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353B1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353B1
KR101396353B1 KR1020070117436A KR20070117436A KR101396353B1 KR 101396353 B1 KR101396353 B1 KR 101396353B1 KR 1020070117436 A KR1020070117436 A KR 1020070117436A KR 20070117436 A KR20070117436 A KR 20070117436A KR 101396353 B1 KR101396353 B1 KR 101396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value
pixel
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803A (ko
Inventor
장순근
곽진표
안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353B1/ko
Priority to US12/283,111 priority patent/US8233736B2/en
Priority to GB0817072.2A priority patent/GB2454770B/en
Priority to CN2008101706149A priority patent/CN101437101B/zh
Publication of KR2009005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4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 H04N23/684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b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mages sequentially ta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201Motion blur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중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i) 긴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와, 짧은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ii)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1데이터에 따른 제1이미지에서의 피사체와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에서의 피사체가 정합되도록,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1데이터를 수정(warping)하여 제3이미지에 대한 제3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데이터 생성부와, (iii) 상기 제3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제3데이터에 따른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을 W(x,y)라 하고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을 S(x,y)라 할 때,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에 따라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제2데이터 수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는, 상기 데이터 획득부가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의 각 (x,y) 픽셀에 있어서 제2데이터 수정여부를 판단하되, 대응하는, 상기 제3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제3데이터에 따른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 수정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촬영 중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고품질의 이미지를 얻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외부의 진동이나 사용자의 손떨림 등으로부터 유발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이 있을 시, 촬영된 이미지의 선명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낮은 주변 밝기 환경(low ambient light condition) 하에서는 셔터스피드가 느려짐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가 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가 광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려, 촬영된 이미지의 선명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 중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긴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와, 짧은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1데이터에 따른 제1이미지에서의 피사체와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에서의 피사체가 정합되도록,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1데이터를 수정(warping)하여 제3이미지에 대한 제3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3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제3데이터에 따른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을 W(x,y)라 하고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을 S(x,y)라 할 때,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에 따라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제2데이터 수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는, 상기 데이터 획득부가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의 각 (x,y) 픽셀에 있어서 제2데이터 수정여부를 판단하되, 대응하는, 상기 제3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제3데이터에 따른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 수정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수정한 제2이미지의 제2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은, 상기 데이터 획득부가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가로축이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또는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이고 세로축이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인 좌표계에 나타내었을 시 사전설정된 제1그래프의 하부 영역에 속하고, 가로축이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또는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이고 세로축이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인 좌표계에 나타내었을 시 사전설정된 제2그래프의 하부 영역에 속하는 것임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에서의 제1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제2데이터를 수 정하는 소정 조건에서의 제1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에서의 제2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에서의 제2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에서의 제2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지 않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에서의 제2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는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데이터 생성부는, MPEG 또는 H.264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 방법은 긴 노출을 통해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짧은 노출을 통해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c) 제1이미지에서의 피사체와 제2이미지에서의 피사체가 정합되도록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수정(warping)하여 제3이미지에 대한 제3데이터를 만드는 단계; 및 (d)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을 W(x,y)라 하고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을 S(x,y)라 할 때,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에 따라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제2이미지의 각 (x,y) 픽셀에 있어서 수행하되, 대응하는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가 존재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e) 상기 (d) 단계에서 수정된 제2이미지의 제2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에서의 소정 조건은,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가로축이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또는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이고 세로축이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인 좌표계에 나타내었을 시 사전설정된 제1그래프의 하부 영역에 속하고, 가로축이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또는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이고 세로축이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인 좌표계에 나타내었을 시 사전설정된 제2그래프의 하부 영역에 속하는 것임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에서의 제1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에서의 제1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에서의 제2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에서의 제2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에서의 제2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지 않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에서의 제2그래프는, 가로 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는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MPEG 또는 H.264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촬영 중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데이터 획득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획득부(40)는 긴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와, 짧은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데이터 획득부(40)는 예컨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일 수도 있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40)는 후술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일 수도 있다. 한편, 렌즈(10), 조리개(20) 및 촬상소자(30)에서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데이터 획득부(4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렌즈(10), 조리개(20) 및 촬상소자(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를 데이터 획득부라고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획득부(40)를,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 또는 획득하는 구성요소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데이터 획득부(40)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 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제3데이터 생성부(52) 및 제2데이터 수정부(54)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제3데이터 생성부(52) 및 제2데이터 수정부(54) 등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의 구성요소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3데이터 생성부(52) 및 제2데이터 수정부(54)를 구비하면 족하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3데이터 생성부(52) 및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의 구성요소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3데이터 생성부(52) 및 제2데이터 수정부(54)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획득한 긴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1이미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b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획득한 짧은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2이미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c는 제1이미지에서의 피사체와 제2이미지에서의 피사체가 정합되도록 제1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d는 제3이미지(수정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e는 제3이미지(수정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 사이의 다른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촬영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촬영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획득부(40)는, 긴 노출을 통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획득하고, 또한 짧은 노출을 통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한다. 물론 짧은 노출을 통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한 후, 긴 노출을 통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는 등 그 순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긴 노출을 통해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면, 셔터 스피드가 느리기 때문에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가 광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이미지(Im1)의 선명도 가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낮은 주변 밝기 환경(low ambient light condition) 하에서 적정한 밝기의 제1이미지(Im1)를 얻기 위해서는 셔터스피드가 느려질 수밖에 없기에, 제1이미지(Im1)의 선명도가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짧은 노출을 통해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면, 셔터 스피드가 빠르기 때문에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가 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짧아,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선명한 제2이미지(Im2)를 얻게 된다. 그러나 제2이미지(Im2)의 경우 셔터 스피드가 빠르기 때문에, 적정한 밝기의 제2이미지(Im2)를 얻기 위해서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의 감도를 높여야 하므로, 제2이미지(Im2)는 상대적으로 많은 노이즈를 갖게 될 수 있다. 만일 제2이미지(Im2)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시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의 감도를 높이지 않는다면, 셔터 스피드가 빠르기 때문에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가 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짧아, 선명하지만 상대적으로 어두운 제2이미지(Im2)를 얻게 될 수도 있다.
제3데이터 생성부(52)는 데이터 획득부(40)에서 획득한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수정(warping)하여 제3이미지에 대한 제3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 획득부(40)에서 획득한 제1데이터에 따른 제1이미지(Im1)에서의 피사체와 데이터 획득부(40)에서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Im2)에서의 피사체가 정합되도록, 데이터 획득부(40)에서 획득한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수정하여 제3이미지에 대한 제3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는, 데이터 획득부(40)에서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획득할 시와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할 시,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려 제1이미지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와 제2이미지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d에서는 제3이미지(수정된 제1이미지)(Im1')와 제2이미지(Im2) 사이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이미지(Im1')는 제1이미지(Im1)의 수정된 이미지로서 제1이미지(Im1)와 제2이미지(Im2)의 중첩부분에 해당하며, 제3이미지(Im1')의 (x,y) 픽셀은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에 대응한다. 즉, 예컨대 제3이미지(Im1')의 (1,1) 픽셀은 제2이미지(Im2)의 (1,1) 픽셀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3이미지(Im1')는 Area11로 표시된 부분으로서, 이는 제2이미지(Im2)의 Area21로 표시된 부분에 대응한다. 도 3d에서 Area12로 표시된 부분은 제3이미지(Im1')에 속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제3이미지(Im1')가 제2이미지(Im2)의 Area22로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3이미지(Im1')의 사이즈가 제2이미지(Im2)의 사이즈와 동일하도록 하고, 제2이미지(Im2)의 Area22로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도 제3이미지(Im1')가 갖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3이미지(Im1')와 제2이미지(Im2) 사이의 관계가 도 3d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도 있는 바, 예컨대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이미지(Im1')는 (1,1) 픽셀을 갖지 않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3이미지(Im1')가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3데이터 생성부(52)는, MPEG 또는 H.264 기술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MPEG 또는 H.264 기술은 동영상 압축에 관한 기술로서, 동영상 압축의 경우 일 프레임과 타 프레임 사이의 이미지 정합여부, 또는 일 프레임을 소영역들로 분할하고 타 프레임을 소영역들로 분할하여 대응하는 소영역들 사이의 정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이러한 MPEG 또는 H.264 기술의 경우 두 이미지들의 정합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므로, 제3데이터 생성부(52)는 이와 같은 종래의 MPEG 또는 H.264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2데이터 수정부(54)는 제3이미지(Im1')에 대한 제3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이미지(Im2)에 대한 제2데이터를 수정한다. 구체적으로, 제3데이터에 따른 제3이미지(Im1')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을 W(x,y)라 하고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을 S(x,y)라 할 때,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그 결과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Im1')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데이터를 수정한다.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제2이미지(Im2)의 그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는 수정되지 않는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이미지(Im1')는 제1이미지(Im1)의 제2이미지(Im2)와의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것이 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제2데이터 수정부(54)는,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의 각 (x,y) 픽셀에 있어서 제2데이터 수 정여부를 판단하되, 제3데이터에 따른 제3이미지의 대응하는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수정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짧은 노출을 통해 얻은 피사체의 제2이미지(Im2)는 제1이미지(Im1) 또는 제3이미지(Im1')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명하지만, 제2이미지(Im2)는 상대적으로 많은 노이즈를 갖거나 상대적으로 어두울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이미지(Im2)보다 상대적으로 선명하지는 않지만 제2이미지(Im2)보다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적거나 밝은 제1이미지(Im1)를 이용하여, 제2이미지(Im2)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선명하면서도 노이즈가 적거나 밝은 최종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수정한 제2이미지의 제2데이터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되거나 착탈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3데이터 생성부(52)가 제3데이터 생성을 완료한 후 제2데이터와 제3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제2데이터의 수정여부를 판단하고 수정할 수도 있지만, 제3데이터 생성부(52)가 제3데이터 생성을 하는 것과 병렬적으로, 제2데이터와 생성중인 제3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제2데이터의 수정여부를 판단하고 수정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a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2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수정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제1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3데이터에 따른 제3이미지(Im1')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을 W(x,y)라 하고 제 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을 S(x,y)라 할 때, 도 4의 좌표계의 가로축은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즉 ||∇W(x,y)||이고 도 4의 좌표계의 세로축은 |W(x,y)-S(x,y)|이다. ||∇W(x,y)||은
Figure 112007082506765-pat00001
을 의미하고, |W(x,y)-S(x,y)|는 W(x,y)와 S(x,y)의 차를 의미한다. 물론 도 4에서와 달리 가로축은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이 아니라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예컨대 제곱 등)이 될 수도 있고, 세로축은 |W(x,y)-S(x,y)|가 아니라 |W(x,y)-S(x,y)|을 처리한 값이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a의 좌표계의 가로축은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즉 ||∇W(x,y)||이고 도 5의 좌표계의 세로축은 |W(x,y)-S(x,y)|이다. ||∇S(x,y)||은
Figure 112007082506765-pat00002
을 의미한다. 도 5a의 좌표계에서도 가로축은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이 아니라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예컨대 제곱 등)이 될 수도 있고, 세로축은 |W(x,y)-S(x,y)|가 아니라 |W(x,y)-S(x,y)|을 처리한 값이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좌표계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a에 있어서 세로축은 |W(x,y)-S(x,y)|인 바, 8비트 이미지 정보인 경우 W(x,y)와 S(x,y)는 0 내지 255(=26-1)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세로축 역시 0 내지 25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이며, 특히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다. 도 5a 역시, 제2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이며, 특히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다. 그 의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은 좌표계 및 제1,2그래프에 있어서,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 및 제3이미지(Im1')의 대응하는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값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전설정된 제1그래프의 하부 영역(G11)에 속하고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전설정된 제2그래프의 하부 영역(G21)에 속하면, 제2데이터 수정부(54)는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Im1')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데이터를 수정한다. 만일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 및 제3이미지(Im1')의 대응하는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값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전설정된 제1그래프의 상부 영역(G12)에 속하거나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전설정된 제2그래프의 상부 영역(G22)에 속하면, 제2데이터 수정부(54)는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아, 제2데이터를 수정하지 않는다.
도 4의 제1그래프의 의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가로축은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인 바, 이는 제3이미지(Im1')의 (x,y) 픽셀 인근에서 제3데이터값 W(x,y)가 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제3이미지(Im1')의 (x,y) 픽셀 인근에서 제3데이터값 W(x,y)가 변하는 정도가 크다면, 이는 해당 (x,y) 픽셀이 제3이미지(Im1')에 있어서 피사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근에 있어서 데이터값의 변화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인 W(x,y)와 제2데이터값인 S(x,y)로부터 계산하여 도 4의 좌표계에 점으로 나타내었을 시 그 점의 위치가 도 4의 우측에 있을수록, 해당 (x,y) 픽셀은 제3이미지(Im1')에 있어서 피사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긴 노출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그 선명도가 낮기 때문에, 긴 노출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는 피사체의 가장자리가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긴 노출을 통해 획득한 선명하지 않은 이미지에서 일 (x,y) 픽셀이 피사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해당 (x,y) 픽셀은 짧은 노출을 통해 획득한 선명한 이미지에서도 피사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할 확률이 매우 높다. 제3이미지(Im1')는 제1이미지(Im1)로부터 얻은 이미지이고 제1이미지(Im1)는 긴 노출을 통해 획득한 피사체에 관한 이미지인 바, 따라서 제3이미지(Im1')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x,y) 픽셀은 제2이미지(Im2)에서도 피사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할 확률이 매우 높다. 이것은 제3이미지(Im1')에서의 해당 (x,y) 픽셀이 제2이미지(Im2)에서의 해당 (x,y) 픽셀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확률이 높은 것을 의미하므로, 제2이미지(Im2)의 해당 (x,y) 픽셀에서의 데이터값이 제3이미지(Im1')의 해당 (x,y) 픽셀에서의 데이터값을 갖도록 하는 첫 번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이미지(Im1')에서의 해당 (x,y) 픽셀이 제2이미지(Im2)에서의 해당 (x,y) 픽셀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확률이 높다면, 노이즈가 적으면서도 밝은 정보를 갖는 제3이미지(Im1')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반면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인 W(x,y)와 제2데이터값인 S(x,y)로부터 계산하여 도 4의 좌표계에 점으로 나타내었을 시 그 점의 위치가 도 4의 좌측에 있을수록, 해당 (x,y) 픽셀은 제3이미지(Im1')에 있어서 피사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3이미지(Im1')의 해당 (x,y) 픽셀과 제2이미지(Im2)의 해당 (x,y) 픽셀이 상호 정합되는 것이 아닐 확률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W(x,y)-S(x,y)| 값이 작을 경우에만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제2데이터값이 제3데이터값을 갖도록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1그래프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3이미지(Im1')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확률이 높아질수록, 즉 좌표계의 가로축의 값이 커질수록, (x,y) 픽셀에서의 제3이미지(Im1')의 제3데이터값 W(x,y)와 제2이미지(Im2)의 제2데이터값 S(x,y)의 차가 커지더라도,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경향이 높아지도록 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제2그래프가,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가 되도록 하며, 특히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도록 한다.
한편, 도 4에서 그래프가 세로축과 만나는 지점의 설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로축의 |W(x,y)-S(x,y)|는 개략적으로 W(x,y)와 S(x,y)의 차를 의미하며, 도 4에서의 그래프의 조건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조건이다. 만일 제2이미지와 제3이미지의 중첩되는 부분이 완전히 동일하다면, |W(x,y)-S(x,y)|는 제2이미지의 노이즈와 제3이미지의 노이즈에 의해 계산되는 값을 갖게 된다. 결국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얻었을 시 이미지들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표준편차를 σ라 하면, 제2이미지와 제3이미지의 중첩되는 부분이 완전히 동일한 이상적인 경우, |W(x,y)-S(x,y)|는 2σ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의 그래프가 세로축과 만나는 지점의 값은 2σ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5a의 제2그래프의 의미 역시 도 4의 제1그래프의 의미와 같다. 다만 도 5a에서는 도 4와 달리 가로축이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인 바, 이는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 인근에서 제2데이터값 S(x,y)가 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인 W(x,y)와 제2데이터값인 S(x,y)로부터 계산하여 도 5a의 좌표계에 점으로 나타내었을 시 그 점의 위치가 도 5a의 우측에 있을수록, 해당 (x,y) 픽셀은 제2이미지(Im2)에 있어서 피사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국 도 4의 제1그래프가, 일 (x,y) 픽셀에 있어서 해당 픽셀이 제3이미지(Im1')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할수록 제2이미지(Im2)의 제2데이터가 제3이미지(Im1')의 제3데이터를 갖도록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확률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라면, 5a의 제2그래프는, 일 (x,y) 픽셀에 있어서 해당 픽셀이 제2이미지(Im2)의 가장자리 영역에 속할수록 제2이미지(Im2)의 제2데이터가 제3이미지(Im1')의 제3데이터를 갖도록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확률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5a에서 일 (x,y) 픽셀에 해당하는 점이 제2그래프의 하부 영역(G21)에 속한다면, 제2이미지(Im2)의 해당 (x,y) 픽셀에서의 데이터값이 제3이미지(Im1')의 해당 (x,y) 픽셀에서의 데이터값을 갖도록 하는 두 번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이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면, 제2데이터 수정부(54)는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이미지(Im2)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Im1')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데이터를 수정한다. 결국, 제2데이터 수정부(54)는 제2이미지(Im2)와 제3이미지(Im1') 사이의 크로스 체크를 통해, 제3이미지(Im1')의 픽셀과 제2이미지(Im2)의 대응 픽셀이 정확하게 정합되었을 시에만 제2이미지(Im2)의 제2데이터를 제3이미지(Im1')의 제3데이터에 따라 수정하여, 선명하면서도 노이즈가 적고 밝은 최종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제2그래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제2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지 않는 그래프이며, 특히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는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을 순차로 갖는다. 즉, 도 5b에 도시된 제2그래프의 의미는, 선명한 이미지인 제2이미지(Im2)에 서 가장자리 영역에 속하는 픽셀로 판단되는 (x,y) 픽셀에 대해서는, 엄격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만, 즉 (x,y) 픽셀에서의 제3이미지(Im1')의 제3데이터값 W(x,y)와 제2이미지(Im2)의 제2데이터값 S(x,y)의 차가 작은 경우에만,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제2데이터를 수정한다는 것이다. 이는 선명한 이미지인 제2이미지(Im2)에 있어서 가장자리 영역은 가능한 한 제2이미지(Im2)의 데이터를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고, 가장자리 영역이 아닌 영역에서는 제3이미지(Im1')의 제3데이터에 따라 제2데이터를 수정함으로써, 선명함이 유지되면서도 노이즈가 적고 밝은 최종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한다. 즉,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제2그래프를 이용할 경우,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제2그래프를 이용할 경우보다 최종 이미지의 선명도를 더욱 중요시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제2그래프와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제2그래프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b에서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에 있어서의 세로축의 값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얻었을 시 이미지들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표준편차를 σ라 하면, 2σ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것이 아닌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제2그래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c에서는 제2그래프가 가로축의 값의 변화에 상관없이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그래프이다. 도 5c에서 제2그래프의 세로축의 값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이 미지들을 얻었을 시 이미지들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표준편차를 σ라 하면, 2σ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제2이미지(Im2)의 일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 S(x,y)와 제3이미지(Im1')의 일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 W(x,y)는 RGB 칼라 데이터일 수도 있고 YCbCr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YUV 데이터일 수도 있다. RGB 칼라 데이터일 경우 S(x,y)와 W(x,y)는 각각 R에 대한 데이터, G에 대한 데이터 및 B에 대한 데이터, 즉 세 개의 데이터값을 가질 수 있다. YCbCr 데이터일 경우에도 S(x,y)와 W(x,y)는 각각 Y에 대한 데이터, Cb에 대한 데이터 및 Cr에 대한 데이터, 즉 세 개의 데이터값을 가질 수 있으며, YUV 데이터일 경우에도 S(x,y)와 W(x,y)는 각각 Y에 대한 데이터, U에 대한 데이터 및 V에 대한 데이터, 즉 세 개의 데이터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데이터 수정부(5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데이터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는, S(x,y)와 W(x,y)의 각각 세 개의 데이터들 중 어느 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제2데이터 수정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S(x,y)와 W(x,y)의 세 개의 데이터들 모두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긴 노출을 통해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와, 짧은 노출을 통해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물론 이 두 단계의 순서는 바뀔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병렬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를 획득한 후, 제1이미지에서의 피사체와 제2이미지에서의 피사체가 정합되도록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수정(warping)하여 제3이미지에 대한 제3데이터를 만드는 단계(S30)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는 MPEG 또는 H.264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MPEG 또는 H.264 기술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제3데이터를 만드는 단계(S30)를 거친 후,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을 W(x,y)라 하고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을 S(x,y)라 할 때,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를 수정하는 단계(S40)를 거친다.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제2이미지(Im2)의 그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는 수정되지 않는다.
물론, 제3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를 완료한 후 제2데이터와 제3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데이터 수정 단계(S40)를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제3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병렬적으로, 제2데이터와 생성중인 제3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데이터의 수정여부를 판단하고 수정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짧은 노출을 통해 획득한 제2이미지는 선명한 이미지이고, 긴 노출을 통해 획득한 제1이미지는 노이즈가 적고 밝은 이미지이다. 따라서 제1이미지에 관한 제1데이터로부터 생성한 제3데이터에 대응하는 제3이미지는 노이즈가 적고 밝은 이미지인 바, 이러한 제3이미지의 제3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 하에서 제2이미지를 수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선명하면서도 노이즈가 적고 밝은 최종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수정된 제2이미지의 제2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S40 단계는 제2이미지의 각 (x,y) 픽셀에 있어서 수행하되, 대응하는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는 S40 단계는 제2이미지와 제3이미지(또는 제1이미지)가 중첩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이미지의 일 영역에는 대응하는 제3이미지가 없을 경우, 제2이미지의 해당 영역에 있어서는 제2데이터를 수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S40 단계에서의 제2데이터 수정여부에 관한 소정 조건은,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7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 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도 1에서의 CPU(100)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획득한 긴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1이미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b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획득한 짧은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2이미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c는 제1이미지에서의 피사체와 제2이미지에서의 피사체가 정합되도록 제1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d는 제3이미지(수정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e는 제3이미지(수정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 사이의 다른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2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수정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제1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2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수정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제2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2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수정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다른 제1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c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2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수정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또 다른 제1그래 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데이터 획득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23)

  1. 긴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와, 짧은 노출을 통한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1데이터에 따른 제1이미지에서의 피사체와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에서의 피사체가 정합되도록,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1데이터를 수정(warping)하여 제3이미지에 대한 제3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3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제3데이터에 따른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을 W(x,y)라 하고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을 S(x,y)라 할 때,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에 따라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제2데이터 수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는, 상기 데이터 획득부가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의 각 (x,y) 픽셀에 있어서 제2데이터 수정여부를 판단하되, 대응하는, 상기 제3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제3데이터에 따른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 수정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수정한 제2이미지의 제2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 수정부가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만족한다면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데이터를 수정하고,
    상기 제2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은, 상기 데이터 획득부가 획득한 제2데이터에 따른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가로축이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또는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이고 세로축이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인 좌표계에 나타내었을 시 사전설정된 제1그래프의 하부 영역에 속하고,
    가로축이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또는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이고 세로축이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인 좌표계에 나타내었을 시 사전설정된 제2그래프의 하부 영역에 속하는 것이고,
    상기 제1 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지 않는 그래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는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데이터 생성부는, MPEG 또는 H.264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2. (a) 긴 노출을 통해 피사체의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짧은 노출을 통해 피사체의 제2이미지에 대한 제2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c) 제1이미지에서의 피사체와 제2이미지에서의 피사체가 정합되도록 제1이미지에 대한 제1데이터를 수정(warping)하여 제3이미지에 대한 제3데이터를 만드는 단계; 및
    (d)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을 W(x,y)라 하고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을 S(x,y)라 할 때,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에 따라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제2이미지의 각 (x,y) 픽셀에 있어서 수행하되, 대응하는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가 존재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e) 상기 (d) 단계에서 수정된 제2이미지의 제2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만족한다면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2데이터값 S(x,y)가 제3이미지의 (x,y) 픽셀에서의 제3데이터값 W(x,y)를 갖도록 제2데이터를 수정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정하는 소정 조건은, 제2이미지의 (x,y) 픽셀에 있어서,
    가로축이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또는 W(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이고 세로축이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인 좌표계에 나타내었을 시 사전설정된 제1그래프의 하부 영역에 속하고,
    가로축이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 또는 S(x,y)의 그래디언트의 노름을 처리한 값이고 세로축이 |W(x,y)-S(x,y)| 또는 |W(x,y)-S(x,y)|을 처리한 값인 좌표계에 나타내었을 시 사전설정된 제2그래프의 하부 영역에 속하는 것이고,
    상기 제1 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그래프는,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지 않는 그래프, 가로축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는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증가하지 않는 그래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감소하는 구간 및 가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의 값이 일정한 구간을 순차로 갖는 그래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MPEG 또는 H.264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23. 제12항, 제13항, 제15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70117436A 2007-11-16 2007-11-1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96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36A KR101396353B1 (ko) 2007-11-16 2007-11-1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2/283,111 US8233736B2 (en) 2007-11-16 2008-09-09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GB0817072.2A GB2454770B (en) 2007-11-16 2008-09-17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N2008101706149A CN101437101B (zh) 2007-11-16 2008-10-22 数字拍摄设备及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36A KR101396353B1 (ko) 2007-11-16 2007-11-1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03A KR20090050803A (ko) 2009-05-20
KR101396353B1 true KR101396353B1 (ko) 2014-05-19

Family

ID=3993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436A KR101396353B1 (ko) 2007-11-16 2007-11-1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3736B2 (ko)
KR (1) KR101396353B1 (ko)
CN (1) CN101437101B (ko)
GB (1) GB24547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801B1 (ko) * 2007-11-16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N105472263B (zh) * 2014-09-12 2018-07-13 聚晶半导体股份有限公司 影像撷取方法及使用此方法的影像撷取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869A (ja) 1999-09-22 2001-04-06 Hitachi Denshi Ltd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JP2002223388A (ja) 2000-11-21 2002-08-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絞り制御装置および絞り制御方法およびテレビジョンカメラ
JP3974634B2 (ja) * 2005-12-27 2007-09-12 京セラ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9032A (en) * 1994-11-14 1997-07-15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System for automatically aligning images to form a mosaic image
CN100527854C (zh) * 2003-06-23 2009-08-12 索尼株式会社 处理图像的方法、设备
US7463296B2 (en) 2004-04-01 2008-12-09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cameras with luminance correction
JP2006080784A (ja) 2004-09-08 2006-03-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メディア情報配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6203463A (ja) * 2005-01-19 2006-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方法、画像撮像方法、及び画像合成方法
US8654201B2 (en) * 2005-02-23 2014-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deblurring an image
US7680354B2 (en) * 2006-03-22 2010-03-16 Arcsoft, Inc. Image deblur based on two images
JP2007257287A (ja) 2006-03-23 2007-10-04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画像レジストレーション方法
US20080170126A1 (en) * 2006-05-12 2008-07-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stabiliz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869A (ja) 1999-09-22 2001-04-06 Hitachi Denshi Ltd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JP2002223388A (ja) 2000-11-21 2002-08-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絞り制御装置および絞り制御方法およびテレビジョンカメラ
JP3974634B2 (ja) * 2005-12-27 2007-09-12 京セラ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7101B (zh) 2013-01-02
KR20090050803A (ko) 2009-05-20
US20090129701A1 (en) 2009-05-21
GB0817072D0 (en) 2008-10-22
CN101437101A (zh) 2009-05-20
US8233736B2 (en) 2012-07-31
GB2454770B (en) 2012-10-03
GB2454770A (en)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610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971956B2 (ja) フリッカ補正装置、フリッカ補正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3587433B2 (ja) 固体撮像素子の画素欠陥検出装置
US8373769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406680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電子カメラ
KR101204888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508436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225137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52907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96353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99548B1 (ko) 이미지 처리장치, 이미지 처리방법 및 처리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517366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493695B1 (ko) 이미지 처리장치, 이미지 처리방법 및 처리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8071014A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
JP3914810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378329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230199319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5038005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412791B2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406801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014436B2 (ja) 撮像装置
JP2007165946A (ja) 被写体像補正装置および方法
JP2006287516A (ja) カメラ装置、撮影方法並びに撮影プログラム
JP662741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01062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