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543B1 -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543B1
KR101403543B1 KR1020130056714A KR20130056714A KR101403543B1 KR 101403543 B1 KR101403543 B1 KR 101403543B1 KR 1020130056714 A KR1020130056714 A KR 1020130056714A KR 20130056714 A KR20130056714 A KR 20130056714A KR 101403543 B1 KR101403543 B1 KR 10140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ayer
laminated film
film
laminated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주)삼원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에스티 filed Critical (주)삼원에스티
Priority to KR102013005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구조 및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상부에 배치되어 대상체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은, 이형필름, 이형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베이스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패턴, 및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제1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제2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이형필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을 서로 적층하는 단계;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이형필름을 제거함에 따라 노출되는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TOUCH PANEL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상에 접근하는 대상체의 접촉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터치패널센서는 하부 절연시트(10) 및 상부 절연시트(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접합된다. 하부 절연시트(10) 및 상부 절연시트(2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하부 ITO전극(30)과 상부 ITO전극(40)이 상호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부 ITO전극(30)은 하부 절연시트(10)의 상면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상부 ITO전극(40)은 상부 절연시트(20)의 저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향되어 있다.
상술한 터치패널센서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ITO전극(30) 및 상부 ITO전극(40)의 각 교차지점마다 각 교차지점의 면적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전 용량 즉, 커패시턴스 값이 존재하는데, 신체 일부가 근접하면 상부에 배치된 상부 ITO전극(40)의 면적에 신체 일부의 면적이 더해져 커패시턴스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부 ITO전극(40)과 외부의 회로기판(50)의 전극(5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의 연결선(48)이 상부 ITO전극(40)의 단부로부터 상부 절연시트(2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하부 ITO전극(20) 또한 별도의 연결선에 의해서 회로기판(50)과 연결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공되는 연결선(48)은 금속 광택으로 반짝이며 빛이 통과하지 않아 투명한 상부 절연시트(20)의 상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연결선(48) 및 회로기판(50)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도록 윈도우 데코레이션(65)을 위한 별도의 비투광성 필름을 별도의 유리나 투광성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강화기판(60) 저면에 형성하고, 강화기판(60)을 상부 절연시트(20) 상부에 배치한다. 상술한 종래의 터치패널센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7231호(2011.12.22)에 개시되는 터치패널센서를 참고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강화기판(60)을 상부 절연시트(20) 상부에 더 제공하는 것은, 터치패널센서의 두께 증가를 초래하고, 조립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발생하고, 터치패널센서의 두께 증가는 터치패널센서의 투명도 및 선명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센서의 감도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으며,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부에 배치되어 대상체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은, 이형필름, 이형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베이스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패턴, 및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제1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제2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이형필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을 서로 적층하는 단계;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이형필름을 제거함에 따라 노출되는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적층필름 및 제2적층필름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는, 이형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이형필름의 상면에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베이스층의 상면에 제1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베이스층의 상면에 제1와이어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는, 필름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필름부재의 상면에 제2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필름부재의 상면에 제2와이어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1적층필름 및 제2적층필름 간의 제공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서로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적층필름으로서 상면에 별도로 제2전극패턴 및 제2와이어부재이 형성되지 않은 필름부재만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1적층필름의 상면에 절연층을 형성한 후, 절연층의 상면에 제2전극패턴 및 제2와이어부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르게는 터치패널센서가 단층 전극패턴 구조를 갖도록, 다시 말해서 제1적층필름에만 전극패턴이 형성되고 제2적층필름에는 별도의 전극패턴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층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층은 이형필름의 상면에 액상의 경화제를 도포한 후, 액상의 경화제를 경화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베이스층은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대략 수백㎛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제공된다. 그 이유는 플라스틱 필름 상에 전극패턴을 위한 전극층을 깔고 사진 식각과 같은 패터닝 공정을 통해서 플라스틱 필름 상에 직접 전극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적어도 수백㎛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형필름 상에 베이스층을 형성하고, 베이스층의 상면에 후술할 제1전극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층의 두께가 얇아도 제1전극패턴을 형성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일 예로, 베이스층은 별도의 열 경화처리나 자외선 경화처리가 필요없는 10~30㎛ 두께의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전극패턴 및 제2전극패턴은 도전성 재질이면서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전극패턴 및 제2전극패턴의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전극패턴 및 제2전극패턴은 ITO 또는 IZO, ATO, AZO, 탄소나노튜브, 투명한 유기재질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전극패턴 및 제2전극패턴이 실버 나노 화이버(silver nano fiber)와 같은 금속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금속섬유용액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제1전극패턴은 매우 얇게 형성하더라도 섬유상의 금속섬유가 서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높은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고, 1㎛ 이하의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제1전극패턴 및 제2전극패턴 대신 대략 1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금속메시(metal mesh)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은 이형필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서로 적층될 수 있는 바, 여기서, 이형필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이 적층된다 함은, 이형필름이 최상면에 배치되도록 제1적층필름이 제2적층필름의 상면에 뒤집혀서 적층되거나, 이형필름이 최저면에 배치되도록 제1적층필름이 제2적층필름의 저면에 적층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적층필름은 제1전극패턴이 제2전극패턴을 마주하도록 제2적층필름의 상면에 뒤집혀서 적층될 수 있다.
제1적층필름 및 제2적층필름은 중간접착층을 매개로 적층될 수 있다. 중간접착층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중간접착층은 액상의 접착제(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접착층이 액상의 접착제와 함께 광학접착필름 또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필름 등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을 노출시키는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을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이형필름을 제거됨에 따라 노출되는 베이스층의 저면(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의 최상면)에서부터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베이스층에 제1관통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은 제1관통부를 통해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베이스층이 형성될 시 베이스층에는 제1관통부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이형필름을 제거함에 따라 노출되는 제1관통부를 통해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이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참고로, 베이스층이 형성될 시 베이스층에 제1관통부가 함께 형성된다 함은, 베이스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를 제1관통부 영역을 제외하고 도포 또는 인쇄함으로써, 베이스층이 형성될 시 제1관통부가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제1관통부는 통상의 레이저 가공, 에칭 가공 또는 기계 가공 등에 의해 베이스층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부의 형성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식각 또는 여타 다른 방법에 의해 제1관통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관통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베이스층에는 제2관통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2와이어부재의 일단은 제2관통부를 통해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적층필름 및 제2적층필름을 상호 적층시키기 위한 접착층에는 제2관통부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착층에 관통홀이 형성될 경우에는,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가 각각 베이스층의 두께만큼만 가공되면 되기 때문에,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의 가공 조건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1관통부 및 제2관통부가 각각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될 시, 제1관통부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조건, 및 제2관통부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조건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가공조건이 동일하다 함은, 제1관통부의 가공시 레이저의 출력 및 세기 등과 같은 가공조건이, 제2관통부의 가공시 레이저의 출력 및 세기 등과 같은 가공조건과 서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관통홀은 중간접착층이 형성될 시 접착층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중간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의 접착제를 관통홀 영역을 제외하고 도포 또는 인쇄함으로써, 중간접착층이 형성될 시 관통홀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접착층 상에 별도로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고, 제2관통부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될 시, 제2관통부 뿐만 아니라, 제2관통부와 제2와이어부재의 사이의 접착층 부위(관통홀 영역에 대응)까지 레이저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와이어부재는 제2전극패턴에 비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제2관통부는 제2와이어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관통부(관통홀 영역 포함)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이 매우 정밀하지 않더라도, 제2와이어부재의 두께로 인해 일정 이상의 가공 안정성 및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레이저 가공에 의해 제2와이어부재의 상면 일부가 손상될 가능성도 있으나, 제2와이어부재가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제2와이어부재의 상면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제2와이어부재의 전기적인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의 상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층을 매개로 글라스기판이 적층될 수 있다. 접착층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착층은 액상의 접착제(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켜 제공되거나, 광학접착필름 또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필름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글라스기판을 적층하기 전에 글라스기판의 하부에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글라스기판의 하부에 형성된다 함은,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글라스기판의 저면에 형성되거나,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글라스기판의 저면을 마주하는 베이스층 또는 필름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은, 이형필름, 이형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베이스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패턴, 및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제1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필름부재, 필름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전극패턴, 및 제2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제2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이형필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을 서로 적층하는 단계;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을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적층필름은 제1전극패턴이 필름부재의 저면을 마주하도록 제2적층필름의 저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1적층필름에는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을 덮도록 절연인쇄층을 형성될 수 있다. 절연인쇄층은 레이저 가공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절연인쇄층으로서 다양한 기능성 레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절연인쇄층은 비도전성을 갖는 유색 인쇄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의 저면에서부터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베이스층에 제1관통부를 형성하고,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은 제1관통부를 통해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에서, 베이스층이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부위는 절연인쇄층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베이스층은 절연인쇄층에 대응하여 절연인쇄층이 형성된 영역만큼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2적층필름은 제1적층필름의 상면에 적층되기 때문에, 제2적층필름의 제2전극패턴은 제2적층필름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적층필름 및 제2적층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라스기판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제1적층필름 및 제2적층필름은 글라스기판에 적층되기 전에 글라스기판에 대응되는 크기로 재단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4*4, 5*5, 6*6, 3*4 등의 배열로 제1적층필름 및 제2적층필름을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적층필름 및 제2적층필름의 배열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층, 제1전극패턴 및 제1와이어부재가 제2적층필름 상에 한번에 전사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시간의 단축은 물론 각 구성요소를 한층씩 쌓아 올릴 때 발생할 수 있는 위치 오류에 의한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극패턴을 위한 전극층을 깔고 사진식각 공정과 같은 패터닝 과정을 통해서 플라스틱 필름 상에 직접 전극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의 터치패널센서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적어도 수백 ㎛는 유지되어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이형필름 상에 베이스층을 제공하고, 베이스층 위에 전극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층의 두께가 얇아도 전극패턴을 형성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으며, 베이스층을 보다 얇게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터치패널센서의 두께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감도 향상으로 제품의 상품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이 서로 적층된 거의 완제품 상태로 유통될 수 있으며, 제조업체에서는 간단히 관통부를 형성하고, 회로기판을 연결시키는 공정으로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적층필름 및 제2적층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적층구조물의 외면에 회로기판이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 사이의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장의 글라스기판에 대응하는 적층구조물을 만들어 놓고, 이를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단 과정에서 자연스런 마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마감 처리가 필요 없어 이형필름 상의 베이스층, 적층구조물의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접착층 등과 같은 구성요소의 마감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패널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놓여 대상체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적층필름(100), 제2적층필름(200) 및 글라스기판(400)을 포함한다.
상기 글라스기판(400)은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 또는 터치도구가 직접 터치되는 관계로, 강도가 뛰어나 쉽게 굴절되지 않는 강성 유리 기판을 사용하거나, 투광성을 가지면서 강도가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적층필름(10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이형필름(110), 베이스층(120), 제1전극패턴(130) 및 제1와이어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적층필름(20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필름부재(210), 제2전극패턴(220) 및 제2와이어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적층필름(100)과 제2적층필름(200)은 이형필름(1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이형필름(1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적층필름(100)과 제2적층필름(200)이 적층된다 함은, 상기 이형필름(110)이 최상면에 배치되도록 제1적층필름(100)이 제2적층필름(200)의 상면에 뒤집혀서 적층되거나, 상기 이형필름(110)이 최저면에 배치되도록 제1적층필름(100)이 제2적층필름(200)의 저면에 적층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110)은 제1적층필름(100)과 제2적층필름(200)이 적층된 후,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이형필름(110)이 제거됨에 따라 베이스층(120)의 저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베이스층(120)의 저면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와이어부재(140)의 일단이 베이스층(120)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외부 회로기판(500)은 베이스층(120)의 저면에 장착되어 베이스층(120)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제1와이어부재(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층이 형성될 시 베이스층에는 제1관통부가 함께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형필름을 제거함에 따라 노출되는 제1관통부를 통해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이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부재(230)는 제2적층필름(200)에 대한 제1적층필름(100)의 상하 적층 방식에 따라, 전술한 제1와이어부재(140)와 유사한 방식으로 베이스층(120)의 일부를 제거하여 베이스층(120)의 저면으로 노출되거나, 제2적층필름(20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외부 회로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베이스층(120)의 저면은 제1적층필름(100)이 제2적층필름(200)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적층됨에 따라 제1적층필름(100)과 제2적층필름(200)이 적층된 적층구조물(300)의 최상면 또는 최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기판(400)을 적층하기 전에 글라스기판(400)의 하부에는 윈도우 데코레이션(33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330)이 글라스기판(400)의 하부에 형성된다 함은, 윈도우 데코레이션(330)이 글라스기판(400)의 저면에 형성되거나, 윈도우 데코레이션(330)이 글라스기판(400)의 저면을 마주하는 베이스층(120) 또는 필름부재(2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3은 제1적층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제2적층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의 적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윈도우 데코레이션, 접착층 및 글라스기판을 적층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는, 이형필름(110), 상기 이형필름(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120), 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패턴(130), 및 상기 제1전극패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재(140)를 포함하는 제1적층필름(100)을 제공하는 단계; 제2적층필름(20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형필름(1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적층필름(100)과 제2적층필름(200)을 서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이형필름(110)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필름(110)을 제거함에 따라 노출되는 베이스층(120)의 저면으로 제1와이어부재(140)의 일단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적층필름(200)보다 제1적층필름(100)이 먼저 제공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적층필름(100)보다 제2적층필름(200)이 먼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적층필름(1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적층필름(100)은 이형필름(110), 상기 이형필름(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120), 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패턴(130), 및 상기 제1전극패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적층필름(10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저, 이형필름(110)을 제공하고, 상기 이형필름(110)의 상면에 베이스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110)으로서는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형필름으로서 금속박판이 사용되거나, 일면에 금속코팅이 형성된 합성수지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이형필름(110)의 상면에는 이형점착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점착층(112)은 레이어(layer) 상태로 마련되어 이형필름(110) 상에 그대로 적층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적층 과정에서 기포가 들어가거나 위치가 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이형점착층(112)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의 재료를 이형필름(110) 상에 도포하고, 이형필름(110)을 회전시켜 액상의 재료가 이형필름(110) 상에 고르게 펼쳐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2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층(120)은 이형필름(110)의 상면에 액상의 경화제를 도포 또는 인쇄한 후, 상기 액상의 경화제를 경화시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액상의 경화제가 스핀 코팅 또는 여타 다른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액상의 경화제의 도포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액상의 경화제로서는 통상의 자외선 경화제가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액상의 경화제로서 자외선 경화제 대신 열경화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베이스층이 인쇄, 식각 등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일 예로, 상기 베이스층(120)은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대략 수백㎛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제공된다. 그 이유는 플라스틱 필름 상에 전극패턴을 위한 전극층을 깔고 사진 식각과 같은 패터닝 공정을 통해서 플라스틱 필름 상에 직접 전극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적어도 수백㎛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형필름(110) 상에 베이스층(120)을 형성하고, 베이스층(120)의 상면에 후술할 제1전극패턴(130)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층(120)의 두께가 얇아도 제1전극패턴(130)을 형성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일 예로, 베이스층(120)은 별도의 열 경화처리나 자외선 경화처리가 필요없는 10~30㎛ 두께의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필름으로서는 투광성을 갖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아크릴(acryloy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필름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면에 제1전극패턴(130)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전극패턴(13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전극패턴(130)은 사각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 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전극패턴이 일반적인 라인 형상 혹은 상기 라인의 상부나 하부가 연결되어 둘 이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룹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극패턴(130)은 도전성 재질이면서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전극패턴(130)의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제1전극패턴(130)은 ITO 또는 IZO, ATO, AZO, 탄소나노튜브, 투명한 유기재질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전극패턴(130)이 실버 나노 화이버(silver nano fiber)와 같은 금속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금속섬유용액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제1전극패턴은 매우 얇게 형성하더라도 섬유상의 금속섬유가 서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높은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고, 1㎛ 이하의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제1전극패턴 대신 대략 1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금속메시(metal mesh)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전극패턴(130)은 베이스층(12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제1전극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통상의 에칭 방법에 의해 제1전극층을 소정 형태로 패터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쇄 또는 여타 다른 방식으로 제1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 제1전극패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베이스층(120)의 상면에 제1와이어부재(140)를 형성한다.
상기 제1와이어부재(140)는 실버 페이스트를 이용한 통상의 인쇄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 박막 증착 또는 금속 전극 에칭 공정에 의해 제1와이어부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전극패턴과 제1와이어부재가 각각 별도의 공정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전극패턴과 제1와이어부재가 단일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4와 같이, 제2적층필름(200)을 제공한다. 상기 제2적층필름(200)은 필름부재(210), 상기 필름부재(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전극패턴(220), 및 상기 제2전극패턴(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와이어부재(23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210)로서는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부재(210)의 상면에는 제2전극패턴(220) 및 제2와이어부재(2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패턴(220) 및 제2와이어부재(230)는 전술한 제1전극패턴(130) 및 제1와이어부재(1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필름부재(2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5와 같이, 상기 이형필름(1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적층필름(100)과 상기 제2적층필름(200)을 서로 적층한다. 일 예로, 상기 제1적층필름(100)은 제1전극패턴(130)이 제2전극패턴(220)을 마주하도록 제2적층필름(200)의 상면에 뒤집혀서 적층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적층필름(100) 및 제2적층필름(200)은 중간접착층(310)을 매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중간접착층(31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간접착층(310)은 액상의 접착제(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접착층이 액상의 접착제와 함께 광학접착필름 또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필름 등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6과 같이, 상기 제1적층필름(100)으로부터 이형필름(110)을 제거한다. 상기 이형필름(110)을 제거함으로써 베이스층(120)의 저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 도 7과 같이, 상기 베이스층(120)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와이어부재(140)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층(120)의 저면으로 노출시킨다. 일 예로, 이형필름(110)을 제거됨에 따라 노출되는 베이스층(120)의 저면(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200)이 적층된 적층구조물(300)의 최상면)에서부터 베이스층(120)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베이스층(120)에 제1관통부(12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와이어부재(140)의 일단은 제1관통부(121)를 통해 베이스층(120)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부(121)는 통상의 레이저 가공, 에칭 가공 또는 기계 가공 등에 의해 베이스층(120)에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부(121)의 형성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식각 또는 여타 다른 방법에 의해 제1관통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제1관통부(121)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베이스층(120)의 저면에서부터 베이스층(120)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베이스층(120)에 제2관통부(12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와이어부재(230)의 일단은 제2관통부(122)를 통해 상기 베이스층(120)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20)에 제1관통부(121) 및 제2관통부(122)를 형성함으로써, 제1와이어부재(140) 및 제2와이어부재(230)의 각 일단이 베이스층(120)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그 후 베이스층(120)의 저면에 부착되는 외부의 회로기판(500)과 제1와이어부재(140) 및 제2와이어부재(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외부의 회로기판(500)은 통상의 ACF 본딩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외부의 회로기판(500)의 부착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의 내부 공간에 도전성 물질을 충진한 후, 외부로 회로기판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적층필름(100) 및 제2적층필름(200)을 상호 적층시키기 위한 중간접착층(310)에는 제2관통부(122)에 대응하는 관통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간접착층(310)에 관통홀(312)이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제1관통부(121) 및 제2관통부(122)가 각각 베이스층(120)의 두께만큼만 가공되면 되기 때문에, 제1관통부(121) 및 제2관통부(122)의 가공 조건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관통부(121) 및 제2관통부(122)가 각각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될 시, 상기 제1관통부(121)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조건 및 상기 제2관통부(122)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조건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가공조건이 동일하다 함은, 상기 제1관통부(121)의 가공시 레이저의 출력 및 세기 등과 같은 가공조건이, 제2관통부(122)의 가공시 레이저의 출력 및 세기 등과 같은 가공조건과 서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12)은 중간접착층(310)이 형성될 시 중간접착층(310)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중간접착층(310)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의 접착제를 관통홀(312) 영역을 제외하고 도포함으로써, 중간접착층(310)이 형성될 시 관통홀(312)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간접착층에 제2관통부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접착층 상에 별도로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고, 제2관통부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될 시, 제2관통부 뿐만 아니라, 제2관통부와 제2와이어부재의 사이의 중간접착층 부위(관통홀 영역에 대응)까지 레이저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와이어부재(230)는 제2전극패턴(220)에 비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관통부(122)는 제2와이어부재(230)의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관통부(122)(관통홀 영역 포함)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이 매우 정밀하지 않더라도, 제2와이어부재(230)의 두께로 인해 일정 이상의 가공 안정성 및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레이저 가공에 의해 제2와이어부재(230)의 상면 일부가 손상될 가능성도 있으나, 제2와이어부재(230)가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제2와이어부재(230)의 상면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제2와이어부재(230)의 전기적인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그 후, 도 8과 같이, 상기 제1적층필름(100)과 제2적층필름(200)이 적층된 적층구조물(300)의 상면에는 접착층(3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320)을 매개로 글라스기판(40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2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착층(320)은 액상의 접착제(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켜 제공되거나, 광학접착필름 또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필름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글라스기판(400)을 적층하기 전에 글라스기판(400)의 하부에는 윈도우 데코레이션(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글라스기판(400)의 저면에는 윈도우 데코레이션(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330)은 그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하지 못한 구성요소, 예를 들어, 터치패널센서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부재(140), 제2와이어부재(230), 및 회로기판(500)을 가리는 용도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통상의 인쇄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글라스기판을 마주하는 베이스층의 저면(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의 최상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0 및 도 11은 제1적층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2적층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의 적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은 윈도우 데코레이션, 접착층 및 글라스기판을 적층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적층필름이 제2적층필름의 상면에 뒤집혀서 적층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적층필름이 제2적층필름의 저면에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은, 이형필름(1110), 상기 이형필름(1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1120), 상기 베이스층(1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패턴(1130), 및 상기 제1전극패턴(1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재(1140)를 포함하는 제1적층필름(1100)을 제공하는 단계; 제2적층필름(120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형필름(11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적층필름(1100)과 제2적층필름(1200)을 서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이형필름(1110)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필름(1110)을 제거함에 따라 노출되는 베이스층(1120)의 저면으로 제1와이어부재(1140)의 일단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적층필름(1100)은 제1전극패턴(1130)이 필름부재(1210)의 저면을 마주하도록 제2적층필름(1200)의 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제1적층필름(1100)을 제공한다. 상기 제1적층필름(1100)은 이형필름(1110), 상기 이형필름(1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1120), 상기 베이스층(1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패턴(1130), 및 상기 제1전극패턴(1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재(114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적층필름(1100)에는 제1와이어부재(1140)의 일단을 덮도록 절연인쇄층(1150)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인쇄층(1150)은 레이저 가공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절연인쇄층(1150)으로서 다양한 기능성 레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절연인쇄층(1150)은 비도전성을 갖는 유색 인쇄(예를 들어, 블랙 인쇄)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와이어부재(1140)의 일단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12와 같이, 제2적층필름(1200)을 제공한다. 상기 제2적층필름(1200)은 필름부재(1210), 상기 필름부재(1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전극패턴(1220), 및 상기 제2전극패턴(1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와이어부재(123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도 13과 같이, 상기 제1적층필름(1100)과 제2적층필름(1200)을 적층한다. 이때, 상기 제1적층필름(1100)은 제1전극패턴(1130)이 필름부재(1210)의 저면을 마주하도록 제2적층필름(1200)의 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다음, 도 14과 같이, 상기 제1적층필름(1100)으로부터 이형필름(1110)을 제거한다. 상기 이형필름(1110)을 제거함으로써 베이스층(1120)의 저면은 제1적층필름(1100) 및 제2적층필름(1200)이 적층된 적층구조물(1300)의 최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 도 15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1120)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와이어부재(1140)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층(1120)의 저면으로 노출시킨다. 일 예로, 이형필름(1110)을 제거됨에 따라 노출되는 베이스층(1120)의 저면(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의 최저면)에서부터 베이스층(1120)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베이스층(1120)에 제1관통부(112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와이어부재(1140)의 일단은 제1관통부(1121)를 통해 베이스층(1120)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층(1120)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층(1120)이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부위는 절연인쇄층(1150)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층(1120)은 절연인쇄층(1150)에 대응하여 절연인쇄층(1150)이 형성된 영역만큼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적층필름(1200)은 제1적층필름(1100)의 상면에 적층되기 때문에, 상기 제2적층필름(1200)의 제2전극패턴(1220)은 제2적층필름(1200)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 도 16과 같이, 적층구조물(1300)의 상면 및 저면에 부착되는 외부로 회로기판(1500)과 제1와이어부재(1140) 및 제2와이어부재(1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적층구조물(1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착층(1320)을 매개로 글라스기판(1400)이 적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글라스기판(1400)이 적층되기 전에 글라스기판(1400)의 저면에는 윈도우 데코레이션(1330)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도 9 내지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제1적층필름에 트랜스미터 전극(transmitter line)이 형성되고, 제2적층필름에 리시버 전극(receiver line)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적층필름에 리시버 전극을 형성하고, 제2적층필름에 트랜스미터 전극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적층필름에 리시버 전극이 형성된 구조에서는,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리시버 전극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적층필름과 제2적층필름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의 저면에 글라스기판이 적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적층필름(도 2의 100 참조) 및 제2적층필름(도 2의 200 참조)이 적층된 적층구조물(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라스기판(도 2의 400 참조)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적층구조물(300')은 글라스기판에 적층되기 전에 글라스기판에 대응되는 크기로 재단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4*4, 5*5, 6*6, 3*4 등의 배열로 적층구조물(300)을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적층구조물(300')의 배열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1적층필름 110 : 이형필름
120 : 베이스층 130 : 제1전극패턴
140 : 제1와이어부재 200 : 제2적층필름
210 : 필름부재 220 : 제2전극패턴
230 : 제2와이어부재 300 : 적층구조물
310 : 중간접착층 320 : 접착층
330 : 윈도우 데코레이션 400 : 글라스기판
500 : 회로기판

Claims (27)

  1. 디스플레이 상부에 배치되어 대상체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정전식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균일한 두께의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면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대상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전극패턴, 및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제1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제2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형필름이 상기 베이스층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형필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간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제1적층필름과 상기 제2적층필름을 서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적층필름과 상기 제2적층필름이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상기 베이스층, 상기 제1전극패턴 및 상기 제1와이어부재를 모두 한번에 상기 제2적층필름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베이스층의 노출되는 저면에서부터 상기 제1와이어부재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층 영역을 레이저로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층을 상기 레이저로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전에는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상기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의 배치 상태가 상기 베이스층에 의해 유지되지만, 상기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층 영역을 상기 레이저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에는 상기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의 배치 상태가 상기 중간접착층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적층필름은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며 대상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2전극패턴, 및 상기 제2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필름은 상기 제1전극패턴이 상기 제2전극패턴을 마주하도록 상기 제2적층필름의 상면에 뒤집혀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베이스층에 제1관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베이스층에 제2관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와이어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2관통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필름 및 상기 제2적층필름은 중간접착층을 매개로 적층되고,
    상기 중간접착층에는 상기 제2관통부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 및 상기 제2관통부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부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조건 및 상기 제2관통부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조건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필름은 상기 제1전극패턴이 상기 제2적층필름의 저면을 마주하도록 상기 제2적층필름의 저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베이스층에 제1관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2전극패턴은 상기 제2적층필름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에는 제1관통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은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함에 따라 노출되는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필름과 상기 제2적층필름을 서로 적층하기 전에,
    상기 제1와이어부재의 일단을 덮도록 절연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인쇄층은 유색 인쇄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절연인쇄층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하여 제거되며,
    상기 베이스층이 제거된 부위에는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필름과 상기 제2적층필름을 서로 적층한 후, 글라스기판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기판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글라스기판의 하부에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필름과 상기 제2적층필름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글라스기판에 대응되게 제공되며, 상기 적층구조물은 상기 글라스기판에 적층되기 전에 상기 글라스기판에 대응되게 재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기판은 접착층을 매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액상의 접착제를 경화시켜 제공되거나,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20. 삭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액상의 경화제를 상기 이형필름 상에 도포한 후, 상기 액상의 경화제를 경화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23. 삭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접착층은 액상의 접착제를 경화시켜 제공되거나,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패턴 및 상기 제2전극패턴은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금속섬유 및 금속메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형필름의 상면에 상기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상기 제1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상기 제1와이어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27. 삭제
KR1020130056714A 2013-05-20 2013-05-20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03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714A KR101403543B1 (ko) 2013-05-20 2013-05-20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714A KR101403543B1 (ko) 2013-05-20 2013-05-20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495A Division KR20140136370A (ko) 2014-02-24 2014-02-24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1494A Division KR20140136369A (ko) 2014-02-24 2014-02-24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543B1 true KR101403543B1 (ko) 2014-06-03

Family

ID=5113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714A KR101403543B1 (ko) 2013-05-20 2013-05-20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5112B2 (en) 2014-07-30 2018-05-08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014A (ko) * 2005-01-24 2007-10-31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의 리드선 접속 방법
KR20100109233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잉크테크 박막 금속적층필름의 제조방법
KR20120018059A (ko) * 2010-08-20 2012-02-29 미래나노텍(주)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014A (ko) * 2005-01-24 2007-10-31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의 리드선 접속 방법
KR20100109233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잉크테크 박막 금속적층필름의 제조방법
KR20120018059A (ko) * 2010-08-20 2012-02-29 미래나노텍(주)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5112B2 (en) 2014-07-30 2018-05-08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US10437403B2 (en) 2014-07-30 2019-10-08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456B1 (ko)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05589592B (zh) 指纹辨识装置
KR101510580B1 (ko)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 제조 방법, 및 도전성 필름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KR101433827B1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KR101665906B1 (ko)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 제조 방법, 및 도전성 필름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KR10136596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403543B1 (ko)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13637B1 (ko)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254094B1 (ko)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KR20150068617A (ko) 터치패널센서용 적층필름
KR20120039884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43411B1 (ko)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173B1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KR20140136369A (ko)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6370A (ko)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0573A (ko)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9494A (ko)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47592B1 (ko) 터치패널센서를 위한 적층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 구조체
KR101518000B1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KR101397169B1 (ko) 투명 윈도우 제조방법 및 투명 윈도우
KR101562960B1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KR20150031993A (ko)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569846B1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KR101414732B1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KR101518001B1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