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631B1 -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631B1
KR101343631B1 KR1020130020540A KR20130020540A KR101343631B1 KR 101343631 B1 KR101343631 B1 KR 101343631B1 KR 1020130020540 A KR1020130020540 A KR 1020130020540A KR 20130020540 A KR20130020540 A KR 20130020540A KR 101343631 B1 KR101343631 B1 KR 10134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heet
blowing
flow
air
mol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철
조대철
박화식
현재훈
윤광호
박영주
Original Assignee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86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93Tools and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chu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유리시트 성형 장치에 있어서, 유리시트를 상부에 위치시키고 지지하는 유리 지지부; 유리 지지부 위에 위치하며, 블로잉 개구들이 형성된 하면을 가지는 상부 몰드를 포함하는 상부 성형부; 및 유리 지지부와 상부 성형부 사이에 위치하며, 오목한 상면을 가지는 하부 몰드를 포함하는 하부 성형부를 포함하되, 상부 성형부는 상부 몰드의 외곽 측부를 따라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측부 석션부; 및 블로잉 개구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하여 블로잉 개구들을 통해 상부 몰드의 외부로 하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블로잉부를 포함하며, 상부 성형부가 유리 지지부 상에 위치한 유리시트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킨 후에, 유리시트는 하부 몰드의 오목한 상면 위로 이동되며, 상부 성형부는 오목한 상면에 위치된 유리시트의 상면을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GLASS SHEETS}
본 발명은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를 최종 원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앞유리 성형방법은 유리의 연화온도까지 가열되는 성형로 안에서 두 장 이상 중첩된 유리가 컨베이어를 타고 일정구간 이동하면서 중력에 의해 곡률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성형된 유리는 성형로 내의 온도조건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곡률의 편차가 생기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열 마지막 단계에서 유리를 몰드로 가압(Press)하여 곡률의 편차를 줄이도록 한다.
유리의 곡률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진공을 활용하여 유리의 곡률 성형을 하는 기술이 US 94/336108, WO 06/072721, US 8109117 등에 개시되어 있다.
US 94/336108에 의하면,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유리를 연화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로와 프레임 구조의 스켈레톤 및 상부 몰드를 포함한다. 하부의 스켈레톤은 컨베이어에서 상부 몰드 사이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로서 중력을 이용해 유리를 성형한다. 상부 몰드는 주변에 있는 스커트의 진공압축을 이용해 유리를 들어올려 프레스한다.
WO 06/072721에 의하면,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유리를 연화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하부 몰드를 가지는 성형로와 프레임 구조의 스켈레톤과 스커트를 가지는 상부 몰드와 진공흡입(Vacuum suction)이 가능한 기공 구조의 하부 몰드를 포함한다. 하부의 스켈레톤은 컨베이어에서 상부 몰드 사이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로서 중력을 이용해 유리를 성형한다. 상부 몰드는 주변에 있는 스커트의 진공압축을 이용해 유리를 들어올려 프레스한다. 하부 몰드는 기공구조로 진공 흡입이 가능해 상부 몰드와 함께 유리를 압축성형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상부 몰드에 유리가 직접 닿게 되고 스커트의 진공에 의해 유리 에지부가 먼저 실링이 되어 중첩된 두 장의 유리 내에 곡률 편차가 발생하여 광학적 결함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WO 06/072721에서 상부 몰드에 진공을 걸어 주게 되면, 상.하부 몰드 각각에 반대방향으로 진공이 발생하여 연화상태의 유리가 분리된 채 각각 성형되어 중첩된 유리 상호간에 곡률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차량의 접합유리는 PVB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해 한 장 이상의 유리를 접합하는 형태로서 유리가 열 차단 및 에너지 절감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가지도록 내·외부에 부가물질의 첨가가 가능하다. 여기서, 부가기능을 가지는 물질이라 함은 유리의 기능 향상을 위한 금속, 비금속 물질로 된 부가 물질을 총칭한다. 예를 들어 은(Ag)을 포함하여 햇볕 차단층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 등이다. 따라서, 시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부가기능을 포함하는 한 장 이상의 접합된 곡면 유리의 생산을 위해서는 접촉으로 인해 생기는 자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고, 적층된 유리 사이의 내면 곡률 편차가 적은 유리의 성형이 요구된다.
US 8109117에 의하면,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를 성형하는데 스커트의 진공흡입과 하부 몰드의 진공흡입으로 유리 성형이 완성된다. 이때 상부 몰드에 진공을 사용하게 되면 상층의 유리에만 직접적인 진공흡입이 이루어지고 하층의 유리에는 적층구조에 의한 간접적인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 부분에 있어서 상층의 당기는 힘이 하층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하부 몰드에 의해 하층의 유리에만 직접적인 흡입에 의한 진공흡입이 이루어지고 상층의 유리에는 적층 구조에 의한 간접적인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하층의 당기는 힘이 상층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만약 상부 몰드가 진공이 없는 프레임타입이라도 하부 몰드의 진공흡입에 의한 하층의 유리에만 직접직인 성형이 이루어지고 상층의 유리는 적층 구조에 의한 간접적인 성형이 이루어진다.
종래에 중첩된 유리시트가 깊은 요면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방법은 상층의 유리는 상부 몰드의 진공에 의해 압축성형이 되고 하층의 유리는 하부 몰드에 의하여 진공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들에는 중첩된 유리들 사이에 공기층이 확대 생성되거나 이미 생성된 공기층이 외부로 빠져나가기 힘든 상태로 소성이 완료되어 포개진 유리의 내면곡률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상부 몰드의 경우, 유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접촉면의 광학품질이 저하된다. 하부 몰드의 경우, 오목한 몰드 위에 기공을 이용해 진공흡착하여 유리 전체가 하부 몰드에 밀착되게 된다. 이 기공부위에 접촉하는 유리는 주변부위에 비해 과도하게 힘을 받게 되는데 국부적인 압력이 기공부위에 전가되어 어느 한계점을 초과하게 되면 광학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우수한 광학적 품질을 가질 수 있도록,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를 최종 원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몰드와 유리시트 사이에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유리시트에 발생할 수 있는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유리 전면의 곡률이 균일하도록 성형할 수 있는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유리시트 성형 장치로서, 상기 유리시트를 상부에 위치시키고 지지하는 유리 지지부; 상기 유리 지지부 위에 위치하며, 블로잉 개구들이 형성된 하면을 가지는 상부 몰드를 포함하는 상부 성형부; 및 상기 유리 지지부와 상기 상부 성형부 사이에 위치하며, 오목한 상면을 가지는 하부 몰드를 포함하는 하부 성형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성형부는 상기 상부 몰드의 외곽 측부를 따라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측부 석션부; 및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통해 상기 상부 몰드의 외부로 하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블로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유리 지지부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를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킨 후에, 상기 유리시트는 상기 하부 몰드의 오목한 상면 위로 이동되며, 상기 상부 성형부는 상기 오목한 상면 위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몰드의 하면은 최종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의 모양에 따라 형상이 정해지며 몰드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폭의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유리시트를 가압한 후에, 상기 상부 성형부는 상기 오목한 상면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를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키고, 상기 유리시트는 상기 유리 지지부의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오목한 상면에는 공기 배출 개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성형기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들을 통해 상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상향 블로잉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오목한 상면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를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킬 때, 상기 상향 블로잉부는 상기 유리시트의 하면에 대하여 상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상부 성형부는 상부 몰드의 외곽 측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이 통과되는 석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몰드를 둘러싸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 석션부는 상기 석션 공간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벽에 부착되는 스커트; 상기 석션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 장치;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석션 공간과 상기 배기 장치를 연통시키는 석션 유동 통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오목한 상면 상의 상기 유리시트를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킬 때, 상기 상부 성형부와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호 간에 근접하고, 상기 스커트의 종단은 상기 오목한 상면의 외곽 영역에 접촉되며, 상기 상부 성형부와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호 간에 더 근접하여도 상기 스커트가 상기 오목한 상면에 밀려 상향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하면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의 종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유리 지지부는 상기 유리시트를 냉각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유리 지지부의 상부에는 환(環)형의 프레임인 스켈레톤이 위치되고, 상기 유리시트는 상기 스켈레톤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유리 지지부는 상기 유리시트를 상기 상부 성형부 아래로 이동시키며, 상기 유리시트는 상기 상부 성형부 아래로 이동되는 동안 연화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블로잉 개구들은 상기 하면 상에서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블로잉 개구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하면의 외곽부보다 중앙부에 더 많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상부 성형부는, 상기 블로잉 개구들 중 선택된 블로잉 개구만을 개폐시킬 수 있는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상기 하향 블로잉부가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할 때, 상기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은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모두 폐쇄하고 있다가, 하면의 중앙부의 블로잉 개구들부터 개방하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하면의 외곽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머지 블로잉 개구들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블로잉 개구들에는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하향 블로잉은 상기 노즐에 의해 노즐 분사 유동으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노즐은 직선분사노즐, 방사분사노즐, 좌우분사노즐, 개방노즐, 폐쇄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오목한 상면에는 공기 배출 개구들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시트가 상기 오목한 상면 위로 이동될 때, 상기 유리시트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들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유리시트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유리시트의 하면에 의해 밀려 상기 공기 배출 개구들을 통해 자연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하부 성형기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들을 통해 하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석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시트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가 상기 하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 개구들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블로잉 개구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하향 블로잉부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상기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유동 통로부; 및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하면의 일부 영역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들로만 상기 공기를 유도하는 블로잉 방향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블로잉 방향 변환부는 적어도 2개의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들을 포함하되, 제 1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의 개구를 둘러싸며,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수직관부를 포함하며, 제 2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의 개구를 둘러싸며,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수직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보다 넓고,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의 개구의 면적이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의 개구의 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제 1 수직관부는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2 수직관부가 상기 제 1 수직관부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내부 공간 쪽에 위치하도록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와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가 상호 간에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직관부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관부와 상기 제 2 수직관부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 1 수직관부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와 상기 제 1 수직관부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상기 제 2 수직관부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관부와 상기 제 2 수직관부 사이의 공간을 개방시킨 후에, 상기 제 1 수직관부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와 상기 제 1 수직관부 사이의 공간이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블로잉 개구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몰드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공기 배출구들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오목한 상면 위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공기 배출구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개방된 공기 배출구들의 아래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들에서 블로잉되는 공기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오목한 상면 위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하면과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 사이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하면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오목한 상면 위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하면과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 사이는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기 접촉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접촉 프레임의 길이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유리 지지부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를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유리 지지부를 향해 하강하거나, 상기 유리 지지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를 향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상기 유리시트가 상기 오목한 상면 위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하부 성형부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하부 성형부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및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하부 성형부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경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는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블로잉 개구들이 형성된 하면을 가지는 상부 몰드; 상기 상부 몰드의 외곽 측부를 따라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측부 석션부; 및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통해 상기 상부 몰드의 외부로 하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블로잉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성형부는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유리시트를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킨 후, 상기 유리시트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는, 상기 상부 몰드의 외곽 측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이 통과되는 석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몰드를 둘러싸는 상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부 석션부는 상기 석션 공간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벽에 부착되는 스커트; 상기 석션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 장치;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석션 공간과 상기 배기 장치를 연통시키는 석션 유동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는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하면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의 종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의 상기 블로잉 개구들은 상기 하면 상에서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의 상기 블로잉 개구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면의 외곽부보다 중앙부에 더 많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는 상기 블로잉 개구들 중 선택된 블로잉 개구만을 개폐시킬 수 있는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는 상기 하향 블로잉부가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할 때, 상기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은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모두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하면의 중앙부의 블로잉 개구들부터 개방하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하면의 외곽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머지 블로잉 개구들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는 상기 블로잉 개구들에는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하향 블로잉은 상기 노즐에 의해 노즐 분사 유동으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의 상기 노즐은 직선분사노즐, 방사분사노즐, 좌우분사노즐, 개방노즐, 폐쇄노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의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블로잉 개구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하향 블로잉부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상기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유동 통로부; 및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하면의 일부 영역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들로만 상기 공기를 유도하는 블로잉 방향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의 상기 블로잉 방향 변환부는 적어도 2개의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들을 포함하되, 제 1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의 개구를 둘러싸며,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수직관부를 포함하며, 제 2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의 개구를 둘러싸며,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수직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보다 넓고,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의 개구의 면적이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의 개구의 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제 1 수직관부는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2 수직관부가 상기 제 1 수직관부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내부 공간 쪽에 위치하도록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와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가 상호 간에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직관부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관부와 상기 제 2 수직관부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 1 수직관부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와 상기 제 1 수직관부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는 상기 제 2 수직관부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관부와 상기 제 2 수직관부 사이의 공간을 개방시킨 후에, 상기 제 1 수직관부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와 상기 제 1 수직관부 사이의 공간이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의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블로잉 개구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몰드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공기 배출구들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오목한 상면 위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공기 배출구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개방된 공기 배출구들의 아래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들에서 블로잉되는 공기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가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하면과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 사이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상부 성형부의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하면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하면과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 사이는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기 접촉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접촉 프레임의 길이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유리시트 성형 방법으로서, 상부 성형부의 상부 몰드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된 상기 유리시트를 하부 성형부의 하부 몰드의 오목한 상면 위로 이동시키는 유리시트 이동 단계; 및 상기 하면에 형성된 블로잉 개구들을 통한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상기 오목한 상면 위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을 가압하는 유리시트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블로잉 개구들은 상기 하면 상에서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블로잉 개구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면의 외곽부보다 중앙부에 더 많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상부 성형부는, 상기 블로잉 개구들 중 선택된 블로잉 개구만을 개폐시킬 수 있는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상기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이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모두 폐쇄하고 있다가, 일시에 전체를 개방하거나, 상기 하면의 중앙부의 블로잉 개구들부터 개방하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하면의 외곽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머지 블로잉 개구들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블로잉 개구들에는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은 직선분사노즐, 방사분사노즐, 좌우분사노즐, 개방노즐, 폐쇄노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상기 상부 성형부는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선택된 블로잉 개구들로 공기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상부 몰드에는 상기 블로잉 개구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몰드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공기 배출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개방된 공기 배출구들의 아래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들에서 블로잉되는 공기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상기 하면과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 사이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하면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상기 하면과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 사이는 상기 유리시트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기 접촉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접촉 프레임의 길이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오목한 상면에는 공기 배출 개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시트가 상기 오목한 상면 위로 이동될 때, 상기 유리시트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들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유리시트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유리시트의 하면에 의해 밀려 상기 공기 배출 개구들을 통해 자연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상기 하부 성형기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들을 통해 하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석션부를 포함하되, 블로잉 유동을 통하여 상기 유리시트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가 상기 하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 개구들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유리시트 이동 단계 이전에, 상기 상부 성형부가 유리 지지부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키는 유리시트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은 상기 상부 몰드의 외곽 측부를 따라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하면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의 종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상기 유리시트 부착 단계는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유리 지지부를 향해 하강하거나, 상기 유리 지지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를 향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유리시트 부착 단계 이전에, 상기 유리 지지부가 상기 유리시트를 상기 상부 성형부 아래로 이동시키되, 상기 유리시트를 연화 온도까지 가열하며 이동시키는 유리시트 도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유리시트 가압 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오목한 상면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한 하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켜 유리 지지부 상으로 이동시키는 유리시트 재이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은 상기 상부 몰드의 외곽 측부를 따라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하면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의 종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하부 성형부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킬 때, 상기 오목한 상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 개구를 통해 상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유리시트 재이동 단계는,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유리 지지부를 향해 하강하거나, 상기 유리 지지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를 향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유리시트 재이동 단계 이후에, 상기 유리 지지부가 상기 유리시트를 냉각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상기 유리시트 이동 단계는,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하부 성형부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하부 성형부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및 상기 하부 성형부가 상기 상부 성형부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상부 성형부가 상기 하부 성형부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경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용이해 우수한 광학적 품질을 가지는 곡면 유리의 생산이 가능하며, 특히 시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곡면을 가지는 적층구조로 된 자동차용 접합유리를 성형하는데 적합하다.
둘째, 본 발명은 상부 몰드의 하향 블로잉 유동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압으로 상층의 유리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상부 몰드의 유리를 누르는 압축공기의 힘이 하층 유리에 자연스럽게 전달되어 하부 몰드의 기공 부위에 국부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아 포개진 유리 전면에 골고루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부 몰드의 하향 블로잉 유동을 이용해 상층의 유리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부 몰드와 유리를 접촉하지 않고도 유리 성형이 가능하며, 상부 몰드가 유리와 최소한으로 접촉하여 자국없이 중첩된 유리를 보다 깊게 곡면 성형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상부 몰드의 압축성형으로 중첩된 유리가 상,하부 몰드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 중첩된 유리 전면의 곡률을 동일하게 성형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상부 몰드의 하향 블로잉 유동에 따른 압축공기량을 유리영역별로 조절하여 하층의 유리에도 국부적 압력편차 없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리 전면의 곡률이 동일하도록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성형부를 상세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하향 블로잉 유동을 상세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성형부를 상세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의 하향 블로잉 유동을 상세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장치는 유리 지지부(100); 상부 성형부(200); 및 하부 성형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유리 지지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유리시트(1)를 위치시키고 지지한다.
여기서 유리시트(1)는 복수의 유리 판이 적층된 시트로서, 일반적으로는 2장, 또는 목적에 따라 3장 이상으로 적층되는 시트를 의미한다. 보통 자동차 앞, 옆 또는 뒷면 유리에 사용되는 유리시트(1)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자동차 유리에 적용되는 유리시트(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부 성형부(200)는 유리 지지부(100) 상부에 위치하며, 블로잉 개구(212)들이 형성된 하면을 가지는 상부 몰드(210)를 포함한다.
하부 성형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지지부(100)와 상부 성형부(200) 사이에 위치하여, 오목한 상면(311)을 가지는 하부 몰드(31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성형부(200)는 측부 석션부(220); 및 하향 블로잉부(230)를 포함하게 되는데, 측부 석션부(220)는 상부 몰드(210)의 외곽 측부를 따라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하향 블로잉부(230)는 블로잉 개구(212)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하여 블로잉 개구(212)들을 통해 상부 몰드(210)의 외부로 하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하향 블로잉 유동이란 블로잉 개구(212)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로서, 유리시트(1)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도록 하는 공기의 흐름을 의미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리시트(1)는 유리 지지부(100)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 성형부(200)가 측부 석션부(220)에 의한 상향 석션 유동을 일으켜 유리시트(1)를 흡입하여 들어 올리게 되며, 이 경우 유리시트(1)는 상부 성형부(200)의 하면(211)의 일부 영역에 부착하게 된다.
이후, 유리시트(1)는 하부 몰드(310)의 오목한 상면 위로 이동되며, 상부 성형부(200)는 하부 성형부(3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대면하고, 이후 하향 블로잉부(230)가 하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켜, 유리시트(1)를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이 가지는 곡률에 맞도록 가압한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를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시트(1)의 두께 및 유리시트(1) 재질의 특성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나, 자동차 유리에 사용되는 유리시트(1)의 특성 즉, 내충격을 고려하여 10mm이내로 구현하였다.
유리시트(1)가 오목한 상면(311) 위로 이동되는 것은, i) 상부 성형부(200)가 하부 성형부(300)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하부 성형부(300)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 ii) 상부 성형부(200)가 하부 성형부(300)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하부 성형부(300)가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iii) 하부 성형부(300)가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하부 성형부(300)가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또는 iv) 하부 성형부(300)가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부 성형부(200)가 하부 성형부(300)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의 곡률은 최종적으로 유리시트(1)를 성형하고자 하는 곡률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 성형부(200)가 직접적인 접촉이 없이 단순히 공기의 압력 즉, 블로잉 개구(212)를 통해 분사되는 하향 블로잉 유동을 통해 유리시트(1)가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여기서,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인한 압력 공기는 유리시트(1)의 연화 온도 및 재질의 특성 및 적층되는 필름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유리시트(1)인 자동차 유리시트(1)의 특성을 고려하여 1 내지 8bar까지 조정하여 압력 공기를 형성하였다. 하향 블로잉 유동의 시간은 1 내지 40초로 설정하면 족하며, 너무 짧은 경우에는 유리시트(1)가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의 곡률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하향 블로잉 유동의 시간이 너무 긴 경우에는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는바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하향 블로잉 유동 시간은 유리시트(1)의 재질 및 연화 온도 등의 특성에 맞게 조정이 가능하다.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충분히 가압된 유리시트(1)는 이후, 상부 성형부(200)가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켜, 상부 성형부(200)의 일부 영역에 부착시킨 후, 다시 유리 지지부(10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에는 공기 배출 개구(312)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공기 배출 개구(312)를 통해 하부 성형부(300)는 상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향 블로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블로잉부가 발생시키는 상향 블로잉 유동은 오목한 상면(311)의 곡률과 매칭되도록 가압된 유리시트(1)가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원활히 유리시트(1)가 분리되어야, 상부 성형부(200)가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유리시트(1)를 흡착 및 리프팅할때 유리시트(1)의 곡률 변형에 의한 품질 저하 또는 유리시트(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성형부(200)는 상부 하우징(2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부 하우징(240)은 상부 몰드(210)의 외곽 측부와의 사이에 상향 석션 유동이 통과되는 석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 몰드(210)를 둘러싸는 구성이다.
상술한 측부 석션부(220)는 스커트(221); 배기 장치(미도시); 및 석션 유동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221)는 상부 성형부(200)가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유리시트(10)를 흡착할 때, 유리시트(1)의 외곽을 따라 부착되어 유리시트(1)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부 성형부(200)와 하부 성형부(300)가 상호 근접하는 경우, 스커트(221)의 종단은 오목한 상면(311)의 외곽 영역에 접촉되며, 상부 성형부(200)와 하부 성형부(300)가 상호 간에 더 근접하여도 스커트(221)가 오목한 상면(311)에 밀려 상향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커트(221)의 슬리이딩되는 특징은 상부 성형부(200)와 하부 성형부(300)의 근접시에 유리시트(1)의 파손 방지와 상부 및 하부 성형부(200, 30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성형부(200)의 하면(211)은 압축된 공기 즉, 하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하면(211)과 유리시트(1)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영역이 돌출된 접촉 프레임(216)의 종단면일 수 있다.
유리시트(1)는 하향 블로잉 유동에 의해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과 같은 곡률을 가지도록 가압된 후, 상면 성형부(200)의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흡착되고, 유리 지지부(100)로 재 이동되는데, 유리 지지부(100)로 재 이동된 유리시트(1)는 냉각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유리 지지부(100)는 상부 성형부(200)에 흡착, 및 하향 블로잉 유동에 의해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과 같은 곡률을 가지도록 가압되기 전에, 앞서 예열될어 상부 성형부(200)에 흡착될 수도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유리 지지부(100)는 유리시트(1)를 지지하며 상부 성형부(200)의 아래 위치(도 1 참조)까지 이동되는 구간에서 미리 연화 온도까지 예열(pre-heat)될 수 있는데, 이는 상부 성형부(200)의 압축 공기에 의한 가압에 의해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과 같은 곡률을 형성시키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유리시트(1)는 자동차에 유리에 사용되는 유리시트인 경우에는 유리 지지부(100)가 환형(環) 스켈레톤(110)을 유리 지지부(1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스켈레톤(110) 위에 유리시트(1)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환형 스켈레톤(110) 상에 위치한 유리시트(1)는 연화온도까지 가열되는 동안, 중력에 의해 하부로 처짐 현상이 발생하면서 소정의 곡률을 미리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소정의 곡률은 최종적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곡률인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이 가지는 곡률보다 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부 성형부(200)가 유리시트(1)를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에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유리시트(1)의 중앙부가 오목한 상면(311)의 표면과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시트에 따라서는 미리 더 강조된 곡률을 형성될 수도 있다.
예열되는 온도는 자동차 유리에 사용되는 유리시트(1)의 특성상 560도 내지 660도가 바람직한데, 이 역시 유리시트(1)에 맞도록 설정이 가능한 온도 수치이다.
한편, 유리시트(1)는 최종적으로 가압되어 목적하고자하는 곡률을 형성할때, 적층된 유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clearance)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공간은 최종 생산된 유리시트(1)의 광학적 성능을 저하시키며, 추후 필름(film) 접합 공정에서미스매치(mis match)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빼내기 위해 리키지(leakage)장치를 추가할 수도 있다.
유리시트(1)에 형성되는 공간의 공기를 빼내기 위해서는 블로잉 개구(212)를 통해 분사되는 하향 블로잉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먼저, 블로잉 개구(212)들은 하면에서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 블로잉 개구(212)를 통해 빠져나가는 블로잉 유동을 조절하여, 유리시트(1)의 중앙부를 보다 강한 블로잉 유동을 가하고 외곽부를 좀더 약한 블로잉 유동을 가하여 유리시트(1) 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다.
한편, 블로잉 개구(212)의 배치를 조절할 수도 있는데, 유리시트(1)의 중앙부에는 블로잉 개구(212)가 조밀하도록 하고, 유리시트(1)의 외곽부에는 블로잉 개구(212)의 밀집도를 떨어트려서, 유리시트(1)의 중앙부에 강한 공기압을 분사하고 유리시트의 외곽을 향할수록 약한 공기압을 분사하여, 유리시트(1) 내부 공기를 빼낼 수도 있다.
블로잉 개구(212)들 중 일부는 개방하고 나머지는 폐쇄하는 방법을 통해 유리시트(1)에 분사되는 블로잉 유동을 조절하여 유리시트(1) 내부 공기를 빼낼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은 하향 블로잉부(230)가 블로잉 개구(212)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할 때, 상기 블로잉 개구들을 모두 폐쇄하고 있다가, 하면의 중앙부의 블로잉 개구들부터 개방하고, 중앙부로부터 하면의 외곽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머지 블로잉 개구들을 개방할 수도 있다.
한편, 블로잉 개구(212)들에는 노즐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때 하향 블로잉은 노즐에 의해 노즐 분사 유동으로 바뀐다. 여기서, 노즐은 직선분사노즐, 방사분사노즐, 좌우분사노즐, 개방노즐 또는 폐쇄노즐일 수 있다.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에는 공기 배출 개구(312)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 공기 배출 개구(312)들은 하향 블로잉 유동을 통해 유리시트(1)를 하부 성형부(300)의 오목한 상면(311)에 밀착되도록 가압할 때, 유리시트(1)와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들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인데, 이들 공기는 자연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부 성형부(300)에 하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하부 성형부(300)가 하향 석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몰드(210)는 블로잉 개구(212)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 블로잉부는 공기 유동 통로부(231); 및 블로잉 방향 변환부(2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공기 유동 통로부(231)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또한, 블로잉 방향 전환부(232)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하면(211)의 일부 영역에 위치한 개구들로만 공기를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로잉 방향 변환부(232)는 적어도 2개의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233)는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 및 제 1 수직관부(233b)를 포함하며, 제 2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234)는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 및 제 2 수직관부(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는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보다 넓고,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 개구의 면적이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의 개구 면적보다 넓으며, 제 1 수직관부(233b)는 공기 유동 통로부(231)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 2 수직관부(234b)가 제 1 수직관부(233b)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가 공기 유동 통로부(231)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가 내부 공간 쪽에 위치하도록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와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가 상호 간에 적층되고, 제 2 수직관부(234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제 1 수직관부(234a)와 제 2 수직관부(234b)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제 1 수직관부(234a)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공기 유동 통로부(231)와 제 1 수직관부(234a)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 2 수직관부(234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제 1 수직관부(233a)와 제 2 수직관부(234b) 사이의 공간을 개방시킨 후에, 제 1 수직관부(233a)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공기 유동 통로부(231)와 제 1 수직관부(233a) 사이의 공간이 개방시킬 수 있다.
상부 성형부(200)의 상부 몰드(210)는 블로잉 개구(212)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214)을 포함하며, 상부 몰드(210)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공기 배출구들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214)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상부 성형부(200)가 오목한 상면(311)에 위치된 유리시트(1)의 상면을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공기 배출구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개방된 공기 배출구들의 아래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들(212)에서 블로잉되는 공기압을 낮출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유리시트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시트를 성형하는 방법을 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유리시트 성형 방법으로서, 상부 성형부(200)의 상부 몰드의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된 유리시트(1)를 하부 성형부(300)의 하부 몰드(310)의 오목한 상면(311) 위로 이동시키는 유리시트(1) 이동 단계; 및 하면(211)에 형성된 블로잉 개구(212)들을 통한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오목한 상면(311)에 위치된 유리시트(1)의 상면을 가압하는 유리시트(1) 가압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잉 개구들(212)은 하면(211) 상에서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도 있으며, 유리시트(1)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공기를 빼내도록 블로잉 개구들(212)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하면(211)의 외곽부보다 중앙부에 더 많이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부 성형부(200)는 블로잉 개구들(212) 중 선택된 블로잉 개구만을 개폐시킬 수 있는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이 블로잉 개구들(212)을 모두 폐쇄하고 있다가, 하면(211)의 중앙부의 블로잉 개구들(212)부터 개방하고, 중앙부로부터 하면(211)의 외곽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머지 블로잉 개구들(212)을 개방할 수 있다.
블로잉 개구들(212)에는 노즐이 설치될 수 있는데, 노즐은 직선분사노즐, 방사분사노즐, 좌우분사노즐, 개방노즐 또는 폐쇄노즐 일 수 있다.
유리시트(1) 가압 단계에서, 상부 성형부(200)는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선택된 블로잉 개구들로 공기를 유도할 수도 있다.
상부 성형부(200)의 상부 몰드(210)에는 블로잉 개구들(212)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2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부 몰드(210)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공기 배출구들이 형성되고, 유리시트(1) 가압 단계에서, 공기 배출구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개방된 공기 배출구들의 아래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들(212)에서 블로잉되는 공기압을 낮출 수도 있다.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하면(211)과 유리시트(1)의 상면 사이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 경우 상부 몰드(210)는 하면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2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면(211)과 유리시트(1)의 상면 사이는 유리시트(1)의 상면에 접촉하는 접촉 프레임(216)에 의해 접촉 프레임(216)의 길이만큼 이격되거나 상부 몰드의 하향 높이로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성형부(200)의 오목한 상면(311)에는 공기 배출 개구들(312)이 형성되고, 유리시트(1)가 오목한 상면(311) 위로 이동될 때, 유리시트(1)의 하면과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공기 배출 개구들(3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리시트(1)의 하면과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유리시트(1)의 하면에 의해 밀려 공기 배출 개구들(312)을 통해 자연배출될 수 있다.
반면, 자연 배출이 아닌 인위적인 방법 즉 강제로 유리시트(1)의 하면과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를 배출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하부 성형부(300)가 공기 배출 개구들(312)을 통해 하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석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유리시트(1) 이동 단계 이전에, 상부 성형부(200)가 유리 지지부(100) 상에 위치한 유리시트(1)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키는 유리시트(1)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향 석션 유동은 상부 몰드(210)의 외곽 측부를 따라 발생될 수 있다.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면(211)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216)의 종단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유리시트 부착 단계는 상부 성형부가 유리 지지부(100)를 향해 하강하거나, 유리 지지부(100)가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유리시트 부착 단계 이전에, 유리 지지부가 유리시트(1)를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이동시키되, 유리시트(1)를 연화 온도까지 가열하며 이동시키는 유리시트 도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연화 온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560도 내지 66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유리시트(1) 가압 단계 이후에, 상부 성형부(200)가 오목한 상면(311) 상에 위치한 유리시트(1)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켜 유리 지지부(100) 상으로 이동시키는 유리시트 재이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상향 석션 유동은 상기 상부 몰드의 외곽 측부를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성형부(200)가 하부 성형부(300) 상에 위치한 유리시트(1)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킬 때, 오목한 상면(311)에 형성된 공기 배출 개구(312)를 통해 상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는 유리시트(1)가 오목한 상면(311)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유리시트 재이동 단계는, 상부 성형부(200)가 유리 지지부(100)를 향해 하강하게 하거나, 유리 지지부(100)가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 유리시트 재이동 단계 이후에, 유리 지지부가 유리시트를 냉각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소성 온도 이하로 유리시트(1)를 냉각하여 유리시트(1)를 굳히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 성형 방법의 유리시트 이동 단계는, i) 상부 성형부(200)가 하부 성형부(300)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하부 성형부(300)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 ii) 상부 성형부(200)가 하부 성형부(300)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하부 성형부(300)가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iii) 하부 성형부(300)가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하부 성형부(300)가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또는 iv) 하부 성형부(200)가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부 성형부(200)가 하부 성형부(300)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유리 지지부
110: 스켈레톤
200: 상부 성형부
210: 상부 몰드
211: 하면
212: 블로잉 개구
213: 노즐
214: 내부 공간
215: 공기 배출구
216: 접촉 프레임
220: 측부 석션부
223: 석션 유동 통로부
230: 하향 블로잉부
231: 공기 유동 통로부
232: 블로잉 방향 변환부
233: 제 1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
234: 제 2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
240: 상부 하우징
241: 석션 공간
300: 하부 성형부
310: 하부 몰드
311: 오목한 상면
312: 공기 배출 개구

Claims (62)

  1.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1)를 성형하기 위한 유리시트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1)를 상부에 위치시키고 지지하는 유리 지지부(100);
    상기 유리 지지부(100)의 위쪽에 위치하며, 블로잉 개구(212)들이 형성된 하면(211)을 가지는 상부 몰드(210)를 포함하는 상부 성형부(200); 및
    상기 유리 지지부(100)와 상기 상부 성형부(200)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며, 오목한 상면(311)을 가지는 하부 몰드(310)를 포함하는 하부 성형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성형부(200)는
    상기 상부 몰드(210)의 외곽 측부를 따라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측부 석션부(220); 및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을 통해 상기 상부 몰드(210)의 외부로 하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블로잉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유리 지지부(100)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1)를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킨 후에,
    상기 유리시트(1)는 상기 하부 몰드(310)의 오목한 상면(311) 위로 이동되며,
    상기 상부 성형부(200)는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유리시트(1)를 가압한 후에,
    상기 상부 성형부(200)는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1)를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키고,
    상기 유리시트(1)는 상기 유리 지지부(100)의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상면(311)에는 공기 배출 개구(312)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성형부(300)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312)들을 통해 상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상향 블로잉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1)를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킬 때,
    상기 상향 블로잉부는 상기 유리시트(1)의 하면에 대하여 상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200)는
    상기 상부 몰드(210)의 외곽 측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이 통과되는 석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몰드(210)를 둘러싸는 상부 하우징(240)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 석션부(220)는
    상기 석션 공간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상부 하우징(240)의 내벽에 부착되는 스커트(221);
    상기 석션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 장치; 및
    상기 상부 하우징(240)의 내부에서 상기 석션 공간과 상기 배기 장치를 연통시키는 석션 유동 통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의 상기 유리시트(1)를 상기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킬 때,
    상기 상부 성형부(200)와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호 간에 근접하고, 상기 스커트(221)의 종단은 상기 오목한 상면(311)의 외곽 영역에 접촉되며,
    상기 상부 성형부(200)와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호 간에 더 근접하면, 상기 스커트(221)가 상기 오목한 상면(311)에 밀려 상향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216)의 종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지지부(100)는 상기 유리시트(1)를 냉각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지지부(100)의 상부에는 환(環)형의 프레임인 스켈레톤(110)이 위치되고,
    상기 유리시트(1)는 상기 스켈레톤(110)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지지부(100)는 상기 유리시트(1)를 상기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이동시키며,
    상기 유리시트(1)는 상기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이동되는 동안 연화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은 상기 하면(211) 상에서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보다 중앙부에 더 많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200)는,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 중 선택된 블로잉 개구만을 개폐시킬 수 있는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블로잉부(230)가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할 때,
    상기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은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을 모두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하면(211)의 중앙부의 블로잉 개구들부터 개방하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머지 블로잉 개구들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에는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하향 블로잉은 상기 노즐에 의해 노즐 분사 유동으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직선분사노즐, 방사분사노즐, 좌우분사노즐, 개방노즐, 폐쇄노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상면(311)에는 공기 배출 개구(312)들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시트(1)가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로 이동될 때, 상기 유리시트(1)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312)들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1)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유리시트(1)의 하면에 의해 밀려 상기 공기 배출 개구(312)들을 통해 자연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성형부(300)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312)들을 통해 하향 석션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석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시트(1)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하향 석션유동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 개구(312)들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210)는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214)을 포함하며,
    상기 하향 블로잉부(230)는
    상기 내부 공간(214)과 연통되며, 상기 내부 공간(214)으로 상기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유동 통로부(231); 및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하면(211)의 일부 영역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212)들로만 상기 공기를 유도하는 블로잉 방향 변환부(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방향 변환부(232)는 적어도 2개의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들(233, 234)을 포함하되,
    제 1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233)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 및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의 개구를 둘러싸며,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수직관부(233b)를 포함하며,
    제 2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234)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 및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의 개구를 둘러싸며,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수직관부(234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는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보다 넓고,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의 개구의 면적이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의 개구의 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는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231)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가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가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231)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가 상기 내부 공간(214) 쪽에 위치하도록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와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가 상호 간에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와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231)와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와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 사이의 공간을 개방시킨 후에,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231)와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 사이의 공간이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210)는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214)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몰드(210)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공기 배출구들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214)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오목한 상면(311)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공기 배출구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개방된 공기 배출구들의 아래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212)들에서 블로잉되는 공기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하면(211)과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 사이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210)는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216)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하면(211)과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 사이는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기 접촉 프레임(216)에 의해 상기 접촉 프레임의 길이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유리 지지부(100)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1)를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유리 지지부(100)를 향해 하강하거나,
    상기 유리 지지부(1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1)가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하부 성형부(300)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300)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하부 성형부(300)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및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하부 성형부(300)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경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1)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되는 상부 성형부에 있어서,
    블로잉 개구(212)들이 형성된 하면(211)을 가지는 상부 몰드(210);
    상기 상부 몰드(210)의 외곽 측부를 따라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측부 석션부(220); 및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을 통해 상기 상부 몰드(210)의 외부로 하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블로잉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성형부(200)는 상기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유리시트(1)를 상기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킨 후, 상기 유리시트(1)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는,
    상기 상부 몰드(210)의 외곽 측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이 통과되는 석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몰드(210)를 둘러싸는 상부 하우징(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부 석션부(220)는
    상기 석션 공간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상부 하우징(240)의 내벽에 부착되는 스커트(221);
    상기 석션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 장치; 및
    상기 상부 하우징(240)의 내부에서 상기 석션 공간과 상기 배기 장치를 연통시키는 석션 유동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216)의 종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은 상기 하면(211) 상에서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보다 중앙부에 더 많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는,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 중 선택된 블로잉 개구만을 개폐시킬 수 있는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블로잉부(230)가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을 향해 공기를 제공할 때,
    상기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은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을 모두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하면(211)의 중앙부의 블로잉 개구들부터 개방하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머지 블로잉 개구들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에는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하향 블로잉은 상기 노즐에 의해 노즐 분사 유동으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직선분사노즐, 방사분사노즐, 좌우분사노즐, 개방노즐, 폐쇄노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210)는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214)을 포함하며,
    상기 하향 블로잉부(230)는
    상기 내부 공간(214)과 연통되며, 상기 내부 공간(214)으로 상기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유동 통로부(231); 및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하면(211)의 일부 영역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212)들로만 상기 공기를 유도하는 블로잉 방향 변환부(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방향 변환부(232)는 적어도 2개의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들(233, 234)을 포함하되,
    제 1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233)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 및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의 개구를 둘러싸며,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수직관부(233b)를 포함하며,
    제 2 블로잉 방향 변환 요소(234)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 및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의 개구를 둘러싸며,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수직관부(234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는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보다 넓고,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의 개구의 면적이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의 개구의 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는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231)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가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가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231)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가 상기 내부 공간(214) 쪽에 위치하도록 제 1 유동 차단 플레이트(233a)와 제 2 유동 차단 플레이트(234a)가 상호 간에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와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231)와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와 상기 제 2 수직관부(234b) 사이의 공간을 개방시킨 후에,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 통로부(231)와 상기 제 1 수직관부(233b) 사이의 공간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210)는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214)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몰드(210)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공기 배출구들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214)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공기 배출구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개방된 공기 배출구들의 아래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212)들에서 블로잉되는 공기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3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하면(211)과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 사이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4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210)는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216)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을 상기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하면(211)과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 사이는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기 접촉 프레임(216)에 의해 상기 접촉 프레임(216)의 길이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성형부.
  41. 중첩된 복수의 유리들로 이루어진 유리시트(1)를 성형하기 위한 유리시트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부 성형부(200)의 상부 몰드(210)의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된 상기 유리시트(1)를 하부 성형부(300)의 하부 몰드(310)의 오목한 상면(311) 위로 이동시키는 유리시트 이동 단계; 및
    상기 하면(211)에 형성된 블로잉 개구(212)들을 통한 하향 블로잉 유동으로 상기 오목한 상면(311)에 위치된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을 가압하는 유리시트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은 상기 하면(211) 상에서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보다 중앙부에 더 많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200)는,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 중 선택된 블로잉 개구만을 개폐시킬 수 있는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상기 블로잉 개구 개폐수단이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을 모두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하면(211)의 중앙부의 블로잉 개구들부터 개방하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머지 블로잉 개구들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에는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은 직선분사노즐, 방사분사노즐, 좌우분사노즐, 개방노즐, 폐쇄노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상기 상부 성형부(200)는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선택된 블로잉 개구들로 공기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210)에는 상기 블로잉 개구(212)들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214)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몰드(210)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공기 배출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개방된 공기 배출구들의 아래에 위치된 블로잉 개구들에서 블로잉되는 공기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 가압 단계에서,
    상기 하면(211)과 상기 유리시트(1)의 상면 사이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상면(311)에는 공기 배출 개구(312)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시트(1)가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로 이동될 때,
    상기 유리시트(1)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312)들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1)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유리시트(1)의 하면에 의해 밀려 상기 공기 배출 개구(312)들을 통해 자연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성형부(300)는 상기 공기 배출 개구(312)들을 통해 하향 석션유동을 발생시키는 하향 석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시트(1)의 하면과 상기 오목한 상면(311)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하향 석션유동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 개구(312)들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유리시트 이동 단계 이전에,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유리 지지부(100)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1)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211)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키는 유리시트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은 상기 상부 몰드(210)의 외곽 측부를 따라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하면(211)의 외곽부로부터 돌출된 접촉 프레임(216)의 종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 부착 단계는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유리 지지부(100)를 향해 하강하거나,
    상기 유리 지지부(1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상기 유리시트 부착 단계 이전에,
    상기 유리 지지부(100)가 상기 유리시트(1)를 상기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이동시키되, 상기 유리시트(1)를 연화 온도까지 가열하며 이동시키는 유리시트 도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유리시트 가압 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오목한 상면(311) 위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1)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211)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켜 유리 지지부(100) 상으로 이동시키는 유리시트 재이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석션 유동은 상기 상부 몰드(210)의 외곽 측부를 따라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하부 성형부(300) 상에 위치한 상기 유리시트(1)를 상향 석션 유동에 의해 상기 하면(211)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시킬 때,
    상기 오목한 상면(311)에 형성된 공기 배출 개구(312)를 통해 상향 블로잉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57항에 있어서,
    유리시트 재이동 단계는,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유리 지지부(100)를 향해 하강하거나,
    상기 유리 지지부(1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 성형 방법은, 유리시트 재이동 단계 이후에,
    상기 유리 지지부(100)가 상기 유리시트(1)를 냉각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 이동 단계는,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하부 성형부(300)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300)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하부 성형부(300) 위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를 향해 상승하는 경로, 및
    상기 하부 성형부(300)가 상기 상부 성형부(200) 아래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상부 성형부(200)가 상기 하부 성형부(300)를 향해 하강하는 경로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경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0020540A 2013-02-26 2013-02-26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1343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540A KR101343631B1 (ko) 2013-02-26 2013-02-26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540A KR101343631B1 (ko) 2013-02-26 2013-02-26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631B1 true KR101343631B1 (ko) 2013-12-18

Family

ID=4998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540A KR101343631B1 (ko) 2013-02-26 2013-02-26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63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1297B2 (en) 2004-12-31 2017-09-26 Saint-Gobain Glass France Method for cambering glass sheets by suction
CN108623134A (zh) * 2017-03-20 2018-10-09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新型热弯机及玻璃热弯生产线
KR101917969B1 (ko) 2014-10-28 2018-11-1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판유리 굽힘 도구
CN110143752A (zh) * 2019-06-27 2019-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热压模具、曲面玻璃热压成型的方法及其应用
US10577271B2 (en) 2015-09-08 2020-03-03 Saint-Gobain Glass France Overpressure-assisted gravity bend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therefor
WO2020105597A1 (ja) * 2018-11-19 2020-05-28 Agc株式会社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
US11104598B2 (en) 2015-11-25 2021-08-31 Saint-Gobain Glass France Overpressure-assisted gravity bend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therefor
US11247931B2 (en) 2016-01-28 2022-02-15 Saint-Gobain Glass France Positive pressure-supported glass bend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therefor
US11261120B2 (en) 2015-08-18 2022-03-01 Saint-Gobain Glass France Glass-bending device and glass-bending method using a fa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801B1 (ko) 1992-05-09 2000-06-01 르 바게레즈 에스. 수평 위치에서의 유리판 벤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801B1 (ko) 1992-05-09 2000-06-01 르 바게레즈 에스. 수평 위치에서의 유리판 벤딩 방법 및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1297B2 (en) 2004-12-31 2017-09-26 Saint-Gobain Glass France Method for cambering glass sheets by suction
KR101917969B1 (ko) 2014-10-28 2018-11-1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판유리 굽힘 도구
EP3212584B1 (de) * 2014-10-28 2018-12-26 Saint-Gobain Glass France Biegewerkzeug für glasscheiben
US11261120B2 (en) 2015-08-18 2022-03-01 Saint-Gobain Glass France Glass-bending device and glass-bending method using a fan
US10577271B2 (en) 2015-09-08 2020-03-03 Saint-Gobain Glass France Overpressure-assisted gravity bend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therefor
US11104598B2 (en) 2015-11-25 2021-08-31 Saint-Gobain Glass France Overpressure-assisted gravity bend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therefor
US11247931B2 (en) 2016-01-28 2022-02-15 Saint-Gobain Glass France Positive pressure-supported glass bend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therefor
CN108623134A (zh) * 2017-03-20 2018-10-09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新型热弯机及玻璃热弯生产线
WO2020105597A1 (ja) * 2018-11-19 2020-05-28 Agc株式会社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
JPWO2020105597A1 (ja) * 2018-11-19 2021-09-30 Agc株式会社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
JP7415285B2 (ja) 2018-11-19 2024-01-17 Agc株式会社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
CN110143752A (zh) * 2019-06-27 2019-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热压模具、曲面玻璃热压成型的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631B1 (ko)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RU2742780C2 (ru) Гибка стеклянных листов
JP2571261B2 (ja) ガラス板わん曲成形工程とその装置
JP5339727B2 (ja) 吸引によってガラスシートを湾曲させるための方法
US73028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bending glass panes in pairs
EP0581620B1 (fr) Procédé et dispositifs pour le bombage de vitrages en position horizontale
JP2677451B2 (ja) 下部真空成形型の全表面および上部リング成形型を用いたガラスシートの成形
CN103803779A (zh) 手机用防护玻璃罩成型装置与成型用模具
JP6779996B2 (ja) 正圧支援によるガラス湾曲方法およびこれに適した装置
CN107001135B (zh) 夹层玻璃的制造方法
CA2563902A1 (en) Apparatus having vacuum applying facilities and method of using vacuum to bend and/or shape one or more sheets
CA2994233C (en) Positive pressure-supported gravity bend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for said method
CN106795032B (zh) 过压辅助的重力弯曲方法和适合用于该方法的装置
CZ290682B6 (cs) Způsob tvarování plošného materiálu změkčovatelného teplem
CN108381899B (zh) 高效生产的亚克力浴缸成型***
WO2017091990A1 (en) Vacuum-molding apparatus for bend molding glass and methods for the use thereof
KR20160124117A (ko) 교축 곡률을 가진 고온 유리판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기 및 방법
KR20190119053A (ko) 외연 스트레인이 감소된 유리 패널
JP7043495B2 (ja) 薄いガラスの曲げ加工
CN110983866A (zh) 一种纸浆模塑产品负拔模成型设备、***和工艺
KR20170032940A (ko) 성형재료의 균일한 가열 및 가압이 가능한 진공성형장치
FI93003B (fi) Menetelmä ja laite lasilevyjen kupertamiseen
KR20210069099A (ko)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97141B1 (ko) 사출금형
JP6497084B2 (ja) 複合材料の成形方法、複合材料の成形装置、および複合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