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203B1 -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203B1
KR101354203B1 KR1020130046052A KR20130046052A KR101354203B1 KR 101354203 B1 KR101354203 B1 KR 101354203B1 KR 1020130046052 A KR1020130046052 A KR 1020130046052A KR 20130046052 A KR20130046052 A KR 20130046052A KR 101354203 B1 KR101354203 B1 KR 101354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shoe
door shoe
preven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Priority to KR1020130046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도어, 일단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소정의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지탱해주는 상기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Elevator have secession preventive structure}
본 발명은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10)의 상단은 종래의 메인 프레임(22)의 하단에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종래의 메인 프레임(22)은 종래의 지지대(24)와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메인 프레임(22)은 '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20)와 수직방향으로 체결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20)는 종래의 체결부재(112) 밖에 지탱하는 게 없어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20)가 수평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충격을 받아 쓰러지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10)의 하단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20)에 종래의 연결편(30)이 연결되어 있고, 종래의 연결편(30) 하단에 종래의 도어슈(32)가 연결된다. 종래의 도어슈(32)는 종래의 도어실(34) 내부에 설치되어 종래의 도어실(34)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하지만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20)가 수평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종래의 도어슈(32)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 때 종래의 도어슈(3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 없어 종래의 도어슈(32)가 종래의 도어실(34)에서 이탈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도어실(34)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어실의 내부를 사각형이 아닌 삼각형 형태로 만들어, 도어슈가 도어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품이 존재한다. 하지만 입구가 좁고 내부가 넓은 도어실로 인해, 도어실에 도어슈를 넣기 전에 도어슈를 반으로 분리하여 도어실에 삽입해야 하며, 도어실에 삽입된 도어슈를 다시 결합시켜야 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며, 비용이 추가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378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이용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도어, 서브 프레임, 및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브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소정의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된다.
메인 프레임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지탱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정 길이만큼 겹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겹쳐진 부분에 체결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서브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내측에서 꺾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상, 하부에 이탈방지구조를 채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서브 프레임 및 메인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가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아도 넘어지지 않아 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체결되는 서브 프레임의 방향이 엘리베이터 도어 내측에서 다양하게 꺾임으로써, 수직방향으로 받는 힘에 대한 충격을 줄이고 서브 프레임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도어실에 걸림턱 및 단턱부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도어가 충격을 받아도 도어슈가 도어실의 걸림턱 및 단턱부에 걸려서 도어실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D-D'선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 도어(102), 서브 프레임(104), 및 메인 프레임(106)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의 상, 하부에 이탈방지구조를 채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102)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104)은 일단이 엘리베이터 도어(102)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소정의 메인 프레임(106)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된다.
메인 프레임(106)은 엘리베이터 도어(102)를 지탱해준다. 메인 프레임(106)의 일단이 지지대(110)와 체결되어, 엘리베이터 도어(102) 및 엘리베이터 도어(102)에 체결된 서브 프레임(104)을 지탱해준다. 당업자라면, 메인 프레임(106)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모습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서브 프레임(104)은, 메인 프레임(106)과 일정 길이만큼 겹치게 배치되고, 메인 프레임(106)과 겹쳐진 부분에 체결부재(112)가 수평방향으로 체결된다. 엘리베이터 도어(102)와 서브 프레임(104) 및 메인 프레임(106)을 수평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아도 넘어지지 않아 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서브 프레임(104)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도어(102)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엘리베이터 도어(102)의 내측에서 꺾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 도어(102)와 체결되는 서브 프레임(104)의 방향이 엘리베이터 도어(102) 내측에서 다양하게 꺾임으로써, 수직방향으로 받는 힘에 대한 충격을 줄이고 서브 프레임(104)이 엘리베이터 도어(102)에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았을 때, 엘리베이터 도어(102)의 내부에서 여러 번 꺾이는 서브 프레임(104)이 엘리베이터 도어(102)의 내부를 지지함으로써, 수평방향의 힘을 막아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파손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100)는 기존의 엘리베이터보다 안전하다.
당업자라면, 서브 프레임(104)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모습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도 4의 D-D'선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100)는, 연결편(200), 도어슈(202), 및 도어실(204)을 포함한다.
연결편(200)은 엘리베이터 도어(102)의 하단에 결합된다. 당업자라면, 연결편(200)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모습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어슈(202)는 연결편(200)의 하단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도어(102)를 여닫을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어실(204)은 내측에 도어슈(202)가 위치하고, 도어슈(202)가 움직일 수 있는 경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도어슈(202)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 일측면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20)이 형성된다.
도어슈(202)는, 일측 상부가 돌출되고, 타측 하부가 돌출된 육면체로서,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일측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도어실(204)의 걸림턱(220)에 타측 하부가 걸려서 도어슈(20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여, 도어슈(202)의 이탈방지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A 방향으로 충격을 받으면, 도어슈(202)가 A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타측 하부가 도어실(204)의 걸림턱(220)에 걸리게 되며,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일측 상부는 소정의 단턱부(222)에 걸리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B 방향으로 충격을 받으면 도어슈(202)가 B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 때 도어슈(202)의 일측 하부가 단턱부(22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일측 상부 및 타측 하부는 도어슈(202)가 도어실(20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어실(204)은, 걸림턱(220), 및 단턱부(222)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실(204)은,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타측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도어슈(202)의 일측 하부가 단턱부(222)에 걸려서 도어슈(20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단턱부(222)는 걸림턱(220)의 반대편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된다.
당업자라면, 도어실(204)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모습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 도어(102), 연결편(200), 도어슈(202), 및 도어실(204)을 포함한다.
연결편(200)은 엘리베이터 도어(102)의 하단에 결합된다. 당업자라면, 연결편(200)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모습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어슈(202)는 연결편(200)의 하단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도어(102)를 여닫을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어실(204)은 내측에 도어슈(202)가 위치하고, 도어슈(202)가 움직일 수 있는 경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도어슈(202)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 일측면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20)이 형성된다.
도어슈(202)는, 일측 상부가 돌출되고, 타측 하부가 돌출된 육면체로서,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일측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도어실(204)의 걸림턱에 타측 하부가 걸려서 도어슈(20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타측 하부는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일측에서 충격을 받아서 도어슈(202)가 기울어지게 되면,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타측 하부가 도어실(204)의 걸림턱(220)에 걸리게 된다. 또한,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일측 상부는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타측에서 충격을 받아서 도어슈(202)가 기울어지게 되면, 소정의 단턱부(222)에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일측 상부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일측 상부 및 타측 하부는 도어슈(202)가 도어실(20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여, 도어슈(202)의 이탈방지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A 방향으로 충격을 받으면, 도어슈(202)가 A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타측 하부가 도어실(204)의 걸림턱(220)에 걸리게 되며,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일측 상부는 소정의 단턱부(222)에 걸리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B 방향으로 충격을 받으면 도어슈(202)가 B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 때 도어슈(202)의 일측 하부가 단턱부(22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도어슈(202)에서 돌출된 일측 상부 및 타측 하부는 도어슈(202)가 도어실(20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어실(204)은, 걸림턱(220), 및 단턱부(222)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실(204)은, 엘리베이터 도어(102)가 타측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도어슈(202)의 일측 하부가 단턱부(222)에 걸려서 도어슈(20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단턱부(222)는 걸림턱(220)의 반대편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된다.
당업자라면, 도어실(204)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모습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엘리베이터를 어떻게 제작하느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탈방지장치가 엘리베이터의 상부에만 존재하고 하부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미루어 봤을 때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102: 엘리베이터 도어
104: 서브 프레임 106: 메인 프레임
110: 지지대 112: 체결부재
200: 연결편 202: 도어슈
204: 도어실

Claims (8)

  1. 엘리베이터 도어;
    일단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소정의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지탱해주는 상기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내측에서 꺾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정 길이만큼 겹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겹쳐진 부분에 체결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슈; 및
    내측에 상기 도어슈가 위치하고, 상기 도어슈가 움직일 수 있는 경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슈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 일측면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도어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슈는,
    일측 상부가 돌출되고, 타측 하부가 돌출된 육면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일측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도어실의 걸림턱에 타측 하부가 걸려서 상기 도어슈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실은,
    상기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반대편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타측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도어슈의 일측 하부가 상기 단턱부에 걸려서 상기 도어슈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7. 엘리베이터 도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슈; 및
    내측에 상기 도어슈가 위치하고, 상기 도어슈가 움직일 수 있는 경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슈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 일측면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도어실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슈는, 일측 상부가 돌출되고, 타측 하부가 돌출된 육면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일측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도어실의 걸림턱에 타측 하부가 걸려서 상기 도어슈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실은,
    상기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반대편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타측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도어슈의 일측 하부가 상기 단턱부에 걸려서 상기 도어슈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KR1020130046052A 2013-04-25 2013-04-25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KR10135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052A KR101354203B1 (ko) 2013-04-25 2013-04-25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052A KR101354203B1 (ko) 2013-04-25 2013-04-25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203B1 true KR101354203B1 (ko) 2014-01-23

Family

ID=5014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052A KR101354203B1 (ko) 2013-04-25 2013-04-25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2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67Y1 (ko) * 2002-09-11 2002-12-11 주식회사우성아이디에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도어 행거 구조
KR20080086071A (ko) * 2007-03-21 2008-09-25 한국승강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이탈방지 안전장치
KR100915504B1 (ko) 2007-05-08 2009-09-03 김규주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148152B1 (ko) 2008-07-04 2012-05-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67Y1 (ko) * 2002-09-11 2002-12-11 주식회사우성아이디에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도어 행거 구조
KR20080086071A (ko) * 2007-03-21 2008-09-25 한국승강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이탈방지 안전장치
KR100915504B1 (ko) 2007-05-08 2009-09-03 김규주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148152B1 (ko) 2008-07-04 2012-05-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031B1 (ko)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유리난간대
KR200476580Y1 (ko) 비계발판
KR20180002442U (ko) 방충망용 이탈방지부재
KR20130003972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354203B1 (ko)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KR101426711B1 (ko) 창호용 기밀 보강유닛
KR10182357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491662Y1 (ko)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KR101530054B1 (ko) 롤방충망의 원터치식 개폐장치
KR101226087B1 (ko) 창문이탈방지구
KR101958891B1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KR101197931B1 (ko) 창문 탈선 방지 장치
JP2003176667A (ja) 上げ下げ窓
KR10099501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200406600Y1 (ko) 창문이탈 방지구조
US20170073194A1 (en) Elevator door system
KR20080002368U (ko) 창문 이탈방지 가이드 장치
JP2016148220A (ja) 面材保持部品及び建具
KR10094667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CN107524375B (zh) 门窗
KR102378569B1 (ko) 기중 차단기
KR101165677B1 (ko) 창호용 안전봉
KR20100084243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장치
JP2013079132A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
JP6426576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