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380B1 -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380B1
KR101404380B1 KR1020120105575A KR20120105575A KR101404380B1 KR 101404380 B1 KR101404380 B1 KR 101404380B1 KR 1020120105575 A KR1020120105575 A KR 1020120105575A KR 20120105575 A KR20120105575 A KR 20120105575A KR 101404380 B1 KR101404380 B1 KR 101404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mobile device
acceleration sensor
screen direction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455A (ko
Inventor
신형식
김상명
전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10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380B1/ko
Priority to US14/029,277 priority patent/US20140085341A1/en
Publication of KR2014003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METHOD OF SWITCHING SCREEN DIRECTIO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ENABLING THE METHOD}
아래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웹서핑을 하거나 동영상을 시청하는 등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대부분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기기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화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사용 상태는 고려하지 않은 채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만을 고려하여 화면 방향을 전환하다 보니,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정자세인 상태(앉거나 서 있는 상태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상태)만을 전제로 화면 방향을 전환하므로, 사용자가 누워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경우,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아래로 향하는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켰음에도 화면 방향이 전환되지 않거나 너무 민감하게 화면 방향이 전환되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약간만 움직여도 의도하지 않게 화면 방향이 전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고려되지 않다 보니,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바라본 상태에서 옆으로 눕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회전한 상태가 되어 화면 방향이 전환되므로,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의 방향이 맞지 않아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10-2006-0070195A(2006.06.23 공개) KR10-0738030B1(2007.07.04 등록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움직임과 사용 상태를 고려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맞는 최적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a)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는, (a1)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a2)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a)는, (a3)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a4)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과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거나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의 값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결정하고,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과,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단계 및 (c2)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과,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결정하고,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2)는, (c3)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c4)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c5)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5)은, (c6)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와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c7)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상기 제3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8)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상기 제3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8)은, (c9)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제4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10)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상기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고정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a)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과,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단계, (c2)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c3)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c4)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4)는, (c5)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와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c6)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상기 제3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7)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상기 제3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7)은, (c8)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제4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9)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상기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고정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a)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매칭된 상태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되지 않은 채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된 채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a)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을 확인하는 가속도 센서 값 확인부, (b)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 및 (c)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 값 확인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임계값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b)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장치 (c)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a)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을 확인하는 가속도 센서 값 확인부,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회전량 감지부 및 (c)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a)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회전량 감지부,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매칭된 상태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c) 상기 장치 (b)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되지 않은 채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 및 (d) 상기 장치 (b)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된 채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움직임과 사용 상태를 고려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최적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센서 값 및 자이로 센서 값의 변화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가속도 센서의 Z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이거나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단계 2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가속도 센서의 Z값이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의 값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단계 2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계 54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은 화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전방 경사 모드와 후방 경사 모드로 구분한다. 전방 경사 모드는 지면과 수직인 기준선을 중심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아래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방 경사 모드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눕거나 몸을 뒤로 젖힌 상태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소정 각도로 아래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후방 경사 모드는 지면과 수직인 기준선을 중심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위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후방 경사 모드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앉거나 서 있는 상태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소정 각도로 위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제1 축(세로 축)의 길이와 제2 축(가로 축)의 길이가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을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구분한다. 제1 축(세로 축)과 제2 축(가로 축)은 서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수직 방향은 제1 축(세로 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는 상태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치된 방향을 나타낸다. 수직 방향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제1 축(세로 축)과 일치하는 상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수평 방향은 제2 축(가로 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는 상태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치된 방향을 나타낸다. 수평 방향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제2 축(가로 축)과 일치하는 상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을 의미한다.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제1 축(세로 축)의 길이와 제2 축(가로 축)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의 전환, 즉 화면의 회전 상태는 세로 모드와 가로 모드로 구분한다. 세로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맞도록 최적화된 화면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가로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맞도록 최적화된 화면의 방향을 의미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볼 때, 세로 모드는 포트레이트 모드(portrait mode)에 해당되고, 가로 모드는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에 해당한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와 회전 여부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의 전환, 즉 화면의 회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후방 경사 모드이고 수직 방향인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화면은 세로 모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우측(또는 좌측)으로 돌리는(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화면은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후방 경사 모드가 유지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도에 가까운 임계 각도 이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게 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전환된다(120).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를 좌측으로 회전하였냐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였냐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일치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로 모드의 방향이 최적화 된다. 즉, 110 상태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좌측으로 회전한 경우와 우측으로 회전한 경우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의 가로 모드 방향은 서로 180도 반대가 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앉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의도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전방 경사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좌측(또는 우측)으로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화면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후방 경사 모드가 유지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90도에 가까운 임계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이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시 한번 90도에 가까운 임계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수평 방향 -> 수직 방향),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전환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뒤 또는 옆으로) 누워 있거나 뒤로 기대어 앉아 있는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의도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가 후방 경사 모드에서 전방 경사 모드로 전환되면서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또는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큰 이동 반경을 그리며 회전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과 시선 방향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움직이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에 쥔 상태에서 옆으로 눕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세로 모드 또는 가로 모드로 사용하는 상태에서 옆으로 눕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은 눕기 이전의 시선 방향과 동일한데, 모바일 디바이스는 임계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된다(수직 방향 ->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 -> 수직 방향).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상태 및 시선 방향에 최적화된 화면 방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을 확인한다(단계 a)(210).
가속도 센서는 관성에 의한 반작용을 측정함으로써 직선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는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세가지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X축 방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축 방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세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Z축 방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회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인 회전 상태란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함께 고려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상태는 사용자의 자세 및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후방 경사 모드인 경우,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의 전환으로 인해 더 편안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가 전방 경사 모드인 경우,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화면 방향의 전환으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어떠한 자세를 취하느냐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는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회전 상태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회전 상태를 기준으로 다른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시선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회전 상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Z축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가 전방 경사 모드인지 후방 경사 모드인지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를 예측할 수 있으며, 전방 경사 모드와 후방 경사 모드는 가속도 센서의 Z축의 값(이하 'Z 값'이라 함)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경우의 Z 값이 '0'이고, 후방 경사 모드인 경우의 Z 값이 양수(Z 값>0)이며, 전방 경사 모드인 경우 Z 값이 음수(Z 값<0)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가속도 센서의 X축의 값(이하 'X 값' 이라 함) 및 Y축의 값(이하 'Y 값'이라 함)만을 계속해서(또는 주기적으로) 확인모니터링하는 반면, 가속도 센서의 Z 축의 값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 이상일 경우에만 확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킬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이 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의 Z 값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므로,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이 임계 범위 이내에서 변화하는 동안에는 가속도 센서의 Z 값을 계속 확인할 필요는 없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수준 이하의 X 값 및 Y 값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사용상태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이동 중이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고쳐 잡는 경우 등)에 해당하므로 Z 값의 변화를 계속 확인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이 임계 범위 이상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의 Z 값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Z 값 역시 X 값이나 Y 값과 마찬가지로 계속해서(또는 주기적으로) 확인(모니터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Z값과 임계값을 비교한다(단계 a1 내지 단계 a4)(220).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회전 상태에 따라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가속도 센서의 Z 값에 따라서 다른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후방 경사 모드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상적인 상황, 즉 앉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만을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판단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화면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에,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값 미만이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후방 경사 모드 또는) 전방 경사 모드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에 쥔 상태에서 옆에 눕는 상황 또는 사용자가 뒤로 누워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뒤집힌 상태로 들고 사용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정확하게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판단하기 위해, 일상적인 상황과는 달리, 추가적 판단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Z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와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판단하기 위하여 위한 가속도 센서의 Z 값의 기준값으로 설정된 값이다. 예컨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임계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임계값을 0으로 설정할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에 쥔 상태로 옆으로 누울 때,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어나 후방으로 다소 기울게 되면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만을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면과 수직에 가까운 후방 경사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면에 대하여 정확히 수직이 아닌 후방으로 다소 비스듬한 각도로 잡고 사용하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만을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판단하면, 가속도 센서의 X 값과 Y 값이 임계 범위 이상 변화하였으므로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사용자의 시선 방향은 수직 방향인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은 가로 모드로 전환).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보다 정확한 화면 방향 전환을 위하여, 임계값을 0에서 2 사이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에서 1 사이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킨 상황을 제외하고 보다 정밀한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판단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사용자 의도에 맞게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추가적인 판단은 자이로 센서의 X 값, Y값 및 Z값을 고려한 판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임계값은 필요에 따라 달리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은 임계값을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의 Z값이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지 또는 Z값이 임계 범위 이내인지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범위는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Z값과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한다(단계 b, 단계 c)(230).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Z값과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을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속도 센서의 Z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을 고려하여 화면 방향의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속도 센서의 Z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의 값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을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이동체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한 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에 이동체가 회전한 각도의 값을 수치로 환산하여 출력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움직일 때 생기는 코리올리의 힘으로부터 관성계에 작용하는 각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있다.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은 자이로 센서의 각 축을 기준으로 이동체가 회전한 각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의 X 값은 자이로 센서의 X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에 이동체가 회전한 각도를 수치로 환산한 것이다. 그리고, Y 값은 자이로 센서의 Y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에 이동체가 회전한 각도를 수치로 환산한 것이고, Z 값은 자이로 센서의 Z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에 이동체가 회전한 각도를 수치로 환산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220 단계에서 가속도 센서의 Z 값과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비교한 경우, 임계 범위에 따라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을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즉,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제1 임계값보다 이상이거나,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가속도 센서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b). 그리고,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즉,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인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을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c). 예를 들어, 제1 임계값으로는 +1 ~ +3 사이의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제2 임계값으로는 -1 ~ -3 사이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다른 일 실시예는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이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 이상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에서 제시한 일 실시예에서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인 경우에 해당하고, X 값 및 Y 값이 임계 범위 이상인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팝업창과 같은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 방향 전환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화면 방향 전환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가 있는 경우에는 화면 방향을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의 X 값과 Y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 이상 변화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특정 제스처를 취한 경우에는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제스처로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르는 행위,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행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UI(예를 들어, 화면 방향 전환 선택 버튼 등)을 선택(터치)하는 행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에 쥔 상태로 옆으로 누우면서 화면 방향 전환을 막기 위하여 제스처를 취하면서 동작하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도 3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센서 값 및 자이로 센서 값의 변화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화면 방향 전환을 위해 의도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 속도는 상대적으로 빠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화면 방향 전환의 목적이 없는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하는 때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다.
그래프 310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빠른 속도로 회전 반경을 작게 하여 90도 회전시킨 경우의 가속도 센서 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그래프 320은 이때의 자이로 센서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래프 310과 320에서 311과 321은 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X 값을, 312와 322는 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Y 값을, 313과 323은 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Z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래프 330과 그래프 340은 각각 모바일 디바이스를 느린 속도로 회전 반경을 작게 하여 90도 회전시킨 경우의 가속도 센서 값 및 자이로 센서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래프 330과 340에서 331과 341은 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X 값을, 332와 342는 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Y 값을, 333과 343은 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Z 값을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 350과 그래프 360은 각각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느린 속도로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 회전시킨 경우의 가속도 센서 값 및 자이로 센서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래프 350과 360에서 351과 361은 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X 값을, 352와 362는 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Y 값을, 353과 363은 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Z 값을 나타낸다. 각 그래프들의 가로 축은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 축은 각각의 데이터의 수치 값을 나타낸다.
그래프 310과 그래프 330 및 350을 비교하면, 그래프 310에서는 그래프 330 및 350보다 그래프의 기울기가 급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그래프 310의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그래프 330 및 350의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보다 큰 것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큰 것은 사용자가 화면 방향 전환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킨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빠른 속도로 회전 반경을 작게 하여 90도 회전시킨 경우, 가속도 센서의 변화량만을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그래프 330과 그래프 350은 각각 다른 움직임이지만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비슷하다. 따라서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프 340과 그래프 360을 비교하면, 그래프 360은 그래프 340보다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크다. 이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 반경을 작게 하여 회전시킨 경우보다,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 회전시킨 경우에 자이로 센서의 변화가 더 큰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작고 자이로 센서의 변화가 큰 경우(변화량이 많은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된 상태로 사용자와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이 움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된다는 것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한 결과 사용자의 시선이 사용자가 응시하던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부분을 계속 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되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작고 자이로 센서의 변화도 작은 경우(변화량이 적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면 방향 전환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를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가속도 센서의 Z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이거나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단계 2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230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추출한다(단계 b1)(410). 가속도 센서의 X 값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로 방향을 기준 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좌우 움직임을 나타낸 것이고, Y 값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세로 방향을 기준 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하 움직임을 나타낸 것이다. 즉, 가속도 센서의 X 값은 가속도 센서의 X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 동안 이동체의 직선 가속도를 수치로 환산한 것이고, Y 값은 가속도 센서의 Y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 동안 이동체의 직선 가속도를 수치로 환산한 것이다.
그리고, 단계 230은 데이터 샘플링을 이용하여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샘플링은 많은 양의 데이터로부터 모집단과 유사한 작은 양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즉, 데이터 샘플링을 사용하여 단계 230은 필요한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30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판단한다(단계 b2)(420). 단계 230은 가속도 센서의 X 값과 Y 값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 방향의 수직 방향일 경우(리시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단에 1개 배치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시버가 화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의 X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Y 값을 y1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 방향의 수직 방향에서 좌측으로 90도 회전한 수평 방향일 경우(리시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단에 1개 배치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시버가 화면의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의 X 값을 x1으로 설정할 수 있고, Y 값은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 방향의 수직 방향에서 우측으로 90도 회전한 수평 방향일 경우(리시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단에 1개 배치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시버가 화면의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의 X 값을 -x1으로 설정할 수 있고, Y 값은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역 방향의 수직 방향일 경우(리시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단에 1개 배치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시버가 화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의 X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Y 값을 -y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x1과 y1은 9.8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속도 센서의 X 값이 0에서 x1 또는 -x1으로 변화하고 Y 값이 y1 또는 -y1에서 0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속도 센서의 X 값이 x1 또는 -x1에서 0으로 변화하고 Y 값이 0에서 y1 또는 -y1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의 X 값이 x1이냐 -x1이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에 맞는 가로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의 Y 값이 y1이냐 -y1이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에 맞는 세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 방향의 세로 방향인 경우(상기 예에서 리시버가 화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가속도 센서의 X 값이 0, Y 값이 y1)의 세로 모드 화면을 기준으로, 가속도 센서의 X 값이 x1, Y값이 0인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좌측으로 90도 회전한 가로 모드로 전환하고, 가속도 센서의 X 값이 -x1, Y 값이 0인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우측으로 90도 회전한 가로 모드로 전환하고, 가속도 센서의 X 값이 0, Y 값이 -y1인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180도 회전한 세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던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사용자의 시선에 최적화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은 가속도 센서의 X 값이 0 또는 x1/-x1이 되고 Y 값이 y1/-y1 또는 0이 되는 시점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속도 센서의 X 값과 Y 값이 각기 기준값을 넘어서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가속도 센서의 X 값에 대한 기준값은 0 ~ x1, -x1 ~ 0 사이에 각기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의 Y 값에 대한 기준값 역시 0 ~ y1, -y1 ~ 0 사이에 각기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Z 값을 계속 모니터링하여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가속도 센서의 Z값이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의 값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단계 2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230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추출한다(단계 c1)(510).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은 가속도 센서의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 동안 이동체의 직선 가속도를 수치로 환산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속해서 움직이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빠르게 진행되었는지에 대해서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Z 값은 각각 자이로 센서의 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에 이동체가 회전한 각도를 수치로 환산한 것이다.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이 0으로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으로 잡고 있거나 이동 중이지 않은 안정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에,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이 큰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반경이 넓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230은 데이터 샘플링을 이용하여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필요한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단계 230은 데이터 샘플링 시간을 60ms로 설정하여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230은 이동 평균(moving averag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들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동 평균 알고리즘은 전반적인 추세를 추출하여 추세에 부합하지 않는 예외적인 데이터는 결과값으로 나타내지 않고, 데이터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편차를 줄여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들에 대해 이동 평균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더 정확성이 높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30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 속도를 계산한다(단계 c3)(520). 단계 230은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77076127-pat00001

이 때, MAX는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 각각의 최대값을 의미하고, MIN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 각각의 최소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T는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데이터 샘플링 시간이다.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클수록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더 빠르게 움직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계 230은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계산한다(단계 c4)(530).
표준 편차는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산포의 정도를 의미한다. 단계 230은 아래의 수학식 2을 이용하여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편차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2077076127-pat00002

이 경우, N은 자료의 개수를 의미하고,
Figure 112012077076127-pat00003
는 각각의 데이터,
Figure 112012077076127-pat00004
는 각 데이터들의 평균을 의미한다.
단계 230은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30은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 및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c2, c5) (540).
단계 230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판단을 위해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와 관련한 제3 임계값 및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와 관련된 제4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이상인 경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미만인 경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계 54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540은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와 제3 임계값을 비교한다(단계 c6)(610). 여기서, 제3 임계값은 보다 정확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수행을 위해,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의 기준값으로 설정된 것이다.
또한,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계 540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판단할 수 있다(단계 c7)(620). 모바일 디바이스가 빠른 속도로 회전되면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는 높은 값으로 측정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화면 방향의 전환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단계 540은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사용자가 화면 방향 전환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킨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이 세로 방향일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의 X 값을 0으로, Y 값을 y1/-y1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이 가로 방향일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의 X 값을 x1/-x1으로, Y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속도 센서의 X 값이 0에서 x1/-x1으로 변화하고, Y 값이 y1/-y1에서 0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은 도 4에서 설명한 화면 방향 전환 판단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미만인 경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와 제4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630). 이 때, 제 4 임계값은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를 비교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일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미만이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계 540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고정할 수 있다(단계 c8, 단계 c10,)(640). 이 경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제4 임계값 이상인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반경이 큰 것이므로, 큰 동작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킨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쥔 상태로 옆으로 눕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포물선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응시하는 화면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단계 540은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미만이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지 않고, 화면 방향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미만이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제4 임계값 미만인 경우, 단계 540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을 전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단계 c8, 단계 c9)(650).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느린 속도로 회전시킨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제4 임계값 미만인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반경이 작은 것이므로 작은 동작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시킨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화면 방향 전환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느린 속도로 회전시킨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단계 230은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을 전환한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은 도 5에서 설명한 화면 방향 전환 판단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을 확인한다(단계 a)(710). 여기서. 가속도 센서의 값은 가속도 센서의 X값, Y값 및 Z값을 의미할 수 있고, 자이로 센서의 값은 자이로 센서의 X값, Y값 및 Z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b)(720).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과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Z 값에 기초하여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판단하였지만, 이와 다른 방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전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Z 값에 대응하는 임계값이 아닌,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이 감지되는 경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 및 변화 속도,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c)(730).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과,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추출할 수 있다(단계 c1). 그리고,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 속도를 계산할 수 있고(단계 c2),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계산할 수 있다(단계 c3).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 및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c4).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와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고(단계 c5),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이상인 경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c6). 반면에,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미만인 경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c7). 이 때,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미만이고,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제4 임계값 미만인 경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c8). 그리고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제3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고정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단계 c9).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a)(810).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과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회전량에 대응하는 임계값을 미리 설정하여, 회전량이 임계값 이상인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매칭된 상태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b)(820).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회전하는 경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위를 향한 상태(후방 경사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인바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되지 않게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되지 않는다는 것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변하지 않으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한 결과, 사용자의 시선이 사용자가 응시하던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하는 경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값 미만이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면과 거의 수직에 가까운 상태에서 사용하거나(후방 경사 모드 또는 전방 경사 모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아래로 향한 상태(전방 경사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된 채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되지 않은 채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된다는 것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한 결과 사용자의 시선이 사용자가 응시하던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부분을 계속 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단계 82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83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되지 않은 채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c). 반면에,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된 채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사용자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여야 하므로 가속도 센서의 값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d).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은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속도 센서 값 확인부(91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을 확인한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 값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가속도 센서의 Z 값일 수 있다.
또한, 임계값 비교부(920)는 가속도 센서의 Z값과 임계값을 비교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판단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의 Z 값의 기준값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930)는 가속도 센서의 Z값과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한다.
도 9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처리부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a)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는,
    (a1)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a2)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는,
    (a3)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a4)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과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거나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의 값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결정하고,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과,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단계; 및
    (c2)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과,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결정하고,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2)는,
    (c3)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c4)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c5)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5)은,
    (c6)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와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c7)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상기 제3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8)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상기 제3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8)은,
    (c9)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제4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10)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상기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고정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11. (a)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과,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단계;
    (c2)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c3)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c4)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4)는,
    (c5)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와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c6)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상기 제3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7)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변화 속도가 상기 제3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자이로 센서의 X 값, Y 값 및 Z 값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7)은,
    (c8)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제4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X 값 및 Y 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화면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9) 상기 자이로 센서의 표준 편차가 상기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을 고정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15. (a)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매칭된 상태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되지 않은 채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된 채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16. (a)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을 확인하는 가속도 센서 값 확인부; 및
    (b)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 값 확인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임계값 비교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의 Z 값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9. (a)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을 확인하는 가속도 센서 값 확인부;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회전량 감지부; 및
    (c)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0. (a)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값 이상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회전량 감지부;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매칭된 상태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c)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되지 않은 채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이 매칭된 채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의 값의 변화량 및 자이로 센서의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화면 방향 전환 수행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20105575A 2012-09-24 2012-09-24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KR101404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575A KR101404380B1 (ko) 2012-09-24 2012-09-24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US14/029,277 US20140085341A1 (en) 2012-09-24 2013-09-17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 orientation of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575A KR101404380B1 (ko) 2012-09-24 2012-09-24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55A KR20140039455A (ko) 2014-04-02
KR101404380B1 true KR101404380B1 (ko) 2014-06-09

Family

ID=5033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575A KR101404380B1 (ko) 2012-09-24 2012-09-24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85341A1 (ko)
KR (1) KR101404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7764B2 (en) 2016-03-03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screen security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4499B2 (en) * 2012-06-08 2016-01-26 Apple Inc. Multi-stage device orientation detection
CN103294358B (zh) * 2013-05-17 2016-12-2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屏幕旋转的方法、装置和设备
JP5613314B1 (ja) * 2013-11-14 2014-10-22 Jfe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ジェスチャー検出装置、ジェスチャー検出プログラム、ジェスチャー認識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ー認識プログラム
US20150228255A1 (en) * 2014-01-28 2015-08-13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6252815B2 (ja) * 2014-06-06 2017-12-2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ウィンドウ表示位置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
US20160275649A1 (en) * 2014-07-24 2016-09-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isplay Mode of Screen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0652696B2 (en) * 2014-07-30 2020-05-12 Trusted Position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tegorizing device use case for on foot motion using motion sensor data
KR102311051B1 (ko) 2014-08-27 2021-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워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JP6250187B2 (ja) * 2014-09-29 2017-12-20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158297B1 (ko) * 2015-06-08 2020-09-21 박진우 스위블 회전 및 틸트 각도 조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스마트기기용 보호케이스
JP6573389B2 (ja) * 2015-10-05 2019-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TWI587176B (zh) * 2015-12-03 2017-06-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行動虛擬實境操作方法、系統與其儲存媒體
US20170243327A1 (en) * 2016-02-19 2017-08-24 Lenovo (Singapore) Pte. Ltd. Determining whether to rotate content based on identification of angular velocity and/or acceleration of device
CN106155474A (zh) * 2016-06-15 2016-11-23 广州神马移动信息科技有限公司 显示视图控件动态效果的方法及装置
CN108510959B (zh) * 2017-02-28 2020-03-1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图像旋转控制装置及数码相框
CN106954177A (zh) * 2017-03-20 2017-07-1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匹配移动终端的方法和装置
CN107463255A (zh) * 2017-07-31 2017-12-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029146A1 (zh) * 2018-08-08 2020-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获取用户运动轨迹的方法及终端
CN114090140A (zh) * 2020-08-05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指向操作的设备之间的交互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0918A2 (en) * 2008-06-30 2010-01-06 Nintendo Co., Ltd. Orientation calculation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orientation calculation program stored therein, gam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in
KR20120026004A (ko) * 2010-09-08 2012-03-16 애플 인크. 인물로부터 풍경으로의 카메라-기반 방향 픽스
KR20120040320A (ko) * 2010-10-19 2012-04-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2792B2 (ja) * 2010-09-17 2015-06-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937510B2 (ja) * 2010-11-25 2016-06-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通信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0918A2 (en) * 2008-06-30 2010-01-06 Nintendo Co., Ltd. Orientation calculation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orientation calculation program stored therein, gam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in
KR20120026004A (ko) * 2010-09-08 2012-03-16 애플 인크. 인물로부터 풍경으로의 카메라-기반 방향 픽스
KR20120040320A (ko) * 2010-10-19 2012-04-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7764B2 (en) 2016-03-03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screen security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5341A1 (en) 2014-03-27
KR20140039455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38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방향 전환 방법
US9779481B2 (en) Devic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ed image
US7763842B2 (en) Motion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5520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rotation of a device
US84900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 touch zoom using spiral rotation
JP4411387B2 (ja) 動体検出装置、動体検出方法、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24821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in touch screen terminal
KR102109649B1 (ko) 전자 펜 좌표 보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US9348431B2 (en)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uto-rotation of cont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rotation of content displayed on display device
EP2866123A2 (en) Screen operation apparatus and screen operation method
EP29988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layback
WO2012120799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向切替方法
US10509464B2 (en) Tracking torso leaning to generate inputs for computer systems
EP2708982B1 (en) Method for guiding the user of a controller of a multimedia apparatus to move within recognizable range of the multimedia apparatus, the multimedia apparatus, and target tracking apparatus thereof
EP230936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motion
KR102207510B1 (ko) 모션 신호와 마우스 신호를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97034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touch recognition area in a touch interface
KR101031051B1 (ko) 전자책 단말기의 구동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40089988A (ko)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30007515A (ko) 접이식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검출된 제스처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402646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80036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11439902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gaming controls
US1055827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non-contact gesture and device for the same
JP721612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入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