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690B1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690B1
KR101396690B1 KR1020127016431A KR20127016431A KR101396690B1 KR 101396690 B1 KR101396690 B1 KR 101396690B1 KR 1020127016431 A KR1020127016431 A KR 1020127016431A KR 20127016431 A KR20127016431 A KR 20127016431A KR 101396690 B1 KR101396690 B1 KR 10139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ignal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734A (ko
Inventor
타케시 히라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회로 기판이나 감합 상대의 전기 커넥터를 생략함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매우 간단하고 쉬운 것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제품 케이스(MF)의 벽부에 대해서 단체의 플러그 커넥터(10)가 직접적으로 감합되게 되어 있고, 그 단체의 플러그 커넥터(10)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감합 구멍(MFa)의 내주 벽부에 노출하고 있는 배선 패턴(CP)의 접점부에 콘택트(12)의 접점부가 접촉되기 때문에,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회로 기판이나, 그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감합 상대로 되는 전기 커넥터를 개재하는 일 없이, 신호 전송 매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행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를 배선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등의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이나 플렉서블(flexible) 배선 기판, 혹은 인쇄 배선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전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인쇄 배선 기판측에 접속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 참조). 전기 커넥터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소정의 배선 패턴(회로)에 접속하는 것이지만, 통상은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나 있듯이, 제품 케이스(1)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 기판(2)에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3)를 실장해 두고, 그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해서 세선 동축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4)의 단말 부분을 연결한 플러그 커넥터(5)를 감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때에 이용되고 있는 전기 커넥터(3, 5)의 기능은 신호선을 통해 필요한 정보 신호의 전송을 행함과 아울러, 쉴드선(shield line)을 통해 접지용의 쉴드 신호를 그라운드(ground) 회로에 접속시키는 것이다.
한편, 근년이 되어 전자기기 등의 소형화·박형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고, 이에 수반하여 전기 커넥터의 저배화(低背化) 및 저비용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전기 커넥터(3, 5)의 구성을 간이화 하는 것이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를 생략하기 위해서 제품 케이스(1) 상의 도전로에 플러그 커넥터(5)의 접속 다리부를 직접 납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제품 케이스(1)는 수지 성형 재료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낮고 제품 케이스에 직접 납땜이나 전자 부품의 실장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어떤 전기 커넥터도 배선 패턴을 가지는 인쇄 배선 기판(2)에 일방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3)를 실장하고, 타방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5)를 감합 상태로 한다고 하는 기본적인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고, 그러한 기본적인 구성의 제약 때문에 대폭적인 저배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은 어려워지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1-4393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324636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에 의해 저배화 및 저비용화를 큰 폭으로 도모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소정의 전자 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품 케이스의 벽부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에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선 패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부를 가지는 콘택트가 금속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에 덮인 절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콘택트가 신호를 전송하는 시그널 콘택트와 상기 시그널 콘택트의 양측에 배치된 접지용의 그라운드 콘택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이, 상기 제품 케이스의 벽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감합 구멍 내에 삽입되어 감합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배선 패턴에, 상기 감합 구멍의 내주 벽면에 노출하는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시그널 콘택트 및 그라운드 콘택트의 접점부는, 상기 절연 하우징이 상기 감합 구멍에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의 접점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 쉘에, 상기 감합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계합하는 잠금부 및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잠금부 및 그라운드 콘택트가 상기 시그널 콘택트의 접점부보다 상기 절연 하우징의 삽입 감합 방향으로 연출(延出)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연재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소정의 전자 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벽부의 표면 상에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제품 케이스와, 상술한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품 케이스의 벽부에 대해서 단체(單體)의 커넥터가 직접적으로 감합되게 되어 있고, 그 단체의 커넥터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감합 구멍의 내주 벽부에 노출하고 있는 배선 패턴의 접점부에 콘택트의 접점부가 접촉된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회로 기판이나, 그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감합 상대로 되는 전기 커넥터를 개재하는 일 없이, 신호 전송 매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행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기 커넥터가 제품 케이스에 감합 될 때에, 그라운드 콘택트의 쪽이 시그널 콘택트보다도 먼저 배선 패턴에 접촉하게 되어, 그라운드 회로를 보호 회로로서 작용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감합 구멍이, 상기 제품 케이스의 벽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감합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계합하는 잠금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콘택트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콘택트의 접점부가, 그 근방에 배치된 잠금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콘택트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연재(延在)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잠금부의 보유력이, 신호 전송 매체의 연재 방향을 따라 장척상(長尺狀)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신호 전송 매체를 들어 올려 치켜세우는 것 같은 부하에 대한 보유성이 높여져 커넥터의 감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콘택트는, 신호를 전송하는 시그널 콘택트와, 이 시그널(signal) 콘택트의 양측에 배치된 접지용의 그라운드 콘택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시그널 콘택트의 양측에 그라운드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그널 콘택트에 대한 임피던스(impedance) 등의 조정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이상 말한 것처럼 본 발명은, 제품 케이스의 벽부에 대해서 단체(單體)의 커넥터가 직접적으로 감합되게 되어 있고, 그 단체의 커넥터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감합 구멍의 내주 벽부에 노출하고 있는 배선 패턴의 접점부에 콘택트의 접점부가 접촉되기 때문에,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회로 기판이나, 그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감합 상대로 되는 전기 커넥터를 개재하는 일 없이, 신호 전송 매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행해지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회로 기판이나 감합 상대의 전기 커넥터 등을 생략함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매우 간단하고 쉬운 것으로 할 수가 있고, 전기 커넥터의 저배화 및 저비용화를 큰 폭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작업의 도중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 구멍에 감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하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V-V선을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 중의 VI-VI선을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도 6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도전성 쉘의 단체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도 6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을 세트(set)한 상태를 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도 6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을 세트한 후에 도전성 쉘의 뚜껑부를 절곡하여 씌운 상태를 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일반의 전기 커넥터에 의한 접속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 신호 전송 매체로서 세선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제품 케이스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감합하도록 구성된 수직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행한다.
즉, 도 1~도 6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커넥터(10)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소정의 전자 회로를 가지는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를 구성하고 있는 제품 케이스 MF의 벽부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도전로) CP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제품 케이스 MF를 구성하고 있는 벽부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는 안테나나 여러 가지의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선 패턴 CP가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품 케이스 MF의 벽부에는, 당해 제품 케이스 MF의 벽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감합 구멍 MF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제품 케이스 MF의 벽부에 설치된 감합 구멍 MFa에 플러그 커넥터(10)가 감합되게 되어 있다. 그 플러그 커넥터(10)에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후술하듯이 하여 연결되어 있고, 당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가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10)가, 우선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하여 상기 감합 구멍 MFa의 상방에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상방측에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10)가, 상기 제품 케이스 MF의 벽부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강되어 가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감합 구멍 MF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감합된다.
이와 같이 제품 케이스 MF의 감합 구멍 MFa에 플러그 커넥터(10)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배선 패턴 CP에 접속되게 되어 있지만, 이하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를 삽입하는 방향을 하방향으로 하고, 이와는 반대로 플러그 커넥터(10)를 발출하는 발거 방향을 상방향으로 한다.
이 때에 상술한 것처럼 제품 케이스 MF의 벽부에 형성된 감합 구멍 MFa는,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각공(角孔)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감합 구멍 MFa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일단연부(一端緣部)로부터, 상술한 배선 패턴 CP의 신호 도전로 CPa의 단말부가 연출(延出)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이 배선 패턴 CP의 신호 도전로 CPa가 연출하고 있는 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감합 구멍 MFa의 일단연부를 「전단연부(前端緣部)」라고 한다. 또, 그 감합 구멍 MFa의 일단연부(전단연부)에 인접하는 양측 연부로부터는 상기 배선 패턴 CP의 그라운드 도전로 CPb가 상기 신호 도전로의 양측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선 패턴 CP의 신호 도전로 CPa, 및 그라운드 도전로 CPb는 상기 감합 구멍 MFa의 내주 벽면에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내주 벽면에의 노출 부분이 접점부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감합 구멍 MFa의 일단연부(전단연부)에는 구멍 내를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 MFb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 MFb를 위치 결정으로 하여 당해 감합 구멍 MFa의 내부에 플러그 커넥터(10)가 삽입되게 되어 있다. 이 감합 구멍 MFa의 전단연부에 설치된 돌기부 MFb의 돌출 단면에는 상술한 배선 패턴 CP의 신호 도전로 CPa의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10)는, 전술한 것처럼 감합 구멍 MFa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감합되는 수직 감합형 커넥터로서 구성된 것이지만, 그 플러그 커넥터(10)에는 신호 전송 매체의 일례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이하, 이 플러그 커넥터(10)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 SC가 연결되는 측의 단연부를 「후단연부(後端緣部)」라고 부르고, 이와 반대측의 단연부를 「전단연부(前端緣部)」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전단연부는, 상술한 감합 구멍 MFa의 전단연부와 위치 맞춤되는 것이고, 당해 감합 구멍 MFa의 전단연부와 반대측의 단연부를 「후단연부」라고 한다. 또, 그러한 후단연부 및 전단연부를 향하는 각각의 방향을 「후방」및 「전방」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은, 외주 피복재가 벗겨짐으로써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 및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가 동축상을 이루도록 노출되어 있고, 당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중심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된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된 신호용 도전 단자(시그널 콘택트)(12)에 접속됨으로써 신호 회로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외부 도체 SCb가 후술하는 도전성 쉘(shell)(14)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에 접속됨으로써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은, 상술한 것처럼 세선 동축 케이블 SC, 신호용 도전 단자(시그널 콘택트)(12) 및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를 보유하는 절연 본체부(11a)를 가지고 있다. 이 절연 본체부(11a)는 감합 상대인 제품 케이스 MF측의 감합 구멍 MFa의 내부에 대해서 당해 절연 본체부(11a)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절연 본체부(11a)의 삽입측인 최하단 부분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삽입 안내부(11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절연 본체부(11a)의 외측 표면은 박판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14)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도전성 쉘(14)은, 특히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절연 본체부(11a)의 외주측면을 환상으로 덮는 쉘 본체부(14a)와, 절연 본체부(11a)의 상면부를 덮는 쉘 뚜껑부(14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의 쉘 본체부(14a)의 후단 부분에는 횡단면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는 케이블 지지부(14c)가 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케이블 지지부(14c)의 내벽면에 대해서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되어 받아들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쉘(14)의 쉘 뚜껑부(14b)는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연결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그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쉘 뚜껑부(14b)는 상술한 케이블 지지부(14c)의 반대측, 즉 쉘 본체부(14a)의 전단부분에, 세폭의 연결판(14d)를 통해 대략 연직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연결판(14d)의 내표면측에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상방으로 일어서는 절연 압압판(11c)이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 같은 도전성 쉘(14)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도 9와 같이 케이블 지지부(14c)에 받아들여지도록 재치되어 세트된 후,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하여 연결판(14d)이 상기 절연 압압판(11c)과 함께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도전성 쉘(14)의 쉘 뚜껑부(14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회동하도록 넘어뜨려진다. 이에 의해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가 쉘 뚜껑부(14b)에 의해 상방측으로부터 덮여 도전성 쉘(14)이 폐색 상태로 된다.
이 때의 쉘 뚜껑부(14b)는 쉘 본체부(14a)의 외주면을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씌워져 있음과 아울러, 상술한 케이블 지지부(14c) 및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그 쉘 뚜껑부(14b)에는 케이블 지지부(14c) 및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상당하는 위치에 제1 보유부(14e) 및 제2 보유부(14f)가 횡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보유부(14e) 및 제2 보유부(14f)는 횡단면 「コ」자 형상에 있어서의 개방측 부분이 케이블 지지부(14c) 및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것처럼 쉘 뚜껑부(14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넘어뜨려졌을 때에, 케이블 지지부(14c) 및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종단면 「コ」자 형상으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보유부(14e) 및 제2 보유부(14f)의 개방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 판상 부재의 선단 부분이, 도 10의 화살표 A로 나타나 있듯이 하여 내방측으로 절곡되고, 코킹(caulking)이 이루어짐으로써 고정 상태로 됨으로써 케이블 외부 도체 SCb가 케이블 지지부(14c)와 제1 보유부(14e)에 접촉함으로써 도전성 쉘(14)에 의한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게 된다.
또, 전술한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는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전성 쉘(14)의 쉘 본체부(14a)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사이에 둔 양측에는 쉘 본체부(14a)의 상단연 부분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 쉘 본체부(14a)의 상단연 부분의 일부가 절연 하우징(11)측인 커넥터 내방측을 향해 절곡된 후에 하방을 향해 캔틸레버(cantilever) 빔 모양을 이루도록 연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쉘 본체부(14a)의 상단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출하는 캔틸레버 빔 모양 부분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삼체로 분리된 상태로 인접하여 연재하고 있고, 그 인접 방향(전후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캔틸레버 빔 모양 부분이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캔틸레버 빔 모양 부분이 커넥터 계지판(15)으로 되어 있다.
이들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 및 커넥터 계지판(15)은 전술한 제품 케이스 MF의 감합 구멍 MFa의 내방을 향해 삽입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중의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의 하단 부분에는 외방측을 향해 장출(張出)하도록 대략 「く」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접점부(1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의 접점부(13a)는 상기 감합 구멍 MFa의 내주 벽면에 노출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전로 CPb의 접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의 캔틸레버 빔 모양 구조에 의한 탄성 변위 작용에 의해 양쪽 접점부끼리가 압접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 계지판(15)은 상술한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를 따르도록 하여 하방을 향해 연재하고 있지만, 그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를 전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하여 한 쌍의 커넥터 계지판(15, 15)이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커넥터 계지판(15)의 하단 부분은 상기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의 접점부(13a)보다도 더 하방으로 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커넥터 계지판(15)의 하단 부분에 외방측으로 장출하도록 하여 대략 「く」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잠금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 계지판(15)에 설치된 잠금부(15a)는 상기 감합 구멍 MFa의 하단측 개구부로부터 더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잠금부(15a)의 외방측으로 장출되어 있는 경사면부가 상기 감합 구멍 MFa의 개구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커넥터 계지판(15)의 캔틸레버 빔 모양 구조에 의한 탄성 변위 작용에 의해 양쪽 접점부끼리가 압접됨으로써 고정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가 제품 케이스 MF에 감합되어 감합이 완료할 때에는 커넥터 계지판(15)에 설치된 잠금부(15a)에 의해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이 때에 상술한 한 쌍의 커넥터 계지판(15, 15)의 잠금부(15a, 15a)끼리는 하단 부분에 있어서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 부분이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연재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잠금부(15a, 15a)끼리가 연결된 구성에 의해 한 쌍의 커넥터 계지판(15, 15)가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주위를 둘러싸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들 한 쌍의 커넥터 계지판(15, 15) 및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가 1매의 판상 부재로부터 잘라내도록 하여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 커넥터 계지판(15)의 잠금부(15a)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제품 케이스 MF에 감합될 때에 상기 감합 구멍 MFa의 내주 벽면에 노출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전로 CPb에 접촉되기 때문에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의 쪽이 신호용 도전 단자(12)보다도 먼저 배선 패턴 CP에 접촉함으로써 그라운드 회로를 보호 회로로서 작용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용 도전 단자(시그널 콘택트)(12)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에 압입 또는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지만, 당해 신호용 도전 단자(12)의 양측에 상술한 접지용의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 13)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의 신호용 도전 단자(시그널 콘택트)(12)는, 특히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에 접속되는 케이블 협지부(挾持部)(12a)와, 이 케이블 협지부(12a)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만곡 형상으로 연출하여 배선 패턴 CP의 신호 도전로 CPa에 접촉하는 탄성 스프링부(12b)를 가지고 있다.
이 중의 케이블 협지부(12a)는 측면시에 있어서 대략 U자형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클립(clip) 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하로부터 클립 모양으로 끼우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협지부(12a)를 구성하고 있는 상측 빔부(beam portion)(12c)의 도중 부분에는 상기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방측으로부터 압압하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상측 빔부(12c)에 설치된 오목부와 케이블 중심 도체 SCa를 끼워 하방측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절연 하우징(11)과의 계지를 행하기 위한 계지 고정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 그 계지 고정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신호용 도전 단자(12)는 뻗어 설치되고 나서, 하방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기 계지 고정부의 위치 정도까지 전방측으로 뻗고 나서, 하방측으로 굽혀져 탄성 스프링부(12b)로 뻗어 있다.
또한, 이 케이블 협지부(12a)의 상측 빔부(12c)는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연결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7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그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상측 빔부(12c)는 비스듬한 상방을 향해 일어서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도 9와 같이 케이블 지지부(14c) 상에 재치되어 세트된 상태로부터,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하여 도전성 쉘(14)의 쉘 뚜껑부(14b)가 절연 압압판(11c)과 함께 대략 수평 상태까지 회동하도록 넘어뜨려지면, 당해 케이블 협지부(12a)의 상측 빔부(12c)가 절연 압압판(11c)에 의해 대략 수평 상태까지 넘어뜨려져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방측으로부터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신호용 도전 단자(시그널 콘택트)(12)의 탄성 스프링부(12b)는 상술한 케이블 협지부(12a)로부터 절연 본체부(11a)의 내부를 일단 하방으로 연출한 후에, 다시 상방을 향해 캔틸레버 빔 모양을 이루도록 일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 스프링부(12b)의 상방 일어섬 부분의 도중 위치에 전술한 감합 구멍 MFa의 돌기부 MFb에 설치된 신호 도전로 CPa의 접점부에 접촉하는 접점부(12d)가 전방을 향해 장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부(12d)는 상술한 캔틸레버 빔 모양을 이루는 탄성 스프링부(12b)의 탄성 변위 작용에 의해 신호 도전로 CPa의 접점부에 대해서 압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품 케이스 MF의 벽부에 대해서 단체의 플러그 커넥터(10)가 직접적으로 감합되게 되어 있고, 그 단체의 플러그 커넥터(10)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감합 구멍 MFa의 내주 벽부에 노출하고 있는 배선 패턴 CP의 신호 도전로 CPa 및 그라운드 도전로 CPb의 각 접점부에 대해서, 신호용 도전 단자(시그널 콘택트)(12) 및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접점부(12d, 13a)가 접촉된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회로 기판이나, 그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감합 상대로 되는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개재하는 일 없이, 신호 전송 매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행해지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를 따르도록 하여 커넥터 계지판(15)이 연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의 접점부(13a)가 그 근방에 배치된 커넥터 계지판(1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되어,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13)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 계지판(15)에 설치된 잠금부(15a)가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연재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잠금부(15a)의 보유력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연재 방향을 따라 장척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들어 올려 치켜세우는 것 같은 부하에 대한 보유성이 높여져 플러그 커넥터(10)의 감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용 도전 단자(시그널 콘택트)(12)의 양측에 접지용의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 13)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용 도전 단자(12)에 대한 임피던스 조정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된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품 케이스 MF의 벽부의 표면 상에 형성된 감합 구멍 MFa가 각공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평면 대략 원형 모양의 환공(丸孔) 등의 각종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제품 케이스 MF의 벽부를 관통하지 않는 구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커넥터 계지판(15)의 잠금부(15a)와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15a)를 그라운드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당해 잠금부(15a)와 감합 구멍 MFa의 내벽면과의 접촉 위치에도 그라운드 도전로를 설치함으로써 그라운드 회로를 증가시킬 수가 있어 EMI 효과나 전송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는 수직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수평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단체의 세선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는 일이 없이 다극 형상으로 배치된 세선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나, 세선 동축 케이블과 절연 케이블이 복수 혼합된 형태의 전기 커넥터나 플렉서블 배선 기판 등이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플러그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1a 절연 본체부 11b 삽입 안내부
11c 절연 압압판
12 신호용 도전 단자(시그널 콘택트)
12a 케이블 협지부 12b 탄성 스프링부
12c 상측 빔부 12d 접점부
13 그라운드용 도전 단자(그라운드 콘택트)
13a 접점부
14 도전성 쉘
14a 쉘 본체부 14b 쉘 뚜껑부
14c 케이블 지지부 14d 연결판
14e 제1 보유부 14f 제2 보유부
15 커넥터 계지판 15a 잠금부
SC 세선 동축 케이블(신호 전송 매체)
SCa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b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MF 제품 케이스
MFa 감합 구멍 MFb 돌기부
CP 배선 패턴
CPa 신호 도전로 CPb 그라운드 도전로

Claims (5)

  1. 소정의 전자 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품 케이스의 벽부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에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선 패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부를 가지는 콘택트가 금속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에 덮인 절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콘택트가 신호를 전송하는 시그널 콘택트와 상기 시그널 콘택트의 양측에 배치된 접지용의 그라운드 콘택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이, 상기 제품 케이스의 벽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감합 구멍 내에 삽입되어 감합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배선 패턴에, 상기 감합 구멍의 내주 벽면에 노출하는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시그널 콘택트 및 그라운드 콘택트의 접점부는, 상기 절연 하우징이 상기 감합 구멍에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의 접점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 쉘에, 상기 감합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계합하는 잠금부 및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잠금부 및 그라운드 콘택트가 상기 시그널 콘택트의 접점부보다 상기 절연 하우징의 삽입 감합 방향으로 연출(延出)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연재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소정의 전자 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벽부의 표면 상에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제품 케이스와,
    제1항에 기재의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127016431A 2010-01-13 2010-12-28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396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4741A JP5201153B2 (ja) 2010-01-13 2010-01-13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0-004741 2010-01-13
PCT/JP2010/073784 WO2011086857A1 (ja) 2010-01-13 2010-12-28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734A KR20120086734A (ko) 2012-08-03
KR101396690B1 true KR101396690B1 (ko) 2014-05-16

Family

ID=4430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431A KR101396690B1 (ko) 2010-01-13 2010-12-28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28355B2 (ko)
JP (1) JP5201153B2 (ko)
KR (1) KR101396690B1 (ko)
CN (1) CN102771014B (ko)
TW (1) TWI415335B (ko)
WO (1) WO2011086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810A (ja) * 2011-01-12 2015-02-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88427B2 (ja) * 2011-03-02 2012-12-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22410B2 (ja) * 2011-10-12 2014-06-18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5381780B (zh) 2015-12-07 2017-10-31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一种吸附‑超导磁分离除砷锑的磁性吸附剂及其制备方法
KR102519636B1 (ko) * 2018-02-28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783700A (zh) * 2018-07-31 2020-02-11 铨鼎塑胶股份有限公司 天线设备
WO2021065743A1 (ja) * 2019-10-04 2021-04-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0076A (ja) * 1988-08-25 1990-02-28 Nippon Denso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カプラ接続構造
JPH11288701A (ja) * 1998-04-01 1999-10-19 Mitsumi Electric Co Ltd 電池カバーのロッ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6472A (en) * 1979-12-18 1981-07-14 Tokai Electric Wir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connecting system
JPH0338845Y2 (ko) * 1985-06-26 1991-08-15
JPS625673A (ja) 1985-07-02 1987-01-12 Sanyo Electric Co Ltd 光起電力素子
JPH01142167U (ko) * 1988-03-25 1989-09-28
JPH0686288U (ja) * 1993-05-20 1994-12-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3106282B2 (ja) * 1995-04-13 2000-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1288770A (ja) * 1998-04-02 1999-10-19 Canon Inc コネクタ機能内蔵プリント配線基板
FR2793955B1 (fr) * 1999-05-20 2001-07-13 Radiall Sa Dispositif pour relier electriquement une ligne coaxiale a une carte de circuit imprime
JP3679651B2 (ja) 1999-07-30 2005-08-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L型同軸コネクタ
JP4148339B2 (ja) 2001-04-26 2008-09-10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
DE10310434A1 (de) * 2003-03-11 2004-09-30 Krone Gmbh Verfahren zum HF-Abstimmen einer elektrischen Anordnung sowie eine hierzu geeignete Leiterplatte
JP4860990B2 (ja) * 2005-11-29 201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路接続構造およびプリント回路板
JP2008262897A (ja) * 2007-03-16 2008-10-30 Advics:Kk 端子および端子と基板との接続構造
US7591681B1 (en) * 2008-08-25 2009-09-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ensor connector assembly
US8159810B1 (en) * 2009-03-02 2012-04-17 Direct Brand, Ltd. System for providing selective capacitance to a single phase motor with a bundled capacitor
JP5513952B2 (ja) * 2010-03-26 2014-06-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ホルダ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0076A (ja) * 1988-08-25 1990-02-28 Nippon Denso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カプラ接続構造
JPH11288701A (ja) * 1998-04-01 1999-10-19 Mitsumi Electric Co Ltd 電池カバーの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45684A (en) 2011-12-16
US20130012066A1 (en) 2013-01-10
KR20120086734A (ko) 2012-08-03
JP2011146189A (ja) 2011-07-28
WO2011086857A1 (ja) 2011-07-21
US8628355B2 (en) 2014-01-14
TWI415335B (zh) 2013-11-11
CN102771014B (zh) 2015-01-07
JP5201153B2 (ja) 2013-06-05
CN102771014A (zh)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463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396690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9059543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hell contacting a grounding pad of an internal printed circuit board
JP2006344524A (ja) コネクタ装置
WO2010032342A1 (ja) 電気コネクタ
JP6859998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2008016212A (ja) 電気コネクタ
KR20150018372A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2008123873A (ja) 電気コネクタ
TW201034300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116728U (ja) シールド電気コネクタ
JP511040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065968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6826773B2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2003011935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JP6241597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US6793538B2 (en) Slim modular jack
JP7176659B2 (ja) 電気コネクタ
JP7148009B2 (ja) 電気コネクタ
JP518232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52041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2023009153A (ja) 電気コネクタ
JP2016146251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WO2011015910A2 (zh) 线缆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