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520B1 -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520B1
KR101405520B1 KR1020120093087A KR20120093087A KR101405520B1 KR 101405520 B1 KR101405520 B1 KR 101405520B1 KR 1020120093087 A KR1020120093087 A KR 1020120093087A KR 20120093087 A KR20120093087 A KR 20120093087A KR 101405520 B1 KR101405520 B1 KR 10140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lide
contact portions
switch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108A (ko
Inventor
백상기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5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다수의 접점으로 전류를 제어하는, 다수의 접점부(이하 입력단자 접점부)를 구비한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 접점부 각각과 짝을 이루는 다수의 접점부(이하 출력단자 접점부)를 구비한 출력단자; 짝을 이루는 2개의 접점부(이하 단자짝 접점부) 짝들 중 하나의 짝과 대향하고 접점될 수 있는 2개의 접점부(이하 스위치 접점부)를 구비한 다수의 접점스위치; 및, 상기 단자짝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를 동시에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단자짝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기존의 단접점 연결에 의한 저항발열을 최소화하고, 전자석 작동부의 불량 또는 전자석 전원이 상실되었을 때 차량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 A high current switch control system using multi contactors for a hybridevehicle }
본 발명은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다수의 접점으로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접점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대용량 전류를 입력단자에서 출력단자로 연결하여 접점저항을 축소하여 저항손실과 발열을 축소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대용량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부품으로 통상적으로 대용량 릴레이를 이용한다. 릴레이는 내부에 접점부와 전자석, 작동부로 구성되어, 전자석이 온(ON)되는 경우 작동부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간에 접점을 연결하여 회로를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대용량 릴레이 시스템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용 대용량 릴레이는 대용량 전류가 입력되는 입력단자(110), 대용량 전류가 출력되는 출력단자(120), 및, 입력단자(110) 및 출력단자(120)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접점스위치(130)로 구성된다.
도 1b 또는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점스위치(130)에는 2개의 접점부(131)가 구비되어, 입력단자(110) 및 출력단자(120)의 접점부(111,121)와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또한, 접점스위치(130)와 입력 및 출력단자(110, 120)는 각각에 구비된 접점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즉, 접점스위치(130)의 2개 접점부(131) 중 하나는 입력단자(110)의 접점부(111)와 대향되어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출력단자(120)의 접점부(121)와 대향되어 구비된다.
한편, 하이브리드 차량용 대용량 릴레이는 작동부(140)를 구비하여, 접점스위치(130)를 입력 및 출력단자(110, 120)와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접점스위치(130)를 이동시킨다.
작동부(140)는 전자석(141), 철심(142), 슬라이드(143), 및, 제1 스프링(144)으로 구성된다. 전자석(141) 내부에 철심(142)이 구비되어, 전자석(141)이 온(On)이 되면 발생되는 자력의 힘으로 철심(142)은 아래방향(또는 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스프링(144)은 철심(142)의 아래쪽에 구비되어, 전자석(141)이 오프(Off)되어 전자력이 없는 경우 철심(142)을 위쪽으로 밀어올린다.
한편, 철심(142)의 반대쪽에는 슬라이드(143)와 고정 연결되고, 슬라이드(143)에 접점스위치(130)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스프링(145)을 통해 슬라이드(143)와 접점스위치(130)가 연결된다. 즉, 제2 스프링(145)의 일측이 슬라이드(143)에 고정되고, 반대편 일측이 접점스위치(130)에 고정된다.
도 1b와 같이, 전자석(141)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철심(142)에는 제1 스프링(144)의 힘만 작용하므로, 철심(142)은 슬라이드(143)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143)에 고정된 접점스위치(130)는 위로 올라간다. 따라서 접점스위치(130)의 접점부(131)는 입력 및 출력단자(110, 120)의 접점부(111, 121)와 분리된다.
도 1c와 같이, 전자석(141)이 온(On)된 상태에서, 철심(142)에는 전자석(141)에 의한 전자력이 발생하여 철심(142)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드(143)에 고정된 접점스위치(130)는 철심(142)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따라서 접점스위치(130)의 접점부(131)는 입력 및 출력단자(110, 120)의 접점부(111, 121)와 연결된다. 이때, 철심(142)이 과도하게 아래로 이동하더라도 제2 스프링(145)에 의해 접점스위치(130)의 접점부(131)와 입력 및 출력단자(110, 120)의 접점부(111, 121)는 밀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대용량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접점을 구성할 때, 접점 부분에서 발열과 전자석 제어전류 과다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작동중 전자석의 결함, 또는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전기모드로 주행중인 차량이 구동전원을 상실하여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대용량 전류를 다수의 접점으로 분산하여 제어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접점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대용량 전류를 입력단자에서 출력단자로 연결 또는 차단함으로써, 접점저항을 축소하여 저항손실과 발열을 축소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점 모듈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센서를 구비하되, 접점 모듈의 위치에 따라 위치센서가 자동으로 온(On)/오프(Off)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작동시 발열이 과다할 경우 비정상 작동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접점부(이하 입력단자 접점부)를 구비한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 접점부 각각과 짝을 이루는 다수의 접점부(이하 출력단자 접점부)를 구비한 출력단자; 짝을 이루는 2개의 접점부(이하 단자짝 접점부) 짝들 중 하나의 짝과 대향하고 접점될 수 있는 2개의 접점부(이하 스위치 접점부)를 구비한 다수의 접점스위치; 및, 상기 단자짝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를 동시에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단자짝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접점스위치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접점압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 이동하는 구간의 양측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가 각각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위치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센서는 상기 슬라이드를 감지하지 못하다가 감지하면 상기 작동부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작동부에 각각 온도센서를 내장하여, 기준 온도 이상으로 센싱되는 경우 비정상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접점압 스프링은 상기 접점스위치별로, 스프링의 높이 또는 압력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복수개의 접점을 이용하여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연결 또는 분리하고 작동모터에 의하여 제어를 함으로써, 대용량 단접점 릴레이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접점저항을 축소하여 저항손실과 발열을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기존의 단접점 연결에 의한 저항발열을 최소화하고, 전자석 작동부의 불량 또는 전자석 전원이 상실되었을 때 차량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접점 모듈의 위치에 따라 위치센서가 자동으로 온/오프됨으로써, 작동유지에 따른 전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하지만, 작동모터 제어의 경우 작동시에만 전원이 필요하여 차량의 전기에너지를 보다 절약하여 전기모드 주행거리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대용량 릴레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위치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센서의 작동에 의한 복수개의 접점스위치 온(ON)과 오프(OFF) 신호들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온도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의 접점압 스프링에 대한 구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은 입력단자(10), 출력단자(20), 다수의 접점스위치(30), 및, 작동부(40)로 구성된다. 또한, 접점압 스프링(60)을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단자(10)는 대용량 전류가 입력되는 단자로서 다수의 접점부(이하 입력단자 접점부)(11)를 구비하고, 출력단자(20)는 대용량 전류가 출력되는 단자로서 다수의 접점부(이하 입력단자 접점부)(21)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단자 접점부(11)와 출력단자 접점부(21)는 각각 하나씩 짝을 이루고, 이 짝을 이루는 2개의 접점부를 단자짝 접점부라 부르기로 한다. 도 2(a)에서, 입력단자(10) 및 출력단자(20)는 각각 4개의 접점부를 구비하고, 각 접점부는 접점스위치에 대하여 2개씩 짝을 이룬다.
접점스위치(30)는 입력단자(110) 및 출력단자(120)를 연결하거나 분리(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로서, 다수 개가 구비된다.
접점스위치(30)는, 짝을 이루는 2개의 접점부(또는 단자짝 접점부) 짝들 중 하나의 짝과 대향하여 접점될 수 있는 2개의 접점부(이하 스위치 접점부)(31)를 구비한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점스위치(30)와 입력 및 출력단자(10, 20)는 각각에 구비된 접점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즉, 접점스위치(30)의 2개 접점부(31) 중 하나는 입력단자 접점부(11)와 대향되어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출력단자 접점부(21)와 대향되어 구비된다.
작동부(40)는 단자짝 접점부(11,21)와 스위치 접점부(31)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접점스위치(30)를 동시에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50)를 구비한다. 도 2(b)에서는 접점부들이 대향하는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서, 슬라이드(5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작동부(40)는 축(41)을 축 방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모터로서, 축(41)에 슬라이드(50)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축(41)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50)도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드(50)에 접점스위치(30)를 연결함으로써, 작동부(40)에 의해 접점스위치(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작동부(40)에 의한 접점스위치(30)의 이동시키는 일례가 도 3에 도시하고 있다.
도 3(a)와 같이, 작동부(40)는 오프(Off) 신호에 의해 단자짝 접점부(11,21)와 스위치 접점부(31)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이하 역방향)으로 슬라이드(50)를 이동시킨다. 즉, 작동부(40)가 오프 상태에서 슬라이드(50)는 역방향으로 밀려 올라간 상태를 유지하여, 접점스위치(30)는 입출력 단자(10,20)와 분리된다.
도 3(b)와 같이, 작동부(40)는 온(On) 신호에 의해 단자짝 접점부(11,21)와 스위치 접점부(31)가 서로 연결(또는 접점)되는 방향(이하 정방향)으로 슬라이드(50)를 이동시킨다. 즉, 작동부(40)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슬라이드(50)를 정방향으로 아래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드(50)에 연결된 접점스위치(30)가 입출력 단자(10,20)와 연결된다.
한편, 접점압 스프링(60)은 일측(61)이 접점스위치(30)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62)이 슬라이드(5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즉, 접점스위치(30)와 슬라이드(50) 사이에 접점압 스프링(60)을 설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점압 스프링(60)을 일측(61)에 접점스위치(30)와 연결할 때, 접점스위치(30)에서 스위치 접점부(31)가 구비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고정하여 연결한다.
도 3(b)와 같이, 작동부(40)가 온(On)된 상태에서, 접점스위치(30)가 아래로 내려가서 스위치 접점부(31)가 입력 및 출력단자 접점부(11, 12)와 연결된다. 이때, 슬라이드(50)가 과도하게 아래로 이동하더라도 접점압 스프링(60)에 의해 스위치 접점부(31)가 입력 및 출력단자 접점부(11, 12)는 밀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위치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위치센서(71,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앞서 설명을 참조하고, 이하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인 위치센서(71,72)와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치센서(71,72)는 제1 위치센서(71) 및 제2 위치센서(72)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위치센서(71,72)는 슬라이드(50) 양측의 인접한 위치에 구비하되, 제1 위치센서(71)는 단자짝 접접부(11,21)가 위치한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2 위치센서(72)는 스위치 접접부(31)가 위치한 방향의 일측에 구비된다.
즉, 제1 및 제2 위치센서(71,72)는 슬라이드(50)가 이동하는 구간의 양측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슬라이드(50)가 각각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를 감지한다. 이하에서 제1 및 제2 위치센서(71,72)가 슬라이드를 감지하면 온(ON)하고, 감지를 못하면 오프(Off)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위치센서(71,72)는 슬라이드(50)를 감지를 못하다가 감지를 하면 작동부(40)의 전원을 차단한다.
작동부(40)가 정방향 신호로 작동되면, 슬라이드(50)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 위치센서(71)가 먼저 오프되고 제2 위치센서(72)가 온으로 작동된다. 반대로, 작동부(40)가 역방향 신호로 작동되면, 제2 위치센서(72)가 먼저 오프되고 제1 위치센서(71)가 온으로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위치센서(71,72)는 슬라이드(50)를 감지하지 못하다가 감지를 하면 작동부(40)의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작동부(40)는 슬라이드(5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을 때는 전원이 차단되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위치센서(71,72)의 작동에 의한 복수개의 접점스위치 온(ON)과 오프(OFF) 신호들의 작용 일례가 도 5에 도시되고 있다.
작동부(40)의 전원이 켜져(OFF->ON) 정방향으로 작동되면, 제1 위치센서(71)가 오프(OFF)된다. 작동부(40)의 작동으로, 각각의 접점스위치 a, b, c, d가 각각 입력단자(10) 및 출력단자(20)와 연결된다.
이때, 슬라이드(50)가 정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제2 위치센서(72)가 슬라이드(50)를 감지하여 온(ON)된다. 제2 위치센서(72)가 슬라이드(50)를 감지못하다가 감지하므로, 작동부(40)의 전원을 차단하여 작동모터가 작동을 중지한다.
또한 작동부(40)가 전원이 켜져(OFF->ON) 역방향으로 작동되면, 제2 위치센서(72)가 오프(OFF)되고, 접점스위치 a, b, c, d가 각각 분리되어 오프(OFF)된다. 또한, 슬라이드(50)가 완전히 역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위치센서(71)가 오프(Off)에서 온(ON)이 되므로, 작동부(40)의 전원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온도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온도센서(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앞서 설명을 참조하고, 이하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인 온도센서(80)와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도센서(80)는 입력단자(10), 출력단자(20), 및, 작동부(40)에 내장하여 설치된다. 온도센서(80)에서 측정된(센싱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비정상 작동 신호를 출력한다.
기준 온도는 사전에 정해지는 온도로서, 과열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 온도이다. 즉, 센싱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이를 과열로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의 접점압 스프링에 대한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접점압 스프링(60)의 구조가 다르게 구성된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앞서 설명을 참조하고, 이하에서, 제1 실시예와 구조가 다른 접점압 스프링(60)의 구조와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점압 스프링(60)은 접점스위치(30)별로, 스프링의 높이 또는 압력을 달리한다.
즉, 슬라이드(50) 내부의 접점압 스프링(60)의 지지부 높이를 달리하여 접점압을 형성한다. 도 7의 예에서, A, B, C, D의 각 경우마다 접점압 스프링(60)의 지지부 높이를 달리한다.
이때, 접점스위치(30)와 접점압 스프링(60)이 지지부 높이 차이에 따라 상이한 접점압을 갖는다. 이에 따라 각 접점압 스프링(60)별로 상이한 공진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접점스위치를 이용하여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간에 대용량의 전류를 연결 또는 차단하고, 구동모터를 이용한 접점모듈의 제어를 통하여, 단접점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연결저항에 의한 발열을 축소하고, 부품 이상 또는 제어전원 이상 시에도 전류를 공급하여 차량의 구동전원 차단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입력단자 11 : 입력단자 접점부
20 : 출력단자 21 : 출력단자 접점부
30 : 접점스위치 31 : 접점스위치 접점부
40 : 작동부 41 : 축
50 : 슬라이드 60 : 접점압 스프링
71 : 제1 위치센서 72 : 제2 위치센서
80 : 온도센서

Claims (5)

  1.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접점부(이하 입력단자 접점부)를 구비한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 접점부 각각과 짝을 이루는 다수의 접점부(이하 출력단자 접점부)를 구비한 출력단자;
    짝을 이루는 입력단자 접점부와 출력단자 접점부(이하 단자짝 접점부)와 각각 대향하여 접점될 수 있는 2개의 접점부(이하 스위치 접점부)를 구비한 다수의 접점스위치; 및,
    상기 단자짝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를 동시에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단자짝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가 이동하는 구간의 양측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가 각각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위치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센서는 상기 슬라이드를 감지하지 못하다가 감지하면 상기 작동부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접점스위치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접점압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작동부에 각각 온도센서를 내장하여, 기준 온도 이상으로 센싱되는 경우 비정상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압 스프링은 상기 접점스위치별로, 스프링의 높이 또는 압력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KR1020120093087A 2012-08-24 2012-08-24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KR10140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87A KR101405520B1 (ko) 2012-08-24 2012-08-24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87A KR101405520B1 (ko) 2012-08-24 2012-08-24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08A KR20140026108A (ko) 2014-03-05
KR101405520B1 true KR101405520B1 (ko) 2014-06-09

Family

ID=5064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087A KR101405520B1 (ko) 2012-08-24 2012-08-24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5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787B1 (ko) 2000-03-21 2002-03-15 대아공조 주식회사 릴레이 구조
KR20030019442A (ko) * 2000-06-19 2003-03-0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2안정 전기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릴레이
JP2006196358A (ja) 2005-01-14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ワーリレー
KR101313676B1 (ko) 2009-02-04 2013-10-02 클로디 엘엘씨 전자기 릴레이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787B1 (ko) 2000-03-21 2002-03-15 대아공조 주식회사 릴레이 구조
KR20030019442A (ko) * 2000-06-19 2003-03-0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2안정 전기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릴레이
JP2006196358A (ja) 2005-01-14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ワーリレー
KR101313676B1 (ko) 2009-02-04 2013-10-02 클로디 엘엘씨 전자기 릴레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08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6777B1 (en) Movable contact failure detecting device
US8307967B2 (en) Widely deployable charging system for vehicles
JP4416585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CN103515155A (zh) 用于车辆电池***的继电器模块
US10759297B2 (en) Charging station having differential current monitoring for charging an electric energy storage means of an electric vehicle
JP4488921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と電源装置の溶着検出方法
US20140188359A1 (en) Electric brake assist system for vehicle use
EP2684729B1 (en) Contact arrangement for safe disconnection of a power supply in a vehicle
CN111806236A (zh) 用于充电接触器焊接检查的***和方法
US6087737A (en) Battery disconnection system
US10850618B2 (en) Connection module for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CN106019065A (zh) 一种空调压缩机接触器粘连检测方法、***、装置和空调
WO2015011531A1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battery system, and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US10115549B2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KR20200118575A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모듈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101405520B1 (ko) 복수개의 접점 기반 차량용 대전류 제어시스템
JP2018057218A (ja) 非常停止用スイッチの故障診断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動移動体
WO2009038976A2 (en) Widely deployable charging system for vehicles
EP0931701A2 (en) Battery disconnection system
KR102305065B1 (ko) 고전류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 및 이러한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US802681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sequential subsections of an installation
CN203638653U (zh) 焊装车间板链出口的防撞保护装置
KR20200111314A (ko) 차량의 고전압 릴레이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CN115268359A (zh) 一种测功机安全防护装置及控制方法
KR102620303B1 (ko) 차량용 고전압 릴레이의 융착 검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