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703B1 -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 - Google Patents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703B1
KR101379703B1 KR1020130021620A KR20130021620A KR101379703B1 KR 101379703 B1 KR101379703 B1 KR 101379703B1 KR 1020130021620 A KR1020130021620 A KR 1020130021620A KR 20130021620 A KR20130021620 A KR 20130021620A KR 101379703 B1 KR101379703 B1 KR 10137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fluid
yoke
assay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듀크씨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크씨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크씨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27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1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가 개시된다. 본 유체 단속용 밸브는, 일측에 유체의 유입로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의 유출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로에서 상기 유출로로 수평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실이 구비된 바디부; 상기 유입로와 상기 유출로의 중심에서 상기 바디부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상기 승하강을 통해 상기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는 디스크가 형성되는 밸브 스템부; 상단부에 상기 디스크의 승하강을 조절하기 위한 핸드휠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상기 바디부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통로가 마련되는 요크 어세이부; 상기 요크 어세이의 하단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요크 어세이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에 마련된 제1 돌출부에 의해 하강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밸브 스템부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마련되는 본네트부; 및 상기 본네트부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유로실에서 상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기밀되도록 하고,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에 의해 상승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링;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을 통해 열팽창이 최소화되고, 열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압력에 대한 기밀력이 더욱 높아지게 되며, 리테이너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시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씰링을 제거한 후 곧바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BONNET LEAKAGE PREVENTION ENHANCED VALVE FOR BLOCKING FLUID}
본 발명은 고온, 고압의 유체에 대한 공급을 단속하기 위해 관체 중간에 설치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 고압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여 누설을 방지하고 조립 및 교체가 간편한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게이트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휠의 조작으로 인해 하단부에 마련되는 디스크를 수직 이동시키고, 이러한 수직 이동으로 인해 유체가 수평으로 유출입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바디부(13)에 본네트부(11)를 장착시키는 과정, 본네트부(11)의 일단에 씰링(17)을 적층시키는 과정, 씰링(17)의 상단에 스페이서 링(16)을 적층시키는 과정, 스페이서 링(16)의 상단에 스프릿 링(15)을 적층시키는 과정, 스프릿 링(15)의 상단에 리테이너(20)를 적층시키고 나사(21)를 이용한 나사결합을 통해 리테이너(20)와 본네트부(11)를 고정시키는 과정, 요크 어세이부(12)를 적층시키는 과정 및 나사(14)를 이용한 나사결합을 통해 요크 어세이부(12)와 바디부(13)를 결합시키는 과정 등이 수반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밸브가 조립되어 생산 현장에 설치되어 밸브가 동작하게되면, 바디부(13) 내부에 유체 및 압력이 존재하고 이러한 압력이 본네트부(11)의 하부에 가해지게 되며 스프릿 링(15)이 항시 고정되어 있어 스페이서 링(16)과 씰링(17)을 압축하여 본네트부(11)의 상부로 유체가 유출되지 못하게 동작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항시 고정되어 있는 스프릿 링(15)은 좌우가 반으로 나뉜 상태로 분할되어져 밸브 내에 삽입되어 있는데, 이러한 밸브의 보수를 위해서는, 별도의 툴을 사용하여 바디부(13)의 hole을 통해 스프릿 링(15)을 꺼내고 이물질을 제거하며 표면을 연마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기존의 밸브 구조 하에서는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국내외 발전 플랜트 시장에서는 밸브의 유지/보수 기간이 짧은 관계로 밸브에서 노후화된 부분이나 부품을 보다 쉽고 빠르게 교체해야 하는데, 기존의 밸브 구조는 분해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러한 실정과 필요성에 역행하고 있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밸브를 사용하는 도중에는 특정한 시점에서 본네트부(11)에서 누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누설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나사(21)를 조여 본네트부(11)를 들어올림으로써 씰링(17)을 압축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일차적인 누설방지 수단인 씰링(17)이 손상되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누설을 방지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해결안이라고 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최하단의 씰링(17)의 하단부면이 면 형태로 되어 있어 고온 및 고압에 의한 누설이 쉽게 발생되고 누설시 마모가 더욱 심하며 이물질의 발생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네트의 씰링 효과를 극대화하여 유체의 압력으로부터 완벽하게 누설을 방지하고 분해와 조립이 간편한 본네트 구조를 가지는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단속용 밸브는, 일측에 유체의 유입로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의 유출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로에서 상기 유출로로 수평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실이 구비된 바디부; 상기 유입로와 상기 유출로의 중심에서 상기 바디부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상기 승하강을 통해 상기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는 디스크가 형성되는 밸브 스템부; 상단부에 상기 디스크의 승하강을 조절하기 위한 핸드휠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상기 바디부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통로가 마련되는 요크 어세이부; 상기 요크 어세이의 하단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요크 어세이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에 마련된 제1 돌출부에 의해 하강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밸브 스템부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마련되는 본네트부; 및 상기 본네트부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유로실에서 상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기밀되도록 하고,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에 의해 상승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링 중 최하단의 링은, 상기 바디부와 상기 본네트부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되는 압력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복수의 링과 상기 본네트부 사이 및 상기 복수의 링과 상기 바디부 사이로 전달되는 압력을 커버함으로써 기밀력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해, 하단이 오픈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C-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네트부는, 상기 요크 어세이부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지 않고 상호 분리가능한 상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로실에서 상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본네트부의 일측에 적층된 상기 복수의 링이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에 의해 상승이 저지됨으로 인해 함께 상승이 저지되고, 상기 유로실에서 상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중력에 의한 하강이 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단속용 밸브에 C-링을 사용함으로써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을 통해 열팽창이 최소화되고, 열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압력에 대한 기밀력이 더욱 높아지게 되며, 리테이너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시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씰링을 제거한 후 곧바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단속용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단속용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단속용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는 본네트부(110), 요크 어세이부(120), 바디부(130), 나사(140), 스프릿 링(150), 스페이서 링(160), C-링(170) 및 밸브 스템부(180)로 구성된다.
우선, 바디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유체가 유입하는 유입로가 형성되고 우측에 유체가 유출하는 유출로가 형성된다. 중앙부분에는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실이 마련된다.
이러한 유입로에서 유로실을 거쳐 유출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될 때, 밸브 스템부(180)의 하단에 마련된 디스크에 의해 유체의 유출입이 단속된다.
밸브 스템부(180)는 바디부(130)의 중앙에서 수직 형태로 마련되어 유입로와 유출로의 중심에서 디스크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하고, 이러한 디스크가 유로실에서 승하강함으로 인해 유체의 유출입이 단속 또는 단속해제된다.
밸브 스템부(180)의 하단에는 디스크가 마련되는 반면, 밸브 스템부(180)의 상단은 요크 어세이부(120)가 마련된다.
요크 어세이부(120)는 밸브의 축을 담당하기 위해 상단부에 디스크의 승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핸드휠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바디부(130)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통로가 마련되게 된다. 즉, 요크 어세이부(120)는 본네트부(110)와 일부 면에서 인접하도록 형성되나 직접적으로 본네트부(110)과 결합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추후 본네트부(110)의 조립해제가 용이해지고 본네트부(110)의 상단에 적층된 스프릿 링(150), 스페이서 링(160) 및 C-링(170)에 대한 유지 보수도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밸브의 고정을 위해, 요크 어세이부(120)는 바디부(130)와 나사(140)를 통해 나사결합을 하게 된다. 바디부(130) 역시 본네트부(110)와 일부 면에서 인접하도록 형성되나 직접적으로 본네트부(110)과 결합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추후 본네트부(110)의 조립해제가 용이해지고 본네트부(110)의 상단에 적층된 스프릿 링(150), 스페이서 링(160) 및 C-링(170)에 대한 유지 보수도 용이해지게 된다.
즉, 밸브는 상단이 요크 어세이부(120)로 구성되고 하단이 바디부(130)로 구성되며, 이러한 요크 어세이부(120)와 바디부(130)로 둘러쌓인 내부에 본네트부(11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그리고, 본네트부(110)는 직접적으로 요크 어세이부(120)나 바디부(130)와 결합되지 않고 외부의 요크 어세이부(120)와 바디부(130)만이 나사(140)로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많은 수의 나사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이하에서는, 본네트부(110)가 요크 어세이부(120)나 바디부(130)와 나사결합되지 않고 밸브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밸브의 제작을 위해 바디부(130)에 본네트부(110)를 거치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거치를 위해, 바디부(130)는 내부에 안쪽으로 형성되는 돌기가 있는 돌출부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바디부(130)의 돌출부에 본네트부(110)가 거치됨으로 인해 중력에 의해 본네트부(11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네트부(110)의 일단에 C-링(170)이 적층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C-링(170)은 본네트부(110)의 상단에 적층되는 여러 개의 링들 중 가장 하단에 적층되어 바디부(130)에서 전달되는 고온 고압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게 된다.
한편, C-링(170)은 단면이 'C' 형상을 가지는 링인데 구체적으로는 'C' 형상에서 하단이 오픈된 구조를 가지도록 '∩' 형상의 단면으로 된 금속 재질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단이 오픈된 C-링(170)을 사용함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우선, 바디부(130)에서 고온 고압의 유압이 전달될 때, 하단이 오픈되어 있기 때문에 '∩' 형상의 내부로 유압을 품게 된다. C-링(170)이 비록 금속 재질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워낙 고압의 유압이 전달되기 때문에 전달되는 유압의 정도에 따라 더 많은 유압을 품게 되고, 이로 인해 '∩' 형상의 내부가 팽창하게 되며, 양 끝 부분 간의 거리가 서로 더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유압이 높아질수록 시일링과 기밀 유지라는 C-링(170)의 본연의 목적을 보다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 끝 부분은 각각 선형태로 유압과 마주하는 되기 때문에 유압에 의한 변형이나 마모의 정도가 기존의 면형태보다 작게 된다.
C-링(170)의 적층이 완료되면, 스페이서 링(160)과 스프릿 링(130)이 차례로 적층된다. 이 중 스프릿 링(130)은 본네트부(110)의 상단에 적층되는 여러 개의 링들 중 가장 상단에 적층되고 구체적으로는 바디부(130)의 내부에 안쪽으로 형성되는 돌기가 있는 또 다른 돌출부의 하단에 형성되도록 적층된다.
이와 같이 본네트부(110)의 상단에 C-링(170), 스페이서 링(160) 및 스프릿 링(170)이 차례로 적층되고 최상단의 스프릿 링(170)은 바디부(130)의 또 다른 돌출부의 하단에 마련됨으로 인해, 유압에 의해 본네트부(110)를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승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의하면 요크 어세이부(120)와 바디부(130)가 간단하게 결합되어 있어 양자의 신속한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 유닛들에 대한 교환 또는 이물질 제거시, 단순히 요크 어세이부(120)를 들어올린 후 본네트부(110)의 상단에 적층된 C-링(170), 스페이서 링(160) 및 스프릿 링(170)을 차례로 꺼내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단속용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구별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도 본네트부(110), 요크 어세이부(120), 바디부(130), 나사(140), 스프릿 링(150), 스페이서 링(160), C-링(170) 및 밸브 스템부(18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거치를 위해, 바디부(130)는 내부에 안쪽으로 형성되는 돌기가 있는 돌출부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바디부(130)의 돌출부에 본네트부(110)가 거치됨으로 인해 중력에 의해 본네트부(11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C-링(170), 스페이서 링(160), 그리고, 스프릿 링(130)이 차례로 적층된다. 이 중 스프릿 링(130)은 본네트부(110)의 상단에 적층되는 여러 개의 링들 중 가장 상단에 적층되고 구체적으로는 최상단에서 요크 어세이부(120)에 직접 인접하도록 적층된다.
이와 같이 본네트부(110)의 상단에 C-링(170), 스페이서 링(160) 및 스프릿 링(170)이 차례로 적층되고 최상단의 스프릿 링(170)의 상부에 요크 어세이부(120)가 적층됨으로 인해, 유압에 의해 본네트부(110)를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승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요크 어세이부(120)와 바디부(130)의 신속한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 유닛들에 대한 교환 또는 이물질 제거시, 단순히 요크 어세이부(120)를 들어올린 후 본네트부(110)의 상단에 적층된 C-링(170), 스페이서 링(160) 및 스프릿 링(170)을 차례로 꺼내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최상단의 스프릿 링(170)이 하나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기존의 1/2씩 좌우로 나누어져있던 구조에 비해 보다 용이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되며, 스페이서 링(160)을 꺼내기 위해 바디부(130)에 별도의 hole이 마련되어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 : 본네트부 12 : 요크 어세이부
13 : 바디부 14 : 나사
15 : 스프릿 링 16 : 스페이서 링
17 : 씰링 18 : 밸브 스템부
20 : 리테이너 21 : 나사
110 : 본네트부 120 : 요크 어세이부
130 : 바디부 140 : 나사
150 : 스프릿 링 160 스페이서 링
170 : C-링 180 : 밸브 스템부

Claims (3)

  1. 일측에 유체의 유입로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의 유출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로에서 상기 유출로로 수평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실이 구비된 바디부;
    상기 유입로와 상기 유출로의 중심에서 상기 바디부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상기 승하강을 통해 상기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는 디스크가 형성되는 밸브 스템부;
    상단부에 상기 디스크의 승하강을 조절하기 위한 핸드휠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상기 바디부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통로가 마련되는 요크 어세이부;
    상기 요크 어세이의 하단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요크 어세이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에 마련된 제1 돌출부에 의해 하강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밸브 스템부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마련되는 본네트부; 및
    상기 본네트부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유로실에서 상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기밀되도록 하고,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에 의해 상승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링 중 최하단의 링은,
    상기 바디부와 상기 본네트부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되는 압력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복수의 링과 상기 본네트부 사이 및 상기 복수의 링과 상기 바디부 사이로 전달되는 압력을 커버함으로써 기밀력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해, 하단이 오픈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C-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단속용 밸브.
  2. 삭제
  3. 일측에 유체의 유입로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의 유출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로에서 상기 유출로로 수평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실이 구비된 바디부;
    상기 유입로와 상기 유출로의 중심에서 상기 바디부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상기 승하강을 통해 상기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는 디스크가 형성되는 밸브 스템부;
    상단부에 상기 디스크의 승하강을 조절하기 위한 핸드휠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상기 바디부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통로가 마련되는 요크 어세이부;
    상기 요크 어세이의 하단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요크 어세이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에 마련된 제1 돌출부에 의해 하강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밸브 스템부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마련되는 본네트부; 및
    상기 본네트부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유로실에서 상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기밀되도록 하고,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에 의해 상승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링;을 포함하고,
    상기 본네트부는,
    상기 요크 어세이부 및 상기 바디부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지 않고 상호 분리가능한 상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로실에서 상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본네트부의 일측에 적층된 상기 복수의 링이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에 의해 상승이 저지됨으로 인해 함께 상승이 저지되고,
    상기 유로실에서 상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중력에 의한 하강이 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단속용 밸브.
KR1020130021620A 2013-02-28 2013-02-28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 KR10137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620A KR101379703B1 (ko) 2013-02-28 2013-02-28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620A KR101379703B1 (ko) 2013-02-28 2013-02-28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703B1 true KR101379703B1 (ko) 2014-04-01

Family

ID=5065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620A KR101379703B1 (ko) 2013-02-28 2013-02-28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7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220A (ja) * 1998-08-12 2000-03-03 Kitz Corp 調節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220A (ja) * 1998-08-12 2000-03-03 Kitz Corp 調節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876B1 (ko) 착탈식 시트와 케이지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RU2706868C2 (ru) Мембранный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привод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усилием срабатывания
US10072682B2 (en) Multi-chamber diaphragm actuator with synchronized supply system
KR101652925B1 (ko)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
KR101401086B1 (ko) 조립식 고압유량제어밸브
CN107339457A (zh) 一种可在线维修的上装式固定球阀
KR101178901B1 (ko) 안전 방출 밸브
KR101379703B1 (ko)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
KR101269692B1 (ko) 테프론라인더 버터플라이밸브 기밀구조
TW201413144A (zh) 流體控制器用致動器
KR200475572Y1 (ko) 감압밸브의 역압 배출통로 기밀구조
KR102269840B1 (ko) 글로브 밸브의 유체 누설 방지구조
WO2015141883A1 (ko) 본네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유체 단속용 밸브
KR10169593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글로브 밸브
CN206786020U (zh) 低压旁路阀
KR20200008167A (ko) 액추에이터, 밸브 및 반도체 제조 장치
CN104132166A (zh) 压力调节器
CN102494147A (zh) 快开和快闭调节阀
RU153779U1 (ru) Фильтр-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воды
US9677679B2 (en) Valve with force generating element
CN203628011U (zh) 防外漏自密封阀门
KR200457552Y1 (ko) 감압밸브의 역압배출구조
KR102014835B1 (ko) 밸브용 액츄에이터
KR100949300B1 (ko) 본네트형 나이프 게이트 밸브
KR101880639B1 (ko) 스마트 제어밸브 구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