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564B1 -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564B1
KR101361564B1 KR1020070056720A KR20070056720A KR101361564B1 KR 101361564 B1 KR101361564 B1 KR 101361564B1 KR 1020070056720 A KR1020070056720 A KR 1020070056720A KR 20070056720 A KR20070056720 A KR 20070056720A KR 101361564 B1 KR101361564 B1 KR 10136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emoval
hair
nozzle
dirt
clea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8752A (ko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64B1/ko
Priority to US11/983,236 priority patent/US7631395B2/en
Priority to AU2008201196A priority patent/AU2008201196B2/en
Priority to CA2625754A priority patent/CA2625754C/en
Priority to EP08005258A priority patent/EP2008563B1/en
Publication of KR2008010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tilting, floating or similarly arrang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늘고 긴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은, 하면에 오물흡입구가 형성된 노즐몸체; 및 오물흡입구의 일 측으로 노즐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털제거몸체와, 털제거몸체에 수직인 복수 개의 핀 형상으로 형성된 털제거부, 및 노즐몸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털제거몸체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털제거부의 선단이 피청소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전캠을 포함하는 털제거부재;를 포함한다.
흡입노즐, 털제거부재, 전방 및 후방털제거부재, 회전축, 털제거부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을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에 설치된 털제거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에 설치된 털제거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을 대략 중앙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의 털제거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의 털제거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리 저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에서 회전브러시 와 구동팬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다른 예에 의한 털제거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다른 예에 의한 털제거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진공청소기 10; 흡입노즐
20; 노즐몸체 21; 오물흡입구
22,24; 힌지부 25; 바퀴
27; 오물흡입통로 28; 구동팬
30; 회전브러시 40,50; 털제거부재
41,51; 털제거몸체 42,52; 삽입부
43,53; 털제거부 45,55; 회전캠
100; 연장관 조립체 200; 청소기 본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털제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할 수 있는 흡입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흡입노즐은 피청소면과 접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바닥면에 피청소면에 있는 오물을 흡입하는 오물흡입구를 구비한다. 청소기 본체의 진공발생장치가 동작하여 흡입력이 발생하면, 피청소면의 오물이 공기와 함께 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노즐로 흡입된다.
그러나, 흡입력만을 이용하여 카펫과 같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경우에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털과 같이 길고 가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애완동물의 털 등과 같이 가늘고 긴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피청소면에 있는 머리카락이나 애완동물의 털 등을 긁어내어 서로 뭉치게 하여 오물흡입구 쪽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카펫의 경우에는 머리카락 같이 가늘고 긴 오물은 카펫의 털에 부착되어 흡입력만으로는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카펫에 부착된 가늘고 긴 오물을 긁어내어 오물흡입구 쪽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피청소면에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애완동물의 털과 같이 가늘고 긴 오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면에 오물흡입구가 형성된 노즐몸체; 및 상기 오물흡입구의 일 측으로 상기 노즐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털제거몸체와, 상기 털제거몸체에 수직인 복수 개의 핀 형상으로 형성된 털제거부, 및 상기 노즐몸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털제거몸체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털제거부의 선단이 피청소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전캠을 포함하는 털제거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면은 상기 털제거부의 복수 개의 핀과 평행하게 상기 털제거몸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캠은 상기 털제거몸체로부터 그 선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털제거부의 상기 털제거몸체로부터 그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털제거부는 3열로 형성된 복수 개의 핀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털제거부는 3~8mm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털제거부재는 상기 털제거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삽입부에 대응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면에 오물흡입구가 형성된 노즐몸체; 상기 오물흡입구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털제거부재; 및 상기 오물흡입구의 후방에 상기 전방 털제거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된 후방 털제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는 각각, 상기 오물흡입구의 일 측으로 상기 노즐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털제거몸체와, 상기 털제거몸체에 수직인 복수 개의 핀 형상으로 형성된 털제거부, 및 상기 노즐몸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털제거몸체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털제거부의 선단이 피청소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전캠을 포함하는 털제거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노즐몸체는 상기 오물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오물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브러시는 상기 구동팬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은, 상기 노즐몸체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방 털제거부재는 상기 털제거부가 피청소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고, 상기 후방 털제거부재는 상기 털제거부가 피청소면에 수직을 이루며, 상기 노즐몸체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방 털제거부재는 상기 털제거부가 피청소면에 수직을 이루고, 상기 후방 털제거부재는 상기 털제거부가 피청소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면에 오물흡입구가 형성된 노즐몸체; 상기 오물흡입구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털제거부재; 및 상기 오물흡입구의 후방에 상기 전방 털제거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된 후방 털제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는 각각, 상기 오물흡입구의 일 측으로 상기 노즐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털제거몸체와, 상기 털제거몸체에 하단에 설치된 펠트부재, 및 상기 노즐몸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털제거몸체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펠트부재가 피청소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전캠을 포함하는 털제거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노즐을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흡입노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에 설치된 털제거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에 설치된 털제거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을 대략 중앙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10)은 노즐몸체(20), 회전브러시(30), 전방 털제거부재(40), 및 후방 털제거부재(50)를 포함한다.
노즐몸체(20)는 연장관(110)에 연결되며, 피청소면(3)을 따라 이동하며 피청소면(3)에 있는 오물을 흡입한다. 노즐몸체(20)의 하면에는 피청소면(3)에 있는 오물과 공기를 흡입하는 오물흡입구(21)가 형성되며, 노즐몸체(20)의 내부에는 오물 흡입통로(27)가 형성된다. 오물흡입통로(27)에는 흡입되는 오물과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팬(28)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몸체(20)의 양 측면에는 흡입노즐(10)이 피청소면(3)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바퀴(25)가 설치된다. 노즐몸체(20)는 후단에 연결된 연장관(110)을 통해 청소기 본체(200)에 연결된다(도 1 참조). 따라서, 노즐몸체(20)의 오물흡입구(21)로 흡입된 오물과 공기는 오물흡입통로(27)와 연장관(110)을 통해 청소기 본체(200)로 이동한다.
회전브러시(30)는 노즐몸체(20)의 오물흡입구(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브러시(30)의 표면에는 피청소면(3)과 접촉할 수 있는 길이의 복수 개의 브러시 털(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브러시(30)가 회전하면, 복수 개의 브러시 털(31)이 피청소면(3)과 마찰하므로 피청소면(3)에 있는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러시 털(31)이 90도 간격으로 4줄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전브러시(30)는 브러시 털(31)과 피청소면(3)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브러시(30)가 구동팬(28)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회전브러시(30)가 구동팬(28)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브러시(30')에는 동축상으로 피동풀리(32)가 설치되고, 구동팬(28)의 회전축(28a)에는 구동풀리(29)가 설치된다. 피동풀리(32)과 구동풀리(29)는 벨트(33)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오물을 포함하는 공기가 오물흡입통로(27)를 통과하면, 오물흡입통로(27)에 설치된 구동팬(28)이 회전한다. 구동팬(28)이 회전하면, 벨 트(33)로 연결된 회전브러시(30')가 회전하게 된다.
전방 털제거부재(40)와 후방 털제거부재(50)는 피청소면(3)에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털을 긁어 모으는 기능을 한다. 전방 털제거부재(40)와 후방 털제거부재(50)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40,50)를 통괄하여 털제거부재로 칭하여 그 구조를 설명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방 털제거부재(40)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털제거부재(40)는 털제거몸체(41)와, 털제거부(43), 및 복수 개의 회전캠(45)을 포함한다.
털제거몸체(41)는 오물흡입구(21)의 일 측으로 노즐몸체(2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털제거몸체(41)가 노즐몸체(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즐몸체(20)에는 도 3과 같이 적어도 한 개의 힌지부(22)가 형성되고 털제거몸체(41)에는 힌지부(22)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42)가 형성된다. 노즐몸체(20)의 힌지부(22)는 서로 마주 보는 탄성을 갖는 2개의 탄성편으로 형성되어 있어 털제거몸체(41)의 삽입부(42)를 힌지부(22)의 입구에 대고 누르면 털제거몸체(41)가 쉽게 노즐몸체(20)에 설치된다.
털제거부(43)는 털제거몸체(41)의 하측에 설치되며, 털제거몸체(41)의 하면에 대해 대략 수직인 복수 개의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털제거부(43)는 피청소면(3)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일 수 있는 고무와 우레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털제거부(43)의 길이는 가늘고 긴 오물을 효율적으로 긁어 모을 수 있도 록 3~8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털제거부(43)는 털제거몸체(41)의 하면에 복수 개의 핀(43a)이 복수 개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털제거부(43)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핀(43a)이 3개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하였다.
복수 개의 회전캠(45)은 털제거몸체(41)의 하측에 설치되며, 노즐몸체(20)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털제거몸체(41)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털제거부(43)의 선단이 피청소면(3)과 이격되도록 한다. 회전캠(45)은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캠(45)의 일 측면(45a)은 털제거부(43)의 복수 개의 핀(43a)과 평행을 이루도록 털제거몸체(41)의 하면에 설치된다. 회전캠(45)의 반대 측면(45b)은 일 측면(45a)으로부터 소정 각도 떨어져서 형성된다. 회전캠(45)이 양 측면(45a,45b)은 복수 개의 지지리브(45c)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캠(45)은 털제거부(43)의 일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이 된다. 회전캠(45)의 양 측면(45a,45b)의 선단은 피청소면(3)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흡입노즐(10)이 이동하면 회전캠(45)의 양 측면(45a,45b) 중의 한 측면이 피청소면(3)과 마찰하여 털제거부재(40)가 회전하도록 한다.
회전캠(45)의 양 측면(45a,45b)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회전캠(45)의 일 측면(45a)은 털제거몸체(41)의 하면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L1)가 털제거부(43)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털제거부(43)의 선단은 피청소면(3)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노즐몸체(20)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캠(45)의 일 측면(45a)이 피청소면(3)과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캠(45)의 타 측면(45b)이 피청소면(3)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털제거부재(40)는 회전캠(45)에 의해 털제거몸체(41)의 삽입부(42)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캠(45)은 적어도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회전캠(45)이 털제거부재(40)의 양단에 가깝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회전캠(45)의 일 측면(45a)의 길이(L1)를 털제거부(43)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45)의 일 측면(45a)의 길이와 털제거부(43")의 길이를 같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40",50")의 털제거부(43",53")의 선단이 피청소면(3)과 접촉을 하게 된다.
털제거부재(40,50)는 털제거몸체(41,51), 털제거부(43,53), 회전캠(45,55)을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으나, 제조상의 편리와 털제거부재(40,50)의 기능을 최대로 하기 위해 2개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2개의 재질로 형성된 털제거몸체의 일 예로서 전방 털제거몸체(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방 털제거부재(40')는 털제거몸체(41'a,41'b,41'c)를 3개로 형성하고, 각 털제거몸체(41'a,41'b,41'c)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48)을 형성하였다. 털제거몸체(41'a,41'b,41'c)의 관통공(48)에 회전축(47)을 삽입하여 3개의 털제거몸체(41'a,41'b,41'c)를 하나로 연결하여 한 개의 털제거부재(40')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3개의 털제거몸체(41'a,41'b,41'c)의 사이에 노출된 회전축(47)이 상술한 털제거부재(40)의 삽입부(42)의 기능을 한다. 이때, 회전축(47)은 털제거몸체(41'a,41'b,41'c)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 히, 철이나 철의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개의 털제거몸체(41'a,41'b,41'c)의 각각에 형성되는 털제거부(43)와 힌지캠(45)은 털제거몸체(41'a,41'b,41'c)와 동일한 재질로 성형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방 털제거부재(40)는 회전브러시(30)의 전방(도 3에서는 회전브러시의 상측)에 설치되며, 털제거몸체(41)에 2개의 삽입부(42)가 형성되며, 회전캠(45)이 회전브러시(30)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털제거부재(50)는 회전브러시(30)의 후방(도 3에서는 회전브러시의 하측)에 설치되며, 털제거몸체(51)에 1개의 삽입부(52)가 형성되며, 회전캠(55)이 회전브러시(30)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흡입노즐(10)은 연장관 조립체(100)를 통해 청소기 본체(200)와 연통되어 있다. 연장관 조립체(200)는 흡입노즐(10)에 연결되는 연장관(110)과, 연장관(110)과 청소기 본체(20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호스(120)를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200)에는 흡입노즐(10)을 통해 흡입된 오물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진장치(미도시)와, 오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진공발생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진공청소기(1)를 동작시키면, 청소기 본체(200)의 진공발생장치가 동작하여 흡입력이 발생한다. 흡입력은 흡입노즐(10)의 오물흡입구(21)에 작용하게 되고, 이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3)의 오물이 오물흡입구(21)로 흡입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10)은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40,5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피청소면(3)에 있는 가늘고 긴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음에 흡입노즐(10)을 피청소면(3) 위에 놓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40,50)의 털제거부(43,53)가 모두 피청소면(3)에 수직인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흡입노즐(10)을 도 8a의 화살표 A와 같이 제1방향으로 밀면, 피청소면(3)에 접촉하고 있는 복수 개의 회전캠(45)과 피청소면(3)의 마찰력에 의해 전방 털제거부재(40)가 화살표 C와 같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방 털제거부재(4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피청소면(3)과 전방 털제거부재(40)의 선단 사이에 간격(G1)이 형성되어 피청소면(3)에 있는 오물이 쉽게 오물흡입구(21)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후방 털제거부재(50)는 피청소면(3)과 수직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오물흡입구(21)에 설치된 회전브러시(30)에 의해 제거되지 않았던 피청소면(3)에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애완동물의 털과 같이 가늘고 긴 오물은 후방 털제거부재(50)에 의해 긁어 모여지게 된다. 특히, 카펫과 같이 표면에 많은 털이 있어 가늘고 긴 오물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후방 털제거부재(50)의 털제거부(53)의 복수 개의 핀이 카펫의 털 사이로 삽입되므로 쉽게 오물을 긁어 모을 수 있다. 후방 털제거부재(50)에 의해 긁어 모여진 가늘고 긴 오물은 오물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다.
사용자가 흡입노즐(10)을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도 8b의 화살표 B)으로 잡아당기면 피청소면(3)에 접촉하고 있는 복수 개의 회전캠(45)과 피청소면(3)의 마찰력에 의해 전방 털제거부재(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8b와 같이 피청소면(3)과 수직인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오물흡입구(21)에 설치된 회전브러시(30)에 의해 제거되지 않았던 피청소면(3)에 있는 가늘고 긴 오물은 전방 털제거부재(40)에 의해 긁어 모여지게 된다. 특히, 카펫과 같이 표면에 많은 털이 있어 가늘고 긴 오물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상술한 후방 털제거부재(50)와 동일하게 가늘고 긴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후방 털제거부재(50)는 피청소면(3)에 접촉하고 있는 복수 개의 회전캠(55)과 피청소면(3)의 마찰력에 의해 화살표 D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후방 털제거부재(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피청소면(3)과 후방 털제거부재(50)의 선단 사이에 간격(G2)이 형성되어 피청소면(3)에 있는 오물이 쉽게 오물흡입구(21) 쪽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40.50)에 의해 피청소면(3)으로부터 제거된 가늘고 긴 오물을 포함하는 공기는 흡입노즐(10)의 오물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다. 오물흡입구(21)로 흡입된 오물은 흡입노즐(10)의 흡입오물통로(27)와 연장관 조립체(100)의 연장관(110)과 플렉시블 호스(120)를 통해 청소기 본체(200)로 이동한다(도 1 참조). 청소기 본체(200)로 이동한 오물은 집진장치에 의해 공기로부터 분리되고 깨끗해진 공기만 청소기 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10')을 나타 내는 측면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10')은 노즐몸체(20), 회전브러시(30), 전방 털제거부재(60), 및 후방 털제거부재(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10')은 노즐몸체(20)와 회전브러시(3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60,70)만이 상술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10)과 상이하므로,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60,7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방 털제거부재(60)는 털제거몸체(61), 털제거부(63), 복수 개의 회전캠(6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털제거부(63)가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펠트(felt)로 형성된다. 따라서, 털제거몸체(61)와 복수 개의 회전캠(65)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고, 펠트로 만든 털제거부(63)는 털제거몸체(61)의 하면에 부착하여 전방 털제거부재(60)를 완성한다. 후방 털제거부재(70)도 전방 털제거부재(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60,70)는 털제거부(63,73)가 고무나 우레탄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핀이아니라 펠트로 형성된다는 점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흡입노즐(10)의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40,50)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에 의하면,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가 피청소면에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과 같이 가늘고 긴 오물을 긁어 모으므로 가늘고 긴 오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흡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은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의 복수 개의 핀 형상으로 형성된 털제거부가 카펫의 털 사이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카펫과 같이 표면에 털이 많이 있는 피청소면의 가늘고 긴 오물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은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의 삽입부와 노즐몸체의 힌지부를 이용하여 쉽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면에 오물흡입구가 형성된 노즐몸체;
    상기 오물흡입구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털제거부재; 및
    상기 오물흡입구의 후방에 상기 전방 털제거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된 후방 털제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는 각각,
    상기 오물흡입구의 일 측으로 상기 노즐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털제거몸체와, 상기 털제거몸체에 수직인 복수 개의 핀 형상으로 형성된 털제거부, 및 상기 노즐몸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털제거몸체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털제거부의 선단이 피청소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전캠을 포함하는 털제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면은 상기 털제거부의 복수 개의 핀과 평행하게 상기 털제거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은 상기 털제거몸체로부터 그 선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털제거부의 상기 털제거몸체로부터 그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털제거부는 3열로 형성된 복수 개의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오물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브러시는 상기 구동팬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방 털제거부재는 상기 털제거부가 피청소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고, 상기 후방 털제거부재는 상기 털제거부가 피청소면에 수직을 이루며,
    상기 노즐몸체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방 털제거부재는 상기 털제거부가 피청소면에 수직을 이루고, 상기 후방 털제거부재는 상기 털제거부가 피청소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14. 하면에 오물흡입구가 형성된 노즐몸체;
    상기 오물흡입구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털제거부재; 및
    상기 오물흡입구의 후방에 상기 전방 털제거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된 후방 털제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털제거부재는 각각,
    상기 오물흡입구의 일 측으로 상기 노즐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털제거몸체와, 상기 털제거몸체에 하단에 설치된 펠트부재, 및 상기 노즐몸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털제거몸체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펠트부재가 피청소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전캠을 포함하는 털제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1020070056720A 2007-06-11 2007-06-11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101361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20A KR101361564B1 (ko) 2007-06-11 2007-06-11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US11/983,236 US7631395B2 (en) 2007-06-11 2007-11-08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AU2008201196A AU2008201196B2 (en) 2007-06-11 2008-03-12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CA2625754A CA2625754C (en) 2007-06-11 2008-03-14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EP08005258A EP2008563B1 (en) 2007-06-11 2008-03-20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20A KR101361564B1 (ko) 2007-06-11 2007-06-11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752A KR20080108752A (ko) 2008-12-16
KR101361564B1 true KR101361564B1 (ko) 2014-02-14

Family

ID=3994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720A KR101361564B1 (ko) 2007-06-11 2007-06-11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31395B2 (ko)
EP (1) EP2008563B1 (ko)
KR (1) KR101361564B1 (ko)
AU (1) AU2008201196B2 (ko)
CA (1) CA262575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9214B2 (en) 2014-10-02 2016-08-09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cleaning substr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1061B2 (en) * 2006-10-11 2011-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US20100101044A1 (en) * 2008-10-29 2010-04-29 Craig John Salmond Beater bar with air injector
KR20100093325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GB2470408A (en) * 2009-05-22 2010-11-24 Dyson Technology Ltd Grooming device
GB2470406B (en) 2009-05-22 2012-04-11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470407A (en) * 2009-05-22 2010-11-24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AU2010347853B2 (en) * 2010-03-10 2013-10-03 Lg Electronics Inc.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US8904595B2 (en) * 2011-12-13 2014-12-09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acuum cleaner floor seal
JP6105886B2 (ja) * 2012-09-25 2017-03-2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6204080B2 (ja) * 2013-06-17 2017-09-2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02014117418A1 (de) * 2014-11-27 2016-06-02 Miele & Cie. Kg Bodendüse für ein Bodenpflegegerä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odendüse für ein Bodenpflegegerät
GB2547251B (en) * 2016-02-12 2018-10-17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01603300D0 (en) * 2016-02-25 2016-04-13 Grey Technology Ltd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KR102497627B1 (ko) * 2018-01-29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JP7081970B2 (ja) * 2018-04-20 2022-06-0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19188117A (ja) * 2018-10-19 2019-10-3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441A (en) * 1977-01-10 1979-03-13 National Union Electric Corporation Vacuum cleaner nozzle
JP2003000496A (ja) 2001-06-21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用床ブラシ
KR100662642B1 (ko) * 2005-06-22 2007-01-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JP2007125134A (ja) * 2005-11-02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6124A (en) 1933-09-23 1937-07-06 Electrolux Corp Suction nozzle
US3825972A (en) * 1973-04-23 1974-07-30 Scott & Fetzer Co Shag rug fluffer
TW578540U (en) * 1998-07-28 2004-03-01 Sharp Kk Electric vacuum cleaner and nozzle unit therefor
JP3457553B2 (ja) 1998-11-30 2003-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
JP2006020895A (ja) 2004-07-09 2006-01-26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電気掃除機
AU2006201894B2 (en) 2005-05-05 2010-09-16 Bissell Inc. Vacuum accessory to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441A (en) * 1977-01-10 1979-03-13 National Union Electric Corporation Vacuum cleaner nozzle
JP2003000496A (ja) 2001-06-21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用床ブラシ
KR100662642B1 (ko) * 2005-06-22 2007-01-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JP2007125134A (ja) * 2005-11-02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9214B2 (en) 2014-10-02 2016-08-09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cleaning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31395B2 (en) 2009-12-15
CA2625754C (en) 2015-06-09
EP2008563B1 (en) 2012-06-06
KR20080108752A (ko) 2008-12-16
EP2008563A1 (en) 2008-12-31
AU2008201196A1 (en) 2009-01-08
US20080301901A1 (en) 2008-12-11
AU2008201196B2 (en) 2012-09-20
CA2625754A1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564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102369220B1 (ko) 진공 청소기용 표면 청소 헤드
KR20100093325A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PT2449937T (pt) Aspirador para pavimentos sem revestimento
KR20090009425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KR20080086690A (ko) 노즐조립체
JP2012245318A (ja) 掃除機
JP6931715B2 (ja) クリーニングローラからごみくずを除去するためのコーミングユニットを有するクリーニング装置
CN211355206U (zh) 吸尘地刷及具有其的吸尘器
JP2012040095A (ja) 電気掃除機用ノズル
KR100526115B1 (ko)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 조립체
WO2021012507A1 (zh) 吸尘地刷及具有其的吸尘器
KR100671834B1 (ko) 용도 전환기능를 갖는 진공청소기 헤드
JP7079562B2 (ja) 回転清掃体、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648585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JP3421582B2 (ja) 電気掃除機
WO2021069860A1 (en)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KR100549516B1 (ko) 진공 청소기용 로울러 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JP2004237127A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H11206647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H0588467U (ja) 掃除機用吸入ノズルの回転ロータ
JPH10179461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023045579A (ja)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3858215B2 (ja) 床用吸込具
JP3503869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