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743B1 - 톡톡 단말기 - Google Patents

톡톡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743B1
KR101356743B1 KR1020120069056A KR20120069056A KR101356743B1 KR 101356743 B1 KR101356743 B1 KR 101356743B1 KR 1020120069056 A KR1020120069056 A KR 1020120069056A KR 20120069056 A KR20120069056 A KR 20120069056A KR 101356743 B1 KR101356743 B1 KR 10135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
mode
axial direction
axis
t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466A (ko
Inventor
송지훈
Original Assignee
(주)메이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벨솔루션 filed Critical (주)메이벨솔루션
Publication of KR2013000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톡톡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1 축방향의 두드림을 감지하는 제1축 감지센서와, 제2 축방향의 두드림을 감지하는 제2축 감지센서와 제3 축방향의 두드림을 감지하는 제3축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톡톡 감지부, 상기 톡톡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각 축방향의 톡톡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축방향의 톡톡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을 파악하는 톡톡 입력 파악부, 상기 톡톡 입력 파악부의 출력에 따라 해당 모드 또는 메뉴를 설정하되, 상기 제1 축방향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제1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축방향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제2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제3 축방향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제3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톡톡 설정 전환부, 상기 톡톡 설정 전환부에 의해 설정된 모드 또는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각 구성의 동작 상태 또는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톡톡 단말기{Tochtoc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단말기를 톡톡 두드리는 것을 사용자 입력으로 처리하는 톡톡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휴대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사용자 단말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입력장치(예;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등)를 이용하거나, 화면을 터치 스크린으로 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있다.
터치패드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화면을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는 것으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있으며, 특히 멀티터치(multitouch) 방식은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터치, 터치된 손가락의 이동방향 등을 입력으로 하여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 방식은 터치한 위치(좌표)와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사용자 입력의 종류를 파악한다. 이런 이유로 터치 방식은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별도의 입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입력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터치 방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를 단말기에 장착하여야 하고 터치 감응 및 신호 처리가 복잡하며, 그로 인해 제품의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을 사용자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는 톡톡 단말기 및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품의 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게 하는 톡톡 단말기 및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제1 축방향의 두드림을 감지하는 제1축 감지센서와, 제2 축방향의 두드림을 감지하는 제2축 감지센서와 제3 축방향의 두드림을 감지하는 제3축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톡톡 감지부, 상기 톡톡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각 축방향의 톡톡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축방향의 톡톡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을 파악하는 톡톡 입력 파악부, 상기 톡톡 입력 파악부의 출력에 따라 해당 모드 또는 메뉴를 설정하되, 상기 제1 축방향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제1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축방향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제2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제3 축방향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제3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톡톡 설정 전환부, 상기 톡톡 설정 전환부에 의해 설정된 모드 또는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각 구성의 동작 상태 또는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축방향, 상기 제2 축방향과 상기 제3 축방향 각각은 공간상으로 서로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1 기능은 모드 전환이고, 상기 제2 기능은 동일 모드 내에서의 메뉴 전환이며, 상기 제3 기능은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 또는 메뉴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모드로의 전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톡톡 단말기이다.
상기 제1 축방향은 X축 방향이고, 상기 제2 축방향은 Y축 방향이며, 상기 제3 축방향은 Z축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축 감지센서, 상기 제2축 감지센서, 상기 제3축 감지센서는 압력 센서이거나 자이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톡톡 입력 파악부는 상기 제1축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두드림 횟수에 따라 이전 모드 또는 다음 모드로의 전환을 달리하고, 상기 제2축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두드림 횟수에 따라 이전 메뉴 또는 다음 메뉴로의 전환을 달리하며, 상기 제3축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두드림 횟수에 따라 메뉴를 선택하는 모드 또는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로의 전환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또는 메뉴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사용자 입력 처리를 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모드 및 메뉴 전환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화면 전환을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10)는 톡톡 감지부(100), 버튼 입력부(200), 톡톡 입력 파악부(300), 동작 전환부(400), 동작부(500) 및 표시부(600)를 포함한다.
톡톡 감지부(100)는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를 손가락으로 톡톡 두드리는 것을 감지한다.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를 두드리면 충격(즉,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톡톡 감지부(100)는 톡톡시에 발생되는 힘의 변화(즉, 충격이나 진동 등)를 감지한다.
이때 톡톡 두드릴 때에 발생하는 힘은 두드리는 방향으로 전달된다. 즉, 톡톡 단말기(10)를 정상적으로 지면에 세운 경우를 기준으로 하면, 기준으로 톡톡 단말기(10)의 상측 또는 하측을 두드리는 경우에 힘은 Y축 방향으로 전달되고, 톡톡 단말기(10)의 측면을 두드리는 경우에 힘은 X축 방향으로 전달되며, 톡톡 단말기(10)의 정면 또는 배면을 두드리는 경우에 힘은 Z축 방향으로 전달된다.
톡톡 감지부(100)는 이러한 각 축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을 감지하기 위해, X축 감지센서(110), Y축 감지센서(120)와, Z축 감지센서(130)를 포함한다.
X축 감지센서(110)는 X축 방향의 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측면 두드림을 감지하고 X축의 감지 신호(이하 "X축 톡톡 신호"라 한다)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Y축 감지센서(120)는 Y축 방향의 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상측 또는 하측 두드림을 감지하고 Y축의 감지 신호(이하 "Y축 톡톡 신호"라 한다)를 출력한다. Z축 감지센서(130)는 Z축 방향의 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정면 또는 배면 두드림을 감지하고 Z축 감지 신호(이하 "Z축 톡톡 신호"라 한다)를 출력한다.
상기에서 X축 감지센서(110), Y축 감지센서(120) 및 Z축 감지센서(130)는 압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자이로 센서) 등 일 수 있다.
한편, 각 축 감지센서(110 내지 130)는 감지되는 힘의 크기가 설정치 이상인지를 비교하여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무효 처리하고,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만 톡톡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톡톡 입력 파악부(300)는 톡톡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각 축방향의 톡톡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축방향의 톡톡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즉, 기능)을 파악한다. 즉, 톡톡 입력 파악부(300)는 X축 톡톡 신호를 수신하면 동일 모드 내에서의 메뉴 전환 명령임을 파악하고, Y축 톡톡 신호를 수신하면 모드 전환 명령임을 파악하며, Z축 톡톡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즉, 슬립모드 해제) 또는 메뉴 선택 명령임을 파악한다.
여기서, 각 축방향 톡톡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은 이해를 돕기 위해 일 예를 든 것으로, 제작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버튼 입력부(200)는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다수의 버튼은 방향키 버튼, 숫자키 버튼, 전원 온/오프 버튼 등이다. 그리고 버튼 입력부(200)에는 별도로 모드 전환 또는 메뉴 전환을 위한 전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ㄱ같은 경우에 전환 버튼은 짧게 눌려지는 경우에 메뉴(모드) 전환 신호를 발생하고, 길게 눌려지는 경우에 직전모드 복귀 또는 메뉴 모드 선택 신호를 발생한다.
동작 전환부(400)는 톡톡 입력 파악부(300)에 의해 파악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 전환 또는 메뉴 전환을 수행하고, 전환된 메뉴 또는 모드에 대응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동작부(500)는 복수의 구동부(510 내지 550)를 포함하며, 동작 전환부(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수행 또는 정지된다. 제1 구동부(510)는 시계 기능을 수행하고, 제2 구동부(520)는 산소포화도 측정을 수행하며, 제3 구동부(530)는 보행 운동 측정을 수행하고, 제4 구동부(540)는 런닝(running) 운동 측정을 수행하며, 제5 구동부(550)는 줄넘기 운동 측정을 수행한다.
표시부(600)는 각 모드의 전환 또는 각 메뉴의 전환 또는 사용자 입력 또는 각 구동부의 실행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모드 및 메뉴 전환을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 입력부(200)를 조작하여 전원 버튼을 동작시키면 톡톡 단말기(10)는 전원 온 상태가 되고(S201), 기본 모드가 설정되어 화면상에 표시된다(S202). 도 2에서는 기본 모드가 시계 모드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에 따라 시계 모드가 설정되면, 화면에는 아날로그 시계 또는 디지털 시계가 표시되어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를 톡톡 두드리면 톡톡 감지부(100)는 사용자가 두드린 방향에 따라 X축 감지센서(110), Y축 감지센서(120)와 Z축 감지센서(130) 중 하나에서 힘을 감지한다.
만약,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상측 또는 하측을 두드린 경우에 Y축 감지센서(120)는 Y축 진동을 감지하여 Y축 톡톡 신호를 발생하고(S203), 이에 따라 톡톡 입력 파악부(130)는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S206).
여기서, 모드 전환은 현재 설정된 모드에서 이전 모드 또는 다음 모드로 전환이 되는데, 이전 모드로의 전환 또는 다음 모드로의 전환은 톡톡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2번 두드린 경우에 Y축 감지센서(120)는 2번의 톡톡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톡톡 입력 파악부(130)는 다음 모드로의 전환임을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3번 두드린 경우에 Y축 감지센서(120)는 3번의 톡톡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톡톡 입력 파악부(130)는 이전 모드로의 전환임을 판단한다.
물론, 사용자가 한번 두드린 경우에 다음 모드로의 전환, 두번 두드린 경우에 이전 모드로의 전환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한번 두드린 경우에 이전 모드로의 전환, 두번 두드린 경우에 다음 모드로의 전환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두드린 횟수를 임의로 정하여 이전 모드 또는 다음 모드로의 전환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측면을 두드린 경우에 X축 감지센서(110)는 X축 진동을 감지하여 X축 톡톡 신호를 발생하고(S204), 이에 따라 톡톡 입력 파악부(130)는 동일 모드에서의 메뉴 전환을 수행한다(S207).
여기서, 메뉴 전환은 현재 설정된 메뉴에서 이전 메뉴 또는 다음 메뉴로 전환이 되는데, 이전 메뉴로의 전환 또는 다음 메뉴로의 전환은 모드 전환과 마찬가지로 톡톡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정면 또는 배면을 두드린 경우에 Z축 감지센서(130)는 Z축 진동을 감지하여 Z축 톡톡 신호를 발생하고(S205), 이에 따라 톡톡 입력 파악부(130)는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 또는 메뉴(또는 모드) 선택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한다(S208).
여기서, 슬립 모드를 웹이크업 상태로 전환 또는 메뉴(또는 모드) 선택 모드로의 전환은 톡톡 두드린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2번 두드린 경우에 Z축 감지센서(130)는 2번의 톡톡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톡톡 입력 파악부(130)는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임을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3번 두드린 경우에 Z축 감지센서(130)는 3번의 톡톡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톡톡 입력 파악부(130)는 메뉴 선택 모드를 선택하며, 사용자가 1번 두드린 경우에 입력 파악부(130)는 모드 선택 모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모드 또는 메뉴 전환은 표시부(600)에 의해 화면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S209).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의 동작을 화면의 상태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화면 전환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톡톡 단말기가 사용자가 착용하는 시계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온 또는 웨이크업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시계 모드(M11)가 설정되고, 화면 상에는 시간이 표시된다(M12).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상측 또는 하측을 톡톡 두드리면 Y축 감지 센서(120)의 감지에 따라 설정된 다음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져 측정 모드(M21)가 설정된다. 물론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를 두드리지 않고 버튼 입력부(200)에 설치된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시계 모드에서 측정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측정 모드에서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측면을 톡톡 두드리면 X축 감지 센서(110)의 감지에 따라 설정된 다음 메뉴(M21)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다음 메뉴에 해당하는 구동부 즉, 제1 구동부(510)가 구동하여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M22).
이런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상측 또는 하측을 톡톡 두드리면 Y축 감지 센서(120)의 감지에 따라 설정된 다음 모드 즉, 스포츠 모드(M31)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포츠 모드에서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측면을 톡톡 두드리면 X축 감지 센서(110)의 감지에 따라 설정된 다음 메뉴인 보행 측정 메뉴(M32)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다음 메뉴에 해당하는 구동부 즉, 제3 구동부(510)가 구동하여 사용자 보행을 감지하고 보행 시간, 거리, 발자국수 등을 측정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물론 사용자는 톡톡 단말기(10)의 측면을 두드려 런닝 메뉴(M33)로 전환 또는 줄넘기 메뉴(M34)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스포츠 모드 다음의 모드로서 스케쥴 모드가 설정된 경우이면, 사용자가 톡톡 단말기(10)의 상측 또는 하측을 두드려 스포츠 모드에서 스케쥴 모드(41)로 전환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톡톡 단말기 110 : X축 감지센서
120 : Y축 감지센서 130 : Z축 감지센서
200 : 버튼 입력부 300 : 톡톡 입력 파악부
400 : 설정 전환부 500 : 구동부
600 : 표시부

Claims (4)

  1. 제1 축방향의 두드림을 감지하는 제1축 감지센서와, 제2 축방향의 두드림을 감지하는 제2축 감지센서와 제3 축방향의 두드림을 감지하는 제3축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톡톡 감지부,
    상기 톡톡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각 축방향의 톡톡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축방향의 톡톡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을 파악하는 톡톡 입력 파악부,
    상기 톡톡 입력 파악부의 출력에 따라 해당 모드 또는 메뉴를 설정하되, 상기 제1 축방향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제1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축방향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제2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제3 축방향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제3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톡톡 설정 전환부,
    상기 톡톡 설정 전환부에 의해 설정된 모드 또는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각 구성의 동작 상태 또는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축방향, 상기 제2 축방향과 상기 제3 축방향 각각은 공간상으로 서로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1 기능은 모드 전환이고, 상기 제2 기능은 동일 모드 내에서의 메뉴 전환이며, 상기 제3 기능은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 또는 메뉴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모드로의 전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톡톡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방향은 X축 방향이고, 상기 제2 축방향은 Y축 방향이며, 상기 제3 축방향은 Z축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톡톡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감지센서, 상기 제2축 감지센서, 상기 제3축 감지센서는 압력 센서이거나 자이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톡톡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톡톡 입력 파악부는 상기 제1축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두드림 횟수에 따라 이전 모드 또는 다음 모드로의 전환을 달리하고, 상기 제2축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두드림 횟수에 따라 이전 메뉴 또는 다음 메뉴로의 전환을 달리하며, 상기 제3축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두드림 횟수에 따라 메뉴를 선택하는 모드 또는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로의 전환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톡톡 단말기.
KR1020120069056A 2011-06-28 2012-06-27 톡톡 단말기 KR101356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56 2011-06-28
KR20110062856 2011-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466A KR20130007466A (ko) 2013-01-18
KR101356743B1 true KR101356743B1 (ko) 2014-02-03

Family

ID=4783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056A KR101356743B1 (ko) 2011-06-28 2012-06-27 톡톡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7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638A (ja) 2008-07-16 2010-02-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携帯型画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00027660A (ko) * 2008-09-03 2010-03-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측면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00058250A (ko) * 2008-11-24 2010-06-03 한데이비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1120090A (ja) 2009-12-04 2011-06-16 Nec Corp 携帯端末、携帯端末の操作方法、及び携帯端末の操作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638A (ja) 2008-07-16 2010-02-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携帯型画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00027660A (ko) * 2008-09-03 2010-03-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측면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00058250A (ko) * 2008-11-24 2010-06-03 한데이비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1120090A (ja) 2009-12-04 2011-06-16 Nec Corp 携帯端末、携帯端末の操作方法、及び携帯端末の操作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466A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4665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5596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06834B1 (ko) 움직임과 사용자의 조작을 이용하는 입력장치 및 이에적용되는 입력방법
JP2009048600A (ja) 慣性検出入力制御装置と受信装置及びそのインタラクティブシステム
JP2011510403A5 (ko)
WO2001052036A3 (en) Recording medium, computer and method for selecting computer display items
CN104539768A (zh) 一种带辅助触控屏的智能平板手机
EP2517094A1 (en) Handling tactile inputs
US8508500B2 (en) Touch panel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JP4671055B2 (ja) 叩き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US20110090150A1 (en) Input processing device
CN105518588B (zh) 一种触控操作方法、触控操作组件及电子设备
JP2011060273A (ja) 携帯式電子装置
JP6127679B2 (ja) 操作装置
KR101332708B1 (ko)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갖는 모바일 단말기 및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JP2008140211A (ja) 入力部の制御方法と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779904B2 (en) Multimode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n accelerometer, a gyroscope, a capacitive pressure transducer, and a touch pad
JP2007336513A (ja) 叩き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及び、携帯機器の操作システム、並びに、携帯機器
KR20100118858A (ko) 화면 스크롤 기능을 구비하는 스크롤 마우스
KR101356743B1 (ko) 톡톡 단말기
CN111506191A (zh) 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2012137800A (ja) 携帯端末
TW201312443A (zh) 電子設備及其切換方法
CN202394368U (zh) 遥控装置
KR20080013273A (ko) 복수의 입력장치의 신호를 출력하는 조이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