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92B1 - 천정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천정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92B1
KR101392092B1 KR1020070106300A KR20070106300A KR101392092B1 KR 101392092 B1 KR101392092 B1 KR 101392092B1 KR 1020070106300 A KR1020070106300 A KR 1020070106300A KR 20070106300 A KR20070106300 A KR 20070106300A KR 101392092 B1 KR101392092 B1 KR 10139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fan
air conditioner
exposed
cei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791A (ko
Inventor
조민철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0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팬이 구비하는 격막에 의해 송풍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노출된 일면의 일 측에 형성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유동시키며,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격막이 형성된 송풍팬, 흡입부와 송풍팬 사이에 위치하며,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 케이싱의 노출된 일면의 타 측에 형성되며, 열교환 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 및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토출부로 안내하며, 송풍팬에 형성된 격막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리브를 가지는 리어가이드를 포함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격막에 의해 구획된 송풍팬에서 발생한 유동을 리브를 통해 구획된 상태로 토출부로 안내하므로, 격막 때문에 발생하는 와류를 방지할 수 있다.
천정형 에어컨, 리어가이드, 리브, 송풍팬, 격막, 와류, 저항, 소음

Description

천정형 에어컨{A CEILING-MOUNTED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정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 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다른 일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일방 토출형 천정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은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를 흐르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에어컨은 증발기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 즉 응축기, 압축기와 같은 부품이 하나의 유닛으로 제작되는 일체형 에어컨과, 증발기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냉동 사이클의 다른 부품들을 포함하는 실외기로 분리 제작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
또한 분리형 에어컨은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실내기가 실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상치형 에어컨,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걸리는 벽걸이형 어에컨 및 천정과 천정 마감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천정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
천정형 에어컨은 실내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을 보다 넓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실내의 내부 공간을 더욱 빨리 조화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최근 사용 및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천정형 에어컨은 대략 육면체의 공간 내에 송풍팬과 열교환기 등을 구비한다. 천정형 에어컨은 일면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일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흡입되어 열교환기와 열교환 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배치된다. 토출부는 한 개 내지 네 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한 개의 토출부를 가지는 경우, 출입문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 많이 이용된다. 또한 두 개의 토출부를 가지는 경우, 실내 공간의 코너에 설치되어 두 방향으로 열교환 된 공기를 토출한다. 또한 네 개의 토출부를 가지는 경우, 장방형상의 노출면의 네 변에 토출부가 위치하며, 네 방향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한다. 천정형 에어컨이 네 개의 토출부를 가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의 중심부에 설치된다.
천정형 에어컨 내에 설치된 송풍팬은 강제유동을 형성하여,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부를 통해 열교환 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촉진한다. 이때, 송풍팬에 의해 토출된 공기 중 토출 방향이 토출부를 향하지 않는 공기는 리어가이드 및 스태빌라이저와 같은 부재에 의해 토출부 측으로 유동 방향이 안내된다. 이때, 송풍팬은 송풍팬의 축방향을 따라 송풍팬을 구획하는 격막을 구비한다. 그런데 격막 부분에서는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송풍팬에서 발생한 유동이 리어가이드에 의해 토출부로 안내될 때 와류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송풍팬이 구비하는 격막에 의해 송풍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의 격막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리어가이드에 형성된 와류 제거 수단을 구비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노출된 일면의 일 측에 형성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유동시키며,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격막이 형성된 송풍팬, 흡입부와 송풍팬 사이에 위치하며,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 케이싱의 노출된 일면의 타 측에 형성되며, 열교환 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 및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토출부로 안내하며, 송풍팬에 형성된 격막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리브를 가지는 리어가이드를 포함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격막에 의해 구획된 송풍팬에서 발생한 유동을 리브를 통해 구획된 상태로 토출부로 안내하므로, 격막 때문에 발생하는 와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리브는 노출되는 일면의 대향면으로부터 노출된 일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리브는 노출되는 일면의 대향면 측의 높이가 노출된 일면 측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리브에 의해 유동에 저항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리어가이드는 노출된 일면의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직선면, 토출부 측에 위치하는 제2 직선면 및 제1 직선면과 제2 직선면을 연결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서로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1 직선면과 제2 직선면을 곡면이 완만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에서 토출된 유동이 제1 직선면, 곡면 및 제2 직선면을 차례로 따라 원활하게 흘러서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리브는 곡면과 제2 직선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리브는 곡면의 전방에서 제2 직선면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곡면에 형성된 리브가 완만한 경사를 가지며, 매끄럽게 제1 직선면과 연결되어, 리브에 의해 유동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리브의 제2 직선면에 형성된 부분은 10~15mm의 높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리브의 곡면에 형성된 부분은, 전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점점 낮아져서, 단면이 날카로운 끝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곡면에 형성된 리브가 완만한 경사를 가지며, 매끄럽게 제1 직선면과 연결되어, 리브에 의해 유동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곡선면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둘 이상의 곡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천정형 에어컨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경우에도, 리어가이드의 확대각을 확보할 수 있어, 송풍팬에서 발생시킨 유동을 원활하게 토출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리어가이드의 확대각은, 대략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리어가이드가 송풍팬의 격막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브를 구비하여, 송풍팬의 격막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리브가 송풍팬과 가까운 부분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리브에 의해 유동에 저항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송풍팬으로부터 발생한 유동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토출부를 통해 원활히 토출되도록 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와류 발생을 억제하여 송풍팬으 로부 발생한 유동의 토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을 도시한 도면이다. 천정형 에어컨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100), 케이싱(100) 내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200), 케이싱(100)의 내, 외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300)을 포함한다. 케이싱(100)은 건물의 천정 내부에 매입되며,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을 향하는 일면(110)만이 외부에 노출된다. 그러나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건물의 바닥을 향하는 일면(110) 외의 면도 노출될 수 있다.
케이싱(100)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므로, 일면(1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일면(110)의 일 측에는 케이싱(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120)가 형성되고, 일면(110)의 타 측에는 케이싱(100)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30)가 형성된다. 흡입부(120)에는 흡입부(120)를 통해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어, 열교환기(200) 및 송풍팬(300)의 구동을 방해하고 나아가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그릴(122)이 설치된다. 또한 토출부(130)에는 열교환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토출 베인(132)이 설치된다. 토출 베인(132)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 베인(132)과 케이싱(10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토출 베인(13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토출 베인(13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토출부(130)가 개 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송풍팬(300)에 의해 토출부(130)로 송풍되는 공기의 양은 거의 일정하므로, 토출부(130)가 개방되는 면적이 좁을수록 토출부(1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고 유압이 높아져 천정형 에어컨으로부터 더 먼곳까지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케이싱(100)의 내부에 흡입부(120)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200)가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200)는 송풍팬(300)에 의해 흡입부(120)를 통해 유입되어 토출부(130)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열교환기(200)는 일면(110)의 배면과 일면(110)에 대향하는 면에 양 단부가 접촉하도록 길게 설치된다. 공기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00)의 면적을 넓히기 위해, 즉 제한된 공간 내에서 설치되는 열교환기(200)의 크기를 최대화하기 위해 열교환기(200)는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열교환기(200)와 열교환하여 저온으로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300)에 의해 토출부(130)로 유동한다. 실시예에서 송풍팬(300)은 횡류팬이나, 토출부(13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종류의 팬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송풍팬(300)의 축 방향 길이는 대략 케이싱(100)의 한 변(송풍팬의 축방향과 평행한 변)의 길이와 같다.
송풍팬(3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송풍팬(300)의 접선 방향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케이싱(30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케이싱(300)의 일면(110)에 형성된 토출부(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천정형 에어컨은 케이싱(300)의 내부에 상부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부(130) 측으로 안 내하는 리어 가이드(400)를 구비한다. 또한, 천정형 에어컨은 송풍팬(300)의 하부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부(130)로 밀어주는 동시에, 토출부(130)로 밀어주기 힘든 영역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다시 송풍팬(300)측으로 재 유입되게 하는 스태빌라이저(500)를 구비한다.
도 2는 종래 천정형 에어컨과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스태빌라이저 및 송풍팬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비교한 도면이다. 종래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송풍팬(300)은 토출부(130: 도 1에 도시)의 길이에 대응하여 긴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송풍팬(300)에는 길이 방향(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격막(340)이 형성되어 있다. 격막(340)에서는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송풍팬(300)에서 와류가 발생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종래 천정형 에어컨의 스태빌라이저(500)는 송풍팬(300)의 격막(340)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할 수 있는 형상을 갖추지 못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스태빌라이저(500)는 송풍팬(300)의 격막(340)과 대응하는 위치에 리브(540)를 구비한다. 리브(540)는 송풍팬(300)에서 발생한 유동을 분리하여 토출부(130: 도 1에 도시)로 토출될 수 있게 한다. 즉, 송풍팬(300)의 격막(340)에 의해 분리된 각 부분에서 발생된 유동이 송풍팬(300)으로부터 토출되면서 격막(340)에 해당하는 부분인 유동이 발생하지 않은 부분으로 유동이 유입되어 와류가 발생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은 스태빌라이저(500)가 송풍팬(300)의 격막(3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브(540)가 위치하므로, 송풍팬(300)에서 분리되어 발생한 유동이 계속 분리된 채로 토출 부(130: 도 1에 도시)를 통해 토출되므로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리어가이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리어가이드(400)는 천정형 에어컨의 상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천정형 에어컨의 하부에 위치하는 토출부(130: 도 1에 도시)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리어가이드(400)의 전단, 즉 천정형 에어컨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이며,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단 측의 곡면을 제1 곡면(410), 리어가이드(400)의 후단, 즉 토출부(130: 도 1에 도시)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단의 곡면을 제2 곡면(420)라고 한다. 또한, 리어가이드(400)는 제1 곡면(410)과 제2 곡면(420)의 사이에 제1 직선면(435), 제2 곡면(420)의 최후단으로부터 토출부(130: 도 1에 도시) 측으로 뻗은 제2 직선면(430)을 구비한다. 이때, 제2 곡면(420)의 곡률 반경은 제1 곡면(410)의 곡률 반경보다 큰 값이다. 또한 제2 곡면(420)은 아르키메데스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로서, 제2 곡면(420)의 곡률 반경은 토출부(130: 도 1에 도시)에 가까워질수록 곡률 반경이 점점 커지는 값이다.
천정형 에어컨이 소형화 되면, 리어가이드(400)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작아지므로, 리어가이드(400)가 곡률 반경이 일정한 하나의 곡면으로만 이루어진 경우, 공기의 유동이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부(130: 도 1에 도시)를 통해 토출되는 유동의 양이 적어지며, 토출부(130: 도 1에 도시), 송풍팬(300: 도 1에 도시), 스태빌라이저(500: 도 1에 도시) 사이에서 정체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진다. 따라서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에서 토출되는 유동과 정체하는 공기의 충돌로 인한 소음,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에서 토출된 유동이 다시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소음 등으로 인해, 천정형 에어컨의 소음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리어가이드(400)가 곡률 반경이 곡률 반경 1인 제 곡면(410)과 곡률 반경이 곡률 반경 2인 제2 곡면(420)으로 이루어지면, 송풍팬(300: 도 1에 도시) 측의 곡면은 곡률 반경 1로 곡률이 작더라도, 토출부(130: 도 1에 도시) 측으로 향하면서 리어가이드(400)의 곡률이 점점 커지기 때문에(곡률 2) 리어가이드(400)의 후단 측에서는 유동이 토출부(130: 도 1에 도시)를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리어가이드(400)의 곡률이 크므로, 토출부(130: 도 1에 도시)를 향하는 경로를 다소 벗어난 유동이라 하더라도,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을 향하지 않고 스태빌라이저(500: 도 1에 도시)를 향하므로, 스태빌라이저(500: 도 1에 도시)에 의해 토출부(130: 도 1에 도시) 측으로 유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으로부터 토출된 유동이 토출부(130: 도 1에 도시)를 통해 원활하게 천정형 에어컨의 외부로 토출되므로 유동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스태빌라이저(500: 도 1에 도시)와 리어가이드(400) 사이의 공간을 디퓨져로 모델링하여, 토출부(130: 도 1에 도시)로 토출되는 유동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스태빌라이저(500: 도 1에 도시)와 리어가이드(400)의 직선부(430)부와 스태빌라이저(500: 도 1에 도시)가 이루는 각을 확대각이라고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리어가이드(400)의 확대각은 대략 15°이다. 천정형 에어컨이 소형화되는 경우, 리어가이드(400)의 길이도 짧아지기 때문에, 토출부(130)를 통해 유동이 원활히 토출되기 위해서 비교적 넓은 확대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천정형 에어컨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리어가이드(400)의 전단 측 곡면의 곡률, 즉 제1 곡면(410)의 곡률 반경에 대한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의 반경의 비는 0.5 내지 0.7에 해당한다. 즉, 송풍팬(300: 도 1에 도시) 반경/제1 곡면(410)의 곡률 반경의 값(이하 반경비)이 0.5 내지 0.7 사이의 값을 가진다. 만약 반경비가 0.7보다 큰 값을 가지면, 제1 곡면1(410)의 곡률 반경이 너무 작아서 유동이 토출부(130: 도 1에 도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없다. 즉 유로가 지나치게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반경비가 0.5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제1 곡면(410)의 곡률 반경이 너무 커지므로, 천정형 에어컨을 소형화할 수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리어가이드의 일 예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의 격막(340: 도 2에 도시)에 대응하도록 리어가이드(400)에 구비되는 리브(440)가 잘 나타나 있다.
기어가이드(400)는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의 격막(340: 도 2에 도시)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브(440)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의 격막(340: 도 2에 도시)에서는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은 격막(340: 도 2에 도시)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에서 발생되는 유동은 격막(340: 도 2에 도시)에 의해 구획된 각 부분에서 별개로 분리된 채 발생된다. 이렇게 분리되어 발생된 유동이 서로 합쳐지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한다. 리어가이드(400)의 리브(440)는 격막(340:도 2에 도시)에 의해 분리되어 발생된 유동이 분리된 채로 토출부(130: 도 1에 도시)를 통해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리어가이드(400)를 통해 토출부(130: 도 1에 도시)로 안내되는 유동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440)는 격막(340: 도 2에 도시)과 대응하는 위치, 즉 복수 개의 격막(340: 도 2에 도시)의 열 방향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복수 개의 격막(340: 도 2에 도시)의 열 방향에 대해, 격막(340: 도 2에 도시)의 수직 방향의 연장선상에 리브(440)가 위치한다. 또한 리브(440)의 두께는 격막(340: 도 2에 도시)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440)의 두께와 격막(340: 도 2에 도시)의 두께가 일치해야, 리브(440)에 의한 유동 저항을 받지 않고 와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리브(440)는 제2 곡면(420)과 제2 직선면(430)에 걸쳐서 형성된다. 리브(440)의 전방 부분은, 즉 제2 곡면(420)의 전방에 형성된 부분은 제1 직선면(435)으로부터 유입되는 유동에 가해지는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날카롭게 형성된다. 즉, 리브(440)의 최전방 부분은 제2 곡면(420)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제2 곡면(420)과 거의 같은 곡률을 가지며 제1 직선면(435)과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리브(440)는 제2 곡면(420)에 형성된 부분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높아져서, 제2 직선면(430)에서는 대략 10 내지 15mm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송풍팬(300:도 1에 도시)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와류가 쉽게 발생 하며, 특히 리어가이드(400)의 제2 직선면(430)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주로 와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주로 와류가 발생하는 제2 직선면(430)에 형성된 리브(440)의 높이를 높여 유동을 확실하게 분리하여 와류 발생 방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와류가 잘 발생하지 않는 제2 곡면(420)의 전방 측에는 리브(44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송풍팬(300: 도 1에 도시)으로부터 유입되는 유동에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제2 곡면 및 제2 직선면에 걸쳐서 형성되는 리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리브(440)는 리어가이드(400: 도 1에 도시)로부터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리브(440)의 하단은 제2 곡면(320) 및 제2 직선면(33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리브(440)의 상단은 제2 직선면(330)에 형성된 부분(334)는 대략 10 내지 15mm의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제2 곡면(320)에 형성된 부분(332)는 전방으로 갈수록 낮은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리브(440)의 단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날카로운 끝점을 가지는 훅(hook)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단면으로 도시한 도 5에서는 리브(440)가 날카로운 끝점을 가지나, 실제로 리브(440)는 두께를 가지는 부재이므로, 리브(440)의 최전방은 선 형태이다. 따라서 와류가 주로 발생하는 부분에서 와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하면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리브(440)의 높이를 낮추어 리브(440)에 의한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와류 발생을 억제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스태빌라이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리어가이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리어가이드의 일 예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이 구비하는 리어가이드에 형성된 리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Claims (9)

  1.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노출된 일면의 일 측에 형성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유동시키며,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격막이 형성된 송풍팬;
    흡입부와 송풍팬 사이에 위치하며,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
    케이싱의 노출된 일면의 타 측에 형성되며, 열교환 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 및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토출부로 안내하며, 송풍팬에 형성된 격막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리브를 가지는 리어가이드를 포함하며,
    리브는, 노출되는 일면의 대향면 측의 높이가 노출된 일면 측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2. 제1항에 있어서,
    리브는, 노출되는 일면의 대향면으로부터 노출된 일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3. 제1항에 있어서,
    리어가이드는, 노출된 일면의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직선면, 토출부 측에 위치하는 제2 직선면 및 제1 직선면과 제2 직선면을 연결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4. 제3항에 있어서,
    리브는, 곡면과 제2 직선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5. 제4항에 있어서,
    리브는, 곡면의 전방에서 제2 직선면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6. 제5항에 있어서,
    리브의 제2 직선면에 형성된 부분은, 10~15mm의 높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7. 제4항에 있어서,
    리브의 곡면에 형성된 부분은, 전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점점 낮아져서, 단면이 날카로운 끝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8. 제1항에 있어서,
    리어가이드의 확대각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9. 삭제
KR1020070106300A 2007-10-22 2007-10-22 천정형 에어컨 KR10139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300A KR101392092B1 (ko) 2007-10-22 2007-10-22 천정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300A KR101392092B1 (ko) 2007-10-22 2007-10-22 천정형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791A KR20090040791A (ko) 2009-04-27
KR101392092B1 true KR101392092B1 (ko) 2014-05-12

Family

ID=4076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300A KR101392092B1 (ko) 2007-10-22 2007-10-22 천정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707B1 (ko) * 2015-10-30 2018-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0330104B2 (en) 2015-10-30 2019-06-2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5912B (zh) * 2014-12-31 2019-10-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引流部件及空调器
CN106556128B (zh) * 2015-09-24 2022-05-17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导风装置及空调器
JP6678339B2 (ja) * 2016-08-23 2020-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室内ユニットおよび化粧パネル
CN107702204B (zh) * 2017-09-04 2019-10-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8980998A (zh) * 2018-07-12 2018-12-1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
KR102549804B1 (ko) * 2018-08-21 2023-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108249A (ko) * 2020-02-25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694A (ja) * 1989-09-22 1991-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ロスフロー形送風装置
JP2002357331A (ja) 2001-03-26 200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内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KR100555422B1 (ko) 2004-05-04 200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리어 가이드 구조
KR100642364B1 (ko) * 2005-07-06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694A (ja) * 1989-09-22 1991-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ロスフロー形送風装置
JP2002357331A (ja) 2001-03-26 200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内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KR100555422B1 (ko) 2004-05-04 200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리어 가이드 구조
KR100642364B1 (ko) * 2005-07-06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707B1 (ko) * 2015-10-30 2018-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0330104B2 (en) 2015-10-30 2019-06-2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791A (ko) 200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092B1 (ko) 천정형 에어컨
CN109891155B (zh) 室内机及空调装置
EP1890087A1 (en) Air conditioner with air flow guide element for noise reduction
JP6058242B2 (ja) 空気調和機
JP6429221B2 (ja) 空気調和機
KR102559756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40973A (ko) 횡류팬 및 공기 조화기
EP3315785A1 (en) Air conditioner
WO2016063397A1 (ja) 空気調和機
KR10136232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72867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92014B1 (ko) 천정형 에어컨
KR101448304B1 (ko) 천정형 에어컨
CN111630327B (zh) 空调机的室内机
KR10044110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KR101392088B1 (ko) 천정형 에어컨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1809A (ko) 천정형 에어컨
EP282981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751121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JPWO2019123743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22195834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090041808A (ko) 천정형 에어컨
KR20090041807A (ko) 천정형 에어컨
KR101590316B1 (ko)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