은 공정을 거치면서 불량품이 증가하여 생산 수율이 저하하고 생산비가 증가한다. 또한 자외선 조사 공정이 많기 때문에 자외선 총피폭량이 과도하게 증가함으로써 자외선 경화형 도료가 과도하게 경화될 뿐만 아니라 각 단위 공정 사이의 이동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로 인하여 휴대폰 휴대시 또는 배터리 교환시 휴대폰 케이스가 휘어지거나 코팅 도막이 깨질 뿐만 아니라 시간 경과에 따라 도막의 황변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First, the conventional coating process increases the number of defective products through more than five processes, resulting in lowered production yield and increased production cost. In addition, since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on process is excessive, the ultraviolet ray total exposure amount is excessively increased, so that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type paint is not only excessively hardened but also receives a great deal of stress when moving between each unit process. As a result, when the mobile phone is moved or the battery is replaced, the mobile phone case is bent or the coating film is broken, and the yellowing of the coating film is likely to occur over time.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코팅 공정을 이용하면, 휴대폰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휴대폰 케이스의 물성이 취약해지므로 고품질의 휴대폰 케이스를 경제적으로 대량생산하여 시장의 요구에 적시에 대처하기 곤란하다.Due to such a problem, whe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ating process is use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obile phone increase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obile phone case become weak.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demands of the market in a mass production of a high quality mobile phone case economically.

또한 상기한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 코팅 공정에서 프라이머층, 하도층, 중도층, 및 상도층 조성물을 이용하는 공정은 모두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다량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 오염 문제를 많이 일으킨다.Also,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coating process, all of the processes using the primer layer, undercoat layer, middle layer, and topcoat layer composition use a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의 케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코팅체를 대량생산하는 데 있어서 획기적으로 공정수를 단축하여 제품 품질 및 생산 수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stic coating material which can be used as a case of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ating a plastic substr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플라스틱 코팅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tic coating obtained by a coating method of the plastic substrate.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플라스틱 기재 위에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flexible undercoat layer on the plastic substrate;

상기 유연성 하도층 위에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의 위에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protective layer compris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상기 보호층 위에 마찰감소층으로서,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폴리실라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Forming a friction reducing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e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a polysilazane resin as the friction reducing layer on the protective layer,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챔버 내에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하에서의 연속적인 증착 공정에 의하여 실시되는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이 제공된다.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and forming the friction reducing layer are performed by a continuous deposition process under a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n the same chamber. Coating method is provided.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플라스틱 기재 위에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flexible undercoat layer on the plastic substrate;

상기 유연성 하도층의 위에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Forming a protective layer compris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상기 보호층 위에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ling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on the protective layer; And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마찰감소층으로서,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폴리실라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Forming a friction reducing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e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a polysilazane resin as the friction reducing layer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챔버 내에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하에서의 연속적인 증착 공정에 의하여 실시되는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이 제공된다.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forming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forming the friction reducing layer are performed by a continuous deposition process under a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n the same chamber, Coating method is provided.

상기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40 중량부; 폴리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평균 분자량 200 내지 5,000의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 내지 30 중량부;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와 스티렌 단량체 20 내지 60 중량부; 및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상기 플라스틱 기재 위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광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forming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rises: 15 to 40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methacryl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ble (meth) acrylate oligo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5,000 selected from polyurethane (meth) acrylate, polyester (meth) acrylate or mixtures thereof;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20 to 6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monomer;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may be applied by spraying and photocuring the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onto the plastic substrate.

상기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유기용제 5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5 to 20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solvent.

상기 유기용제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 에틸 케톤, 디메틸 케톤, 이소프로필 알콜, 이소부틸 알콜, n-부틸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셀루솔브, 부틸 셀루솔브, 톨루엔 및 자일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isobutyl ketone, methyl ethyl ketone, dimethyl ketone, isopropyl alcohol, isobutyl alcohol, n-butyl alcohol, ethyl acetate, n-butyl acetate, eth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toluene and xylene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증착 공정은 전자 빔 또는 저항 가열식 진공증착 또는 스퍼터링 진공증착일 수 있다.The deposition process may be an electron beam or a resistance heating vacuum deposition or a sputtering vacuum deposition.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플라스틱 기재;Plastic substrates;

상기 플라스틱 기재 위에 형성된 유연성 하도층;A flexible undercoat layer formed on said plastic substrate;

상기 유연성 하도층 위에 형성된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으로서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as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ormed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형성된 보호층으로서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 및A protective layer compris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as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된 마찰감소층으로서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폴리실라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마찰감소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코팅체가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plastic coating comprising a friction reducing layer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the friction reducing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e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a polysilazane resin.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ther object,

플라스틱 기재;Plastic substrates;

상기 플라스틱 기재 위에 형성된 유연성 하도층;A flexible undercoat layer formed on said plastic substrate;

상기 유연성 하도층 위에 형성된 보호층으로서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A protective layer compris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as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된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으로서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및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as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And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형성된 마찰감소층으로서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폴리실라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마찰감소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코팅체가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plastic coating comprising a friction reducing layer formed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ling layer, the friction reducing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e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a polysilazane resin .

상기 유연성 하도층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40 중량부; 폴리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평균 분자량 200 내지 5,000의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 내지 30 중량부;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와 스티렌 단량체 2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경화생성물일 수 있다.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rises 15 to 40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methacryl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ble (meth) acrylate oligo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5,000 selected from polyurethane (meth) acrylate, polyester (meth) acrylate or mixtures thereof;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eth) acrylate-based monomer and 20 to 6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monomer can be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상기 플라스틱 기재는 휴대폰 케이스, 태블릿 PC 케이스, 노트북 PC 케이스,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케이스일 수 있다.The plastic substrate may be a cellular phone case, a tablet PC case, a notebook PC case, o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se.

본 발명의 다층 코팅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프라이머층과 하도층의 역할을 함께 담당할 수 있는 특수한 화학조성을 갖는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와 하도층 형성 단계의 2 단계를 유연성 하도층 형성 단계의 1 단계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별개의 장소에서 실시되지 않고 하나의 동일한 챔버 내에서 연속적인 증착 공정으로 실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primer layer forming step and the undercoating layer forming step are performed by using the flexible undercoating layer composition having a special chemical composition capable of taking the role of the conventional primer layer and undercoat layer together It can be replaced by the first step of the flexible layer formation step. Also, the steps of forming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and forming the friction reducing layer may be conducted in a continuous deposition process in one and the same chamber, rather than in separate locations .

따라서 본 발명의 다층 코팅방법은 크게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는 스프레이 도포 및 경화의 습식 공정과,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보호층, 및 마찰감소층을 하나의 동일한 챔버에서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건식 증착 공정의 2 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 간단하게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에 고품질의 다층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간단한 공정의 다층 코팅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다층 코팅 방법에 비하여 생산성 및 수율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자외선 조사 공정이 1단계밖에 없으므로 자외선 경화형 도료의 과잉 경화에 따른 뒤틀림 및 깨짐 현상과 황변 현상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휘발성 유기 화합물 다량 사용에 의한 환경 문제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간단한 공정의 다층 코팅방법에 따르면, 경제적으로 고품질의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를 대량생산하여 시장의 요구에 적시에 대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wet process of spray application and curing, which largely forms a flexible underlayer, and a dry process of continuously form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 protective layer and a friction reducing layer in one and the same chamber And a high-quality multi-layer coating can be formed on a plastic cellular phone case simply. Therefore, according to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ivity and yield can be grea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ultilayer coating method, and since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on process is only one step, distortion and cracking due to excessive curing of the ultraviolet ray- And the yellowing phenomenon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use of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can be minimiz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simpl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produce a high-quality plastic cellular phone case in large quantities to respond to market demands in a timely manner.

또한 본 발명의 다층 코팅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와 같은 플라스틱 코팅체는 종래의 다층 코팅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플라스틱 코팅체에 비하여 내구성, 내습성,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감촉, 내오염성, 내후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월등히 우수하다.The plastic coating material such as the plastic cell phone case obtained by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in durability, moisture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texture, stain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the chemical properties such as chemical resistance are remarkably excellent.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코팅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코팅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 multi-layer coat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n a plastic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forming a multilayer coat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n a plastic cell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들에 따른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플라스틱 코팅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ating a plastic substrate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astic coating obtained by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코팅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forming a multilayer coat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n a plastic cell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S1)한다. 이를 위하여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 위에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을 스프레이 도포하고 활성선 예를 들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을 경화하여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한다. 상기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비닐계 수지, 및 폴리아세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flexible undercoat layer is formed on a plastic cellular phone cas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S1). For this purpose, a flexible undercoat composition is sprayed onto a plastic cell phone case and the flexible undercoat composition is cured by activating active lines, such as ultraviolet light, to form a flexible undercoat layer. The plastic cellular phone case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polyester such as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copolymer, a vinyl resin such as polystyrene, polyvinyl chloride, And polyacetal.

상기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저점도의 다관능 광경화형 올리고머,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40 중량부; 폴리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평균 분자량 200내지 5,000의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 내지 30 중량부;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와 스티렌 단량체 20 내지 60 중량부; 및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상온이란 15℃ 내지 25℃의 온도 범위를 의미한다.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osition comprises polymethylmethacrylate, a low viscosity, multifunctional photo-curable oligomer, a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Specifically,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osition comprises 15 to 40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methacryl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ble (meth) acrylate oligo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5,000 selected from polyurethane (meth) acrylate, polyester (meth) acrylate or mixtures thereof;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20 to 6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monomer;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are preferably us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rmal temperature means a temperature range of 15 ° C to 25 ° C.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하도층 조성물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고분자 바인더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50,000 내지 약 5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00,000 내지 300,000이고, 또한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5 내지 약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25 중량부 내지 약 35 중량부의 함량인 것이 얻어진 하도층의 유연성 및 도포 작업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polymethylmethacrylate is a polymer binder having a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0 to about 500,000, preferably about 100,000 to 300,000, a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0 to about 300,000, 15 to about 40 parts by weight, and preferably about 25 parts by weight to about 35 parts by weight, in terms of flexibility and application workability of the undercoat layer obtained.

상기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폴리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평균 분자량 2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000, 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일 수 있다. 유연성 조성물의 제조용이성 및 도포 작업성을 고려하여 1종 이상의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같이 사용될 수 있다.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 oligomer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5,000, preferably 300 to 3,000, more preferably 300 to 5,000, selected from polyurethane (meth) acrylate, polyester (meth) acrylate, 500 to 2,000. One or more photocurable (meth) acrylate oligomers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eparation of the flexible composition and workability of coating.

상기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양이 30 중량부보다 많으면 경화후의 하도막의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도막이 부서지기 쉽고, 열이나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며, 10 중량부 미만일 때는 경도와 마모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 oligomer is used in an amount of 10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amount of 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 oligomer i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undercoat film after curing becomes too high, the film tends to be broken, cracks are generated by heat or impact, and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abrasion may be reduced.

본 발명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점도 조절을 위한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와 스티렌 단량체 20 내지 6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스티렌 단량체의 함량이 적으면 유연성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고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스티렌 단량체의 함량이 적으면 유연성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작아지고 자외선 경화성 및 경화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20 to 6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monomer are used as a reactive diluent for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polymethyl methacrylate and a photocurable (meth) acrylate oligomer . When the content of 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the styrene monomer is too low, the viscosity of the flexible composition becomes too high, and when the content of 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styrene monomer is small, the viscosity of the flexible composition becomes too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rdenability and the cured properties are deteriorated.

상기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예를 들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트릴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모노아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 4-부틸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 옥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모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단관능성 단량체;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이관능성 단량체; 펜타에리스리톨 트리- 또는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tetraacrylate),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변성 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한다.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based monomer may be, for example, 2-ethylhexyl acrylate, octyldecyl acrylate, stearyl acrylate, behenyl 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nonylphenol ethoxylate monoacrylate , Beta-carboxyeth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tetrahydroperfuryl acrylate, tetrahydroperfuryl methacrylate, 4-butylcyclohexyl acrylate, dicyclopentenyl acrylate, dicyclopentenyloxyethyl acrylate Acrylate based monofunctional monomers such as methoxyethoxyethyl acrylate, ethoxyethoxyethyl acrylate, ethoxylated mono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and hydroxybutyl 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hexamethylene diacrylate, triphenyl glycol diacrylate, butanediol diacrylate, 1,3-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 Neopentyl glycol di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Acrylate based monofunctional monomers such as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and ethoxylated neopentyl glycol diacrylate; Pentaerythritol tri- or tetraacrylate, ditrimethylol propane tetraacrylate,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ethoxylated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methacrylate, Acrylate-modified polyfunctional monomer such as prop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prop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and the like.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의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이 30 중량부보다 많으면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서 바람직한 도막 형성이 불가능해질 뿐 아니라 경화속도가 느려지고 기계/화학적 물성이 저하되며, 10 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스프레이 도포 작업성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작업성과 레벨링이 저하되고, 희석능 미비로 인하여 구성 성분들의 상용성이 나빠진다.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s the reactive diluent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0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5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i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s lowered to make it impossible to form a desired coating film, and the curing rate is slowed down and the mechanical / chemical properties are deteriorated. As the viscosity increases, not only the workability of spray application deteriorates but also the workability and leveling are lowered, and the miscibility of the constituents is deteriorated due to insufficient dilution.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의 스티렌 단량체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부,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 단량체의 함량이 60 중량부보다 많으면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서 바람직한 도막 형성이 불가능해질 뿐 아니라 얻어진 하도막의 유연성이 저하되며, 20 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스프레이 도포 작업성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작업성과 레벨링이 저하되고, 희석능 미비로 인하여 구성 성분들의 상용성이 나빠진다.The styrene monomer as the reactive dilu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20 to 60 parts by weight, preferably 30 to 6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40 to 60 parts by weight, still more preferably 45 to 5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Is preferably used. If the content of the styrene monomer is more than 60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s lowered to make it impossible to form a desired coating film and the flexibility of the obtained undercoat film is lowered. If it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s increased, The workability leveling is lowered, and the miscibility of the components is deteriorated due to insufficient dilution.

상기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은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한다. 광개시제의 함량은 저점도 다관능성 광경화형 올리고머,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스티렌 단량체의 함량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개시제의 함량이 10 중량부을 초과하면 하도막 을 구성하는 수지의 분자량이 작아져 도막의 취성이 커지며, 2 중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하도막 물성을 얻지 못하거나 미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예를 들면, 자외선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하며 이 라디칼은 다관능 광경화형 올리고머,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스티렌 단량체의 중합 및 가교시키는 역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2-메틸 프로판-1-온(Irgacure 127),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Irgacure 184), 2-벤질-2-(다이메틸아미노)-1-[4-(4-몰포리닐)페닐]-1-부타논(Irgacure 369), 비스(2,4,6-트라이메틸 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사이드(Irgacure 819), 2,4,6-트라이메틸 벤조일 다이페닐 포스핀(TPO),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Darocur 1173), 벤조페논(BP) 등을 포함한다.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osition comprises 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2 to 8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3 to 6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s preferab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low viscosity multifunctional photo-curable oligomer, 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the styrene monomer. If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primer layer becomes small and the brittleness of the coating film becomes large. If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s less than 2 parts by weight, the desired primer film properties may not be obtained or may be uncured. The photoinitiator forms a radical by, for example, ultraviolet rays, and the radical serves to polymerize and crosslink the multifunctional photo-curable oligomer, the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the styrene monomer. Specific examples of photoinitiator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2-hydroxy-1- 4- [4- (2-hydroxy-2-methylpropionyl) -benzyl] phenyl (Irgacure 127),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Irgacure 184), 2-benzyl-2- (dimethylamino) -1- [4- (Irgacure 369), bis (2,4,6-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e oxide (Irgacure 819),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TPO), 2-hydroxy-2-methyl-1-phenyl-1-propane (Darocur 1173), benzophenone (BP) and the like.

상기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유기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유기용제의 구체적인 예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 에틸 케톤, 디메틸 케톤, 이소프로필 알콜, 이소부틸 알콜, n-부틸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셀루솔브, 부틸 셀루솔브, 톨루엔 및 자일렌를 포함한다. 상기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유기용제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이때, 유기용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사용량이 증가하며, 5 중량부 미만이면 희석력 미비로 인하여 조성물의 구성성분들의 상용성이 나빠져 스프레이 도포성이 저하된다.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n organic solvent as required. Specific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ethyl isobutyl ketone, methyl ethyl ketone, dimethyl ketone, isopropyl alcohol, isobutyl alcohol, n-butyl alcohol, ethyl acetate, n-butyl acetate, ethyl cellosolve, Sorb, toluene and xylene. The content of the organic solvent in the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may be 5 to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7 to 10 parts by weight. If the amount of the organic solv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amount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used increases. If the amount of the organic solvent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compatibility of the components of the composition deteriorates due to insufficient dilution force.

또한, 상기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기타 첨가제로서 레벨링제, 습윤제, 안료, 분산제 등을 통상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other additives such as leveling agents, wetting agents, pigments, dispersing agents and the like in a usual amount.

상기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저점도 다관능 광경화형 올리고머,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스티렌 단량체 중에 혼합하고 균질화 처리를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유기용제 및 기타 첨가제를 더 첨가하고 혼합 및 균질화 처리를 할 수 있다.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osition can be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an ultraviolet curing type paint. Specifically, a homopolyme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mixing polymethyl methacrylate, a low viscosity polyfunctional photo-curable oligomer, a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in a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and a styrene monomer . If necessary, an organic solvent and other additives may be further added and mixed and homogenized.

본 발명에서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이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가교 경화되어 형성된 유연성 하도층은 플라스틱 기재와 하도층이 잘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프라이머층과 진공 증착에 의하여 형성된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무기물 다층 코팅층)이 잘 부착되도록 하는 하도층의 기능으로 하나의 층으로 통합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formed by cross-linking and curing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osition by ultraviolet irradiation is composed of a primer layer serving to adhere well to the plastic substrate and the undercoat layer,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Coating layer) is well integrated into one layer as a function of the sublayer.

이어서 유연성 하도층 위에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으로서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S2)한다. 이를 위하여 유연성 하도층이 형성된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와 같은 플라스틱 기재를 진공증착 장비의 증착 챔버 내에 위치시킨 후, 유연성 하도층 위에 실리콘 산화물(SiO2)층 및/또는 티타늄 산화물(TiO2)층을 진공증착하여 형성한다.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은 알루미나를 이용하여 광투과율을 20±5%의 범위로 조절하고 광반사율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으로서는 실리콘 산화물층 및 티타늄 산화물층의 2층 구조를 갖는 것이 멀티코팅의 특성 발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실리콘 산화물층은 층간 접착제 역할을 하고 티타늄 산화물층은 반사광의 색조정의 역할을 한다.Then, a light transmittance and a reflec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are formed as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S2). For this purpose, a plastic substrate such as a plastic cell phone case with a flexible undercoat layer is placed in a deposition chamber of a vacuum deposition apparatus, and then a silicon oxide (SiO 2 ) layer and / or a titanium oxide (TiO 2 ) .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unctions to adjust the light transmittance to 20 ± 5% using alumina and reduce the light reflectance. As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reflectance control layer, a two-layer structure of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characteristics of multi-coating. At this time, the silicon oxide layer serves as an interlayer adhesive, and the titanium oxide layer serves as a hue definition of reflected light.

이어서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의 위에 보호층으로서 알루미늄 산화물(Al2O3)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S3)한다. 이를 위하여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의 형성이 종료하면, 동일한 증착 챔버내에서 계속하여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의 위에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진공증착한다. 알루미늄 산화물 및 실리콘 카바이드는 모두 모스 경도가 9 이상으로서 연마제로도 사용되는 고경도 재료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기재의 내마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플라스틱 기재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 알루미늄 산화물 및 실리콘 카바이드는 기체 장벽층 재료로 사용될 정도로 치밀한 조직을 갖추고 있어 습기 및 기타 공격성 물질로부터 휴대폰 배터리 커버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산화물 및 실리콘 카바이드를 진공증착으로 코팅하기 때문에 종래 방법인 도료를 이용하여 다층코팅인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방법에 비하여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강한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Next,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luminum oxide (Al 2 O 3 ) or silicon carbide (SiC) is formed as a protective layer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S3). When the formation of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reflectance control layer is completed for this purpose, a protective layer contain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is vacuum deposited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in the same deposition chamber. Aluminum oxide and silicon carbide all have a Mohs hardness of 9 or more and can be greatly improved in abrasion resistance of a plastic substrate because they are high hardness materials which are also used as abrasives. Therefore, the plastic substrate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cratch resistance. Aluminum oxide and silicon carbide are so dense that they can be used as gas barrier layer materials to protect the cell phone battery cover from moisture and other aggressive substances.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luminum oxide and silicon carbide are coated by vacuum evaporati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ed coating, that is,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reflectance control layer, Scratch resistance and durability can be obtained.

한편,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의 위에 보호층이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와 반대로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의 아래에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유연성 하도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한 후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및 보호층이 동일한 진공 챔버 내에서 연속적으로 진공증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두 층의 증착 순서의 변경이 특히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ontrary,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below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 That is, in this case,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and then a light transmittance and a reflectance control layer are formed.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transmittance, the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are continuously formed by vacuum deposition in the same vacuum chamber, the deposition sequence of the two layers is particularly easy to change.

이어서 상기 보호층 위에 마찰감소층(AF층: antifriction layer, antifingerprint layer)을 형성(S4)한다. 이를 위하여 보호층의 형성이 종료하면, 동일한 증착 챔버내에서 계속하여 보호층 위에 마찰감소층을 진공증착한다. 상기 마찰감소층으로서는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또는 폴리실라잔 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불화탄소 수지의 구체적인 예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및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PVDF)을 포함할 수 있다. 불화실리콘 수지는 폴리실록산 수지의 측쇄의 알킬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실라잔 수지는 규소 원자와 질소 원자가 교호하여 골격을 형성하는 고분자 재료로서 내마모성 수지나 유리막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재료로 형성된 마찰감소층은 종래 방법에서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도층 및 상도층을 대체하여 내마모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마찰감소층 재료는 불소 원자 및 규소 원자를 많이 포함하는 재료로서 표면장력이 낮기 때문에 기재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며 오염이 되더라도 쉽게 제거되는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한 보호층 및 마찰감소층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플라스틱 코팅체는 휴대폰 배터리 커버나 플라스틱 기재 외관이 마모되거나 습기 침투에 의해 변형 또는 변색이 되는 현상뿐만 아니라 휴대폰 배터리 커버나 플라스틱 기재 외관상에 지문이 묻거나 먼지 등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Next, an antifinger layer (AF)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S4). When formation of the protective layer is completed for this purpose, the friction reducing layer is vacuum deposited on the protective layer continuously in the same deposition chamber. As the friction reducing layer,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 or a polysilazane resin can be formed. Specific examples of the fluorocarbon resin includ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 vinyl ether copolymer (PF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FEP),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tetrafluoroethylene-ethylene copolymer (ETFE), and polyfluorovinylidene (PVDF). The fluorosilicone resin includes a resin in which the alkyl group of the side chain of the polysiloxane resin is at least partially substituted with a fluorine atom. Polysilazane resins are polymeric materials that form a skeleton by alternating silicon atoms and nitrogen atoms and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abrasion resistant resins or glass films. The friction reducing layer formed of such a material can also improve abrasion resistance by replacing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upper layer used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friction reducing layer material is a material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luorine atoms and silicon atoms and has a low surface tension so that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and easily removed even if it is contaminated. Therefore, the plastic coating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friction reducing layer described above can be used not only for a phenomenon in which the appearance of the cell phone battery cover or the plastic substrate is deformed or discolored due to wear or moisture penetration, And prevents the fingerprint from being contaminated by dust or the like.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보호층 위에 마찰감소층이 형성되지만, 상기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와 반대로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마찰감소층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보호층 및 마찰감소층이 동일한 진공 챔버 내에서 연속적으로 진공증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두 층의 증착 순서의 변경이 특히 용이하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 friction reducing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n the contrary, a friction reducing layer is formed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adjusting layer.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reflectance control layer,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friction reducing layer are continuously formed by vacuum deposition in the same vacuum chamber, the deposition sequence of the two layers is particularly easy to change.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보호층 및 마찰감소층이 동일한 진공 챔버 내에서 연속적으로 진공증착되는 공정은 진공증착 방법 중 증발(열저항 또는 e-beam) 또는 스퍼터링 진공증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전자 빔(e-beam) 진공증착 또는 스퍼터링 진공증착은 본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공정조건하에서 예를 들면 10-5 내지 10-2 torr 수준의 진공도에서 진공 증착이 실시될 수 있다. 특히 타겟 물질을 열저항 또는 e-beam 조사에 의하여 증발시켜 증착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간편하고 용이하게 유기물질 및 무기물질을 번갈아 이용하면서도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보호층 및 마찰감소층을 동일한 진공 챔버내에서 연속적으로 증착할 수 있다.The process of continuously vacuum-depositing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reflectance control layer,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friction reducing layer in the same vacuum chamber may be performed by evaporation (thermal resistance or e-beam) or sputtering vacuum deposition during the vacuum deposition process. E-beam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Vacuum deposition can be carried out under vacuum at a vacuum level of, for example, 10 < -5 > to 10 < -2 & gt ; torr under process conditions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Particularly, when the target material is evaporated by evaporation by heat resistance or e-beam irradiati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friction reduction layer can be easily and easily used in the same vacuum And can be continuously deposited in the chamber.

본 발명의 다층 코팅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프라이머층과 하도층의 역할을 함께 담당할 수 있는 특수한 화학조성을 갖는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와 하도층 형성 단계의 2 단계를 유연성 하도층 형성 단계의 1 단계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별개의 장소에서 실시되지 않고 하나의 동일한 챔버 내에서 연속적인 증착 공정으로 실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primer layer forming step and the undercoating layer forming step are performed by using the flexible undercoating layer composition having a special chemical composition capable of taking the role of the conventional primer layer and undercoat layer together It can be replaced by the first step of the flexible layer formation step. Also, the steps of forming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and forming the friction reducing layer may be conducted in a continuous deposition process in one and the same chamber, rather than in separate locations .

따라서 본 발명의 다층 코팅방법은 크게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는 스프레이 도포 및 경화의 습식 공정과,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보호층, 및 마찰감소층을 하나의 동일한 챔버에서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건식 증착 공정의 2 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 간단하게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에 고품질의 다층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간단한 공정의 다층 코팅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다층 코팅 방법에 비하여 생산성 및 수율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자외선 조사 공정이 1단계밖에 없으므로 자외선 경화형 도료의 과잉 경화에 따른 뒤틀림 및 깨짐 현상과 황변 현상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형 도료 사용을 최소화 함으로써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의 다량 사용에 의한 환경 문제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wet process of spray application and curing, which largely forms a flexible underlayer, and a dry process of continuously form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 protective layer and a friction reducing layer in one and the same chamber And a high-quality multi-layer coating can be formed on a plastic cellular phone case simply. Therefore, according to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ivity and yield can be grea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ultilayer coating method, and since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on process is only one step, distortion and cracking due to excessive curing of the ultraviolet ray- And the yellowing phenomenon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use of the ultraviolet curing type paint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use of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따라서 본 발명의 간단한 공정의 다층 코팅방법에 따르면, 경제적으로 고품질의 휴대폰 케이스를 대량생산하여 시장의 요구에 적시에 대처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simpl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produce a high-quality cell-phone case in large quantities to respond to market demands in a timely manner.

또한 본 발명의 다층 코팅방법에 의하여 얻은 플라스틱 휴대폰 케이스와 같은 플라스틱 코팅체는 종래의 다층 코팅 방법에 의하여 얻은 플라스틱 코팅체에 비하여 내구성, 내습성,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감촉, 내오염성, 내후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월등히 우수하다.In addition, the plastic coating body such as the plastic cell phone case obtained by the multilayer co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in durability, moisture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texture, stain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the chemical properties such as chemical resistance are remarkably excellen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특수하게 설계된 프라이머층 겸용 유연성 하도층을 이용하여 멀티코팅층인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탁월한 성능의 진공증착된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이용하여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불화실리콘 수지 등과 같은 저마찰계수의 재료로 이루어진 마찰감소층을 적용하여 종래의 5 단계 이상의 공정을 2 단계의 공정으로 감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은 플라스틱 코팅체는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코팅체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유연성, 내구성 및 내황변성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which is a multi-coating layer, is protected by using a specially designed flexible undercoat layer also serving as a primer layer, but also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a friction reducing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such as a silicone fluoride resin is applied to reduce the conventional five or more steps to two steps. In addition, the plastic coating material obtain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flexibility, durability and vulcanization resistance which can not be realized in a plastic coating material used as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cas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조제예 1: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용액증발형 프라이머 조성물(제1 및 제2 프라이머층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solution-evaporation type primer composition (first and second primer layer composition) used in Comparative Examples

톨루엔 800g, 아세톤 50g, DBP(디부틸 프탈레이트) 가소제 30g, 폴리비닐부틸알(세키수이화학, S-LEC B) 100g 및 레벨링제(EBECRYL350, SK-UCB사) 10g를 약 60℃에서 약 4시간 교반하여 25℃에서 점도가 약 500cps인 용액증발형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100 g of polyvinyl butylal (Sekisui Chemical Co., Ltd., S-LEC B) and 10 g of a leveling agent (EBECRYL 350, SK-UCB) were added at about 60 ° C for about 4 hours Followed by stirring to prepare a solution evaporative primer composition having a viscosity of about 500 cps at 25 ° C.

조제예 2: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베이스 도료(하도층용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ultraviolet curable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osition for undercoat layer) used in Comparative Example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상품명: EBECRYL 3700, SK-UCB사) 700g,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상품명: PETA, SK-UCB사) 100g,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상품명: TMPTA, 미원상사) 100g,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HDDA, 미원상사) 106g, 광개시제(상품명: Irgacure 369,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사) 20g, 레벨링제(EBECRYL350, SK-UCB사) 10g를 교반하여 25℃에서 점도가 약 500 cps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0 g of pentaerythritol triacrylate (trade name: PETA, SK-UCB), 100 g of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rade name: TMPTA, Miwon Chemical Co., Ltd.), 1 g of 1 , 10 g of a leveling agent (EBECRYL 350, manufactured by SK-UCB), 10 g of a photoinitiator (trade name: Irgacure 369, manufactured by Ciba Specialty Chemicals), and 10 g of 6-hexanediol diacrylate (trade name: HDDA, An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having a viscosity of about 500 cps was prepared.

조제예 3: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용제 증발형 투명 중도층용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a solvent-evaporating transparent intermediate layer composition used in Comparative Example

톨루엔 800g, 아세톤 50g, DBP(디부틸 프탈레이트) 가소제 30g, 폴리비닐부틸알(세키수이화학, S-LEC B) 100g 및 레벨링제(EBECRYL350, SK-UCB사) 10g를 약 60℃에서 약 4시간 교반하여 25℃에서 점도가 약 500cps인 용액증발형 투명 중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100 g of polyvinyl butylal (Sekisui Chemical Co., Ltd., S-LEC B) and 10 g of a leveling agent (EBECRYL 350, SK-UCB) were added at about 60 ° C for about 4 hours And the mixture was stirred to prepare a solution evaporation type transparent intermediate layer composition having a viscosity of about 500 cps at 25 캜.

조제예 4: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투명 상도층용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composition for ultraviolet curing type transparent topcoat layer used in Comparative Example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상품명: EBECRYL 3700, SK-UCB사) 700g,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상품명: PETA, SK-UCB사) 100g,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상품명: TMPTA, 미원상사) 100g,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HDDA, 미원상사) 106g, 광개시제(상품명: Irgacure 369,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사) 20g, 레벨링제(EBECRYL350, SK-UCB사) 10g를 교반하여 25℃에서 점도가 약 500 cps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0 g of pentaerythritol triacrylate (trade name: PETA, SK-UCB), 100 g of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rade name: TMPTA, Miwon Chemical Co., Ltd.), 1 g of 1 , 10 g of a leveling agent (EBECRYL 350, manufactured by SK-UCB), 10 g of a photoinitiator (trade name: Irgacure 369, manufactured by Ciba Specialty Chemicals), and 10 g of 6-hexanediol diacrylate (trade name: HDDA, An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having a viscosity of about 500 cps was prepared.

조제예 5: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Example 5: Preparation of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osition used in the examples

디하이드록시 관능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올(독일 Gold Schmidt사 Diol BD 1000) 1.0당량을 촉매, 중합금지제와 함께 4구 라운드 플라스크에 넣고, 콘덴서, 교반기, 온도계를 장치한 후 온도를 40℃로 승온시켰다. 이후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미국 Olin사 제품, 제품명: LUXATE ITM 800) 2당량을 적하 튜브내에 넣고 1시간 동안 적하하여 45℃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 1.1당량을 적하 튜브에 넣고 30분간 적하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모두 소멸될 때까지 65℃로 유지 반응하여 수평균 분자량 약 1,800의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1.0 equivalent of a dihydroxy functional polymethacrylate polyol (Germany Gold Schmidt Co., Ltd. Diol BD 1000) was placed in a four-necked round-bottomed flask together with a catalyst and a polymerization inhibitor, and a condenser, a stirrer and a thermometer were placed. Lt; / RTI > Then, 2 equivalents of an isophorone diisocyanate trimer (product name: LUXATE ITM 800, manufactured by Olin, USA) was added dropwise into the dropping tube and added dropwise for 1 hour and reacted for 1 hour while maintaining 45 ° C. Then 1.1 equivalents of caprolactone acrylate was added dropwise into the dropping tube and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and the mixture was maintained at 65 DEG C until all of the isocyanate groups disappeared to prepare an ultraviolet curable polyurethane acrylate oligo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800.

중량 평균 분자량 약 300,000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제조사: 미쯔비시레이온사) 800g, 상기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50g,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상품명: TMPEOTA, 미원상사) 100g,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HDDA, 미원상사) 250g, 스티렌 단량체 1200g, 광개시제(상품명: Irgacure 369,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 30g, 레벨링제(EBECRYL350, SK-UCB사) 10g를 교반하여 25℃에서 점도가 약 500 cps인 자외선 경화형 유연성 하도층을 제조하였다.800 g of polymethyl methacrylat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300,000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650 g of the ultraviolet curable polyurethane acrylate oligomer, 100 g of 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rade name: TMPEOTA, 250 g of 1,6-hexanediol diacrylate (trade name: HDDA,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1200 g of styrene monomer, 30 g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Ciba Specialty Chemicals) and 10 g of a leveling agent (EBECRYL 350, SK-UCB) To prepare an ultraviolet curable flexible undercoat layer having a viscosity of about 500 cps at 25 ° C.

실시예 1Example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사출 성형된 두께 1.0mm의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지그에 장착하였다. 휴대폰 케이스 제조용의 스핀들 스프레이 라인에 상기 지그를 장착하고 상기 조제예 5에서 얻은 유연성 하도층 조성물을 상기 케이스 위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약 25℃에서 약 10초간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장치(제품명: 메탈할라이드 UV LAMP, 제조사: 한국자외선(주))을 이용하여 라인 스피드 12m/min, 자외선량 900 mJ/cm2의 경화 조건에서 파장 약 250 내지 450nm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10±3㎛의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였다.A 1.0 mm thick smartphone case injection molded with polycarbonate resin was attached to the jig. The jig was mounted on a spindle spray line for manufacturing a mobile phone case, the flexible undercoat compositi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5 was applied on the case by spraying and dried at about 25 DEG C for about 10 seconds, and then irradiated with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apparatus (product name: metal halide UV lamp, A flexible undercoa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 3 μm was 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250 to 450 nm under a curing condition of a line speed of 12 m / min and an ultraviolet dose of 900 mJ / cm 2 using a manufacturer (manufactured by Korea Ultraviolet) .

이어서 상기 지그를 진공 증착기 내에 장착하고, 또한 각각 Al2O3 타겟 물질을 수용하는 제1 포트, TiO2 타겟 물질을 수용하는 제2 포트, 및 SiO2 타겟 물질을 수용하는 제3 포트 및 PTFE 타겟 물질를 수용하는 제4 포트를 상기 진공 증착기 내에 장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진공 증착기의 내부 공간을 배기하여 진공도가 4.0x10-5 torr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2 포트, 제3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의 순서로 선택적으로 e-빔을 조사하여 상기 유연성 하도층 위에 두께 약 50Å의 TiO2 층/두께 약 50Å의 SiO2 층/두께 약 70Å의 TiO2 층/두께 약 70Å의 SiO2 층의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증착하였다.Subsequently, the jig is mounted in a vacuum evaporator, and a first port for receiving an Al2O3 target material, a second port for receiving a TiO2 target material, and a third port for receiving a SiO2 target material, A port was mounted in the vacuum evaporator. Subsequently, when the internal space of the vacuum evaporator is evacuated and the degree of vacuum reaches 4.0 x 10 -5 torr, the e-beam is selectively irradiat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port, the third port, the second port, and the third port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of a TiO 2 layer of about 50 Å thick, a SiO 2 layer of about 50 Å thick, a TiO 2 layer of about 70 Å thick, and a SiO 2 layer of about 70 Å thick were deposited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이어서 상기 제1 포트에 e-빔을 조사하여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두께 약 100Å의 Al2O3층의 보호층을 증착하였다.Then, an e-beam was irradiated to the first port to deposit a protective layer of Al2O3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Å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계속해서, 제4 포트에 e-빔을 조사하여 상기 Al2O3층의 보호층 위에 두께 약 100Å의 PTFE층의 마찰감소층을 연속적으로 증착하여 스마트폰용 케이스 코팅체를 제조하였다.Subsequently, a friction reducing layer of a PTFE layer of about 100 Å in thickness was continuously deposited on the protective layer of the Al2O3 layer by irradiating the fourth port with e-beam, thereby preparing a case coating for a smartphone.

실시예 2Example 2

두께 10±3 ㎛의 유연성 하도층 위에 두께 약 100Å의 Al2O3층의 보호층을 먼저 증착한 후, 상기 보호층 위에 두께 약 50Å의 TiO2 층/두께 약 50Å의 SiO2 층/두께 약 70Å의 TiO2 층/두께 약 50Å의 SiO2 층의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마트폰용 케이스 코팅체를 제조하였다.A protective layer of an Al2O3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angstroms was first deposited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 3 mu m, and then a TiO2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 ANGSTROM / a SiO2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 ANGSTROM / A case coating for a smartpho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ivity control layer of a SiO2 layer of about 50 Å in thickness was deposited.

실시예 3Example 3

두께 10±3 ㎛의 유연성 하도층 위에 두께 약 150Å의 Al2O3 층의 보호층을 먼저 증착한 후, 상기 보호층 위에 두께 약 250Å의 TiO2 층/두께 약 50Å의 SiO2 층의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증착하였다. 이 위에 다시 두께 약 150Å의 Al2O3층의 보호층 및 두께 약 50Å의 SiO2층의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연속적으로 증착하였다.A protective layer of an Al2O3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50 ANGSTROM was first deposited on a flexible undercoa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 3 mu m and then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of a TiO2 layer of about 250 ANGSTROM / Respectively. A light transmittance and a reflectance control layer of a protective layer of Al2O3 layer of about 150 Å in thickness and a SiO2 layer of about 50 Å in thickness were continuously deposited thereon.

이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마트폰용 케이스 코팅체를 제조하였다.Except for this, a case coating for a smartpho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사출 성형된 두께 1.0mm의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지그에 장착하였다. 휴대폰 케이스 제조용의 스핀들 스프레이 라인에 상기 지그를 장착하고 상기 조제예 1에서 얻은 용액증발형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케이스 위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약 25℃에서 약 10초간 건조하여 두께 약 2 ~ 3㎛의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A 1.0 mm thick smartphone case injection molded with polycarbonate resin was attached to the jig. The jig was mounted on a spindle spray line for manufacturing a mobile phone case, the solution evaporation type primer compositi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sprayed on the case and dried at about 25 ° C for about 10 seconds to obtain a first primer Layer.

계속하여 상기 스핀들 스프레이 라인에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위에 상기 조제예 2에서 얻은 자외선 경화형 베이스 도료를 스프레이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장치(제품명: 메탈할라이드 UV LAMP, 제조사: 한국자외선(주))을 이용하여 라인 스피드 12m/min, 자외선량 900 mJ/cm2의 경화 조건에서 파장 약 250 내지 400nm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약 25~30㎛의 하도층을 형성하였다.Subsequently, the ultraviolet curable base coating material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applied onto the first primer layer by spraying on the spindle spray line, and the coating was sprayed on the line using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apparatus (product name: metal halide UV lamp, manufactured by Kanku UV Co., Ltd.) Under a curing condition of a speed of 12 m / min and an ultraviolet dose of 900 mJ / cm < 2 > to form a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to 30 mu m.

이어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상기 진공증착기에서 상기 하도층 위에 e-빔을 이용한 진공증착법으로 상기 하도층 위에 두께 약 50Å의 SiO2 층/두께 약 70Å의 TiO2 층/두께 약 50Å의 SiO2 층/두께 약 80Å의 TiO2 층/두께 약 50Å의 SiO2 층으로 이루어진 멀티코팅층의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증착하였다.Subsequently, a SiO 2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 Å, a TiO 2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70 Å, a SiO 2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 Å, and a thickness of about 50 Å were formed on the underlayer by vacuum evaporation using e-beam on the underlayer in the vacuum evaporator described in Example 1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of a multi-coating layer made of a TiO2 layer of about 80 ANGSTROM / a SiO2 layer of about 50 ANGSTROM thickness was deposited.

위와 같이 얻은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장착한 지그를 다시 상기 스핀들 스프레이 라인에 장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조제예 1에서 얻은 용액증발형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케이스 위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약 25℃에서 약 15초간 건조하여 두께 약 2 ~ 3㎛의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The jig equipped with the case for the smartphone obtained above was mounted on the spindle spray line again. Subsequently, the solution evaporative primer compositi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sprayed on the case and dried at about 25 ° C for about 15 seconds to form a second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 to 3 μm.

계속하여 상기 스핀들 스프레이 라인에서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위에 조제예 3에서 얻은 용제증발형 투명 중도층용 조성물을 스프레이 도포하고 약 80℃에서 약 30초 동안 건조하여 두께 약 4~6㎛의 중도층을 형성하였다.Subsequently, the solvent-evaporated transparent intermediate layer compositi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was sprayed on the second primer layer in the spindle spray line and dried at about 80 캜 for about 30 seconds to form a middl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4 to 6 탆 Respectively.

계속하여 상기 스핀들 스프레이 라인에서 상기 중도층 위에 조제예 4에서 얻은 자외선 경화형 투명 상도층용 조성물을을 스프레이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장치(제품명: 메탈할라이드 UV LAMP, 제조사: 한국자외선(주))을 이용하여 라인 스피드 12m/min, 자외선량 900 mJ/cm2의 경화 조건에서 파장 약 250 내지 400nm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약 25~30㎛의 상도층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용 케이스 코팅체를 제조하였다.Subsequently, the composition for ultraviolet curing type transparent topcoat lay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was applied on the intermediate layer by sputtering in the spindle spray line, and the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the line by using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apparatus (product name: metal halide UV LAMP manufactured by Korea Ultraviolet Co., 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250 to 400 nm were irradiated under a curing condition of a speed of 12 m / min and an ultraviolet dose of 900 mJ / cm2 to form a top coa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to 30 탆 to prepare a case coating for a smartphone.

특성 평가Character rating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스마트폰용 케이스 코팅체에 대하여 아래 항목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았다.Properties of the following items were evaluated for the case coatings for smartphone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evaluation method was as follows.

(1) 전체 수율(1) Overall yield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30개의 스마트폰용 케이스 코팅체을 제조하여 양품의 갯수로부터 아래 식에 따라 수율을 계산하였다.The case coatings for 30 smartphone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s describ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yields were calculated from the number of good products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전체 수율 = 양품 갯수/30 × 100(%).Overall yield = number of good products / 30 × 100 (%).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코팅체의 표면에 깨짐 현상이 발생한 경우, 코팅체가 휘어진 경우 또는 코팅체에 이물이 형성된 경우는 모두 불량품으로 간주하였다.In the case where the surface of the coating material was observed to be cracked, the coating material was warped, or any foreign material was formed on the coating material.

(2) 반사율(2) Reflectance

반사율은 스마트폰용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스 코팅체와 유사한 크기의 소다라임 글래스를 진공증착기 내부에 넣고 상기 케이스와 동시에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및 보호층의 금속산화물 멀티코팅층을 진공증착하여 얻은 소다라임 글래스 코팅체에 대하여 스펙트로미터(제품명: CL-200, 제조사: 미놀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기준 파장은 550nm이었으며, 이 파장의 광선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아래 관계식을 이용하여 광반사율을 계산하였다.The reflectance was measured by placing a soda lime glass having a size similar to that of a polycarbonate case coating material for a smart phone into a vacuum evaporator, and simultaneously form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a soda lime glass coating Was measured using a spectrometer (product name: CL-200, manufacturer: Minolta). The reference wavelength used for the measurement was 550 nm.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of this wavelength was measured and the reflectanc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광반사율(%) = 100- 광투과율(%).Light reflectance (%) = 100-light transmittance (%).

(3) 연필 경도(3) Pencil Hardness

ASTM D3363-74에 규정된 방법 및 조건에 따라 코팅체 평면에 45°각도로 연필을 대고 1㎏ 하중으로 밀어 5회 측정시 긁힌 무늬 또는 코팅체 표면의 파쇄가 2회 이상 일어나지 않는 경우 그 연필의 경도 수치를 표면 경도 수치로 하였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conditions specified in ASTM D3363-74, when a pencil is pushed at an angle of 45 ° to the plane of the coating and a measurement is made five times by pushing it under a load of 1 kg, if the scratch pattern or the surface of the coating is not broken more than twice, The hardness value was the surface hardness value.

(4) 부착성(4) Adhesiveness

코팅층과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와의 부착성을 ASTM D3359-87에 규정된 방법 및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The adhesion between the coating layer and the polycarbonate substrat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method and conditions specified in ASTM D3359-87 as follows.

코팅체 표면에 1 ㎜ 간격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기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 각각 11개의 줄을 칼로 긋고 1㎜×1㎜의 칸을 100개 만들어 그 위에 접착력이 우수한 셀로판테이프를 붙이고 급격하게 180°의 각도에 가깝도록 떼어낸다. 이를 동일 위치에 3회 반복하며, 이때 부착성의 판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11 strips of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were drawn with a knife so as to reach the polycarbonate substrate at intervals of 1 mm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material, and 100 cells each having a size of 1 mm x 1 mm were made, and a cellophane tape having excellent adhesive strength was stuck thereon. To the nearest angle. This is repeated three times at the same position, where the adhesion criteria are as follows:

불량: 한 개 이상이 모눈에서 박리가 발생함.Defective: More than one peeled off from the grid.

우수: 모든 모눈에서 박리가 발생하지 않음.Excellent: No peeling occurs in all grids.

단, 모눈의 모서리가 삼각형 형태로 떨어진 것은 판정에서 고려하지 않았다.However, it was not considered in the judgment that the corners of the grid fell in the form of a triangle.

(5) 방오성 및 오염물질 탈리성(5) Antifouling property and pollutant release property

청색 유성매직을 사용하여 코팅체의 표면에 45도 방향으로 줄을 그은 후, 잉크가 완전히 마른 후 깨끗한 천으로 문질러서 제거된 상태를 육안으로 보고 판단하였다.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Blue stripe magic was used to draw a line in the direction of 45 degrees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and then the ink was completely dried and rubbed with a clean cloth and visually observed. The following criteria were evaluated.

우수: 문지른 표면에서 잉크가 완전히 제거됨.Excellent: The ink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rubbed surface.

불량: 문지른 표면에서 잉크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음.Poor: ink is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rubbed surface.

(6) 수분 흡수율(6) Water Absorption Rate

100% 습도와 25℃ 조건의 항온항습기의 내부에 코팅체를 안치하고 24시간 경과후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수분흡수율을 결정하였다.The water absorption rat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weight after 24 hours after placing the coating on the inside of the thermo-hygrostat under the conditions of 100% humidity and 25 ° C.

(7) 굽힘(bending) 특성(7) Bending characteristics

코팅체의 양단부를 잡고 90도 또는 180도로 굽혔을 때 표면층이나 소재가 깨지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When both ends of the coating were held and bent at 90 or 180 degrees, whether or not the surface layer or the material was broken was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우수: 코팅된 면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됨 Excellent: The state of the coated surface is maintained.

보통: 휘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크랙이 발생함.Normal: Cracking occur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eflection direction.

불량: 전 방향으로 크랙이 발생함.Poor: Cracks occur in all directions.

표 1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스마트폰용 케이스 코팅체에 대한 특성 평가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Table 1 summarize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ing coatings for smartphone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전체 수율
Overall yield
93.4%93.4% 93.0%93.0% 93.1%93.1% 70.0%70.0%
반사율
reflectivity
15.8%15.8% 15.5%15.5% 20.5%
20.5%
16%16%
연필 경도
Pencil hardness
2H 이상 2H or more 2H 이상2H or more 2H 이상2H or more FF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와의 부착성
Polycarbonate
Adhesion to substrate
우수Great 우수Great 우수Great 우수Great
방오성
Antifouling
우수Great 우수Great 우수Great 불량Bad
오염물질 탈리성
Removal of pollutants
우수Great 우수Great 우수Great 불량Bad
수분 흡수율
Water absorption rate
0.25%0.25% 0.1%0.1% 0.03%0.03% 2.5%2.5%
굽힘 특성
Bending property
우수Great 우수Great 우수Great 불량Bad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의 경우에는 전체 수율이 모두 90% 이상으로 높았으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전체 수율이 70%로서 불량률이 아주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3의 경우 코팅 두께가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하여 1/5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인조 사파이어라고 불리는 알루미늄 산화물 때문에 연필경도가 높았다. 따라서 실시예 1~3의 경우 코팅체는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3의 경우 코팅체가 인조 사파이어라고 불리는 알루미늄 산화물 때문에 외관이 도자기처럼 미려하게 보이는 미적 효과가 우수하였다.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yields of Examples 1 to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all higher than 90% of the total yield, but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overall yield was 70%, indicating a high defect rate. Also, in Examples 1 to 3, the pencil hardness was high due to the aluminum oxide called artificial sapphire even though the coating thickness was 1/5 or less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 Therefore, in Examples 1 to 3, it is found that the coating material is excellent in abrasion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Also,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3, the coating was excellent in aesthetic effect that the outer appearance was beautiful as a ceramic because of aluminum oxide called artificial sapphire.

한편, 실시예 1~3의 경우 표면 장력이 약 20~25 dyne/cm로서 비교예 1의 39 dyne/cm보다 훨씬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하여 오염물질이 잘 부착하지 않는 방오성이 우수하며 또한 표면에 부착된 오염 물질도 잘 탈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3의 경우 수분 흡수율이 약 0.25% 이하로서 비교예 1의 2.5%로 훨씬 낮기 때문에 수분 흡수에 의한 물성 저하 염려가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3의 경우, Al2O3 보호층/TiO2 층 + SiO2 층의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Al2O3 보호층/SiO2층의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연속적으로 증착함으로써 연필 경도,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와의 부착성, 방오성, 오염물질 탈리성, 수분 흡수율, 및 굽힘 특성이 모두 우수한 코팅체를 좋은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 to 3, the surface tension was about 20 to 25 dyne / cm, which was much lower than 39 dyne / cm of Comparative Example 1. Therefore, the antifouling property It is also known that the contaminants adhered to the surface are also desorbed well. Further,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3,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was about 0.25% or less, which is much low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is much lower. In particular, in Example 3,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Al 2 O 3 protective layer / TiO 2 layer + SiO 2 layer,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Al 2 O 3 protective layer / SiO 2 layer / It was possible to obtain a coating having excellent adhesion, antifouling property, desorbing property of contaminants, water absorption rate, and bending property with good yield.

S1: 유연성 하도층 형성 단계
S2: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형성 단계
S3: 보호층 형성 단계
S4: 마찰감소층 형성 단계
S1: Flexible underlayer formation step
S2: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ormation step
S3: protective layer forming step
S4: step of forming friction reducing layer

Claims (8)

플라스틱 기재 위에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연성 하도층 위에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위에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폴리실라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챔버 내에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하에서의 연속적인 증착 공정에 의하여 실시되는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
Forming a flexible undercoat layer on the plastic substrate;
Form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Forming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Forming a friction reducing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a polysilazane resin on the protective layer,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and forming the friction reducing layer are performed by a continuous deposition process under a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n the same chamber. Coating method.
플라스틱 기재 위에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연성 하도층 위에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 위에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폴리실라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찰감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챔버 내에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하에서의 연속적인 증착 공정에 의하여 실시되는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
Forming a flexible undercoat layer on the plastic substrate;
Forming a protective layer compris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Forming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ling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on the protective layer; And
Forming a friction reducing layer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ling layer, the friction reducing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a polysilazane resin,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forming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forming the friction reducing layer are performed by a continuous deposition process under a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n the same chamber, Coating metho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40 중량부; 폴리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평균 분자량 200 내지 5,000의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 내지 30 중량부;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와 스티렌 단량체 20 내지 60 중량부, 및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상기 플라스틱 기재 위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광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orming of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rises: 15 to 40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methacryl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ble (meth) acrylate oligo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5,000 selected from polyurethane (meth) acrylate, polyester (meth) acrylate or mixtures thereof; Coating a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eth) acrylate monomer, 20 to 6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monomer,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onto the plastic substrate and photocuring Wherein the plastic substrate has a thickness of at least 10 m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유기용제 5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재의 코팅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5 to 20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solvent. 플라스틱 기재;
상기 플라스틱 기재 위에 형성된 유연성 하도층;
상기 유연성 하도층 위에 형성된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으로서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상기 광 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형성된 보호층으로서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된 마찰감소층으로서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폴리실라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마찰감소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코팅체.
Plastic substrates;
A flexible undercoat layer formed on said plastic substrate;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as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ormed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A protective layer compris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as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And
And a friction reducing layer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the friction reducing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e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a polysilazane resin.
플라스틱 기재;
상기 플라스틱 기재 위에 형성된 유연성 하도층;
상기 유연성 하도층 위에 형성된 보호층으로서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된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으로서 실리콘 산화물층과 티타늄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및
상기 광투과율 및 반사율 조절층 위에 형성된 마찰감소층으로서 불화탄소 수지, 불화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폴리실라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마찰감소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코팅체.
Plastic substrates;
A flexible undercoat layer formed on said plastic substrate;
A protective layer comprising aluminum oxide or silicon carbide as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a silicon oxide layer and a titanium oxide layer as a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 layer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And
And a friction reducing layer formed on the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ontrolling layer, the friction reducing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ocarbon resin, a silicone fluoride resin, a polysiloxane resin and a polysilazane resin.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하도층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40 중량부; 폴리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평균 분자량 200 내지 5,000의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 내지 30 중량부; 광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와 스티렌 단량체 2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경화생성물인 플라스틱 코팅체.7. The method of claim 5 or 6, wherein the flexible undercoat layer comprises 15 to 40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methacryl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ble (meth) acrylate oligo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5,000 selected from polyurethane (meth) acrylate, polyester (meth) acrylate or mixtures thereof;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eth) acrylate-based monomer and 20 to 6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monomer, which is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코팅체는 휴대폰 케이스, 태블릿 PC 케이스, 노트북 PC 케이스,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케이스인 플라스틱 코팅체.The plastic coating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plastic coating is a cellular phone case, a tablet PC case, a notebook PC case, o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se.
KR1020120087990A 2012-08-10 2012-08-10 Coating method of plastics substrate and coated plastics body obtained thereby KR101406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90A KR101406845B1 (en) 2012-08-10 2012-08-10 Coating method of plastics substrate and coated plastics body obtain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90A KR101406845B1 (en) 2012-08-10 2012-08-10 Coating method of plastics substrate and coated plastics body obtained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794A KR20140021794A (en) 2014-02-20
KR101406845B1 true KR101406845B1 (en) 2014-06-16

Family

ID=5026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990A KR101406845B1 (en) 2012-08-10 2012-08-10 Coating method of plastics substrate and coated plastics body obtained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8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771B1 (en) * 2019-03-11 2020-11-18 조용백 Manufacturing method for environment-friendly functional plastic products
KR20220146919A (en) * 2021-04-26 202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with protective la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569A (en) 2002-01-15 2003-07-22 Dainippon Printing Co Ltd Heat-sealing material, and laminate and packaging container using the material
KR20080045299A (en) * 2004-01-14 2008-05-22 트랜지션즈 옵티칼 인코포레이티드 Polariz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569A (en) 2002-01-15 2003-07-22 Dainippon Printing Co Ltd Heat-sealing material, and laminate and packaging container using the material
KR20080045299A (en) * 2004-01-14 2008-05-22 트랜지션즈 옵티칼 인코포레이티드 Polariz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794A (en)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4902B (en) Coating composition for metal thin film and glistening composite film formed by said composition
JP5017131B2 (en) UV-curable resin composition, light reflector using the same, lighting fixture cover and lighting fixture
TWI438217B (en)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hardcoating
EP1951830B1 (en) High-solid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JP6915405B2 (en) Poly (meth) acrylate and coating compositions and coating articles containing it
DK2284205T3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omponent
US20160238929A1 (en) Uv-patternable hard-coating for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XPA04001811A (en) Dual cure coating composition and processes for using the same.
KR101406847B1 (en) Coating method of plastics or metal substrate and coated plastics or metal body obtained thereby
KR20130140725A (e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coating agent
KR101798750B1 (en) Gas barri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06845B1 (en) Coating method of plastics substrate and coated plastics body obtained thereby
TWI403522B (en) A hardened resin composition and a hardened film
JP2001113649A (en) Film having cured film of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JP2012017404A (en)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photocurable coating agent using the same
JP2019085558A (e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coating agent
KR102141297B1 (en) M/T Coating method for varied kinds of substrates and coated glass body obtained thereby
KR101220567B1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cured film comprising the same and laminate
KR101213367B1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cured film formed therefrom and multilayer body
JP2011020381A (en) Ultraviolet resistant plastic molded body
JP6977698B2 (en) (Meta) acrylate compound,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it and coated article
JP6917534B2 (en) Laminated film and laminated members
KR10146467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ow reflective film
JP2011026409A (en) Fingerprint-resistant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fingerprint-resistant coating film using the same
JP7058144B2 (en) A curable composition, a film using the curable composition, and a molded product using th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