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145B1 -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145B1
KR101386145B1 KR1020080006632A KR20080006632A KR101386145B1 KR 101386145 B1 KR101386145 B1 KR 101386145B1 KR 1020080006632 A KR1020080006632 A KR 1020080006632A KR 20080006632 A KR20080006632 A KR 20080006632A KR 101386145 B1 KR101386145 B1 KR 10138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input
output
camera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718A (ko
Inventor
하승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1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영상 처리부의 입력 프레임 수와 출력 프레임 수를 비교하여 입력 프레임 수가 출력 프레임 수보다 큰 경우 영상 처리부에 과부하가 걸리고 있다고 판단하여 입력 프레임 수를 줄여 영상 처리부의 부하를 줄임으로서 끊김 현상이 없는 부드러운 출력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수, 카메라, 영상 처리, 동영상, 단말기

Description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METHOD FOR FRAME CONTROL OF CAMERA AND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처리부의 입력 프레임 수와 출력 프레임 수를 비교하여 영상 처리부의 부하를 줄임으로서 끊김 현상이 없는 부드러운 출력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와 더불어 그 크기가 점차적으로 소형화 되었고,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단순한 한가지의 기능 이외에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가 일반화 되었으며, 특히 카메라의 소형화와 더불어 카메라 기능이 추가된 단말기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되는 카메라의 화소수가 높아지고, 화질 역시 개선되었다. 또한,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 증가와 더불어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는 사진 촬영 뿐 아니라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카메라의 성능 평가에는 동영상 또는 프리뷰 화면에서 프레임 수(초당 영상 수)가 기준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영상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수는 입력되는 영상들을 재가공하는 영상 처리부의 성능에 따라 좌우된다. 또한, 전술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자체적으로 프레임 수가 하나의 특정 값으로 지정되어 있거나, 단말기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값으로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되어있다. 이처럼 출력 영상의 프레임 수가 고정되면, 영상 처리부의 출력 영상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영상 처리부의 부하에 따라 프레임 수가 조절되지 못하여 영상 처리부 과부하 시 입력 프레임 손실이 발생하여 출력 영상이 고르지 못하며,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영상 처리부의 부하에 따라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프레임을 자동 조절함으로서 프레임 손실을 방지하고, 끊김 현상이 없는 부드러운 출력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처리부의 부하가 큰 경우 영상 처리부에 입력되는 프레임 수를 감소 시키고, 영상 처리부의 부하가 적은 경우 영상 처리부에 입력되는 프레임 수를 증가 시키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 처리부의 부하를 줄임으로서 불필요한 메모리와 시간 낭비를 막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처리부의 과부하에 따른 입력 영상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출력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은 카메라에서 출력되어 영상 처리부에 입력되는 입력 프레임 수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가공되어 출력되는 출력 프레임 수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카메라에 피드백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영상 신호를 촬영하고, 프레임 수가 조절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의 입력 프레임 수와 출력 프레임 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는 영상 처리부의 과부하에 따른 입력 영상 손실이 없으므로 끊김 없는 부드러운 출력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는 영상 처리부의 부하를 줄임으로서 비효율적인 메모리 낭비를 막아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는 멀티 태스킹(Multitasking) 작업에 따른 시스템 부하에 따라 카메라의 프레임 수를 조절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를 내장 또는 외장 함으로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통신 기능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PMP(Potable Multimidia Player)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사진 또는 동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카메라(110), 상기 카메라(100)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가공하는 영상 처리부(120), 상기 영상 처리부(120)에서 가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30), 상기 가공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140) 및 상기 카메라(110)의 프레임 수를 조절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0)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수단이 되며, 프레임 수가 조절되는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150)의 프레임 수 조절 명령에 따라 프레임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위해 상기 카메라(110)는 상기 제어부(150)의 설명에서 후술하는 프레임 수 조절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0)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은 상기 카메라(110)의 메인 클럭을 조절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가공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리사이즈(Resize), 메모리간 이동, RGB 신호 변환, A/D 변환, 잡음 제거, 디지털 줌(Digital Zoom), 회전(Rotation), 인코딩(Encoding) 등의 영상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20)의 각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영상 처리된 출력 영상은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거나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제어부(150)에 포함되어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영상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상기 표시부(130)는 사진 촬영 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동영상 촬영 시 녹화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신호 수신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부(140)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영상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영상 처리부(120)에 입력되는 프레임 수(이하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영상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수(이하 출력 프레임 수)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수가 출력 프레임 수 보다 큰 경우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일정크기 만큼 감소시키기 위한 참조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와 출력 프레임 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일정크기 만큼 증가시키기 위한 참조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 부(120)의 부하에 따라 유동적이며,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을 손실없이 처리할 수 있는 최적 프레임 수인 가변 프레임 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프레임 수는 상기 영상 처리부(120)의 부하가 큰 경우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영상 처리부(120)의 부하가 적은 경우 증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단말기(100) 내부 블록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50)는 프레임 수 검출부(151), 프레임 수 비교부(152), 프레임 수 조절부(153) 및 가변 프레임 수 검출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를 상기 프레임 수 검출부(151)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입력 프레임 수와 출력 프레임 수는 상기 프레임 수 비교부(152)에서 비교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프레임 수 비교부(152)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프레임 수 조절부(153)를 통해 상기 카메라(110)의 출력 프레임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 수 비교부(152)의 비교 결과 상기 입력 프레임 수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보다 클 경우 상기 프레임 수 조절부(153)는 상기 카메라(11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수를 감소시키도록 명령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가 동일해질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가변 프레임 수 검출부(154)는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를 상기 영상 처리부(120)에서 프레임의 손실없이 처리할 수 있는 최적 프레임 수인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프레임 수 조절부(153)는 상기 카메라(11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수를 증가시키도록 명령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입력 프레임 수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 보다 커질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가변 프레임 수 검출부(154)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 보다 커지기 직전의 입력 프레임 수를 상기 영상 처리부(120)에서 프레임 손실없이 처리할 수 있는 최적 프레임 수인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술한 과정을 거쳐 상기 가변 프레임 수가 결정이 되면 일정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110)의 출력 프레임 수를 상기 가변 프레임 수로 유지할 수 있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카메라(110)의 동작여부를 확인하여 상술한 카메라 프레임 조절 과정을 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영상 처리부(120)의 부하정도를 확인하여 카메라 프레임 조절 과정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 중 상기 영상 처리부(120)를 사용하는 이벤트 즉, 노이즈 제거 기능, 흔들림 보정 기능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상술한 카메라의 프레임 조절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수 조절부(153)는 상기 카메라(110)에 포함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 수 조절부(153)는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상기 프레임 수 비교부의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카메라(110)의 출력 프레임 수 즉, 상기 영상 처리부(120)의 입력 프레임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도 2에서 "I"는 "Input"의 약자로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나타내고, "O"는 "Output"의 약자로 상기 출력 프레임 수를 나타낸다. 알파(α) 및 베타(β)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I)를 일정크기 만큼 증가 또는 감소 시키기 위한 참조 값이다. 이 때, 알파(α) 및 베타(β)는 자연수 이다. 또한, 상기 알파(α) 및 베타(β) 값은 단말기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알파(α) 및 베타(β) 값을 1씩 증가 또는 감소 시키거나 2 이상씩 증가 또는 감소 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파(α) 및 베타(β) 값의 증가 또는 감소되는 크기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알파(α) 및 베타(β) 값은 카메라의 성능에 따라 한계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110)가 최대 초당 30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면 상기 알파(α) 및 베타(β) 값은 3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S201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110)의 구동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카메라의 구동은 동영상 촬영 또는 프리뷰 화면 동작이 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0)가 구동 중이 아닐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S202 단계로 분기하여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을 위한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S201 단계에서 카메라가 구동 중일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S203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프레임 수 검출부(151) 및 상기 프레임 수 비교부(152)를 통해 상기 입력 프레임 수(I)와 출력 프레임 수(O)를 비교한다. 이 때, 상기 입력 프레임 수(I)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보다 크지 않은 경우 즉, 상기 입력 프레임 수(I)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S207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수(I)에 상기 참조 값 알파(α)를 더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수(I)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50)는 S209 단계에서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I + α)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I +α)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가 같다면 상기 제어부(150)는 S211 단계로 분기하여 알파(α) 값에 베타(β) 값을 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의 상기 S211 단계에 보여지는 표현식 "α <- α + β"은 우측의 "α + β" 값을 좌측 알파(α) 값에 대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S211 단계를 거쳐 상기 S207 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알파(α) 값은 베타(β)의 크기만큼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S207 단계에서의 알파(α) 값은 이전의 알파(α) 값 보다 베타(β) 값 만큼 크게 된다. 이 때 이전 알파(α) 값은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S207, S209, S211 단계는 상기 S209 단계에서 상기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I +α)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와 동일하지 않은 상황 즉, 상기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I +α)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 보다 커질 때까지 반복되어 진다. 상기 S209 단계에서 상기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I + α)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 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S213 단계로 진행하고, 이전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I + α)를 상기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제어부(150)는 S221 단계로 진행하여 일정시간 대기하게 된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S201 단계로 진행하여 상술한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과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과정은 이벤트 발생 즉, 노이즈 제거 기능, 흔들림 보정 기능 등을 설정함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120)의 부하가 가중 될 시 수행될 수 있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상기 S203 단계에서 상기 입력 프레임 수(I)가 출력 프레임 수(O)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S205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수(I)에 상기 참조 값 알파(α) 만큼 상기 입력 프레임 수(I)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50)는 S215 단계로 진행하여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I - α)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I -α)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보다 크다면 상기 제어부(150)는 S217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알파(α) 값에 베타(β) 값을 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의 상기 S217 단계에 보여지는 표현식 "α <- α + β"은 상기 S211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즉, 상기 S217 단계를 거쳐 상기 S205 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알파(α) 값은 베타(β) 값 만큼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S205 단계에서의 알파(α) 값은 이전의 알파(α) 값 보다 베타(β) 값 만큼 크다.
상기 S205, S215, S217 단계는 상기 S215 단계에서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I -α)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 보다 크지 않은 상황 즉,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I -α)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와 동일해질 때까지 반복되어 질 수 있다.
상기 S215 단계에서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I - α)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O)가 동일해 지면 상기 제어부(150)는 S219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I - α)를 상기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제어부(150)는 S221 단계로 진행하여 일정시간 대기하게 된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S201 단계로 진행하여 상술한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과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과정은 이벤트 발생 즉, 노이즈 제거 기능, 흔들림 보정 기능 등을 설정함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120)의 부하가 가중 될 시 수행될 수 있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이상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120)의 입력 프레임 수와 출력 프레임 수를 비교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120)의 부하정도를 파악하고, 프레임 손실없이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가변 프레임 수를 찾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 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19)

  1. 카메라에서 출력되어 영상 처리부에 입력되는 입력 프레임 수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가공되어 출력되는 출력 프레임 수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카메라에 피드백하여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증가 시키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증가 시키는 과정 이 후
    상기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가 동일하다면 상기 기 설정된 참조 값을 증가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프레 임 수 조절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증가 시키는 과정 이 후
    상기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보다 커진 경우 직전 입력 프레임 수를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하는 과정 이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를 상기 가변 프레임 수로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프레임 수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 보다 클 경우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감소 시키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감소 시키는 과정 이 후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보다 크다면 상기 기 설정된 참조 값을 증가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감소 시키는 과정 이 후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가 동일해진 경우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하는 과정 이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를 상기 가변 프레임 수로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10. 영상 신호를 촬영하고, 프레임 수가 조절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의 입력 프레임 수와 출력 프레임 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일정크기만큼 증가 또는 감소 시키기 위한 참조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증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증가 시킨 후 상기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가 동일하다면 상기 기 설정된 참조 값을 증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증가 시킨 후 상기 증가된 입력 프레임 수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보다 커진 경우 직전 입력 프레임 수를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프레임 수를 결정한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의 출력 프레임 수를 상기 가변 프레임 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 보다 큰 경우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감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감소 시킨 후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가 상기 출력 프레임 수 보다 큰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참조 값을 증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프레임 수를 기 설정된 참조 값 만큼 감소 시킨 후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와 상기 출력 프레임 수가 동일해진 경우 상기 감소된 입력 프레임 수를 가변 프레임 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프레임 수를 결정한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의 출력 프레임 수를 상기 가변 프레임 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80006632A 2008-01-22 2008-01-22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KR10138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32A KR101386145B1 (ko) 2008-01-22 2008-01-22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32A KR101386145B1 (ko) 2008-01-22 2008-01-22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18A KR20090080718A (ko) 2009-07-27
KR101386145B1 true KR101386145B1 (ko) 2014-04-18

Family

ID=4129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632A KR101386145B1 (ko) 2008-01-22 2008-01-22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1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6130A2 (en) * 1995-11-27 1997-05-28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frame rate
KR20050056084A (ko) * 2003-12-09 2005-06-1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프레임 자동 조절 장치
KR100663580B1 (ko) 2005-05-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의 디스플레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6130A2 (en) * 1995-11-27 1997-05-28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frame rate
KR20050056084A (ko) * 2003-12-09 2005-06-1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프레임 자동 조절 장치
KR100663580B1 (ko) 2005-05-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의 디스플레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18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9323B2 (en) System and method to autofocus assisted by autoexposure control
US9325905B2 (en) Generating a zoomed image
KR101781773B1 (ko) 이미지 해상도를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7183908A1 (en) Methodology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 fidelity zoom for mobile video
EP2161924B1 (en) Camera system and method
EP2685709A1 (en) Camera control system, mobile device having the system, and camera control method
US8077242B2 (en) Clock management of bus during viewfinder mode in digital camera device
KR20140128885A (ko) 전력 효율적인 이미지 감지 장치, 이미지 감지 장치의 작동 방법 및 눈/시선 추적 시스템
CN104917973B (zh) 动态曝光调整方法及其电子装置
US20180139369A1 (en) Backlit face detection
US11509837B2 (en) Camera transition blending
JP7364802B2 (ja) デジタルカメラのためのズーム設定調整
WO2018140141A1 (en) Adaptive buffering rate technology for zero shutter lag (zsl) camera-inclusive devices
JP691113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8929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386145B1 (ko) 카메라의 프레임 수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US201603736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pturing frames based on device information
JP201209004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49346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pressing images
US20160127656A1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imaging device
JP2013017083A (ja) 撮像装置
JP2015053652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05649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330868A (ja) 電子カメラ装置
JP200605460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