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840B1 -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 Google Patents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840B1
KR101362840B1 KR1020120096816A KR20120096816A KR101362840B1 KR 101362840 B1 KR101362840 B1 KR 101362840B1 KR 1020120096816 A KR1020120096816 A KR 1020120096816A KR 20120096816 A KR20120096816 A KR 20120096816A KR 101362840 B1 KR101362840 B1 KR 10136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generator
exciter
converter
current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영
Original Assignee
서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호영 filed Critical 서호영
Priority to KR1020120096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16Synchronous generators
    • H02K19/38Structural association of synchronous generators with excit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3/00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enerator
    • H02P2103/20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enerator of the synchronous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verter used
    • H02P2201/03AC-DC converter stage controlled to provide a defined DC link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072Bridge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상의 교류전력을 발생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고정자 및 DC 전류를 인가받아 자계를 형성하는 계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회전자를 구비한 주발전기, 상기 주발전기에 필요한 계자전류를 출력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되고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한 여자기회전자 및 다극의 자계를 형성하는 여자기고정자를 구비한 여자기 및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 권선에서 발생한 교류를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 또는 (-) 방향의 DC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에 공급하는 양방향전력변환기를 포함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AC Excited Synchronous Generator Capable of Compensating Variation in Rated Voltage According to Load}
본 실시예는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 발전기 계자회로에 계자전류를 공급하는 여자기의 출력을 양방향 전류로 변환할 수 있는 양방향전력변환기를 채용함으로써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여자 방식은 여자기(120)의 전기자에서 발생한 교류를 축과 함께 회전하는 정류기를 거쳐 직류로 정류하여 주발전기(111)의 계자권선(112)을 여자한다.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한 몸체로 된 회전부(150)로서 회전부(150)에 내장된 정류기(130)에서 교류가 정류되므로 이를 회전 정류기 여자방식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여자방식은 슬립링과 브러쉬가 없으므로 유지 및 정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여자기(120)의 계자권선(122)에 가해지는 에너지원이, 자동전압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 140)를 통하여 주발전기(110)의 출력으로부터 공급되는 방식을 자여자식 발전기라고 하며, 이와 달리 다른 장치에서부터 공급되는 방식을 타여자식이라고 한다.
자동전압조정기(140)는 전력계통의 부하변동에 따라 발전기(100)의 출력변화가 있을 때 주발전기(110) 단자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여자기(120)의 여자전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이며,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주발전기(110) 단자전압과 목표치와의 편차를 검출하는 검출부, 편차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제어계를 안정시키는 제동회로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100)는 정류기(130)가 주발전기(110)의 계자권선(111)에 공급하는 출력전류가 단방향이어서, 부하(160)가 급히 제거되는 경우에 응답이 늦다. 또한, 부하(160)가 진상부하일 때 주발전기(110)의 계자전류 방향이 바뀌어야 하지만, 주발전기(110)의 계자권선(111)에는 여자기(120)의 출력을 다이오드로 단순 정류하여 공급하므로 계자전류의 방향을 바꿀 수 없어 단자전압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주 발전기 계자회로에 계자전류를 공급하는 여자기의 출력을 양방향 전류로 변환할 수 있는 양방향전력변환기를 채용함으로써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3상의 교류전력을 발생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고정자 및 DC 전류를 인가받아 자계를 형성하는 계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회전자를 구비한 주발전기, 상기 주발전기에 필요한 계자전류를 출력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되고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한 여자기회전자 및 다극의 자계를 형성하는 여자기고정자를 구비한 여자기 및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 권선에서 발생한 교류를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 또는 (-) 방향의 DC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에 공급하는 양방향전력변환기를 포함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는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권선에서 발생한 3상의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인버터, 정류된 직류의 맥동분을 평활하는 평활회로, 평활된 직류를 입력으로 하여 (+) 또는 (-) 방향의 DC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에 공급하는 DC-DC 변환기 및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를 PWM 제어하여, 상기 DC-DC 변환기의 출력 전류 방향을 제어하는 PWM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는 상기 DC-DC 변환기의 입력단의 전압이 소정의 한도에 도달하면 통전되어,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으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를 방전하는 브레이킹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는 3상 풀-브리지(Full-Bridge)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6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3상 전파정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DC-DC 변환기는 풀-브리지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4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브레이킹 회로는 상호 직렬 연결된 저항 소자 및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는 BJT, MOSFET 또는 IGBT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소자와 회생 다이오드(Free Wheeling Diode)가 병렬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의 PWM 제어기는 외부의 제어신호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수단 및 수신한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를 ON/OFF하는 PWM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의 PWM 제어기는 동기 발전기의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상태정보송신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수신수단은 RF수신기 또는 광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상태정보송신수단은 RF송신기 또는 광송신기 중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수신수단은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의 회전축에 위치하는 광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상태정보송신수단은 상기 광수신기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위치한 복수 개의 송신부가 구비된 광송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는 3상 풀-브리지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6개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를 포함하는 3상 전파정류회로 2쌍과 상기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의 점호를 제어하는 점호펄스를 발생시키는 점호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3상 전파정류회로 2쌍은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권선과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 사이에 서로 반대 위상으로 병렬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자기고정자의 자극은 영구자석으로 형성되거나 자동전압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은 계자권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3상의 교류전력을 발생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고정자 및 DC 전류를 인가받아 자계를 형성하는 계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회전자를 구비한 주발전기의 여자를 위한 교류 여자기 방식의 여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발전기에 필요한 계자전류를 출력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되고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한 여자기회전자 및 다극의 자계를 형성하는 여자기고정자를 구비한 여자기 및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 권선에서 발생한 교류를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 또는 (-) 방향의 DC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에 공급하는 양방향전력변환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축에 여자기의 출력을 양방향 전압 및 전류로 제어할 수 있는 양방향전력변환기를 설치하여 주발전기의 계자전류의 방향 및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여자기의 계자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자동전압조정기(AVR)에 의해 제어되지 않더라도, 발전기의 단자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양방향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진상 부하에 대하여도 정격전압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부하에 대하여도 좋은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여자기의 출력이 반드시 자동전압조정기에 따라 변화하는 형태를 가질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여자기가 자동전압조정기를 제어되지 않는 영구자석형 동기발전기로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전력변환기의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양방향전력변환기에 브레이킹 회로를 추가한 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 전류를 출력하는 DC-DC 변환기의 스위칭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4b는 (-) 전류를 출력하는 DC-DC 변환기의 스위칭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5는 DC-DC 변환기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노드 A의 전압 VA, 노드 B의 전압 VB 및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 양단에 걸리는 전압 Vf의 파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PWM 제어기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신호송신수단 및 제어신호수신수단을 광송수신기로 구현한 경우에 각 광송수신기의 송신부 및 수신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로 구현된 양방향전력변환기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200)는 3상의 교류전력을 발생하는 전기자권선(211)이 권선된 주발전기고정자 및 DC 전류를 인가받아 자계를 형성하는 계자권선(212)이 권선된 주발전기회전자를 구비한 주발전기(210), 주발전기(210)에 필요한 계자전류를 출력하는 전기자권선(221)이 권선되고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한 여자기회전자 및 다극의 자계를 형성하는 여자기고정자를 구비한 여자기(220) 및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하여, 여자기의 전기자 권선에서 발생한 교류를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 또는 (-)의 DC 전류로 변환하여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공급하는 양방향전력변환기(2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계자권선(222)에 흐르는 계자전류가 자동전압조정기(240)에 의해 제어되는 여자기(220)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와 달리, 여자기(220)는 고정자가 영구자석으로 구현된 영구자석형 동기발전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200)는 양방향전력변환기(230)를 채용함으로써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인가되는 계자전류를 (+) 또는 (-)로 제어하고, 결과적으로 주발전기(210)의 전기자권선(211)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즉, 양방향전력변환기(230)가 주발전기(210)의 계자전류를 자유롭게 (+) 또는 (-)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200)는 진상 부하에 대하여도 정격전압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부하에 대하여도 좋은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계자권선(212)이 권선된 주발전기회전자, 양방향전력변환기(230) 및 전기자권선(221)이 권선된 여자기회전자는 동일한 축에 연결되어 원동기(미도시)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즉, 주발전기(210)는 주발전기회전자에 계자권선(212)이 권선된 회전 계자형 동기발전기이고, 여자기(220)는 여자기회전자에 전기자권선(221)이 권선된 회전 전기자형 동기발전기이다. 도 2에서는 회전축상에 위치하여 원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 양방향전력변환기(230) 및 여자기(220)의 전기자권선(221)을 회전부(250)으로 도시하였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전력변환기의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자기(220)의 전기자권선(221)과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 사이에 연결된 양방향전력변환기(230)는 여자기(220)의 전기자권선(221)에서 발생한 3상의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인버터(310), 정류된 직류의 맥동분을 평활하는 평활회로(320), 평활된 직류를 입력으로 하여 (+) 또는 (-)의 DC 전류를 생성하여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공급하는 DC-DC 변환기(330) 및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DC-DC 변환기(330)의 스위칭 소자(S1~S4)를 PWM 제어하여 DC-DC 변환기(330)의 출력 전류 방향을 제어하는 PWM 제어기(340)를 포함한다. PWM 제어기(3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인버터(310)는 3상 풀-브리지(Full-Bridge)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6개의 다이오드(D1~D6)를 포함하는 3상 전파정류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 쌍({D1,D2}, {D3,D4}, {D5,D6})이 각기 직렬로 접속하여 그 접속점에 3상 교류전류(Ia, Ib, Ic)가 인가되며, 상측 다이오드(D1, D3, D5)의 캐소드(Cathode) 및 하측 다이오드(D2, D4, D6)의 애노드(Anode)에 평활회로(320)가 연결된다.
DC-DC 변환기(330)는 풀-브리지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4개의 스위칭 소자(S1~S4)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칭 소자(S1)와 제2스위칭소자(S2)의 공통 접속단(A)이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3스위칭 소자(S3) 및 제4스위칭 소자(S4)의 공통 접속단(B)이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의 타단에 연결된다.
DC-DC 변환기(330)의 스위칭 소자(S1~S4)는 BJT, MOSFET 또는 IGBT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소자와 회생 다이오드(Freewheeling Diode)가 병렬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주발전기(210)의 계자전류를 급히 줄일 때에는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의 Lf 성분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회수되어 DC 링크 전압인 VDC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DC 링크 전압의 상승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평활회로(320)의 커패시턴스를 무한히 키울 수는 없으므로,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으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를 방전하는 브레이킹 회로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도 3a의 양방향전력변환기에 브레이킹 회로를 추가한 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평활회로(320)와 DC-DC 변환기(330) 사이에 브레이킹 회로(335)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전력변환기를 예시하고 있다. 브레이킹 회로(335)는 저항 소자 Rdis 및 이와 직렬 연결되어 Rdis의 통전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 S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 S5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제어기를 둘 수도 있으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DC 변환기(330)의 스위칭 소자(S1~S4)를 PWM 제어하는 PWM 제어기(340)가 브레이킹 회로(335)의 스위칭 소자 S5의 제어를 병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스위칭 소자 S5는 BJT, MOSFET 또는 IGBT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소자와 회생 다이오드(Freewheeling Diode)가 병렬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브레이킹 회로(335)를 구비한 양방향전력변환기(230)에서, 만약 주발전기(210)의 계자전류가 급격히 감소하여 VDC가 일정 한도에 도달하면 스위칭 소자 S5가 ON되고, 이에 따라 저항 소자 Rdis를 통해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으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가 소모된다.
한편, 도 3b에 예시된 바와 달리 브레이킹 회로(335)는 평활회로(320)의 (+) 단자와 DC-DC 변환기(330)의 S1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저항소자 및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는 평상시 ON 상태를 유지하다가, 만약 만약 주발전기(210)의 계자전류가 급격히 감소하여 VDC가 일정 한도에 도달하면 스위칭 소자 S5가 OFF되고, 이에 따라 저항 소자를 통해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으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가 소모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 혹은 (-)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DC-DC 변환기(330)의 스위칭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는 (+) 전류를 출력하는 DC-DC 변환기의 스위칭 동작의 예시도이고, 도 4b는 (-) 전류를 출력하는 DC-DC 변환기의 스위칭 동작의 예시도이다.
DC-DC 변환기(330)는 4개의 스위칭 소자(S1~S4)의 ON/OFF 동작에 따라 (+) 혹은 (-)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DC-DC 변환기(330)의 제1스위칭 소자(S1)와 제4스위칭 소자(S4)가 ON 되면, 도 4a에 도시된 경로를 통해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때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 양단에 걸리는 전압 Vf는 (+) 값을 갖게 된다. 출력 전류의 크기 조정은 각 스위칭 소자의 ON시 듀티(Duty)의 조정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DC-DC 변환기(330)의 제2스위칭 소자(S2)와 제3스위칭 소자(S3)가 ON 되면, 도 4b에 도시된 경로를 통해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때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 양단에 걸리는 전압 Vf는 (-) 값을 갖게 된다. 출력 전압의 크기 조정은 각 스위칭 소자의 ON시 듀티(Duty)의 조정에 의해 가능하다.
이와 달리, 제1스위칭 소자(S1)과 제3스위칭 소자(S3)가 ON 되거나, 제2스위칭 소자(S2)와 제4스위칭 소자(S4)가 ON 되는 경우에는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 양단에 걸리는 전압 Vf 또한 0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DC-DC 변환기(330)의 스위칭 소자들을 ON/OFF 시킴으로써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양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DC-DC 변환기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노드 A의 전압 VA, 노드 B의 전압 VB 및 주발전기의 계자권선 양단에 걸리는 전압 Vf의 파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VA은 제1스위칭 소자(S1)와 제2스위칭 소자(S2)의 접점인 노드 A의 전압을 의미하고, VB는 제3스위칭 소자(S3)와 제4스위칭 소자(S4)의 접점인 노드 B의 전압을 의미하며, Vf는 노드 A와 노드 B 간의 전압으로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가해지는 전압을 의미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DC 변환기(330)의 스위칭 동작이 [S1 ON, S2 OFF, S3 OFF, S4 ON] → [S1 ON, S2 OFF, S3 ON, S4 OFF] → [S1 ON, S2 OFF, S3 OFF, S4 ON] → [S1 OFF, S2 ON, S3 OFF, S4 ON] 순으로 반복되면, Vf는 (+)VDC 값을 갖는 펄스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 ON, S2 OFF, S3 ON, S4 OFF] → [S1 OFF, S2 ON, S3 ON, S4 OFF] → [S1 OFF, S2 ON, S3 OFF, S4 ON] → [S1 OFF, S2 ON, S3 ON, S4 OFF] 순으로 스위칭 동작이 반복되면, Vf는 (-)VDC 값을 갖는 펄스 형태를 갖게 된다.
(+)VDC 또는 (-)VDC 값의 펄스 신호가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인가되는 경우 계자권선(212)의 인덕터 성분(Lf)에 의해 평활한 (+) 전류 또는 (-) 전류가 흐르게 된다.
한편, 도 3의 PWM 제어기(340)는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DC-DC 변환기(330)가 (+) 혹은 (-) 전류 또는 전압을 출력하도록 스위칭 소자(S1~S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PWM 제어기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WM 제어기(340)는 외부제어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제어신호송신수단(630)으로부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수단(610)과 수신된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DC-DC 변환기(330)의 스위칭 소자(S1~S4)의 스위칭 동작을 PWM 제어하는 제어회로부(620)로 구성된다.
외부제어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제어신호송신수단(630)과 PWM 제어기(340)의 제어신호수신수단(610)은 다양한 방식의 신호전송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 RF송신기 및 RF수신기로 구현되거나 광송신기 및 광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PWM 제어기(340)은 동기 발전기(200)의 상태정보를 외부제어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정보수신수단(635)으로 전송하는 상태정보송신수단(6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정보는 주발전기(212)의 계자전류, DC 링크전압 VDC,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 양단의 전압 Vf, PWM 제어기(340)의 동작상태 등일 수 있다.
외부제어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정보수신수단(635)과 PWM 제어기(340)의 상태정보송신수단(615)은 다양한 방식의 신호전송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 RF송신기 및 RF수신기로 구현되거나 광송신기 및 광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PWM 제어기(340)은 주발전기(212)의 계자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수단(미도시)으로부터 측정된 계자전류를 입력받아 DC-DC 변환기(330)의 스위칭 소자의 듀티(Duty)를 조정함으로써 DC-DC 변환기(330)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외부제어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제어신호송신수단(630) 및 상태정보수신수단(635)은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200)의 고정자 또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PWM 제어기(340)의 제어신호수신수단(610) 및 상태정보송신수단(615)은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송신/수신수단들(610, 615, 630, 635)을 RF 송수신기로 구현하는 경우와는 달리, 광송수신기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광신호의 송수신을 담보할 수 있는 광송수신기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은 형태로 광송수신기를 구성하였다.
도 7은 도 6의 제어신호의 송신/수신수단 및 상태정보의 송신/수신수단을 각각 광송수신기로 구현한 경우에 각 광송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 PWM 제어기(340)의 제어신호수신수단(610) 및 상태정보송신수단(615)으로서 구현된 광송수신기를 '제1광송수신기'라고 칭하고, 외부제어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제어신호송신수단(630) 및 상태정보수신수단(635)으로서 구현된 광송수신기를 '제2광송수신기'라고 칭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광송수신기는 주발전기회전자의 회전축에 위치하여 주발전기회전자와 함께 회전함을 유의한다. 제1광송수신기는 회전축상에 위치한 수신부 및 이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위치한 복수 개의 송신부를 포함한다. 도 9의 (a)는 1개의 수신부(711) 및 6개의 송신부(712a~712f)를 구비한 제1광송수신기(710)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Y축은 주발전기회전자의 회전축과 동일하다.
제2광송수신기는 동기발전기(200)의 고정자 또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제2광송수신기는 주발전기회전자의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송신부 및 이와 소정의 거리만큼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부를 포함한다. 도 7의 (b)는 1개의 송신부(731) 및 1개의 수신부(732)를 가진 제2광송수신기(730)를 예시하고 있다.
제1광송수신기(710)의 수신부(711)와 제2광송수신기(730)의 송신부(731)가 동일축상에 있으므로, 제1광송수신기(710)의 수신부(711)가 회전하더라도 제2광송수신기(730)의 송신부(731)로부터 송신된 광신호(외부제어신호)를 항상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된 6개의 원(713a~713f)은 각각 도 7의 (a)에 도시된 제1광송수신기(710)의 6개의 송신부(712a~712f)로부터 송신된 광신호의 수신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수신범위가 서로 중첩되게 각 송신부(712a~712f)를 배치함으로써, 제1광송수신기(710)의 송신기(712a~712f)가 회전하더라도 제2광송수신기(730)의 수신기(732)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범위(713a~713f)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2의 양방향전력변환기(230)는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로 구현된 양방향전력변환기의 회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전력변환기는 3상 풀-브리지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6개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1~SCR6}, {SCR7~SCR12})를 포함하는 3상 전파정류회로 2쌍(811, 812)과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들(SCR1~SCR12)의 점호를 제어하는 점호펄스를 발생시키는 점호 제어기(830)로 구현될 수 있다.
3상 전파정류회로 2쌍(811, 812)은 모두 여자기(220)의 전기자권선(221)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되, 서로 역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전파정류회로(811)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들(SCR1~SCR6)이 ON 되고 제2전파정류회로(812)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들(SCR7~SCR12)이 OFF 되는 경우,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는 (+)방향(시계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만일 제1전파정류회로(811)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들(SCR1~SCR6)이 OFF 되고 제2전파정류회로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들(SCR7~SCR12)이 ON 되는 경우,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는 (-)방향(반시계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렇게 제1전파정류회로(811)와 제2전파정류회로(812)를 점호함으로써 주발전기(210)의 계자권선(212)에 인가되는 계자전류의 방향을 양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동기발전기 210: 주발전기
211: (주발전기의) 전기자권선 212: (주발전기의) 계자권선
220: 여자기 221: (여자기의) 전기자권선
222: (여자기의) 계자권선 230: 양방향전력변환기
240: 자동전압조정기 250: 회전부
260: 부하 310: 인버터
320: 평활회로 325: 브레이킹 회로
330: DC-DC 변환기 340: PWM 제어기
610: 제어신호수신수단 615: 상태정보송신수단
620: 제어회로부 630: 제어신호송신수단
635: 상태정보수신수단
711: (제1광송수신기의) 수신부
712a~712f: (제1광송수신기의) 송신부
731: (제2광송수신기의) 송신부
732: (제2광송수신기의) 수신부

Claims (15)

  1. 3상의 교류전력을 발생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고정자 및 DC 전류를 인가받아 자계를 형성하는 계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회전자를 구비한 주발전기;
    상기 주발전기에 필요한 계자전류를 출력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되고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한 여자기회전자 및 다극의 자계를 형성하는 여자기고정자를 구비한 여자기; 및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 권선에서 발생한 교류를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 또는 (-) 방향의 DC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에 공급하는 양방향전력변환기
    를 포함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는,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권선에서 발생한 3상의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인버터;
    정류된 직류의 맥동분을 평활하는 평활회로;
    평활된 직류를 입력으로 하여 (+) 또는 (-) 방향의 DC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에 공급하는 DC-DC 변환기; 및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를 PWM 제어하여, 상기 DC-DC 변환기의 출력 전류 방향을 제어하는 PWM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는,
    상기 DC-DC 변환기의 입력단의 전압이 소정의 한도에 도달하면 통전되어,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으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를 방전하는 브레이킹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3상 풀-브리지(Full-Bridge) 방식으로 상호 접속된 6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3상 전파정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DC-DC 변환기는 풀-브리지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4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브레이킹 회로는 상호 직렬 연결된 저항 소자 및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는,
    BJT, MOSFET 또는 IGBT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소자와 회생 다이오드(Free Wheeling Diode)가 병렬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의 PWM 제어기는,
    외부의 제어신호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수단 및 수신한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를 ON/OFF하는 PWM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의 PWM 제어기는,
    동기 발전기의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상태정보송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 방식의 동기발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수신수단은 RF수신기 또는 광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구현되고, 상기 상태정보송신수단은 RF송신기 또는 광송신기 중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수신수단은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의 회전축에 위치하는 광수신기로 구현되고,
    상기 상태정보송신수단은 상기 광수신기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위치한 복수 개의 송신부가 구비된 광송신기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는,
    3상 풀-브리지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6개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를 포함하는 3상 전파정류회로 2쌍과 상기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의 점호를 제어하는 점호펄스를 발생시키는 점호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3상 전파정류회로 2쌍은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권선과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 사이에 서로 반대 위상으로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기고정자의 자극은 자동전압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은 계자권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발전기의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12. 3상의 교류전력을 발생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고정자 및 DC 전류를 인가받아 자계를 형성하는 계자권선이 권선된 주발전기회전자를 구비한 주발전기의 여자를 위한 교류 여자기 방식의 여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발전기에 필요한 계자전류를 출력하는 전기자권선이 권선되고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한 여자기회전자 및 다극의 자계를 형성하는 여자기고정자를 구비한 여자기; 및
    상기 주발전기회전자와 동일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 권선에서 발생한 교류를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 또는 (-) 방향의 DC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에 공급하는 양방향전력변환기
    를 포함하는 동기발전기의 교류 여자기 방식의 여자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는,
    상기 여자기에서 발생된 3상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3상 풀-브리지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6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3상 전파정류회로;
    정류된 직류의 맥동분을 평활하는 평활회로;
    평활된 직류를 입력으로 하여 (+) 또는 (-) 방향의 DC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에 공급하는, 풀-브리지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4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DC-DC 변환기; 및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를 PWM 제어하여, 상기 DC-DC 변환기의 출력 전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발전기의 교류 여자기 방식의 여자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는,
    상기 DC-DC 변환기의 입력단의 전압이 소정의 한도에 도달하면 통전되어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으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를 방전하는, 상호 직렬 연결된 저항 소자 및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브레이킹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여자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력변환기는,
    3상 풀-브리지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 6개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를 포함하는 3상 전파정류회로 2쌍과 상기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의 점호를 제어하는 점호펄스를 발생시키는 점호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3상 전파정류회로 2쌍은 상기 여자기의 전기자권선과 상기 주발전기의 계자권선 사이에 서로 반대 위상으로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발전기의 교류 여자기 방식의 여자 시스템.
KR1020120096816A 2012-08-31 2012-08-31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KR10136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16A KR101362840B1 (ko) 2012-08-31 2012-08-31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16A KR101362840B1 (ko) 2012-08-31 2012-08-31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840B1 true KR101362840B1 (ko) 2014-02-14

Family

ID=5027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816A KR101362840B1 (ko) 2012-08-31 2012-08-31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84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276B1 (ko) 2013-07-17 2014-07-02 주식회사 이투에스 발전기 여자시스템 점검장치의 인버터 방식의 전압출력 시스템
KR20160111680A (ko) * 2015-03-17 2016-09-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동기전동기 및 그 구동방법
KR20160139952A (ko) *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만도 전기자동차의 전력변환시스템
KR20190141890A (ko) 2018-06-15 2019-12-26 신재용 재난 대응용 발전 설비
KR20200014600A (ko) * 2018-08-01 2020-02-1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출력형 브러시리스 직류발전기 및 이를 이용하는 양방향 자속 제어가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발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2835A (en) * 1976-03-15 1977-06-2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Brushless exciter supplemental ceiling excitation system
JP2001103795A (ja) 1999-10-01 2001-04-13 Meidensha Corp 同期発電機の静止形励磁装置
KR20120040515A (ko) * 2010-10-19 2012-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주파수 역률 제어 충전 장치
US20120153904A1 (en) 2010-12-16 2012-06-21 Albsmeier Eric D Resonant commutation system for exciting a three-phase altern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2835A (en) * 1976-03-15 1977-06-2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Brushless exciter supplemental ceiling excitation system
JP2001103795A (ja) 1999-10-01 2001-04-13 Meidensha Corp 同期発電機の静止形励磁装置
KR20120040515A (ko) * 2010-10-19 2012-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주파수 역률 제어 충전 장치
US20120153904A1 (en) 2010-12-16 2012-06-21 Albsmeier Eric D Resonant commutation system for exciting a three-phase alternat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276B1 (ko) 2013-07-17 2014-07-02 주식회사 이투에스 발전기 여자시스템 점검장치의 인버터 방식의 전압출력 시스템
KR20160111680A (ko) * 2015-03-17 2016-09-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동기전동기 및 그 구동방법
KR101685283B1 (ko) 2015-03-17 2016-12-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동기전동기 및 그 구동방법
KR20160139952A (ko) *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만도 전기자동차의 전력변환시스템
KR102397459B1 (ko) 2015-05-29 2022-05-13 주식회사 만도 전기자동차의 전력변환시스템
KR20190141890A (ko) 2018-06-15 2019-12-26 신재용 재난 대응용 발전 설비
KR20200014600A (ko) * 2018-08-01 2020-02-1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출력형 브러시리스 직류발전기 및 이를 이용하는 양방향 자속 제어가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발전기
KR102109773B1 (ko) * 2018-08-01 2020-05-26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출력형 브러시리스 직류발전기 및 이를 이용하는 양방향 자속 제어가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840B1 (ko) 부하에 따른 정격전압의 변동을 보상하는 교류 여자기 방식의 동기발전기
US10312738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9325229B2 (en) Generator architecture with PMG exciter and main field rotating power converter
EP2779428B1 (en) Variable speed constant frequency system with generator and rotating power converter
US8912765B2 (en) EPGS architecture with multi-channel synchronous generator and common unregulated PMG exciter
EP2779423A2 (en) Generator architecture with main field rotating power converter
US9257889B2 (en) EPGS architecture with multi-channel synchronous generator and common field regulated exciter
JP2010022185A (ja) 同期機
US11336198B2 (en) System for generating a power output and corresponding use
ES2821488T3 (es) Bobinado auxiliar para un generador
CN116114154A (zh) 具有整流转子绕组的电机内的电力分配
US20030025418A1 (en) Brushless generator with permanent magnets
EP2775592A2 (en) Alternator for a power generation system
JPS6082098A (ja) 携帯用発電機
KR100975072B1 (ko) 브러시리스 자여자 동기발전기
US10320316B2 (en) Supplying a synchronous machine with an excitation current
KR101312792B1 (ko) 다중 권선 구조의 초전도 동기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6206B1 (ko) 단상 유도 발전기의 자기 여자 용량 제어 시스템
KR102293663B1 (ko) 출력의 왜곡이 개선된 이중 계자권선 브러시리스 동기 발전기
KR20140084410A (ko) 이중 회전자를 갖는 동기 발전기 시스템
US10547260B2 (en) Off-grid power generating apparatus
JP2002136191A (ja) 発電電動機の二次励磁装置
KR100777809B1 (ko) 이종 자극 여자기를 갖는 동기 발전기
JP6198083B2 (ja) 電動工具
JP4701793B2 (ja) 動力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