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001B1 -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001B1
KR101404001B1 KR1020130015600A KR20130015600A KR101404001B1 KR 101404001 B1 KR101404001 B1 KR 101404001B1 KR 1020130015600 A KR1020130015600 A KR 1020130015600A KR 20130015600 A KR20130015600 A KR 20130015600A KR 101404001 B1 KR101404001 B1 KR 101404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rainwater storage
corner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13001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0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03B1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with air regul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저류조를 블록식으로 조립되는 하단 벽체와 하단 벽체에 합성되는 상단 벽체로 구성하여 시공 깊이에 대응하기가 용이하고, 미연에 빗물을 여과 정화시켜 다양한 용도의 빗물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은, 일정 심도로 굴착된 바닥면에 시공된 바닥 슬래브와; 바닥 슬래브 상면의 모서리부에 각기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코너블록과; 바닥 슬래브의 변 방향으로 배치되어 코너블록과 연결되어 바닥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변블록과; 상기 코너블록과 변블록에 의해 상부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빗물저류조 뚜껑이 포함되어 빗물저류조가 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Assembly rainwater catchment system for construction height response}
본 발명은 우천 또는 홍수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빗물 집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빗물저류조를 블록식으로 조립되는 하단 벽체와 하단 벽체에 합성되는 상단 벽체로 구성하여 시공 깊이에 대응하기가 용이하고, 미연에 빗물을 여과 정화시켜 다양한 용도의 빗물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빗물저류조는 물부족과 침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 비가 올 때나 홍수에 빗물을 모아서 생활용소, 청소용수, 소방용수, 조경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빗물을 저장하여 두는 시설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04036호로서, 복수 개의 하부슬라브가 포함되며, 저수 용량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하부슬라브 중 선택된 하부슬라브가 조립되어 하부슬라브조립체를 이루는 하부슬라브군과, 복수 개의 측벽이 포함되되 상기 하부슬라브조립체의 둘레부에 조립되는 측벽군과, 상기 하부슬라브조립체에 수직 상향되게 조립되는 기둥과, 상기 측벽과 기둥 또는 상기 기둥과 기둥 상부를 연결하도록 조립되는 거더 및 상부 거더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슬라브군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슬라브군은 사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하부슬라브조립체에 있어서 일측변의 일측 모서리부와 이에 대각되는 모서리부를 이루는 제1모서리용하부슬라브와, 사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하부슬라브조립체에 있어서 일측변의 타측 모서리부와 이에 대각되는 모서리부를 이루는 제2모서리용하부슬라브와, 상기 하부슬라브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모서리용하부슬라브와 상기 제2모서리용하부슬라브 사이에 위치되는 제1둘레부용하부슬라브 및 제2둘레부용하부슬라브가 포함되며, 상기 측벽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측면에 정착홈이 구비됨과 동시에 측부에 상기 정착홈과 연통되는 정착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배경 기술은 다양한 용량을 가지는 저류조에 맞도록 조립 시공이 가능한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는데 반해, 빗물저류조의 시공 높이의 변경에 따른 대응이 즉시 이루어지기 어렵고, 빗물저류조 내부로 포기 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빗물을 여과 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없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35056호로서, 다수의 슬라브가 올려질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거더; 상기 거더의 일단부가 올려지는 제1 브라켓이 형성된 측면기둥벽; 상기 거더의 타단부가 올려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브라켓이 형성된 중간기둥; 상기 측면기둥벽에 인접되며 상기 거더 상부에 위치한 슬라브가 올려지는 제3 브라켓이 형성된 슬라브측벽; 상기 슬라브측벽에 인접설치되며 헌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코너벽; 및 상기 거더, 측면기둥벽, 중간기둥, 슬라브측벽, 슬라브, 코너벽 중 선택된 어느 부재들 간을 강절시키도록 연결하는 부재강결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축조용 블록을 이용한 빗물저류조를 제공한다.
상기 배경기술은 축조용 블록의 크기와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데 반해, 빗물저류조의 시공 높이의 변경에 따른 대응이 즉시 이루어지기 어렵고, 빗물저류조 내부로 포기 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빗물을 여과 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없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98719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20477호
본 발명은 빗물저류조를 블록식으로 조립되는 하단 벽체와 하단 벽체에 합성되는 상단 벽체로 구성하여 시공 깊이에 대응하기가 용이하고, 미연에 빗물을 여과 정화시켜 다양한 용도의 빗물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은,
일정 심도로 굴착된 바닥면에 시공된 바닥 슬래브와;
바닥 슬래브 상면의 모서리부에 각기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코너블록과;
바닥 슬래브의 변 방향으로 배치되어 코너블록과 연결되어 바닥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변블록과;
상기 코너블록과 변블록에 의해 상부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빗물저류조 뚜껑이 포함되어 빗물저류조가 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너블록 및 변블록의 각 상면에는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시공되는 상단 벽체와 합성되기 위해 각기 다수의 상부 합성 철근이 일정 길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너블록 및 변블록의 각 하면에는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시공되는 바닥 슬래브와 합성되기 위해 각기 다수의 하부 합성 철근이 일정 길이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너블록 및 변블록의 각 바닥면에는 각기 하나 이상의 전단연결키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너블록 및 변블록의 각 측면에 동일 단면 형상으로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너블록 또는 변블록은 빗물저류조 내부로 포기 공급을 위해 하부로 다수의 포기구를 갖는 포기통로가 더 형성되고, 포기통로는 에어블로워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슬래브에 입설되어 빗물저류조 뚜껑을 지지하는 뚜껑지지용 기둥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저류조의 일측에 빗물여과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빗물여과조는,
양단에 상부로 각기 빗물유입구를 갖고 빗물에 혼합되어 있는 슬러지를 하부로 침전시키는 한 쌍의 슬러지 챔버와,
상기 한 쌍의 슬러지 챔버를 상부에서 연통시켜 주는 여과 챔버와;
상기 여과 챔버내에 채워져 있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 챔버내에 배치되어 여과재를 통과한 여과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빗물저류조로 배출시키는 여과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통은 원통형으로 외주면에 관통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고, 그의 외주면에 부직포가 감싸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일정 심도로 굴착된 바닥면에 바닥 슬래브를 시공함과 동시에, 그 바닥 슬래브의 상면에 코너와 변측에 각기 배치된 4개의 코너블록과 다수 개의 변블록을 이용하여 하단 벽체를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하단 벽체의 상단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필요한 빗물저장조의 최종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단 벽체를 시공하는 단계와;
빗물저류조의 내부에 복수 개 이상의 도어지지용 기둥을 설치하고, 빗물저류조 뚜껑을 상단 벽체와 도어지지용 기둥에 지지시켜 놓는 단계를 거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빗물저류조의 일측에 빗물여과조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은, 빗물저류조를 블록식으로 조립되는 하단 벽체와 하단 벽체에 합성되는 상단 벽체로 구성하여 하단 벽체를 필요한 높이에 대응하여 축조할 수 있어 시공 깊이에 대응하여 빗물 저류조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빗물여과조를 통해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여과 정화 처리된 빗물만이 빗물저류조에 유입되어 다양한 용도로 빗물을 바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사시도로서 빗물저류조 뚜껑이 열려있는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일측 단면도로서 포기 장치가 포함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빗물저류조의 코너블록의 사시도.
도 4의 도 3의 변형예.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빗물저류조의 변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변형예.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시공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12은 도 11의 빗물여과조의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와 빗물여과조가 함께 시공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의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일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너 블록 또는 변 블록의 하부 내외측 폭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빗물저류조(20)를 포함한다. 빗물저류조(20)는 벽체를 하단 벽체(13)와 상단 벽체(17)로 나누어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하단 벽체(13)는 코너블록(14)과 변블록(16)의 조립으로 구성되고, 상단 벽체(17)는 하단 벽체(13)에 필요한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같이 본 발명은 하단 벽체(13)를 미리 공장에서 프리캐스팅으로 제작한 후 상단 벽체(17)를 필요 높이만큼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빗물저류조(20)의 크기와 높이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하단 벽체(13)는 후술할 변블록(16)과 코너블록(14)이 연결되어 있는 벽체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빗물저류조(20)는 일정 심도로 굴착된 바닥면에 시공된 바닥 슬래브(12)와, 바닥 슬래브(12) 상면의 모서리부에 각기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코너블록(14)과, 바닥 슬래브(12)의 변 방향으로 배치되어 코너블록(14,14)과 연결되어 바닥 슬래브(1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변블록(16)과, 상기 코너블록(14)과 변블록(16)에 의해 상부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15)에 설치되는 빗물저류조 뚜껑(18)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5와 같이 코너블록(14) 및 변블록(16)의 각 상면에는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시공되는 상단 벽체(17)와 합성되기 위해 각기 다수의 상부 합성 철근(141)(161)이 일정 길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코너블록(14) 및 변블록(16)의 각 하면에는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시공되는 바닥 슬래브(12)와 합성되기 위해 각기 다수의 하부 합성 철근(142)(162)이 일정 길이로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합성 철근(141)(161)과 하부 합성 철근(142)(162)은 일정 간격마다 2열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배열 관계나 설치 개수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코너블록(14) 및 변블록(16)의 각 바닥면에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각기 하나 이상의 전단연결키(143)(163)가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단연결키(143)(163)는 바닥슬래브(12)에 요홈을 만들어 결합됨으로써 견고성이 증가되어 빗물저류조(20)의 시공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전단연결키(143)(163)는 예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돌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과 같이 코너블록(14) 및 변블록(16)의 각 측면에 동일 단면 형상으로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144a)(164a)와 결합홈(144b,164b)이 구비되어 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돌기(144a)(164a)와 결합홈(144b,164b)은 반원형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코너블록(14)과 변블록(16)이 조립되는 부분에는 도 4의 결합홈(144b)에 도 6의 결합돌기(164a)가 결합되고, 도 4의 결합돌기(144a)는 도 6의 결합홈(164b)에 결합된다. 또한 이웃한 변블록(16)(16)간에는 결합돌기(164a)가 결합홈(164b)에 결합된다.
또한 코너블록(14) 및 변블록(16)의 양 단부에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각기 체결구멍(149a,169a)을 갖는 돌출된 체결편(149,169)이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구멍(149a,169a)에 긴결재(5)가 삽입 체결되어 이웃한 접합면을 강제 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긴결재(5)는 철근, 볼트, 선재, 봉재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긴결재(5)에 나사부가 없는 경우 나사를 가공하여 너트를 체결 조임함으로써 이웃한 접합면의 체결력을 발생시킨다. 나사가 없는 긴결재(5)의 경우 양단을 절곡시켜서 체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같이 코너블록(14)과 변블록(16) 그리고 변블록(16)(16)들 간에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체 벽체가 상호 결속되어 견고한 축조물을 이루게 되고 조립 시공성이 향상된다.
이때 코너블록(14) 및 변블록(16)의 하부측 바닥 폭은 도 15와 같이 시공 안전성을 위해 단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측 폭(L1)이 내측 폭(L2)보다 더 긴 폭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및 도 6과 같이 코너블록(14) 또는 변블록(16)은 빗물저류조 내부로 포기 공급을 위해 하부로 다수의 포기구(145a)를 갖는 포기통로(145)가 더 형성되어 제작될 수 있다. 포기통로(145)는 블록 제작시 금속관이나 항성수지관을 매설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포기통로(145)는 상단 벽체(17)와 연결되어 있는 포기통로(17a)와 연결되어진 후 관로를 통해 에어블로워(50)와 연결된다.
또한, 빗물저류조(20)의 용량이 큰 경우 바닥슬래브(12)에 입설되어 복수 개 이상의 빗물저류조 뚜껑(18)을 지지하는 뚜껑지지용 기둥(2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빗물저류조(20)의 일측에 빗물에 혼합되어 있는 슬러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빗물여과조(3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빗물여과조(3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양단에 상부로 각기 빗물유입구(301a)를 갖고 빗물에 혼합되어 있는 슬러지를 하부로 침전시키는 한 쌍의 슬러지 챔버(301,301)와, 한 쌍의 슬러지 챔버(301,301)를 상부에서 연통시켜 주는 여과 챔버(302)와, 여과 챔버(302)내에 채워져 있는 여과재(304)와, 여과 챔버(302)내에 배치되어 여과재(304)를 통과한 여과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빗물저류조(20)로 배출시키는 여과통(303)을 구비한다. 이때 여과통(303)은 원통형으로 외주면에 관통된 다수의 타공(303a)이 형성되고, 그의 외주면에 부직포(305)가 감싸져 구성될 수 있다. 여과통(303)의 배출구(303b)는 도 13과 같이 상단 벽체(17)의 상부에 관통된 빗물유입구(17a)에 연결되어 있다.
슬러지 챔버(301,301)와 여과 챔버(302)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시공되거나 프리캐스팅 공법으로 제작된 후 현장에서 설치될 수도 있다.
빗물유입구(301a)에는 메쉬망(32)이 설치되어 쓰레기를 걸러낸다. 슬러지 챔버(301,301)의 바닥은 여과 챔버(302)보다 낮은 위치에 구성된다. 슬러지의 량을 늘리기 위해 슬러지 챔버(301,301)의 바닥 깊이는 특정되지 않는다. 예로, 슬러지 챔버(301,301)의 바닥 깊이는 빗물 저류조(10)의 깊이보다 더 깊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슬러지 챔버(301,301)와 여과 챔버(302)는 사각 단면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단면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과재(304)는 예로 자갈, 활성탄 등의 혼합재가 될 수 있다. 여과통(303)은 금속관, 콘크리트 관, 합성수지관, 복합소재관 등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슬러지 챔버(301,301)의 상부 전면에 과유입되는 빗물을 빗물저류조(20)로 오버플로워시키는 바이패스구멍(308,30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이패스구멍(308,308)은 빗물저류조(20)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배출구(303b)(또는 빗물유입구(17a)) 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307'은 '여과재 걸림망'이고, '309'는 '여과 챔버 뚜껑'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저류조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일정 심도로 굴착된 바닥면에 바닥 슬래브(12)를 시공함과 동시에, 그 바닥 슬래브(12)의 상면에 코너와 변측에 각기 배치된 4개의 코너블록(14)과 다수 개의 변블록(16)을 이용하여 도 7과 같이 하단 벽체(13)를 시공한다.
다음, 도 9와 같이 하단 벽체(13)의 상단에 거푸집(15)을 설치한 후 필요한 빗물저장조(10)의 최종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단 벽체(17)를 시공한다.
그 다음, 도 10과 같이 빗물저류조(20)의 내부에 복수 개 이상의 도어지지용 기둥(22)을 설치하고, 빗물저류조 뚜껑(18)을 상단 벽체(17)와 도어지지용 기둥(22)에 지지시켜 놓는다.
이때 도어지지용 기둥(22)을 상단 벽체(17)을 시공하기 전에 시공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13과 같이 빗물저류조(20)의 일측에 상기한 빗물여과조(3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시공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우수나 홍수시 빗물은 빗물여과조(30)를 통해 여과된 후 빗물저류조(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메쉬망(32)에 의해 쓰레기가 걸러지고, 빗물여과조(30)의 슬러지 챔버(301)내에는 유입된 슬러지가 침전되고, 침전되지 않은 빗물은 여과재(304)와 부직포(30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도 14와 같이 여과통(303)으로 집수되어 빗물저류조(20)내로 유입된다.
이같이 빗물에 혼합된 슬러지는 슬러지 챔버(301)내에서 침전되고, 여과재(304)와 부직포(305)에서 여과된 깨끗한 빗물만이 빗물저류조(20)내로 유입되어 생활용소, 청소용수, 소방용수 등등으로 바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하단벽체(13)의 포기통로(145)에 에어블로워(50)를 통해 외기가 공급되어 포기구(145)로 배출되어 빗물저류조(20)의 내부에는 포기 작용이 일어난다. 이로 인해 빗물저류조(20)내에 모아진 빗물은 미생물이 생존하게 되어 빗물이 썩거나 오염되는 일은 없다. 또한 빗물에는 충분한 산소의 공급으로 조경용수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블록(14) 및 변블록(16)의 각 상면에는 동일한 코너블록(14) 및 변블록(16)이 높이 방향으로 더 적층되어 조립시공 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저류조(20)는 2단 높이로 프리캐스팅 블록들이 조립되어 시공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바닥 슬래브
14: 코너블록
16: 변블록
18: 빗물저류조 뚜껑
20: 빗물저류조
22: 뚜껑지지용 기둥
141,161: 상부 합성 철근
142,162: 하부 합성 철근
143,163: 전단연결키
144a,164a: 결합돌기
144b,164b: 결합홈
145: 포기통로
145a: 포기구
30: 빗물여과조
301: 슬러지 챔버
302: 여과챔버
303: 여과통
304: 여과재
305: 부직포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일정 심도로 굴착된 바닥면에 시공된 바닥 슬래브(12)와;
    바닥 슬래브(12) 상면의 모서리부에 각기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코너블록(14)과;
    바닥 슬래브(12)의 변 방향으로 배치되어 코너블록(14,14)과 연결되어 바닥 슬래브(1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변블록(16)과;
    상기 코너블록(14)과 변블록(16)에 의해 상부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빗물저류조 뚜껑(18)이 포함되어 빗물저류조(20)가 시공되어 있는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너블록(14) 또는 변블록(16)은 빗물저류조 내부로 포기 공급을 위해 하부로 다수의 포기구(145a)를 갖는 포기통로(145)가 더 형성되고, 포기통로(145)는 에어블로워(5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7. 삭제
  8. 일정 심도로 굴착된 바닥면에 시공된 바닥 슬래브(12)와;
    바닥 슬래브(12) 상면의 모서리부에 각기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코너블록(14)과;
    바닥 슬래브(12)의 변 방향으로 배치되어 코너블록(14,14)과 연결되어 바닥 슬래브(1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변블록(16)과;
    상기 코너블록(14)과 변블록(16)에 의해 상부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빗물저류조 뚜껑(18)이 포함되어 빗물저류조(20)가 시공되어 있는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류조(20)의 일측에 빗물여과조(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빗물여과조(30)는,
    양단에 상부로 각기 빗물유입구(301a)를 갖고 빗물에 혼합되어 있는 슬러지를 하부로 침전시키는 한 쌍의 슬러지 챔버(301,301)와,
    상기 한 쌍의 슬러지 챔버(301,301)를 상부에서 연통시켜 주는 여과 챔버(302)와;
    상기 여과 챔버(302)내에 채워져 있는 여과재(304)와;
    상기 여과 챔버(302)내에 배치되어 여과재(304)를 통과한 여과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빗물저류조(20)로 배출시키는 여과통(30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303)은 원통형으로 외주면에 관통된 다수의 타공(303a)이 형성되고, 그의 외주면에 부직포(305)가 감싸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챔버(301,301)의 상부 전면에 과유입되는 빗물을 빗물저류조(20)로 오버플로워시키는 바이패스구멍(308,308)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15600A 2013-02-14 2013-02-14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KR10140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00A KR101404001B1 (ko) 2013-02-14 2013-02-14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00A KR101404001B1 (ko) 2013-02-14 2013-02-14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001B1 true KR101404001B1 (ko) 2014-06-09

Family

ID=5113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600A KR101404001B1 (ko) 2013-02-14 2013-02-14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24B1 (ko) * 2014-06-20 2015-03-03 주식회사 이에스피소재 우수저류조의 우수 침투형 상부 슬래브용 조성물, 상기 우수 침투형 상부 슬래브용 조성물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및 상기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870A (ja) * 1994-03-11 1995-10-03 Asahi Concrete Works Co Ltd 雨水貯溜槽
KR100952605B1 (ko) 2009-09-09 2010-04-16 김병기 우수 저류조
KR100956740B1 (ko) 2010-03-03 2010-05-06 주식회사 중앙씨앤씨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측벽과 천정판과 보와 기둥의 조립에 의한 컨테이너 구조물
KR101226524B1 (ko) 2012-06-11 2013-01-25 김종준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870A (ja) * 1994-03-11 1995-10-03 Asahi Concrete Works Co Ltd 雨水貯溜槽
KR100952605B1 (ko) 2009-09-09 2010-04-16 김병기 우수 저류조
KR100956740B1 (ko) 2010-03-03 2010-05-06 주식회사 중앙씨앤씨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측벽과 천정판과 보와 기둥의 조립에 의한 컨테이너 구조물
KR101226524B1 (ko) 2012-06-11 2013-01-25 김종준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24B1 (ko) * 2014-06-20 2015-03-03 주식회사 이에스피소재 우수저류조의 우수 침투형 상부 슬래브용 조성물, 상기 우수 침투형 상부 슬래브용 조성물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및 상기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254B1 (ko) 경사지의 지중에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블럭
KR102055272B1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JP5726507B2 (ja) 筒状濾過槽及び雨水処理装置
US20100221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JP5117932B2 (ja) 地下貯溜浸透槽
JP2008291498A (ja) 貯留浸透システム
KR20150138771A (ko) 이중벽체형 저수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404001B1 (ko)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JP6106136B2 (ja) 浸透システム
KR101030605B1 (ko) 혼합형 빗물 저류조
JP2011006857A (ja) 排水を一時的に貯留するとともに地下浸透させるための構築物
KR20090105254A (ko) 일체형 침투 집수정
KR101564767B1 (ko) 비점오염원 저감형 조립식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기능을 갖는 저류조 시공 방법
KR100752402B1 (ko)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모듈
KR20190053752A (ko) 조립식 지표수 침투집수정
JP2009270319A (ja) 雨水桝の施工構造
KR100658971B1 (ko)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JP2003113625A (ja) 雨水貯水用タンク
KR101524682B1 (ko) 탈부착형 거름망을 구비한 맨홀과 gmt 소재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JP4092284B2 (ja) 雨水地下浸透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101198719B1 (ko) 빗물저류조
JPS6243023Y2 (ko)
KR101528834B1 (ko) 탈부착형 거름망을 구비한 맨홀과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KR102448419B1 (ko) 침투식 빗물 저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