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000B1 -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000B1
KR101405000B1 KR1020120057009A KR20120057009A KR101405000B1 KR 101405000 B1 KR101405000 B1 KR 101405000B1 KR 1020120057009 A KR1020120057009 A KR 1020120057009A KR 20120057009 A KR20120057009 A KR 20120057009A KR 101405000 B1 KR101405000 B1 KR 101405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algae
dots
residue
carbon nano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613A (ko
Inventor
이계안
김기용
정민호
박은식
조월순
방순환
양우성
이화진
신영인
김보람
김근용
정한재
Original Assignee
(주)엔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엘피 filed Critical (주)엔엘피
Priority to KR102012005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0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1Recovery of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natural or artificial radioactive elements or unspecified radioactiv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미세조류 잔사를 이용하여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dS(황화카트뮴)과 CdSe(셀렌화카트뮴)과 같은 금속을 기반으로 발광 양자점(quantum dots (QDs))에 비해서 탄소 나노점(C-dots)을 사용하는 이점은 그것들이 생체적합적이고 좋은 화학적 광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으로, 미세조류 잔사물에서 합성된 탄소 나노점은 기존에 합성방식과 다른 천연물에서 나온 것이므로 세포내의 독성과 같은 생물학적 안정성을 가진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Photoluminescence residual algae created from manufactu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rbon Nano Dots}
본 발명에서는 미세조류 잔사를 이용하여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dS(황화카트뮴)과 CdSe(셀렌화카트뮴)과 같은 금속을 기반으로 발광 양자점(quantum dots (QDs))에 비해서 탄소 나노점(C-dots)을 사용하는 이점은 그것들이 생체적합적이고 좋은 화학적 광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으로, 미세조류 잔사물에서 합성된 탄소 나노점은 기존에 합성방식과 다른 천연물에서 나온 것이므로 세포내의 독성과 같은 생물학적 안정성을 가진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 나노점(Carbon nanodots, C-dots)은 약 10nm크기의 구형으로 되어 있는 나노 탄소이며, 기존에 알려져 있는 탄소 나노점의 구조는 도 1과 같이 탄소를 중심으로 카르복실기(carboxyl)기 등으로 형성되어져있으며, 이로 인해 탄소 나노점은 물에 잘 녹고, 유기물, 고분자, 무기물 그리고 생물학분야에도 이용할 수 있다.
탄소 나노점의 장점으로는 CdS(황화카트뮴)과 CdSe(셀렌화카트뮴)과 같은 금속을 기반으로 발광 양자점(quantum dots (QDs))은 높은 양자 수득율 때문에 영상화와 감지를 위해서 좋지만, 생물 체계로 침출하는 독성 카드뮴 종들은 큰 문제가 되고 있어 세포내에서의 독성을 C-dots은 해결 할 수 있다.
또 감지(sensing)로 사용되는 Si기반의 QD(quantum dot (QD))가 가지는 생물 환경 내에서의 산화력 감소를 해결 할 수 있다. 단백질, DNA, 금속이온의 감지에 사용되어지는 금, 은 나노입자를 기반으로 한 QD보다 더 값싸다.
다시 말해, 탄소 나노점은 기존에 발광물질보다 화학적 안정성, 생물학적 안정성, 광학적 안정성과 비용절감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근래에 많이 연구되어 지고 있다.
대부분의 탄소 나노점은 중심에 위치하는 탄소의 크기에 따라서 330~420nm에서 excite하여 400~600의 넓은 파장에서 발광한다.
기존에 연구되어지고 있는 탄소 나노점은 dehydration, polymerization, carbonization, passivation의 4개의 과정을 거쳐 합성되어진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CdS(황화카트뮴)과 CdSe(셀렌화카트뮴)과 같은 금속을 기반으로 발광 양자점(quantum dots (QDs))은 높은 양자 수득율 때문에 영상화와 감지를 위해서 좋지만, 생물 체계로 침출하는 독성 카드뮴 종들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금속을 기반으로 발광 양자점(quantum dots (QDs))은 높은 양자 수득율 때문에 영상화와 감지를 위해서 좋지만, 생물 체계로 침출하는 독성 카드뮴 종들은 큰 문제가 되고 있어 세포내에서의 독성을 C-dots은 해결 할 수 있다.
지금까지 금과 은 나노점들은 감지기로서 사용을 위한 잠재성을 보여왔지만, 그것들 또한, 양자 수득율에 있어서는 더 낮고 가격은 너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본 발명에서는 미세조류 잔사를 이용하여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종류의 QDs에 비해서 탄소 나노점(C-dots)을 사용하는 이점은 그것들이 생체적합적이고 좋은 화학적 광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으로,
특히, 미세조류 잔사물에서 합성된 탄소 나노점은 열처리 과정동안 상기 설명한 4개의 과정이 진행 되어 만들어졌으며, 미세조류로부터 합성되어진 탄소 나노점은 기존에 합성방식과 다른 천연물에서 나온 것이므로 세포내의 독성과 같은 생물학적 안정성을 가진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조류로부터 합성되어진 탄소 나노점은 기존에 합성방식과 다른 천연물에서 나온 것이므로 CdS(황화카트뮴)과 CdSe(셀렌화카트뮴)과 같은 금속을 기반으로 발광 양자점(quantum dots (QDs))에 비해서 탄소 나노점(C-dots)을 사용하는 이점은 그것들이 생체적합적이고 좋은 화학적 광 안정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탄소 나노점의 구조도
도 2는 미세조류로부터 합성되어진 탄소나노점의 UV램프 측정 결과도
도 3은 미세조류로부터 합성되어진 탄소 나노점의 HPLC 분석결과도
도 4는 미세조류 잔사(C5)에서 탄소 나노점의 흡광도 측정 그림
도 5는 미세조류 잔사(C5)에서 탄소 나노점의 형광현미경 측정 사진
도 6은 미세조류 잔사(C5)로부터 합성된 탄소 나노점의 SEM 및 SEM EDX를 측정 사진도 7은 미세조류 잔사(C5)로부터 합성된 탄소 나노점의 TEM 측정 사진
본 발명에서는 미세조류 잔사를 이용하여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dS(황화카트뮴)과 CdSe(셀렌화카트뮴)과 같은 금속을 기반으로 발광 양자점(quantum dots (QDs))에 비해서 탄소 나노점(C-dots)을 사용하는 이점은 그것들이 생체적합적이고 좋은 화학적 광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으로, 미세조류 잔사물에서 합성된 탄소 나노점은 기존에 합성방식과 다른 천연물에서 나온 것이므로 세포내의 독성과 같은 생물학적 안정성을 가진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세조류 잔사에서 탄소 나노점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서는 미세조류 잔사를 이용하여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 오븐에서 건조된 미세조류 잔사 20g을 600℃에서 공기 중에 3시간 동안 하소(calcination) 시킨 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 미세조류 잔사 16g에 에테르 35 mL를 넣고, 10분 동안 교반시킨다.
㉰ 교반된 미세조류 잔사를 감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잔사물은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 건조된 잔사물에 3차 증류수 35 ml를 넣고 10분 동안 교반시키고,
㉲ 감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0.22 μl의 막여과기(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 여액을 UV 램프를 이용하여 324 nm에서 발광하는지를 확인하고,
㉴ 재결정과정을 통하여 분말 형태의 탄소 나노점(C-dots)을 합성하였다.
상기 ㉴ 재결정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 상기 발광이 확인된 여액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로 용매인 증류수를 모두 제거 한 후,
ⓑ 3차 증류수 2~3 mL을 넣고 미세조류 잔사를 녹이고,
ⓒ 상기 미세조류 잔사에 에탄올 20~30ml을 넣어 재결정을 생성하게 하여
ⓓ 15,000 rpm에서 10분간 초고속원심분리기로 분리 후, 여액인 에탄올을 제거한다.
ⓔ 상기 분리된 침전물을 UV 램프를 이용하여 324 nm에서 발광하는지를 확인하고,
ⓕ 상기 침전물에 3차 증류수 1~3 mL을 넣고 침전물을 녹인 후,
ⓖ 동결 건조하여 분말형태의 탄소 나노점(C-dots)을 합성하였다.
[실험결과] 미세조류 잔사에서 탄소 나노점 합성에 대한 확인실험
1) UV 램프를 이용하여 탄소 나노점 합성결과를 확인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시료를 600oC에서 소성한 후, 에테르(Ether)로 비극성물질을 제거하였다. 3차 증류수를 넣고 감압여과 및 막여과기(membrane filter)를 통하여 탄소 나노점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탄소 나노점은 UV 램프로 324nm 파장에서 발광함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합성되어진 탄소 나노점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로 시료를 농축한 후, 증류수와 에탄올로 침전물을 만들었다. 초고속원심분리기로 침전물과 상등액을 분리한 후, 침전물을 증류수에 녹여 동결건조로 분말상태의 탄소 나노점(C-dots)을 합성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의 미세조류로부터 합성되어진 미세조류 탄소나노점이 UV-lamp 324nm에서 발광하는 사진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UV 램프 324nm 파장에서 발광함을 확인하였다.
2) HPLC를 통하여 순수한 탄소 나노점을 확인.
도 3은 미세조류 잔사로부터 합성되어진 탄소 나노점의 HPLC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미세조류 잔사(C5)에서 탄소 나노점들을 C-18 칼럼을 이용하여 HPLC 분석한 결과에서 합성한 탄소 나노점이 순수한 물질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 2] 미세조류 잔사 탄소 나노점의 광발광성 특성
1) 흡광도 측정
도 4는 미세조류 잔사(C5)에서 탄소 나노점의 흡광도 측정 그림을 나타낸 것으로, 미세조류 잔사(C5)의 탄소 나노점은 320nm에서 발광하기 시작하여 420nm에까지 다양한 파장에서 발광하고, 385 nm에서 가장 세게 발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형광 현미경 측정
도 5는 미세조류 잔사(C5)에서 탄소 나노점의 형광현미경 측정한 그림을 나타낸 것으로, a) 탄소 나노점의 표준물질, b) 500nm로 발광 시켰을 때의 결과, c) 450nm로 발광 시켰을 때의 결과, d)는 300nm로 발광 시켰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며, 상기의 미세조류 잔사(C5)에서 탄소 나노점의 형광현미경 관찰 결과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미세조류 잔사(C5) 탄소 나노점은 다양한 파장에서 발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 3] 미세조류 잔사 탄소 나노점의 구조분석
1)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EDX(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측정
도 6은 미세조류 잔사(C5)로부터 합성된 탄소 나노점의 SEM 및 SEM EDX를 측정한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며,
<C5 SEM>의 사진은 미세조류 잔사(C5) 탄소 나노점이 뭉쳐져서 빗살무늬 깃털과 같은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5 SEM EDX>의 사진은 SEM EDX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탄소 나노점 표면에 C, O, Na, S, K, H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TEM 측정
도 7은 미세조류 잔사(C5)로부터 합성된 탄소 나노점의 TEM 측정한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며, 1) C5탄소 나노점의 TEM 측정결과. 2) 참고문헌 ReHsu et al. (2012)에서의 TEM 및 EDX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미세조류 잔사(C5)로부터 합성된 탄소 나노점의 TEM(투사전자현미경) 측정결과,
미세조류 잔사(C5)의 탄소 나노점은 ReHsu et al. (2012)에서와 같이 sp2 흑연(graphitic)의 탄소와 다이아몬드와 같은 sp3 탄소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TEM EDX 결과, 탄소(Carbon)과 산소(Oxygen)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미세조류 잔사 탄소 나노점을 HPLC를 통하여 순수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러 분석 장비를 통하여 이들의 구조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sensing, imaging, solar, photoelectronic devices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Claims (3)

  1. ㉮ 오븐에서 건조된 미세조류 잔사 20g을 600℃에서 공기 중에 3시간 동안 하소(燒, calcination) 시킨 후, 상온까지 냉각시켜 전처리 한 미세조류 잔사를 이용하여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전처리된 미세조류 잔사 16g에 에테르 35 mL를 넣고,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 교반된 미세조류 잔사를 감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잔사물은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 잔사물에 3차 증류수 35 ml를 넣고 10분 동안 교반시키고,
    ㉲ 감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0.22 μl의 막여과기(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 여액을 UV 램프를 이용하여 324 nm에서 발광하는지를 확인하고,
    ㉴ 상기 발광이 확인된 여액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로 용매인 증류수를 모두 제거 한 후,
    ㉵ 3차 증류수 2~3 mL을 넣고 미세조류 잔사를 녹이고,
    ㉶ 상기 미세조류 잔사에 에탄올 20~30ml을 넣어 재결정을 생성하게 하여
    ㉷ 15,000 rpm에서 10분간 초고속원심분리기로 분리 후, 여액인 에탄올을 제거한다.
    ㉸ 상기 분리된 침전물을 UV 램프를 이용하여 324 nm에서 발광하는지를 확인하고,
    ㉹ 상기 침전물에 3차 증류수 1~3 mL을 넣고 침전물을 녹인 후,
    ㉺ 동결 건조하여 분말형태의 탄소 나노점(C-dots)을 합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20057009A 2012-05-29 2012-05-29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 KR101405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009A KR101405000B1 (ko) 2012-05-29 2012-05-29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009A KR101405000B1 (ko) 2012-05-29 2012-05-29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613A KR20130133613A (ko) 2013-12-09
KR101405000B1 true KR101405000B1 (ko) 2014-06-10

Family

ID=4998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009A KR101405000B1 (ko) 2012-05-29 2012-05-29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3366B (zh) * 2014-09-09 2016-01-06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具有上下转换功能的红光发射荧光碳点及其制备方法
CN110357266B (zh) * 2019-07-15 2022-01-11 浙江海洋大学 利用鼠尾藻去除污染水体中重金属离子的方法
CN114736676B (zh) * 2022-05-16 2023-02-10 华中科技大学 一种藻基碳量子点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C. Hsu et al. Green Chem. 2012, Vol. 14, pp. 917-920 (2012.03.01.) *
P.-C. Hsu et al. Green Chem. 2012, Vol. 14, pp. 917-920 (2012.03.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613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 et al. Simple one-step synthesis of water-soluble fluorescent carbon dots derived from paper ash
Dong et al. One-step and high yield simultaneous preparation of single-and multi-layer graphene quantum dots from CX-72 carbon black
Wang et al. Photoluminescent carbon quantum dot grafted silica nanoparticles directly synthesized from rice husk biomass
Perumal et al. Sustainable synthesis of multifunctional carbon dots using biomass and their applications: A mini-review
Sun et al. Large scale preparation of graphene quantum dots from graphite with tunable fluorescence properties
Wang et al. Large-scale and controllable synthesis of graphene quantum dots from rice husk biomass: a comprehensive utilization strategy
Sarkar et al. Amino acid functionalized blue and phosphorous-doped green fluorescent carbon dots as bioimaging probe
Yadav et al. Gree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morphous silica nanoparticles from fly ash
Li et al. An absolutely green approach to fabricate carbon nanodots from soya bean grounds
CN107522190B (zh) 一种碳量子点的合成方法
CN106141200B (zh) 一种碳点/金复合纳米粒子的制备方法及用途
KR101405006B1 (ko) 커피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
Jovanović et al. Enhancing photoluminescence of graphene quantum dots by thermal annealing of the graphite precursor
CN109609123B (zh) 红/黄双波长氮、硫共掺杂荧光碳量子点及其制备与应用
Lin et al. Eco-friendly synthesis of shrimp egg-derived carbon dots for fluorescent bioimaging
Dubey et al. A simple one-step hydrothermal route towards water solubilization of carbon quantum dots from soya-nuggets for imaging applications
KR101405000B1 (ko) 미세조류 잔사에서 만들어진 광 발광 탄소 나노점의 제조 및 제조 방법
KR101293738B1 (ko) 광 발광 탄소 나노점 제조 방법
CN110294471A (zh) 一种硼氮共掺杂石墨烯量子点的合成方法
CN101430283B (zh) 一种高荧光量子产率碳点的制备方法
CN110184051A (zh) 一种荧光碳量子点的制备方法
CN108190877A (zh) 一种氧化石墨烯、制备方法和用途
Wang et al. Solvent-controlled crystallization of zinc oxide nano (micro) disks
CN107603612B (zh) 一种空心橙色荧光碳纳米粒子的制备方法及应用
CN111072013A (zh) 利用间苯三酚制备石墨烯量子点的绿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