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099B1 -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099B1
KR101390099B1 KR1020130129664A KR20130129664A KR101390099B1 KR 101390099 B1 KR101390099 B1 KR 101390099B1 KR 1020130129664 A KR1020130129664 A KR 1020130129664A KR 20130129664 A KR20130129664 A KR 20130129664A KR 101390099 B1 KR101390099 B1 KR 10139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self
camera
shooting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일
Original Assignee
조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일 filed Critical 조영일
Priority to KR1020130129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전면부에 높은 해상도와 화각의 렌즈로 이루어진 줌아웃 카메라를 구비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해 셀프촬영시 사용자에 의해 피사체를 축소출력하여 사진에 피사체의 주변 배경을 최대한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촬영인원이 2인 이상일 경우에도 촬영인원에 맞게 줌아웃 된 상태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한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후면부와 전면부에 각각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표준렌즈로 구성된 줌인 카메라가 구비되고, 전면부는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줌아웃 카메라로 이루어진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줌아웃 카메라의 촬영 셋팅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self-shooting camera with Zoom-out features}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전면부에 높은 해상도와 화각의 렌즈로 이루어진 줌아웃 카메라를 구비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해 셀프촬영시 사용자에 의해 피사체를 축소출력하여 사진에 피사체의 주변 배경을 최대한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촬영인원이 2인 이상일 경우에도 촬영인원에 맞게 줌아웃 된 상태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한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슬라이드 또는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주를 이루었지만. 근래에 들어 액정화면의 터치 동작으로만 이루어진 스마트폰이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일정크기의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 액정화면이 구비되고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 상단부에 카메라가 구비되는데 후면부에 구비된 카메라는 일반 촬영용으로 사용되고 전면부의 카메라는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셀프촬영 또는 영상통화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폰용 카메라는 성능이 점점 좋아져 지금은 1000만 화소가 넘어가는 등 디지털 카메라 못지않은 선명한 화질로 촬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폰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구비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표준렌즈를 이용한 카메라가 설치되는데, 후면부에 구비된 카메라의 경우 촬영자가 피사체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촬영할 수 있는 반면, 전면부의 카메라 경우 촬영자와 피사체가 나 자신이므로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팔을 최대한 길게 뻗어서 불편한 자세로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표준렌즈의 제한된 화각만으로 셀프촬영시 뒷 배경이 보이지 않고 자신의 얼굴만 나온다거나 2인 이상 촬영시에는 촬영인원 전부 사진에 담아내기 곤란하여 제 3자에게 촬영을 부탁하거나 별도의 거치대에 카메라를 설치한 다음 타이머 기능을 통해 촬영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 제 1082798호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에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해 캡처링 되는 화상을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화상 전송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어 명령 수신부;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렌즈 모듈을 틸팅하는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와 촬영 실행부를 구비한 촬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와 화상 디스플레이부가 없는 촬상기; 및 상기 화상 전송부로부터 송신된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부; 상기 화상 수신부에서 수신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를 제어하도록 명령하는 렌즈 모듈 틸팅제어부와 촬영을 명령하는 촬영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촬상기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 명령 송신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휴대 단말기를 제외하고 별도 촬상기, 틸팅기, 거치대가 구비되는 등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올라가고 휴대성이 떨어져 실생활에서 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1113730호 (교환 렌즈를 장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착탈 가능한 외장형 카메라 모듈)에는 스마트폰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장형 카메라 모듈로서, 교환 렌즈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렌즈 장착부; 상기 교환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기록하는 촬상 소자;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전송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교환 렌즈 내부에 형성된 조리개를 조정하기 위한 렌즈 인터페이스; 상기 촬상 소자로의 빛의 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셔터 릴리스 버튼; 및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별도의 교환렌즈를 카메라 모듈에 장착한 다음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접속케이블을 통해 촬영제어를 하도록 한 기술로서, 단순히 별도의 촬영기기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촬영에 관한 구성으로 셀프촬영에 특화된 목적을 이루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구성이 전혀 다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특허 제 1149925호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에는 피사체 투과용 렌즈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상기 단말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된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역시 별도의 투과용 렌즈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상기 투과용 렌즈는 액세서리 형태로 스마트폰 카메라 렌즈 뒤편에 끼워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일시적인 광각 및 망원의 효과만 나타날 뿐 촬영 품질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촬영 조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혀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구성이 전혀 다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 전면부에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로 구성된 줌아웃카메라를 구비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해 셀프촬영시 액정화면에 피사체뿐만 아니라 뒷 배경까지 충분히 담아낼 수 있도록 하고 2인 이상 촬영시에 촬영인원에 맞게 줌아웃하여 액정화면에 나타낼 뿐만 아니라, 팔을 길게 뻗지 않고도 편안한 자세로 셀프 촬영이 가능한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후면부와 전면부에 각각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표준렌즈로 구성된 줌인 카메라가 구비되고, 전면부는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줌아웃 카메라로 이루어진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줌아웃 카메라의 촬영 셋팅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줌아웃 카메라를 이용한 셀프촬영시 액정화면에 나타나는 최초 기본출력값을 1배율 화면으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줌아웃 동작에 의해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줌아웃 동작은 사용자의 액정화면 터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폰의 셀프촬영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 전면부에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로 이루어진 줌아웃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계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여 셀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셀프모드 전환시 최초 기본출력값을 1배율로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기본출력값에서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줌아웃 된 화면에서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 후 보정단계로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인식 단계와, 얼굴 인식후 촬영인원이 인원이 2인 이상이 될 경우 자동으로 줌아웃된 화면으로 전환하는 자동전환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후 보정단계는; 촬영후 왜곡되어 표현될 수 있는 이미지의 테두리부분을 왜곡보정 또는 삭제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전면부에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로 구성된 줌아웃카메라를 구비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해 셀프촬영시 액정화면에 피사체뿐만 아니라 뒷 배경까지 충분히 담아낼 수 있도록 하고 2인 이상 촬영시에 촬영인원에 맞게 줌아웃하여 액정화면에 나타낼 뿐만 아니라, 팔을 길게 뻗지 않고도 편안한 자세로 셀프 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을 나타낸 정면 및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촬영시 셀프촬영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셀프촬영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촬영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촬영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대부분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카메라가 구비되어 후면부에 구비된 카메라는 일반 촬영용으로 사용되고 전면부의 카메라는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셀프촬영 또는 영상통화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용 렌즈는 촬영범위 즉, 화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화각이 큰 순서대로 어안렌즈, 광각렌즈, 표준렌즈, 망원렌즈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는 전면부와 후면부 모두 표준렌즈가 채택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표준렌즈를 사용한 전면부 카메라를 이용한 셀프촬영시 좁은 화각으로 인해 촬영자세의 불편함과 피사체를 포함한 상태에서 뒷배경까지 촬영에 담아내기 어렵고 촬영인원이 2인 이상일 경우 셀프촬영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바, 본 발명은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하여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의 후면부(10)와 전면부(20)에 각각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의 후면부(10)에 표준렌즈로 구성된 줌인카메라(31)가 구비되고, 전면부(20)는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줌아웃카메라(32)로 이루어진 촬영부(30)와; 상기 촬영부(30)에서 줌아웃카메라(32)의 촬영 셋팅값을 설정하는 제어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줌인카메라(31)는 스마트폰(1)의 후면부(10)에 구비되어 일반 촬영시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표준렌즈를 사용하여 촬영시에 최초 출력값을 액정화면(21)에 1 배율(기본배율)로 나타나게 하고 사용자의 터치동작 또는 외부버튼을 통해 점차 약 2·3·4.. 배율로 증가하면서 줌인(Zoom In)된 화면으로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줌아웃카메라(32)는 스마트폰(1)의 전면부(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줌인카메라(31)보다 화각이 넓은 어안렌즈 또는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가 설치되며 최대 약 0.5~0.3배율의 줌아웃 된 화면으로 촬영 가능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1)에 적합한 촬영배율로는 약 0.5배율의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어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의 촬영부(30)를 통해 촬영시 스마트폰(1) 내에 설치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상기 촬영부(30)의 줌아웃카메라(32)를 이용한 셀프촬영시 촬영셋팅값을 설정하게 되는데 스마트폰(1)의 액정화면(21)에 나타나는 최초 기본출력값을 1배율 화면으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줌아웃 동작에 의해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최초 기본출력값을 1배율 화면으로 출력하는 이유는 어안렌즈 또는 광각렌즈로 구성된 줌아웃카메라(32)의 배율(약0.5~0.3배율) 그대로 기본출력값으로 설정해놓을 경우, 다른 일반 스마트폰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폰(1) 사용시 최초 액정화면(21)에 출력되는 배율의 차이에 따른 혼동을 주는 문제점이 있는데, 통상의 스마트폰에 구비된 표준렌즈의 배율(1배율)과 동일하게 최초화면으로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줌아웃 동작을 통해 줌아웃 정도(1배율 부터~ 약 0.5 내지 0.3배율)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촬영의 적응성과 편의성을 높이고자 함에 있다.
상기 줌아웃 동작은 사용자의 액정화면(21) 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화면상에 손가락으로 두 지점에 각각 터치한 다음 두 지점이 근접될 수 있도록 모이는 형태로 동작을 하여 줌아웃 정도를 조절한다. 이는 스마트폰(1) 내에 통상적으로 축소 작업을 하는 동작과 유사한데 본 발명의 줌아웃 동작을 통해 피사체(A)가 축소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 위함이다.
아래에는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마트폰(1)의 셀프촬영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셀프촬영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 전면부에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로 이루어진 줌아웃카메라를 구비하는 단계(S1)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여 셀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와, 셀프모드 전환시 최초 기본출력값을 1배율로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S3)와, 사용자에 의해 기본출력값에서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하는 단계(S4)와, 상기 줌아웃 된 화면에서 촬영하는 단계(S5)와, 촬영 후 보정단계(S6)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줌아웃카메라를 구비하는 단계(S1)는 어안렌즈 또는 광각렌즈로 이루어진 줌아웃카메라(32)를 스마트폰(1)의 전면부(20)에 구비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상기 줌아웃카메라(32)는 최대 약 0.5 내지 0.3 배율로 줌아웃 될 수 있도록 한 성능으로 구비된다.
상기 셀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게 되면 후면부(10)에 구비된 줌인카메라(31)가 작동되는 일반촬영모드로 액정화면(21)에 나타나는데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셀프모드 전환버튼(미도시)을 터치실행 하여 전환하게 된다.
상기 셀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를 거치면 셀프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최초 기본출력값을 1배율로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S3)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는 표준렌즈로 구성된 일반 스마트폰(1)의 사용과 병행해도 불편함이 없도록 사용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다음 줌아웃 동작(터치동작)을 통해 줌아웃이 이루어지는 줌아웃 된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4)로 넘어가게 된다.
상기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하는 단계(S4);는 줌아웃 동작(터치동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성에 따라 피사체(A)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인식 단계(S4-1)와, 얼굴 인식후 촬영인원이 인원이 2인 이상이 될 경우 자동으로 줌아웃 된 화면으로 전환하는 자동전환 단계(S4-2)를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줌아웃 동작을 하지 않아도 촬영인원에 따라 줌아웃 정도를 최적의 배율로 자동조절하기 때문에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얼굴인식 동작은 통상의 디지털카메라 기능인 안면인식을 통한 원리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줌아웃 된 화면에서 촬영단계(S5)를 거친 다음 촬영 후 보정단계(S6)로 넘어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로 0.5~0.3 배율로 촬영하게 되면 사진 테두리 부분이 왜곡되어 보이는 배럴 디스토션(Barrel distortion)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위의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사진편집기능이 동반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연동되도록 하여 테두리 부분을 삭제하거나 사진의 좌표를 변환하여 왜곡된 사진을 보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줌아웃 된 사진의 촬영된 사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스마트폰
10 : 후면부
20 : 전면부
21 : 액정화면
30 : 촬영부
31 : 줌인카메라
32 : 줌아웃카메라
40 : 제어부
A : 피사체
S1~S6 : 스마트폰의 셀프촬영 방법

Claims (6)

  1. 스마트폰(1)의 후면부(10)와 전면부(20)에 각각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의 후면부(10)에 표준렌즈로 구성된 줌인카메라(31)가 구비되고, 전면부(20)는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줌아웃카메라(32)로 이루어진 촬영부(30)와;
    상기 촬영부(30)에서 줌아웃카메라(32)의 촬영 셋팅값을 설정하는 제어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촬영시 줌 아웃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줌아웃카메라(32)를 이용한 셀프촬영시 액정화면(21)에 나타나는 최초 기본출력값을 1배율 화면으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줌아웃 동작에 의해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촬영시 줌 아웃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줌아웃 동작은 사용자의 액정화면(21) 터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촬영시 줌 아웃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4. 스마트폰의 셀프촬영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 전면부에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로 이루어진 줌아웃카메라를 구비하는 단계와(S1);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여 셀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와, 셀프모드 전환시 최초 기본출력값을 1배율로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S3)와; 사용자에 의해 기본출력값에서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하는 단계(S4)와, 상기 줌아웃 된 화면에서 촬영하는 단계(S5)와; 촬영 후 보정단계(S6);로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촬영시 줌 아웃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셀프촬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줌아웃 된 화면으로 변환하는 단계(S4)는;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인식 단계(S4-1)와, 얼굴 인식후 촬영인원이 인원이 2인 이상이 될 경우 자동으로 줌아웃된 화면으로 전환하는 자동전환 단계(S4-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촬영시 줌 아웃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셀프촬영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후 보정단계(S6)는; 촬영후 왜곡되어 표현될 수 있는 이미지의 테두리부분을 왜곡보정 또는 삭제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촬영시 줌 아웃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셀프촬영 방법.


KR1020130129664A 2013-10-30 2013-10-30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1390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64A KR101390099B1 (ko) 2013-10-30 2013-10-30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64A KR101390099B1 (ko) 2013-10-30 2013-10-30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099B1 true KR101390099B1 (ko) 2014-04-29

Family

ID=5065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664A KR101390099B1 (ko) 2013-10-30 2013-10-30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414A (ko) 2014-07-29 2016-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906A (ko) * 2009-07-2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43292A (ko) * 2011-10-20 2013-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3042A (ko) * 2011-11-14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디지털 촬영 장치
KR20130110556A (ko) * 2012-03-29 2013-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906A (ko) * 2009-07-2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43292A (ko) * 2011-10-20 2013-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3042A (ko) * 2011-11-14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디지털 촬영 장치
KR20130110556A (ko) * 2012-03-29 2013-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414A (ko) 2014-07-29 2016-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84686A1 (zh) 一种拍摄方法、装置与设备
US79738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US20150049233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3073766A1 (en) Zoo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JP5274388B2 (ja) 撮像装置
WO2022262344A1 (zh)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KR102072731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8427555B2 (en) Imag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rea wider than a recording area
WO201519408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802158A (zh) 切换摄像头的方法与电子设备
KR20050109190A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와이드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US11330156B2 (en) Image capturing device
JP2016103666A (ja) 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US8773568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manipulation of view finders
KR20060035198A (ko) 얼굴인식 기법을 이용한 카메라 자동 줌 시스템 및 이를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얼굴인식 기법을 이용한카메라 자동 줌 방법
KR101390099B1 (ko)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JP2014045404A (ja) 携帯端末
US11463622B2 (en) Image capturing device including superimposed display mode and camera shake correction mode
KR20090061962A (ko)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CN112104796B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2134680A (ja) 撮像装置
WO2023225910A1 (zh) 视频显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2004201101A (ja) デジタルカメラ
CN115314606A (zh) 摄像装置
JP2004242208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補正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