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255B1 - 단자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단자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255B1
KR101370255B1 KR1020137012283A KR20137012283A KR101370255B1 KR 101370255 B1 KR101370255 B1 KR 101370255B1 KR 1020137012283 A KR1020137012283 A KR 1020137012283A KR 20137012283 A KR20137012283 A KR 20137012283A KR 101370255 B1 KR101370255 B1 KR 101370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us bar
connection structure
cli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565A (ko
Inventor
나오토 타구치
마사루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3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fuses with blade typ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2085/0555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e.g. multielectrode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Fus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의 접속시간을 줄일 수 있는 단자 접속 구조를 제공한다. 단자 접속 구조는 판형으로 제조되고 관통개구(11a)가 형성된 제1단자(11)와, 제1단자(11)를 지지하는 지지부(30)와, 판형으로 제조되고 제1단자(11)의 접속 상대부가 되는 제2단자(12)와, 도전성을 가진 판형물질로 제조되고, U자형으로 형성된 중앙 피스(23) 및 중앙 피스로부터 연속하는 대향 피스들을 가진 클립을 포함하고, 중앙 피스(23)에는 그 양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23a)가 배치되어 관통개구(23) 속으로 클립(20)이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단자(11)는 중앙 피스(23)가 관통개구(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마주하는 대향 피스(21, 22)들 사이에 개재되고, 제2단자(12)는 한 쌍의 돌출부(23a)를 마주하는 제1단자(11)의 표면(S1)과 클립(20) 사이에 삽입된다.

Description

단자 접속 구조{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단자들을 접속하는 단자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단자들을 접속하는 단자 접속 구조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체결작업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가능한 많이 볼트가 장착되는 단자표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단자 지지부에 단자를 고정하는 클로우부(claw portion)가 단자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단자 접속 구조가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4-127703호
특허문헌 1에 설명된 단자 접속 구조는 단자의 후방측으로 경사진 한 쌍의 경사부가 단자의 양단부측에 형성되고, 한 쌍의 경사부를 덮도록 한 쌍의 클로우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기법에 있어서, 클로우부는 볼트가 장착되는 단자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므로, 클로우부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한 단자의 체결작업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설명된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는 단자의 체결작업이 필요하고, 이 체결작업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자의 접속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자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는: 판형으로 제조되고 관통개구가 형성된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판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제1단자의 접속 상대부가 되는 제2단자와; 도전성을 가진 판형물질로 제조되고, U자형으로 형성된 중앙 피스 및 상기 중앙 피스로부터 연속하는 대향 피스들을 가진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피스에는 그 양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가 배치되어 상기 관통개구 속으로 상기 클립이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중앙 피스가 상기 관통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마주하는 대향 피스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를 마주하는 상기 제1단자의 표면과 상기 클립 사이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제1단자는 버스 바가 설치되는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 따른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단자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되는 잠금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단자는 잠금부를 가지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단자를 상기 제1단자에 잠그기 위해 상기 잠금구멍과 결합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단자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관통개구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양에 따른 가용성 링크는, 상기 제1양태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제1단자의 표면들 중에서 한 쌍의 돌출부측과 마주하는 표면과 클립 사이에 제2단자가 삽입될 때,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클립이 관통개구로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클립이 제1단자와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제2단자를 핀치(pinch)하기 때문에, 단지 제2단자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만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상호 접속할 수 있고, 그 결과, 단자의 접속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버스 바에 배치된 단자의 접속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양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제2단자의 잠금구멍이 제1단자의 잠금부에 의해 잠기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단자에 대해 제2단자의 위치결정이 가능하고, 또한 제1단자로부터 제2단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른 가용성 링크는 제1양태에서 설명한 클립과 제1단자를 가지므로, 버스 바에 배치된 단자의 접속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버스 바에 배치된 단자 및 외부 단자인 제2단자가 클립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단자를 접속하는 가용성 링크에 비해 콤팩트한 구성을 획득가능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를 가진 가용성 링크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접속 클립을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를 도시한 전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돌출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9a, 9b, 및 9c는 버스 바 단자 및 탭 단자를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를 가진 가용성 링크부(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단자 접속 구조(10)를 가진 가용성 링크부(100)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으로부터 휴즈 회로를 통해 각 전기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가용성 링크부(100)는 복수의 탭 단자(12)를 가지며, 이 탭 단자(12)에 가용성 링크(1)와 전선(W)이 접속된다.
가용성 링크(1)는 버스 바(2), 하우징(3), 및 투명 커버(4)를 가진다.
버스 바(2)는 전도성 판형 물질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휴즈 회로이다. 버스 바(2)는 복수의 버스 바 단자(11)를 가진다. 버스 바 단자(11)는 제1단자이며, 탭 단자(12)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각 버스 바 단자(11)는 가용체(fusible body)(미도시)를 통해 전원에 접속된다. 가용체는 버스 바(2)에 설치되는 저융점 금속부로서 소정 값 또는 그 이상의 전류가 도통될 경우 용해 및 절단되도록 제조된다.
하우징(3)은 대략 직각형 패러렐파이프 형상(parallelpiped shape)의 외형을 갖도록 절연합성수지로 형성되고, 하우징(3)의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하우징(3)의 내측에는, 버스 바(2)를 지지하는 수용 챔버가 형성되고, 수용 챔버의 하부에는 복수의 커넥터 하우징(30)이 형성된다. 커넥터 하우징(30)은 지지부로서 소정의 위치에서 버스 바 단자(11)를 지지한다. 투명 커버(4)는 하우징(3)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다.
탭 단자(12)는 전선(W)에 접속되는 단자이고, 이 전선(W)은 전력 공급의 목적지인 전기부품에 접속된다. 탭 단자(12)는 제2단자이면서, 버스 바 단자(11)의 접속 상대부가 되는 단자이다. 탭 단자(12)는 버스 바 단자(11)에 접속되며, 그 결과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선(W)을 통해 각 전기부품에 공급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탭 단자(12)가 버스 바 단자(11)와 밀접하게 접속하는 단자 접속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접속 클립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를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단자 접속 구조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돌출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2의 화살표 방향은 탭 단자의 삽입방향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접속 구조(10)는 버스 바 단자(11), 탭 단자(12), 파스너 클립(20), 및 커넥터 하우징(30)을 포함한다.
버스 바 단자(11)는 판형으로 제조되며, 그 내부에 관통개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 단자(11)는 잠금 핀(11b)을 가진다.
관통개구(11a)는 직각형으로 형성되며, 버스 바 단자(11)에 파스너 클립(20)이 장착될 경우 파스너 클립(20)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잠금 핀(11b)은 버스 바 단자(11)의 일부를 절단하고 상승시켜 형성된다. 잠금 핀(11b)은 탭 단자(12)의 삽입방향(D)으로 관통개구(11a)의 앞에 배치된다. 잠금 핀(11b)은 탭 단자(12)의 잠금구멍(12a)과 결합한다.
탭 단자(12)는 판형으로 제조되고 내부에 직각형의 잠금구멍(12a)이 형성된다. 잠금구멍(12a)은 버스 바 단자(11)의 잠금 핀(11b)과 결합한다. 즉, 잠금구멍(12a)은 버스 바 단자(11)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되는 구멍이다. 탭 단자(12)가 버스 바 단자(11)에 접속될 경우, 잠금 핀(11 b)과 잠금구멍(12a) 간의 결합과 함께, 탭 단자(12)는 버스 바 단자(11)에 대해 위치결정되고, 또한 버스 바 단자(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파스너 클립(20)은 도전성과 탄성을 가진 판형물질로 제조되며, 굽혀져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다. 파스너 클립(20)은 그 U자형 바닥측 판형부가 버스 바 단자(11)의 관통개구(11a) 속으로 삽입되어 버스 바 단자(11)에 장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너 클립(20)은 중앙 피스(23)와 이 중앙 피스(23)로부터 연속하는 대향 피스(21, 22)를 가진다. 각 대향 피스(21, 22)는 중앙 피스(23)로부터 굽혀지도록 형성되지만, 대향 피스(21, 22) 간의 간격은 중앙 피스(23)로부터 떨어지면서 짧아지도록 배치된다.
대향 피스(21)는 파스너 클립(20)의 대향 판형부들 중에서 긴 치수측 부분에 해당한다. 대향 피스(21)는 만곡부(21a), 탭 단자 접촉부(21b), 한 쌍의 돌출부(21c, 21c)를 가진다. 만곡부(21a)는 대향 피스(21)의 단부를 만곡시켜 형성된 부분이다.
탭 단자 접촉부(21b)는 탭 단자(12)가 버스 바 단자(11)와 대향 피스(21)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에 탭 단자(12)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이다. 돌출부(21c, 21c)는 대향 피스(21)의 양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다.
대향 피스(22)는 파스너 클립(20)의 대향 판형부 중에서 짧은 치수측 부분에 해당한다. 대향 피스(22)는 만곡부(22a), 및 버스 바 단자 접촉부(22b)를 가진다. 만곡부(22a)는 대향부(22)의 단부를 만곡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버스 바 단자 접촉부(22b)는 파스너 클립(20)이 버스 바 단자(11)에 장착된 경우, 버스 바 단자(11)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중앙 피스(23)는 U자형의 바닥에 해당하는 바닥측 판형부이다. 중앙부(23)에는 한 쌍의 돌출부(23a, 23a)가 설치된다. 돌출부(23a, 23a)는 중앙 피스(23)의 양측면부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3a, 23a)는 버스 바 단자(11)의 표면과 접촉하는 치수로 설정되어, 관통개구(11a)로 향하는 체결 클립(20)의 이동을 규제하고, 결과적으로 파스너 클립(20)이 관통개구(11a)로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 하우징(30)은 대략 직각형 패럴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그 위에 장착된 파스너 클립(20)과 함께 버스 바 단자(11)를 지지한다. 커넥터 하우징(30)에 있어서, 탭 단자(12)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는 그 하부에 형성된다. 커넥터 하우징(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홈(31) 및 클립 안내부(32)를 가진다.
안내홈(31)들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버스 바 단자(11)의 양측부를 지지한다. 안내홈(31)의 홈폭(H1)은 버스 바 단자(11)와 탭 단자(12)의 중첩 상태에서의 두께(H2)와 비교하여 보다 크게 설정된다. 안내홈(31)은 커넥터 하우징(30)의 위에서부터 버스 바 단자(11)를 삽입하는 경우에 안내 작용을 하며, 또한 소정의 위치로 버스 바 단자(11)를 지지한다.
클립 안내부(32)는 파스너 클립(20)의 돌출부(21c)를 덮도록 커넥터 하우징(30)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이다. 클립 안내부(32)는 파스너 클립(20)의 상향 이동을 규제한다. 즉, 클립 안내부(32)는 파스너 클립(20)의 대향 피스(21, 22)들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넓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도 9a,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여, 버스 바 단자(11)와 탭 단자(12)를 접속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버스 바 단자(11) 및 탭 단자(12)를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커넥터 하우징(30)의 하부의 개구로부터 탭 단자(12)를 삽입하기 시작한다. 또한, 탭 단자(12)를 삽입할 때, 탭 단자(12)는 버스 바 단자(11)의 표면(S1, S2) 중에서 한 쌍의 돌출부(23a, 23a) 측과 마주하는 표면(S1)과 파스너 클립(20)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탭 단자(12)의 측부가 커넥터 하우징(30)의 안내홈(31)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탭 단자(12)가 삽입된다(도 9a).
이후, 탭 단자(12)가 상향으로 삽입되면, 탭 단자(12)의 선단부는 파스너 클립(20)의 탭 단자 접촉부(21b)와 접촉하고, 그 결과 파스너 클립(2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파스너 클립(20)을 밀어서 넓힌다. 파스너 클립(20)은 만곡부(21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탭 단자(12)는 원활하게 파스너 클립(20)과 버스 바 단자(11) 사이에 삽입된다(도 9b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탭 단자(12)가 버스 바 단자(11)의 표면(S1, S2) 중에서 한 쌍의 돌출부(23a, 23a) 측과 마주하는 표면(S1)과 파스너 클립(20) 사이에 삽입된다.
이후, 탭 단자(12)가 더욱 상향으로 삽입되면, 버스 바 단자(11)의 잠금 핀(11b)이 탭 단자(12)의 잠금구멍(12a)과 결합한다(도 9c 참조). 이 때문에, 탭 단자(12)가 소정의 위치로 삽입된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 방식으로, 버스 바 단자(11) 및 탭 단자(12)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파스너 클립(20)은 버스 바 단자(11) 및 탭 단자(12)를 탄성력으로 상호 밀접 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탭 단자 접촉부(21b)를 탭 단자(12)에 접촉시키고, 버스 바 단자 접촉부(22b)를 버스 바 단자(11)에 접촉시켜 중첩된 상태로 파스너 클립(20)이 버스 바 단자(11) 및 탭 단자(12)를 집는다(pinch). 즉, 버스 바 단자(11) 및 탭 단자(12)는 상호 접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탭 단자(12)가 버스 바 단자(11)의 표면(S1, S2) 중에서 한 쌍의 돌출부(23a, 23a) 측과 마주하는 표면(S1)과 파스너 클립(20) 사이에 삽입되면, 한 쌍의 돌출부(23a, 23a)에 의해 관통개구(11a) 속으로 파스너 클립(20)이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파스너 클립(20)이 탭 단자(12)를 집어서(pinch) 버스 바 단자(11)에 밀접 시키기 때문에, 단순히 탭 단자(12)를 삽입시키는 것으로도 버스 바 단자(11) 및 탭 단자(12)가 상호 접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단자의 접속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탭 단자(12)의 잠금구멍(12a)이 버스 바 단자(11)의 잠금 핀(11b)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되기 때문에, 버스 바 단자(11)에 대해 탭 단자(12)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버스 바 단자(11)로부터 탭 단자(1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용성 링크(1)가 파스너 클립(20) 및 버스 바 단자(1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자의 접속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버스 바 단자(11)와 외부단자인 탭 단자(12)를 파스너 클립(20)에 의해 상호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볼트 및 너트로 단자를 접속하는 가용성 링크에 비하여 보다 콤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탭 단자(12)에 접속된 단자로서, 버스 바(2)에 배치된 버스 바 단자(11)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판형 단자이면 다른 단자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선에 접속되는 탭 단자(12)와 유사한 단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출부(21c)와 클립 안내부(32)가 배치되어 파스너 클립(20)의 대향 피스(21, 22)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넓어지지 않도록 구성된 단자 접속 구조(10)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출부(21c) 및 클립 안내부(32)를 갖지 않은 단자 접속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2010. 11. 15. 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254810호에 기초하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단자의 표면들 중에서 한 쌍의 돌출부와 마주하는 표면과 클립 사이에 제2단자가 삽입될 때, 관통개구 속으로 클립이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을 한 쌍의 돌출부가 억제하고, 제1단자와 밀접하도록 클립이 제2단자를 핀치하기 때문에, 단지 제2단자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상호 접속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단자의 접속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1. 가용성 링크
2. 버스 바
3. 하우징
4. 투명 커버
10. 단자 접속 구조
11. 버스 바 단자
11a. 관통개구
11b. 잠금 핀
12. 탭 단자
12a. 잠금구멍
20. 파스너 클립
21, 22. 대향 피스
21a, 22a. 만곡부
21b. 탭 단자 접촉부
21c. 돌출부
22b. 버스 바 단자 접촉부
23. 중앙 피스
23a. 돌출부
30. 커넥터 하우징
31. 안내홈
32. 클립 안내부
100. 가용성 링크부
S1, S2. 표면

Claims (4)

  1. 단자 접속 구조로서,
    판형으로 제조되고 관통개구가 형성된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판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제1단자의 접속 상대부가 되는 제2단자와;
    도전성을 가진 판형물질로 제조되고, U자형으로 형성된 중앙 피스 및 상기 중앙 피스로부터 연속하는 대향 피스들을 가진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피스에는 그 양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가 배치되어 상기 관통개구 속으로 상기 클립이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중앙 피스가 상기 관통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마주하는 대향 피스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를 마주하는 상기 제1단자의 표면과 상기 클립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버스 바가 설치된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단자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되는 잠금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단자는 잠금부를 가지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단자를 상기 제1단자에 잠그기 위해 상기 잠금구멍과 결합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단자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관통개구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 구조.
  4. 제1항에 따른 단자 접속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링크.
KR1020137012283A 2010-11-15 2011-11-15 단자 접속 구조 KR101370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4810A JP2012109039A (ja) 2010-11-15 2010-11-15 端子接続構造
JPJP-P-2010-254810 2010-11-15
PCT/JP2011/076748 WO2012067255A1 (en) 2010-11-15 2011-11-15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565A KR20130111565A (ko) 2013-10-10
KR101370255B1 true KR101370255B1 (ko) 2014-03-05

Family

ID=4509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283A KR101370255B1 (ko) 2010-11-15 2011-11-15 단자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51938B2 (ko)
JP (1) JP2012109039A (ko)
KR (1) KR101370255B1 (ko)
CN (1) CN103210546A (ko)
DE (1) DE112011103774T5 (ko)
WO (1) WO2012067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614B1 (ko) * 2013-08-30 2017-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3854932B (zh) * 2014-03-04 2015-11-11 温州莱曼电器有限公司 一种条形熔断器式隔离开关的熔断器的安装机构
EP3460918A1 (en) * 2017-09-20 2019-03-2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EP3460917A1 (en) 2017-09-20 2019-03-2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DE102019100219A1 (de) * 2019-01-07 2020-07-0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erbindung mit Schirmauflage
CN110611237B (zh) * 2019-09-30 2021-11-19 英利能源(中国)有限公司 一种接线盒接线端子与汇流带的连接方法及连接结构
EP3896715B1 (en) * 2020-04-14 2024-04-24 Tyco Electronics France SAS Fuse holding element configured to releasably cooperate with a conducting b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857B2 (ko) * 1984-07-23 1991-07-25 Toowa Jugen
EP0863577A2 (de) * 1997-03-05 1998-09-0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Schutzleiteranschluss
US20050223385A1 (en) 2004-03-31 2005-10-06 Christof Braun Method and structure for explicit software control of execution of a thread including a helper subthrea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537982U (de) * 1975-11-28 1978-09-14 Fischer, Karl, 7519 Oberderdingen Federklemmanschluß zur Verbindung zweier elektrischer Anschlußteile
JPH0348857Y2 (ko) * 1989-01-24 1991-10-18
JP4009515B2 (ja) 2002-10-02 2007-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US7175488B2 (en) * 2005-04-04 2007-02-1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system
JP5394119B2 (ja) 2009-04-24 2014-01-2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重合体の製造方法、レジスト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基板の製造方法
JP5956282B2 (ja) * 2012-08-10 2016-07-2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857B2 (ko) * 1984-07-23 1991-07-25 Toowa Jugen
EP0863577A2 (de) * 1997-03-05 1998-09-0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Schutzleiteranschluss
US20050223385A1 (en) 2004-03-31 2005-10-06 Christof Braun Method and structure for explicit software control of execution of a thread including a helper subthr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7255A1 (en) 2012-05-24
DE112011103774T5 (de) 2013-08-29
JP2012109039A (ja) 2012-06-07
US8851938B2 (en) 2014-10-07
CN103210546A (zh) 2013-07-17
KR20130111565A (ko) 2013-10-10
US20130244508A1 (en)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255B1 (ko) 단자 접속 구조
US8378235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7637781B2 (en) Fusible link unit with hinge section
JP5683284B2 (ja) 基板接続用端子
US9583869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1625293B1 (ko) 전기 커넥터
JP2009254073A (ja) バスバーの組付構造
JP2012084444A (ja)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KR20160017624A (ko)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WO2015159558A1 (ja) 雌型コンタクト及び電源用コネクタ
KR101166230B1 (ko) 커넥터
TWI523346B (zh)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or
US10587057B2 (e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2018064366A (ja) 電気接続箱
JP5513951B2 (ja) 部品付きホルダの取付構造
KR101578125B1 (ko) 커넥터
JP2009158327A (ja) コネクタ
JP2001110466A (ja) 圧接コネクタ
KR100988794B1 (ko) 커넥터
JP2005166599A (ja) ヒューズボックスの電線接続構造
JP2005332734A (ja) 圧接端子とそれを備えた圧接コネクタ
JP5121570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この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JP4426470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JP2011096368A (ja) コンセント
WO2014126045A1 (ja) 電線圧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