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406B1 -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406B1
KR101368406B1 KR1020100110697A KR20100110697A KR101368406B1 KR 101368406 B1 KR101368406 B1 KR 101368406B1 KR 1020100110697 A KR1020100110697 A KR 1020100110697A KR 20100110697 A KR20100110697 A KR 20100110697A KR 101368406 B1 KR101368406 B1 KR 10136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composition
functional
tea
function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459A (ko
Inventor
마승진
정재천
고기봉
최정연
박근형
문제학
김선재
조정용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4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나무 줄기를 아세톤에 넣고 마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쇄된 차나무 줄기를 여과하여, 잔사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 상기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제조방법; 상기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녹차에 대해 수증기 증류 추출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녹차의 기능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차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요구되는 녹차의 다양한 활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서, 녹차 관련 산업분야의 생산성 향상과 녹차 재배 농가 및 녹차 관련 기업의 수익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GREEN TEA WITH EXCELLENT SKIN-PROTECTIVE FUNCTIONALITY}
본 발명은 기능성, 구체적으로 피부와 관련된 기능성인 UV 차단효과 및 주름방지 효과가 우수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여성들이 사용하는 제품이라고 생각되던 화중품은 오늘날에는 단순한 아름다움의 표현 도구만이 아닌 생활용품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산업의 발전에 따라 화장품에 대한 고급화와 다양화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특별한 효과나 효능을 기대하는 ‘기능성’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인정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미백제품,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주름개선 제품 및 피부를 곱게 태워주가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은 미용 효과뿐만 아니라 신체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주고, 예방 및 치료 작용을 하는 화장품으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화장품 전체 매출에서 기능성 화장품의 매출비중이 현저하게 증가하면서, 인체에 미치는 새로운 효능 성분을 모색하고, 이를 피부에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피부의 주름개선과 관련하여, 피부의 탄력성이 상실되어 느슨해진 상태 즉, 피부외관에 주름살이 형성되는 원인은 자연적 노화에 의한 주름의 생성과 자외선 노출(광노화)에 의한 주름의 생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 데, 두 가지 원인에 의한 주름 형성 메커니즘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주름과 밀접하게 관련된 피부노화 또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자연적 노화 즉,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생리적 노화(chronological aging)와 자외선 노출을 포함하여 바람, 온도, 습도, 담배연기 및 공해 등과 같은 외재적 요인에 의한 노화(extrinsic aging)가 있다.
상기 두 가지 주름의 원인 즉, 자연적 노화와 광노화에 의한 피부변화와 관련되어 발견되는 공통적인 현상은 진피 내의 주 구성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 및 변형 및 진피의 기질인 히아루론산의 감소에 의한 피부 탄력 감소이다. 특히,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상기 진피 내 주 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 및 변형이 주름의 생성 및 피부의 탄력저하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콜라겐은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한다. 또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 건(tendon), 뼈 및 치아의 유기 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데, 특히 뼈와 피부의 진피에 그 포함량이 높다. 대부분의 다른 체 구조물에서는 섬유상 봉입체로서 존재한다.
상기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부여하여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확보, 결합조직의 저항력 유도, 조직의 결합,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 시)의 유도 등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콜라겐은 상처 치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손상된 상피에서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켜서 상처를 신속하게 흉터 없이 회복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진피층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의 노화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의 진행이나 자외선 조사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발현을 촉진시키며, 이러한 콜라게나제에 의한 콜라겐 분해로 인하여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지금까지 알려진 피부 노화 억제제로는 피부 노화 억제 기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콜라겐 생성 촉진제, 엘라스틴 활성화제, 히아루론산 생성 증가제, 자유라디칼 소거제, 세포 증식제, 광노화 억제제, 각질세포 증식억제제, 보습제, 유해 활성산소 생성방지제, 세포 재생물질 등이 있다.
또한,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콜라겐을 포함시킨 화장품 또는 연고 등과 같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는 콜라겐의 주름 개선 및 피부 회복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나, 고분자 물질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보습작용 또는 상처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기능 개선 및 상처치유의 기능을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자유 라디칼의 형성이나 반응을 억제하는 비타민 C, 비타민 E 또는 카로티노이드와 같은 항산화제에 의해 주름의 형성을 예방하는 방법, 레티놀과 같이 진피 내의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콜라겐을 피부내로 주입하는 방법 또는 보툴리눔 독소를 피부에 주사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비타민 C, 비타민 E, 카로티노이드 및 레티놀은 모두 상온에서 쉽게 부서진다는 단점이 있고, 상기 레티놀은 처리농도가 높아지면 피부에 부작용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콜라겐이나 보툴리눔 독소의 경우 피부적용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기능 개선 또는 상처 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상기 피부에 대한 자외선 차단과 관련하여, 피부에 손상을 입히는 외부환경인자 중에 가장 강력한 인자는 바로 자외선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자외선을 차단해 주는 오존층이 약화되면서 피부에 직접 조사되는 생활자외선의 양은 날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는 광선으로 피부 깊숙이 침투해 진피를 손상시키며 노화는 물론이고 화상이나 피부암을 일으키기도 한다.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UVA, UVB 및 UVC로 구분하는데 그 중 자외선 A(UVA)가 지구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자외선 A(UVA)는 피부 깊숙이 침투해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 B(UVB)는 짧은 시간 동안 과도하게 노출되면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또는 부종 등을 유발한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는 일정한 피부 부위에 특수한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자외선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제제를 의미한다. 상기 자외선차단제는 크게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와 물리적 자외선차단제로 분류되고 있다. 자외선의 화학적 흡수를 메커니즘으로 하는 화학적 자외선차단제는 신남산계, 살리실산계 및 벤조페논계 등의 유기차단제가 잘 알려져 있으며, 자외선의 물리적 산란 및 차폐를 메커니즘으로 하는 물리적 자외선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과 같은 무기차단제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의 경우, 자외선차단 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적용되는 파장범위가 좁고,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함에 있어 끈적이고 번들거려 사용감이 나쁘며 분자형태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물리적 자외선차단제의 경우, 자외선을 반사하고 산란시켜 투과 자외선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주로 초미립자 형태의 무기 화합물을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물질은 광굴절률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으며 유기물질 자외선차단제에 비해 내열성이 우수하다. 피부자극은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무거운 사용감과 백화 현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어 미용적으로 적절하지 못하다.
상기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와 물리적 자외선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첫 번째로,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와 물리적 자외선차단제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형태로서 현재 자외선차단용 제품에 대부분 적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전술한 근본적인 단점은 존재한다. 두 번째로, 무기물이나 고분자 입자 표면에 무기차단제인 이산화티탄을 흡착시키거나 입자 내부에 유기차단제를 함유하는 형태로서, 피부안전도 측면에서는 보완을 하였으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자외선차단 효율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세 번째로, 이산화티탄이나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물을 초미립자로 제조하여 기존 무기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고효율의 차단효과를 갖는 형태이다. 하지만, 백화현상을 완전히 감소시킬 수 없으며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사용감이 나빠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화학 물질을 재료로 한 유기 자외선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차단제는 그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전혀 무해한 천연 자외선차단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차는 커피, 코코아와 함께 동백나무과의 차나무(Camellia senensis)의 잎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대표적인 비알콜성 음료로 품종, 제법, 형상 등에 의해 여러 가지로 구분되나, 일반적으로 상기 차류는 제조공정 중의 발효 정도에 따라 주로 녹차로 대표되는 비발효차, 우롱차로 대표되는 반발효차 및 홍차로 대표되는 완전발효차의 3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반발효차는 차잎을 10% 내지 65% 발효시켜 만든 차를 의미하고, 상기 완전발효차는 차잎을 85%이상 발효시켜 만든 차를 의미한다.
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차로서 음용되어져 왔고, 과거에는 주로 한국, 일본 및 중국을 포함한 동양권에서 주로 음용되었으나, 현재에는 전세계에서 폭넓게 음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차에는 쓴맛이 있는 카페인과 사포닌, 쓴맛과 떫은맛을 내는 폴리페놀, 카테킨이나 비타민 C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다이어트, 미용, 생활습관과 관련된 성인병 등을 포함한 생활습관병의 예방 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차에 함유된 상기와 같은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일반인들에게도 인식되고 있다. 일 예로, 녹차의 주성분인 폴리페놀에 의한 항산화 효과, 항암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혈압강하 효과, 혈당저하 효과, 중금속 해독 작용, 충치 예방 및 구취 제거 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일반인들에게도 차의 기능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차의 효능 및 기능성에 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차 시장의 규모와 녹차를 포함한 차의 소비 인구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국내 차 재배면적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일 예로, 1985년에는 449 ha이던 차 재배면적이, 2000년에는 1530 ha로 증가하였고, 2007년에는 3800 ha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재배면적의 증가에 따라, 국내 차 생산량도 1985년에는 116톤이던 것이, 1995년에는 699톤으로 증가하였고, 2000년에는 1434톤으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는 3888톤으로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차 소비량도 증가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차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차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문제, 구체적으로 녹차 제품 재고의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가격 하락으로 인해 국내 녹차 사업 및 차 재배 농가는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차의 기능성, 보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주름예방 효과 및 UV 차단 효과와 보습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의 주름예방 효과, UV 차단 효과 및 보습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나무 줄기를 아세톤에 넣고 마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쇄된 차나무 줄기를 여과하여, 잔사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처리된 녹차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차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녹차의 과잉 생산에 의한 녹차 및 재고 녹차의 과다 생산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녹차 사용 용도와 관련하여 연구하던 중, 차나무 줄기를 아세톤에 넣고 마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쇄된 차나무 줄기를 여과하여, 잔사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을 보관된 재고인 재고 차에 처리하는 경우 UV차단 효과 및 주름예방 효과가 개선되며, 주름예방 효과와 관련된 Linalool oxide, 3-Hexanol 및 Geraniol 등의 함량이 증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여,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나무(tea plant)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또는 상록활엽관목으로 학명은 Camellia sinensis이다. 티베트와 중국 쓰촨성의 경계에 해당하는 산악지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열대지방, 아열대지방 및 온대지방에 자생하며, 현재에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및 동남아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상기 차나무에는 변종이 많으며, 이들 변종은 그 모양이 각기 크게 다르다. 주로, 중국이나 일본에서 재배되는 소엽종은 자연 상태에서도 높이가 약 2m 내지 약 3m 정도까지 자라는 관목이고, 인도 아삼 지방의 대엽종은 높이가 약 15m 내지 약 30m에 달하는 교목이다. 차나무의 잎은 품종이나 위치에 따라 변이가 크지만, 주로 길이 6cm 내지 20cm 및 폭 3cm 내지 4cm의 긴 타원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끝과 밑 부분이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잎의 질은 단단하고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품종에 따라 잎 빛깔의 진하고 엷음에 차이가 있고 주름에도 변화가 있다. 어린잎이나 어린 싹의 뒷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리산에 자라는 야생종은 중국산 소엽종이고, 재배차의 경우에는 중국산 소엽종을 개량한 일본산 야부키타종이 주로 재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tea)는 차나무의 잎을 따서 음료로 가공한 것을 의미한다. 전세계적으로 애용되는 기호음료로서 커피나 코코아 또는 기타 음료를 능가하는 세계 최대의 음용량을 나타낸다. 차나무의 잎과 관련하여, 새로 돋은 가지에서 딴 어린잎을 차 제조용으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1아 2엽 등의 경우에는 품질이 우수하여 가격이 높으므로 손 따기를 통하여 수확하나, 작업능률이 매우 낮으므로 1아 4엽 등의 일반적인 차나무의 잎은 채엽기를 이용하여 수확한다. 찻잎은 보통 5월, 7월 및 8월의 3차례에 걸쳐 잎을 따는데, 5월에 딴 잎이 가장 좋은 차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녹차(Green Tea)는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을 사용해서 만든 차를 의미한다. 상기 녹차는 채취된 찻잎을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찻잎을 찌거나 덖어서 즉, 찻잎을 가열하여 산화효소를 파괴시킴으로써, 찻잎의 녹색을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수분을 증발시켜 잎을 흐늘흐늘하게 말기 좋은 상태로 말려서 제조한다. 과거에는 사람이 가마솥에서 직접 잎을 손으로 비벼 말리면서 계속해서 가열함으로써 찻잎이 바삭바삭하게 될 정도로 수분을 제거하여 만들었는데 이는 이것은 즙액을 세포 밖으로 짜내어 건조와 성분의 변화를 돕고, 더운 물과 융합할 때 차의 성분이 빨리 우러나도록 하며, 부피를 줄여서 저장과 운반에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주로 증열기, 조유기, 유염기, 재건기, 정유기 또는 건조기 등을 사용하여 차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잔사는(residue)는 잔류물이라고도 하며, 여과, 용해, 가열 또는 증발 등의 조작으로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것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여과과정을 수행하여 액체성분을 제거한 후, 여과망 등에 남아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쇄란 갈거나 찧어서 죽이나 가루로 만드는 것 또는 생물체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을 추출하는 등의 목적을 위하여 생체조직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조작을 의미하고, 경우에 따라 분쇄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균질기(homogenizer)는 기계적으로 조직이나 세포를 파괴하여 마쇄물을 만들거나 유화하는 장치나 기구를 의미한다. 포터-엘베헴 호모지나이저(Potter-Elvehjem homogenizer), 발덴브렌더, 프렌치프레스 등의 가압형 세포파괴장치, 볼밀 또는 진탕식 세포파쇄장치가 포함되며, 마쇄기 또는 분쇄기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은 UV 차단 효과 및 주름방지 효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UV 차단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UV 차단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차나무 줄기를 아세톤에 넣고 마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쇄된 차나무 줄기를 여과하여, 잔사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녹차의 기능성은 기능성 화장품과 관련된 기능성 보다 구체적으로, UV차단 효과, 주름방지 효과 및 보습효과, 바람직하게는 UV차단 효과 또는 주름방지 효과일 수 있다.
상기 차나무 줄기는 제조과정에서 차나무 줄기에 부착된 찻잎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작업상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억제하거나 감소시키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찻잎이 붙어 있는 차나무 줄기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나무 줄기는 상기 마쇄단계를 수행하기 전에는 채취 후에 냉동 조건, 일 예로 -70℃ 내지 -80℃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풍미가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1등급 차나 2등급 차는 봄 즉, 5월에 채취하는 1아 2엽으로 제조된 것이고, 향기는 약한 반면 쓴맛이 강하여 풍미가 떨어지는 3등급 차나 4등급 차는 가을이나 겨울에 생산되는 1아 4엽 이상으로 제조되는 것이므로, 상기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에 적합한 찻잎 등도 5월에 채취된 1아 2엽의 잎으로 예상되었으나, 녹차의 기능성 즉, Linalool oxide, 3-Hexenol, Phenyl ethanol, Benzyl alcohol 등의 함량 증가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오히려 일반적으로 차의 제조에 사용되지 아니하는 줄기 특히, 9월말 내지 11월초에 채취된 차나무의 줄기가 상기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차나무 줄기는 9월부터 11월 즉, 9월 내지 11월에 채취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월 15일부터 11월 15일에 채취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월 20일부터 11월 10일에 채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쇄하는 단계에서 아세톤의 온도는 -2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마쇄된 차나무 줄기를 여과하여, 잔사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아세톤과 같은 액체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 여과과정 또는 건조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은 녹차의 기능성, 구체적으로 녹차의 UV차단 효과, 주름방지 효과 및 보습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기능성 강화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은 녹차로부터 기능성이 강화된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거나, 녹차 추출물의 기능성 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 및 녹차를 반응용매 하에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는 물 또는 산성, 구체적으로 약산성을 가진 반응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H 5 내지 pH 7,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5 내지 pH 6.5의 반응용매일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는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용액 또는 구연산 완충용액일 수 있다. 상기 구연산 완충용액은 구연산의 함량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최종 제품의 풍미를 고려하여 0.05% 내지 5%의 구연산이 포함된 구연산 용액을 사용할 수 있고, 일 예로 20 mM 구연산 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의 함량은 반응에 첨가된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 400g 또는 첨가된 녹차 1kg을 기준으로 5 L 내지 12 L, 바람직하게는 7 L 내지 9 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하는 단계 즉, 처리시간은 본 발명의 효과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4시간 30분 내지 7시간 3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7시간일 수 있다.
상기 녹차 제조방법은 추가로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처리된 녹차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즉, 추출단계는 증류추출법(distillation extraction)법 또는 용매추출법을 포함한 향기성분이나 녹차로부터 특정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증류추출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향기성분은 폴리페놀을 포함한 화합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Hexanoic acid, Linalool oxide, Hexenol, 일 예로 3-Hexenol, Phenyl ethanol, Geraniol, Benzyl alcohol, Ionone, 일 예로 α-Ionone Methyl salicylate, Linalool, Nerolidol, 및 Hexena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Hexanoic acid, Linalool oxide, 3-Hexenol, Phenyl ethanol, Geraniol, Benzyl alcohol, α-Ionone 및 Methyl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증류추출법은 바람직하게는 수증기 증류 추출법(steam distillation extraction)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수증기 증류 장치를 이용한 추출법 또는 연속식 수증기 증류 장치를 이용한 추출법(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일 수 있다.
상기 수증기 증류 추출법은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처리된 녹차와 증류수를 함께 넣고 가열하는 과정 및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증기 증류 추출법은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처리된 녹차와 증류수를 함께 넣고 가열하여 수증기를 수득하는 과정 및 상기 수득된 수증기에 대해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향기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수증기 증류 추출법에는 크로마토그래피법, 일 예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Gas-Chromatography, GC)을 포함한 상기 향기성분을 농축하는 과정이나 상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상기 향기성분을 농축하는 과정 등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녹차와 증류수를 함께 넣고 가열하는 과정은 통상적인 플로랄 워터(floral water)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플로랄워터는 식물로부터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수용성 물질 히드로졸(hydrosol)을 의미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노르말-펜탄(n-Pentane) 및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을 포함한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노르말-펜탄(n-Pentane) 및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상기 혼합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에는 상기 향기성분 또는 특정 화합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에탄올과 같은 포집용매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포집용매는 향기성분을 고농도로 포집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에탄올이 첨가된 노르말-펜탄과 디에틸에테르의 혼합용매에 의해 향기성분이 추출되고, 상기 노르말-펜탄과 디에틸에테르이 크로마토그래피 과정에서 열에 의해 휘발되어, 상기 에탄올에 향기성분이 고농도로 포집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포집용매는 식품 또는 화장품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무수 에탄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는 바람직하게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은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구체적으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인 UV 차단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 활성 및 콜라겐(collagen) 생성능이 우수하다는 것과 보습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기능성은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 또는 자외선 차단 효과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라스타제 저해제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타제는 피부 탄력을 관장하는 구조단백질인 엘라스틴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백혈구(백혈구엘라스타아제, EC 3.4.21.37)나 췌장(췌장엘라스타아제, EC 3.4.21.36)에서 주로 발견된다. 상기 췌장에서 발견되는 췌장 엘라스타아제는 활성중심의 세린잔기가 디이소프로필플루오르인산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표지되어 활성을 상실하는 세린단백질분해효소로, 최적 pH는 pH 7.8 내지 pH 8.5이다. 상기 엘라스타제는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피부에 과도한 주름을 발생시키고, 콜라겐 등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엘라스타제를 억제하는 경우 피부노화와 주름 등의 피부 병변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제는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의약품, 의약부외품, 식품 또는 외용제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을 포함한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현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외용제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예로는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를 들 수 있다.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는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은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노화방지나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15 중량부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내지 1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의 경우 식품 전체의 부피 100 ml를 기준으로 0.001 g 내지 50 g, 바람직하게는 0.01 g 내지 10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외용제란 일반적으로 외용에 사용하는 조성물 전반을 포괄하는 개념이고, 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등 각종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나 연고제 등의 다양한 의약품 내지 의약외품 등으로 폭넓게 적용 가능한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또는 기능성 화장품일 수 있다.
상기 외용제에는 유효성분 외에 사용용도 및 외용제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통상 외용제에 배합되고 있는 성분, 일예로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류, 동식물 추출성분, 소화제, 미백제, 혈관확장제, 수렴제, 청량제, 호르몬제 등을 추가로 배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외용제의 제형은 사용용도 및 외용제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일예로 수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유액계, 겔계, 페이스트계, 연고계, 에어졸계, 물-기름 2층계, 물-기름-분말 3층계일 수 있으며, 상기 제형에 의해 본 발명의 외용제의 제형 및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외용제는 유효성분 즉,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바람직하게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피부조직으로 침투 또는 이행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외용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20 중량%일 수 있으나, 함량은 제형 또는 외용제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외의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의 함량이 0.01 중량%를 미만인 경우에는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의 강한 분산성 등으로 인하여 제품의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예인,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부형제, 희석제, 무기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면도용 화장품 또는 구강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릿치제, 칼라 린스가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으며, 구강용 화장품으로는 치약, 마우스 워셔 등이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는 UV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보습효과도 뛰어나므로, UV 차단 효과를 갖는 화장품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류,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또는 비타민 C이거나, 이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 또는 이들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또는 케라틴 등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후, 정제과정을 거쳐 취득할 수 있으며,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또는 콘드로이틴 황산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염(나트륨염 등)등 일 수 있다. 상기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일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일 수 있고, 상기 해초 엑기스에는 상기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포함된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은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또는 정제수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은 구체적으로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 등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는 일 예로,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릴 또는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일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는 일 예로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와셀린 등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는 일 예로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또는 경화피마자유 등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또는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또는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또는 아미드아민형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및 이들의 복합 안료 등일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일 예로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안료는 일 예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 오렌지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는 일 예로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사불화에틸렌 등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된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리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평균입도가 5~100nm인 이산화티탄, 평균입도가 5~300nm인 산화아연, 평균입도가 5~300nm인 산화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녹차로부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은 Linalool oxide, Hexenol, Phenyl ethanol, Geraniol 및 Linaloo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처리된 녹차와 증류수를 함께 넣고 가열하여 수증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수증기에 대해 노르말-펜탄, 디에틸에테르 및 에탄올이 포함된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및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여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 및 녹차를 반응용매 하에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는 물 또는 산성, 구체적으로 약산성을 가진 반응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H 5 내지 pH 7,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5 내지 pH 6.5의 반응용매일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는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용액 또는 구연산 완충용액일 수 있다. 상기 구연산 완충용액은 구연산의 함량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최종 제품의 풍미를 고려하여 0.05% 내지 5%의 구연산이 포함된 구연산 용액을 사용할 수 있고, 일 예로 20 mM 구연산 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의 함량은 반응에 첨가된 녹차 1kg을 기준으로 5 L 내지 12 L, 바람직하게는 7 L 내지 9 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하는 단계 즉, 처리시간은 본 발명의 효과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4시간 30분 내지 7시간 3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7시간일 수 있다.
상기 수증기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추출하는 단계는 증류추출법(distillation extraction)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증류추출법은 바람직하게는 수증기 증류 추출법(steam distillation extraction)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연속식 수증기 증류 추출법(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일 수 있다. 상기 연속식 수증기 증류 추출법은 연속식 수증기 증류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수증기 증류 추출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증기를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처리된 녹차와 증류수를 함께 넣고 가열하는 방법, 일 예로 플로랄워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수증기에 대해 노르말-펜탄 및 디에틸에테르의 혼합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 또는 특정 화합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추가되는 포집용매이므로, 이러한 사용목적의 범위 내에서 함량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고농도로 포집하면서도,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이 사용되는 최종 제품이 식품 또는 화장품이란 점을 고려하여 에탄올 수용액 등의 다른 유기용매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법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Gas-Chromatography, GC)일 수 있고,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법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농축하는 과정이나 상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농축하는 과정 등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기존 녹차가 가지는 기능성, 구체적으로 기능성 화장품과 관련된 기능성인 UV 차단효과 및 피부 주름 방지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녹차 추출물은 다양한 사용 용도를 제공함으로써 최근 지적된 녹차의 과잉 생산과 관련하여 장기간 저장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는 녹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 녹차와 관련된 산업, 구체적으로 식품산업 및 화장품 관련 산업의 발전과 녹차 재배 농가의 수익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차나무의 줄기 및 잎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세포독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가 조사된 세포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유효물질 및 그 함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보습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의 반응시간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가 조사된 세포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의 반응시간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유효물질 및 그 함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의 반응시간 및 반응용매의 양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가 조사된 세포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의 반응시간 및 반응용매의 양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유효물질 및 그 함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가 조사된 세포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추출방법, 구체적으로 수증기 증류 추출법(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 도 11b) 및 연속식 수증기 증류 추출법(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 도 11b)에 따른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유효물질 및 그 함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어지는 변형 등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제조예: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1;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 재료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된 찻잎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 소재의 다원에서 9월말에 채집된 Yabukita 종의 가지(찻잎을 별도로 제거하지 아니한 줄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녹차는 전년도(2008년 6월)에 채취된 재래종 차나무의 4엽 이상 찻잎으로 제조한 녹차를 사용하였다
상기 채취한 차나무 가지는 냉동시켜 보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취한 차나무 가지는 채취 후 액체 질소 내에서 급속 냉동하고, 드라이아이스와 함께 넣어 운반한 후,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서 -80℃에 보관하였다.
제조예 1-2;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제조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은 상기 -80℃에 보관 중인 상기 제조예 1-1에서 채취한 차나무 줄기 1,500g을 -20℃ 내지 -30℃의 아세톤에 넣고 균질기(homogenizer, POLYTRON PT-MR3100, KINEMATICA AG, 스위스)로 마쇄하였다. 상기 마쇄된 찻잎을 여과지(Whatman NO.2)를 이용하여 액체 성분을 제거한 후, 다시 -20℃ 내지 -30℃의 아세톤을 첨가하고 여과하는 과정을 1회 더 수행하여 불순물을 용출시켰다. 상기 여과지에 남아 있는 잔사물(residue)을 수득한 후, 진공감압 건조기를 통해 용매를 제거하여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residue, Acetone powder) 600g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은 실험 수행 전까지 -80℃에 넣어 보관하였다.
제조예 1-3; 시약 및 재료
향후 실시예에 사용된 시약 중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MTT(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시약은 Sigma Chemical Co(Germany)제품을 구입하였고, 세포 배양을 위한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IMDM), fetal bovine serum(FBS) 및 penicillin-streptomycin 등은 Gibco-BRL(Grand Island, USA)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향기성분과 관련된 시약인 trans-3-Hexen-1-ol, Hexanoic acid, Linalool, Linalool oxide, Geraniol, Benzyl alcohol, Methylsalicylate, Phenethyl alcohol, α-Ionone, β-Ionone 및 Phenylacetaldehyde은 Sigma-Aldrich 또는 Fluka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1: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피부 관련 기능성 확인
실시예 1-1;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 400g을 20mM 구연산 완충용액(pH 6.0)에 넣고 상기 제조예 1-1에서 구입한 전년도(2008년 6월)에 채취된 재래종 차나무의 4엽 이상 찻잎으로 제조한 녹차 1kg을 넣은 후, 항온배양기에서 37℃ 및 150 rpm 조건으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용매인 구연산 완충용액은 5 L 또는 8 L이었고, 상기 반응시간은 3시간, 6시간 또는 9시간이었다.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를 반응시킨 반응물에 대하여 증류 추출법을 수행하여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증류 추출법은 steam distillation(SD)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 또는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SD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은 우선, 상기 제조된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를 반응시킨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50g에 증류수 5 L를 수증기 증류 추출 장치(SD)에 넣고 2시간 동안 가열하여 3.2 L의 플로랄 워터(Floral water)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로랄 워터에 노르말-펜탄(n-Pentane)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1:1(v/v)로 혼합한 혼합용매 250 mL를 첨가한 뒤, 용매분획하여 유기용매 층으로 기능성 성분을 이동시켰다. 상기 분획된 유기용매층을 MgSO4로 탈수시킨 후, DMSO 1 mL을 넣고 Vigreux column과 N2 gas를 이용하여 1 mL까지 농축하였다. 농축된 dimethylsulfoxide(DMSO, Sigma, USA)를 100%로 설정한 후 동일용매(DMSO)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Vigreux column을 이용한 GC/MS의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Instrument GC-MS(QP 2010, Shimadzu, Japan)
Column Supelco-WAX(0.25mm×0.25mm×30m)
Injection Temp. 250 ℃
Ion source Temp. 200 ℃
interface temp. 250 ℃
Carrier gas Helium
Column flow rate 1 mL/min.
Injection volume 1 ㎕
Column Temp. 0 min ~ 3 min 60 ℃
3 min ~ 48 min 150℃ at 2℃/min.
48 min ~ 50 min 158℃ at 4℃/min.
상기 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은 우선, 상기 제조된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를 반응시킨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50g에 증류수 500 mL를 수증기 증류 추출 장치(SDE)에 넣고, 노르말-펜탄(n-Pentane)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1:1(v/v)로 혼합한 혼합용매 250 mL를 사용하여 2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한 유기용매층을 MgSO4로 탈수시킨 후, 유기용매층만 신속하게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유기용매층에 DMSO 1 mL을 넣고 Vigreux column과 N2 gas를 이용하여 1 mL까지 농축하였다. 농축된 DMSO를 100%로 설정한 후 동일용매(DMSO)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Vigreux column을 이용한 GC/MS의 분석조건은 상기 표 1과 같다.
또한, 상기 추출법에 대한 비교예로, 상기 제조된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를 반응시킨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50g에 500 mL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 및 비교예인 녹차 DMSO 추출물의 세포독성 측정은 섬유아세포인 CCD-1064Sk(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ATCC CRL-2076, USA)를 이용한 MTT colometric assay로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CCD-1064Sk를 96 well plate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200 μL/well씩 분주한 후, 37℃ 및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후,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5% DMSO를 이용하여 100%, 75%, 50% 및 25 %로 농도를 조절하여 20 μL씩 처리하였다. 상기 시료 처리 후, 시료를 처리한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2 mg/mL의 농도로 조제한 MTT시약을 20 μL씩 넣고 4시간 동안 재배양하여 formazan을 형성시켰다.
상기 96well plate 바닥에 형성된 formazan을 200 μL의 DMSO를 첨가하여 녹인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기초로,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에 대한 흡광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세포성장 및 억제율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성이 확인된 녹차와 비교하여,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은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은 농도에 상관없이 피부 기능성과 관련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1-3;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 차단효과 확인
실시예 1-1에서 측정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 차단효과 측정은 섬유아세포인 CCD-1064Sk를 이용한 MTT colometric assay로 수행하였다.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 차단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예 1은 녹차 에탄올 추출물(A)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2는 상기 제조된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를 반응시킨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50g에 무수에탄올 500 mL를 첨가하여 제조한 에탄올 추출물(B)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3은 녹차 에탄올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1-1의 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CCD-1064Sk를 96 well plate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200 μL/well씩 분주한 후, 37℃ 및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후,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100% 녹차 추출물 및 상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을 20 μL씩 처리하였다. 상기 시료 처리 후, 광원으로 VL-4.LC UV 램프(vilber lourmat사)를 사용하여 365nm 파장으로 5J/cm2을 조사하였다. 상기 시료를 처리한 후, UV를 조사한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2 mg/mL의 농도로 조제한 MTT시약을 20 μL씩 넣고 4시간 동안 재배양하여 formazan을 형성시켰다.
상기 96well plate 바닥에 형성된 formazan을 200 μL의 DMSO를 첨가하여 녹인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기초로,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도 조사하지 않은 양성대조구(UV 비조사)에 대한 흡광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세포성장 및 억제율을 측정하였고,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만 조사한 음성대조구(UV 조사)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의 조사에 의하여 상당수의 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가 사멸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UV조사 후, 본 발명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을 처리한 경우에는 음성대조구에 비하여 약 37% 정도의 세포가 더욱 생존하여 UV 차단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녹차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를 반응시킨 경우에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에 대한 추출방법의 종류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UV를 조사하지 않은 양성대고구에 비하여 더 많은 세포수가 확인되어, 섬유아세포의 세포성장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에 대한 추출방법으로는 에탄올 용매를 이용한 유기용매 추출법 보다는 증류 추출법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4;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항주름효과 확인
실시예 1-1에서 측정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항주름효과 측정은 피부 주름의 생성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엘라스타제(elast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에 사용된 엘라스타제는 돼지에서 유래된 효소를 사용하였고, 기질은 N-succinyl-l-(Ala)3-ρ-nitroanilide를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96 well plate에 50 mM Tri-HCl buffer(pH 8.0) 60 μL, 20 mM의 상기 기질 10 μL와 시료를 첨가하고, 37℃에서 5분간 preincubation하였다. 상기 preincubation 후, 1 unit/mL의 농도로 조제한 엘라스타제를 각 well에 20 μL씩 첨가한 후, 15분 동안 37℃에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종료 후 415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한 후 미리 구해놓은 검량선에 측정값을 대입하여 저해활성에 대한 IC50 값을 구하였다.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항주름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예 1은 녹차에 대해 상기 실시예 1-1의 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를 사용하였고, 비교예 2는 녹차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3은 상기 제조된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 녹차를 반응시킨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50g에 무수에탄올 500 mL를 첨가하여 제조한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명 IC50(μg/mL)
비교예 1 N.D
실시예(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 85.2
비교예 2 132.8
비교예 3 169.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장 우수한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확인되었고, 피부탄력 저하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우수한 항주름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순히 녹차에 대해 증류 추출법을 수행한 비교예 1의 경우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녹차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의 약 60% 이상의 IC50 값이 확인되어, 녹차의 항주름효과의 개선을 위하여 녹차와 본 발명의 녹차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의 반응이 요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표 2의 결과에 대해 추가로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인 실시예와 상기 비교예 1인 녹차에 대해 상기 실시예 1-1의 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의 기능성 성분을 상기 실시예 1-1의 표 1에 기재된 GC/MS의 분석조건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인 본 발명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이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을 반응시키지 아니한 단순 녹차의 추출시료에 비하여 현저하게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성 성분 중, 상기 방법에 의해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Hexanoic acid, Linalool oxide, trans-3-Hexen-1-ol, Geraniol, α-Ionone 및 Methylsalicylate의 순으로 항주름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No. 기능성 물질 명 IC50(μg/mL)
1 trans-3-Hexen-1-ol 0.33
2 Hexanoic acid 0.09
3 Linalool N.D
4 Linalool oxide 0.11
5 Geraniol 1.08
6 Benzyl alcohol N.D
7 Methyl salicylate 1.56
8 Phenyl alcohol N.D
9 α-Ionone 1.19
10 β-Ionone N.D
상기 표 3에 기재된 성분 중,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Linalool oxide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trans-3-Hexen-1-ol 및 Geraniol도 현저하게 증가된 것으로부터, 실시예인 본 발명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이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을 반응시키지 아니한 단순 녹차의 추출시료에 비하여 단순히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약 450% 정도 증가되었다는 것뿐만 아니라,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물질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과의 반응을 통하여 녹차의 항주름효과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5;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보습효과 확인
실시예 1-1에서 측정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보습효과 측정은 경피수분증발율(TEWL, g/h㎟)을 MPA-5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피수분증발율 측정을 위한 측정지원자들을 측정 2시간 전에 입실시켜 환경에 적응시켰다. 상기 적응된 측정지원자들의 피부에 20 mm X 20 mm의 넓이로 실시예인 본 발명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과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을 반응시키지 아니한 단순 녹차에 대해 상기 실시예 1-1의 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를 각각 0.5 g씩 도포한 후 0분, 10분, 30분, 60분, 120분에 MPA-5기를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측정 시 실내 온도는 25.9℃이었고, 상대습도는 54.4%이었다.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인 측정 시간에서 실시예인 본 발명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이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을 반응시키지 아니한 단순 녹차의 추출시료에 비하여 경피수준 증발량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어, 보습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최적 제조 조건 확인
실시예 2-1; 최적 반응 시간 확인
실시예 1-1에서 반응시간을 3시간, 6시간 또는 9시간으로 달리하여 제조된 실시예인 본 발명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피부 관련 기능성을 확인하여 최적 반응 시간을 확인하였다. 상기 반응용매인 구연산 완충용액은 8 L를 사용하였고, 상기 증류 추출법은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최적 반응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 차단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UV 차단효과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농도를 달리하여, 상기 실시예 1-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UV를 조사한 뒤, 섬유아세포인 CCD-1064Sk를 이용한 MTT colometric assay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에 의해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측정된 흡광도 결과는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도 조사하지 않은 양성대조구(UV 비조사)에 대한 흡광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세포성장 및 억제율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6에서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만 조사한 음성대조구(UV 조사)와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농도에서 6시간 동안 반응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높았고, 6시간 동안 반응한 100%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경우에는 양성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97.23%의 세포 생존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UV 차단효과의 측면에서 상기 6시간 동안 반응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상기 최적 반응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항주름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항주름효과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농도를 달리하여, 상기 실시예 1-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확인하거나, 상기 실시예 1-1의 표 1에 기재된 GC/MS의 분석조건으로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의 표 1에 기재된 GC/MS의 분석조건으로 기능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6시간 반응시킨 경우, 3시간 반응시킨 경우에 비하여 약 2,500%의 기능성 성분이 측정되었고, 9시간 반응시킨 경우에 비하여 약 220%의 기능성 성분이 측정되었다. 또한, 상기 표 3에 기재된 항주름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물질과 관련하여, 3-Hexanol(trans-3-Hexen-1-ol)이나 Linalool oxide 등의 함량도 높은 것으로 측정되어, 항주름효과의 측면에서 상기 6시간 동안 반응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수치는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의 엘라스타제 활성에 대비한 저해활성 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시료 명 시료의 농도(%)
25 50 100
3시간 반응시킨 추출물 13.8 32.3 46.2
6시간 반응시킨 추출물 23.1 40.0 52.3
9시간 반응시킨 추출물 15.6 35.2 47.7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킨 추출물이 모든 농도의 시료에서 가장 우수한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확인되었고, 피부탄력 저하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으로부터 6시간 동안 반응시킨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주름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6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최적의 반응시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최적 반응시간 및 반응용매량 확인
실시예 1-1에서 반응시간을 3시간, 6시간 또는 9시간으로 달리하고, 반응용매인 20 mM 구연산 완충용액의 함량을 재고 녹차 1kg당 5 L 또는 8 L로 달리하여 제조된 실시예인 본 발명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피부 관련 기능성을 확인하여 최적 반응 시간을 확인하였다. 상기 증류 추출법은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최적 반응 용매함량 및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 차단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UV 차단효과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농도를 달리하여, 상기 실시예 1-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UV를 조사한 뒤, 섬유아세포인 CCD-1064Sk를 이용한 MTT colometric assay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에 의해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측정된 흡광도 결과는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도 조사하지 않은 양성대조구(UV 비조사)에 대한 흡광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세포성장 및 억제율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8에서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만 조사한 음성대조구(UV 조사)와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농도에서 6시간 동안 반응한 경우가 상기 실시예 2-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세포 생존율이 높았고, 반응용매 함량과 관련하여, 녹차 1kg 당 반응용매인 20 mM 구연산 완충용액을 5 L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8 L 첨가한 경우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최적 반응 용매함량 및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항주름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항주름효과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농도를 달리하여, 상기 실시예 1-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확인하거나, 상기 실시예 1-1의 표 1에 기재된 GC/MS의 분석조건으로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의 표 1에 기재된 GC/MS의 분석조건으로 기능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6시간 반응시킨 경우에서 각각 높은 기능성 물질 함량이 측정되었고, 5 L를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상기 반응용매를 8 L 첨가한 경우에 더 높은 기능성 물질 함량이 측정되었다. 특히, 상기 반응용매를 8 L 첨가하고 6시간 동안 반응시킨 경우에는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이 우수한 3-Hexanol(trans-3-Hexen-1-ol)의 함량이 현저하게 상승되어, 항주름효과의 측면에서 상기 반응용매를 재고녹차 1 kg을 기준으로 반응용매 8 L를 첨가한 후, 6시간 동안 반응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 기재된 용매함량은 반응물인 재고녹차 1 kg에 대한 반응용매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고, 수치는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의 엘라스타제 활성에 대비한 저해활성 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시료 명 시료의 농도(%)
25 50 100
반응용매 5L, 3시간 반응시킨 추출물 3.1 10.2 29.2
반응용매 5L, 6시간 반응시킨 추출물 12.3 18.5 32.3
반응용매 5L, 9시간 반응시킨 추출물 6.4 16.9 30.8
반응용매 8L, 3시간 반응시킨 추출물 4.6 9.2 21.5
반응용매 8L, 6시간 반응시킨 추출물 16.7 22.3 40.0
반응용매 8L, 9시간 반응시킨 추출물 9.2 19.5 29.2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킨 추출물이 다른 시간 동안 반응시킨 추출물에 비하여 가장 우수한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확인되었고, 반응용매의 경우에도 8 L를 첨가한 경우에 더 우수한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이 확인되었다. 피부탄력 저하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 결과로부터 반응용매를 8 L 첨가하고, 6시간 동안 반응시킨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주름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반응용매를 녹차 1kg을 기준으로 8 L 첨가하고, 6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최적의 반응조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3; 최적 추출 방법 확인
상기 실시예 2-1 및 상기 실시예 2-2에서 최적 반응시간이 6시간인 것이 확인되어, 실시예 1-1에서 반응시간을 6시간으로 특정하고, 반응용매인 20 mM 구연산 완충용액의 함량을 재고 녹차 1kg당 5 L 또는 8 L로 달리하며, 증류 추출법을 증류 추출법은 steam distillation(SD)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 또는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으로 달리하여 제조된 실시예인 본 발명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피부 관련 기능성을 확인하여 최적 추출법을 확인하였다.
상기 최적 추출법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UV 차단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UV 차단효과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농도를 달리하여, 상기 실시예 1-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UV를 조사한 뒤, 섬유아세포인 CCD-1064Sk를 이용한 MTT colometric assay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에 의해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측정된 흡광도 결과는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도 조사하지 않은 양성대조구(UV 비조사)에 대한 흡광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세포성장 및 억제율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0에서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만 조사한 음성대조구(UV 조사)와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차 1kg을 기준으로 추출용매를 5 L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추출용매를 8 L 첨가한 경우에서 다소 우수한 UV 차단효과가 확인되었고, 추출법의 경우 SD 추출법 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추출법에 비하여 다소 우수한 UV 차단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최적 반응 용매함량 및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의 항주름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항주름효과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농도를 달리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표 1에 기재된 GC/MS의 분석조건으로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 또는 콜라겐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의 표 1에 기재된 GC/MS의 분석조건으로 기능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녹차 1 kg을 기준으로 반응용매 5 L를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8 L를 첨가한 것이 각각 높은 기능성 물질 함량이 측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추출법(도 11b)에 비하여, SD 추출법을 이용한 경우(도 11a)에 다소 높은 기능성 물질 함량이 측정되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항주름효과의 측면에서도 SD 추출법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녹차의 기능성 강화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에 콜라겐 생성 함량의 변화 즉, 세포 밖으로 유리된 총 콜라겐 함량과 세포 내 누적된 총 콜라겐 함량의 측정을 통하여 최적 추출법을 확인하였다.
상기 세포외로 유리된 총 콜라겐 함량은 상기 실시예 1-2의 섬유아세포인 CCD-1064Sk가 생성하여 세포외로 유리되어 나온 총 콜라겐량을 sirius red dye binding assay를 일부 변형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48 well plate에 CCD-1064Sk를 2×105 cells/mL의 농도로 200 μL/well씩 분주한 후,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후, 상기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100%, 50% 및 25%의 농도로 조절하여 20 μL씩 처리하였다. 상기 시료 처리 후, 시료를 처리한 세포를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상기 배양배지 100 μL에 50 μM sirius red solution(0.5M acetic acid) 1 mL을 가한 후, 상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켜주었다. 상기 반응 후, 5000 × g의 조건에서 20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하고, 상기 원심분리 결과 수득한 침전물에 0.5M NaOH 200 μL를 가하여 5분 동안 콜라겐을 용출시켰다. 상기 용출된 콜라겐을 96well plate에 옮겨 담은 후, 540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여 세포외로 유리 된 총 콜라겐 함량을 구하였으며, 상기 구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세포내 누적된 총 콜라겐 함량은 상기 실시예 1-2의 섬유아세포인 CCD-1064Sk가 생성하여 세포내로 누적된 총 콜라겐량을 측정하여 구하였다. 상기 시료 처리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의 배양 배지를 제거한 뒤, 24 well plate를 PBS로 2회 세척하고, 50 μM sirius red solution(0.5M acetic acid)을 well당 200 μL씩 넣어주었다. 상기 50 μM sirius red solution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10mM HCl 200 μL로 3회 반복하여 세척하여 주었다. 각 well에 0.1M NaOH를 200 μL씩 첨가한 뒤, 콜라겐을 5분간 용출시켰다. 상기 용출된 콜라겐을96well plate에 200 μL씩 옮겨 담은 후, 540nm에서 ELISA reader을 이용하여 흡광도 값을 측정하여 세포내 누적된 총 콜라겐 함량을 구하였으며, 상기 구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명 농도(%) 콜라겐 합성율(%)
평균(%) S.D
Control 100 1.4
SD 추출
반응용매 5L
25 107.4 2.1
50 115.2 2.7
100 112.9 1.6
SD 추출
반응용매 8L
25 105.8 1
50 114.9 0.6
100 118.8 1.4
SDE 추출
반응용매 5L
25 105.5 0.6
50 107.8 1.9
100 112.0 1.5
SDE 추출
반응용매 8L
25 104.9 2.7
50 110.7 2.1
100 114.2 3.3
Ascorbic acid 25 102.1 2.1
50 114.1 1.9
100 116.5 1.5
시료 명 농도(%) 콜라겐 합성율(%)
평균(%) S.D
Control 100 1.4
SD 추출
반응용매 5L
25 102.2 1.7
50 108.3 1.4
100 115.5 1.6
SD 추출
반응용매 8L
25 105.8 1.2
50 111.5 0.6
100 121.7 1.1
SDE 추출
반응용매 5L
25 103.4 0.6
50 106.1 1.9
100 112.9 1.5
SDE 추출
반응용매 8L
25 104.1 2.7
50 108.9 2.1
100 113.5 3.3
Ascorbic acid 25 105.1 2.1
50 110.1 1.9
100 119.5 1.5
상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녹차 1 kg을 기준으로 반응용매 5 L를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8 L를 첨가한 것이 각각 높은 콜라겐 합성율이 측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SDE 추출장치를 이용한 추출법에 비하여, SD 추출법을 이용한 경우에 다소 높은 콜라겐 합성율이 측정되었다. 특히, 녹차 1 kg을 기준으로 반응용매 8 L를 첨가하고 SD법으로 추출한 결과, 비교예인 Ascorbic acid에 비해 더 우수한 콜라겐 합성능력이 확인되어, 항주름효과의 측면에서도 SD 추출법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반응용매를 녹차 1kg을 기준으로 8 L 첨가하고, 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SD 추출법으로 추출하는 것이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 조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차나무 줄기를 아세톤에 넣고 마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쇄된 차나무 줄기를 여과하여, 잔사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녹차에 대해 수증기 증류 추출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증류 추출법은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처리된 녹차와 증류수를 함께 넣고 가열하여 수증기를 수득하는 과정; 상기 수득된 수증기에 대해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향기성분을 추출하는 과정 및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여 상기 향기성분을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용매는 노르말-펜탄 및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향기성분은 Hexanoic acid, Linalool oxide, Hexenol, Phenyl ethanol, Geraniol, Benzyl alcohol, α-Ionone, Methyl salicylate, Linalool, Nerolidol 및 Hexena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는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 제조방법.
  7. 제5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
  8. 제7항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9. 제7항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7항의 기능성이 강화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11. 차나무 줄기를 아세톤에 넣고 마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쇄된 차나무 줄기를 여과하여, 잔사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의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녹차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강화용 조성물로 처리된 녹차와 증류수를 함께 넣고 가열하여 수증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수증기에 대해 노르말-펜탄, 디에틸에테르 및 에탄올이 포함된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및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여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은 Linalool oxide, Hexenol, Phenyl ethanol, Geraniol 및 Linaloo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로부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00110697A 2010-11-09 2010-11-09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KR10136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697A KR101368406B1 (ko) 2010-11-09 2010-11-09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697A KR101368406B1 (ko) 2010-11-09 2010-11-09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459A KR20120049459A (ko) 2012-05-17
KR101368406B1 true KR101368406B1 (ko) 2014-02-27

Family

ID=4626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697A KR101368406B1 (ko) 2010-11-09 2010-11-09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698B1 (ko) * 2013-09-30 2020-01-17 (주)아모레퍼시픽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65913B1 (ko) * 2013-09-30 2020-01-1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및 녹차의 발효물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N105997754B (zh) * 2016-07-25 2018-01-09 上海得高实业有限公司 一种山茶花提取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945868B1 (ko) * 2016-11-14 2019-02-11 대한민국 풍란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풍란 추출물, 및 상기 풍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CN107927283B (zh) * 2017-12-12 2021-02-26 陕西理工大学 一种利用spe小柱提取茶汤香气物质的方法
KR102106767B1 (ko) * 2019-08-16 2020-05-06 (주)아모레퍼시픽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106313B1 (ko) * 2019-08-19 2020-05-0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및 녹차의 발효물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205A (ko) * 2003-10-23 2006-09-22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 생잎 분말 및 차 생잎 분말로부터 수득되는 처리물,추출물, 오일 및 아로마
KR20090022595A (ko) * 2007-08-31 2009-03-04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JP2009235051A (ja) 2008-03-26 2009-10-15 Bhn Kk ニキビ改善剤及び皮膚外用品
KR20120048759A (ko) * 2010-11-06 2012-05-1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기호성이 우수한 녹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205A (ko) * 2003-10-23 2006-09-22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 생잎 분말 및 차 생잎 분말로부터 수득되는 처리물,추출물, 오일 및 아로마
KR20090022595A (ko) * 2007-08-31 2009-03-04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JP2009235051A (ja) 2008-03-26 2009-10-15 Bhn Kk ニキビ改善剤及び皮膚外用品
KR20120048759A (ko) * 2010-11-06 2012-05-1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기호성이 우수한 녹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459A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406B1 (ko)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110902B1 (ko)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101907921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47097B1 (ko)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1125B1 (ko) 허니부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JP2021109869A (ja) Age産生抑制剤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200040606A (ko)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449136B1 (ko)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02174B1 (ko)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144677B1 (ko) 그린볼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49034B1 (ko)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63230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동아 추출물 제조방법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40608A (ko)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00040607A (ko) 썸머프린스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34191B1 (ko)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525129B1 (ko) 미숙 자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4960A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2369A (ko)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101488880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동아 추출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