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391B1 -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391B1
KR101371391B1 KR1020120083207A KR20120083207A KR101371391B1 KR 101371391 B1 KR101371391 B1 KR 101371391B1 KR 1020120083207 A KR1020120083207 A KR 1020120083207A KR 20120083207 A KR20120083207 A KR 20120083207A KR 101371391 B1 KR101371391 B1 KR 10137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zoom lens
beams
opening
obj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542A (ko
Inventor
홍종규
이현기
정재헌
김민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391B1/ko
Priority to US14/368,639 priority patent/US20150260972A1/en
Priority to PCT/KR2013/006828 priority patent/WO2014021607A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4Measuring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18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light path, e.g. for comparing two specimens
    • G02B21/20Binocular arrangements
    • G02B21/22Stereoscopic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2Objectives
    • G02B21/025Objectives with variable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18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light path, e.g. for comparing two specim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5Control or image processing arrangements for digital or video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광축 광학계와 한 대의 카메라만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빔 패스를 통한 이미지와 상기 제2 빔 패스를 통한 이미지가 동일한 좌표를 가지게 되어 상기 이미지들을 정합할 시 이미지를 보정할 필요가 없으며, 카메라 좌표를 맞추기 위한 기계적 보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감의 손실을 최소화한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영상의 관찰 시 눈의 피로를 최소화시켜 보다 편안하게 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STEREO MICROSCOPE SYSTEM}
본 발명은 스테레오 현미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찰 대상물을 입체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스테레오 현미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확대경의 일종으로 전후 2군의 렌즈, 즉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군으로 구성되어 육안으로 판별할 수 없는 미세구조를 관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현미경은 관찰자의 두 눈을 이용하여 물체를 입체적으로 관찰하도록 접안렌즈부가 2개인 스테레오 타입이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스테레오 타입의 현미경으로는 대물렌즈계의 광축이 평행하게 되어 물체를 관찰하는 아베(Abbe)형식과, 대물렌즈계의 광축이 공학적 각도를 이루어 물체를 관찰하는 그리누(Greenough)형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스테레오 타입의 현미경은 각종 수술 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수술용으로도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술용 스테레오 현미경은 접안렌즈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관찰 대상물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상현실까지도 구현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스테레오 현미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테레오 현미경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스테레오 현미경(100)은 대물렌즈(110)와 한 쌍의 결상렌즈(120) 사이에 한 쌍의 줌 렌즈부(130)가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결상렌즈(130)에 결상된 이미지를 한 쌍의 카메라(140)가 촬영한 후 상기 한 쌍의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좌, 우 이미지(210)(220)를 정합(registration)하여 관찰 대상물의 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테레오 현미경(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줌렌즈부(130)와 한 쌍의 결상렌즈(120)로 두 개의 광축 광학계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광축 광학계의 미세한 차이들로 인하여 두 개의 이미지(210)(220)의 좌표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상기 두 개의 이미지(210)(220)를 정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미지들(210)(220)을 보정하는 등의 별도의 복잡한 계산 과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두 대의 카메라(140)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카메라(140)의 위치나 기울어짐 등에 의하여 상기 두 대의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210)(220)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상기 카메라들(140)의 좌표를 맞추기 위한 기계적 보상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에 더하여, 상기 카메라(140)에 의해 획득된 두 개의 이미지(210)(220)의 차이가 발생됨으로써, 입체영상의 입체감의 손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입체영상의 관찰 시 눈의 피로 등의 부작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영상의 구현을 위한 이미지들을 정합할 경우, 상기 이미지들의 보정 작업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좌표를 맞추기 위한 기계적 보상이 전혀 필요 없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빔과 제2 빔을 서로 번갈아 가며 줌 렌즈부 측으로 통과시키는 편측 개방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줌 렌즈부와 하나의 디텍터 렌즈만으로 구성된 단일 광축 광학계와 한 대의 카메라만을 사용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관측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빔이 제1 빔 패스와 제2 빔 패스를 통해 통과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제1 빔 패스와 상기 제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편측 개방유닛과, 상기 편측 개방유닛을 교호적으로 통과한 제1, 2 빔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소정의 배율을 가지는 줌 렌즈부와, 상기 줌 렌즈부를 교호적으로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받아들여 상기 제1, 2 빔에 의한 관측 대상물의 상들을 결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 렌즈 및, 상기 디텍터 렌즈에 결상된 상들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관측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빔이 제1 빔 패스와 제2 빔 패스를 통해 통과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제1 빔 패스와 상기 제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편측 개방유닛과, 상기 편측 개방유닛을 교호적으로 통과한 제1, 2 빔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각각 배치되는 소정의 배율을 가지는 한 쌍의 줌 렌즈부와, 상기 한 쌍의 줌 렌즈부를 각각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받아들여 상기 제1, 2 빔에 의한 관측 대상물의 상들을 결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 렌즈 및, 상기 디텍터 렌즈에 결상된 상들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차폐 바디 및,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차폐 바디가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상기 줌 렌즈부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차폐 바디와, 상기 광축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각각 상이하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들 및, 상기 개구부들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구부만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차폐 바디를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줌 렌즈부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구부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셔터들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개폐수단은 광투과 특성을 전환시켜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줌 렌즈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 2 빔들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옵티컬 셔터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 바디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상기 줌 렌즈부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구부 및,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교호적으로 폐쇄시켜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줌 렌즈부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한 쌍의 셔터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개폐수단은 광투과 특성을 전환시켜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통해 줌 렌즈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 2 빔들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한 쌍의 옵티컬 셔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차폐 바디와 대물렌즈 사이 또는 상기 차폐 바디와 줌 렌즈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개구부들을 폐쇄시키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된 한 쌍의 개구부를 교호적으로 개방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는 보조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 바디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상기 줌 렌즈부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각각 대칭되며 상기 광축으로부터의 이격된 거리가 각각 상이하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되는 적어도 두 쌍의 개구부들 및, 상기 적어도 두 쌍의 개구부들 중 선택된 어느 한 쌍의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개구부들은 폐쇄시키고, 상기 선택된 한 쌍의 개구부는 교호적으로 폐쇄시켜 상기 선택된 한 쌍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줌 렌즈부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구부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셔터들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개폐수단은 광투과 특성을 전환시켜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줌 렌즈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 2 빔들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옵티컬 셔터들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제1 빔과 제2 빔을 교호적으로 줌 렌즈부 측으로 통과시키는 편측 개방유닛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줌렌즈부와 하나의 디텍터 렌즈만으로 구성된 단일 광축 광학계와 한 대의 카메라만을 사용하여도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단일 광축 광학계와 한 대의 카메라만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빔 패스를 통한 이미지와 상기 제2 빔 패스를 통한 이미지가 동일한 좌표를 가지게 되어 상기 이미지들을 정합할 시 이미지를 보정할 필요가 없으며, 카메라 좌표를 맞추기 위한 기계적 보상이 전혀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입체감의 손실을 최소화한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체영상의 관찰 시 눈의 피로를 최소화시켜 보다 편안하게 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테레오 현미경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의 편측 개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의 편측 개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개폐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의 편측 개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100)과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은, 대물렌즈(110), 편측 개방유닛(150), 줌 렌즈부(130), 디텍터 렌즈(120), 카메라(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물렌즈(110)는 관측 대상물(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반사된 빔이 제1 빔 패스(160)와 제2 빔 패스(17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은 상기 대물렌즈(110)와 줌 렌즈부(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 상에 배치된다.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은 상기 제1 빔 패스(160)와 상기 제2 빔 패스(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제1, 2 빔(160)(170)을 교호적으로 줌 렌즈부(130) 측으로 통과시킨다.
즉,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은 상기 제1 빔을 차단시킬 시에는 상기 제2 빔은 통과시키고, 상기 제1 빔을 통과시킬 시에는 상기 제2 빔은 차단시키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각각 상기 제1, 2 빔을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교호적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줌 렌즈부(130)는 소정의 배율을 가지며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과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을 교호적으로 통과한 제1, 2 빔을 받아들여 관측 대상물의 상(像)들을 소정의 배율로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줌 렌즈부(130)는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중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을 통과하는 어느 하나의 빔만을 받아들여 상기 빔에 의해 생성되는 관측 대상물의 상을 소정의 배율로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은 1개의 줌 렌즈부(130)를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과 디텍터 렌즈(120)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 상에 배치하면 된다.
상기 디텍터 렌즈(120)는 상기 줌 렌즈부(130)와 카메라(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줌 렌즈부(130)를 통과한 상기 제1 빔 또는 상기 제2 빔을 받아들여 상기 제1, 2 빔에 의한 관측 대상물의 상들을 결상시킨다.
상기 디텍터 렌즈(120) 또한 상기 줌 렌즈부(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중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과 줌 렌즈부(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어느 하나의 빔만 받아들여 상기 빔에 의한 관측 대상물의 상을 결상시키므로 1개의 디텍터 렌즈(120)만 상기 줌 렌즈부(130) 후방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40)는 상기 디텍터 렌즈(120)에 결상된 관측 대상물의 상들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40) 또한 하나의 디텍터 렌즈(120)에 결상된 관측 대상물의 이미지만을 촬영함으로써 상기 디텍터 렌즈(120)의 후방에 1개만을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은 제1 빔과 제2 빔을 교호적으로 줌 렌즈부(130) 측으로 통과시키는 편측 개방유닛(150)을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줌렌즈부(130)와 하나의 디텍터 렌즈(120)만으로 구성된 단일 광축 광학계만으로도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최종 결상계인 디텍터 렌즈(120)가 하나만 사용됨으로써 한 대의 카메라(140)로 제1 빔 패스(160)를 통해 상기 디텍터 렌즈(120)에 결상된 관찰 대상물과 제 2 빔 패스(170)를 통해 상기 디텍터 렌즈(120)에 결상된 관찰 대상물의 상을 나누어서 2회 이상 반복 촬영하면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은 하나의 카메라(140)와 단일 광축 광학계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카메라(14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빔 패스(160)를 통한 이미지와 상기 제2 빔 패스(170)를 통한 이미지가 동일한 좌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빔 패스(160)와 상기 제2 빔 패스(170)를 통하여 획득된 두 개의 이미지를 정합할 시 이미지를 보정할 필요 없으며, 상기 카메라(140)의 위치나 기울어짐 등의 문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서로 다른 빔 패스(160)(70)를 통하여 획득된 두 개의 이미지가 동일한 좌표를 가지게 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다수의 카메라(140) 좌표를 맞추기 위한 기계적 보상이 전혀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은 상기 카메라(140)에 의해 획득된 두 개의 이미지의 차이가 발생되지 않아 입체영상의 입체감이 손실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체영상의 관찰 시 눈의 피로를 최소화시켜 보다 편안하게 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의 편측 개방유닛(150)은 광축(A)을 중심으로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이 회전됨에 따라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152)에 의해 상기 제1 빔 패스(160)와 상기 제2 빔 패스(170)가 교호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상기 제1 빔과 제2 빔을 교호적으로 상기 줌 렌즈부(130)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회전형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은 차폐 바디(151)와 개구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바디(151)는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110)와 상기 줌 렌즈부(130) 사이에 광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20)는 상기 차폐 바디(15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차폐 바디(151)가 상기 광축(A)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줌 렌즈부(130)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은 상기 대물렌즈(110)와 상기 줌 렌즈부(130) 사이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은 상기 대물렌즈(110)와 상기 줌 렌즈부(130) 사이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의 입체각(S)을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광축(A)에서부터 상기 개구부(152)까지 이격된 거리(D1)가 다른 편측 개방유닛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편측 개방유닛(150)의 교체 방식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교환방식과, 적어도 두 개의 각기 다른 편측 개방 유닛이 자동으로 분리 교체 되는 자동 로테이션 교환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은 하나의 줌 렌즈부(130)와 하나의 디텍터 렌즈(120) 만으로 구성된 단일 광축 광학계를 사용함으로써 광학계의 렌즈모듈의 변화 없이 상기 광축(A)에서부터 개구부(152)까지의 이격된 거리(D1) 조절만으로 입체각(S)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은 광학계의 렌즈모듈 변화 없이 단순히 상기 광축(A)에서부터 개구부(152)까지의 이격된 거리(D1)가 서로 다른 편측 개방유닛(150)의 교체만으로 입체각(S)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300)은 줌 렌즈부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줌 렌즈부(130)에 대한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300)은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과 상기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제1, 2 줌 렌즈부(130a)(130b)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줌 렌즈부(130a)는 제1 빔 패스(160)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과 상기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줌 렌즈부(130b)는 제 2 빔 패스(170)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과 상기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을 교호적으로 통과한 제1 빔과 제2 빔을 각각 상기 제1 줌 렌즈부(130a)와 상기 제2 줌 렌즈부(130b)가 받아들여 소정의 배율로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의 편측 개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편측 개방유닛(150)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편측 개방유닛(1150)에 대한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제1,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의 편측 개방유닛(150)은 차폐 바디(151), 복수개의 개구부들(152), 개폐수단(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바디는(151)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110)와 상기 줌 렌즈부(130) 사이에 광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152)은 상기 광축(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D2)(D3)가 각각 상이하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153)은 상기 개구부들(15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상기 개폐수단(153)은 상기 개구부들(152)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셔터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개폐수단(153)은 광투과 특성을 전환시켜 상기 개구부들(152)을 통해 줌 렌즈부(130)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 2 빔들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옵티컬 셔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편측 개방유닛(150)은 상기 차폐 바디(151)에 광축(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D2)(D3)가 서로 상이한 복수개의 개구부들(152)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수단(153)에 의해 원하는 입체각(S)을 얻을 수 있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구부(152)만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차폐 바디(151)를 상기 광축(A)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제1, 2 빔을 줌 렌즈부(130) 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100)은 편측 개방유닛(150)의 교체 없이 원하는 위치의 개구부(152)의 개방만으로도 입체각(S)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152) 중 원하는 입체각(S)을 얻을 수 있는 광축(S)에서부터 이격된 거리(D2)를 가지는 개구부(152)는 개방시키고 나머지 개구부들(152)은 상기 개폐수단(153)에 의해 모두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을 광축(A)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2 빔들을 줌 렌즈부(130) 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원하는 입체각(S)의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편측 개방유닛(150)과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하나의 줌 렌즈부(130)만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과 상기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제1, 2 줌 렌즈부(130a)(130b)가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의 편측 개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편측 개방유닛(150)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200, 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에 대한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제1,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편측 개방유닛(150)은 차폐 바디(151), 한 쌍의 개구부(152), 개폐수단(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바디(151)는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110)와 줌 렌즈부(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개구부(152)는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상기 줌 렌즈부(130)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광축(A)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153)은 상기 한 쌍의 개구부들(152)을 교호적으로 폐쇄시켜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제1, 2 빔들을 상기 줌 렌즈부(130)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킨다. 즉, 상기 개폐수단(153)은 일측에 위치한 개구부(152)를 개방시킬 때에는 타측에 위치한 개구부(152)는 폐쇄시키고, 일측에 위치한 개구부(152)를 폐쇄시킬 때에는 타측에 위치한 개구부(152)는 개방시켜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상기 줌 렌즈부(130)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수단(153)으로는 상기 한 쌍의 개구부(152)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마련되는 한 쌍의 셔터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개폐수단(153)으로는 광투과 특성을 전환시켜 상기 한 쌍의 개구부(152)를 통해 줌 렌즈부(130)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 2 빔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마련되는 한 쌍의 옵티컬 셔터 일 수 있다.
<실시예 5>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개폐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의 개폐수단(153)은 회전판(153a)과 보조 개구부(1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53a)은 상기 차폐 바디(151)와 대물렌즈(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개구부들(152)을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판(153a)은 상기 차폐 바디(151)와 줌 렌즈부(1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개구부들(152)을 폐쇄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보조 개구부(153b)는 상기 회전판(153a)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된 한 쌍의 개구부(152)를 교호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153a)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편측 개방유닛(150)은 상기 대물렌즈(110)와 상기 줌 렌즈부(130) 사이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은 상기 대물렌즈(110)와 상기 줌 렌즈부(130) 사이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100)의 입체각(S)을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광축(A)에서부터 상기 한 쌍의 개구부(152)까지 이격된 거리(D4)가 다른 편측 개방유닛(15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편측 개방유닛(150)과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하나의 줌 렌즈부(130)만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과 상기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제1, 2 줌 렌즈부(130a)(130b)가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 6>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의 편측 개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편측 개방유닛(150)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에 대한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제1,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편측 개방유닛(150)은, 차폐 바디(151), 적어도 두 쌍의 개구부들(152) 및 개폐수단(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바디(151)는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110)와 줌 렌즈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쌍의 개구부들(152)은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제1, 2 빔을 상기 줌 렌즈부(130)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광축(A)을 중심으로 각각 대칭되며, 상기 광축(A)으로부터의 이격된 거리(D5)(D6)가 각각 상이하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153)은 상기 적어도 두 쌍의 개구부들(152) 중 선택된 어느 한 쌍의 개구부(152)를 제외한 나머지 개구부들(152)은 폐쇄시킬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한 쌍의 개구부(152)는 교호적으로 폐쇄시켜 상기 선택된 한 쌍의 개구부(152)를 통해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교호적으로 줌 렌즈부(130)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개폐수단(153)은 상기 개구부들(152)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셔터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개폐수단(153)은 광투과 특성을 전환시켜 상기 개구부들(152)을 통해 줌 렌즈부(130)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 2 빔들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151)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옵티컬 셔터들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편측 개방유닛(150)은 상기 차폐 바디(151)에 광축(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D5)(D6)가 각각 상이한 적어도 두 쌍의 개구부들(152)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수단(153)에 의해 원하는 입체각(S)을 얻을 수 있는 선택된 어느 한 쌍의 개구부(152)를 제외한 나머지 개구부들(152)은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어느 한 쌍의 개구부(152)를 상기 개폐수단(153)에 의해 교호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제1, 2 빔 패스(160)(170)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110)를 통과한 제1, 2 빔을 줌 렌즈부(130) 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편측 개방유닛(150)의 교체 없이 나머지 개구부(152)는 모두 폐쇄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입체각(S)을 얻을 수 있는 선택된 한 쌍의 개구부(152)만 교호적으로 개폐시키는 것만으로도 입체각(S)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편측 개방유닛(150)과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하나의 줌 렌즈부(130)만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편측 개방유닛(150)과 상기 디텍터 렌즈(120) 사이에 제1, 2 줌 렌즈부(130a)(130b)가 배치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 현미경 시스템 (110) : 대물렌즈
(120) : 디텍터 렌즈 (130) : 줌 렌즈부
(140) : 카메라 (150) : 편측 개방유닛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관측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빔이 제1 빔 패스와 제2 빔 패스를 통해 통과되는 대물렌즈;
    상기 제1 빔 패스와 상기 제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편측 개방유닛;
    상기 편측 개방유닛을 교호적으로 통과한 제1, 2 빔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소정의 배율을 가지는 줌 렌즈부;
    상기 줌 렌즈부를 교호적으로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받아들여 상기 제1, 2 빔에 의한 관측 대상물의 상들을 결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 렌즈; 및
    상기 디텍터 렌즈에 결상된 상들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차폐 바디; 및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차폐 바디가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상기 줌 렌즈부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5. 관측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빔이 제1 빔 패스와 제2 빔 패스를 통해 통과되는 대물렌즈;
    상기 제1 빔 패스와 상기 제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편측 개방유닛;
    상기 편측 개방유닛을 교호적으로 통과한 제1, 2 빔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소정의 배율을 가지는 줌 렌즈부;
    상기 줌 렌즈부를 교호적으로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받아들여 상기 제1, 2 빔에 의한 관측 대상물의 상들을 결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 렌즈; 및
    상기 디텍터 렌즈에 결상된 상들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차폐 바디;
    상기 광축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각각 상이하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들; 및
    상기 개구부들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구부만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차폐 바디를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줌 렌즈부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구부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셔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광투과 특성을 전환시켜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줌 렌즈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 2 빔들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옵티컬 셔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8. 관측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빔이 제1 빔 패스와 제2 빔 패스를 통해 통과되는 대물렌즈;
    상기 제1 빔 패스와 상기 제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편측 개방유닛;
    상기 편측 개방유닛을 교호적으로 통과한 제1, 2 빔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소정의 배율을 가지는 줌 렌즈부;
    상기 줌 렌즈부를 교호적으로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받아들여 상기 제1, 2 빔에 의한 관측 대상물의 상들을 결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 렌즈; 및
    상기 디텍터 렌즈에 결상된 상들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 바디;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상기 줌 렌즈부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구부; 및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교호적으로 폐쇄시켜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줌 렌즈부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한 쌍의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광투과 특성을 전환시켜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통해 줌 렌즈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 2 빔들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한 쌍의 옵티컬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차폐 바디와 대물렌즈 사이 또는 상기 차폐 바디와 줌 렌즈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개구부들을 폐쇄시키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된 한 쌍의 개구부를 교호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는 보조 개구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13. 관측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빔이 제1 빔 패스와 제2 빔 패스를 통해 통과되는 대물렌즈;
    상기 제1 빔 패스와 상기 제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편측 개방유닛;
    상기 편측 개방유닛을 교호적으로 통과한 제1, 2 빔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소정의 배율을 가지는 줌 렌즈부;
    상기 줌 렌즈부를 교호적으로 통과한 상기 제1, 2 빔을 받아들여 상기 제1, 2 빔에 의한 관측 대상물의 상들을 결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빔 패스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 렌즈; 및
    상기 디텍터 렌즈에 결상된 상들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편측 개방유닛은,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줌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 바디;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상기 줌 렌즈부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각각 대칭되며 상기 광축으로부터의 이격된 거리가 각각 상이하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형성되는 적어도 두 쌍의 개구부들; 및
    상기 적어도 두 쌍의 개구부들 중 선택된 어느 한 쌍의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개구부들은 폐쇄시키고, 상기 선택된 한 쌍의 개구부는 교호적으로 폐쇄시켜 상기 선택된 한 쌍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2 빔 패스를 통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제1, 2 빔을 줌 렌즈부 측으로 교호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구부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셔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광투과 특성을 전환시켜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줌 렌즈부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 2 빔들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옵티컬 셔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16. 제3항, 제5항, 제8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부는,
    상기 제1 빔 패스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편측 개방유닛과 상기 디텍터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줌 렌즈부; 및
    상기 제2 빔 패스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편측 개방유닛과 상기 디텍터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줌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17. 제3항, 제5항, 제8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빔 패스를 통한 이미지와 상기 제2 빔 패스를 통한 이미지를 정합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KR1020120083207A 2012-07-30 2012-07-30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KR101371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07A KR101371391B1 (ko) 2012-07-30 2012-07-30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US14/368,639 US20150260972A1 (en) 2012-07-30 2013-07-30 Stereo microscope system
PCT/KR2013/006828 WO2014021607A1 (ko) 2012-07-30 2013-07-30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07A KR101371391B1 (ko) 2012-07-30 2012-07-30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42A KR20140016542A (ko) 2014-02-10
KR101371391B1 true KR101371391B1 (ko) 2014-03-07

Family

ID=5002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07A KR101371391B1 (ko) 2012-07-30 2012-07-30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60972A1 (ko)
KR (1) KR101371391B1 (ko)
WO (1) WO201402160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5906A (ja) * 1993-11-23 1997-06-10 リクイッド ビジョン リミテッド ステレオスコープイメージ機構と視覚機構
JP4028390B2 (ja) 2001-04-12 2007-12-26 ライカ ミクロジュステムス(シュヴァイツ)アーゲー ステレオ顕微鏡の画像差込入射のためのシャッタ制御
JP4067408B2 (ja) * 2001-04-12 2008-03-26 ライカ ミクロジュステムス(シュヴァイツ)アーゲー 付加的シャッタを備え、画像差込入射及び/又は取出射出可能な光学観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6583A (en) * 1991-04-29 1995-08-29 Evatt, Jr.; Clay W. Surgical light interruption device
US5588948A (en) * 1993-02-17 1996-12-31 Olympus Optical Co. Ltd. Stereoscopic endoscope
US5896223A (en) * 1997-06-13 1999-04-20 Tigliev; George S. Optical system having an unlimited depth of focus
US7180660B2 (en) * 2002-02-04 2007-02-20 Carl-Zeiss-Stiftung Trading As Carl Zeiss Stereo-examination systems and stereo-image generation apparatus as well as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5906A (ja) * 1993-11-23 1997-06-10 リクイッド ビジョン リミテッド ステレオスコープイメージ機構と視覚機構
JP4028390B2 (ja) 2001-04-12 2007-12-26 ライカ ミクロジュステムス(シュヴァイツ)アーゲー ステレオ顕微鏡の画像差込入射のためのシャッタ制御
JP4067408B2 (ja) * 2001-04-12 2008-03-26 ライカ ミクロジュステムス(シュヴァイツ)アーゲー 付加的シャッタを備え、画像差込入射及び/又は取出射出可能な光学観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42A (ko) 2014-02-10
US20150260972A1 (en) 2015-09-17
WO2014021607A1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7304B2 (en) Binocular stereoscopic observation apparatus, electronic image stereomicroscope, electronic image stereoscopic observ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image observation apparatus
CN1975504B (zh) 高功率立体显微镜
US7777941B2 (en) Greenough-type stereomicroscope
US7583434B2 (en) Stereomicroscope
KR20130121520A (ko)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EP2753978A1 (en) Variable 3-dimensional adaptor assembly for camera
US10126538B2 (en) Optical device for generating with three-dimensional effect
JP2006208407A (ja) 立体画像観察用顕微鏡システム
EP2786192A1 (en) Stereoscopic microscope
US20120008195A1 (en) Microscope system
EP2485496A2 (en)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JP2005049646A5 (ko)
JP2014145968A (ja) 手術顕微鏡システム
JP2012047797A (ja) 実体顕微鏡
KR20130121518A (ko) 스테레오 현미경
KR101371391B1 (ko)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JP2001066513A5 (ko)
EP3396431A1 (en) Monocular microscope for capturing stereoscopic image
KR101545163B1 (ko) 의료용 현미경의 광학계
JP6072381B1 (ja) 撮像装置
JP5857782B2 (ja) 撮像装置
JPH04355712A (ja) 双眼立体視装置
Kwan et al. Prism-based tri-aperture laparoscopic objective for multi-view acquisition
JP4302199B2 (ja) 複数人で観察可能な実体顕微鏡
JP2011007871A (ja) 実体顕微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