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252B1 -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252B1
KR101365252B1 KR1020120035135A KR20120035135A KR101365252B1 KR 101365252 B1 KR101365252 B1 KR 101365252B1 KR 1020120035135 A KR1020120035135 A KR 1020120035135A KR 20120035135 A KR20120035135 A KR 20120035135A KR 101365252 B1 KR101365252 B1 KR 101365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hosphatidylcholine
water
inj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615A (ko
Inventor
이기택
이종혁
성일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팜
Priority to KR1020120035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252B1/ko
Priority to PCT/KR2013/002794 priority patent/WO2013151341A1/en
Publication of KR2013011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61K31/685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one of the hydroxy compounds having nitrogen atoms, e.g. phosphatidylserine,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벤질알코올, 에탄올, Macrogol 15 Hydroxystearate 및 물 또는 주사용수로 이루어진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은 기존 제제의 희석시 발생하는 침전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추가적인 조작 없이 바로 주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멸균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여 안전하다.

Description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Injectable Composition comprising phosphatidylchol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벤질알코올, 에탄올, Macrogol 15 Hydroxystearate 및 물 또는 주사용수로 이루어진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s)은 인지질의 일종으로 헤드 그룹으로 콜린(choline)이 포함된 것을 말한다. 동물, 식물, 효모, 및 곰팡이류에 널리 존재하며, 레시틴이라고도 한다. 포유동물의 막구성 인지질로서 주로 뇌수, 신경, 혈구, 난황 등에 들어 있다. 식물에서는 대두 해바라기씨, 밀배아 등에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글리세롤의 1번 위치에는 포화지방산, 2번 위치에는 불포화지방산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많다.
정상적으로 간세포는 자체적으로 필요에 의하여 인지질을 합성하지만 만약 간세포가 손상을 입게 되면 단시간 내에 막구조를 복구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인지질의 요구 증가량을 합성할 수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알부민과 응고인자 생산량이 떨어지면 손상된 간은 인지질 합성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새롭게 인지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간질환에 의한 인지질의 손실은 간세포막과 소기관의 손상을 가져오며 이는 다시 회복하기 어렵다. 이를 막기 위하여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을 체외로부터 공급해주어 손상된 간세포의 막구조에 포스파티딜콜린을 결합시켜서 막을 재생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포스파티딜콜린의 공급에 의해 막을 통한 영양분과 전해질의 교환이 증가하고 인지질 의존성 효소의 활성도 증가하며, 고에너지의 포스파티딜콜린 분자는 그 자체로 간세포와 결합되어 막시스템의 구조적이며 기능적인 요소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다량의 에너지를 간에 공급해 주어야 할 부담을 경감시킨다.
위와 같은 사실을 기반으로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는 주사제가 개발되어 간경변에 의한 간성혼수 보조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포스파티딜콜린이 국소에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다는 문헌이 발표되면서 국소지방분해의 미용목적으로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는 주사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제제가 피하 지방축적의 감소를 야기하는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몇몇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ASAPS. American Society for Aesthetic Plastic Surgery. Lipoplasty (liposuction) without surgery, October, 2002.). 첫째는, 포스파티딜콜린이 리파제(lipase) 활성을 자극하므로서 리포사이트(lipocytes)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PBFs가 리포사이트 세포막을 에멀젼화하는 청정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청정제는 특히 경화요법(sclerotherapy)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화제(sclerosing agents)로서 수십 년간 의약품에 사용되어 왔다(아메리칸 컬리지 오브 플리볼로지(American College of Phlebology), 2003). 청정제는 그들의 계면에서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므로서 불용성 물질의 에멀젼화를 용이하게 하는 독특한 극성 및 비-극성의 화학적 특성을 갖는다(Goldman L, Bennet JC, Cecil RL. Cecil Textbook of Medicine. St. Louis, MO: W.B. Saunders Co., 2001.). 실제로, TritonX-100 및 EmpigenBB 와 같은 실험실 청정제가 세포막의 지질 바이레이어(bilayer)를 붕괴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Lichtenberg D et al. Biochim Biophys Acta 737:285-304, 1983, Womack MD et al. Biochim Biophys Acta 733:210-5, 1983, Lichtenberg D. Biochim Biophys Acta 821:470-8, 1985. Banerjee P et al. Chem Phys Lipids 77:65-78, 1995. Almgren M. Biochim Biophys Acta 1508:146-63. 2000). PBFs의 두 개의 주요한 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과 소듐 데옥시콜레이트는 이러한 독특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청정제 또는 에멀젼화제로서 개별적으로 사용되어 왔다(Lichtenberg D et al. Biochemistry 18:3517-25, 1979. Womack MD et al. Biochim Biophys Acta 733:210-5, 1983. Banerjee P et al. Chem Phys Lipids 77:65-78, 1995. Almgren M. Biochim Biophys Acta 1508:146-63, 2000. Schuck S. Proc Natl Acad Sci 100:5795-800, 2003. Heerklotz H et al. Biophys J 78:2435-40, 2000. Learn about lecithins. Oxford, CT: American Lecithin Company, 2003. Canty D, Zeisel S, Jolitz A. Lecithin and choline: research update on health and nutrition. Fort Wayne, IN: Central Soya Company, Inc., 1996.).
그러나 기존의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는 주사제를 국소지방분해의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주사제를 희석해서 사용해야 부작용을 경감시키면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주사 직전 주사용수로 희석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멸균을 유지한 상태로 희석해야 하는 조작의 불편함과, 추가적인 조작에 의해 투약오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 및 위험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구진은 기존 제제를 주사용수로 희석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나, 이 경우 희석 후 처음에는 맑은 상태를 유지하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침전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수용성 활성물질을 가용화 시켜 주사제로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포접화합물, pH 조정, 공용매, 나노입자화 등의 가용화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는 주사제는 정맥주사로도 투여되고, 또한 일종의 지질성 물질이라 위에서 예시된 가용화 기법의 활용이 불가하다.
따라서 정맥주사가 가능하고, 기존의 투약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인지질의 가용화 조성물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제제를 희석하는 추가적인 조작 없이 바로 주사할 수 있는 희석제제 개발에 있어, 침전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에탄올 및 Macrogol 15 Hydroxystearate를 특정 농도로 함유하는 경우 침전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균일하게 용해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2%(w/v) 내지 3%(w/v);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0.5%(w/v) 내지 2%(w/v);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0.1%(w/v) 내지 1%(w/v);
에탄올 1%(w/v) 내지 10%(w/v);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Macrogol 15 Hydroxystearate) 1.1%(w/v) 내지 5%(w/v); 및
잔량의 물 또는 주사용수로 이루어진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0.5%(w/v) 내지 2%(w/v) 및 벤질알코올 0.1%(w/v) 내지 1%(w/v)를 넣고 투명하게 용해 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b) 포스파티딜콜린 2%(w/v) 내지 3%(w/v),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1.1%(w/v) 내지 5%(w/v) 및 에탄올 1%(w/v) 내지 10%(w/v)을 넣고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및
(c) 물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지방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2%(w/v) 내지 3%(w/v);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0.5%(w/v) 내지 2%(w/v);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0.1%(w/v) 내지 1%(w/v);
에탄올 1%(w/v) 내지 10%(w/v);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Macrogol 15 Hydroxystearate) 1.1%(w/v) 내지 5%(w/v); 및
잔량의 물 또는 주사용수로 이루어진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0.5%(w/v) 내지 2%(w/v) 및 벤질알코올 0.1%(w/v) 내지 1%(w/v)를 넣고 투명하게 용해 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b) 포스파티딜콜린 2%(w/v) 내지 3%(w/v),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1.1%(w/v) 내지 5%(w/v) 및 에탄올 1%(w/v) 내지 10%(w/v)을 넣어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및
(c) 물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지방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2%(w/v) 내지 3%(w/v);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0.5%(w/v) 내지 2%(w/v);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0.1%(w/v) 내지 1%(w/v);
에탄올 1%(w/v) 내지 10%(w/v);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Macrogol 15 Hydroxystearate) 1.1%(w/v) 내지 5%(w/v); 및
잔량의 물 또는 주사용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사제는 주약과 기타 첨가제를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세균여과기로 여과하여 무균처리한 후 무균상태에서 바이알에 충전한 후 밀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주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스파티딜콜린(필수인지질성물질)은 레시틴(Lecithin)이라고도 하여 가장 대표적인 인지방질로 난황에는 총 인지방질의 약 70%, 인간혈청에는 총 인지방질의 약 60%를 차지한다. 대두의 레시틴은 보통의 레시틴과는 달리, 2개의 지방산과 리놀레산으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포함하므로,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포스파티딜콜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w/v) 내지 3%(w/v)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소듐데옥시콜레이트는 주로 가축의 장에서 추출하는 물질로서, 세포막 성분을 녹이고 세포를 용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소듐데옥시콜레이트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5%(w/v) 내지 2%(w/v)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벤질알코올은 방향족 알코올류 중의 하나로 무색투명한 액체이며, 특유의 향기와 타는 듯 한 맛이 있어 용해제 및 추출제, 휘발보류제, 식품 착향료 등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주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벤질알코올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w/v) 내지 1%(w/v)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탄올은 사슬모양의 탄화수소 중 탄소의 수가 2개인 에탄에서 수소 원자 하나가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알코올이다. 본 발명에서 에탄올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w/v) 내지 10%(w/v)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w/v) 내지 5%(w/v)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마크로골 15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Macrogol 15 Hydroxystearate)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화학적 안정성이 좋고, 독성이 낮으며, 물, 에탄올 및 2-프로판올에 잘 녹는다. 본 발명에서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1%(w/v) 내지 5%(w/v)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1%(w/v) 내지 2%(w/v)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주사용수는 고형주사제의 용해나 수용성 주사제를 희석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증류수이다. 구체예로서, 글루코오스 주사, 자일리톨 주사, D-만니톨 주사, 프룩토스 주사, 생리식염수, 덱스트란 40 주사, 덱스트란 70 주사, 아미노산 주사, 링거액, 락트산-링거액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포스파티딜콜린,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벤질알코올, 에탄올, Macrogol 15 Hydroxystearate, 및 물 또는 주사용수로 이루어진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등장화제 0.05%(w/v) 내지 0.2%(w/v); 또는 pH 조절제 0.01%(w/v) 내지 0.1%(w/v)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등장화제는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체내에 투여할 때에 삼투압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포스파티딜콜린을 용액상에서 더욱 안정화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나타낸다.
등장화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당, 염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또는 혼합물 일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당으로 글루코오스, 또는 수용성 무기염으로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황산나트륨 등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일 수 있다. 이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5%(w/v) 내지 0.2%(w/v)이며,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주사제에 포함된 성분들의 종류, 량 등에 따라 각각의 혼합물이 모두 포함된 용액 제형이 등장액이 되도록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H 조절제는 주사제의 pH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산성 물질, 염기성 물질을 모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물질 일 수 있다.
상기 염기성 물질에는 무기 염기(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암모니아, 합성 히드로탈사이트), 유기 염기 (예를 들어, 염기성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 아르기닌 등, 메글루민 등) 등이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일 수 있다. 첨가되는 pH 조절제의 양은 본 발명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잘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w/v) 내지 0.1%(w/v)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은 리보플라빈(riboflavin)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리보플라빈(riboflavin)은 수용성 비타민의 일종인 Vitamin B2로 항산화제 역할을 하며, 황색의 성상을 나타내게 한다. 상기 리보플라빈은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0.0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a)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0.5%(w/v) 내지 2%(w/v) 및 벤질알코올 0.1%(w/v) 내지 1%(w/v)을 넣고 투명하게 용해 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b) 포스파티딜콜린 2%(w/v) 내지 3%(w/v),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1.1%(w/v) 내지 5%(w/v), 에탄올 1%(w/v) 내지 10%(w/v)을 넣고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및
(c) 물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0.5%(w/v) 내지 2%(w/v) 및 벤질알코올 0.1%(w/v) 내지 1%(w/v)을 넣고 투명하게 용해 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에서는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및 벤질알코올을 넣고 투명하게 용해 될 때까지 교반한다. 상기 (a) 단계의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및 벤질알코올의 성분 및 농도는 상기 주사용 조성물에 관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a)단계는 등장화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0.5%(w/v) 내지 2%(w/v), 벤질알코올 0.1%(w/v) 내지 1%(w/v) 및 등장화제 0.05%(w/v) 내지 0.2%(w/v)을 넣고 투명하게 용해 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의 성분 및 농도는 상기 주사용 조성물에 관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다.
(b) 포스파티딜콜린 2%(w/v) 내지 3%(w/v),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1.1%(w/v) 내지 5%(w/v) 및 에탄올 1%(w/v) 내지 10%(w/v)을 넣고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상기 (b) 단계에서는 포스파티딜콜린,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에탄올을 넣고 가용화될 때 까지 교반한다. 상기 (b) 단계의 포스파티딜콜린,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에탄올의 성분 및 농도는 상기 주사용 조성물에 관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다.
상기 가용화란 난용성 물질이 가용화제에 의하여 그 용해도 이상으로 투명하게 용해되는 것을 말하며, 본 발명의 가용화될 때 까지란 포스파티딜콜린이 주사용 조성물에 용해되어 투명하게 될 때까지를 말한다.
(c) 물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c) 단계에서는 물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한다.
한편 상기 (c) 단계는 pH 조절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pH 조절제 0.01%(w/v) 내지 0.1%(w/v)을 넣어 pH를 8 내지 10으로 조절하며, 물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단계 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의 pH 조절제의 성분 및 농도는 상기 주사용 조성물에 관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다. 상기 pH 조절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 주사용 조성물의 pH를 8 내지 10으로 조절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0.01% 내지 0.1%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주사용 조성물 5ml당 5mg 내지 6mg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용수에 관하여는 상기 주사용 조성물에 관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다. pH 조절과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단계는 동시에 또는 교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선후는 가변적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제제 보다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낮으면서 침전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균일하게 용해된 상태를 유지하는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지방 분해 효능이 있으며, 포스파티딜콜린 함량이 낮으면서도 침전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추가 희석에 따른 오염, 감염 등의 위험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지방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국소지방은 지방조직이 팔뚝, 복부, 허벅지, 얼굴, 둔부 등에 과잉으로 축적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스파티딜콜린의 국소지방 분해기작은 상기 배경설명의 내용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국소지방 분해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 외에 국소지방 분해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질환의 심각도, 및 환자의 연령, 성별 및 기타 조건 등의 관점에서 환자에게 적합한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경로로는 그 방법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피하주사, 피내주사, 정맥주사, 근육주사, 복강주사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존의 포스파티딜콜린 주사 제제를 주사용수로 희석한 것과 본 발명 조성물의 안정성을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기존 제제를 희석한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는 달리 처음에는 맑은 상태를 유지하나, 시간이 경과하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할 정도의 침전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기존의 포스파티딜콜린 주사 제제를 주사용수로 희석한 것으로부터 포스파티딜콜린을 용해할 수 있는 주사제로 사용 가능한 조성물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계면활성제 중 비교적 안전한 폴리소베이트 80 및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Macrogol 15 Hydroxystearate)를 첨가하여 인지질 가용화 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폴리소베이트 80을 사용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침전이 발생하였으나,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를 1%(w/v) 농도를 초과하여 첨가한 경우 침전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용해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이 1%(w/v) 이상의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 가용화가 잘 일어나며, 그 이하의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 부적합한 성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탄올이 1%(w/v) 이상의 농도로 포함되어도,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가 1%(w/v)를 초과하는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에 한하여 적합한 성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벤질알코올, 에탄올, Macrogol 15 Hydroxystearate 및 물 또는 주사용수로 이루어진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은 기존 제제의 희석시 발생하는 침전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추가적인 조작 없이 바로 주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멸균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여 안전하다.
도 1은 기존제제(A1)와 기존제제의 희석물(A2)간 안정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포스파티딜콜린의 가용화 조성물의 성상을 비교한 것으로 도면 상 각각의 실험번호는 실시예 1의 표 2의 실험번호와 동일한 조성물이다.
도 3은 포스파티딜콜린의 가용화 조성물의 성상을 비교한 것으로 도면 상 각각의 실험번호는 실시예 2의 표 3의 실험번호와 동일한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1>
기존 제제의 단순 희석물의 안정성 실험
포스파티딜콜린 287.5mg,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120mg, 벤질알코올 45mg, NaCl 12mg, 에탄올 50mg, NaOH 5.75mg이 물 5ml에 혼합된 기존의 포스파티딜콜린 주사 제제(실험번호 A1)에 물 5ml을 추가하여 잘 혼합하고(실험번호 A2),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그 성상을 관찰 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제제를 주사용수로 희석하는 경우 처음에는 맑은 상태를 유지하나, 시간이 경과하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할 정도의 침전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제제의 조성변화에 따른 용해도
실험번호 A1 A2
필수인지질성물질 287.5mg 287.5mg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sodium deoxycholate)
120mg 120mg
sodium chloride(NaCl) 12mg 12mg
벤질알코올(Benzylalcohol) 45mg 45mg
에탄올(ethanol) 50mg 50mg
sodium hydroxide(NaOH) 5.75mg 5.75mg
주사용수 잔량 잔량
Total 5ml 10ml
< 실시예 1>
계면활성제 중 적절한 가용화제 선택을 위한 안정성 비교실험
정맥주사제의 경우, 부형제의 종류와 그 사용량이 매우 제한적이다. 혈류에 직접적으로 섞여서 용혈이나 발적, 과민성 반응 등이 나타나기 쉽기 때문이다. 정맥 주사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polyethoxylated castor oil, 폴리소베이트 80, 폴리소베이트 20, Macrogol 15 Hydroxystearate, pegylated caster oil, sodium doxycholate 중 독성이 현저하지 않고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것이 폴리소베이트 80, Macrogol 15 Hydroxystearate이다. 따라서 Macrogol 15 Hydroxystearate와 폴리소베이트 80의 가용화제로서의 성상을 비교해보았다.
주사용수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120mg, 벤질알코올 45mg, 선택적으로 등장화제(NaCl) 12mg을 넣어 차광, 밀폐, 섭씨 30도의 조건에서, 300 RPM의 교반속도로 약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포스파티딜콜린(필수인지질성물질), 에탄올, Macrogol 15 Hydroxystearate, 폴리소베이트, pH 조절제를 [표 2]에 따라 각각 넣고, 차광, 밀폐, 섭씨 30도의 조건에서, 280 RPM의 교반속도로 약 23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주사용수로 잔량을 채워 총 부피를 10ml로 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그 성상을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제제에 폴리소베이트 80을 포함하는 경우 A11은 처음에는 맑은 상태를 유지하나, 시간이 경과하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할 정도의 침전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10 또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할 정도의 침전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 제제에 Macrogol 15 Hydroxystearate를 2% 농도로 포함하는 A9는 48시간이 경과하여도 침전물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맑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Macrogol 15 Hydroxystearate 1%의 농도로 포함된 A6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할 정도의 침전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기 A9의 성상에 등장화제 및 pH 조절제가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 A9-1, A9-2 및 A9-3를 제조하여 성상을 A9와 비교한 결과, 등장화제 및 pH조절제의 유무에 상관없이 맑은 성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용화제 종류에 따른 용해도
실험번호 A6 A9 A10 A11 A9-1 A9-2 A9-3
필수인지질성물질 287.5mg 287.5mg 287.5mg 287.5mg 287.5mg 287.5mg 287.5mg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120mg 120mg 120mg 120mg 120mg 120mg 120mg
등장화제(NaCl) 12mg 12mg 12mg 12mg 12mg
Benzylalcohol 45mg 45mg 45mg 45mg 45mg 45mg 45mg
ethanol 100mg 100mg 100mg 200mg 100mg 100mg 100mg
Macrogol 15
Hydroxystearate
100mg 200mg 200mg 200mg 200mg
폴리소베이트 80 100mg 200mg
pH 조절제(NaOH) 5.75mg 5.75mg 5.75mg 5.75mg 5.75mg
주사용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Total 10ml 10ml 10ml 10ml 10ml 10ml 10ml
성상 혼탁 투명 혼탁 혼탁 투명 투명 투명
< 실시예 2>
에탄올 함량에 따른 용해도 비교실험
[표 3]의 조성에 따라 포스파티딜콜린이 함유된 주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주사용수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120mg, 염화나트륨 12mg, 벤질 알코올 45mg을 넣어 차광, 밀폐, 섭씨 30도의 조건에서, 300 RPM의 교반속도로 전부 용해가 될 때까지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필수인지질성물질 287.5mg, 에탄올과 Macrogol 15 Hydroxystearate의 양을 [표 3]에 따라 넣고, 차광, 밀폐, 섭씨 30도의 조건에서, 280 RPM의 교반속도로 전부 용해 될 때까지 약 23시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5.75mg을 넣고 차광 밀폐 섭씨 30도의 조건에서 280RPM으로 교반하며 pH를 8에 맞추었다. 여기에 주사용수로 잔량을 채워 총 부피를 10ml에 맞추고 전질이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하였다. 상기 제조된 조성물의 성상을 육안 관찰하고, 현탁, 침전, 층분리가 생겼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3]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Macrogol 15 Hydroxystearate이 포함되지 않는 실험번호 A3 내지 A5의 경우는 조성물에 침전이 생기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acrogol 15 Hydroxystearate가 포함되는 실험번호 A6 내지 A8의 경우도 조성물에 침전이 생기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번호 A9, A12의 경우는 조성물이 맑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최우측 샘플은 A12).
Macrogol 15 Hydroxystearate함량에 따른 용해도
실험번호 A3 A4 A5 A6 A7 A8 A9 A12
필수인지질성물질 287.5mg 287.5mg 287.5mg 287.5mg 287.5mg 287.5mg 287.5mg 287.5mg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sodium deoxycholate)
120mg 120mg 120mg 120mg 120mg 120mg 120mg 120mg
등장화제(NaCl) 12mg 12mg 12mg 12mg 12mg 12mg 12mg 12mg
벤질알코올(Benzylalcohol) 45mg 45mg 45mg 45mg 45mg 45mg 45mg 45mg
에탄올(ethanol) 50mg 100mg 200mg 100mg 10mg 50mg 100mg 500mg
Macrogol 15 Hydroxystearate 100mg 200mg 200mg 200mg 200mg
pH 조절제(NaOH) 5.75mg 5.75mg 5.75mg 5.75mg 5.75mg 5.75mg 5.75mg 5.75mg
주사용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Total 10ml 10ml 10ml 10ml 10ml 10ml 10ml 10ml
성상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적합 적합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벤질알코올, 에탄올, Macrogol 15 Hydroxystearate 및 물 또는 주사용수로 이루어진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은 기존 제제의 희석시 발생하는 침전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추가적인 조작 없이 바로 주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멸균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여 안전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9)

  1.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2%(w/v) 내지 3%(w/v);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0.5%(w/v) 내지 2%(w/v);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0.1%(w/v) 내지 1%(w/v);
    에탄올 1%(w/v) 내지 10%(w/v);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Macrogol 15 Hydroxystearate) 1.1%(w/v) 내지 5%(w/v); 및
    잔량의 물 또는 주사용수로 이루어진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등장화제 0.05%(w/v) 내지 0.2%(w/v); 또는 pH 조절제 0.01%(w/v) 내지 0.1%(w/v)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 당 리보플라빈 0.001 내지 0.00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1%(w/v) 내지 5%(w/v), 상기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는 1.1%(w/v) 내지 2%(w/v)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용 조성물은 pH가 8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a)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0.5%(w/v) 내지 2%(w/v) 및 벤질알코올 0.1%(w/v) 내지 1%(w/v)을 넣고 투명하게 용해 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b) 포스파티딜콜린 2%(w/v) 내지 3%(w/v),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1.1%(w/v) 내지 5%(w/v) 및 에탄올 1%(w/v) 내지 10%(w/v)을 넣고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및
    (c) 물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0.5%(w/v) 내지 2%(w/v), 벤질알코올 0.1%(w/v) 내지 1%(w/v), 등장화제 0.05%(w/v) 내지 0.2%(w/v)을 넣고 투명하게 용해 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이며,
    상기 (c) 단계는 pH 조절제 0.01%(w/v) 내지 0.1%(w/v)을 넣어 pH를 8 내지 10으로 조절하며, 물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는 1.1%(w/v) 내지 2%(w/v)로, 에탄올은 1%(w/v) 내지 5%(w/v)로 넣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9. 제1항의 주사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지방분해 주사용 조성물.
KR1020120035135A 2012-04-04 2012-04-04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35A KR101365252B1 (ko) 2012-04-04 2012-04-04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3/002794 WO2013151341A1 (en) 2012-04-04 2013-04-04 Injectable composition comprising phosphatidylcholi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35A KR101365252B1 (ko) 2012-04-04 2012-04-04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615A KR20130112615A (ko) 2013-10-14
KR101365252B1 true KR101365252B1 (ko) 2014-02-21

Family

ID=4930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135A KR101365252B1 (ko) 2012-04-04 2012-04-04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5252B1 (ko)
WO (1) WO2013151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39306A1 (en) * 2014-08-25 2017-08-24 Natural Shield Israel 2016 Ltd Soybean extracts and combinations thereof with polyethoxylated castor oil and other adjuvants for controling blood sugar levels and for hepatoprotection
KR101713219B1 (ko) 2015-04-01 2017-03-07 문정선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8003B1 (ko) * 2016-06-20 2017-01-19 여오영 퀴닌 염 현탁액을 포함하는 항암 치료를 위한 국소 투여용 주사제 조성물
BR112020019192A2 (pt) * 2018-04-16 2021-01-05 Penmix Ltd. Composição farmacêutica que compreende ácido deoxicólico
WO2020081590A1 (en) 2018-10-16 2020-04-23 Rotunda Adam M Alcohol-base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20210000760A1 (en) * 2018-10-16 2021-01-07 Polithera, Inc. Alcohol-base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2111346B1 (ko) * 2019-08-20 2020-05-22 아영창 침전으로부터 안정한 소듐디옥시콜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용액상 조성물
EP4013427A4 (en) * 2020-11-06 2022-09-14 Stellar Biomolecular Research GmbH PARENTERAL NUTRITION FORMULATION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0351A (ko) * 2005-02-08 2007-11-16 로스 엔젤레스 바이오메디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엣 하버-유씨엘에이 메디칼 센터 지방 감소 및 탱탱한 피부를 위한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866728B1 (ko) 2004-11-12 2008-11-03 주식회사종근당 타크로리무스를 함유하는 주사제
WO2011024354A1 (ja) 2009-08-25 2011-03-03 株式会社メドレックス ホスファチジルコリンの経皮投与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567A (ko) * 2003-06-05 2004-12-24 주식회사 두산 지방세포의 분화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728B1 (ko) 2004-11-12 2008-11-03 주식회사종근당 타크로리무스를 함유하는 주사제
KR20070110351A (ko) * 2005-02-08 2007-11-16 로스 엔젤레스 바이오메디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엣 하버-유씨엘에이 메디칼 센터 지방 감소 및 탱탱한 피부를 위한 방법 및 그 조성물
WO2011024354A1 (ja) 2009-08-25 2011-03-03 株式会社メドレックス ホスファチジルコリンの経皮投与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615A (ko) 2013-10-14
WO2013151341A1 (en)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252B1 (ko)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814148B2 (ja) 非経口投与用のエマルション
JP5441058B2 (ja) 四級アンモニウム化合物を含む組成物
JP4929158B2 (ja) 難水溶性薬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KR101545706B1 (ko)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491919B2 (en) Pharmaceutical solution of taxanes comprising ph regula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0220153B1 (en) A nutritive emulsion having oxygen-transporting properties,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2002502811A (ja) 亜硫酸塩を含有するプロポフォール組成物
CA2347118A1 (en) Propofol composition comprising pentetate
TWI597070B (zh) 輸液製劑
KR101353443B1 (ko) 데옥시콜린산 나트륨이 없는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778852B2 (en) Parenteral cisplatin emulsion
CN105939705A (zh) 用于肠胃外给药的包含epa甘油三酯和dha甘油三酯的组合物
JPH0145446B2 (ko)
CN115804771A (zh) 一种具有长效缓释作用的脂质释药***及其制备方法
CN105939706A (zh) 用于肠胃外给药的包含epa乙酯和dha乙酯的组合物
CN103859395A (zh) 一种高吸收率的辅酶q10的自乳化释药体系及其制备方法及应用
EP1850829A2 (en) Novel propofol composition comprising ascorbic acid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US20050209170A1 (en) Breast health preparations
JP2014522848A (ja) 脂質マイクロカプセルのデリバリービヒクルを含む局所用製剤およびその使用
JP6647656B1 (ja) 輸液製剤
EP3316859B1 (en) Propofol emuls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JP2002532564A5 (ko)
WO201912322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levidipin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WO2018146060A1 (en) Long-term efficacy of liver disease treatment with epa and dh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