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549B1 - 비공기압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공기압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549B1
KR101365549B1 KR1020110129676A KR20110129676A KR101365549B1 KR 101365549 B1 KR101365549 B1 KR 101365549B1 KR 1020110129676 A KR1020110129676 A KR 1020110129676A KR 20110129676 A KR20110129676 A KR 20110129676A KR 101365549 B1 KR101365549 B1 KR 10136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
spokes
outer band
pneumatic tir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254A (ko
Inventor
김상환
김용훈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5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 B60C7/18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disposed radially relative to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60B1/0261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characterised by spok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비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측밴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외측밴드 안쪽에 비하여 바깥쪽의 강도를 우수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밴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에 연결되는 스포크의 개수를 달리하여 주파수 분산비가 주요 3화음 중 어느 하나의 비율이 되도록 하여 외측밴드가 지면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비공기압 타이어{NON-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압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비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비공기압 타이어는 트레드를 비롯한 원형 밴드 및 스포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타이어가 지면과 접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비공기압 타이어가 지면과 접할 때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너링 시 타이어의 내측에 비하여 외측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커서 타이어의 외측이 내측에 비하여 쉽게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87-0010970호 (진동감소특징이 있는 비공기타이어) 1987.12.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31693호 (강성 트래드 비 공기식 타이어) 2011.03.29.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음 발생이 개선될 수 있는 비공기압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외측의 강성이 우수한 비공기압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 비공기압 타이어는, 외측밴드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스포크가 배열되어 있는 비공기압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의 둘레 일측에 복수의 제1스포크가 배열되어 있는 제1스포크부 및 상기 외측밴드의 둘레 타측에 복수의 제3스포크가 배열되어 있는 제3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포크부와 상기 제3스포크부는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밴드 둘레 일측과 타측의 강성이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포크부와 상기 제3스포크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밴드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스포크가 배열되어 있는 제2스포크부를 더 포함하며, 지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밴드에 전해지는 충격 주파수가 상기 제1스포크부, 상기 제2스포크부 및 상기 제3스포크부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포크, 상기 제2스포크 및 상기 제3스포크의 배열 간격이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포크, 상기 제2스포크 및 상기 제3스포크의 개수는 1:1.10 내지 1.51:1.20 내지 1.80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포크, 상기 제2스포크 및 상기 제3스포크가 상기 외측밴드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포크가 상기 외측밴드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상기 제2스포크가 상기 외측밴드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포크부와 상기 제3스포크부의 재질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포크부는 상기 제3스포크부와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측밴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외측밴드 안쪽에 비하여 바깥쪽의 강도를 우수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밴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에 연결되는 스포크의 개수를 달리하여 주파수 분산비가 대략 1:1.10 내지 1.51:1.20 내지 1.80이 되도록 하여 외측밴드가 지면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공기압 타이어의 스포크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스포크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스포크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스포크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에 도시된 좌표축을 바탕으로, x방향을 너비, y방향을 길이, z방향을 높이라 한다. 그리고 외측밴드에 도시된 w방향을 둘레라 한다.
또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 측의 형상, 면적, 배열상태 및 재질 등이 동일한 것을 대칭이라 한다.
본 발명 비공기압 타이어는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를 포함한다.
스포크는 외측밴드와 내측밴드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스포크는 외측밴드의 둘레를 따라 복수가 배열되어 있고, 외측밴드의 너비 방향으로도 복수의 스포크가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밴드의 둘레 일측에 복수의 제1스포크가 배열되어 제1스포크부를 형성하고, 외측밴드의 둘레 타측에 복수의 제3스포크가 배열되어 제3스포크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1스포크부와 제3스포크부는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외측밴드의 둘레 일측과 타측의 강도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코너를 돌 때, 타이어의 안쪽에 비해서 바깥쪽에 많은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를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타이어 바깥쪽의 강도를 안쪽에 비하여 강하게 하면 코너를 돌 때 타이어 바깥쪽에 발생하는 손상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의 스포크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는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를 포함한다.
외측밴드(10)는 차량 주행 시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 또는 트레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카카스, 인너라이드 등의 환상의 밴드일 수 있다. 또는 명시한 부재 이외에도 타이어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몸체일 수 있다.
외측밴드(10)는 고무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나, 이와 달리 금속일 수 있다.
내측밴드(20)는 외측밴드(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환상의 프레임이다. 내측밴드(20)는 외측밴드(10)와 같이 비공기압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는 부재이다. 내측밴드(20)는 비공기압 타이어의 골격을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나 외측밴드(10)와 같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포크는 외측밴드(10)와 내측밴드(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스포크는 외측밴드(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가 배열되어 타이어의 강도를 유지한다.
또한, 스포크는 외측밴드(10)의 너비 방향으로 복수가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밴드(10)의 둘레 일측에 복수의 제1스포크(311)가 배열되어 있고, 외측밴드(10)의 둘레 타측에 복수의 제3스포크(331)가 배열되어 있으며, 제1스포크(311)와 제3스포크(331) 사이에 제2스포크(321)가 외측밴드(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가 배열되어 있다.
이하, 복수의 제1스포크(311)를 포함하는 제1스포크부(31)가 연결되어 있는 외측밴드(10)의 둘레 일측을 제1연결부(11)라 하고, 복수의 제2스포크(321)를 포함하는 제2스포크부(32)가 연결되어 있는 외측밴드(10) 둘레 타측을 제2연결부(12)라 하며, 복수의 제3스포크(331)를 포함하는 제3스포크부(33)가 연결되어 있는 외측밴드(10)의 일부분을 제3연결부(13)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밴드(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제1스포크(311)와 제2스포크(321), 제2스포크(321)와 제3스포크(331)는 서로 접하지 아니한다. 즉,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는 서로 외측밴드(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밴드(10)가 지면과 접촉하면 외측밴드(10)와 지면의 마찰에 의해 외측밴드(10)에 전달되는 충격이 주파수 측면에서 분산되어 제1스포크부(31), 제2스포크부(32) 및 제3스포크부(33)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측밴드(10)의 둘레를 따라 어느 지점에서는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 중 적어도 두개가 서로 접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1스포크(311)와 제2스포크(321) 또는 제2스포크(321)와 제3스포크(331)가 하나의 스포크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고 각 스포크가 단순히 접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측밴드(10)의 충격이 주파수 측면에서 각 스포크에 분산되어 전달되게 된다.
한편,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복수의 제1스포크(311)들, 제2스포크(321)들 및 제3스포크(331)들은 각각 배열 간격이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 제2스포크(321)들의 배열 간격은 제1스포크(311)들의 배열 간격보다 넓고, 제3스포크(331)들의 배열 간격은 제2스포크(321)들의 배열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동일한 공간인 외측밴드(10)와 내측밴드(20) 사이의 동일한 공간에서 제1스포크부(31), 제2스포크부(32) 및 제3스포크부(33)의 각 스포크 사이의 배열간격이 서로 상이하므로,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들의 개수가 상이하게 된다.
상기의 경우, 제1스포크부(31), 제2스포크부(32) 및 제3스포크부(33)로 전달되는 주파수의 분산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의 배열 간격이 상이하여 이들 각각의 개수가 상이하므로, 제1스포크부(31)와 제2스포크부(32) 및 제3스포크부(33)로 전달되는 충격이 주파수 측면에서 각각 상이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제1스포크부(31)의 제1스포크(311)의 개수, 제2스포크부(32)의 제2스포크(321)의 개수 및 제3스포크부(33)의 제3스포크(331)의 개수가 각각 1:1.10 내지 1.51:1.2 내지 1.8의 비율이 되도록 각 스포크의 배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 개수의 비율이 1:1.25:1.5가 될 때,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외측밴드(10)의 충격에 의한 주파수 분산비가 으뜸화음, 버금딸림화음 또는 딸림화음 중 어느 하나의 화음의 비율을 이루게 된다.
으뜸화음, 버금딸림화음 및 딸림화음은 주요 3화음을 구성하는 화음이다. 주요 3화음은 각 화음을 이루는 음들의 주파수비가 정수비로 이루어져 있다. 여러 소리가 같이 발생할 때 각 소리가 이루는 주파수의 비율이 정수비를 이룰 때, 사람들은 각 소리들이 어울려서 발생하는 화음을 아름답다고 느낀다.
상기 화성학의 이론을 타이어에 적용하여, 외측밴드(10)가 지면과 접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분산하여 외측밴드(10)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의 화음이 주요 3화음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면, 각 소리들의 조합이 조화로운 화음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외측밴드(10)가 지면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불쾌한 소음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스포크부(31) 내지 제3스포크부(33)를 이루는 각 스포크의 개수가 상이하므로 외측밴드(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강성이 상이하게 된다.
코너를 돌 때 일반적으로 차량이 한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타이어의 바깥쪽이 안쪽에 비하여 충격의 전달량이 크게 된다. 이때, 제3스포크부(33)를 타이어의 바깥쪽으로 하여 비공기압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게 되면 제3스포크부(33)가 제1스포크부(31) 및 제2스포크부(32)에 비하여 스포크가 밀접하게 배열되어 있으므로 제3연결부(13)의 강도가 제1연결부(11) 또는 제2연결부(12)의 강도에 비하여 우수하므로 제3연결부(13)의 손상 정도가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비율에 있어서, 제2스포크(321) 개수의 비율이 1.1 미만이거나 또는 제3스포크(331) 개수의 비율이 1.2 미만인 경우에는 청력의 오차범위 및 지면의 상태에 따른 주파수 분산의 오차를 고려하더라도, 외측밴드(10)와 지면과의 마찰에 의한 주파수 분산으로 발생하는 화음이 주요 3화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되고, 비공기압 타이어의 강도가 약해지게 된다.
제2스포크(321) 개수의 비율이 1.51을 초과하거나 또는 제3스포크(331) 개수의 비율이 1.8을 초과하는 경우도 주파수 분산이 정수비로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주요 3화음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 그리고 제3스포크(33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1스포크(311) 개수의 비율이 낮게 되어 제1연결부(11)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 제2스포크(321) 또는 제3스포크(331)이 밀접하게 배열되어, 외측밴드(10)가 지면에 접했을 때, 각 스포크가 자연스럽게 휘어지며 트레드의 충격을 전달받지 못하고, 각 스포크들끼리 먼저 부딪혀서 스포크의 충격 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가 외측밴드(10)와 접하는 면적이 각각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스포크(311)가 외측밴드(10)와 접하는 면적이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가 외측밴드(10)와 접하는 면적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포크(311)의 개수가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에 비하여 적더라도 각 제1스포크(311)가 외측밴드(10)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넓으므로 제1연결부(11)의 강도가 우수해진다. 동시에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의 개수가 상기 비율로 유지되어 있어 조화 3화음 중 어느 하나의 화음이 발생하여 강도와 소음의 문제가 개선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11), 제2연결부(12) 및 제3연결부(13)의 길이(y1)(y2)(y3)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고 제1스포크(311) 내지 제3스포크(331)가 서로 길이는 동일하고 너비(x1)(x2)(x3)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여, 각 스포크부가 각 연결부(11)(12)(13)와 접촉하는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포크(311)의 개수가 제3연결부(13)에 연결되어 있는 제3스포크(331)의 개수에 비해 적더라도, 제1연결부(11)와 제1스포크부(31)의 접촉 면적이 넓어 제1연결부(11)의 강도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포크부(31), 제2스포크부(32) 및 제3스포크부(33)는 각각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외측밴드(10)와 내측밴드(20) 사이에 중간밴드(40)가 배치될 수 있다.
중간밴드(40)는 외측밴드(10) 또는 내측밴드(20)와 같이 환형의 밴드이다.
중간밴드(40)는 내측밴드(20)와 외측밴드(10) 사이에서 각 스포크들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외측밴드(10)와 내측밴드(20) 사이에 스포크가 단층으로 배치되는 경우의 각 스포크 높이에 비하여 외측밴드(10)와 내측밴드(20) 사이에 중간밴드(4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각 스포크의 높이는 절반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스포크들의 높이가 낮으므로 외측밴드(10)로부터 충격을 전달받아 스포크들이 휘어질 때 휘어지는 정도가 작아서 스포크들이 파손될 우려가 감소하게 된다.
도 1에는 하나의 중간밴드(40)만 도시되어 있으나, 중간밴드(40)의 개수는 비공기압 타이어의 재질 및 크기 등에 따라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는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경우,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의 배열 간격이 상이하여 제1스포크부(31) 내지 제3스포크부(33)를 구성하는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의 개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스포크부(31), 제2스포크부(32) 및 제3스포크부(33)가 제1연결부(11), 제2연결부(12) 및 제3연결부(13)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 각각의 너비(x1)(x2)(x3)는 동일하나 제1연결부(11), 제2연결부(12) 및 제3연결부(13)의 길이(y1)(y2)(y3)가 상이하여, 제1스포크(311) 내지 제3스포크(331) 각각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제1스포크(311) 내지 제3스포크(331)가 제1연결부(11) 내지 제3연결부(13)와 접촉하는 면적이 상이하게 된다.
즉, 제1스포크(311) 내지 제3스포크(331) 개수의 비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유지하되, 각각이 외측밴드(10)와 접촉하는 면적을 달리하여 비공기압 타이어의 강도를 비대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포크(311)의 개수가 제3연결부(13)에 연결되어 있는 제3스포크(331)의 개수에 비해 적더라도, 제1스포크부(31)와 제1연결부(11)의 접촉 면적이 제3스포크부(33)와 제3연결부(13)의 접촉 면적에 비해 넓으므로, 제1연결부(11)의 강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2,3스포크(311)(321)(331) 개수의 비율이 대략 개수는 1:1.10 내지 1.51:1.20 내지 1.80의 비율로 유지되므로 외측밴드(10)로 부터 전달받는 충격이 주파수 측면에서 분산되어 비공기압 타이어로부터 조화 3화음 중 어느 하나의 화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비공기압 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는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외측밴드(10)의 제1연결부(11) 내지 제3연결부(13)에는 제1스포크(311) 내지 제3스포크(331)의 개수가 동일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의 배열 간격이 서로 거의 동일하여, 제1스포크부(31)의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부(32)의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부(33)의 제3스포크부의 개수의 비율이 대략 1:1:1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외측밴드(10)가 길이방향을 따라 거의 동일하게 3영역으로 구획되어, 제1연결부(11) 내지 제3연결부(13)의 면적이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스포크(311) 내지 제3스포크(331)는 각각 외측밴드(10)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제1스포크(311)의 너비(x1), 제2스포크(321)의 너비(x2) 및 제3스포크(331)의 너비(x3)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비공기압 타이어의 바깥쪽을 이루는 제3스포크(331)의 너비(x3)가 제1스포크(311)의 너비(x1) 및 제2스포크(321)의 너비(x2)에 비해 두껍게 형성하여, 제3스포크(331)가 연결되어 있는 제3연결부(13)의 강도를 제1연결부(11)에 비하여 개선하였다.
따라서 코너를 돌 때 지면으로부터 제1연결부(11), 제2연결부(12) 및 제3연결부(13)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서로 상이하여 제1연결부(11)에 비하여 제3연결부(13)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도 제3스포크부(33)에 연결되어 있는 제3연결부(13)의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타이어가 손상되는 정도가 약해지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는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외측밴드, 내측밴드 및 스포크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외측밴드(10)의 제1연결부(11) 내지 제3연결부(13)에는 제1스포크(311) 내지 제3스포크(331)의 개수가 동일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의 배열 간격이 서로 거의 동일하여, 제1스포크부(31)의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부(32)의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부(33)의 제3스포크부의 개수의 비율이 대략 1:1:1을 이루고 있다.
이때, 제1연결부(11), 제2연결부(12) 및 제3연결부(13)는 각각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11), 제2연결부(12) 및 제3연결부(13)의 길이(y1)(y2)(y3)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도 서로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외측밴드(10)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의 너비(x1)(x2)(x3)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스포크의 길이는 동일하나 너비를 달리하여 제1연결부(11), 제2연결부(12) 및 제3연결부(13)의 강도를 비대칭으로 형성한 제3 실시예와 달리, 제4 실시예에서는 각 스포크의 너비는 동일하게 형성하고, 길이를 달리하여 각 스포크와 외측밴드의 접촉 면적을 달리하여 제1연결부(11), 제2연결부(12) 및 제3연결부(13)의 강도를 비대칭으로 형성하였다.
이 경우, 비공기압 타이어의 외측을 이루는 제3스포크(331)가 외측밴드(10)에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제1스포크(311) 및 제2스포크(321)가 외측밴드(10)에 접하는 접촉 면적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제3스포크(331)가 연결되어 있는 제3연결부(13)의 강도를 제1연결부(11) 또는 제2연결부(12)에 비하여 개선하였다.
따라서 코너를 돌 때 지면으로부터 제1연결부(11), 제2연결부(12) 및 제3연결부(13)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서로 상이하여 제1연결부(11)에 비하여 제3연결부(13)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도 제3스포크부(33)에 연결되어 있는 제3연결부(13)의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타이어가 손상되는 정도가 약해지게 된다.
또는 제1스포크(311), 제2스포크(321) 및 제3스포크(331) 각각이 외측밴드(10)와 접하는 접촉 면적 및 개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되 각 스포크의 재질을 달리하여 제1,2,3스포크부(31)(32)(33)를 비대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3스포크(331)를 제1스포크(311) 및 제2스포크(321)에 비하여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하여 제3연결부(13)의 강도를 제1연결부(11) 및 제2연결부(12)에 비하여 강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3스포크(331)를 제1스포크(311) 및 제2스포크(321)에 비하여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강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연결부(13)가 제1연결부(11) 및 제2연결부(12)에 비하여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강하게 된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외측밴드(10)에 전해지는 충격량이 외측밴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여 제1연결부(11)에 비하여 제3연결부(13)에 강한 충격량이 전달되어도 제3연결부(13)의 손상 정도가 제1연결부(11) 또는 제2연결부(12)에 비하여 크지 아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외측밴드(10)를 길이방향을 따라 3영역으로 구획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외측밴드(10)의 크기 등에 따라 외측밴드(10)는 길이방향을 따라 2영역 또는 4영역 이상으로 구획 가능하다.
특히, 외측밴드(10)를 길이방향을 따라 4영역 이상으로 구획하여 스포크를 배열할 때, 외측밴드(10)에 전해지는 충격이 주파수 측면에서 대략 정수비를 이루도록 하여 외측밴드(10)를 길이방향을 따라 강도를 달리하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조화 3화음이 발생하도록 하여 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외측밴드 11 : 제1연결부
12 : 제2연결부 13 : 제3연결부
20 : 내측밴드
31 : 제1스포크부 311 : 제1스포크
32 : 제2스포크부 321 : 제2스포크
33 : 제3스포크부 331 : 제3스포크
40 : 중간밴드

Claims (8)

  1. 외측밴드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스포크가 배열되어 있는 비공기압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의 둘레 일측에 복수의 제1스포크가 배열되어 있는 제1스포크부,
    상기 외측밴드의 둘레 타측에 복수의 제3스포크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스포크부와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스포크부, 및
    상기 제1스포크부와 상기 제3스포크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밴드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스포크가 배열되어 있는 제2스포크부를 포함하며,
    지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밴드에 전해지는 충격 주파수가 상기 제1스포크부, 상기 제2스포크부 및 상기 제3스포크부에 의해 분산되어
    으뜸화음, 버금딸림화음 및 딸림화음 중 어느 하나의 화음을 이루고,
    상기 제1스포크, 상기 제2스포크 및 상기 제3스포크의 개수는 1:1.10 내지 1.51:1.20 내지 1.80의 비율을 가지며,
    상기 제1스포크, 제2스포크 및 제3스포크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비공기압 타이어.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1스포크들의 배열 간격, 상기 제2스포크들의 배열 간격 및 상기 제3스포크들의 배열 간격이 각각 상이한 비공기압 타이어.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1스포크, 상기 제2스포크 및 상기 제3스포크가 상기 외측밴드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각각 상이한 비공기압 타이어.
  6. 제1항에서,
    상기 제1스포크가 상기 외측밴드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상기 제3스포크가 상기 외측밴드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과 상이한 비공기압 타이어.
  7. 제1항에서,
    상기 제1스포크부와 상기 제3스포크부의 재질이 서로 상이한 비공기압 타이어.
  8. 제1항에서,
    상기 제1스포크부는 상기 제3스포크부와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상이한 비공기압 타이어.
KR1020110129676A 2011-12-06 2011-12-06 비공기압 타이어 KR10136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676A KR101365549B1 (ko) 2011-12-06 2011-12-06 비공기압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676A KR101365549B1 (ko) 2011-12-06 2011-12-06 비공기압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254A KR20130063254A (ko) 2013-06-14
KR101365549B1 true KR101365549B1 (ko) 2014-02-20

Family

ID=4886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676A KR101365549B1 (ko) 2011-12-06 2011-12-06 비공기압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6948B1 (en) * 2013-12-24 2020-03-1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Airless tire construction having variable stiffness
JP7324088B2 (ja) * 2019-08-26 2023-08-09 Toyo Tire株式会社 非空気圧タイヤ
US11827062B2 (en) * 2019-08-29 2023-11-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Non-pneumatic tire with a flexible looped spoke and method of form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5928A (ja) * 2006-08-29 2008-03-13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JP2009286208A (ja) * 2008-05-28 2009-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JP4674253B2 (ja) * 2008-11-28 2011-04-2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圧タイ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5928A (ja) * 2006-08-29 2008-03-13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JP2009286208A (ja) * 2008-05-28 2009-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JP4674253B2 (ja) * 2008-11-28 2011-04-2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圧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254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1348B2 (ja) 非空気式タイヤ
US9387726B2 (en) Airless tire
JP2009286208A (ja) 非空気式タイヤ
KR20160088939A (ko) 가변 강도를 갖는 무공기 타이어 구조체
JP4946011B2 (ja) 非空気式タイヤ
JP2018504311A (ja) 車両用のタイヤ型装置
JP2018508403A (ja) 車両用のタイヤ型装置
KR101393891B1 (ko) 비공기압 타이어
KR101365549B1 (ko) 비공기압 타이어
JP2008087608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9724970B2 (en) Pneumatic tire
WO2018179638A1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857840B2 (en) Pneumatic tire
JP2013244929A (ja) タイヤ
JP4751467B2 (ja) タイヤ
JP4592802B2 (ja) タイヤ
CN111344160B (zh) 轮胎
WO2018179637A1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9102663A1 (ja) 重荷重用タイヤ
KR102139135B1 (ko) 진동 소음 저감용 에어리스 타이어
EP3950384B1 (en) Tire, wheel and vehicle
JP7389636B2 (ja) タイヤ
JP5445513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1758748A (zh) 加强胎侧总强度的巨型斜交工程机械轮胎
KR20160085561A (ko)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