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54B1 -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054B1
KR101377054B1 KR1020130111229A KR20130111229A KR101377054B1 KR 101377054 B1 KR101377054 B1 KR 101377054B1 KR 1020130111229 A KR1020130111229 A KR 1020130111229A KR 20130111229 A KR20130111229 A KR 20130111229A KR 101377054 B1 KR101377054 B1 KR 10137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iner
container bag
perforated
outback
sea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13011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물을 보호하고 내부의 잔존 에어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보관 효율 및 수납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아웃백의 내측에 배치되되,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시트몸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분체류의 수납시 상기 저장공간에 유입된 잔존 에어를 배출하도록 상기 시트몸체의 상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에어배출홀이 형성된 천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보호하고 내부의 잔존 에어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보관 효율 및 수납 안전성이 향상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내용물을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내용물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특히, 상기 내용물은 이차전지의 소재로 사용되는 양극재, 음극재, 나노분말소재 등 미세한 입자형태로 형성된 분체류를 포함한다. 이때, 컨테이너백은 내용물의 중량에 의해 늘어나면서 원단의 조직이 성글게 되어 틈새가 발생하고, 이러한 틈새로 미세한 입자형태의 내용물이 누출되고, 외부에 먼지나 오염된 불순물이 틈새로 유입되어 내용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백(100)은 외부로부터 수납된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된 아웃백(1)과, 그의 내측에 구비되는 비닐 재질의 이너라이너(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백(100)에 수납된 내용물은 상기 이너라이너(2)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아웃백(1) 내에 보관됨으로써, 내용물이 아웃백(1)의 내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손실 및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미세한 입자형태의 내용물이 이너라이너(2)에 충진될 때 입자 사이에 포함된 다량의 공기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부풀어 오르게 되고, 상기 컨테이너백(100)이 다단으로 적재될 경우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부푼 상태의 상기 이너라이너(2)가 터져 내용물이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보관 효율 및 운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하는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백(100)이 내부 공기층의 유동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이 수납될 때 함께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이너라이너(4)의 외면을 따라 다수의 통기공(5)이 구비되었다. 이때, 다단으로 적층된 컨테이너백(200)의 상하면은 지면 혹은 타 컨테이너백의 상하면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너라이너(4)는 통기공(5)이 이너라이너(4)의 원주면 전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백(200) 내측면에 직접 닿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200)이 보관될 때 상기 통기공(5)을 통해 보관된 입자 형태의 내용물이 누출되어 손실되고, 상기 통기공(5)으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통기공(5)은 상기 이너라이너(4)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하중으로 인해 쉽게 늘어나고 커짐으로써 내용물 누출이나 외부 이물질 유입이 가속화되었으며, 상기 통기공(5)으로 인해 상기 이너라이너(4)의 강도 자체가 저하되어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38171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보호하고 내부의 잔존 에어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보관 효율 및 수납 안전성이 향상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아웃백의 내측에 배치되되,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시트몸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분체류의 수납시 상기 저장공간에 유입된 잔존 에어를 배출하도록 상기 시트몸체의 상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에어배출홀이 형성된 천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배출홀은 0.05~0.5mm의 직경으로 구비되되, 5㎠ 당 1~20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트몸체는 넓게 형성된 수납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는 상기 경사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몸체는 상기 천공부의 하부측에 연결테이프의 일측에 접착되되, 상기 연결테이프의 타측이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부의 외면측에는 상기 에어배출홀과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타공이 형성된 천공덮개부가 구비되되, 상기 천공덮개부의 테두리가 상기 천공부의 외곽을 따라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시트몸체의 상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천공부가 구비되어 분체류와 함께 유입된 잔존 에어가 용이하게 배출되므로 다단 적층시 잔존 에어의 유동으로 인한 컨테이너백의 쓰러짐을 방지하여 적층안전성이 개선되며, 상기 시트몸체의 상부측이 절곡되어 상측의 적재물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천공부가 밀폐되므로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납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시트몸체는 상기 아웃백의 내측 형태에 형합되도록 넓게 형성된 수납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므로 분체류를 아웃백의 내용적에 맞게 채울 수 있어 보관효율이 향상되며, 상기 경사부에 상기 천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에 피라미드 형태로 쌓이는 분체류가 상기 천공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분체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시트몸체는 상기 천공부의 하부측이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에 고정되므로 충진된 상기 분체류의 하중이 상기 천공부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에어배출홀이 커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예방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천공부의 외면측에는 상기 에어배출홀과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타공이 형성된 천공덮개부가 구비되어 엇갈리게 형성된 유로를 따라 잔존 에어가 용이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다단 적재시 상기 천공덮개부가 상기 에어배출홀을 밀폐하므로 상기 시트몸체 내측으로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납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20)는 아웃백(10)의 내측에 배치되되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시트몸체(21)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외부로부터 수납된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12) 및 배출구(11)가 형성된 아웃백(10)과, 그의 내측에 구비되는 이너라이너(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웃백(10)은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로 하여 보관하고, 내용물을 수납할 때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해 정해진 공간에 많은 양의 화물을 수납하도록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주로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를 사용하여 직조하며, 적재되기 용이한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수납된 중량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웃백(10)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투입구(12) 및 상기 배출구(11) 사이에 넓게 형성된 보관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용물은 펠렛(pellet)이나 그래뉼(granule), 파우더(powder) 등 일정한 크기를 가지거나 미세한 입자 형태로 구비된 분체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체류의 보관시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이너라이너(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너라이너(20)는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 내용물을 상기 아웃백(1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의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며,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품질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너라이너(20)는 일체형의 필름으로 구비되어 양측단부를 연결함에 따라 원통형으로 형성된 시트몸체(21)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되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수납된 분체류와 반응성 낮은 섬유재나 합성수지재(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다층 필름, 그리고 알루미늄 필름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몸체(21)는 내측에 형성된 원통형의 저장공간에 상기 분체류를 수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원통형 시트몸체(21)의 상측과 하측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하고, 절개된 부분을 접합하여 좁은 형태의 입구부 및 출구부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장의 필름을 연결하여 좁은 형태의 입구부 및 출구부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복수 장의 필름 연결하여 저장공간을 갖는 시트몸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공간은 사각형의 기둥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시트몸체(21)의 상부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에어배출홀(22a)이 형성된 천공부(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몸체(21)는 상기 아웃백(10)의 투입구(12) 혹은 배출구(11)로 삽입되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시트몸체(21)의 상단 개구측은 상기 아웃백(10)의 투입구(12)측에 배치되어 좁아진 형태를 가지게 되며, 상기 시트몸체(21)의 하단 개구측은 상기 아웃백(10)의 배출구(11)측에 배치되어 좁아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22)는 상기 아웃백(10) 보관부(13)의 상단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웃백(10)의 배출구(11) 및 상기 배출구(11)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시트몸체(21)의 하단측을 밀폐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분체류가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체류는 충진시 세밀한 입자 사이의 공간에 다량의 에어를 함유하여 함께 충진된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되면 분체류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에어가 충진된 공간에 분체류가 유입되고, 상기 에어는 상기 분체류에 의해 밀려 저장공간의 상측으로 유동되어 모이게 된다. 이때, 분체류 입자 사이의 에어가 모두 배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7시간 내지 10시간 정도이며, 입자가 미세할수록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된다.
이처럼, 상기 저장공간의 잔존 에어는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적재하고 보관할 때 공간적인 낭비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포장시 잔존 에어가 상기 시트몸체(21)의 상단 개구뿐만 아니라, 상기 천공부(22)의 에어배출홀(22a)을 통해 배출되므로 상기 저장공간에 유입된 에어가 빠르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공간적인 손실을 방지하고 보관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포장시 별도의 에어 배출 작업 없이 상기 시트몸체(21)를 바로 밀봉하더라도 상기 저장공간 내의 잔존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다단 적층시 상기 시트몸체(21) 내부의 잔존 에어의 유동으로 인한 쓰러짐이 방지되어 적층안전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포장 작업 시간이 단축되므로 포장 작업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테이너백(300)에서 에어가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되므로 보관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체류(S)는 사일로(9)와 같은 저장소에 저장되며, 상기 사일로(9)의 단부는 상기 아웃백(10)의 투입구(12) 및 상기 시트몸체(21)의 상단 개구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분체류는 상기 사일로(9)의 단부로 흘러나와 상기 시트몸체(21) 내측에 충진되고,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내측에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좁은 투입구(12)로 유입된 상기 분체류(S)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은 피라미드 형태로 쌓이게 되므로 상기 시트몸체(21)의 상부에 형성된 천공부(22)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더욱이, 잔존 에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분체류가 충진된 높이는 낮아지게 되며, 상기 천공부(22)가 형성된 상기 시트몸체(21)의 상부측은 절곡되어 상기 분체류의 상측을 덮게 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300)이 다단으로 적층되면 상기 천공부(22)는 상측의 적재물에 의해 가압되어 밀폐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천공부(22)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잔존 에어를 용이하게 배출할 뿐만 아니라, 다단 적재시 밀폐되어 상기 시트몸체(21) 내측으로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수납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으로 구비된 시트몸체(21)의 상부측은 좁게 형성된 아웃백(10)의 투입구(12)에 삽입되며 구겨진 형태로 변형되므로 상기 천공부(22)가 가압될 때 상기 에어배출홀(22a)는 시트몸체(21) 일부측과 접촉되어 밀폐될 수 있어 제품의 밀폐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배출홀(22a)은 0.05~0.5mm의 직경(c)으로 구비되되, 5㎠ 당 1~20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에어배출홀(22a)이 0.05mm 미만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잔존 에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0.5mm를 초과하는 직경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외부 이물질이 쉽게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에어배출홀(22a)은 상기 시트몸체(21)의 내측에 수납되는 분체류 입자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배출홀(22a)이 5㎠ 당 1개 미만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에어배출홀(22a)이 상기 분체류에 의해 쉽게 막혀버려 에어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5㎠ 당 20개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천공부(22)의 강도가 저하되어 외압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몸체(21)는 연결테이프(30)에 의해 상기 아웃백(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테이프(30)는 일측(31)이 상기 천공부(22)의 하부측에 접착되되, 타측(32)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테이프(30)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사를 제작하여 형성된 직물에 아크릴접착제 및 천연고무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테이프(30)는 일측(31)이 상기 천공부(22)의 하부측에 접착되고, 타측(32)의 여유부분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테이프(30)의 타측(32)은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봉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타측(32)은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아웃백(10)과 상기 타측(32)을 접촉하고 열융착을 통해 상호 간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시트몸체(21)는 상기 분체류가 충진될 때 상기 아웃백(10)의 내측에서 유동되어 분체류가 세거나 상기 저장공간의 형태가 찌그러져 상기 아웃백(10)의 내용적에 정확하게 채워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트몸체(21)는 상기 천공부(22)의 하부측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고정되므로 충진된 상기 분체류의 하중이 에어배출홀(22a)이 형성된 천공부(22)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에어배출홀(22a)이 커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예방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테이프(30)가 상기 시트몸체(21)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연결테이프(30)는 상기 천공부(22)의 하부측에 둘레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아웃백(10) 내측면에 둘레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천공부(122)의 상측에 천공덮개부(123)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120)는 시트몸체(121)와 천공덮개부(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천공덮개부(123)는 상기 천공부(122)의 외면측에 상기 에어배출홀(122a)과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타공(12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격간격은 내부의 잔존 에어(P)가 상기 에어배출홀(122a) 및 상기 천공덮개부(123)의 타공(124)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근접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배출홀(122a), 상기 천공덮개부(123)와 상기 시트몸체(110a) 사이의 공간, 그리고 상기 타공(124)이 연통되어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잔존 에어(P)가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타공(124)은 상기 각 에어배출홀(122a)과 연통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백이 다단으로 적층될 때, 상기 천공덮개부(123)의 외면측이 가압되어 상기 천공부(122)로 밀착하여 상기 천공덮개부(123)에서 타공(12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에어배출홀(122a)을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배출홀(122a) 및 상기 타공(124)은 상기 시트몸체(121) 내부의 잔존 에어를 용이하게 배출할 뿐만 아니라, 다단 적재시 밀폐되어 상기 시트몸체(121) 내측으로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수납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타공(124)은 상기 에어배출홀(122a)과 동일하게, 0.05~0.5mm의 직경으로 구비되되, 5㎠ 당 1~20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덮개부(123)의 테두리는 상기 천공부(122)의 외곽을 따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배출홀(122a)을 통과한 잔존 에어(P)가 상기 타공(124)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천공덮개부(123)의 테두리와 상기 천공부(122) 사이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이물질이 상기 에어배출홀(122a)을 통해 상기 시트몸체(121)의 내측으로 들어가 분체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납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몸체(114)의 형태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110)는 넓게 형성된 수납부(114)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111)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113)가 형성되는 시트몸체(110a)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천공부(115)는 상기 경사부(113)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몸체(110a)는 내측의 저장공간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을 형성하도록 중심측이 접혀 양측 테두리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사이드부는 상하방향의 중심측이 넓고 상하측이 좁은 시트로 구비되어 각각의 테두리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아웃백의 내측 형상에 형합되는 형태의 시트몸체(110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넓은 중심측과 좁은 상하측을 연결하는 부분이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몸체(110a)는 중심측에 넓게 형성된 수납부(114)가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에 좁게 형성된 입구부(111) 및 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111)와 상기 수납부(114)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부는 상기 이너라이너(110)가 보관될 때 상하방향의 중심라인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접힘으로써 상기 베이스부 사이가 밀착되어 납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몸체(110a)는 상기 사이드부의 중심측이 펴지면서 내측의 저장공간이 확장되어 분체류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몸체(110a)는 상측와 하측은 좁고 중심측은 넓은 형태가 된다. 즉,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외측에 결합되는 상기 아웃백의 내측 형태에 형합되게 형성되어 입구부(111)와 출구부(112)의 면적차이가 없는 원통형의 이너라이너를 제조하는 데에 비해 원재료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110)는 상기 아웃백의 내측 형태에 형합되게 형성되므로 분체류를 충전시키면 상기 이너라이너(110)가 불특정한 방향으로 접히지 않고 상기 아웃백의 내부 형태에 맞게 채워지므로 보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이너라이너(110)가 상기 아웃백의 형상과 동일한 지지형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분체류의 하중을 상기 이너라이너(110)에서 일차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외측을 상기 아웃백으로 지지함에 따라 분산 지지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공부(115)는 수납부(114)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111)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11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수납부(114)에 분체류가 가득 채워지더라도 피라미드 형태로 쌓인 분체류가 상기 경사부(113)에 직접 닿지 않아 상기 천공부(115)를 통한 분체류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어 제품의 수납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300: 컨테이너백 1,3,10: 아웃백
2,4,20,110,120: 이너라이너 11: 배출구
12: 투입구 13: 보관부
21,121,110a: 시트몸체 5,22,122,115: 천공부
22a,122a,: 에어배출홀 123: 천공덮개부
124: 타공 30: 연결테이프
111: 입구부 112: 출구부
113: 경사부 114: 수납부
S: 분체류

Claims (5)

  1.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아웃백의 내측에 배치되되,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시트몸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분체류의 수납시 상기 저장공간에 유입된 잔존 에어를 배출하도록 상기 시트몸체의 상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에어배출홀이 형성된 천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몸체는 상기 천공부의 하부측에 연결테이프의 일측에 접착되되 상기 연결테이프의 타측이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홀은 0.05~0.5mm의 직경으로 구비되되, 5㎠ 당 1~20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몸체는 넓게 형성된 수납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는 상기 경사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의 외면측에는 상기 에어배출홀과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타공이 형성된 천공덮개부가 구비되되,
    상기 천공덮개부의 테두리가 상기 천공부의 외곽을 따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20130111229A 2013-09-16 2013-09-16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1377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229A KR101377054B1 (ko) 2013-09-16 2013-09-16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229A KR101377054B1 (ko) 2013-09-16 2013-09-16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054B1 true KR101377054B1 (ko) 2014-03-25

Family

ID=5064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229A KR101377054B1 (ko) 2013-09-16 2013-09-16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05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1894B1 (en) Packaging material of gas-bag type, process for packaging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packaging material
JP2007254024A (ja) 粉体類を収納するためのコンテナーバッグ
EP1477428B1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US20070102428A1 (en) Flexible liner for packaging powdered or granular cargo for cargo container transportation
KR101892218B1 (ko) 컨테이너백
JP2001192089A (ja) コンテナ・ライナーの中味の排出を助長する変位手段を備えたコンテナ・ライナー
CA2621880A1 (en) Valve having a protective cage
KR10249202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70269145A1 (en) Bulk bag liner with relief valve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KR101475465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1377054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1303847B1 (ko)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CN205891588U (zh) 一种双层包装袋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US20060017788A1 (en) Fluid delivery component
US10112769B2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
KR10154756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 제조방법
JP6822795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20060954A (ko) 용기의 충전 방법
JP6110836B2 (ja) 梱包袋
KR101475463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JP2926474B2 (ja) 粉粒体の袋容器
CN217477950U (zh) 一种面粉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